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2558A -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2558A
KR20160052558A KR1020167005902A KR20167005902A KR20160052558A KR 20160052558 A KR20160052558 A KR 20160052558A KR 1020167005902 A KR1020167005902 A KR 1020167005902A KR 20167005902 A KR20167005902 A KR 20167005902A KR 20160052558 A KR20160052558 A KR 20160052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ection
sleeve
holding member
fixing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5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9419B1 (ko
Inventor
클라우스 랑
마르틴 하우크
토마스 프로이호퍼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52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2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several injectors fed by a common pumping element, or having several pumping elements feeding a common injecto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cutting-out pumps, pumping elements, or injectors;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variably interconnecting pumping elements and injectors alternatively
    • F02M63/0225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a common rail feeding several injectors ; Means for varying pressure in common rails; Pumps feeding common rails
    • F02M63/0275Arrangement of 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02M55/025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4Arrangements of injectors with respect to engines; Mounting of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462Arrangement of fuel conduits, e.g. with valves for maintaining pressure in the pipes after the engine being shut-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03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means for reducing or avoiding stress, e.g. the stress caused by mechanical force, by fluid pressure or by temperature vari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09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means for reduc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26Fuel-injection apparatus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other tha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30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mechanical parts, the movement of which is damped
    • F02M2200/306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mechanical parts, the movement of which is damped using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0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 F02M2200/8084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involving welding or sold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5Mounting of fuel injection apparatus
    • F02M2200/855Mounting of fuel injection apparatus using clamp elements or fastening means, e.g. bolts or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5Mounting of fuel injection apparatus
    • F02M2200/857Mounting of fuel 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ounting fuel or common rail to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1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the position of the plates to be connected being adjustable
    • F16B5/0225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the position of the plates to be connected being adjustable allowing for adjustment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부품(2), 특히 연료 분배기(2)를 내연기관(16)에 고정하기 위해 홀더(3)가 사용된다. 이 경우 홀딩 부재(9)가 제공되고, 상기 홀딩 부재는 부품측 연결 섹션(10)을 갖는다. 부품측 연결 섹션(10)에서, 홀딩 부재(9)는 부품(2)에 연결 가능하다. 또한 홀딩 부재(9)는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을 갖고, 상기 연결 섹션에서 홀딩 부재(9)는 고정 수단(15)에 의해 내연기관(6)에 고정 가능하다. 이 경우 수용부(12)와 고정 슬리브(13)가 제공된다. 수용부(12)는 고정 슬리브(13)를 홀딩 부재(9)의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고정 슬리브(13)는 관통 개구(39)를 갖고, 상기 관통 개구를 통해 고정 수단(15)이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홀더(3)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시된다. 또한 연결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연결 방법{HOLDER FOR FASTENING A FUEL DISTRIBUTOR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CONNECTING METHOD}
본 발명은 부품, 특히 연료 분배기를 내연기관에 고정하기 위한 홀더, 부품및 상기 홀더를 포함하는 장치, 및 관형 베이스 바디를 포함하는 부품을 적어도 하나의 홀더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DE 10 2008 044 165 A1호에는 하우징을 가진 내연기관용 연료 분배기가 개시되어 있다. 연료 분배기에 다수의 분사 밸브들이 연결되고, 상기 밸브들은 고압 상태의 연료를 상기 밸브에 직접 할당된 연소실 내로 분사한다. 연료 분배기의 고정을 위해 스크루 홀더가 사용된다. 조립 스크루가 스크루 홀더의 보어 내로 삽입된다. 조립 스크루의 샤프트는 스크루 홀더의 2개의 측면에 대해 각각 링디스크 형태의 댐핑 부재를 포함한다. 조립 스크루는 스크루 헤드로부터 떨어져 있는 측면에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스크루 고정부와 간격 슬리브를 포함한다. 연료 분배기와 설치 구조 사이 및 추가로 조립 스크루의 영역에 댐핑 부재가 배치되면, 연료 분배기와 설치 구조 사이의 금속 콘택 없이 완전한 절연이 달성되고, 이로 인해 조립 스크루를 통해 설치 구조 내로 구조 전달 음의 전달의 최대 감소가 이루어진다.
