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633B1 -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 - Google Patents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633B1
KR102556633B1 KR1020210006595A KR20210006595A KR102556633B1 KR 102556633 B1 KR102556633 B1 KR 102556633B1 KR 1020210006595 A KR1020210006595 A KR 1020210006595A KR 20210006595 A KR20210006595 A KR 20210006595A KR 102556633 B1 KR102556633 B1 KR 102556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n
pit
ventilation
outside air
p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183A (ko
Inventor
박호인
Original Assignee
박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인 filed Critical 박호인
Priority to KR1020210006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633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6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64Construction of air inlets or outlets i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8Construction of air inlets or outlets in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46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by means of manure-loaders, manure-ramps or manure-elevators associated with in-house remova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1Grids; Gratings; Slatted flo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7/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 G01G17/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for weighing fluids, e.g. gases, pas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01N27/12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of the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4Sulphides, e.g. H2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54Ammon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돼지를 사육하는 양돈 축사 내 환기 처리를 위한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축사의 바닥면 하측에 형성되는 지하채널로서, 중앙에 형성되어 외기를 유입 및 축사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외기유입공급채널부와 상기 외기유입공급채널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분뇨를 처리하기 위한 슬러리피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기유입채널부는 중앙공급피트와 상기 중앙공급피트의 양측에 위치하는 외기유입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공급피트의 상면과 상기 외기유입피트의 내측면에 각각 슬리트홀을 형성하여 상기 외기유입피트로부터 외부공기를 유입한 후 상기 중앙공급피트를 통해 상측 방향으로 공급하여 돼지의 사육공간인 축사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축사의 길이방향 측 양측면 외벽에 입기창을 각각 형성하되, 상기 입기창을 통과한 외부공기가 지하채널의 외기유입피트로 유입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축사의 천정에는 하나 이상의 배기창을 형성하여 축사의 내부공기를 배기 처리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슬러리피트부의 상면은 축사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슬리트홀을 갖는 그레이팅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그레이팅부재는 플라스틱재, 금속재, 세라믹재, 콘크리트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1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채널과 환기컨트롤러를 접목하는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를 제공함으로써 지하채널을 이용한 자연 환기 또는 환기컨트롤러를 이용한 강제 환기를 수행하는 등 기존에 비해 돼지를 사육하는 양돈 축사 내 환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지하채널과 환기컨트롤러를 접목한 환기시스템을 통해 비돈사나 자돈사 등 돼지 사육에 따른 최적의 성장환경을 구현할 수 있고 축사 내 환기를 효율적으로 컨트롤 및 관리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STABLE FOR PIG FARMING WITH VENTILATION SYSTEM}
본 발명은 양돈(養豚) 축사(畜舍)용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채널 구조와 환기컨트롤러를 접목하는 환기시스템을 제공토록 하며, 특히 비돈사나 자돈사 등의 최적의 성장환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환기를 효율적으로 컨트롤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돼지를 사육하는 양돈 축사 내 환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를 기르는 돈사(豚舍) 등을 비롯한 축사(畜舍)는 가축관리의 능률화와 더불어 자연의 기상(氣象)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하는 기능을 위한 사육시설이다.
이에 따라, 축사의 요건은 위치, 방향, 통풍, 채광, 환기, 및 보온이 양호하고 사료주기나 청소 및 위생관리에 적절한 설비가 갖추어져야 한다.
