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1854B1 - 무창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무창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854B1
KR100291854B1 KR1019990007721A KR19990007721A KR100291854B1 KR 100291854 B1 KR100291854 B1 KR 100291854B1 KR 1019990007721 A KR1019990007721 A KR 1019990007721A KR 19990007721 A KR19990007721 A KR 19990007721A KR 100291854 B1 KR100291854 B1 KR 100291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let
wall
cold
opening
clo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9840A (ko
Inventor
최홍림
Original Assignee
최홍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홍림 filed Critical 최홍림
Priority to KR1019990007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1854B1/ko
Publication of KR20000059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8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64Construction of air inlets or outlets in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창(無窓)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무창 돈사는 내부벽면(16)의 하단에 마련되는 내부개폐판재(20)가 어느 한쪽끝단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개방되느냐에 따라 돈사 실내공간의 공기유동형태가 결정되므로 내부개폐판재(20)의 힌지 포인트가 한번 설치되면 그 설치위치의 변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혹한기와 혹서기 모두를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벽면(16)의 양쪽에는 외부공기가 외부벽면(18) 하단부분의 스크린 망(18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유입구멍(162)과, 지붕(141)과 천정(142)사이의 다락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유입구멍(186)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벽면(16)의 하단에 상기 공기유입구멍(162,186)을 제각기 개폐 가능한 제1,2내부개폐판재(20a,20b)가 마련되어 혹서기나 혹한기에 적합하게 변경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항시 돈사의 최적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무창 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창 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Air inflow system to be used in a pigsty without window}
본 발명은 무창 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혹한기와 혹서기에 외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2개의 내부개폐판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항시 쾌적한 돈사의 최적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무창 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육돈사는 주로 바람에 의한 자연환기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특히 무창 돈사에서 실내환경은 흡입공기 구멍의 위치 및 형태에 따라 공기속도 및 공기유동형태가 결정된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무창 돈사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한 면적을 갖도록 장방형으로 슬랫콘크리트 바닥(10)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바닥(10)의 4변에는 일정한 높이의 분리벽면(12)이 세워져 있으며 이 분리벽면(12)의 상단에는 중간부분이 뾰족한 양쪽 지붕형의 지붕골조(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랫콘크리트 바닥(10)에는 중앙의 복도를 기준으로 하여 양쪽으로 돼지가 기거하는 각각의 돈방(11)이 배열되어 있다.
상기 지붕골조(14)의 상면은 단열재로 된 지붕(141)이 분리벽면(12)보다 길게 외부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지붕골조(14)의 하단은 평탄한 단열재로 천정(14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분리벽면(12)의 상단부분에는 돈사 내부로 외부공기의 유입을 위한 공기유입제어장치를 마련하되, 적어도 1변 이상의 분리벽면(12)에 마련하여야 한다. 상기 공기유입제어장치는 분리벽면(12)의 내/외부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평행하게 지붕(141)으로부터 내/외부벽면(16,18)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내/외부벽면(16, 18)의 하단에는 분리벽면(12) 하단의 공기유입구(182,162)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내/외부개폐판재(20,22)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내/외부개폐판재(20,22)는 그 끝단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부개폐판재(20)는 도 1b와 같이 설계에 따라 분리벽면(12)측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되게 마련할 수 있으며, 상기 내/외부개폐판재(16,18)는 그 끝단에 와이어(도시되지 않음)를 연결하여 잡아당겨 매어두는 방법으로 고정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무창 돈사 중에서 도 1a와 같은 돈사는 외부벽면(18) 하단의 외부개폐판재(22)를 개방하고 내부벽면(16)의 하단에 마련된 내부개폐판재(20)를 개방함으로써 찬 외부공기가 돈사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렇게 돈사 내부로 유입되는 찬 외부공기는 외부개폐판재(22)가 개방된 외부벽면(18)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들어가 내부벽면(16)과 그 하단의 내부개폐 판재(20)를 통해 돈사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렇게 돈사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내부개폐판재(20)에 따라 분리벽면(12)을 타고 내려가 각 돈방(11)을 거쳐 상부로 올라가는 공기유동형태를 갖는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분리벽면(12)을 타고 내려오는 찬 외부공기가 돼지의 체고에 바로 닿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돼지의 체온저하를 유도할 수 있어 이러한 무창 돈사는 혹서기(여름)의 경우에 적합하다.
