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715A - 이유자돈사 - Google Patents

이유자돈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715A
KR20160054715A KR1020140153855A KR20140153855A KR20160054715A KR 20160054715 A KR20160054715 A KR 20160054715A KR 1020140153855 A KR1020140153855 A KR 1020140153855A KR 20140153855 A KR20140153855 A KR 20140153855A KR 20160054715 A KR20160054715 A KR 20160054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side air
ceiling
control signal
externa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7086B1 (ko
Inventor
이준엽
전중환
최동윤
김지향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40153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086B1/ko
Publication of KR20160054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8Construction of air inlets or outlets in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64Construction of air inlets or outlets in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이유자돈을 사육하기 위한 이유자돈사에 있어서, 창이 없이 출입구를 제외한 사방이 밀폐된 구조를 가지는 측벽; 지붕과 천장 상부판넬 사이에서 외부 공기를 일시적으로 체류시키는 밀폐된 구조의 외기 완충실; 상기 측벽 상부측에 설치되며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입기구; 상기 입기구로 유입된 외부공기를 외부 공기의 온도 차이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측벽의 내부와 외기 완충실 중 어느 하나로 공기의 흐름을 전환해 주는 입기전환장치; 상기 외기 완충실로부터 조절된 공기를 이유자돈사 내부 공간으로 보내는 천장 덕트; 및 상기 이유자돈사 내부의 순환 공기를 측벽 외부로 배출하는 중앙 배기팬을 포함하는 중앙 배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자돈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유자돈사{Weaning piglet house}
본 발명은 이유자돈을 위한 환기시스템을 포함하는 축사에 관한 것이다.
이유자돈은 어미로부터 갓 젖이 떼었기 때문에 주변환경에 상당히 예민한 상태이며 사소한 온도의 변화에도 건강상태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온도의 변화를 포함하는 환경조절의 실패는 호흡기 질병들의 빈번한 발생에 의한 자돈 폐사율이 증가하여 농가 생산성이 감소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돈사는 환기배기구의 위치와 크기, 공기흐름 속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돈사 내에서 혼합되어 배출되는 부분에서 공기의 평형과 환기가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돈사 내부의 공기를 강제배출하는 환기 방식에서는 배출되는 공기량에 따라 내부의 공기속도가 결정되어진다.
또한, 돈사 내부는 계절적인 요인으로 인해 많은 환경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데, 우리나라에서와 같이 여름철에는 고온 다습하고 겨울철에는 저온 건조한 날씨일 경우 더욱 심하다. 일교차도 10℃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날이 자주 있고, 특히 혹서기, 혹한기 및 연일 기온 편차에 의해 상기 돈사의 내부는 과도한 열과 수분이 발생하고, 부유 먼지 및 부패로 인한 악취, 가스 및 세균이 많이 발생함에 불구하고,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각종 오염물질 및 세균으로 인한 감염이 발생된다.
이러한 감염으로 매년 어린 돼지의 폐사율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돈사에는 겨울에 환풍기 겨울에 보온덮개 등을 시설하여 단열하고 돈사 내부공기를 강제 환기 및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고 있지만, 상기 시설로는 사육되는 어린 돼지에 신선한 공기 공급 및 사육에 적합하도록 제어된 환경을 만들어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까지 이유자돈사에는 출입문의 측벽 상단 및 내부측벽 또는 천정에 입기구 및 배기구를 설치하며, 돈사의 크기 즉 길이에 따라 입기구에 흡기팬과 배기구에 배기팬을 설치하여, 상기 입기구로부터 유입된 신선한 공기는 측방 또는 하방으로 분사되어 돈사 내의 순환시키고, 지붕에 설치되는 배기구를 통해서 지붕 또는 측벽에 설치된 배기팬을 통해서 측벽으로 배출하여 환기하는 환기시스템이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상기 돈사의 환기시스템은 여름철 또는 겨울철 중에서 한가지 계절에 적절할 수는 있으나, 이유자돈을 위한 균일한 온도 환경을 유지하는 데는 미흡한 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109538호(축사용 배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환기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109538호(축사용 배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환기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온도 차이가 있는 공기가 축사 내부로 직접 순환되는 것을 방지하고 청정상태를 유지하며, 내부에 균일한 공기 유동 및 환기로 계절별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이유자돈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 환경 변화를 최소화하여 만성소모성 질병 발생을 줄여 이유자돈의 육성율을 높이는 이유자돈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이유자돈을 사육하기 위한 이유자돈사에 있어서, 창이 없이 출입구를 제외한 사방이 밀폐된 구조를 가지는 측벽; 지붕과 천장 상부판넬 사이에서 외부 공기를 일시적으로 체류시키는 밀폐된 구조의 외기 완충실; 상기 측벽 상부측에 설치되며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입기구; 상기 입기구로 유입된 외부공기를 외부 공기의 온도 차이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측벽의 내부와 외기 완충실 중 어느 하나로 공기의 흐름을 전환해 주는 