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128Y1 -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128Y1
KR200435128Y1 KR2020060020466U KR20060020466U KR200435128Y1 KR 200435128 Y1 KR200435128 Y1 KR 200435128Y1 KR 2020060020466 U KR2020060020466 U KR 2020060020466U KR 20060020466 U KR20060020466 U KR 20060020466U KR 200435128 Y1 KR200435128 Y1 KR 2004351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umidity
air inlet
exhaust fan
b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4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균
Original Assignee
이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균 filed Critical 이영균
Priority to KR2020060020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1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1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1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64Construction of air inlets or outlets i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돼지, 닭, 소 등의 가축이 사육되는 축사(畜舍)의 습도 및 공기유입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축사의 일측에 배기팬이 설치되고, 타측 개구부에 배기팬의 배출압력에 따라 외부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유입부가 설치되며, 공기유입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육실 내부의 습도량에 따라 물이 분사되는 분사노즐로 이루어져 축사의 습도조절 및 공기유입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배기팬의 작동시 축사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강제 배출되는 동시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공기유입부를 통해 흡입되어 환기가 이루어지되, 배기팬의 배출압력에 따라 외부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축사 내부의 오염도와 온도 등에 따라 알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유입부의 일측에 분사노즐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물 분사시 배기팬의 배출압력을 통해 물이 축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사육실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가축의 사육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축사, 사육실, 공기유입부, 배기팬

Description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An automatic humidity and air indraft contol unit for cattle sh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전체적인 개략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의 공기유입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의 공기유입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의 공기유입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축사 12 : 사육실
13 : 개구부 20 : 배기팬
30 : 공기유입부 31 : 보강프레임
32 : 커버 32a : 흡입구
32b : 볼트 33 : 댐퍼
34 : 탄성체 34a : 볼트
40 : 분사노즐 41 : 연결호스
42 : 지지브라켓 42a : 볼트
본 고안은 돼지, 닭, 소 등의 가축이 사육되는 축사(畜舍)의 습도 및 공기유입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축사의 일측에 배기팬을 설치하고, 타측에 공기유입부를 설치함으로써, 배기팬의 작동시 축사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강제 배출되는 동시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공기유입부를 통해 흡입되어 환기가 이루어지되, 배기팬의 배출압력에 따라 외부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축사 내부의 오염도와 온도 등에 따라 알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유입부의 일측에 분사노즐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물 분사시 배기팬의 배출압력을 통해 물이 축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사육실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가축의 사육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된 축사 내부에는 이산화탄소가 증가되고 가축의 분뇨 등으로 공기오염도가 극심하여 가축의 생육환경을 저해하게 된다.
더욱이 분뇨는 암모니아 등의 악취물질을 많이 발생시키며, 또한 가축의 움 직임과 사료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먼지로 인해 축사 내의 공기 오염도가 심각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암모니아와 먼지는 감기 등의 호흡기 질환을 유발시켜 가축의 성장발육을 저해시킬 뿐만 아니라, 가축 폐사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축사의 창문이 없는 무창돈 축사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축사 내의 공기 오염도는 더욱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오염된 축사 내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켜 축사 내부를 환기시켜야 했다.
종래에도 축사 내의 공기를 환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환기방법의 일환으로 축사의 일측에 배기팬을 설치하고 타측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배기팬을 작동시켜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키고, 개구부를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환기장치는 단순히 배기팬을 이용하여 사육실 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개구부를 통해 외부 공기가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오염된 공기는 배기팬을 통해 외부로 어느 정도 배출되되, 외부공기가 제대로 유입되지 않아 오염된 공기를 완전히 배출시키지 못함으로써, 환기가 원할히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사육실의 습도가 높거나 또는 낮을 경우, 습도를 알맞게 조절하기 위한 아무런 장치가 없는 등, 가축 사육에 따른 환경이 제대로 갖춰지지 못함으로써 가축의 발육이 저하되고, 잔병치레를 많이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계절에 따라 사육실 내에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다수개의 에어컨과 난방 용품을 구입해야 했음으로 가축 사육에 따른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써, 축사의 일측에 배기팬을 설치하고, 타측에 공기유입부를 설치함으로써, 배기팬의 작동시 축사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강제 배출되는 