DE 10 2008 044 165 A1호에 개시된 연료 분배기 및 이와 관련한 연료 분배기의 고정은, 스크루 홀더의 보어의 위치 정확성 및 고정의 위치 정확성이 낮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로 인해 조립을 위해 공차가 유지되어야 하지만, 상기 공차는 연료 분배기에 대한 위치 부정확성을 야기한다. 또한 실제로 다수의 스크루 홀더들이 필요하다. 그러한 경우에 고정 시 연료 분배기에 의한 위치 부정확성으로 인해 기계적 응력이 나타난다. 이는 이러한 고정을 가진 개시된 연료 분배기의 가능한 사용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낮은 제조 비용과 개선된 사용 범위를 가능하게 하는,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홀더, 청구항 제 9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장치 및 청구항 제 10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연결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 청구항 제 9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장치 및 청구항 제 10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연결 방법은, 개선된 실시예가 가능해진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특히 우선 큰 개별 부품 공차들이 가능해질 수 있고, 후속해서 사전 설정된 어셈블리 공차들에 대한 높은 요구가 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낮은 제조 비용과 동시에 개선된 사용 범위도 달성된다.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 조치들에 의해 청구항 제 1 항에 제시된 홀더, 청구항 제 9 항에 제시된 장치 및 청구범위 제 10 항에 제시된 연결 방법의 바람직한 개선이 가능하다.
내연기관에 홀딩 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수단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다. 고정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고정 스크루가 사용될 수 있다. 내연기관에 홀딩 부재의 고정은 내연기관에서 직접, 특히 내연기관의 실린더 헤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홀딩 부재는 적절한 설치 구조에 의해서도 내연기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내연기관에 부품, 특히 연료 분배기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홀딩 부재는 고정 수단에 의해 적어도 간접적으로 내연기관에 연결된다.
부품은 바람직하게 연료 분배기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연료 분배기는 경우에 따라 소정의 양의 연료를 저장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고, 개별 연료 분사 밸브로 연료를 분배할 수 있다. 연료 분사 밸브들은 이 경우 적절한 방식으로 연료 분배기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연료 분배기에 컵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컵 내로 내연기관의 필러 넥(filler neck)이 삽입된다. 내연기관에 연료 분사 밸브들의 고정은 이 경우 또한 연료 분배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연료 분배기는 적어도 홀더에 의해 내연기관에 고정된다. 물론, 연료 분사 밸브들은 내연기관에 별도로 고정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부품측 연결 섹션에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은 실린더 재킷면의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이로써 조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홀딩 부재의 부품측 연결 섹션은 예를 들어 부품의 관형 베이스 바디에 지지될 수 있다. 후속해서 홀딩 부재는 관형 베이스 바디에 대해 이동될 수 있고, 이로써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은 관형 베이스 바디의 축을 따른 회전 이동 및/또는 선형 이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면과 관형 베이스 바디의 외부면 사이의 접촉이 유지되고, 접촉은 면으로 이루어진다. 정확한 위치가 달성되면, 관형 베이스 바디에 홀딩 부재의 부품측 연결 섹션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에 고정 슬리브가 배치될 수 있는 리세스가 제공되고, 고정 슬리브와 리세스 사이에 위치 설정 갭이 제공되고, 상기 갭은 수용부에 의해 고정부측 연결 섹션에 고정 슬리브를 연결하기 전에,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에 대해 고정 슬리브의 축방향으로 및/또는 고정 고정 슬리브의 적어도 하나의 방사방향으로 고정 슬리브의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더 큰 공차를 갖는 개별 부품들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그럼에도 개별 부품들의 최종 위치의 상응하게 정확한 결정에 의해 높은 정확성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로써 일반적으로 덜 정확하지만 저렴한 제조 방법들이 개별 부품들의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탬핑 벤딩 부품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홀더는 스탬핑 벤딩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개별 부품들의 비용 집약적인 후처리가 감소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완전히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바람직하게,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에 제공된 리세스는 관통 보어로서 형성된다. 고정 슬리브는 그러한 경우에 관통 보어 내에서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에 대해 위치 설정될 수 있다. 관통 보어는 이 경우 측면으로 폐쇄된다. 그러나,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에 제공된 리세스가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의 한 측면에 대해 개방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 인해 고정 슬리브는 개방 측면으로부터 고정부측 고정 섹션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상응하게 좁은 관통 보어 내로 삽입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고정 슬리브의 형상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수용부는 부분링 형상의 수용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고정 슬리브를 원주를 따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그러나, 수용부가 링형 수용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가 고정 슬리브를 원주를 따라 둘러싸는 것도 가능하다. 