입기전환장치; 상기 외기 완충실로부터 조절된 공기를 이유자돈사 내부 공간으로 보내는 천장 덕트; 및 상기 이유자돈사 내부의 순환 공기를 측벽 외부로 배출하는 중앙 배기팬을 포함하는 중앙 배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자돈사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외기 완충실에는 상기 제어부의 온도제어신호에 의하여 체류공기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냉, 온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기전환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에 연동되어 외기의 흐름을 변경시키는 흐름방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외기 온도가 내부 온도와의 차이가 3℃ 이상이 되면 상기 구동장치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상기 흐름방지판을 작동하여 외기를 외기 완충실로 안내하도록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유자돈사의 바닥의 일정 구역의 유해가스 배출을 위한 바닥 배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닥 배기구의 바닥 배기팬은 상기 중앙 배기팬의 배기량의 20~ 30%의 배기량 출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기구에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는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되, 전단부에는 설치류의 출입을 방지하기 위한 철망과 오염된 공기 및 먼지를 걸러주는 항균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장덕트는 상기 천장 상부판넬 하부에 가로 질러서 설치되는 수평 덕트부와 상기 수평덕트부의 일측 끝부분은 천장 상부판넬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외기 완충실에 연결되는 입구 덕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덕트부에는 다수의 분사공이 일정 간격으로 수평 덕트부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구덕트부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흡기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공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분사공의 크기를 조절하는 가이드 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덕트부는 상기 천장 상부판넬로부터 하부측으로 0.3 ~ 0.5m 높이로 설치하고, 복수 열로 설치하되, 설치되는 수평덕트부의 열 간격은 2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 배기구와 바닥 배기구에는 내부측으로 상향 경사진 공기 유도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자돈사
또한, 상기 수평덕트부는 지름이 300m인 합성수지 재질의 원통형 또는 사각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유 자돈사 내부에 항상 온도변화를 최소화한 상태를 유지시키고 적절한 공기유동과 환기 및 항균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돈사 내부에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고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게 되어 먼지 및 악취로 인한 이유자돈의 질병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유자돈사의 환기조절 시스템에 대한 정면 배치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이유자돈사의 환기조절 시스템에 대한 측면 배치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이유자돈사의 환기조절 시스템에 입기구 상세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특정 실시 예들은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유자돈사의 환기조절 시스템에 대한 정면 배치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이유자돈사의 환기조절 시스템에 대한 측면 배치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유자돈사(100)는, 창이 없이 출입구를 제외한 사방이 밀폐된 구조를 가지는 측벽(13), 지붕(11)과 천정용 상부판넬(15) 사이에서 외부 공기를 일시적으로 체류시키는 밀폐된 구조의 외기 완충실(14), 상기 측벽 상부측에 설치되며 외부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입기구(12); 상기 입기구(12)로 유입된 외부공기를 외부 공기의 온도 차이에 따른 제어신호에 의하여 이유돈사 내부 또는 외기 완충실(14)로 공기의 흐름을 전환해 주는 입기전환장치(50); 상기 외기 완충실(14)으로부터 조절된 공기를 이유자돈사 내부로 보내는 천장 덕트(40); 및 돈사 내부 의 순환 공기를 측벽 외측으로 배출하는 중앙 배기구(30, 31)를 포함한다.
상기 입기구(12)는 전단부에 축사외부의 설치류 등의 침입을 막기 위한 철망(21)과 질병 전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염된 공기 및 먼지를 걸러주는 항균필터(2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돈사 내에는 돼지의 배설물과 호흡에 의하여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와 같은 유해가스가 발생이 되는 데, 이 들을 모두 중앙 배기구로 배출시키게 되면 상부에서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가 유해가스와 섞일 뿐 아니라, 자주 환기를 시켜야 하므로 에너지도 많이 소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 공기가 배설물에 의한 유해 가스와 혼화되는 것을 줄이고 환기에 의한 에너지 절감을 위해 바닥의 유해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위한 별도의 바닥 배기구(6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 배기구(60)는 바닥의 일정 구역의 배기만을 위한 것으로서 중앙배기구의 배기량의 20~ 30%의 배기량 출력을 가지는 배기팬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유자돈사(100)는 온도 변화를 적게 하고 온도 조절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측벽에 창이 없는 사방이 밀폐된 무창식 이유자돈사이며, 내부에는 측벽(13)과 천장용 상부판넬(15)을 구비한다.
