KR20160057750A - 홍삼을 포함한 한방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홍삼을 포함한 한방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750A
KR20160057750A KR1020140158751A KR20140158751A KR20160057750A KR 20160057750 A KR20160057750 A KR 20160057750A KR 1020140158751 A KR1020140158751 A KR 1020140158751A KR 20140158751 A KR20140158751 A KR 20140158751A KR 20160057750 A KR20160057750 A KR 20160057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ment
medicinal material
size
pulverized
red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성
김현정
윤금정
최영환
Original Assignee
신성에프엔비 주식회사
윤금정
김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에프엔비 주식회사, 윤금정, 김현정 filed Critical 신성에프엔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8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7750A/ko
Publication of KR20160057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한방차 제조방법에서 약재를 세척하여 분진을 제거하고 이를 건조한다. 상기 건조된 약재를 분쇄하고, 상기 분쇄된 약재에서 1mm를 기준으로 약재를 선별한다. 상기 1mm 미만의 크기로 선별된 약재를 40~50도의 저온에서 법제하고, 상기 1mm 이상의 크기로 선별된 약재를 70~80도의 고온에서 법제한다. 상기 고온에서 법제된 약재를 추가로 분쇄하고, 상기 추가로 분쇄된 약재에서 1mm 미만의 크기의 약재를 추가로 선별한다. 상기 저온에서 법제된 약재와 상기 추가로 선별된 약재를 혼합한다.

Description

홍삼을 포함한 한방차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N ORIENTAL TEA HAVING A RED GINSENG}
본 발명은 한방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홍삼을 포함하여 효능이 향상되며 약재 고유의 풍미를 느낄 수 있는 홍삼을 포함한 한방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방차란 차가버섯, 당귀, 하수오, 귤피, 뽕잎, 소엽, 형개수, 천궁, 박하엽, 백복신, 원지, 석창포, 황기, 인삼, 숙지황, 작약, 감초, 대추, 백복령, 백출, 계피, 건강 등과 같은 한약재를 사용하여 만든 차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한방차의 제조를 위해, 약재로부터 엑기스를 추출한 후 설탕 등을 섞어 가공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또는 약재를 미세한 입자로 분쇄한 후 법제(약재의 독한 약성을 희석시키기 위해 볶음)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약재로부터 엑기스를 추출하는 방법의 경우, 엑기스 이외의 설탕과 같은 재료들이 섞이므로 우러르는 경우 약재 고유의 풍미를 저하시키므로 최근의 사용자의 기호도가 저하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약재를 분쇄하여 법제한 한방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홍삼은 최근 다양한 효능의 확인과 함께 소비자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유아용 기호품으로부터 성인용 약재까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까지 한방차의 제조와 관련하여, 특허출원 제10-2012-0099725호는 홍삼과 오가피를 배합한 홍상오가피차 제조와 관련하여 세척, 분쇄, 건조 및 볶음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한방차의 경우 약재의 재료에 따라 동일한 분쇄 공정에서도 다양한 크기로 분쇄가 되며, 이에 따라 일률적인 볶음 공정을 거치는 경우 약재에 따라 지나치게 많이 볶아지거나 덜 볶아져 한방차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약재의 종류에 따른 최적의 법제 공정으로 한방차의 풍미 및 품질을 향상시키며 홍삼의 혼합으로 효능을 향상시킨 한방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약재를 세척하여 분진을 제거하고 이를 건조한다. 상기 건조된 약재를 분쇄하고, 상기 분쇄된 약재에서 1mm를 기준으로 약재를 선별한다. 상기 1mm 미만의 크기로 선별된 약재를 40~50도의 저온에서 법제하고, 상기 1mm 이상의 크기로 선별된 약재를 70~80도의 고온에서 법제한다. 상기 고온에서 법제된 약재를 추가로 분쇄하고, 상기 추가로 분쇄된 약재에서 1mm 미만의 크기의 약재를 추가로 선별한다. 