개별 부품들이 서로 위치 설정되는 경우, 수용부에 의해 고정 슬리브와 홀딩 부재의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 사이의 연결이 형성된다. 고정 슬리브에 수용부의 연결 및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에 수용부의 연결은 예를 들어 용접, 납땜 또는 접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다른 수용부가 제공되고, 다른 수용부는 홀딩 부재의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에 고정 슬리브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고,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은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에 고정 슬리브를 연결하기 위해 수용부와 다른 수용부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수용부 및 다른 수용부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수용부 및 다른 수용부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들은 디스크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이한 디스크 두께 및/또는 상이한 디스크 외경 및/또는 상이한 디스크 내경을 가질 수 있다. 2개의 수용부에 의해 고정 슬리브와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 사이의 연결의 더 높은 부하 수용 능력이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용부는 외부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홈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이 측면으로 개방되어 있는 경우, 수용부는 외부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홈을 갖는다. 이 경우 또한 바람직하게,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은 고정 슬리브를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의 리세스에 연결하기 위해 수용부의 홈 내로 맞물린다. 이로써 수용부에 의해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서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 및 고정 슬리브에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동시에 이로 인해 조립이 간단해지는데, 그 이유는 부품들의 개수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고정 슬리브는 고정 섹션을 갖고,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에 고정 슬리브를 연결하기 위한 수용부가 상기 고정 섹션에 배치되고, 고정 슬리브는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에 고정 슬리브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 섹션에 대해 테이퍼링되어 형성된다. 이로 인해 고정 슬리브의 접속부 직경이 일정할 때 좁은 조립 공간을 위해 고정 슬리브는 단부 섹션들 사이의 적어도 중앙 섹션에서 테이퍼링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조적 형상, 특히 중간 섹션의 외경이 작아질 수 있다. 고정 슬리브의 중앙 섹션이 2개의 단부 섹션에 대해 테이퍼링되어 형성되는 경우에,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은 측면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므로, 고정 슬리브의 삽입이 가능해질 수 있다.
부품의 베이스 바디의 형성 시 바람직하게, 베이스 바디의 외부면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 영역은 실린더 재킷면의 부분으로서 형성되고, 이 경우 이와 관련한 홀더의 부품측 연결 섹션은 베이스 바디의 외부면에 있는 고정 영역에 고정된다. 이는 조립 시, 즉 최종 고정 전에 고정 영역에 부품측 연결 섹션의 면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위치 설정이 실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기에 설명되며, 도면에서 상응하는 부재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부품과 다수의 홀더를 포함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개략적으로 발췌 도시한 단면도 및 내연기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III으로 표시된 방향으로부터 볼 때 도 2에 도시된 장치를 개략적으로 발췌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제 2 실시예에 따라 부품과 다수의 홀더를 포함하는 장치의 조립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V로 표시된 방향으로부터 볼 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개략적으로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개략적으로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장치의 수용부를 개략적으도 도시한 축방향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개략적으로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개략적으로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라 부품(2) 및 다수의 홀더(3, 4, 5)를 포함하는 장치(1)를 개략적으로 발췌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부품(2)은 실린더 재킷형의 외부면(7)을 가진 관형 베이스 바디(6)를 포함한다. 또한 부품(2)은 길이방향 축(8)을 갖고, 상기 축을 따라 관형 베이스 바디(6)가 연장된다. 부품(2)은 예를 들어 연료 분배기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급된 연료를 다수의 연료 분사 밸브에 분배하기 위해, 관형 베이스 바디(6)에 적합한 배출부들, 특히 컵들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부들 또는 컵들은 명료함을 위해 도시되지 않는다.