이러한 축사는 구조상 외기(外氣)와 사내(舍內)와의 차단 정도에 따라 개방식과 밀폐식으로 구별되는데, 축사 내 환경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4계절의 기후가 뚜렷한 특징을 갖는 지형으로서, 4계절의 기온 변화가 심하고 밤낮의 온도차가 많이 나타나므로 축사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축사의 내부는 온도뿐만 아니라 습도와 가스, 미세먼지 등을 포함하는 사육환경에 있어서도 그 관리가 필요한데, 이는 매우 중요한 성장조건을 제공한다 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가축 중에서 돼지는 온도 등 기타 사육환경에 매우 민감한 사육종에 해당하고 이로부터 성장에 상당한 영향을 받으며, 돈사 내부에서 발생하는 다수의 오염원과 유해가스 등의 원활한 외부 배출 및 돈사 내 온도 유지 등 환기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더불어, 돈사 내에서는 분뇨를 배설하기 때문에 악취가 많이 발생하고 습한 공기로 인해 각종 미생물이 서식하여 돈방에서 사육되는 돼지가 병사하거나 질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돈사를 비롯한 축사 내 적합한 사육환경을 제공 및 온습도, 가스, 미세먼지 등을 컨트롤하기 위해 축사 내 다양한 구조의 환기시스템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가축의 특성이나 현장여건 등이 전혀 고려되지 않고 단순 설치되어 사용되므로 인해 효율성이 떨어지거나 경제적인 손실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종래 축사용 환기시스템 관련하여 가축 사육종 및 현장환경에 따른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에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740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82804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돼지를 사육하는 양돈 축사 내 환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하채널 구조와 환기컨트롤러를 접목하는 환기시스템을 제공토록 하며, 특히 비돈사나 자돈사 등의 최적의 성장환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환기를 효율적으로 컨트롤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축사 내에 형성되거나 발생되는 온습도와 유해가스 및 분진으로부터 양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살균 및 냄새탈취를 통해 청정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축사 내 돼지 사육에 따른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는, 돼지를 사육하는 양돈 축사 내 환기 처리를 위한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에 있어서, 상기 축사의 바닥면 하측에 형성되는 지하채널로서, 중앙에 형성되어 외기를 유입 및 축사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외기유입공급채널부와 상기 외기유입공급채널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분뇨를 처리 및 보관하기 위한 슬러리피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기유입공급채널부는 중앙공급피트와 상기 중앙공급피트의 양측에 위치하는 외기유입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공급피트의 상면과 상기 외기유입피트의 내측면에 각각 슬리트홀을 형성하여 상기 외기유입피트로부터 외부공기를 유입한 후 상기 중앙공급피트를 통해 상측 방향으로 공급하여 돼지의 사육공간인 축사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축사의 길이방향 측 양측면 외벽에 입기창을 각각 형성하되, 상기 입기창을 통과한 외부공기가 지하채널의 외기유입피트로 유입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축사의 천정에는 하나 이상의 배기창을 형성하여 축사의 내부공기를 배기 처리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슬러리피트부의 상면은 축사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슬리트홀을 갖는 그레이팅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그레이팅부재는 플라스틱재, 금속재, 세라믹재, 콘크리트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1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입기창 상에 설치되는 전동식 루버; 상기 배기창을 통해 배기되는 배기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배기창 상에 설치되는 배기휀; 상기 축사 내에 형성되는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습도센서; 상기 축사 내에 발생되는 황화수소나 암모니아를 비롯한 유해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가스감지센서; 상기 축사 내에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비롯한 분진을 감지하기 위한 먼지감지센서; 상기 축사 내에 형성되는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보온램프 및 쿨링장치; 상기 축사의 외벽 또는 내벽 일측에 설치되고, 사용자 설정과 감지데이터 입력에 기반하여 전동식 루버, 배기휀, 보온램프, 쿨링장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 및 프로그래밍 제어하는 환기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슬러리피트부에는 상단부 양측면에 노즐식 분사구조를 갖는 음이온발생기를 설치하여 슬러리피트부 내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음이온 분사에 의한 상부차폐층을 형성하도록 구비함으로써 분뇨에서 발생하는 황화수소나 암모니아 가스가 축사 내에 급속하게 퍼지는 현상을 차단함과 더불어 냄새탈취기능을 통해 악취를 제거토록 하며, 상기 음이온발생기는 상기 환기컨트롤러에 의해 동작이 자동 제어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슬러리피트부에는 상단부 양측면에 노즐식 분사구조를 갖는 음이온발생기를 설치하고, 상기 슬러리피트부의 바닥면에는 전자저울 또는 로드셀에 의한 무게감지장치를 