상기 저온에서 법제된 약재와 상기 추가로 선별된 약재를 혼합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약재를 혼합한 후, 홍삼약재를 상기 혼합 약재에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홍삼약재가 추가된 혼합 약재를 티백으로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약재의 세척 및 건조단계에서, 상기 약재는 물로 세척하며, 세척된 약재의 수분이 10% 정도 잔류한 상태까지 건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온에서 법제하는 단계에서는 약재를 5분 내지 10분간 볶으며, 상기 고온에서 법제하는 단계에서는 약재를 10분 내지 20분간 볶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분쇄된 약재를 1mm를 기준으로 선별하여 선택적으로 저온 또는 고온에서 각각 법제하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약재에 대하여 고온으로 법제함에 따라 약재가 타서 풍미가 감소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동일한 분쇄 단계에서도 약재의 종류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분쇄되므로 상기 선별공정에 따른 분리 법제를 통해 약재의 풍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1mm를 기준으로 크기가 큰 약재의 경우, 추가 분쇄를 통해 1mm 이하의 크기만 추가 선별하여 작은 크기의 약재와 혼합하여 제품화되므로, 최종 제품의 크기는 균일하게 유지되어 동일한 풍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홍삼약재는 상대적으로 고가의 재료로 타 약재와의 혼합 분쇄 또는 법제를 피하고, 마지막 단계에서 혼합되어 제품화되므로, 홍삼약재의 고유의 효능을 유지하면서도 재료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약재를 물로 세척하고, 약재가 수분을 10% 정도 포함한 상태에서 분쇄 공정을 수행하므로, 약재의 분쇄를 통해 발생하는 분진을 방지할 수 있어, 별도의 분진 제거 공정 또는 장비 등의 필요성이 없다.
또한, 저온 법제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약재에 대한 볶음 공정으로 5~10분의 짧은 볶음 공정으로도 내부까지 모두 볶을 수 있으며, 고온 법제는 상대적으로 큰 약재에 대한 볶음 공정으로 10~20분의 긴 볶음 공정을 통해 내부를 모두 볶도록 구별하여 약재의 크기에 따른 볶음 공정의 최적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한방차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한방차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차가버섯, 당귀, 하수오, 귤피, 뽕잎, 소엽, 형개수, 천궁, 박하엽, 백복신, 원지, 석창포, 황기, 인삼, 숙지황, 작약, 감초, 대추, 백복령, 백출, 계피, 건강 등과 같은 약재를 세척하여 분진을 제거하고 이를 건조한다(단계 S10).
이 경우, 상기 약재의 세척은 수돗물 등의 물로 수행하며, 약재의 내부로 수분이 지나치게 많이 흡수되는 경우 약재의 고유의 풍미가 사라지므로 가볍게 세척하여 분진을 제거한다. 이 후, 상기 세척된 약재를 건조하는데, 건조 공정은 햇볕이 들지 않는 실내에서 수행하며 상기 약재가 약 10% 정도의 수분을 포함한 상태까지만 건조한다.
상기 건조 공정을 통해 모든 수분을 제거하는 경우, 후술되는 분쇄 공정 등에서 분진이 추가로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분진을 제거하는 공정 또는 장치가 추가로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약재가 일정한 수분을 포함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후술되는 공정이 수행되면서 자연스럽게 수분이 배출되어 최종적으로 포장된 티백에는 수분이 제거된 약재만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건조된 약재를 분쇄기를 통해 분쇄한다(단계 S20). 일반적으로 분쇄기의 내부에 속채의 크기를 바꾸거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분쇄기를 통해 분쇄가 가능하지만, 약재의 경우 크기 및 강도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크기의 속채 또는 동일한 종류의 분쇄기를 사용하여 약재를 분쇄하더라도 분쇄된 약재는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갖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쇄기로 함마밀 또는 커터밀 등의 분쇄기를 사용하며, 속채의 크기는 5~10mm 범위를 사용한다.
이 후, 상기 분쇄된 약재를 선별한다(단계 S3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크기의 속채 또는 동일한 종류의 분쇄기를 사용하더라도 약재의 종류에 따라 분쇄된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분쇄된 약재와 큰 크기로 분쇄된 약재를 하나의 법제 공정을 통해 볶는 경우, 작은 크기의 약재는 타거나 큰 크기의 약재는 덜 볶아져 전체적으로 한방차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1mm를 기준으로, 상기 분쇄된 약재의 크기가 1mm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약재를 선별한다(단계 S40). 이 경우, 약재의 선별은 예를 들어, 크기가 1mm인 망을 통해 상기 약재를 선별할 수 있다.