또, 도 1b와 같은 무창 돈사는 외부벽면(18) 하단의 외부개폐판재(22)를 개방하고 내부벽면(16)의 하단에 마련된 내부개폐판재(20)를 개방함으로써 찬 외부공기가 돈사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렇게 돈사 내부로 유입되는 찬 외부공기는 외부개폐판재(22)가 개방된 외부벽면(18)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들어가 내부벽면 (16)과 그 하단의 내부개폐판재(20)를 통해 안내되어 돈사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렇게 돈사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내부개폐판재(20)에 따라 천정(142)을 따라 돈사의 실내공간으로 유동될 때 실내의 기존공기와 혼합되어 데워짐으로써 돼지의 체고에 닿을 때는 어느 정도 데워져 체온감소를 느낄 수 없는 정도로 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혹한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이러한 무창 돈사에 있어서는 내부벽면(16)의 하단에 마련되는 내부개폐판재(20)가 어느 한쪽끝단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개방되느냐에 따라 돈사 실내공간의 공기유동형태가 결정되는 것이나, 이러한 공기유동형태의 결정은 내부개폐판재(20)의 힌지 포인트가 한번 설치되면 그 설치위치의 변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혹한기와 혹서기 모두를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외부벽면(18)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분리벽면(12)을 타고 내려오는 돈사는 혹한기(겨울)에 찬 외부공기가 바로 돼지의 체고에 직접적으로 닿을 수 있기 때문에 냉기류에 의한 냉해로 성장발육을 저하시키고, 이와 반대로 외부벽면(18)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돈사의 천정(142)을 따라 돈사의 안쪽으로 유동되다가 하부로 내려오는 돈사는 혹서기(여름)에 뜨거운 공기가 돼지의 체고에 닿기 때문에 열해로 인한 성장발육을 저하시키는 것이었으며, 이로 인하여 돈사의 내부개폐판재(20)에 따라 혹한기나 혹서기중 어느 한 계절엔 급격하게 생산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제반 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돈사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유동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내부벽면의 하단에 제1,2내부개폐판재를 마련하여 혹서기나 혹한기에 적합하게 변경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항시 돈사의 최적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무창 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무창 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창 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를 나타낸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제1,2내부개폐판재의 제어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혹한기와 혹서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슬랫콘크리트 바닥 11: 돈방
12: 분리벽면 14: 지붕골조
16: 내부벽면 18: 외부벽면
20: 개폐판재 20a: 제1내부개폐판재
20b: 제2내부개폐판재 22: 외부개폐판재
24: 와이어 26a,26b: 모터
27a,27b: 드럼 162,182: 공기유입구멍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리벽면의 상단에 마련되며 상단에 지붕이 형성되고 하단에 천정이 형성되어 다락공간을 갖는 지붕골조; 상기 분리벽면의 내/외부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지붕으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내/외부벽면; 상기 내부개폐판재의 하단에 마련되며 외부공기의 유입을 제어하는 개폐판재;가 구비된 무창 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벽면의 양쪽에는 외부공기가 외부벽면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유입구와, 지붕과 천정 사이의 다락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벽면의 하단에 상기 공기유입구를 제각기 개폐 가능한 제1,2내부개폐판재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창 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에 있다.
