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865Y1 - 자돈용 인큐베이터의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자돈용 인큐베이터의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865Y1
KR200285865Y1 KR2020020016165U KR20020016165U KR200285865Y1 KR 200285865 Y1 KR200285865 Y1 KR 200285865Y1 KR 2020020016165 U KR2020020016165 U KR 2020020016165U KR 20020016165 U KR20020016165 U KR 20020016165U KR 200285865 Y1 KR200285865 Y1 KR 200285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ubator
air
water
pipe
pig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상수
Original Assignee
고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상수 filed Critical 고상수
Priority to KR2020020016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8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865Y1/ko

Links

Landscapes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돈을 모돈과 장소를 달리하여 기르는 자돈용 인큐베이터에 있어서, 인큐베이터에서 발생되는 먼지를 제거하는 한편 실내 온도를 크게 낮추지 않으면서도 공기를 깨끗이 환기시키고 내부 습도를 맞추어 줄 수 있도록 하는 자돈용 인큐베이터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인큐베이터의 통로 하부와 우리 하부를 격리시켜 통로 하부에 물을 채우고, 상기 물속에 배출파이프를 설치하며, 상기 우리의 상부에 흡입파이프를 설치한 후 상기 흡입파이프에서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송풍기에서 배출파이프로 불어주므로서 인큐베이터의 내부공기가 물속으로 배출되면서 공기를 정화하고 습도를 조절하는 한편 외부공기가 아닌 내부공기를 이용하므로 온도변화를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돈용 인큐베이터의 환기장치{Air circulation system of incubator for baby pig}
본 고안은 자돈을 모돈과 장소를 달리하여 기르는 자돈용 인큐베이터에 있어서, 인큐베이터에서 발생되는 먼지를 제거하는 한편 실내 온도를 크게 낮추지 않으면서도 공기를 깨끗이 환기시키고 내부 습도를 맞추어 줄 수 있도록 하는 자돈용 인큐베이터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돈용 인큐베이터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에 약한 자돈을 모돈과 분리하여 보호하고, 이동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콘테이너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 상기 자돈용 인큐베이터(1)에는 내부 환기를 위하여 흡입창(2)과 배기창(3)을 설치하여 배기창(3)으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키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흡입창(2)을 통하여 유입되도록 하고 있으나, 외기온도가 낮을 경우 외부공기의 직접적인 유입으로 인큐베이터(1)의 내부온도가 급격히 하락하게 되어 내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히터 작동시간을 늘려야 하는 문제가 있고, 외부공기가 그대로 인큐베이터 내부로 유입되게 되어 내부 공기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가 없는 것이었다.
그리고 인큐베이터(1) 내부는 습도를 맞추어주어야 하나 위와 같이 외부 공기가 직접 유입되어 실내온도를 낮추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히팅을 해주게 되므로 이때 실내습도가 현저히 떨어지게 되어 자돈의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자돈용 인큐베이터(1)에는 습도조절장치와 내부온도조절장치 및 실내공기정화장치 등을 별도로 운용하여야만 자돈을 정상적으로 키울 수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자돈용 인큐베이터 내부의 온도변화를 최소화시키면서 공기를 정화하고 습도를 조절하는 한편 분진과 액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해주도록 하는 것으로, 인큐베이터의 내부공기를 인큐베이터 하부에 차있는 물속으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인큐베이터의 통로 하부와 우리 하부를 격리시켜 통로 하부에 물을 채우고, 상기 물속에 배출파이프를 설치하며, 상기 우리의 상부에 흡입파이프를 설치한 후 상기 흡입파이프에서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송풍기에서 배출파이프로 불어주므로서 인큐베이터의 내부공기가 물속으로 배출되면서 공기를 정화하고 습도를 조절하는 한편 외부공기가 아닌 내부공기를 이용하므로 온도변화를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도 1 은 기존의 자돈용 인큐베이터 일부 절결 측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자돈용 인큐베이터 일부 절결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자돈용 인큐베이터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요부 측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물저장공간의 물공급과 배출수단을 보인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 물저장공간을 구성하는 보관통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환풍기쪽 평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환풍기쪽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큐베이터 5 : 통로 6 : 우리
10 : 흡입파이프 11 : 흡입구 12 : 배출파이프
13 : 배출구 15 : 흡입관 16 : 선택밸브
20 : 송풍기 25 : 격벽 30 : 물저장공간
31 : 드레인밸브
본 고안은 인큐베이터(1)의 내부공기를 순환시켜 인큐베이터(1)의 내부의 분진과 액취를 제거하는 한편 공기를 정화하고 습도를 조절하는 한편 공기 순환시 인큐베이터(1)의 온도변화를 최소화시키도록 하는 것이다.1
본 고안은 인큐베이터(1)의 내부에 양쪽으로 설치된 우리(6)의 하부와 상기 우리(6)사이에 형성된 통로(5)하부를 격벽(25)으로 분리하여 물저장공간(30)을 형성시킴으로써 우리(6)의 하부로 떨어지는 오물이 물저장공간(30)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물저장공간(30)에는 물을 채워준다.