설치하며, 상기 무게감지장치에서의 감지데이터 입력에 따라 기준 설정치 이상의 분뇨 무게가 감지되었을 경우, 상기 환기컨트롤러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음이온발생기를 작동시켜 음이온을 슬러리피트부 상에 자동 분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환기컨트롤러는, 간편한 조작 및 정보 확인이 가능하도록 터치스크린 타입으로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를 내재시켜 커버 및 이를 보호하는 구조체이면서 투명덮개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보호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사용자 제한을 위한 비밀번호입력부와, 사용자 입력에 의한 환경 및 제어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입력설정부와, 축사 내 현재의 환경상태 및 동작상태를 디스플레하여주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단말과의 무선통신 및 앱을 이용한 연동을 통해 원격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무선통신부가 탑재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슬러리피트부에는 양측면이나 바닥면 또는 이들 모두에 살균력을 갖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UV LED와 적외선 복사열을 방출하는 적외선 LED를 설치하여 슬러리피트부에 보관되는 분뇨에 대해 살균 탈취기능을 발휘하면서 건조시킴으로써 분뇨에 의한 악취 발생을 차단하거나 최소화시킴과 더불어 축사의 바닥면을 향해 온기를 제공함으로써 저온기에 체온 손실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UV LED와 적외선 LED 각각은 상기 환기컨트롤러에 의해 동작이 자동 제어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쿨링장치는, 물이 증말될 때에 흡수되는 기화열을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물에 젖은 상태를 유지하는 습식쿨링패드와, 상기 습식쿨링패드를 통과하는 공기를 증발 냉각시켜 온도를 떨어트리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외기유입공급채널부의 외기유입피트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도입부 상에 외부공기로부터 미세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부재를 설치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채널 구조를 접목하는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를 제공함으로써 지하채널을 이용한 자연 환기 또는 환기컨트롤러를 이용한 강제 환기를 수행하는 등 기존에 비해 돼지를 사육하는 양돈 축사 내 환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채널과 환기컨트롤러를 접목한 환기시스템을 통해 비돈사나 자돈사 등 돼지 사육에 따른 최적의 성장환경을 구현할 수 있고 축사 내 환기를 효율적으로 컨트롤 및 관리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축사 내에 형성되거나 발생되는 온습도와 유해가스 및 분진으로부터 양돈을 보호할 수 있고, 살균기능 및 냄새탈취기능을 통해 축사 내 청정한 환경을 구현할 수 있으며, 축사 내 돼지 사육에 따른 질병 예방 등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에 있어 환기시스템을 컨트롤하기 위한 환기컨트롤러 및 이의 입출력에 관계되는 전기전자장치들을 포함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에 있어 환기시스템을 컨트롤하기 위한 환기컨트롤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에 있어 환기시스템을 컨트롤하기 위한 환기컨트롤러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에 있어 슬러리피트부 측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에 있어 쿨링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는 비돈사나 자돈사 등을 비롯한 다양한 육종의 돼지를 사육함에 있어 효율적인 환기 처리 및 컨트롤을 통해 축사 내 돼지 사육에 따른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는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사 내에 지하채널 구조를 접목하는 방식과 이에 적합하게 설치되는 환기시스템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도록 건축 및 시공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돼지 사육을 위해 일정한 크기 및 면적을 갖는 구조물인 축사(1)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축사(1)의 바닥면 하측으로는 길이방향으로 지하채널(1A)을 형성하되, 중앙에 형성되어 외기를 유입 및 축사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외기유입공급채널부(10)와, 상기 외기유입공급채널부(10)의 양측에 형성되어 분뇨를 처리 및 보관하기 위한 슬러리피트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외기유입공급채널부(10)는 중앙공급피트(11)와 상기 중앙공급피트(11)의 양측에 위치하는 외기유입피트(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공급피트(11)의 상면과 상기 외기유입피트(20)의 내측면에는 각각 슬리트홀을 형성하여 상기 외기유입피트(20)로부터 외부공기를 유입한 후 상기 중앙공급피트(10)를 통해 상측 방향으로 공급하여 돼지를 사육하는 공간, 즉 돈방(豚房)이 존재하는 공간인 축사(1)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축사(1)의 길이방향 측 양측면 외벽에는 입기창(30)을 각각 형성하되, 상기 입기창(30)을 통과한 외부공기가 지하채널(1A)의 외기유입피트(12)로 유입되도록 설치한다.
즉, 상기 축사(1)의 외측에서 입기창(30)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지하채널(1A)의 외기유입피트(12)로 유입되고, 상기 외기유입피트(12)에서 경계에 형성된 슬리트홀을 통해 중앙공급피트(11)을 통과하여 중앙공급피트(11)의 상면에 형성시킨 슬리트홀을 통해 돈방(豚房)이 존재하는 공간인 축사(1)의 내부로 공급되어 오염된 내부공기를 환기시킨다.
