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3789A - 폴리올계 삼투압적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폴리올계 삼투압적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3789A
KR20160053789A KR1020150151334A KR20150151334A KR20160053789A KR 20160053789 A KR20160053789 A KR 20160053789A KR 1020150151334 A KR1020150151334 A KR 1020150151334A KR 20150151334 A KR20150151334 A KR 20150151334A KR 20160053789 A KR20160053789 A KR 20160053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cleic acid
gene
cancer
xylitol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9795B1 (ko
Inventor
정종훈
반가지 가르그
샴하비 팬디
정필훈
조종수
김복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60053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87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trans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61K47/4817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61K47/5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the modifying agent being also a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i.e. the entire conjugate being a codrug, i.e. a dimer, oligomer or polymer of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compounds
    • A61K47/5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the modifying agent being also a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i.e. the entire conjugate being a codrug, i.e. a dimer, oligomer or polymer of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compounds one of the codrug's components being a vitamin, e.g. niacinamide, vitamin B3, cobalamin, vitamin B12, folate, vitamin A or retin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61K48/0008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characterised by an aspect of the 'non-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delivered, e.g. wherein such 'non-active' part is not delivered simultaneously with the '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 A61K48/002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characterised by an aspect of the 'non-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delivered, e.g. wherein such 'non-active' part is not delivered simultaneously with the '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wherein the non-active part clearly interacts with the delivered nucleic acid
    • A61K48/004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characterised by an aspect of the 'non-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delivered, e.g. wherein such 'non-active' part is not delivered simultaneously with the '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wherein the non-active part clearly interacts with the delivered nucleic acid the non-active part being polyme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7Pulmonary tract; Aromatherapy
    • A61K9/0073Sprays or powders for inhalation; Aerolised or nebulised preparations generated by other means than thermal energ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2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2Polyamines
    • C08G73/024Polyamine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bond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3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3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 C12N15/1137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against 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0Transferases (2.)
    • C12N9/1003Transferases (2.) transferring one-carbon groups (2.1)
    • C12N9/1014Hydroxymethyl-, formyl-transferases (2.1.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1/00Transferases transferring one-carbon groups (2.1)
    • C12Y201/02Hydroxymethyl-, formyl- and related transferases (2.1.2)
    • C12Y201/02001Glycine hydroxymethyltransferase (2.1.2.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10Type of nucleic acid
    • C12N2310/14Type of nucleic acid interfering N.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20/00Applications; Uses
    • C12N2320/30Special therapeutic applications
    • C12N2320/32Special delivery means, e.g. tissue-specif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Vir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polydixylitol polymer based gene transporter, PdXYP)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전자 전달체에 치료 핵산이 결합된 핵산 전달 복합체 및 해당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전자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유전자 전달체, 유전자 전달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 치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PdXYA)는 기존에 존재하는 핵산 전달체들보다 현저히 높은 핵산 전달율을 가지며, DNA와 결합시 결합체의 세포 독성은 거의 없고, 생체 내 형질전환 효율 또한 매우 높으며 무엇보다 그간 혈액 뇌 관문에 의해 유전자 치료에 어려움이 있었던 뇌조직에 대한 형질전환 효율이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유전자 전달체는 실험적인 유전자 전달체의 용도 뿐 아니라, 생체 내에서 다양한 조직에 대하여 이에 결합하는 치료 핵산에 따라 다양한 질환에 대한 유전자 치료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올계 삼투압적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 및 이의 용도 {Polyol-based osmotic polydixylitol polymer gene transpoter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polydixylitol polymer based gene transporter, PdXYP)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전자 전달체에 치료 핵산이 결합된 핵산 전달 복합체 및 해당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전자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유전자 전달체, 유전자 전달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 치료에 관한 것이다.
유전자 치료(gene therapy)는 치료 핵산을 체내의 원하는 장기로 전달하여 세포 내에서 새로운 단백질이 발현되도록 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것으로, 질병의 증상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고 질병의 원인을 치료하여 제거하는 방식이다. 유전자 치료는 일반적인 약물에 의한 치료에 비해서 우수한 선택성을 가질 수 있고 다른 치료법으로는 조절하기 힘든 질병의 치료율 및 치료 속도를 개선하여 오랜 기간 동안 적용할 수 있다. 치료 핵산으로서 DNA는 생체 내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에 취약하고 세포 내로 유입되는 효율이 낮기 때문에, 효과적인 유전자 치료를 위해서는 치료 핵산을 원하는 표적세포로 안전하게 전달하여 높은 발현효율의 달성을 가능케 하는 핵산 전달체(gene carrier)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전자 전달체는 독성이 낮거나 없어야 하며, 유전자를 선택적이고 효과적으로 원하는 세포에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핵산 전달체는 크게 바이러스성과 비바이러스성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까지 임상 실험에는 핵산 전달체로 형질도입 효율이 높은 바이러스성 벡터(viral vector)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레트로바이러스(retrovirus),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아데노바이러스와의 복합체(adeno-associated virus)와 같은 바이러스성 벡터는 제조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면역원성, 감염 가능성, 염증 유발, 비특이적 DNA의 삽입 등의 안전성 문제와 수용할 수 있는 DNA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다는 문제로 인해 인체에 적용하기엔 한계가 많다. 이에 현재는 비바이러스성 벡터(non-viral vector)가 바이러스성 벡터의 대용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비바이러스성 벡터는 최소한의 면역반응으로 반복 투여할 수 있고, 특정 세포로의 특이적 전달이 가능하며,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고,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비바이러스성 벡터의 예로는 양이온성 리포좀(liposome) 계열로서 N-[1-(2,3-다이올레일옥시)프로필]-N,N,N-트라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DOTMA), 알킬암모늄(alkylammonium), 양이온성 콜레스테롤 유도체(cationic cholesterol derivatives), 그라미시딘(gramicidin) 등이 있다.
최근 비바이러스성 벡터 중 양이온성 고분자가 음전하를 띠는 DNA와 이온결합을 통한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양이온성 고분자에는 폴리-L-라이신(PLL), 폴리(4-하이드록시-L-프롤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이민(PEI), 폴리[α-(4-아미노부틸)-L-글리콜산], 폴리아미도아민 덴드리머, 폴리[N,N'-(다이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PDMAEMA)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DNA를 압축하여 나노입자를 형성함으로써 효소분해로부터 DNA를 보호하고, 빠르게 세포 안으로 침투하여 엔도좀(endosome)에서 빠져나올 수 있도록 도와준다. 대부분의 비바이러스성 벡터는 바이러스성 벡터에 비해 생분해성, 낮은 독성, 비면역원성, 사용상의 간편함 등의 장점을 가지나, 상대적으로 낮은 형질도입 효율, 제한적인 입자 크기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비바이러스성 벡터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양이온성 고분자는 혈청 농도가 낮은 환경인 시험관 내에서는 높은 형질도입 효율을 나타내지만, 생체 내 환경에서는 혈청에 존재하는 각종 인자에 의하여 양이온성 고분자/유전자 복합체의 형질도입 효율이 심각하게 저해되어 유전자의 세포 내 유입이 원활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생체 내에서는 양이온성 고분자/유전자 복합체의 표면에 과도한 양전하가 발생하여 혈장 단백질 및 혈액 구성성분과의 비특이적 상호작용이 유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험관 내의 무혈청 배지 또는 혈청이 매우 낮은 농도로 존재하는 환경이 아닌, 다량의 혈청이 존재하는 생체 내에서는 양이온성 고분자의 형질도입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며, 이를 생체 내에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폐, 간 및 비장에서의 응집, 축적과, 나아가 망상내피계에 의한 옵소닌화(opsonization) 및 제거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의 치료적 적용은 크게 제한되지 않을 수 없다. 비바이러스성 벡터로서 가장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는 폴리에틸렌이민(PEI) 역시 생체 내 형질도입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며, 높은 세포독성 및 낮은 혈액 적합성으로 인한 유전자의 낮은 발현 효과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비바이러스성 벡터의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형질도입 효율을 증강시킨 핵산 전달체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유전자 치료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치료 핵산이 세포막, 종양 조직 및 혈액 뇌 관문(blood brain barrier, BBB)같은 생물학적 장벽을 통과하는 핵산 전달율을 높이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었다. 최근 뇌질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어 다양한 유전자 치료 타겟이 발견되고 있는 반면에, 동물모델에서 이를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효과를 증명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특히, 혈액 뇌 관문은 혈액으로부터 물질이 뇌조직으로 전달되는 것을 제한하는 뇌혈관 구조로,주로 대외 모세관 내피세포의 밀착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혈관 주의를 둘러싸고 있으며, 핵산을 포함한 거대 분자에 대해 불투과성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지용성 물질은 혈액 뇌 관문을 통과하지만, 극성물질, 강전해질 등 비지용성 물질은 잘 통과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액 뇌 관문 조직에 의해 뇌조직이 유해물질로부터 보호되는 장점이 있으나, 뇌 조직 치료에 필요한 방사성 동위원소, 색소, 약물 등의 전달을 막아 인체 내의 다른 조직에 비해서 치료 물질 접근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혈액 뇌 관문을 통과하여 뇌조직으로 극성 화합물의 전달조차 용이하지 않은 상황에서 강한 극성을 가지고 있는 커다란 분자인 핵산의 전달은 더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혈액 뇌 관문 이외에 생체 내에서 뉴클레아제에 의한 분해, 면역 제거(immune clearance), 세포 유입의 어려움, 비표적 축적(off target deposition) 등과 같은 생물학적 방해 기작들이 뇌 조직으로의 유전자 전달을 어렵게 하고 있다. 이에 상기 방해 기작들을 통과하여 뇌 조직에 효율적으로 유전자 치료를 진행할 수 있는 유전자 전달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부분의 바이러스 벡터를 통한 유전자 전달은 전신적 처리(systemic delivery)를 통해서는 혈관 뇌 관문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뇌에 직접 주사/주입시킨다. 그러나 형질도입은 주입 부위가 제한적이고 직접 주사하는 방법은 뇌 조직에 침습적인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기존에 전신적 처리를 통한 뇌조직에 물질 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 만니톨과 같은 삼투제의 동맥 주사를 통해 혈관 뇌 관문의 투과성을 증가시키고자 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 고삼투압 만니톨로 조직을 예비처리하여 세포 사이의 밀착 결합을 느슨하게 하고, 다양한 유전자/약물 전달 비히클로 처리하였다. 그러나, 만니톨의 효과는 일시적으로 일어나 30분이 지난 후에는 사라지며, 심지어 약물 또는 DNA가 유입되기 전에 효과가 사라졌다. 또한, 상기 만니톨의 전신적 처리는 혈관 뇌 관문의 전체적인 투과능 상승 효과를 가져옴에 따라 전달하고자 하는 특정 물질만의 투과능을 높일 수 없었다.