도 3은 외기 흐름의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민감한 이유자돈을 위하여 제어부는 온도 변화를 3℃이하로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기 완충실(14)에는 냉온방기가 설치되며, 제어부는 이유 돈사의 내부 온도를 18 ~ 25℃ 사이를 유지시키며 1일 온도 변화가 3℃를 넘지 않도록 외기 완충실(14)의 온도를 조절한다,
외기는 외기 완충실(14)에서 온도가 조절되어 수평 덕트부에서 분사공(41)을 통하여 돈사 내부로 유입된다.
제어부(미도시됨)에서는 외기 온도가 내부 온도와의 차이가 3℃ 이상이 되면 상기 입기전환장치(5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외기를 외기 완충실(14)으로 안내하도록 전환시킨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됨)는 외기 온도가 내부 온도와의 차이가 3℃ 미만인 경우네는 상기 입기전환장치(5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외기가 직접 이유자돈사의 측벽 내부로 유입되도록 흐름방지판(51)을 전환시킨다.
상기 입기구(20)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는 개방된 형태로 하여 철망(21)과 항균필터(22)를 포함하고 이유자돈사(100)의 측벽(13) 상부측에 설치된다.
상기 입기전환장치(50)는 입기구(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장치인 구동모터(52)와 흐름방지판(51)을 포함한다.
상기 덕트(40)는 천장 상부판넬(15) 하부에 가로 질러서 설치되는 수평 덕트부와 덕트의 일측 끝부분은 천장 상층을 통과하도록 절곡되어 천장 상층의 외기 완충실(14)에 연결되는 입구 덕트부로 형성된다.
상기 수평 덕트부에는 다수의 분사공(41)이 일정 간격으로 수평 덕트부 하부에 형성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분사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가이드 셔터(43)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내부 공기의 상태를 감안하여 상기 분사공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입구 덕트부 내부에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외기 완충실(14)으로부터 체류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모터(4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덕트(40)는 지름이 300mm인 합성수지 재질의 원통형 또는 사각통형으로 구비한다.
상기 수평덕트부는 이유자돈사(100)의 천장용 상부판넬로부터 하부측으로 0.3 ~ 0.5m 높이로 설치하고, 또한 돈사(100)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복수 열로 설치하되, 설치되는 덕트(40)의 간격은 약 2m 간격으로 설치한다.
상기 중앙 배기구(30)는 이유자돈사(100)의 내부 혼합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되며, 상기 중앙 배기구(30, 31)는 중앙부 또는 중앙부보다 약간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며, 배기팬을 구비하여 내부의 공기를 보다 원활하게 흡입하여 배출한다.
상기 중앙 배기구(30) 및 바닥 배기구(60)는 내부측에 상향 경사진 공기 유도판(32)를 설치하여 돈사 상부 공기보다 돈사 바닥 공기가 우선적으로 순환되어 상승되는 공기를 배출한다.
상기 배기팬은 돈사(100)의 내부에서 혼합된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게 되며, 상기 배기팬은 돈사(100)의 크기에 따라 다수 개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유자돈사(100)는 측벽(13) 상부 에 설치된 입기구(20)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입기전환장치(50)에 의해 돈사 내부 또는 외기 완충실(14)으로 이동하게 조절되며, 외기 완충실(14)으로 유입된 공기는 외기 완충실(14)과 연결된 덕트(40)를 통해서 이유자돈사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덕트(40)로 유입된 공기는 이유자돈사(100)의 바닥면을 향하여 등 간격으로 천공된 분사공(41)을 통해서 분사하게 된다.
벽면에 구비된 중앙 배기구의 배기팬으로 이유자돈사(100)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여 내부의 압력을 낮추어 상기 덕트(40)로부터 많은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이유자돈사(100)의 내부 바닥면으로 골고루 분사하는 순환 방식으로 이유자돈사(100)의 내부 공기를 환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이유자돈사의 측벽 상부에 설치류 방지 철망과 항균필터를 구비한 입기구 및 상기 입기구와 연통하여 흐름조절장치를 구비하여 공기이동을 외기 온도 차이에 따라 구분하여 내부로 받아들인다.