동시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공기유입부를 통해 흡입되어 환기가 이루어지되, 배기팬의 배출압력에 따라 외부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축사 내부의 오염도와 온도 등에 따라 알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유입부의 일측에 분사노즐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물 분사시 배기팬의 배출압력을 통해 물이 축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사육실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어 가축의 사육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가축이 건강하게 사육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양질의 가축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은 비용으로 축사 내에 악취를 제거하거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축사의 일측에 설치된 배기팬과; 축사의 타측 개구부에 설치되어 배기팬의 배출압력에 따라 외부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유입부와; 공기유입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육실 내부의 습도량에 따라 물이 분사되는 분사노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축사는 돼지가 사육되는 돈사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전체적인 개략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의 공기유입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의 공기유입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의 공기유입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본 고안에 따른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는 축사(10)의 일측 벽면에 배기팬(20)이 설치되고, 타측 벽면의 개구부(13)에 설치되어 배기팬(20)의 배출압력에 따라 외부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유입부(30)와, 상기 공기유입부(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육실(12) 내부의 습도량에 따라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노즐(40)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돼지가 사육되어 질 수 있도록 축사(10) 내부에 사육실(12)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사육실(12) 일측 벽면에 배기팬(20)이 설치되고, 타측 벽면의 개구부(13)에 공기유입부(3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배기팬(20)은 사육실(12)의 크기에 비례하여 다수개가 구비되고 일측 벽면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공기유입부(30)는 개구부(13)의 벽면을 따라 단면부가 "∪" 형태의 보강프레임(31)이 고정·설치되고, 외측 상부의 보강프레임(31)에 볼트(32b)결합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하부에 흡입구(32a)를 갖는 커버(32)와, 상기 개구부(13)의 양측 벽면에 힌지축(33a)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내측으로 소정각도의 기울기를 갖는 댐퍼(33)와, 상기 커버(32)의 내측과 이에 대향되는 댐퍼(33)의 일측에 고정 연결되는 탄성체(34)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탄성체(34)는 배기팬(20)의 배출압력에 따라 댐퍼(33)의 기울기를 달리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스프링의 양단에는 볼트(34a)가 구비되어 커버(32)와 댐퍼(33)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입부(30)는 배기팬(20)과 마찬가지로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커버(32)의 외측 하부에는 사육실 내부의 습도량에 따라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노즐(40)이 설치되되, 하나의 공기유입부(30)에 하나씩 설치되고, 각각의 분사노즐(40)은 연결호스(41)를 통해 연결되며, 연결호스(41)의 끝단은 물탱크(미도시)에 연결·설치된다.
이때, 상기 커버(32)에 분사노즐(4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호스(41)에 지지브라켓(42)이 끼워져 커버(32)에 볼트(42a)결합된다.
그리고, 분사노즐(40)의 분사구(미도시)는 지면을 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축사(10)의 일측에는 시스템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사육실(12) 내의 오염도, 온도, 습도 등을 감지하여 배기팬(20)과 분사노즐(40)을 자동으로 작 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고안에 따른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는, 축사(10)의 사육실(12) 내부에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원할하게 유입시킬 수 있으며, 또한 습도량을 알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돼지의 사육환경을 최적화한 것이다.
밀폐된 축사(10) 내부에 돼지 분료 등으로 이산화탄소와 암모니아 등과 같은 악취물질과, 돼지의 움직임 또는 사료를 뿌려줄 때 먼지가 발생하게 되면, 축사(10) 내의 공기 오염도를 실시간 자동으로 감지하는 시스템 제어부(미도시)에서 이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공기 오염도를 감지하여 배기팬(20)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신호를 받은 배기팬(20)은 작동하면서 사육실(12)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배기팬(20)은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데 있어서 발생되는 배출압력으로 인해 공기유입부(30)를 통해 평소보다 많은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댐퍼(33)는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프레임(31)에 고정 설치된 커버(32)와 탄성체(34)를 통해 연결된 것으로, 평상시에는 흡입구(32a)를 통해 자연스럽게 유입된 외부공기가 개구부(13)를 통해 사육실(12)에 유입될 수 있도록 내측을 향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배기팬(20)이 작동하면 배기팬(20)의 배출압력으로 인해 탄성체(34)가 늘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댐퍼(33)는 힌지축(33a)을 중심으로 내측을 향해 더 기울어지게 되어 사육실(12)로 통하는 공간도 더 넓게 이루어지므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평소보다 많이 유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공기 오염도가 높게 나타나면 배기팬(20)을 강하게 돌려 댐퍼(33)가 내측으로 많이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많은 양의 외부 공기를 신속하게 유입시킬 수 있으며, 또한 공기 오염도가 적게 나타나면 배기팬(20)을 약하게 돌려 댐퍼(33)의 기울기를 작게 함으로써 적은 양의 외부 공기가 천천히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사육실(12) 내부 오염도에 따라 배기팬(20)의 배출압력을 조절하여 외부 공기의 양을 알맞게 유입시킬 수 있는 것으로 오염된 공기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33)는 배기팬(20)의 배출압력에 따라 