설령 유전자가 혈관 뇌 관문을 통과하였다 할지라도, 세포 섭취(cellular up-take) 및 엔도좀 포획(endosomal trapping) 과정을 무사히 거쳐야 세포에 전달될 수 있어, 동물의 유전자 치료에 있어 유전자가 조직의 표적 세포로 전달되는 과정이 가장 큰 장애물이자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본 발명자들은 신규한 유전자 전달체를 개발해 왔으며, 만니톨 및 소르비톨을 기반으로 하여 핵산과 결합능을 가지며 세포 내에 핵산을 전달하는 능력을 갖는 전달체를 제시해 온 바 있다. 그러나, 여전히 유전자 전달체 분야에서는 전달 효율이 더 높고, 특히 특정 조직에 효과적으로 핵산을 전달하는 유전자 전달체의 개발이 계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세포독성은 낮으면서 높은 형질전환 효율을 나타내는 유전자 전달체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PEI)에 디자일리톨 디아크릴레이트(dixylitol diacrylate)를 결합하여 제조한 폴리올계 삼투압적 유전자 전달체인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polydixylitol polymer, PdXYP)가 매우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면서 자일리톨 다이머 골격에 의한 혈액 뇌 관문(blood brain barrier, BBB)의 높은 투과율, 삼투압 활성으로 증가된 막 투과율 및 촉진된 세포내 섭취와 폴리에틸렌이민 골격에 의한 양성자 스폰지 효과에 의해 현저히 향상된 형질전환 효율을 나타냄을 발견하고, 상기 폴리올계 삼투압적 유전자 전달체가 유전자 치료를 위한 유전자 전달체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유전자 전달체로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형질전환 효율이 현저히 향상된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polydixylitol polymer based gene transporter, PdXYP)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에 치료 핵산을 결합시킨 핵산 전달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핵산 전달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전자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polydixylitol polymer based gene transporter, PdXYP)를 제공한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polydixylitol polymer based gene transporter, PdXYP)는 아세톤/자일리톨 응축 방법을 통해 디자일리톨(di-xylitol)을 제조하고, 상기 디자일리톨을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acryloyl chloride)로 에스테르화하여 디자일리톨 디아크릴레이트(dXYA)를 제조하며, 상기 디자일리톨 디아크릴레이트와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이민(PEI)과의 마이클 부가반응(Micheal addtion reaction)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도 1).
본 발명에서 용어, "자일리톨(xylitol)"은 C5H12O5의 화학식을 갖는 당알코올계 천연 감미료의 일종을 의미한다. 자작나무, 떡갈나무 등에서 추출되며, 특유한 5탄당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자일리톨 이량체인 디자일리톨을 이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acryloyl chloride)"는 일명 2-프로페노일 클로라이드나 아크릴산 클로라이드로도 지칭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물과 반응하여 아크릴산을 생산하거나, 카복실산 나트륨염과 반응하여 안하이드라이드(anhydride)를 형성하거나, 알코올과 반응하여 에스테르기를 형성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당알코올의 일종인 자일리톨의 이량체 디자일리톨과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 에스테르화하여 디자일리톨 디아크릴레이트(dXYA)를 형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용어,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imine, PEI)"은 일차, 이차 및 삼차 아미노기를 갖고, 1,000 내지 100,000 g/mol의 몰 질량을 갖는 양이온성 고분자로서, 음이온성을 갖는 핵산을 효과적으로 압축하여 콜로이드 입자로 만들며, pH 반응성의 완충능력으로 인한 높은 유전자전달 효율을 가져 시험관 내 및 생체 내에서 유전자를 다양한 세포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틸렌이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선형(linear) 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분지형(branched-type)일 수 있으며, 그 분자량은 세포독성을 고려하여 저분자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00 Da(중량 평균 분자량 기준)이다. 폴리에틸렌이민은 물, 알코올, 글리콜,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에스테르류 등에 용해되고, 고분자량의 탄화수소류, 올레산(oleic acid), 다이에틸에테르에는 용해되지 않는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본 발명에서 폴리에틸렌이민과 디자일리톨 디아크릴레이트는 마이클 부가반응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polydixylitol polymer based gene transporter, PdXYP)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는 양이온성을 갖는 폴리에틸렌이민을 그 일부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음이온성을 갖는 핵산의 응집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이미 유전자 전달체로 알려져 있는 폴리에틸렌이민이나 이로부터 합성할 수 있는 폴리에스터아민보다 세포독성이 더 낮고, 형질전환 효율이 더 높은 핵산 전달체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으며, 특히 그동안 뇌조직에 대한 유전자 치료의 장애물로 여겨져 왔던 혈액 뇌 관문(blood brain barrier, BBB)의 투과율을 높인 유전자 전달체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는 상태이다.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는 혈관 뇌 관문(blood brain barrier, BBB)를 높은 효율로 통과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에 리포터 유전자로 루시퍼라제 발현벡터를 결합한 핵산 전달체를 제조하였다. 이를 시험관내(in vitro) 혈관 뇌 관문(blood brain barrier, BBB) 모델과 생체 내(in vivo) 루시퍼라제 발현 바이오 이미징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를 이용한 경우 다른 유전자 전달체(PEI)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혈관 뇌 관문에 손상을 야기하지 않고 관문을 통과하여 뇌조직에 루시퍼라제 발현이 현저하게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PdXYP)를 유전자 전달체로 사용한 경우 생체 내 유전자 전달 효율이 기존 유전자 전달체들에 비해 우수할 뿐 아니라, 기존 유전자 전달체를 이용할 경우에 전달 효율이 매우 낮았던 뇌 조직에 효율적으로 유전자를 전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유전자 전달체는 상기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에 비타민 B6를 추가로 연결한 것인,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 일명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일 수 있다. 상기 비타민 B6를 추가로 연결한 것인,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는 하기 화학식 4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Figure pat00004
본 발명에서 "비타민 B6"는 피리독신(pyridoxine, PN), 피리독살(pyridoxal, PL), 피리독사민(pyridoxamine, PM) 또는 각각의 인산화 형태(PNP, PLP, PMP)등으로 존재하며, 많은 생활성 효소들의 조효소로 사용된다. 특히, 조효소로 사용되는데 있어서는, 주로 PLP 및 PMP의 형태로 사용되며, PLP는 생물학적 활성이 매우 큰 형태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활성형 비타민 B6(피리독살 5'인산, pyridoxal 5'phosphate, PLP)는 하기 화학식 5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Figure pat00005
본 발명에서는 피리독살 5'인산(pyridoxal 5'phosphate, PLP)와 상기 제조된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를 반응시켜 일시적 시프 염기(transient Schiff base)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이후 NaCNBH4를 이용하여 환원하여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를 수득하였다(도 2).