이 후, 1mm보다 큰 약재에 대하여는, 상대적으로 고온으로 법제를 수행한다(단계 S51).
즉, 1mm보다 큰 약재에 대하여는 볶음솥 등에 넣고 볶으며, 약 70~80도의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약 10분 내지 20분의 상대적으로 장시간 동안 볶는다(단계 S51).
크기가 큰 약재의 경우, 짧은 시간동안 볶거나 지나치게 강한 불에서 볶는 경우 굵은 입자의 겉부분만 타고 속은 익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약 70~80도의 온도에서 약 10분 내지 20분 정도의 긴 시간동안 볶음 공정을 수행한다. 그리하여, 크기가 큰 약재에 대하여도 속 부분까지 모두 익을 수 있도록하여 균일한 풍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 후, 상기 크기가 큰 약재를 추가로 분쇄한다(단계 S52).
1mm보다 큰 약재의 경우, 후술되는 티백 포장을 통해 담기가 어렵고, 특히 찬물을 통해 우리는 경우 속까지 우려지지 않을 우려가 있으므로 추가로 분쇄하는 공정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1mm 이하의 크기의 약재를 제조한다.
이 경우, 상기 추가 분쇄는 예를 들어, 커터밀 등의 분쇄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속채 크기도 5mm 미만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추가 분쇄 공정을 통해서도, 약재의 종류에 따라서는 1mm 보다 큰 크기로 잔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추가 약재 선별 공정(단계 S53)을 통해 1mm 미만의 약재만 선별하고, 그 이상의 크기의 약재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분쇄 공정 등을 통해 1mm 미만의 크기로 분쇄한다.
한편, 상기 1차 분쇄 후 1mm 미만의 크기로 선별된 약재의 경우, 저온 법제 공정을 수행한다(단계 S60).
즉, 1mm 미만 크기의 약재는 상대적으로 저온인 40~50도의 온도에서 약 5분 내지 10분 정도의 시간 동안만 볶는 공정을 수행한다. 작은 크기의 약재를 고온이나 장시간 동안 볶는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표면은 물론이고 내부까지 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저온으로 짧은 시간동안만 볶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타는 약재를 최소화하면서 작은 크기의 약재들을 버리지 않고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저온 법제 공정으로 볶아진 1mm 미만의 약재들은, 앞서 설명한 고온 법제 및 추가 분쇄된 1mm 이상의 약재들(실질적으로 추가 분쇄 및 추가 약재 선별을 통해 1mm 미만의 크기로 변함)과 혼합된다(단계 S70).
한편, 앞서 약재가 수분을 10% 정도 잔류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저온 법제 또는 고온 법제의 공정을 통과하면 상기 약재에 포함된 수분은 모두 없어지며, 따라서 상기 약재의 분진도 발생하지 않으면서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1mm 미만의 약재들은 수분을 포함하지 않게 된다.
이 후, 상기 혼합된 약재에 홍삼약재를 추가한다(단계 S80). 이 경우, 상기 홍삼약재는 별도의 분쇄 공정을 통해 1mm 미만의 크기로 분쇄된 상태로 상기 약재에 추가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홍삼약재가 추가된 약재를 티백으로 포장한다(단계 S90).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분쇄된 약재를 1mm를 기준으로 선별하여 선택적으로 저온 또는 고온에서 각각 법제하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약재에 대하여 고온으로 법제함에 따라 약재가 타서 풍미가 감소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동일한 분쇄 단계에서도 약재의 종류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분쇄되므로 상기 선별공정에 따른 분리 법제를 통해 약재의 풍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1mm를 기준으로 크기가 큰 약재의 경우, 추가 분쇄를 통해 1mm 이하의 크기만 추가 선별하여 작은 크기의 약재와 혼합하여 제품화되므로, 최종 제품의 크기는 균일하게 유지되어 동일한 풍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홍삼약재는 상대적으로 고가의 재료로 타 약재와의 혼합 분쇄 또는 법제를 피하고, 마지막 단계에서 혼합되어 제품화되므로, 홍삼약재의 고유의 효능을 유지하면서도 재료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약재를 물로 세척하고, 약재가 수분을 10% 정도 포함한 상태에서 분쇄 공정을 수행하므로, 약재의 분쇄를 통해 발생하는 분진을 방지할 수 있어, 별도의 분진 제거 공정 또는 장비 등의 필요성이 없다.