상기 입기구를 통해 돈사 내부로 직접 입기되거나 또는 천정의 외기 완충실(14)로 입기하여 다시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를 분사공을 통해 이유자돈사의 바닥면으로 골고루 분사하여 내부공기와 혼합하고, 이 혼합된 공기는 배기팬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이유자돈사 내부의 적절한 공기유동과 환기 및 항균공기의 제공으로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먼지 및 악취로 인한 질병 발생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유자돈사는 외기 완충실에서 돈사 내부온도에 맞추어 조절된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이유자돈사 내부에 냉, 난방 등 온도조절시스템에 의하여 돈사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에 비하여 외부 환경에 따른 내부온도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11: 지붕
12: 입기구
13: 측벽
14: 외기 완충실
15: 청장용 상부판넬
30: 중앙 배기구
60: 바닥 배기구
40: 천장 덕트
41: 분사공
50: 입기전환장치
51: 흐름방지판
100: 이유자돈사

Claims (10)

  1. 이유자돈을 사육하기 위한 이유자돈사에 있어서,
    창이 없이 출입구를 제외한 사방이 밀폐된 구조를 가지는 측벽;
    지붕과 천장 상부판넬 사이에서 외부 공기를 일시적으로 체류시키는 밀폐된 구조의 외기 완충실;
    상기 측벽 상부측에 설치되며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입기구;
    상기 입기구로 유입된 외부공기를 외부 공기의 온도 차이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측벽의 내부와 외기 완충실 중 어느 하나로 공기의 흐름을 전환해 주는 입기전환장치;
    상기 외기 완충실로부터 조절된 공기를 이유자돈사 내부 공간으로 보내는 천장 덕트; 및
    상기 이유자돈사 내부의 순환 공기를 측벽 외부로 배출하는 중앙 배기팬을 포함하는 중앙 배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자돈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완충실에는 상기 제어부의 온도제어신호에 의하여 체류공기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냉, 온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자돈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기전환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에 연동되어 외기의 흐름을 변경시키는 흐름방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외기 온도가 내부 온도와의 차이가 3℃ 이상이 되면 상기 구동장치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상기 흐름방지판을 작동하여 외기를 외기 완충실로 안내하도록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자돈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유자돈사의 바닥의 일정 구역의 유해가스 배출을 위한 바닥 배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닥 배기구의 바닥 배기팬은 상기 중앙 배기팬의 배기량의 20~ 30%의 배기량 출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자돈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기구에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는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되, 전단부에는 설치류의 출입을 방지하기 위한 철망과 오염된 공기 및 먼지를 걸러주는 항균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자돈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덕트는 상기 천장 상부판넬 하부에 가로 질러서 설치되는 수평 덕트부와 상기 수평덕트부의 일측 끝부분은 천장 상부판넬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외기 완충실에 연결되는 입구 덕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덕트부에는 다수의 분사공이 일정 간격으로 수평 덕트부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자돈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덕트부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흡기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공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분사공의 크기를 조절하는 가이드 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자돈사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덕트부는 상기 천장 상부판넬로부터 하부측으로 0.3 ~ 0.5m 높이로 설치하고, 복수 열로 설치하되, 설치되는 수평덕트부의 열 간격은 2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자돈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배기구와 바닥 배기구에는 내부측으로 상향 경사진 공기 유도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자돈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덕트부는 지름이 300m인 합성수지 재질의 원통형 또는 사각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자돈사
KR1020140153855A 2014-11-06 2014-11-06 이유자돈사 KR101677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855A KR101677086B1 (ko) 2014-11-06 2014-11-06 이유자돈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855A KR101677086B1 (ko) 2014-11-06 2014-11-06 이유자돈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715A true KR20160054715A (ko) 2016-05-17
KR101677086B1 KR101677086B1 (ko) 2016-11-18

Family