본 발명의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VB-PdXYP)는 비타민 B6 구성에 의하여 세포막에 존재하는 비타민 B6 수송체에 결합함에 따라 전달체의 세포막 부착을 유도하고, 이렇게 세포막에 부착된 뒤에는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에 의한 양성자 스폰지 효과로 세포내 핵산 유입이 효율적으로 유도되어 현저히 향상된 형질전환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세포독성이 매우 낮아 유전자 전달체로서 유전자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비타민 B6에 대한 높은 요구성을 가지고 있는 암세포에 정상세포에 비하여 높은 형질전환 효율을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는 효과적인 유전자 전달을 위해 1,000 내지 100,000 Da 범위의 분자량(중량 평균 분자량 기준)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에 핵산을 결합한 핵산 전달 복합체는 1 내지 100 mV 범위의 제타 전위(zeta potential)를 갖는 것이 효과적인 유전자 전달을 위해 바람직하며, 특히 25 내지 50 mV의 제타 전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나타낼 때, 본 발명의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는 세포의 엔도좀(endosome) 내에 효과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가 우수한 완충능력 및 유전자 전달능력(형질전환능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6 및 도 17).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디자일리톨을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acryloyl chloride)로 에스테르화하여 디자일리톨 디아크릴레이트(dXYA)를 제조하는 단계, 및 이를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이민(PEI)과 반응시켜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PdXYP)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의 제조방법은,
a) 자일리톨 및 아세톤을 이용하여 아세톤/자일리톨 응축 방법을 통해 디자일리톨(di-xylitol)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한 디자일리톨을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acryloyl chloride)로 에스테르화하여 디자일리톨 디아크릴레이트(dXYA)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한 디자일리톨 디아크릴레이트와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이민(PEI) 간에 마이클 부가반응을 수행하여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PdXYP)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디자일리톨을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acryloyl chloride)로 에스테르화하여 디자일리톨 디아크릴레이트(dXYA)를 제조하는 단계, 이를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이민(PEI)과 반응시켜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PdXYP)를 수득하는 단계, 및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PdXYP)에 비타민 B6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비타민 B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비타민 B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a) 자일리톨 및 아세톤을 이용하여 아세톤/자일리톨 응축 방법을 통해 디자일리톨(di-xylitol)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한 디자일리톨을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acryloyl chloride)로 에스테르화하여 디자일리톨 디아크릴레이트(dXYA)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한 디자일리톨 디아크릴레이트와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이민(PEI) 간에 마이클 부가반응을 수행하여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PdXYP)를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제조된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PdXYP)에 비타민 B6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에 치료 핵산이 결합된 핵산 전달 복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에 결합될 수 있는 치료 핵산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원하는 표적에 전달되어 원하는 치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어떠한 핵산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와의 복합체 형태로 전달이 가능한 유전자로는 질병과 관련된 치료 핵산의 정상 유전자, 표적 단백질의 발현 억제 유전자, 안티센스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크고 작은 폴리뉴클레오티드, 리보자임이나 siRNA를 포함하는 임의의 RNA 형태의 유전자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치료 핵산은 siRNA(small interfering RNA), shRNA(small hairpin RNA), esiRNA(endoribonuclease-prepared siRNAs),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DNA, 단일가닥 RNA, 이중가닥 RNA, DNA-RNA 혼성체(hybrid) 및 리보자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 핵산은 특히 특정 질환에 원인이 되는 유전자에 대하여, 이를 과발현시키거나 저해하기 위한 핵산일 수 있으며, 특히 암 발생 및 진행에 작용하는 유전자(oncogene)의 발현을 저해하는 siRNA(small interfering RNA), shRNA(small hairpin RNA), esiRNA(endoribonuclease-prepared siRNAs),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해당하는 핵산이나 암 발생이나 진행을 막는데 작용하는 유전자(tumor suppressor gene)의 발현을 유도하는 핵산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치료 핵산은 암세포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타민 B6 의존성 효소인 세린 하이드록시메틸전이효소(Serine hydroxymethyltransferase, SHMT)에 대한 siRNA 또는 이의 complex mixture인 esiRNA일 수 있으며, 이는 esiRNA Human SHMT1 (esiRNA1, Sigma, Cat No : EHU159081-50UG)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유전자 전달체로 상기 제조한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를 이용할 경우, 치료 핵산은 암세포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타민 B6 의존성 효소인 세린 하이드록시메틸전이효소(Serine hydroxymethyltransferase, SHMT)에 대한 siRNA 또는 이의 complex mixture인 esiRNA일 수 있으며, 이는 esiRNA Human SHMT1 (esiRNA1, Sigma, Cat No : EHU159081-50UG)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전달 복합체의 효과적인 형성을 위해 치료 핵산과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를 1:0.5 내지 1:100,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40, 더욱 바람직하게는 1:12 내지 1: 28의 몰비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의 치료 핵산에 대한 응축능(condensation capability) 및 제타 전위를 조사하기 위해 다양한 몰비로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와 DNA를 반응시킨 결과, 이들의 몰비가 1:10 초과 내지 1:30 미만인 경우에 상기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와 DNA의 유전자 전달 복합체(PdXYA/DNA)가 가장 효과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a). 본 발명에 따른 핵산 전달 복합체는 평균 50 내지 125 nm의 상대적으로 작고 균일한 입자 크기 분포를 나타내어(도 3c) 유전자 전달체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입자 크기를 가질 뿐만 아니라, 표면 전하가 25 내지 40 mV의 양성 제타 전위(zeta potential)를 나타내어(도 3a) 음이온 세포 표면에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의 형질전환 효율 및 세포독성을 조사하기 위해, 상기 유전자 전달체를 루시퍼라제와 결합시킨 핵산 전달 복합체를 다양한 세포(A549 세포, HeLa 세포 및 HepG2 세포, 도 3b)에 처리한 후 루시퍼라제 발현 측정 및 MTT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PEI25k 및 Lipofectamin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형질전환능도 대조군과 비교하여 가장 우수함을 확인했으며, 특히 세포 독성측면에 있어서 거의 대조군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세포독성이 거의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 3d).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의 생체 내 형질도입 분포 및 효율을 조사하기 위해, PdXYA/pDNA 핵산 복합체를 정맥 내 주사를 통하여 Balb/c 마우스(그룹당 4마리)에 투여하여, 생체 내 발현 및 분포를 분석한 결과, PEI/pDNA 핵산 복합체를 투여한 군과 비교하여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뇌에서 현저한 발현 증가율을 보였다.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는 DNA에 높은 결합능을 나타내고 유전자 전달체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구형의 작고 균일한 입자 크기의 유전자 전달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포내 섭취 경로를 촉진시켜 유전자 전달체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시험관 내 및 생체 내에서 매우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며, 형질전환 효율이 매우 높고 특히 그동안 혈액 뇌 관문에 의해 유전자 치료에 어려움이 있었던 뇌조직에 우수한 유전자 전달 효과를 가짐에 따라 유전자 치료를 위한 유전자 전달체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에 비타민 B6를 결합한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의 경우에는 비타민 B6 수용체를 통한 세포막 부착을 유도함으로써, 유전자 전달 효율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으며, 특히 비타민 B6의 소모량이 높은 암조직 특이적인 유전자 전달능을 가짐으로써 암치료 용도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에 치료 핵산이 결합된 핵산 전달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전자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이를 구성하는 치료 핵산의 종류에 따라 유전자 치료가 가능한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투여될 수 있으며, 경구 투여 시에는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결합제, 활택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주사제의 경우에,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화제, 안정화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국소 투여 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혼합하여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흡입 투여용 제형 또는 주사 투여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 시에는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서, 서스펜션,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단위 투약앰플 또는 다중 투약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기타 용액, 현탁액, 정제, 환약, 캡슐, 서방형 제제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흡입(inhalation)을 통한 약물 전달은 비침습적(non-invasive) 방법 중 하나로, 특히 폐 질환의 광범위한 치료에 흡입 투여용 제형(예를 들어, 에어로졸)을 통한 치료 핵산 전달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는 폐의 해부학적 구조 및 위치가 즉각적이고 비침습적인 접근을 가능케 하고, 다른 기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유전자 전달 시스템의 국소 적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제화에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디톨, 전분, 아카시아,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장관, 설하 또는 국소 투여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임상 투여를 위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적합한 제형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 시에는 불활성 희석제 또는 식용 담체와 혼합하거나, 경질 또는 연질 젤라틴 캡슐에 밀봉되거나 또는 정제로 압형하여 투여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의 경우, 유효성분은 부형제와 혼합되어 섭취형 정제, 협측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시르, 현탁액,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주사용, 비경구 투여용 등의 각종 제형은 당해 기술 분야의 공지된 기법 또는 통용되는 기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이를 구성하는 치료 핵산이 세린 하이드록시메틸전이효소(Serine hydroxymethyltransferase, SHMT)의 발현 억제를 표적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는 esiRNA Human SHMT1 (esiRNA1, Cat No : EHU159081-50U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이를 구성하는 치료 핵산의 종류에 따라 암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암은 폐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경부암, 피부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대장암, 결장암, 유방암, 자궁 육종, 나팔관 암종, 자궁내막 암종, 자궁경부 암종, 질 암종, 외음부 암종, 식도암, 소장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연조직의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유년기의 고상 종양, 분화 림프종, 방광암, 신장암, 신장 세포 암종, 신장 골반 암종, 제 1 중추신경계 림프종, 척수축 종양, 뇌간 신경교종 및 뇌하수체 아데노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 이를 포함하는 핵산 전달 복합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이용한 유전자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PdXYA)는 기존에 존재하는 핵산 전달체들보다 현저히 높은 핵산 전달율을 가지며, DNA와 결합시 결합체의 세포 독성은 거의 없고, 생체 내 형질전환 효율 또한 매우 높으며 무엇보다 그간 혈액 뇌 관문에 의해 유전자 치료에 어려움이 있었던 뇌조직에 대한 형질전환 효율이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유전자 전달체는 실험적인 유전자 전달체의 용도 뿐 아니라, 생체 내에서 다양한 조직에 대하여 이에 결합하는 치료 핵산에 따라 다양한 질환에 대한 유전자 치료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PdXYA)를 합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VB-PdXYA)를 합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의 핵산에 대한 응축능(condensation capability) 및 제타 전위를 조사하기 위해 다양한 몰비로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와 DNA를 반응시켜 입자 크기와 제타 전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의 형질전환 효율을 조사하기 위해, 상기 유전자 전달체를 루시퍼라제와 결합시킨 핵산 전달 복합체를 다양한 세포(A549 세포, HeLa 세포 및 HepG2 세포)에 처리한 후 루시퍼라제 발현 측정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와 핵산을 결합시킨 핵산 전달 복합체, 즉, 폴리플렉스를 촬영한 TEM 이미지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의 세포독성을 조사하기 위해, 상기 유전자 전달체를 루시퍼라제와 결합시킨 핵산 전달 복합체를 다양한 세포(A549 세포, HeLa 세포 및 HepG2 세포)에 처리한 후 MTT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 4는 1H NMR을 이용하여 자일리톨 이량체, 디자일리톨이 생산된 것을 확인한 도면이다.