홀더(3)는 부품측 연결 섹션(10)과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을 가진 홀딩 부재(9)를 포함한다. 또한 홀더(3)는 수용부(12)와 고정 슬리브(13)를 포함한다. 고정축(14)으로서 사용되는 축은 고정 슬리브(13)에 의해 규정된다. 홀더(3)에 할당된, 고정 스크루(15)로서 형성된 고정 수단(15)은 축(14)을 따라 고정 슬리브(13)를 통해 안내됨으로써, 홀딩 부재(9)의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을 내연기관(16;도 2)에, 특히 내연기관(16)의 실린더 헤드에 고정한다. 고정 슬리브(13)의 하부면(17)과 내연기관(16)의 표면(18) 사이에 이 경우 간격 슬리브(19)가 배치될 수 있다. 디커플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간격 슬리브(19)는 이 경우 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슬리브(13)의 축(14)과 하부면(17) 또는 고정 슬리브(13)의 하부면(17)이 위치하는 면은 교차점(20)을 갖는다. 교차점(20)은 이 경우 축(14)과 정렬면(21; 도 2)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홀더(4, 5)는 부품측 연결 섹션(10A, 10B)과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A, 11B)을 갖는 홀딩 부재(9A, 9B)를 포함한다. 또한 홀더(4, 5)는 수용부(12A, 12B)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A, 11B)에 고정 슬리브(13A, 13B)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고정 슬리브(13A, 13B)에 의해 축들(고정축; 14A, 14B)이 규정된다. 고정 수단(15)에 상응하는 도시되지 않은 고정 수단에 의해 경우에 따라서 간격 슬리브(19)에 상응하는 도시되지 않은 간격 슬리브를 사용해서 실린더 헤드(16)의 다수의 지점에 고정이 가능하다. 홀더(4, 5)의 고정 슬리브(13A, 13B)의 하부면(17A, 17B)은 이 경우 바람직하게 고정 슬리브(13)의 하부면(17)도 위치하는 정렬면(21)에 위치한다. 이 경우 축(14A) 또는 축(14B)과 정렬면(21) 사이에 교차점(20A, 20B)이 형성된다. 홀더(4, 5)는 이로써 홀더(3)에 상응하게 형성된다. 이 경우 홀더들(3 내지 5)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장치(1)의 개략적인 발췌 단면도 및 내연기관(16)을 도시한다. 이 경우 예시적으로 홀딩 부재(9)의 단면이 도시되고, 고정 슬리브(13)의 축(14)은 절단면에 위치한다. 또한 관형 베이스 바디(6)의 길이방향 축(8)은 절단면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된다.
부품측 연결 섹션(10)에 지지면(25)이 형성된다. 또한 관형 베이스 바디(6)의 외부면(7)에 고정 영역(26)이 제공되고, 상기 영역에 홀딩 부재(9)의 지지면(25)이 접촉한다. 따라서 홀더(4, 5)의 경우에도 관형 베이스 바디(6)에 고정 영역(26A, 26B)이 제공된다. 지지면(25)은 실린더 재킷면의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고정 영역(26)은 실린더 재킷면의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외부면(7)은 전체적으로 실린더 재킷형으로 형성되므로, 이로 인해 또한 실린더 재킷형의 고정 영역(26A, 26B)이 얻어진다.