여기서 통로(5)의 하부에 형성되는 물저장공간(30)은 격벽(25)으로 구분하여도 무방하고, 상부가 개방되고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사각체 형상의 보관통(35)을 설치하여도 무방한 것으로,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물이 새지 않으면 된다.
상기 물저장공간(30)에는 물속에 잠기도록 배출파이프(12)를 설치하되 상기 배출파이프(12)에는 일정간격으로 배출구(13)를 형성시켜 공기가 배출파이프(12)를 통하여 공급된 후 배출구(13)를 통하여 물속으로 배출되게 한다.
상기 우리(6)의 상부에는 양측으로 흡입파이프(10)를 설치하되 상기 흡입파이프(10)에는 하부를 향하는 흡입구(11)를 여러 개 설치하여 우리(6)에서 배출되는 냄새와 먼지 등을 흡입구(11)에서 흡입파이프(10)로 흡입하도록 한다.
상기 흡입파이프(10)는 양측으로 두 개가 설치되며 상기 흡입파이프(10)는 인큐베이터(1)의 외부에서 서로 연결하여 송풍기(20)의 흡입구에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송풍기(20)의 배출구에는 배출파이프(12)를 연결하여 흡입파이프(10)로 인큐베이터(1)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파이프(12)로 불어주게 된다.
인큐베이터(1)의 외측에 위치한 흡입파이프(10)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관(15)을 연결하고, 배출파이프(12)에는 배출관(17)을 연결하되 상기 흡입파이프(10)와 배출파이프(12) 및 흡입관(15)과 배출관(17)에는 각각 선택밸브(16)(16')(18)(18')를 설치하여 흡입관(15)을 통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유입과 배출관(17)을 통한 내부공기의 배출을 선택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물저장공간(30)에는 드레인 밸브(31)를 설치하여 더러워진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부구(32)가 연결된 물조절 밸브(33)를 설치하여 일정량의 물이 채워져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인큐베이터(1)의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물저장공간(30)으로 불어넣어 실내공기를 정화하고 분진을 제거하는 한편 습도를 조절하는 방식은 자돈용 인큐베이터(1)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일반 돈사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다시 공급하여 주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서 선택밸브(16)(18)로 흡입관(15)과 배출관(17)을 잠가주고 송풍기(20)를 작동시키면 흡입파이프(10)로 인큐베이터(1)의 내부공기를 흡입하게되고 흡입파이프(10)로 흡입된 내부공기는 배출파이프(12)로 배출되게 된다.
흡입파이프(10)는 우리(6)의 상부에 설치되고 우리(6)쪽을 향하여 흡입구(11)가 다수 개 설치되므로 먼지나 액취가 발생하는 우리(6)쪽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구(11)에서 흡입파이프(10)로 흡입하게 된다.
상기 흡입파이프(10)는 우리(6)와 너무 밀착하여도 먼지나 오염된 공기의 배출에 문제가 있고, 너무 멀리 떨어져도 문제가 있다.
흡입파이프(10)에서 흡입된 오염된 공기는 송풍기(20)에서 배출파이프(12)로 공급되어 배출구(13)로 배출되게 되며, 이때 배출파이프(12)는 물저장공간(30)에서 물속에 설치되므로 배출구(13)로 배출된 공기는 물속에서 인큐베이터(1)로 공급되게 된다.
배출구(13)에서 배출된 공기는 물을 통하게 되므로 공기중에 포합된 먼지나액취가 물에 잡히게 되고 깨끗한 공기만 배출되게 되므로 인큐베이터(1)의 내부공기를 정화시키는 한편 분진을 제거하고 액취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배출구(13)로 배출되는 공기는 물을 통과하여 인큐베이터(1)내부로 공급되게 되나 흡입구(10)를 통하여 배출된 내부공기가 물에서 정화되어 공급되는 것이므로, 인큐베이터(1)의 내부온도 변화가 적게 된다.
즉 겨울철에 외부 공기를 인큐베이터(1)로 공급하면 인큐베이터(1)의 내부온도가 상당히 낮아지게 되나 본 고안과 같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재공급하게 되면 내부온도 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실내공기가 물을 통하여 공급되게 되므로 수분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져 습도조절을 할 수 있다.
한편 흡입파이프(10)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인큐베이터(1)로 공급하지 않고 대기중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때는 선택밸브(16)(18')를 잠가주면 된다.
그러면 흡입파이프(10)로 흡입된 내부공기는 송풍기(20)에서 배출관(17)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배출파이프(12)로 외부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선택밸브(16')(18)을 잠가주면 되고, 그러면 송풍기(20)에서 외부공기를 흡입관(15)으로 흡입하여 배출파이프(12)로 송풍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여름철에는 흡입파이프(10)와 송풍기(20) 및 배출관(17)을 통하여 실내공기만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부공기는 강제로 밀어넣지 않고 자연스럽게 내부공기의 배출에 따른 음압으로 인큐베이터(1)에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여름철에는 외부공기를 인큐베이터(1)에 유입시킬 경우 물저장공간(30)에 물을 채우지 않아 여름철에 습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물 저장공간(30)에는 물조절 밸브(33)에 의해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하고, 물이 더러워 졌을 때는 드레인 밸브(31)를 이용하여 더러운 물을 배출시키도록 한다.