도 5는 1H NMR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가 생산된 것을 확인한 도면이다.
도 6은 PdXYP는 pDNA와 결합하여 폴리플렉스(polyplex) 형성하는 형성능을 겔 지연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다. PdXYP와 DNA를 0.1, 0.5, 1, 2, 3 및 5 몰비(N/P)로 하여 반응시켜 생성한 PdXYP/DNA 폴리플렉스를 겔 전기영동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PdXYP는 pDNA와 결합하여 폴리플렉스(polyplex) 형성하는 형성능을 DNase 보호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다. PdXYP/DNA 폴리플렉스, PdXYP/DNA 폴리플렉스에 DNase를 처리한 군, DNA, DNA에 DNase를 처리한 군을 겔 전기영동을 통해 DNA 보호능을 확인하였다.
도 8a는 본 발명의 PdXYP/DNA 폴리플렉스의 시험관내(in vitro) 혈관 뇌 관문(BBB) 통과 실험의 개요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PdXYP/DNA 폴리플렉스의 시험관내(in vitro) 혈관 뇌 관문(BBB) 통과율을 확인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형광(FAM) 표지된 pDNA (pGL3), PdXYP-pGL3 나노플렉스 및 PEI-pGL3가 배양한 혈관 뇌 관문 상층 챔버에 처리한 후, 인큐베이션 하고 배지를 상하층 챔버로부터 각각 수득하여 형광측정(spectro-fluorometrically)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c는 시험관내(in vitro) 혈관 뇌 관문(BBB)에 본 발명의 PdXYP/DNA 폴리플렉스 처리 전 후의 내피세포 통과 전기 저항(transendo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TEER) 수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PdXYP/DNA 폴리플렉스의 생체 내 유전자 전달능, 곧 형질전환효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생체 내(in vivo) 루시퍼라제 발현 바이오 이미징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마우스에 PdXYP/pDNA 폴리플렉스, PEI/pDNA 폴리플렉스, naked pGL3 DNA를 투여하여, 생체 내 바이오 이미징을 통해 루시퍼라제 발현 효능을 측정한 도면이다.
도 9b는 마우스에 PdXYP/pDNA 폴리플렉스, PEI/pDNA 폴리플렉스, naked pGL3 DNA를 투여한 후, 마우스 모델의 뇌 조직에서 루시퍼라제 발현율, 즉 생체 내 형질전환 여부를 확인한 도면이다.
도 9c는 마우스에 PdXYP/pDNA 폴리플렉스, PEI/pDNA 폴리플렉스, naked pGL3 DNA를 투여한 후, 마우스 모델의 각 조직, 간, 심장, 신장, 이자, 폐 및 뇌 조직에서의 생체 내 형질전환 효율을 루시퍼라제 발현율 비교를 통해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PdXYP 시험관내 세포독성을 세 종류의 세포주(A549, HeLa 및 HepG2)에서 MTT 분석에 의해 평가하고 PEI 25 kDa 및 리포펙타민과 비교한 도면이다.
도 11은 세 종류의 세포주(A549, HeLa 및 HepG2)에 PdXYP/DNA, PEI/DNA 및 리포펙타민/pDNA를 처리하여 형질전환효율을 측정한 도면이다.
도 12는 지질 래프트 표지 키트 (lipid raft labeling kit, Invitrogen)을 이용하여, 지질 래프트와 PdXYP/DNA 폴리플렉스의 공위치 여부 및 카베올린 발현 유도능을 확인한 도면이다.
도 13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43962호에 개시된 유사한 구조의 폴리만니톨 기반 유전자 전달체(Polymannitol based gene transporter, PMGT)의 제조 방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4는 PdXYP, PMGT 와 PEI의 형질전환효율을 FACS로 확인한 도면이다.
도 15는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VB-PdXYP)가 정상적으로 제조되었음을 1H NMR로 확인한 도면이다.
도 16은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 및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의 완충 효과를 PEI와 비교한 도면이다.
도 17은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 및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의 유전자 전달 효율을 다양한 세포주에서 확인한 도면이다.
도 18은 암이식 동물 모델에서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 및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의 유전자 전달을 통한 항암 효과를 종양 크기 측정을 통해 확인한 바이오발광 이미지(bioluminescence image)이다.
도 19는 암이식 동물 모델에서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 및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의 유전자 전달을 통한 항암 효과를 바이오발광 이미지(bioluminescence image)을 통해 측정한 종양 크기를 그래프로 확인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사용 시약 및 물질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Polydixylitol diacryloylate polymer gene transfer, PdXYP)를 제조하고 이하 실시예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물질 및 시약을 사용하였다.
bPEI(branched Poly(ester imine), Mn: 1.2k 및 25k), DMSO(dimethyl sulfoxide), 바필로마이신 A1(bafilomycin A1) 및 MTT(3-(4,5-dimethyl thio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시약은 시그마(St.Louis, MO, USA) 제품을 사용하였다. 또한, 반딧불 루시퍼라제(firefly, Photonus pyralis)를 암호화하는 루시퍼라제 리포터(Luciferase reporter), pGL3- 벡터 및 인핸서는 프로메가(Promega, Madison, WI, USA)로부터 얻었다. GFP(Green fluorescent protein) 유전자는 클론텍(Clontech, Palo Alto, CA, USA)로부터 얻었다. 공초점 현미경 분석에는 TRITC(Tetramethylrhodamine isothiocyanate)와 YOYO-1 iodide(Molecular Probes, 인비트로젠, Oregon, USA) 염료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폴리올계 삼투압적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계 삼투압적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PdXYP) 유전자 전달체(polydixylitol based gene transporter)는 하기의 3단계를 통해 합성하였다 (도 1).