부품(2)에 홀더(9)를 연결하기 위해 홀딩 부재(9)의 부품측 연결 섹션(10)은 관형 베이스 바디(6)의 외부면(7)의 고정 영역(26)에 지지된다. 이 경우 제조 공차로 인해, 홀딩 부재(9)의 각도(27)가 변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정렬면(21)에 대한 하부면(17)의 정렬에 영향을 미친다. 회전 방향(28)으로 또는 회전 방향(28)과 반대로 홀딩 부재(9)의 회전에 의해, 고정 슬리브(13)의 하부면(17) 또는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의 하부면(29)이 정렬면(21)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이 경우 정렬 시 지지면(25)과 고정 영역(26) 사이의 면 접촉이 유지된다.
또한 고정 슬리브(13)는 방향(30)으로 또는 방향(30)과 반대로 조절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린더 헤드(16)의 하부면(17)과 표면(18) 사이의 간격(31)은 추후 조립을 위해 설정될 수 있고, 이로써 조립된 상태에서 표면(18)과 관형 베이스 바디(6)의 길이방향 축(18) 사이의 구조적으로 사전 설정된 간격이 달성될 수 있다.
이로써 회전 방향(28)으로 또는 회전 방향(28)과 반대로 회전에 의해, 회전 보상이 가능해진다. 또한 방향(30)으로 또는 방향(30)과 반대로 고정 슬리브(13)의 이동에 의해 수직 보상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고정 슬리브(13)의 축(14)은 실린더 헤드(16)의 표면(18)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슬리브(13)의 하부면(17)과 실린더 헤드(16)의 표면(18) 사이의 간격(31)이 설정될 수 있다.
고정 슬리브(13)는 관통 개구(39)를 갖고, 상기 관통 개구는 이 실시예에서 관통 보어(39)로서 형성된다.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에 대한 고정 슬리브(13)의 위치 설정 시 고정 슬리브(13)는 사전 설정된 간격(31)이 달성될 때까지 방향(30)으로 또는 방향(30)과 반대로, 즉 관통 개구(39)의 축(14)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에 대해 이동된다. 이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고정 슬리브(13)의 위치가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를 참고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미 처음에 정해진 경우에, 개별 위치 설정들은 서로 영향을 미칠 수 있거나 또는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에 대한 고정 슬리브(13)의 이동은 회전 방향(28)으로 또는 회전 방향(28)과 반대로 홀딩 부재(9)의 회전에 의해서도 야기될 수 있다.
도 3은 III으로 표시된 방향으로부터 본 도 2에 도시된 장치(1)의 개략적인 발췌도를 도시한다. 홀딩 부재(9)의 부품측 연결 섹션(10)은 연결 전에 방향(32)으로 및 방향(32)과 반대로 관형 베이스 바디(6)의 길이방향 축(8)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 영역(26)은 적절한 방식으로 길이방향 축(8)을 따라 연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또한 전체 외부면(7)이 실린더 재킷형으로 형성되고, 이로 인해 고정 영역(26)의 항상 충분한 큰 연장이 달성된다.
또한 고정 슬리브(13)는 방향(33)으로 및 방향(33)과 반대로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에 대해 이동될 수 있고, 이는 링 갭(34;도 2)에 의해 가능해진다. 링 갭(34)은 이 경우 고정 슬리브(13)와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 사이에 형성된다. 이를 위해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에 리세스(35)가 제공되고, 상기 리세스 내에, 링 갭(34)에 의해 제공되는 원주를 따른 위치 설정 갭(34)을 갖는 고정 슬리브(13)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슬리브(13)는 위치 설정 갭(34)으로 인해 방향(36)으로 및 방향(36)과 반대로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축(14)인 축(14)에 대해서 고정 슬리브(13)는 방사 방향(33, 36)으로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에 대해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고정 슬리브(13)의 하부면(17)이 내연기관(16)의 표면(18) 또는 정렬면(21)에 대해 평행한 위치 설정으로부터, 축(14)은 내연기관(16)에 고정을 위해 실린더 헤드(16)의 나사 보어(38)의 축(37)과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방사 방향(33)은 관형 베이스 바디(6)의 길이방향 축(8)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된다. 방사 방향(36)은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의 하부면(29)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방사 방향(33)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된다. 방사 방향(33, 36)으로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에 대한 고정 슬리브(13)의 이동성에 의해 방사방향 공차 보상이 가능해진다. 또한 방향(32)으로 전체 홀딩 부재(9)의 이동성에 의해 길이방향 축(관축;8)을 따른 공차 보상이 가능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제 2 실시예에 따라 부품(2)의 관형 베이스 바디(6)와 홀더(3, 4)로 구성된 장치(1)의 조립 장치(40)를 개략도로 도시한다. 이 경우 먼저 장치(1)의 개별 부품들의 위치 설정이 실시된다. 후속해서 서로 위치 설정된 개별 부품들이 서로 연결된다.