상기 제1,2내부개폐판재는 그 끝단에 와이어의 한쪽끝단이 연결되고 다른 끝단은 상기 와이어가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감겨지고 풀려지도록 모터의 드럼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창 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에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들이 보다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창 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를 나타낸 구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제1,2내부개폐판재의 제어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혹한기와 혹서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벽면(12)의 내/외부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평행하게 지붕(141)으로부터 내/외부벽면(16,18)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벽면(16)의 하단부분에 형성되는 공기유통구(182)에는 통풍 가능한 스크린 망(18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벽면(16)의 양쪽에는 외부공기가 외부벽면(18)의 스크린 망(18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62)와, 지붕(141)과 천정(142) 사이의 내부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86)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내부벽면(16)의 하단에는 외부벽면(18)측의 스크린 망(184) 또는 지붕골조(14)의 다락공간과 유통된 분리벽면(12) 양쪽의 공기유입구(162,186)를 폐쇄시키는 제1,2 내부개폐판재(20a,20b)가 한쪽끝단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2내부개폐판재(20a,20b)는 그 끝단에 와이어(24)의 한쪽끝단이 연결되고 다른 끝단은 상기 와이어(24)가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감겨지고 풀려지도록 모터(26a,26b)의 드럼(27a,27b)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모터(26a,26b)는 작업자가 닿는 위치의 분리벽면(12)에 이르기까지 연장된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조작된다.
상기 제1,2내부개폐판재(20a,20b)의 끝단에 연결된 와이어(24)는 모터(26a, 26b)로 감고 풀어주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여타의 다른 기구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며, 예를 들어 래칫(Ratchet) 구동기구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창 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는 날씨가 덥고 습하여 불쾌지수가 높은 혹서기의 경우 돈사의 분리벽면(12)에 마련되는 모터(26a)를 작동용 스위치를 온(on)시키면 모터(26a)가 작동되면서 와이어(24)를 풀어줌으로써 내부벽면(16) 하단의 제1내부개폐판재(20a)를 개방시킨다. 이때, 제2내부개폐판재(20b)는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내부벽면(16) 하단의 제1내부개폐판재(20a)가 개방되면 외부벽면(18) 하단의 스크린 망(184)을 통해 외부벽면(18)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들어가 내부벽면(16)과 그 하단의 제1내부개폐판재(20a)를 통해 돈사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렇게 돈사의 내부로 유입된 찬 외부공기는 제1내부개폐판재(20a)에 따라 분리벽면(12)을 타고 내려가 각 돈방(11)을 거쳐 상부로 올라가는 공기유동형태를 갖는다. 다시 말해서, 분리벽면(12)을 타고 내려오는 찬 외부공기가 돼지의 체고에 바로 닿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돼지의 체온저하를 유도할 수 있어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날씨가 춥고 차가운 혹한기에는 도 4b와 같이 내부벽면(16) 하단의 제1내부개폐판재(20a)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돈사의 분리벽면(12)에 마련되는 모터(20b)를 작동용 스위치를 온(on)시키면 모터(20b)가 작동되면서 와이어(24)를 풀어줌으로써 내부벽면(16) 하단의 제2내부개폐판재(20b)를 개방시킨다.