ID=56109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855A KR101677086B1 (ko) 2014-11-06 2014-11-06 이유자돈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08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69798A (zh) * 2016-07-29 2016-11-09 牧原食品股份有限公司 透光保温节能环保猪舍
CN107278918A (zh) * 2017-07-31 2017-10-24 谢然 一种畜牧圈用通风装置
KR20180054968A (ko) 2016-11-14 2018-05-2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사양장치 정보를 활용한 이유자돈사 환경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CN108184692A (zh) * 2018-01-14 2018-06-22 佛山市辉华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保持空气流通的猪舍
CN110199907A (zh) * 2018-09-26 2019-09-06 刘雅雯 养鸡场房结构
CN111567413A (zh) * 2020-06-10 2020-08-25 南宁学院 一种猪舍空气杀菌净化系统
CN112878568A (zh) * 2021-03-02 2021-06-01 陈妙春 一种环保建筑通风楼板
KR102284287B1 (ko) * 2021-01-12 2021-08-02 유한회사 이룸산업 열대류현상을 이용한 고효율 히팅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3982A (zh) * 2018-01-26 2019-08-02 中国农业科学院北京畜牧兽医研究所 鸡舍通风导向器
KR20200109078A (ko) 2019-03-12 2020-09-22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이유자돈 포유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293B1 (ko) * 1995-07-27 1998-10-01 박상은 양돈사의 환기와 분뇨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291854B1 (ko) * 1999-03-09 2001-06-01 최홍림 무창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
KR200441134Y1 (ko) * 2007-04-27 2008-07-28 김정한 축사의 배기 및 환기장치
KR100872311B1 (ko) * 2007-07-12 2008-12-09 신기원 축사 자동환기시스템
KR20140109538A (ko) 2013-02-28 2014-09-16 고상수 축사용 배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환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293B1 (ko) * 1995-07-27 1998-10-01 박상은 양돈사의 환기와 분뇨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291854B1 (ko) * 1999-03-09 2001-06-01 최홍림 무창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
KR200441134Y1 (ko) * 2007-04-27 2008-07-28 김정한 축사의 배기 및 환기장치
KR100872311B1 (ko) * 2007-07-12 2008-12-09 신기원 축사 자동환기시스템
KR20140109538A (ko) 2013-02-28 2014-09-16 고상수 축사용 배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환기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69798A (zh) * 2016-07-29 2016-11-09 牧原食品股份有限公司 透光保温节能环保猪舍
KR20180054968A (ko) 2016-11-14 2018-05-2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사양장치 정보를 활용한 이유자돈사 환경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CN107278918A (zh) * 2017-07-31 2017-10-24 谢然 一种畜牧圈用通风装置
CN108184692A (zh) * 2018-01-14 2018-06-22 佛山市辉华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保持空气流通的猪舍
CN110199907A (zh) * 2018-09-26 2019-09-06 刘雅雯 养鸡场房结构
CN111567413A (zh) * 2020-06-10 2020-08-25 南宁学院 一种猪舍空气杀菌净化系统
KR102284287B1 (ko) * 2021-01-12 2021-08-02 유한회사 이룸산업 열대류현상을 이용한 고효율 히팅 시스템
CN112878568A (zh) * 2021-03-02 2021-06-01 陈妙春 一种环保建筑通风楼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086B1 (ko) 2016-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086B1 (ko) 이유자돈사
US8635974B2 (en) Individual room duct and ventilation system for livestock production building
US11209185B2 (en) Ventilation and dry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186045B1 (ko) 축사출입용 인체 살균장치
KR101118280B1 (ko) 축사 환기장치의 탈진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05794681A (zh) 一种密闭式通风饲养舍
CN205756230U (zh) 一种密闭式通风饲养舍
KR101876955B1 (ko) 가금류용 공조시스템
KR20120041031A (ko)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200441134Y1 (ko) 축사의 배기 및 환기장치
KR200472071Y1 (ko) 미래형 우사
CN205912711U (zh) 一种智能化育蝇房
CN107278959B (zh) 一种正压通风大棚鸡舍
US20220381458A1 (en) Method for mitigating airborne pathogens from a livestock house
CN208175759U (zh) 一种用于优质肉鸡的育雏舍
KR102556633B1 (ko)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
KR101784653B1 (ko) 방역 축사
KR20040019412A (ko) 이유기의 가축 사육을 위한 축사
KR200435128Y1 (ko)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
CN106070070A (zh) 一种新型育蝇房
JP5606716B2 (ja) 実験動物用飼育ケージ換気システム
CN205902669U (zh) 一种新型育蝇房
EP4098107A1 (en) Livestock house air filtration system
EP4098106A1 (en) A method for mitigating airborne pathogens from a livestock house
KR200285865Y1 (ko) 자돈용 인큐베이터의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