상기 축사(1)의 천정에는 하나 이상의 배기창(40)을 형성하여 축사의 내부공기, 즉 오염된 내부공기를 배기 처리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슬러리피트부(20)의 상면은 축사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슬리트홀을 갖는 그레이팅부재(5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그레이팅부재(50)는 축사(1) 내 벽면과 외기유입피트(12) 상에 안착 설치하는 구성으로 구비한다.
이때, 상기 그레이팅부재(50)는 평판형 구조물로 구비되며, 플라스틱재, 금속재, 세라믹재, 콘크리트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1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그레이팅부재(50)는 축사(1) 내 돼지를 사육하는 돈방(豚房)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돼지의 이동 및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그레이팅부재(50) 측 슬리트홀은 돼지의 분뇨가 슬러리피트부(20)로 용이하게 낙하될 수 있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제 환기 및 자동 제어를 위한 환기컨트롤러(60)를 포함하며, 기본적으로 전동식 루버(70)와 배기휀(80)을 포함한다.
상기 전동식 루버(70)는 상기 입기창(30)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축사(1)의 외측에서 환기 처리를 위해 외부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배기휀(80)은 상기 배기창(40)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축사(1) 내 내부공기가 오염되어 환기가 필요한 경우 배기창(40)을 통해 외부로 배기하는 오염된 내부공기의 배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축사(1)에는 축사 내에 형성되는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습도센서(90)와, 축사 내에서 분뇨에 의해 발생되는 황화수소나 암모니아를 비롯한 유해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가스감지센서(100)와, 축사 내에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비롯한 분진을 감지하기 위한 먼지감지센서(110)와, 축사 내에 형성되는 온도 및 습도를 돼지의 사육환경에 맞게 조절하기 위한 보온램프(120) 및 쿨링장치(130)를 포함한다.
상기 환기컨트롤러(60)는 상기 축사(1)의 외벽 또는 내벽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 설정과 더불어 각종 감지데이터의 입력에 기반하여 전동식 루버(70), 배기휀(80), 보온램프(120), 쿨링장치(130)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 및 프로그래밍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에서, 각종 감지데이터는 온습도센서(90)와 가스감지센서(100), 먼지감지센서(110)로부터 감지되어 환기컨트롤러(60)로 자동 입력되는 데이터이다.
상기 온습도센서(90)와 가스감지센서(100), 먼지감지센서(110)는 각각 축사(1)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고, 상기 보온램프(120)는 축사(1)의 내부 천정에 위치하여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상기 환기컨트롤러(60)는 간편한 조작 및 정보 확인이 가능하도록 터치스크린 타입으로 구비되는 본체(60A)와, 상기 본체(61)를 내재시켜 커버 및 이를 보호하는 구조체이면서 투명덮개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보호박스(60B)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60A)에는 사용자 제한을 위한 비밀번호입력부(61)와, 사용자 입력에 의한 환경 및 제어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입력설정부(62)와, 축사 내 현재의 환경상태 및 동작상태를 디스플레하여주는 디스플레이부(63)와, 사용자 단말과의 무선통신 및 앱을 이용한 연동을 통해 원격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무선통신부(64)가 탑재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60A)에는 프로그래밍 제어를 위한 CPU와 입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을 포함한다.
상기 환기컨트롤러(60)를 통해서는 축사(1)의 내부 사육환경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설정조건 및 그에 따른 프로그래밍 제어에 따라 실시간으로 전동식 루버(70)와 배기휀(80), 보온램프(120) 및 쿨링장치(130)의 작동을 각각 자동 제어함으로써 축사(1) 내 온습도를 조절하고 유해가스 및 분진을 제거하는 등 비돈사나 자돈사 등에 대한 최적의 성장환경을 구현할 수 있고 환기를 효율적으로 컨트롤 및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축사(1)의 내부 사육환경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입기창(30)과 배기창(40) 및 지하채널(1A) 측 외기유입공급채널부(10)를 이용한 자연 환기를 수행하도록 컨트롤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러리피트부(20)의 상단부 양측면에 노즐식 분사구조를 갖는 음이온발생기(140)를 설치하여 슬러리피트부(20) 내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음이온을 분사함에 의해 상부차폐층을 형성하도록 구비함으로써 분뇨에서 발생하는 황화수소나 암모니아 가스가 축사(1) 내에 급속하게 퍼지는 현상을 차단함과 더불어 냄새탈취기능을 통해 악취를 제거토록 한다.