이와 같이 내부벽면(16) 하단의 제2내부개폐판재(20b)가 개방되면 지붕골조(14)의 한쪽끝단의 공기유입구(도시되지 않았음)를 통해 유입되어 지붕골조(14)내에 잔류하는 외부공기는 돈사에서 발생되는 자체의 열과 태양열에 의해 외부공기의 온도보다 대략 2℃정도 높다. 이렇게 외부공기보다 2℃가량이 따뜻한 온도의 외부공기는 내부벽면(16)과 그 하단의 제2내부개폐판재(20b)를 통해 돈사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렇게 돈사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제2내부개폐판재(20b)에 의해 천정(142)을 따라 돈사의 실내공간으로 유동될 때 실내의 기존공기와 혼합되어 데워되게 되고 돼지의 체고에 닿을 때는 어느 정도 데워져 체온감소를 느낄 수 없는 정도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무창 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는 외부기온, 즉 계절(혹한기와 혹서기)에 따라 제1,2내부개폐판재(20a,20b)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항시 돈사의 최적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돼지의 성장발육저하 및 생산량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창 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는 돈사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유동형태가 내부개폐판재의 개폐방향에 의해 정해져 있는 종래의 공기유입제어장치와는 달리 외부공기의 유동형태를 내부벽면 하단의 제1,2내부 개폐판재로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혹서기나 혹한기에 적합한 공기유동형태로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항시 돈사의 최적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분리벽면(12)의 상단에 마련되며 상단에 지붕(141)이 형성되고 하단에 천정(142)이 형성되어 다락공간을 갖는 지붕골조(14); 상기 분리벽면(12)의 내/외부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지붕(141)으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내/외부벽면 (16,18); 상기 내부벽면(16)의 하단에 마련되며 외부공기의 유입을 제어하는 개폐판재;가 구비된 무창 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벽면(16)의 양쪽에는 외부공기가 외부벽면(18) 하단부분의 스크린 망(18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62)와, 지붕(141)과 천정(142)사이의 다락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86)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벽면(16)의 하단에 상기 공기유입구(162,186)를 제각기 개폐 가능한 제1,2내부개폐판재(20a,20b)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창 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내부개폐판재(20a,20b)는 그 끝단에 와이어(24)의 한쪽끝단이 연결되고 다른 끝단은 상기 와이어(24)가 모터(26a,26b)의 회전방향에 따라 감겨지고 풀려지도록 모터(26a,26b)의 드럼(27A,27B)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창 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
KR1019990007721A 1999-03-09 1999-03-09 무창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 KR100291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721A KR100291854B1 (ko) 1999-03-09 1999-03-09 무창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721A KR100291854B1 (ko) 1999-03-09 1999-03-09 무창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840A KR20000059840A (ko) 2000-10-05
KR100291854B1 true KR100291854B1 (ko) 2001-06-01

Family

ID=19575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721A KR100291854B1 (ko) 1999-03-09 1999-03-09 무창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18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715A (ko) * 2014-11-06 2016-05-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이유자돈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715A (ko) * 2014-11-06 2016-05-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이유자돈사
KR101677086B1 (ko) * 2014-11-06 2016-11-18 대한민국 이유자돈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840A (ko)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1864A (en) Thermally insulated building and a building panel therefor
KR100291854B1 (ko) 무창돈사의 공기유입제어장치
JPS62194346A (ja) 二重通気層を有する建築構造
JP2001311232A (ja) 温湿度調整機能付き住宅
JP2005273970A (ja) 建物空調システム
JP4638831B2 (ja) 床暖房システム
JP2565742Y2 (ja) 蓄冷熱部材を有する建築物
JP2007092323A (ja) 通気外皮を有する屋根構造および通気外皮を有する屋根構造を備えた建築物
JPH07107294B2 (ja) 家屋の通気装置
JPH0610423A (ja) パネル式建築物における外壁工法
KR101590723B1 (ko) 수직통풍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구조
JP4743942B2 (ja) 吹抜部屋の通風構造
JPH08260585A (ja) 家屋の断熱通気構造
JP7343465B2 (ja) 建造物
Aggerholm Control of hybrid ventilation systems
JP2875166B2 (ja) 断熱構造建物及び建築用パネル
JPH017784Y2 (ko)
JPS6038826Y2 (ja) 天窓および屋根小屋裏空間ならびに居住空間の換気装置
JP3030247B2 (ja) コンクリート住宅の通気構造
JPS6339307Y2 (ko)
CN117926964A (zh) 一种屋顶结构
JP4526678B2 (ja) 棟換気装置
JPS6375234A (ja) 家屋
JP2004162932A (ja) 木造住宅に於ける床下調湿を利用した空調システム
JPH051802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