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995A -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 그 연결방법 및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 그 연결방법 및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995A
KR20160054995A KR1020140154701A KR20140154701A KR20160054995A KR 20160054995 A KR20160054995 A KR 20160054995A KR 1020140154701 A KR1020140154701 A KR 1020140154701A KR 20140154701 A KR20140154701 A KR 20140154701A KR 20160054995 A KR20160054995 A KR 20160054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ble
core
core wire
ultrasonic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3025B1 (ko
Inventor
김인식
서영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4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025B1/ko
Publication of KR20160054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07Ultrasonic-, H.F.-, cold- or impact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을 케이블의 단부에 초음파 융착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접촉저항 및 전압강하를 최소할 수 있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 그 연결방법 및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로서, 터미널은 평탄한 바닥을 가진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지고, 터미널의 양측에는 한 쌍의 측벽부가 상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터미널의 평탄한 바닥 및 측벽부 사이에 케이블의 탈피된 심선부가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초음파 융착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 그 연결방법 및 연결장치{STRUCTURE, METHOD AND APPARATUS OF TERMINAL AND CABLE}
본 발명은 터미널을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하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미널을 케이블의 단부에 초음파 융착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접촉저항 및 전압강하를 최소할 수 있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 그 연결방법 및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미널(terminal)은 케이블 등의 단부에 연결되고, 터미널은 각종 전기장치, 배터리, 알터네이터 등에 접속되어 전기적 접속을 구현한다.
이러한 터미널이 케이블의 단부에 견고하게 연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케이블이 터미널로부터 분리되어 그 전기적 접속이 차단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전기로 인해 쇼트 내지 감전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의 단부에 터미널을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방법은 압착방식으로 케이블의 단부에 터미널을 결합시키는 방식을 적용하여 왔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케이블의 단부에서 일부 피복을 탈피함으로써 케이블의 단부에서 심선이 노출되며, 터미널에는 복수의 배럴이 마련된다. 이에 케이블의 탈피된 심선부를 도전체인 터미널에 압착을 통해 연결함으로서 케이블과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하지만, 종래의 압착방식에 의한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방법은, 작업시간이 길게 소요되어 그 생산성이 극히 낮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압착방식에 의한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방법은, 압착불량으로 인해 접속의 품질 및 안정화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더불어, 압착에 의해 터미널의 배럴 측에 압착되는 터미널의 심선들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여 접촉저항 및 전압강하가 높게 일어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터미널을 케이블의 단부에 초음파 융착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접촉저항 및 전압강하를 최소할 수 있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 그 연결방법 및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터미널이 케이블의 탈피된 심선부에 접합되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로서,
상기 터미널은 평탄한 바닥을 가진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터미널의 양측에는 한 쌍의 측벽부가 상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터미널의 평탄한 바닥 및 측벽부 사이에 케이블의 탈피된 심선부가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초음파 융착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미널은 그 일측에 피복 바렐을 더 구비하고, 상기 피복 바렐은 상기 케이블의 탈피된 심선부에 인접한 피복부를 감싸면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의 심선부는 줄무늬 형상의 요철부를 가진 초음파 융착혼에 의해 줄무늬 형상의 주름부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터미널에 초음파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미널의 평탄한 바닥에는 케이블의 심선부 안착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는 엠보 형상, 삼각 형상, 1자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측벽부에 대해 절곡되게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미널과 케이블의 심선부가 초음파 융착된 융착부에는 밀봉피복부가 인서트 사출 또는 수축튜브에 의해 밀봉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터미널을 케이블의 탈피된 심선부에 연결하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방법으로,
케이블의 탈피된 심선부를 터미널의 평탄한 바닥에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안착하는 안착단계; 및