상기 음이온발생기(140)는 상기 환기컨트롤러(60)에 의해 동작이 자동 제어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상기 음이온발생기(140)의 설치구성에 더하여,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러리피트부(20)에는 그 바닥면에 전자저울 또는 로드셀에 의한 무게감지장치(150)를 설치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게감지장치(150)는 상기 환기컨트롤러(60)로 감지신호를 입력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무게감지장치(150)에서의 감지데이터 입력에 따라 기준 설정치 이상의 분뇨 무게가 슬러리파트부(20) 내에서 감지되었을 경우, 상기 환기컨트롤러(60)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음이온발생기(140)를 작동시킴으로써 음이온을 슬러리피트부(20) 상에 자동 분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러리피트부(20)의 양측면이나 바닥면 또는 이들 모두에 살균력을 갖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UV LED(160)와 적외선 복사열을 방출하는 적외선 LED(170)를 설치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도 있다.
상기 UV LED(160)는 상기 슬러리피트부(20) 내 양측면 하단부에 설치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슬러리피트부(20)의 바닥면을 향해 자외선을 방출하도록 경사 구조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외선 LED(170)는 상기 슬러리피트부(20) 내 바닥면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UV LED(160)와 적외선 LED(170) 각각은 상기 환기컨트롤러(60)에 의해 동작이 자동 제어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슬러리피트부(20) 내에 단독 설치하는 구성으로 시공할 수 있고, 때로는 상기 음이온발생기(140)을 설치하는 구성과 혼용하는 형태로 시공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UV LED(160)와 적외선 LED(170)를 설치하는 구성을 통해서는 축사(1)의 돈방(豚房)에서 낙하되어 상기 슬러리피트부(20) 내에 보관되는 돼지의 분뇨에 대해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 탈취기능을 발휘하고 이와 동시에 적외선 복사열을 이용하여 건조시킴으로써 분뇨에 의한 악취 발생을 차단하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 LED(170)에서 방출하는 적외선 복사열을 통해 축사(1)의 바닥면을 향해 온기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겨울철 등 저온기에 사육하는 돼지의 체온 손실을 방지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쿨링장치(130)는 에너지 절감 및 냉각효율을 위해 물이 증말될 때에 흡수되는 기화열을 이용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할 것인데,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할 것이다.
상기 쿨링장치(13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사(1)의 외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물에 젖은 상태를 유지하는 습식쿨링패드(131)와, 상기 습식쿨링패드(132)를 통과하는 공기를 증발 냉각시켜 온도를 떨어트리는 열교환기(132)와, 상기 열교환기(131)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13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32)는 상기 습식쿨링패드(132)에 연결되는 경로를 갖는 것으로서, 축사(1)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기(133)는 상기 열교환기(132)에 연결되는 경로를 갖는 것으로서, 축사(1)의 내측에 설치된다.
때로는, 상기 쿨링장치(130)에 있어 맥동 저감 기능을 구비한 냉동싸이클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국내등록특허 제10-1461623호 개시된 기술구성을 참조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외기유입공급채널부(10)의 외기유입피트(12)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도입부 상에 필터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유입되는 외부공기로부터 미세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러리피트부(20)의 일측으로는 분뇨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슬러피트부(20)의 바닥면에는 벨트컨베이어를 설치하여 자동 방식으로 분뇨를 이송 및 외부 배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사(1)의 내부 상측에도 음이온발생기를 설치하여 음이온을 방출함으로써 축사(1) 내 형성되는 내부공기에 대해 살균기능과 냄새탈취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통해서는 지하채널 구조를 접목하는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를 제공함으로써 지하채널을 이용한 자연 환기 또는 환기컨트롤러를 이용한 강제 환기를 수행하는 등 기존에 비해 돼지를 사육하는 양돈 축사 내 환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지하채널 접목 및 환기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환기시스템을 통해 비돈사나 자돈사 등 돼지 사육에 따른 최적의 성장환경을 구현할 수 있고 축사 내 환기를 효율적으로 컨트롤 및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을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권리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축사 1A: 지하채널