2-1. 디자일리톨 합성
본 발명자들은 하이드록시 그룹의 수와 입체 구조(stereochemistry)가 세포간 전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착안하여, 삼투압 활성 하이드록시 그룹을 조절하여 세포 내 전달 효율을 높인 유전자 전달 물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상업적으로 구매 가능한 8개의 하이드록시 그룹을 가지는 당 알코올이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도 1의 과정을 통하여 옥타머 유사체로서, 자일리톨 이량체, 디자일리톨(dixylitol)을 직접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자일리톨을 우선 Raymond 및 Hudson의 아세톤/자일리톨 응축 방법을 이용하여 디아세톤 자일리톨(diacetone xylitol, Xy-Ac) 결정으로 결정화하였다. 디아세톤 자일리톨의 말단 하이드록시 그룹을 trifluoromethyl sulphonyl chloride(CF3SO2-O-SO2CF3)와 반응시켜 트리플루오로메탄 설포닐 자일리톨(trifluoromethane sulphonyl xylitol, TMSDX)를 생산하였다. 상기 제조한 트리플루오로메탄 설포닐 자일리톨을 건조 THF 존재 하에서 디아세톤 자일리톨을 동일한 몰량으로 반응시켜 디자일리톨 디아세톤(Xy-Ac 이량체)을 형성하였다. 이 반응 생성물을 HCl/MeOH 용액에서 화학식 고리를 개방시켜 자일리톨 이량체로 최종 전환시켰다(도 1의 (a)).
2-2. 디자일리톨 디아크릴레이트의 합성
디자일리톨 디아크릴레이트(dXYA) 단량체를 2 당량의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Acryloyl chloride)로 디자일리톨을 에스테르화하여 합성하였다. DMF(20 ㎖) 및 피리딘 (10 ㎖) 중에 디자일리톨 (1 g)을 용해시키고, 일정하게 교반하면서 4 ℃에서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용액 (5 ㎖ DMF 중 1.2 ㎖ 용해)을 적하 방식으로 첨가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HCl-피리딘 염을 여과하고, 상기 여과물을 디에틸 에테르에 한 방울씩 떨어트렸다. 상기 생성물을 시럽 액으로 침전시키고 진공 하에서 건조시켰다.
2-3. 폴리자일리톨 폴리머(PdXYP)의 합성
본 발명의 폴리자일리톨 폴리머(PdXYP)는 저분자량 bPEI(Poly ethylene imide, 1.2k)와 디자일리톨 디아크릴레이트(dXYA) 간에 마이클 부가 반응을 통하여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DMSO (5 ㎖) 중에 용해된 합성 dXYA (0.38 g)를 1 당량의 bPEI (1.2 kDa, 10 ㎖ DMSO 중에 용해됨)에 적하 방식으로 첨가하고, 24 시간동안 일정하게 교반하면서 60 ℃에서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혼합물을 증류수에 대해 4 ℃에서 36 시간 동안 Spectra/Por 막(MWCO : 3500 Da; Spectrum Medical Industries, Inc., Los Angeles, CA, USA)을 사용하여 투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합성 중합체를 동결건조시키고 -70 ℃에 저장하였다.
도 4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PdXYP가 성공적으로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2-4. 폴리자일리톨 폴리머 나노플렉스 ( PdXYP nanoplex ) 형성
본 발명의 PdXYP는 pDNA와 결합하여 폴리플렉스(polyplex) 형성하는 형성능을 겔 지연 및 DNase 보호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PdXYP와 DNA를 0.1, 0.5, 1, 2, 3 및 5 몰비(N/P)로 하여 반응시켜 생성한 PdXYP/DNA 폴리플렉스를 겔 전기영동하여 겔 지연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N/P 0.1, 0.5, 1, 2 몰비에서 폴리플렉스가 효율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dXYP는 pDNA와 결합하여 폴리플렉스(polyplex) 형성하는 능력을 DNA를 DNase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지에 대한 DNase 보호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PdXYP/DNA 폴리플렉스, PdXYP/DNA 폴리플렉스에 DNase를 처리한 군, DNA, DNA에 DNase를 처리한 군을 겔 전기영동을 통해 DNA 보호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PdXYP/DNA 폴리플렉스를 형성한 경우에는 DNase로부터 DNA를 거의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폴리자일리톨 폴리머의 유전자 전달 효율 실험
3-1. 세포 배양 및 동물 실험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폴리자일리톨 폴리머를 이용한 유전자 전달 효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in vitro 및 in vivo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포 배양과 관련하여, 인간 간암 세포주 (HepG2) 및 인간 자궁암 세포주(HeLa)를 10 %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저당 Dulbecco's Modified Eagle's Culture Medium (low glucose DMEM, Sigma, USA)에서 배양하였다. 선암종 인간 폐암 세포주(A549)는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항생제 칵테일과 10% 열-비활성화 FBS (Hyclone Laboratories, USA)를 포함하는 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RPMI)-1640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아울러, 상기 모든 세포를 37 ℃, 5% CO2 표준 배양 조건 하에 두었다.
한편, 동물 실험과 관련하여, C57BL/6 마우스를 Human Cancer Consortium National Cancer Institute (Frederick, MD, USA)로부터 얻어, 23 ± 2 ℃의 온도 및 50 ± 20 % 습도 조건과 12 시간 단위의 명-암 사이클을 가지는 실험 동물 시설에 사육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시험 절차는 서울국립대학교의 동물 보호 및 사용위원회(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120409-3)에 의해 검토 승인되었다.
3-2. 시험관내 (in vitro) 혈관 뇌 관문(BBB) 통과율 분석
유전자 전달체 제조의 궁극적 목적은 생체 내 적용에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PdXYP/DNA 폴리플렉스의 능력을 검사하기 위해 시험관내(in vitro) 혈관 뇌 관문(blood brain barrier, BBB) 모델을 수립하였다.
혈관 뇌 관문 실험은 혈관 뇌 관문(BBB) 배양 6일차에 수행하였다. 형광(FAM) 표지된 pDNA (pGL3), PdXYP-pGL3 나노플렉스 및 PEI-pGL3가 배양한 혈관 뇌 관문 상층 챔버에 처리하였다. 상 하층 챔버 모두 배지는 1 mL로 유지하였다. pDNA (pGL3), PdXYP-pGL3 및 PEI-pGL3 나노플렉스의 첨가하고 37 ℃에서 2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후, 배지를 상하층 챔버로부터 각각 수득하여, 형광측정(spectro-fluorometrically)으로 분석하였다(도 8a).
그 결과, 상위 챔버(혈액 쪽)에서 PdXYP/DNA 폴리플렉스를 4시간 처리한 후, 원래 형광양의 40% 를 하위 챔버(뇌 쪽)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동일한 모델에 free pDNA를 처리한 경우에는 본래 형광의 단 1%만이 하위 챔버에서 발견되었다(도 8b). 이러한 결과는 PdXYP와 pDNA를 결합시킨 후에 pDNA의 BBB 통과효율이 현저하게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PdXYP/DNA 폴리플렉스 처리 전 (214 ± 2.52 ohm/cm2) 및 후 (211.33 ± 2.80 ohm/cm2), BBB의 내피세포 통과 전기 저항(transendo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TEER) 수치를 측정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TEER 수치는 BBB 기능과 필연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결과는 PdXYP/DNA 폴리플렉스가 BBB에 어떠한 기능적 손상도 야기하지 않고, 상기 장벽을 통과한다는 것을 나타낸다(도 8c).