또한, 저온 법제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약재에 대한 볶음 공정으로 5~10분의 짧은 볶음 공정으로도 내부까지 모두 볶을 수 있으며, 고온 법제는 상대적으로 큰 약재에 대한 볶음 공정으로 10~20분의 긴 볶음 공정을 통해 내부를 모두 볶도록 구별하여 약재의 크기에 따른 볶음 공정의 최적화가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차 제조방법은 홍삼이 혼합된 다양한 생약체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Claims (4)

  1. 약재를 세척하여 분진을 제거하고 이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약재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약재에서 1mm를 기준으로 약재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1mm 미만의 크기로 선별된 약재를 40~50도의 저온에서 법제하는 단계;
    상기 1mm 이상의 크기로 선별된 약재를 70~80도의 고온에서 법제하는 단계;
    상기 고온에서 법제된 약재를 추가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추가로 분쇄된 약재에서 1mm 미만의 크기의 약재를 추가로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저온에서 법제된 약재와 상기 추가로 선별된 약재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방차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재를 혼합한 후, 홍삼약재를 상기 혼합 약재에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홍삼약재가 추가된 혼합 약재를 티백으로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한방차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재의 세척 및 건조단계에서,
    상기 약재는 물로 세척하며, 세척된 약재의 수분이 10% 정도 잔류한 상태까지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차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에서 법제하는 단계에서는 약재를 5분 내지 10분간 볶으며, 상기 고온에서 법제하는 단계에서는 약재를 10분 내지 20분간 볶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체 제조방법.
KR1020140158751A 2014-11-14 2014-11-14 홍삼을 포함한 한방차 제조방법 KR20160057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751A KR20160057750A (ko) 2014-11-14 2014-11-14 홍삼을 포함한 한방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751A KR20160057750A (ko) 2014-11-14 2014-11-14 홍삼을 포함한 한방차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750A true KR20160057750A (ko) 2016-05-24

Family

ID=56113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751A KR20160057750A (ko) 2014-11-14 2014-11-14 홍삼을 포함한 한방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77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873B1 (ko) * 2020-09-03 2021-04-23 김일 조기치매 완화 및 예방용 발효안심침향단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873B1 (ko) * 2020-09-03 2021-04-23 김일 조기치매 완화 및 예방용 발효안심침향단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090B1 (ko) 탕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탕제
CN104473008A (zh) 一种除湿富硒红豆薏米粉及其制备方法
CN104585399A (zh) 一种西洋参固体速溶茶的制备方法
CN104719541A (zh) 一种咖啡花茶及其制备方法
CN103300178B (zh) 一种花孕普洱茶及其制备方法
KR20130130257A (ko) 차 분말을 이용한 덩이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덩이차
KR20160057750A (ko) 홍삼을 포함한 한방차 제조방법
EP3669665B1 (en) Method for processing ginseng with ultra-high pressure
CN105815462A (zh) 一种明目解毒马齿苋米糠调和油
CN103652155A (zh) 一种速溶分子保健茶
EP1885193B1 (en) A bush tea product
CN106615475A (zh) 一种保健型沙棘茶及其制备方法
CN101439054A (zh) 一种袋装中药粉末饮片及其生产工艺
KR20230043456A (ko) 과일 분말을 함유하는 캡슐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4459B1 (ko) 메리골드 분말의 제조 방법
CN105861147A (zh) 一种护肝强肾的可可脂香米糠调和油
CN109288952A (zh) 金刚藤丸及其制备工艺
JP2808009B2 (ja) 霊芝類の処理法
JP6445636B1 (ja) コーヒー残渣を含む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49569B1 (ko) 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1184399A (zh) 一种灌木茶产品
CN103505711B (zh) 一种改善睡眠质量的保健药及其制备方法
KR100493212B1 (ko) 운모의 가공방법
CN107410633A (zh) 一种护眼、健脑功效的压片硬糖的生产技术
JP2021019540A (ja) 蒟蒻用色付粉及び蒟蒻用色付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