10: 외기유입공급채널부 11: 중앙공급피트
12: 외기유입피트 20: 슬러리피트부
30: 입기창 40: 배기창
50: 그레이팅부재 60: 환기컨트롤러
70: 전동식 루버 80: 배기휀
90: 온습도센서 100: 가스감지센서
110: 먼지감지센서 120: 보온램프
130: 쿨링장치 140: 음이온발생기
150: 무게감지장치 160: UV LED
170: 적외선 LED

Claims (8)

  1. 돼지를 사육하는 양돈 축사 내 환기 처리를 위한 환기시스템을 갖되,
    상기 축사의 바닥면 하측에 형성되는 지하채널로서, 중앙에 형성되어 외기를 유입 및 축사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외기유입공급채널부와 상기 외기유입공급채널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분뇨를 처리 및 보관하기 위한 슬러리피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기유입공급채널부는 중앙공급피트와 상기 중앙공급피트의 양측에 위치하는 외기유입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공급피트의 상면과 상기 외기유입피트의 내측면에 각각 슬리트홀을 형성하여 상기 외기유입피트로부터 외부공기를 유입한 후 상기 중앙공급피트를 통해 상측 방향으로 공급하여 돼지의 사육공간인 축사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축사의 길이방향 측 양측면 외벽에 입기창을 각각 형성하되, 상기 입기창을 통과한 외부공기가 지하채널의 외기유입피트로 유입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축사의 천정에는 하나 이상의 배기창을 형성하여 축사의 내부공기를 배기 처리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슬러리피트부의 상면은 축사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슬리트홀을 갖는 그레이팅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그레이팅부재는 플라스틱재, 금속재, 세라믹재, 콘크리트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1군으로 이루어진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에 있어서,
    상기 외부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입기창 상에 설치되는 전동식 루버;
    상기 배기창을 통해 배기되는 배기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배기창 상에 설치되는 배기휀;
    상기 축사 내에 형성되는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습도센서;
    상기 축사 내에 발생되는 황화수소나 암모니아를 비롯한 유해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가스감지센서;
    상기 축사 내에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비롯한 분진을 감지하기 위한 먼지감지센서;
    상기 축사 내에 형성되는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보온램프 및 쿨링장치;
    상기 축사의 외벽 또는 내벽 일측에 설치되고, 사용자 설정과 감지데이터 입력에 기반하여 전동식 루버, 배기휀, 보온램프, 쿨링장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 및 프로그래밍 제어하는 환기컨트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슬러리피트부에는 상단부 양측면에 노즐식 분사구조를 갖는 음이온발생기를 설치하여 슬러리피트부 내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음이온 분사에 의한 상부차폐층을 형성하도록 구비함으로써 분뇨에서 발생하는 황화수소나 암모니아 가스가 축사 내에 급속하게 퍼지는 현상을 차단함과 더불어 냄새탈취기능을 통해 악취를 제거토록 하고, 상기 음이온발생기는 상기 환기컨트롤러에 의해 동작이 자동 제어되며,
    상기 슬러리피트부의 바닥면에는 전자저울 또는 로드셀에 의한 무게감지장치를 설치하되,
    상기 무게감지장치에서의 감지데이터 입력에 따라 기준 설정치 이상의 분뇨 무게가 감지되었을 경우, 상기 환기컨트롤러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음이온발생기를 작동시켜 음이온을 슬러리피트부 상에 자동 분사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슬러리피트부에는 양측면이나 바닥면 또는 이들 모두에 살균력을 갖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UV LED와 적외선 복사열을 방출하는 적외선 LED를 설치하여 슬러리피트부에 보관되는 분뇨에 대해 살균 탈취기능을 발휘하면서 건조시킴으로써 분뇨에 의한 악취 발생을 차단하거나 최소화시킴과 더불어 축사의 바닥면을 향해 온기를 제공함으로써 저온기에 양돈 측 체온 손실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UV LED와 적외선 LED 각각은 상기 환기컨트롤러에 의해 동작이 자동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컨트롤러는,
    간편한 조작 및 정보 확인이 가능하도록 터치스크린 타입으로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를 내재시켜 커버 및 이를 보호하는 구조체이면서 투명덮개가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투명덮개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잠금장치가 장착되는 본체보호박스;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사용자 제한을 위한 비밀번호입력부와, 사용자 입력에 의한 환경 및 제어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입력설정부와, 축사 내 현재의 환경상태 및 동작상태를 디스플레하여주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단말과의 무선통신 및 앱을 이용한 연동을 통해 원격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무선통신부가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장치는,