관형 베이스 바디(6)는 장치(40)의 수용 코운(41, 43) 사이에 고정된다. 이 경우 관형 베이스 바디(6)의 길이방향 축(8)은 정렬면(21)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된다. 또한 장치(40)는 삽입 아버(43, 44)를 포함하고, 이 경우 삽입 아버(43, 44)의 베이스 영역의 상부면(45, 46)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정렬면(21)의 위치를 규정한다. 고정 슬리브(13, 13A)는 삽입 아버(43, 44) 상에 끼워지므로, 고정 슬리브(13)의 하부면(17)과 고정 슬리브(13A)의 하부면(17A)은 삽입 아버(43, 44)의 상부면(45, 46)에 평면으로 놓이고, 삽입 아버(43, 44) 상에 중앙으로 끼워진다. 이로써 고정 슬리브(13, 13A)의 하부면(17, 17A)은 정렬면(21)에 위치한다. 이로써 높은 위치 정확성이 요구되는 부품들, 즉 관형 베이스 바디(6)와 고정 슬리브(13, 13A)는 장치(40)에 의해 서로 위치 설정 된다.
후속해서 수용부(12, 12A)는 고정 슬리브(13, 13A) 위로 슬라이딩된다. 이로써 어셈블리에 대해 수용부들(12, 12A)의 방사방향 정렬이 결정된다. 수용부(12, 12A)의 축방향 위치는 아직 정해져 있지 않다.
홀딩 부재(9, 9A)는 관형 베이스 바디(6)에 위치 설정된다. 홀딩 부재(9)는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의 하부면(29)이 정렬면(21)에 대해 평행할 때까지 또는 삽입 아버(43)의 상부면(45)에 대해 평행할 때까지 회전 방향(28)으로 또는 회전 방향(28)과 반대로 길이방향 축(8)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로써 홀딩 부재(9)의 하부면(29)은 수용부(12)의 단부면에 대해 평행하다. 이로 인해 개별 부품들의 공차 위치에 따라 링 갭(34) 또는 위치 설정 갭(34)이 상이한 크기로, 즉 원주를 따라 균일하지 않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부(12)는 수용부(12)가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과 접촉할 때까지 고정 슬리브(13) 상에서 이동된다.
전술한 과정은 다른 홀더(9A) 및 경우에 따라서 추가 홀더, 예를 들어 홀더(9B)에 대해서도 상응하게 실시된다. 후속해서 장치(1)의 개별 부품들은 서로 위치 설정된다. 이 위치에서 개별 부품들은 서로 고정된다. 고정은 예를 들어 용접 및/또는 납땜 및/또는 접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장치(40)는 베이스 플레이트(47)와 측면 플레이트(48, 49)를 포함한다. 삽입 아버(43, 44)는 베이스 플레이트(47)에 고정된다. 수용 코운(41, 42)은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48, 49)에 고정된다. 위치 설정 동안 고정 슬리브(13)의 하부면(17)에 대해 길이방향 축(관 축;8)의 높이(50)가 결정된다. 또한 고정 슬리브(13A)의 하부면(17)에 대해 관 축(8)의 높이 규모(51)가 결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은 관 축(8)과 정렬면(21) 사이의 간격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간격은 이 경우에 동일한 높이(50, 51)와 같다. 물론, 변형 실시예에서 높이(50, 51)가 다를 수 있다.