상기 터미널의 평탄한 바닥에 케이블의 심선부를 초음파 융착혼에 의해 가압하면서 초음파 융착시키는 초음파 융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미널의 일측에 마련된 피복 바렐이 케이블의 피복부를 감싸도록 압착공정에 의해 압착하는 압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초음파 융착단계에서, 케이블의 심선부를 터미널의 평탄한 바닥에 융착시킬 때 줄무늬 형상의 요철부를 가진 초음파 융착혼에 의해 케이블의 심선부에 줄무늬 형상의 주름부를 형성하면서 초음파 융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미널과 케이블의 심선부가 초음파 융착된 부분을 인서트 사출 또는 수축튜브에 의해 밀봉적으로 피복하는 밀봉 피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터미널을 케이블의 탈피된 심선부에 초음파 융착시키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장치로서,
케이블의 탈피된 심선부가 안착된 터미널이 거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탈피된 심선부를 상기 터미널에 초음파 융착시키는 초음파 공구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초음파 공구혼의 저면에는 줄무늬 형상의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초음파 융착혼의 양단에는 라운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 연결장치는,
상기 거치대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베이스금형; 및
상기 베이스 금형의 상부에서 상하 이동하면서 프레스작동하는 압착금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의 일측에는 피복 바렐이 형성되며, 상기 압착금형의 압착작동에 의해 상기 터미널의 피복 바렐이 케이블의 심선부를 감싸면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금형은 그 상면에 터미널의 피복 바렐 저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압착금형은 그 하면에 터미널의 바렐 상면을 압착하는 복수의 압착홈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금형의 지지부와 압착금형의 압착홈은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짝을 이루도록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의 평탄한 바닥 및 측벽부 사이에 케이블의 탈피된 심선부가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초음파 융착에 의해 접착됨으로써 그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대폭 향상되고, 또한 초음파 융착에 의한 접속 품질 및 안정화를 대폭 높일 수 있으며, 또한 터미널의 심선들 사이에 공극 발생이 최소화되어 접촉저항 및 전압강하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의 심선부를 터미널의 바닥부에 초음파 융착시킴과 더불어 피복 바렐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피복부를 압착하여 고정함으로써 터미널을 케이블의 단부에 보다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진동이 심한 부분에서도 그 연결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의 심선부가 터미널에 주름부가 형성된 상태로 초음파 융착됨에 따라 그 인장력 및 접합력이 대폭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의 평탄한 바닥에 케이블의 심선부를 안착시킬 때 그 안착위치가 스토퍼에 의해 적절히 규제됨에 따라 케이블의 심선부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그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미널에 대한 케이블의 융착 규격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 및 케이블의 심선부가 초음파 융착된 융착부에 밀봉피복부가 밀봉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나 수분 등이 유입됨을 차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쇼트 등이 차단되어 전기적 접점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에 적용되는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에 밀봉피복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 연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 연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 연결장치의 베이스금형 및 압착금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 연결장치의 초음파 공구혼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터미널과 케이블의 심선부가 초음파 융착될 때 발생하는 일부 심선의 삐침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터미널(10)이 케이블(20)의 탈피된 심선부(25)에 접합되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이다.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한 바닥을 가진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진 터미널(10)을 포함하고, 터미널(10)의 양측에 한 쌍의 측벽부(11)가 상향으로 돌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터미널(10)의 평탄한 바닥 및 측벽부(11) 사이에 케이블(20)의 탈피된 심선부(25)가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초음파 융착에 의해 접합된다. 특히, 터미널(10)의 평탄한 바닥에는 케이블(20)의 탈피된 심선부(25)가 평평하게 펼쳐져 안착된 상태에서 초음파 융착이 진행됨에 따라 터미널(10)과 케이블(20)의 심선부(25)가 초음파 융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터미널(10)의 평탄한 바닥 및 측벽부 사이에 케이블(20)의 탈피된 심선부(25)가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초음파 융착에 의해 접착됨으로써 그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대폭 향상되고, 또한 초음파 융착에 의한 접속 품질 및 안정화를 대폭 높일 수 있으며, 또한 터미널의 심선들 사이에 공극 발생이 최소화되어 접촉저항 및 전압강하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터미널(10)의 평탄한 바닥에는 케이블(20)의 심선부(25) 안착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15)가 마련된다. 이러한 스토퍼(15)에 의해 터미널(10)의 평탄한 바닥에 케이블(20)의 심선부(25)가 안착될 때 그 안착위치가 적절히 규제됨에 따라 케이블(20)의 심선부(25)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그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미널(10)에 대한 케이블(20)의 융착 규격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토퍼(15)는 엠보 형상, 삼각 형상, 1자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케이블(20)의 심선부(25)에 대한 위치결정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으면 그외 다양한 형상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15)는 도 4와 같이 측벽부(11)에 대해 절곡되게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져 케이블(20)의 심선부(25)의 안착위치를 보다 안정되게 규제할 수도 있다.