이후 실험에서 본 발명자들은 PdXYP/pDNA 폴리플렉스가 BBB 모델의 하위 챔버의 성상 세포에 전달되는 효율을 측정하였다. 이는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PdXYP/pDNA 폴리플렉스를 상위 챔버에 처리하여 측정하였다. 48시간 후, 챔버 바닥의 뇌 세포는 발광 측정을 통해서 루시퍼라제 발현이 현저하게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PdXYP/DNA 폴리플렉스가 BBB를 통과한 후에도 그 기능, 즉 유전자 전달 기능을 유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3-3. 생체 내(in vivo ) 루시퍼라제 발현 바이오 이미징 및 생물 분류
생체 내 바이오 이미징 실험은 6주된 마우스에 PdXYP/pDNA 복합체를 정맥 주사를 통해 투여하여 각 기관에서 루시퍼라제 발현을 확인하여, 생체 내 유전자 전달능, 곧 형질전환효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6주된 누드 Balb/c 마우스(수컷, 그룹당 4마리)에 100 ㎕의 폴리플렉스(polyplex; PdXYP, PEI, naked pGL3) 현탁액을 정맥 주사하였다. Living Image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IVIS 이미징 시스템 100 (Xenogen)을 마우스의 상이한 기관에서 루시퍼라제 발현을 검사하기 위한 종양 바이오 이미징을 위해 사용하였다. 꼬리 정맥 주사 3일 후, 상기 마우스를 멸균 1X PBS 중에 8배 희석된 졸레틸(40 mg/kg) : 롬펀 (10 mg/kg) (4 : 1) 혼합물의 복강내(IP) 주사에 의해 마취시켰다. 20 g 마우스 (3 mg/ 마우스)에서 200 ㎕의 D-루시페린 (15 mg/ ㎖ stock in DPBS)을 복강 내 주입하여 체내에 빠르게 분포되도록 하였다. 효소 함유 루시퍼라제 발현 세포를 루시페린(luciferin)과 반응시켜 발광하도록 하고, IVIS 시스템으로 발광 정도를 측정하여 루시퍼라아제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발광 정도는 루시페린과 반응시킨 후 15분 즈음에 시작되어 15 내지 20분간 유지되는 고조기에 측정하였다. 루시퍼라제 단백질 발현 정도는 마우스의 각 기관을 적출하여 균질화한 용해물을 발광측정기를 사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상기 바이오 이미징 결과, PdXYP/pDNA를 투여한 군은 PEI/pDNA 폴리플렉스를 투여한 군과 비교하여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뇌에서 현저한 발현 증가율을 보였다(도 9a 내지 도 9c).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PdXYP를 유전자 전달체로 사용한 경우 생체 내 유전자 전달 효율이 기존 유전자 전달체들에 비해 우수할 뿐 아니라, 기존 유전자 전달체를 이용할 경우에 전달 효율이 매우 낮았던 뇌 조직에 효율적으로 유전자를 전달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실시예 4 : 시험관내 형질전환 및 세포독성 연구
4-1. PdXYA /DNA 복합체의 세포독성 실험
PdXYP 시험관내 세포독성을 세 종류의 세포주(A549, HeLa 및 HepG2)에서 MTT 분석에 의해 평가하고 리포펙타민 및 PEI 25 kDa과 비교하였다. 단층 세포층에서, 세포를 트립신 처리하고, 1 mL 성장 배지에서 10 x 104의 초기 세포 농도로 24-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80 %의 confluency로 배양한 후에 폴리플렉스 처리하였다. 세포를 무혈청 배지에서 로 처리하고, 3시간 후 혈청-함유 배지로 교체하였다. 36 시간 후, 500 ㎕ MTT 용액(0.5 mg/mL in 1xPBS)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3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상기 배지를 제거하고, 생성된 보라색 포르마잔 결정은 500 ㎕의 DMSO에 녹였다. 각 웰로부터 용해된 포르마잔(100 ㎕)을 96-웰 플레이트로 옮긴 후, VERSAmax tunable micropleate reader(Sunnyvale, CA, USA)를 이용하여 54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은 3번 반복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세포 생존율이 고농도에서 95%로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리포펙타민 및 PEI 25 kDa의 고독성과 비교하여 매우 높은 수치이다. 이러한 결과는, PdXYP가 dXY와 저분자량 PEI 간의 생분해성 에스터 결합 및 폴리자일리톨의 생체적합성를 가져 낮은 세포독성을 가짐을 시사한다. 한편, 낮은 세포독성은 PEI 25 kDa에 비해서 낮은 전하 밀도 때문일 수 있다(도 10).
4-2. PdXYA /DNA 복합체의 시험관내 형질전환
세 종류의 세포주(A549, HeLa 및 HepG2)에 PdXYP/DNA, PEI/DNA 및 리포펙타민/pDNA를 처리하여 형질전환효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PdXYP 유전자 전달체를 이용한 경우 형질전환효율이 양성 대조군 보다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dXYP는 N/P 비율이 높을 수록 더 높은 형질전환효율을 보이고 세포주에 의존적으로 형질전환효율을 보이며 특히 HeLa 세포주에서 가장 높은 형질전환효율을 보였다. 악성 종양 세포에서의 형질전환효율은 정상 세포에서보다 높았고, 어떤 경우에는 40 배 가량 높은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어, N/P 20의 조건에서 형질전환된 GFP 양성 HeLa 세포의 비율이 40 %에 달한데 비해, 정상 세포의 형질전환된 세포 비율은 일반적으로 1 % 미만이었다. 또한, HeLa 세포에서 GFP 발현 정도는 약 10000 배 더 높았다.
실시예 5 : 공위치 ( Colocalization ) 측정 및 카베올린 발현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에서 확인한 PdXYP/DNA 폴리플렉스의 우수한 시험관 내 및 생체 내 형질전환능이 어떠한 기작으로 이루어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질 래프트 표지 키트 (lipid raft labeling kit, Invitrogen)을 이용하여, 제조사가 제공하는 염색 프로토콜에 따라 지질 래프트와 폴리플렉스의 공위치 여부를 확인하였다(도 12).
그 결과, PdXYP/DNA 폴리플렉스가 카페올레 매개 엔도시토시스(caveolae mediated endocytosis)로 유도되는 것으로서 지질 래프트와 공위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2의 A). 이는 폴리자일리톨 이량체의 폴리올 그룹에 의한 높은 삼투압성 세포 외 장애(extracellular disturbance)는 카베올린-1(caveolin-1) 발현의 증가를 유도한 것으로 판단되며(도 12의 B 및 C), 이에 따라 카베올레(caveolae) 매개 엔도시토시스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6 : 폴리만니톨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의 물리화학 적 특성, 삼투압 활성 및 형질전환능의 비교
본 발명자들은 기존에 제작하였던 폴리만니톨 기반 유전자 전달체(PMGT)와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PdXYP)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유전자 전달체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6-1. 폴리만니톨 기반 유전자 전달체 제조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의 우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사한 구조의 폴리만니톨 기반 유전자 전달체를 제조하였다. 이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43962호에 개시된 본 발명자들이 제조한 유전자 전달체로 해당 특허에 개시된 방법을 통하여 제조하였다(도 13).
간략하게 정리하면, 만니톨을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acryloyl chloride)와 반응시켜 에스테르화하여 만니톨 디메타크릴레이트(Mannitol dimethacrylate, MDM) 단량체를 생성하였다. 이후 만니톨 디메타크릴레이트와 분지형 폴리에틸렌이민(branched polyethylenimine, bPEI, 1.2 kDa)을 마이클 부가 반응을 통해 반응시켜, 폴리만니톨 기반 유전자 전달체(PMGT)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폴리만니톨 기반 유전자 전달체와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의 각종 특성들을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6-2. PMGT /DNA 및 PdXYP 폴리플렉스의 입자크기
본 발명 PdXYP 또는 상기 실시예 6-1에서 제조한 PMGT를 DNA와 결합시켜 폴리플렉스를 생성하였으며, 각각의 입자 크기를 측정하였다. PdXYP/DNA 폴리플렉스 및 PMGT/DNA 폴리플렉스의 입자 크기는 상당히 다양하게 존재하였으나, PdXYP/DNA 폴리플렉스의 입자가 PMGT/DNA 폴리플렉스에 비하여 더 작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하이드록시 그룹이 PdXYP에 더 많이 존재함에 따라 PdXYP의 핵산 응집력이 더 강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6-3. PdXYP PMGT의 형질전환효율 측정
PdXYP 또는 PMGT와 GFP를 발현하는 발현 벡터(tGFP)를 결합시켜 폴리플렉스를 생성하고, 세포에 처리하여 형질전환효율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플렉스를 세포에 처리한 후 약 48시간 후에 GFP 발현여부를 FACS로 확인하여 PdXYP와 PMGT의 형질전환효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PMGT/tGFP의 경우에는 38.2%의 형질전환효율을 보인 반면, PdXYP/tGFP의 경우에는 47.8%의 형질전환효율을 보였다. 더욱이, 도 1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PdXYP/tGFP의 경우에는 GFP 형광 세기가 높은 세포 분포가 현저히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6-4. 삼투압 측정
먼저, 다양한 농도(2%, 3%, 5% 및 10%)의 만니톨, 만니톨디메타크릴레이트(MDM), PEI, PMGT 및 DNA 폴리플렉스 수용액에서 용액의 어는점 강하로부터 계산하여 삼투압을 mOsm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농도 삼투압 [mOsm]
만니톨 만니톨 디메타크릴레이트(MDM) PMGT PEI 1.2 kDa PMGT/DNA polyplex
(N/P 20)
PEI/DNA polyplex
(N/P 20)
2% 144 61 69 0 70 8
3% 267 104 111 14 101 26
5% 391 142 151 25 139 33
10% 788 299 332 56 273 65
다음으로, 다양한 농도(2%, 3%, 5% 및 10%)의 자일리톨, 디자일리톨 디아크릴레이트(PdXYA), PEI, PdXYP 및 DNA 폴리플렉스 수용액에서 용액의 어는점 강하로부터 계산하여 삼투압을 mOsm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농도 삼투압 [mOsm]
자일리톨 디자일리톨 디아크릴레이트(MDM) PdXYP PEI 1.2 kDa PdXYP/DNA polyplex
(N/P 20)
PEI/DNA polyplex
(N/P 20)
2% 132 135 177 0 156 8
3% 235 282 319 14 321 26
5% 340 545 623 25 590 33
10% 677 876 899 56 802 65
상기 표 1 및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PdXYP를 이용한 경우에 기존 유전자 전달체인 PEI, PMGT 등에 비해 현저히 높은 삼투압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PdXYP를 이용한 경우에 높은 삼투압을 지니고 있어 세포막 흡수율이 우수함을 유추할 수 있다.