    물이 증말될 때에 흡수되는 기화열을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물에 젖은 상태를 유지하는 습식쿨링패드와, 상기 습식쿨링패드를 통과하는 공기를 증발 냉각시켜 온도를 떨어트리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
  8. 삭제
KR1020210006595A 2021-01-18 2021-01-18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 KR102556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595A KR102556633B1 (ko) 2021-01-18 2021-01-18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595A KR102556633B1 (ko) 2021-01-18 2021-01-18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183A KR20220105183A (ko) 2022-07-27
KR102556633B1 true KR102556633B1 (ko) 2023-07-18

Family

ID=8270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595A KR102556633B1 (ko) 2021-01-18 2021-01-18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6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7225A (ko) 2022-08-23 2024-03-04 (주)동성코코팬 축사용 환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311B1 (ko) 2007-07-12 2008-12-09 신기원 축사 자동환기시스템
KR101133116B1 (ko) * 2011-12-23 2012-04-06 제주특별자치도(보건환경연구원장) 콤팩트형 가축분뇨 악취가스 제거장치
KR101894095B1 (ko) * 2017-12-21 2018-10-04 천용삼 바이오커튼과 이온수를 이용하여 축사의 악취를 저감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412A (ko) * 2002-08-26 2004-03-06 주식회사 대진시스템 이유기의 가축 사육을 위한 축사
KR100817528B1 (ko) * 2005-08-29 2008-03-27 주식회사 트인 축사 및 아파트형 축사
KR101771971B1 (ko) * 2015-08-25 2017-09-05 대한민국 축산시설의 모듈형 환경제어장치
KR101789579B1 (ko) * 2015-10-26 2017-10-25 신일식 돈사의 지하채널 환기시스템
KR20190027446A (ko) * 2017-09-07 2019-03-1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축사 환경 제어 시스템
KR20180044239A (ko) * 2018-03-10 2018-05-02 새빛건설 주식회사 축사용 채널 환기장치
KR102087400B1 (ko) 2018-06-18 2020-03-10 최성철 축사용 환기 냉/난방 제어시스템
KR102243047B1 (ko) 2018-12-31 2021-04-21 신일식 돈사관리 환기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311B1 (ko) 2007-07-12 2008-12-09 신기원 축사 자동환기시스템
KR101133116B1 (ko) * 2011-12-23 2012-04-06 제주특별자치도(보건환경연구원장) 콤팩트형 가축분뇨 악취가스 제거장치
KR101894095B1 (ko) * 2017-12-21 2018-10-04 천용삼 바이오커튼과 이온수를 이용하여 축사의 악취를 저감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183A (ko) 202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7018B2 (ja) ハウス用換気装置およびハウス用空気調和システム
CN103347544B (zh) 空气净化设备方法和系统
KR101677086B1 (ko) 이유자돈사
KR100709605B1 (ko) 축사 환기 공조 시스템
KR101137965B1 (ko) 돈사의 환기시스템
US20200390056A1 (en) Ventilation system for pig-raising facilities
WO2011115806A2 (en) Plant air purification enclosure apparatus and method
KR101554178B1 (ko) 살균정화 및 가온 겸용 공기 공급장치
CN205756230U (zh) 一种密闭式通风饲养舍
KR102556633B1 (ko)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
CN114364252B (zh) 温室
KR101978427B1 (ko) 축사시설 배출가스의 악취 및 분진 방제시스템
KR101080261B1 (ko) 무창돈사용 환기 시스템
KR101976264B1 (ko) 동식물의 생육 공간용 실내외 공기 분산 장치
WO2019087336A1 (ja) 環境指数ユニットおよび家畜舎システム
KR100939591B1 (ko) 냉난방겸용이 가능한 농업시설용 열회수형 환기장치
KR100819371B1 (ko) 축사용 자동환기시스템
KR101677052B1 (ko) 열회수 환기장치 및 열회수 환기방법
JP2008061632A (ja) 密閉型清浄鶏舎
KR20150137567A (ko) 축열식 공기소독 냉열 교환기
KR101912649B1 (ko) 밀폐정원을 이용한 주거지의 신선한 공기 공급장치
TW201900007A (zh) 農業用屋舍
KR102122301B1 (ko) 이중 파이프로 온실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KR102264424B1 (ko) 온실용 공기조화 시스템
KR20220016545A (ko) 축사의 공기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