또한, 터미널(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에 피복 바렐(12)을 더 구비하고, 이러한 피복 바렐(12)은 후술하는 압착공정을 통해 케이블(20)의 탈피된 심선부(25)에 인접한 피복부를 감싸면서 압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20)의 심선부(25)를 터미널(10)의 바닥에 초음파 융착시킴과 더불어 피복 바렐(12)을 이용하여 케이블(20)의 피복부를 압착하여 고정함으로써 터미널(10)을 케이블(20)의 단부에 보다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진동이 심한 부분에서도 그 연결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피복 바렐(12)은 제품의 사양이나 장착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접지 연결부(GND)나 정션박스(J/C BOX) 등과 같이 진동이 심하지 않은 부분에서는 피복 바렐(12)이 적용될 필요가 없지만, 스타터(STR)나 알터네이터(ALT) 등과 같이 진동이 심한 부분에서는 피복 바렐(12)이 케이블(20)의 피복부를 압착함으로써 터미널(10)과 케이블(20)의 연결상태를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20)의 심선부(25)는 후술하는 초음파 융착혼(30)의 요철부(35)에 의해 줄무늬 형상의 주름부가 형성된 상태로 터미널(10)에 초음파 융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20)의 탈피된 심선부(25)가 터미널(10)에 주름부가 형성된 상태로 초음파 융착됨에 따라 그 인장력 및 접합력이 대폭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10)과 케이블(20)의 심선부(25)가 초음파 융착된 융착부에는 밀봉피복부(40, 45)가 밀봉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밀봉피복부(40, 45)에 의해 그 융착부가 밀봉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나 수분 등이 유입됨을 차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쇼트 등이 차단되어 전기적 접점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밀봉피복부는 도 5(a)와 같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된 인서트사출형 피복부(40)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5(b)와 같이 수축튜브(45)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방법은, 케이블(20)의 탈피된 심선부(25)를 터미널(10)의 평탄한 바닥에 평평하게 펼친 상태로 안착하는 안착단계(S1)와, 터미널(10)의 평탄한 바닥에 케이블(20)의 탈피된 심선부(25)를 초음파 융착혼(30)에 의해 가압하면서 초음파 융착시키는 초음파 융착단계(S2)로 이루어진다.
안착단계(S1)에서, 케이블(20)의 탈피된 심선부(25)는 터미널(10)의 스토퍼(15)에 의해 그 안착위치가 결정되면서 매우 간편하게 안착될 수 있다.
초음파 융착단계(S2)에서, 케이블(20)의 탈피된 심선부(25)를 터미널(10)의 평탄한 바닥에 융착시킬 때 줄무늬 형상의 요철부(35)를 가진 초음파 융착혼(30)에 의해 케이블(20)의 탈피된 심선부(25)에 줄무늬 형상의 주름부를 형성하면서 초음파 융착시킬 수 있다.
그 이후에, 필요에 따라 터미널(10)의 일측에 마련된 피복 바렐(12)이 케이블(20)의 피복부를 감싸도록 압착공정에 의해 압착하는 압착단계(S3)를 추가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터미널(10)과 케이블(20)의 탈피된 심선부(25)가 초음파 융착된 부분을 인서트 사출 또는 수축튜브에 의해 밀봉적으로 피복하는 밀봉 피복단계(S4)를 추가적으로 더 진행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장치는, 케이블(20)의 탈피된 심선부(25)가 안착된 터미널(10)이 거치되는 거치대(65)와, 거치대(61)의 상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블(20)의 탈피된 심선부(25)와 터미널(10)을 초음파 융착시키는 초음파 공구혼(30)을 포함한다.