본 고안의 물저장 공간은 격벽(25)을 이용하여 형성시키거나 FRP로 제작되는 보관통(35)을 이용하여 형성시키도록 하며, 본 고안은 일반돈사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돈용 인큐베이터에서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물속에서 배출시킴으로써 인큐베이터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실내공기를 다시 실내로 불어넣어 온도편차를 최소화하고, 공기를 물속에서 불어넣게 되므로 물로 인하여 공기가 정화되고, 분진과 액취가 제거되며, 습도가 조절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내부에 양측으로 우리(6)가 형성되고 중앙으로 통로(5)가 형성되며 바닥과 일정공간을 갖게 설치된 자돈용 인큐베이터(1)에 있어서,
    상기 우리(6)와 통로(5)의 하부 사이를 격벽(25)으로 막아 물저장공간(30)을 형성하고,
    상기 우리(6)의 상부에는 흡입구(11)가 다수 개 형성된 흡입파이프(10)를 설치하며,
    상기 물저장공간(30)에는 배출구(13)가 다수 개 형성된 배출파이프(12)를 물속에 설치하고,
    상기 인큐베이터(1)의 외측에서 흡입파이프(10)를 송풍기(20)의 흡입구에 연결하고 배출파이프(12)를 송풍기(20)의 배출구에 연결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돈용 인큐베이터의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송풍기(20)에 결합된 흡입파이프(10)와 배출파이프(12)에는 각각 흡입관(15)과 배출관(17)을 연결하되 상기 흡입파이프(10)와 흡입관(15) 및 배출파이프(12)와 배출관(17)사이에는 공기흐름을 단속하는 선택밸브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돈용 인큐베이터의 환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물저장공간(30)은 통로(5)의 하부공간에 합성수지로 제작된보관통(35)을 설치하여 물이 담겨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돈용 인큐베이터의 환기장치.
KR2020020016165U 2002-05-27 2002-05-27 자돈용 인큐베이터의 환기장치 KR2002858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165U KR200285865Y1 (ko) 2002-05-27 2002-05-27 자돈용 인큐베이터의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165U KR200285865Y1 (ko) 2002-05-27 2002-05-27 자돈용 인큐베이터의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865Y1 true KR200285865Y1 (ko) 2002-08-14

Family

ID=7312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165U KR200285865Y1 (ko) 2002-05-27 2002-05-27 자돈용 인큐베이터의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86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299A (ko) * 2002-06-12 2002-07-12 김종모 가축 사육장
KR20170032054A (ko) 2015-09-14 2017-03-22 신일식 이유 자돈 콘테이너 분뇨 배출시스템
CN107509638A (zh) * 2017-10-18 2017-12-26 务川自治县宏牧羊业有限公司 一种羔羊保温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299A (ko) * 2002-06-12 2002-07-12 김종모 가축 사육장
KR20170032054A (ko) 2015-09-14 2017-03-22 신일식 이유 자돈 콘테이너 분뇨 배출시스템
CN107509638A (zh) * 2017-10-18 2017-12-26 务川自治县宏牧羊业有限公司 一种羔羊保温箱
CN107509638B (zh) * 2017-10-18 2024-04-02 务川自治县宏牧羊业有限公司 一种羔羊保温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464B1 (ko) 실내공기 청정기
KR101677086B1 (ko) 이유자돈사
KR101527952B1 (ko) 공기 소독청정기
KR102340390B1 (ko) 휘발성유기화합물제거 기능을 가진 친환경 공기청정시스템
KR101876955B1 (ko) 가금류용 공조시스템
CN214965095U (zh) 一种具有抽吸污水的扫地机器人清洗基站
KR101483237B1 (ko) 공기 소독청정기
CN209978174U (zh) 空调器清洁装置及空调器
KR200285865Y1 (ko) 자돈용 인큐베이터의 환기장치
KR101386136B1 (ko) 축사용 공조시스템
KR101816517B1 (ko) 친환경 축사
KR20180013323A (ko) 정수를 가습용수로 사용하는 가습기
US10760256B2 (en) Air treatment device
KR102307537B1 (ko) 외부공기의 유입이 방지되는 공기 청정시스템
CN209944503U (zh) 空调器清洁装置及空调器
KR101999794B1 (ko)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KR101597324B1 (ko) 공기조화기
KR20180070373A (ko) 공기정화 및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 환기장치
KR20040019412A (ko) 이유기의 가축 사육을 위한 축사
JP3757833B2 (ja) 消臭装置及び消臭装置付き下駄箱
KR200249522Y1 (ko) 공기 청정기
KR200262744Y1 (ko) 공기 청정기
KR20090071693A (ko) 중앙 집중식 공기 정화 시스템
KR100787543B1 (ko)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KR200435128Y1 (ko) 축사의 습도 및 공기유입 자동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