힌지축(33a)을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동가능하도록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기팬(20)은 사육실(12) 내부 오염도뿐만 아니라, 정해진 온도에서 벗어나도 작동되는 것으로 공기유입량에 따라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커버(32)에 설치된 분사노즐(40)은 사육실(12) 내부의 습도량에 따라 분사구(미도시)를 통해 물을 분사시키는 것으로, 상기 배기팬(20)이 작동하면 배출압력으로 인해 외부 공기가 사육실(12) 내부로 유입되는 동시에 분사노즐(40)에서 분사되는 물도 함께 유입되어 내부의 습도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대량으로 사육되는 돼지의 생육조건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분사노즐(40)은 습도가 높을 경우 또는 낮을 경우에 알맞도록 물의 양을 조절하여 분사시키게 된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시스템 제어부는 축사(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육실(12) 내부의 오염도, 온도, 습도 등을 감지하여 배기팬(20)을 작동시키거나 분사노즐(40)을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축사는 돼지를 사육하는 돈사에 한정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돈사 외에도 닭을 사육하는 양계장, 소를 사육하는 우사 등과 같이 가축이 사육되는 곳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는, 축사의 일측에 배기팬을 설치하고, 타측에 공기유입부를 설치함으로써, 배기팬의 작동시 축사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강제 배출되는 동시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공기유입부를 통해 흡입되어 환기가 이루어지되, 배기팬의 배출압력에 따라 외부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축사 내부의 오염도와 온도 등에 따라 알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유입부의 일측에 분사노즐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물 분사시 배기팬의 배출압력을 통해 물이 축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사육실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어 돼지, 닭, 소등의 가축사육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가축이 건강하게 사육될 수 있고, 이로 인 해 양질의 가축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공기 유입부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적은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양돈가에게 경제적 이득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축사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고, 타측에 설치된 배기팬을 통해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환기시키는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에 있어서,
    개구부(13)의 벽면을 따라 단면부가 "∪" 형태의 보강프레임(31)이 고정·설치되고, 외측 상부의 보강프레임(31)에 설치되어 하부에 흡입구(32a)를 갖는 커버(32)와;
    개구부(13)의 양측 벽면에 힌지축(33a)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으로 소정각도의 기울기를 갖는 댐퍼(33)와, 상기 커버(32)와 댐퍼(33)를 연결하는 탄성체(34)로 이루어진 공기유입부(30)와;
    공기유입부(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축사(10) 내부의 습도량에 따라 물이 분사되는 분사노즐(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탄성체(34)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의 습도 및 공
    기유입 자동조절장치.
KR2020060020466U 2006-07-28 2006-07-28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 KR2004351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466U KR200435128Y1 (ko) 2006-07-28 2006-07-28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466U KR200435128Y1 (ko) 2006-07-28 2006-07-28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128Y1 true KR200435128Y1 (ko) 2007-01-09

Family

ID=41558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466U KR200435128Y1 (ko) 2006-07-28 2006-07-28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1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620Y1 (ko) 2013-05-23 2014-05-13 고상수 돈사용 입기창
CN110074009A (zh) * 2019-05-17 2019-08-02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鹌鹑养殖用具有恒温恒湿功能的养殖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620Y1 (ko) 2013-05-23 2014-05-13 고상수 돈사용 입기창
CN110074009A (zh) * 2019-05-17 2019-08-02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鹌鹑养殖用具有恒温恒湿功能的养殖室
CN110074009B (zh) * 2019-05-17 2024-05-17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鹌鹑养殖用具有恒温恒湿功能的养殖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086B1 (ko) 이유자돈사
KR101137965B1 (ko) 돈사의 환기시스템
CN205756230U (zh) 一种密闭式通风饲养舍
KR101118280B1 (ko) 축사 환기장치의 탈진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208047731U (zh) 一种雏鸭养殖系统
KR101644336B1 (ko) 계사 내부의 환기 및 온도 조절 장치
KR200441134Y1 (ko) 축사의 배기 및 환기장치
KR20140109538A (ko) 축사용 배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환기 시스템
KR200431228Y1 (ko) 공기순환장치
KR200435128Y1 (ko)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
CN205912711U (zh) 一种智能化育蝇房
KR102030177B1 (ko) 축사 지붕 설치용 탈취장치
KR20180001393A (ko) 친환경 축사 환기시스템
CN105830673A (zh) 内环流控温、调质、熏蒸三合一系统及工艺
KR200443163Y1 (ko) 컨테이너형 축사의 배기 및 환기장치
KR100824348B1 (ko) 무균 미니돼지용 인큐베이터
KR20060120348A (ko) 분만사의 환기시스템
CN205431425U (zh) 一种具有生态空气环境的圈舍通风系统
KR100799372B1 (ko) 돈사용 가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경제어시스템
CN105766660A (zh) 一种具有生态空气环境的圈舍通风系统
JP2008144993A (ja) 建屋における室内空気の換気及び/又は循環方法と、その装置
US20220378007A1 (en) Livestock house air filtration system
CN209135069U (zh) 畜牧养殖用多方位通风的畜牧舍
CN212116593U (zh) 一种方便养殖空间的空气流动的装置
KR20020012085A (ko)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