거치대(65)는 터미널(10)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초음파 공구혼(3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저면에 형성된 줄무늬 형상의 요철부(35)를 가지고, 이러한 초음파 융착혼(30)의 요철부(35)에 의해 케이블(20)의 탈피된 심선부(25)는 줄무늬 형상의 주름부가 형성된 상태로 터미널(10)에 초음파 융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20)의 탈피된 심선부(25)가 터미널(10)에 주름부가 형성된 상태로 초음파 융착됨에 따라 심선부(25)를 누르는 압력이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으므로 그 인장력 및 접합력이 대폭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9와 같이 초음파 융착혼(30)의 양단에는 라운드부(36)가 마련되고, 이에 초음파 융착 시에 심선부(25)를 안쪽으로 모아주므로 심선부(25)의 일부 심선이 외부로 삐치는 현상이 방지되어 초음파 융착부의 형상이 매우 안정화될 수 있다. 예컨대, 초음파 융착혼(30)의 양단에 라운드부(36)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케이블(20)의 탈피된 심선부(25)와 터미널(10)을 초음파 융착할 경우에는 도 7(a)와 같이 심선들의 위치가 고르지 못하여 일부 심선들이 외부로 삐져나오는 삐침현상이 심하게 나타나지만, 초음파 융착혼(30)의 양단에 라운드부(36)를 형성한 상태에서 초음파 융착할 경우에는 도 7(b)와 같이 심선부의 삐침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65)의 후방에는 터미널(10)의 피복 바렐(12)을 지지하는 베이스금형(61)이 설치되고, 베이스금형(61)의 상부에는 상하 이동하면서 압착작동하는 압착금형(62)이 설치된다.
베이스금형(6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에 터미널(10)의 피복 바렐(12) 저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61a)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압착금형(6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면에 터미널(10)의 피복 바렐(12)의 상면을 압착하는 복수의 압착홈(62a)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터미널(10)과 케이블(20)의 탈피된 심선부(25)가 초음파 융착된 이후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금형(61) 및 압착금형(62)에 의해, 터미널(10)의 피복 바렐(12)이 케이블(20)의 탈피된 심선부(25)를 감싸면서 압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초음파 융착과 압착공정이 동시에 구현할 수 있으므로 그 생산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베이스금형(61)의 지지부(61a)와 압착금형(62)의 압착홈(62a)은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짝을 이루도록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복수의 터미널(10)을 복수의 케이블(20)에 동시에 초음파 융착 및 압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그 생산성이 대폭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터미널 11: 측벽부
12: 피복 바렐 15: 스토퍼
20: 케이블 25: 심선부
30: 초음파 융착혼 35: 요철부
61: 베이스금형 62: 압착금형
65: 거치대

Claims (16)

  1. 터미널이 케이블의 탈피된 심선부에 접합되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로서,
    상기 터미널은 평탄한 바닥을 가진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터미널의 양측에는 한 쌍의 측벽부가 상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터미널의 평탄한 바닥 및 측벽부 사이에 케이블의 탈피된 심선부가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초음파 융착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그 일측에 피복 바렐을 더 구비하고, 상기 피복 바렐은 상기 케이블의 탈피된 심선부에 인접한 피복부를 감싸면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심선부는 줄무늬 형상의 요철부를 가진 초음파 융착혼에 의해 줄무늬 형상의 주름부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터미널에 초음파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의 평탄한 바닥에는 케이블의 심선부 안착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엠보 형상, 삼각 형상, 1자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측벽부에 대해 절곡되게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과 케이블의 심선부가 초음파 융착된 융착부에는 밀봉피복부가 인서트 사출 또는 수축튜브에 의해 밀봉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
  8. 터미널을 케이블의 탈피된 심선부에 연결하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방법으로,
    케이블의 탈피된 심선부를 터미널의 평탄한 바닥에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안착하는 안착단계; 및
    상기 터미널의 평탄한 바닥에 케이블의 심선부를 초음파 융착혼에 의해 가압하면서 초음파 융착시키는 초음파 융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의 일측에 마련된 피복 바렐이 케이블의 피복부를 감싸도록 압착공정에 의해 압착하는 압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융착단계에서, 케이블의 심선부를 터미널의 평탄한 바닥에 융착시킬 때 줄무늬 형상의 요철부를 가진 초음파 융착혼에 의해 케이블의 심선부에 줄무늬 형상의 주름부를 형성하면서 초음파 융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과 케이블의 심선부가 초음파 융착된 부분을 인서트 사출 또는 수축튜브에 의해 밀봉적으로 피복하는 밀봉 피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방법.