홀딩 부재(9, 9A)가 소정의 공차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위치 설정된 또는 고정된 홀더(3, 4)는 약간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의 하부면(29)과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A)의 하부면(29A) 사이에 높이 차(52)가 나타날 수 있다.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장치(1)를 V로 표시된 방향으로부터 본 개략도로 도시한다. 장치(1)의 개별 부품들이 서로 연결되기 전에, 고정 슬리브(13, 13A)도 방사 방향(33, 36)으로 조절된다. 또한 도 2를 참고로 상응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회전 방향(28)으로 또는 회전 방향(28)과 반대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로써 각각의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 11A)에 대한 고정 슬리브(13, 13A)의 상이한 위치에 영향을 미치는 홀딩 부재들(9, 9A)의 상이한 위치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딩 부재(9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 부재(9)보다 회전 방향(28)으로 더 회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교차점(20, 20A)이 길이방향 축(8)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되고 정렬면(21) 내에 놓인 공통의 보조 라인(53)에 위치하면, 상이한 회전 방향(28)으로 인해 고정 슬리브(13)에 대해 방사 방향(36)으로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한편, 고정 슬리브(13A)에 대해 방사 방향(36)과 반대로 방사 방향 조절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3, 4)에서 각각의 위치 설정 갭(34, 34A) 또는 각각의 링 갭(34, 34A)과 관련한 상이한 형성이 이루어진다.
부품들의 위치 설정 또는 연결 후에 정렬면(21)에 투영해서 볼 때 고정 슬리브(13)의 교차점(20A)과 길이방향 축(8) 사이의 소정의 간격(54)이 조절된다. 또한 정렬면(21)에 투영해서 볼 때 고정 슬리브(13A)의 교차점(20A)과 관 축(8) 사이의 소정의 간격(55)이 조절된다. 이 실시예에서 2개의 교차점(20, 20A)은 관 축(8)에 대해 평행한 보조 라인(53)에 위치하므로, 간격들(54, 55)은 동일하다. 물론, 변형 실시예에서 개별 홀더(3, 4)에 대한 상이한 크기의 간격(54, 55)이 사전 설정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설명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치(1)에서 수용부(12)는 하부면(29)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의 측면에 배치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로 설명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치(1)에서 수용부(12)는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의 하부면(29)에 배치된다. 2개의 실시예에서 수용부(12)는 고정 슬리브(13)를 원주를 따라 둘러싼다. 또한 리세스(35)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각각 관통 보어(35)로서 형성된다. 고정 슬리브(13)를 원주를 따라 둘러싸는 링형 수용부(12)는 조립 시 각각의 측면부터 고정 슬리브(13) 상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장치(1)를 개략적으로 발췌하여 사시도로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 1을 참고로 설명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용부(12)가 제공되고, 상기 수용부는 하부면(29)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의 측면에 배치된다. 또한 다른 수용부(12')가 제공되고, 상기 수용부는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에 고정 슬리브(13)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은 수용부(12)와 다른 수용부(12') 사이에 배치된다. 이로써 홀딩 부재(9)와 고정 슬리브(13) 사이에 2개의 수용부들(12, 12')에 의해 개선된 연결이 구현된다.
고정 슬리브(13)가 연장되는 리세스(35)는 관통 보어(35)로서 형성된다.