6-5. 세포 흡수 기작(cellular uptake mechanism) 비교
PMGT 및 PdXYP의 세포 흡수 기작에서의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A549 세포에 PMGT를 처리하였을 때에는 COX-2 발현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한데 비하여, PdXYP를 처리하였을 때에는 카베올린-1(caveolin-1)의 발현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vitamin B6 conjugated polydixylitol polymer based gene transporter, VB-PdXYP)
본 발명자들은 상기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에 비타민 B6를 결합한 유전자 전달체를 제조하였다. 비타민 B6(VB6)는 세포의 생장이나 증식에 필요한 DNA 생합성을 포함한 다양한 세포 대사에 작용하는 조효소(coenzyme)로, 세포막에 존재하는 VB6 수송체(VB6 transporting membrane carrier, VTC)에 의해서 촉진확산(facillitated diffusion)되어, 세포 내로 유입된다. 특히, 암세포에서는 세포의 생장 및 증식이 활발하게 일어남에 따라, 암세포는 일반 성체 세포에 비하여 비타민 B6를 다량으로 요구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VB-PdXYP)는 비타민 B6 구성에 의하여 세포막에 존재하는 비타민 B6 수송체에 결합함에 따라 전달체의 세포막 부착을 유도하고, 이렇게 세포막에 부착된 뒤에는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에 의한 양성자 스폰지 효과로 세포내 핵산 유입이 효율적으로 유도되어 현저히 향상된 형질전환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세포독성이 매우 낮아 유전자 전달체로서 유전자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비타민 B6에 대한 높은 요구성을 가지고 있는 암세포에 정상세포에 비하여 높은 형질전환 효율을 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VB-PdXYP)를 제조하여 동물실험을 통해 이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8: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vitamin B6 conjugated polydixylitol polymer based gene transporter, VB - PdXYP ) 제조 및 in vitro 효과 확인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PdXYP)에 존재하는 일차 아민(primary amine) 중 10 몰%(10 mol-%)은 비타민 B6 (피리독살 5'인산, pyridoxal 5'phosphate, PLP, VB6)와 반응하여 일시적 시프 염기(transient Schiff base)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이후 NaCNBH4를 이용하여 환원하여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VB-PdXYP)를 수득하였다(도 2).
구체적으로는, 실온에서 수용액 상태의 VB6(25 mg/mL) 10 mL를 PdXYP(1 g)과 NaHCO3(100 mg)이 녹아있는 50 mL의 수용액에 한 방울씩 떨어뜨려서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강하게 섞어주었다. 그 후, 시프 염기를 이차 아민(secondary amine)으로 환원시키기 위해 NaCNBH4(50 mg)를 첨가했다. 반응된 혼합액을 증류수에 대해 4 ℃에서 24시간 동안 Spectra/Por 막(MW cutoff 3.5k; Spectrum Medical Industries, Inc., Los Angeles, CA, USA)을 사용하여 투석하였다. 최종적으로 그 용액을 감압 하에 동결건조하고 사용하기 전까지 -20 ℃에 보관하였다.
이렇게 수득한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VB-PdXYP)가 정상적으로 제조되었음을 1H NMR로 확인하였다(도 15).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조한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 및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의 완충 효과를 PEI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1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PEI에 비해서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 및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의 완충 능력이 월등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의 완충 능력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조한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 및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의 유전자 전달 효율을 다양한 세포주에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 및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는 기존 유전자 전달체(리포펙타민)에 비하여 우수한 유전자 전달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의 유전자 전달능이 다양한 세포주에서, 특히 암세포주에서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17).
실시예 9: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의 생체 내 효과 실험
다음으로 본 발명자는 상기 제조한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의 생체 내 유전자 전달 효과, 특히 항암 효과를 지니는 siRNA를 전달하여 암치료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6주령된 누드(nude) Balb/c 마우스 (수컷, 한 그룹당 4마리)에 루시퍼라제(luciferase)를 발현하는 A549 (PerkinElmer, MA, USA) 3 x 106개의 단일 세포를 포함하는 현탁액 100 ㎕를 피하주사하였다.
상기 피하주사를 통해 투여한 후 한달 후, A549 세포가 개체 내 조직에 부착되어 자라난 종양의 크기가 800 x 1000 mm3에 도달하면, 본 발명의 비타민 B6 결합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를 이용하여 siSHMT1 전달을 통한 종양치료를 시작하였다.
VB-PdXYP/siSHMT1 (30 mg) 복합체 (N/P 20)이 녹아있는 일반 식염수 100 ㎕를 종양에 48시간 간격으로 한 달 동안 직접 주사하였다. 동일한 조건에서 제조한 PdXYP/siSHMT1 복합체 (N/P 20)가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일반 식염수를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Living Image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IVIS 이미징 시스템 100 (Xenogen)을 이용하여, 종양크기에 대한 상기 처리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종양 바이오이미지를 수득하였다.
이를 위해, 졸레틸 (Zoletil) 40 mg/kg: 롬펀 (Rompun) 10 mg/kg를 4:1로 섞은 혼합액을 멸균된 1xPBS로 8배 희석시켜 복강 내 주사로 마우스를 마취하였다. 20 g 마우스 (3 mg/ 마우스)에서 200 ㎕의 D-루시페린 (15 mg/ ml stock in DPBS)을 복강 내 주입하여 체내에 빠르게 분포되도록 하였다. A549 세포 유래 종양에서 발현된 루시퍼라제는 상기 주입한 루시페린 (luciferin)과 반응하여 발광하게 되므로, 그 발광을 IVIS 시스템에서 잡아서 종양크기에 비례한 강도를 이미지로 확인하였다. 측정 이미지는 발광 안정기에 수득하는데, 일반적으로 발광 안정기는 루시페린 주입 후 15분 후부터 15 내지 20 분간 지속된다. 또한, 처리 기간 동안 종양 크기는 버니어 캘리퍼를 이용해서 매주 측정하였다. 종양크기는 평균지름(입경, 직경)으로 측정되었으며, m = 0.5 x a x b2 공식을 이용하였다 (상기 a와 b는 각각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직경과 가장 큰 직경이다).
상기 폴리플렉스 투여하고 1개월 후 바이오발광 이미지(bioluminescence image)를 수득하였으며, 바이오발광 강도 측정을 통해 VB-PdXYP/siSHMT1 처리군의 종양 크기(전체의 79% 감소)의 감소와 종양 성장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에 비해, 음성 대조군의 종양은 처음 종양 크기보다 몇 배 커졌다. 아울러, PdXYP/siSHMT1을 처리한 대조군의 경우에는 종양 크기가 증가하지는 않아 종양 성장을 억제하는 것은 성공하였으나, VB-PdXYP/siSHMT1을 처리한 실험군에 비하여 종양 크기의 감소의 효과는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도 18 및 도 19).
상기 결과들을 종합하면, 본 발명의 유전자 전달체의 생체 내 적용을 제시하는 많은 유력한 결과가 관찰되었다. 본 발명의 유전자 전달체는 듬성듬성한 양전하의 존재로 인해 pDNA를 생리학적 단백질과의 상호작용 및 응집이 없는 더 작은 입자 크기(100 nm)로 응축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업적인 유전자 전달체와 비교하여 엔도시토시스 경로의 선택적 자극으로 인해 높은 형질전환효율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시험관 내 및 생체 내에서 손상되지 않고 혈관 뇌 관문을 통과하여 유전자 전달하는 능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에 비타민 B6를 결합한 유전자 전달체를 제조한 결과 우수한 완충능력 및 유전자 전달능, 특히 암세포에 효과적으로 유전자를 전달하여 항암 핵산을 전달하는 경우 우수한 항암 효능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polydixylitol polymer based gene transporter, PdXYP).
    [화학식 1]
    Figure pat00006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에 비타민 B6를 추가로 연결한 것으로,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인,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
    [화학식 4]
    Figure pat00007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체는 혈관 뇌 관문(blood brain barrier, BBB)를 통과하는 것이 특징인,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
  4. a) 자일리톨 및 아세톤을 이용하여 아세톤/자일리톨 응축 방법을 통해 디자일리톨(di-xylitol)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한 디자일리톨을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acryloyl chloride)로 에스테르화하여 디자일리톨 디아크릴레이트(dXYA)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한 디자일리톨 디아크릴레이트와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이민(PEI) 간에 마이클 부가반응을 수행하여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PdXYP)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를 제조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이민(PEI)은 50 내지 10,000 Da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인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이민(PEI)은 분지형(branched-type)인 것인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마이클 부가반응이 40 내지 100 ℃에서 1 내지 72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방법.