  12. 터미널을 케이블의 탈피된 심선부에 초음파 융착시키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장치로서,
    케이블의 탈피된 심선부가 안착된 터미널이 거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탈피된 심선부를 상기 터미널에 초음파 융착시키는 초음파 공구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공구혼의 저면에는 줄무늬 형상의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융착혼의 양단에는 라운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장치.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베이스금형; 및
    상기 베이스 금형의 상부에서 상하 이동하면서 프레스작동하는 압착금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의 일측에는 피복 바렐이 형성되며, 상기 압착금형의 압착작동에 의해 상기 터미널의 피복 바렐이 케이블의 심선부를 감싸면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금형은 그 상면에 터미널의 피복 바렐 저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압착금형은 그 하면에 터미널의 바렐 상면을 압착하는 복수의 압착홈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금형의 지지부와 압착금형의 압착홈은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짝을 이루도록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장치.
KR1020140154701A 2014-11-07 2014-11-07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 그 연결방법 및 연결장치 KR102153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701A KR102153025B1 (ko) 2014-11-07 2014-11-07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 그 연결방법 및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701A KR102153025B1 (ko) 2014-11-07 2014-11-07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 그 연결방법 및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995A true KR20160054995A (ko) 2016-05-17
KR102153025B1 KR102153025B1 (ko) 2020-09-07

Family

ID=56109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701A KR102153025B1 (ko) 2014-11-07 2014-11-07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 그 연결방법 및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0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843A (ko) 2020-03-09 2021-09-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레이아웃 형성이 용이한 케이블 연결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349A (ja) * 1996-04-25 1998-01-16 Yazaki Corp マルチ端子圧着機
JP2007012329A (ja) * 2005-06-28 2007-01-18 Hitachi Cable Ltd 接続端子、接続端子付きアルミケーブル、超音波溶接方法、および超音波接続装置
KR20090013249U (ko) * 2008-06-23 2009-12-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접지용 링터미널
KR20110063404A (ko) * 2011-04-22 2011-06-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초음파 융착기용 공구 혼 및 이를 통해 제작된 터미널 접합 케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349A (ja) * 1996-04-25 1998-01-16 Yazaki Corp マルチ端子圧着機
JP2007012329A (ja) * 2005-06-28 2007-01-18 Hitachi Cable Ltd 接続端子、接続端子付きアルミケーブル、超音波溶接方法、および超音波接続装置
KR20090013249U (ko) * 2008-06-23 2009-12-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접지용 링터미널
KR20110063404A (ko) * 2011-04-22 2011-06-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초음파 융착기용 공구 혼 및 이를 통해 제작된 터미널 접합 케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843A (ko) 2020-03-09 2021-09-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레이아웃 형성이 용이한 케이블 연결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025B1 (ko) 202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1685B2 (en) Electric wire connecting method
US9793626B2 (en) Mold for forming terminal of electric wire
US20130025935A1 (en) Wire connecting method and wiring harness
CN104112914A (zh) 电线连接结构和电线连接方法
KR101748845B1 (ko) 퓨즈용 버스바 및 그 용단부 제조방법
KR20140133907A (ko) 단자를 전선에 압착하기 위한 방법 및 압착 단자
CN104124559B (zh) 具有内模定位焊接的线缆连接器及其制造方法
CN103682942A (zh) 一种连接器焊接通用夹具
KR102490863B1 (ko)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US20220181831A1 (en) Electric cable with termin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 cable with terminal
JP2015082442A (ja) 圧接構造
CN109348735A (zh) 电线的连接构造以及辅助端子
US20180186036A1 (en) Molded resin-equipped electric wire and molded resin-equipped electric wire production method
KR20160054995A (ko) 터미널과 케이블의 연결구조, 그 연결방법 및 연결장치
JP2013196921A (ja) 圧着端子付き電線、および圧着端子を電線に圧着する方法
US20200266595A1 (en) Electric Line Assembly with Direct Contacting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7016411B2 (ja) 接続領域を備えた電気装置および接続領域を作成するための方法
JP6042635B2 (ja) 電線の端末処理方法
JP2009123451A (ja) 電線と端子のスポット溶接方法
JP6383185B2 (ja) 端子化電線の製造方法及び端子化電線
CN104752936A (zh) 导线之间电连接的方法及雷管脚线的延长方法
JP5971513B2 (ja) 端子付き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001542A (ja) 端子付電線
JP5627303B2 (ja) 配索材の接合構造
CN213460161U (zh) 线缆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