  8. a) 자일리톨 및 아세톤을 이용하여 아세톤/자일리톨 응축 방법을 통해 디자일리톨(di-xylitol)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한 디자일리톨을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acryloyl chloride)로 에스테르화하여 디자일리톨 디아크릴레이트(dXYA)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한 디자일리톨 디아크릴레이트와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이민(PEI) 간에 마이클 부가반응을 수행하여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PdXYP)를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제조된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PdXYP)에 비타민 B6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타민 B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를 제조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에 핵산이 결합된 핵산 전달 복합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과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가 1:0.5 내지 1:100의 몰비로 결합되는 것인 핵산 전달 복합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 전달 복합체가 50 내지 150 n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인 핵산 전달 복합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 전달 복합체가 25 내지 40 mV 범위의 제타 전위를 나타내는 것인, 핵산 전달 복합체.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핵산이 siRNA(small interfering RNA), shRNA(small hairpin RNA), esiRNA(endoribonuclease-prepared siRNAs),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DNA, 단일가닥 RNA, 이중가닥 RNA, DNA-RNA 혼성체(hybrid) 및 리보자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형태인, 핵산 전달 복합체.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핵산이 세린 하이드록시메틸전이효소(Serine hydroxymethyltransferase, SHMT)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인, 핵산 전달 복합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핵산이 세린 하이드록시메틸전이효소의 발현을 억제하는, esiRNA Human SHMT1 (sigma aldrich)로 카탈로그 번호 EHU159081-50UG에 해당하는 esiRNA인 것인 핵산 전달 복합체.
  16. 제9항의 핵산 전달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전자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 전달 복합체가 흡입 투여용 제형 또는 주사 투여용으로 제형화된, 조성물.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 전달 복합체에 포함된 치료 핵산이 세린 하이드록시메틸전이효소(Serine hydroxymethyltransferase, SHMT)의 발현 억제를 표적하는 것인,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암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가지는 것인,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경부암, 피부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대장암, 결장암, 유방암, 자궁 육종, 나팔관 암종, 자궁내막 암종, 자궁경부 암종, 질 암종, 외음부 암종, 식도암, 소장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연조직의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유년기의 고상 종양, 분화 림프종, 방광암, 신장암, 신장 세포 암종, 신장 골반 암종, 제 1 중추신경계 림프종, 척수축 종양, 뇌간 신경교종 및 뇌하수체 아데노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50151334A 2014-10-30 2015-10-29 폴리올계 삼투압적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 및 이의 용도 KR101809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439 2014-10-30
KR20140149439 2014-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789A true KR20160053789A (ko) 2016-05-13
KR101809795B1 KR101809795B1 (ko) 2017-12-18

Family

ID=55857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334A KR101809795B1 (ko) 2014-10-30 2015-10-29 폴리올계 삼투압적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86083B2 (ko)
EP (1) EP3214178B1 (ko)
KR (1) KR101809795B1 (ko)
WO (1) WO201606861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2663A1 (ko) * 2020-03-13 2021-09-16 엘바이오 주식회사 암 줄기세포 특이 결합 펩타이드를 함유하고 비타민 b6가 결합된 폴리올 기반 폴리디자일리톨 유전자전달체 및 암 줄기세포 표적 치료 기술
WO2022158934A1 (ko) * 2021-01-25 2022-07-28 엘바이오 주식회사 나노체인 형태의 핵산 전달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유전자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9108A (ko) 2021-10-25 2023-05-03 바이오그래핀 주식회사 질소 도핑된 그래핀 양자점을 포함하는 유전자 전달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601B1 (ko) * 2004-09-17 2008-02-2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생분해성인 선형폴리에틸렌이민과 폴리에테르의 공중합체를 이용한 새로운 유전자 전달체
US7358223B2 (en) 2004-10-04 2008-04-15 Nitto Denko Corporation Biodegradable cationic polymers
WO2010125544A1 (en) 2009-04-30 2010-11-04 Genetic Immunity Kft. Immunogenic nanomedicine composition and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KR101239492B1 (ko) 2011-03-25 2013-03-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폴리소르비톨계 삼투압적 활성 전달체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 치료
KR101459833B1 (ko) 2012-09-24 2014-11-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폴리만니톨계 삼투압적 유전자 전달체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 치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2663A1 (ko) * 2020-03-13 2021-09-16 엘바이오 주식회사 암 줄기세포 특이 결합 펩타이드를 함유하고 비타민 b6가 결합된 폴리올 기반 폴리디자일리톨 유전자전달체 및 암 줄기세포 표적 치료 기술
KR20210115532A (ko) * 2020-03-13 2021-09-27 엘바이오 주식회사 암 줄기세포 특이 결합 펩타이드를 함유하고 비타민 b6가 결합된 폴리올 기반 폴리디자일리톨 유전자전달체 및 암 줄기세포 표적 치료 기술
CN115279420A (zh) * 2020-03-13 2022-11-01 埃尔比奥股份有限公司 含有癌症干细胞特异性结合肽且与维生素b6结合的基于多元醇的聚二木糖醇基因转运体及癌症干细胞靶向治疗技术
CN115279420B (zh) * 2020-03-13 2024-05-28 埃尔比奥股份有限公司 含有癌症干细胞特异性结合肽且与维生素b6结合的基于多元醇的聚二木糖醇基因转运体
WO2022158934A1 (ko) * 2021-01-25 2022-07-28 엘바이오 주식회사 나노체인 형태의 핵산 전달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유전자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46309A1 (en) 2017-08-31
EP3214178A1 (en) 2017-09-06
EP3214178A4 (en) 2018-07-11
EP3214178B1 (en) 2023-10-04
US10086083B2 (en) 2018-10-02
WO2016068617A1 (ko) 2016-05-06
KR101809795B1 (ko) 201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lhadj et al. Multifunctional targeted liposomal drug delivery for efficient glioblastoma treatment
Zhu et al. Dual-responsive polyplexes with enhanced disassembly and endosomal escape for efficient delivery of siRNA
Shi et al. Fullerene (C60)-based tumor-targeting nanoparticles with “off-on” state for enhanced treatment of cancer
Yu et al. Triple-layered pH-responsive micelleplexes loaded with siRNA and cisplatin prodrug for NF-Kappa B targeted treatment of metastatic breast cancer
Guo et al. Ternary complexes of amphiphilic polycaprolactone-graft-poly (N, 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DNA and polyglutamic acid-graft-poly (ethylene glycol) for gene delivery
JP2010526091A5 (ko)
JP2010526091A (ja) 癌の処置のための生物学的な標的基の改変
Shukla et al. Multifunctional hybrid nanoconstructs facilitate intracellular localization of doxorubicin and genistein to enhance apoptotic and anti-angiogenic efficacy in breast adenocarcinoma
US20220241317A1 (en) Conjugation of lipophilic albumin-binding moiety to rna for improved carrier-free in vivo pharmacokinetics and gene silencing
US20170216445A1 (en) Cxcr4 inhibiting carriers for nucleic acid delivery
Hou et al. A novel high drug loading mussel-inspired polydopamine hybrid nanoparticle as a pH-sensitive vehicle for drug delivery
KR101809795B1 (ko) 폴리올계 삼투압적 폴리디자일리톨 폴리머 유전자 전달체 및 이의 용도
Yan et al. Redox-responsive multifunctional polypeptides conjugated with au nanoparticles for tumor-targeting gene therapy and their 1+ 1> 2 synergistic effects
KR101734018B1 (ko) 비타민 b6 결합 핵산 전달체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 암치료
KR20140038288A (ko) 표적화된 리포솜
Gao et al. Polyplexes by polymerized dequalinium and bifunctional aptamer for mitochondrial targeting drug release to overcome drug resistance
Gu et al. Azo Reductase Activated Magnetic Resonance Tuning Probe with “Switch-On” Property for Specific and Sensitive Tumor Imaging in Vivo
Xie et al. EGFR-targeted and gemcitabine-incorporated chemogene for combinatorial pancreatic cancer treatment
JP2022532196A (ja) ナノ小胞とその核酸送達への使用
JP7535327B2 (ja) がん幹細胞特異結合ペプチドを含みビタミンb6が結合されたポリオール基盤ポリジキシリトール遺伝子伝達体及びがん幹細胞標的治療技術
KR102626595B1 (ko) 뇌 혈관 및 뇌 종양 장벽을 통과해 뇌종양 치료를 위한 하이드록시메틸전이효소(SHMT1) siRNA가 탑재된 고삼투압성 나노체인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뇌종양 치료기술
KR101459185B1 (ko) 스페르민 공중합체 및 이를 핵산 전달체로 이용하는 유전자 치료
US20240165241A1 (en) Targeted delivery of drug molecules with drug ligands conjugated to rna nanoparticle motion elements
Samec Novel Peptide Biomaterials for Enhanced Delivery of siRNA Cargo for Treatment of Ovarian Cancer
TW202018080A (zh) Rna奈米結構,其製備方法和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