도 7은 제 4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장치(1)를 개략적으로 발췌한 사시도로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연결 섹션(11)의 리세스(35)는 측면(60)으로 개방되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암(61, 62)을 포함하므로, U-형상의 연결 섹션(11)이 형성된다. 암들(61, 62) 사이에, 개방된 측면(60)에서부터 수용부(12)가 삽입된다. 따라서, 삽입된 상태에서 수용부(12)는 고정축(14)을 따라 고정된다. 그러나 고정 슬리브(13)는 위치 설정을 위해 먼저 고정축(14)을 따라 수용부(12) 또는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에 대해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위치 설정된 상태에서 한편으로는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에, 특히 암(61, 62)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고정 슬리브(13)에 수용부(12)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도 8은 제 4 실시예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장치(1)의 수용부(12)를 개략적인 축방향 단면도로 도시한다. 수용부(12)는 외부면(63)을 갖는다. 수용부(12)의 외부면(63)에 둘러싸는 리세스가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홈(64)은 둘러싸는 그루우브(64)로서 형성된다. 홈(64)은 이로 인해 측면(65, 66)으로부터 이격된다.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의 리세스(35) 내로 수용부(12)의 삽입을 위해 상기 연결 섹션은 개방된 측면(60)을 포함해야 한다.
변형 실시예에서 홈(64)은 단부면들(65, 66) 중 하나의 단부면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의 리세스(35)는 관통 보어(35)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의 리세스(35)를 통해 축(14)을 따라 연장되는 수용부(12)의 장점은, 고정 슬리브(13)에 대한 결합면(67)이 고정축(14)을 따라 연장되고, 이로써 전체적으로 확장되는 것이다. 그러나 홈(64)의 그루우브형 형성 시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의 두께는 축(14)을 따라 홈(64)의 상응하는 연장부에 맞게 조정되어야 한다.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의 암(61, 62)은 조립된 상태에서 수용부(12)의 홈(64) 내로 맞물린다.
도 9는 제 5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장치(1)를 개략적으로 발췌한 사시도로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고정 슬리브(13)는 고정 섹션(70)과 단부 섹션(71, 72)을 갖는다. 고정 섹션(70)은 단부 섹션들(71, 72) 사이에 제공된다. 고정 슬리브(13)의 고정 섹션(70)은 단부 섹션(71, 72)에 대해 테이퍼링되어 형성된다.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에 고정 슬리브(13)를 연결하기 위한 수용부(12)는 고정 섹션(70)에 배치된다. 수용부(12)를 고정 섹션(70)에 배치하기 위해, 고정 슬리브(13)는 예를 들어 다수의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 실시예에서, 도 10을 참고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수용부(12)는 부분링 형상으로만 형성될 수도 있다.
테이퍼링된 고정 섹션(70)을 포함하는 고정 슬리브(13)의 실시예의 장점은, 이로써 기하학적 구조, 특히 리세스(35)의 직경이 작아질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홀딩 부재(9)의 외부 기하학적 구조도 작아진다. 2개의 단부 섹션(71, 72)이 제공되면, 바람직하게 개방 측면(60)이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에 제공된다.
도 10은 제 6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장치(1)를 개략적으로 발췌한 사시도로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수용부(12)는 원주를 따라 개방되어 있다. 특히 수용부(12)는 이 실시에에서 하프링 형상의 수용부(12)로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부분링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부(12)는 고정 슬리브(13)를 부분적으로만 둘러싼다. 이로써 경우에 따라 필요 공간이 감소할 수도 있다. 또한 이로 인해 각각의 응용예에서 수용부(12)의 배치가 경우에 따라서 용이해진다. 특히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 슬리브(13)의 실시예에서 수용부(12)가 바람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이한 변형이 가능하다. 특히 응용예에 따라 동일하거나 상이한 수용부들(12, 12')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홀더(3)의 수용부(12, 12')의 상이한 디스크 두께와 직경 및/또는 다수의 홀더(3 내지 5)에 상이한 수용부들(12, 12A, 12B)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치 설정 시 고정 슬리브(13)는 고정축(14)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므로, 고정 슬리브(13)의 하부면(17)은 특히 내연기관(16)의 접속 구조의 표면(지지면)에 대해 규정된 간격(31)을 갖는다.
수용부(12)는 고정 슬리브(13)와 함께 방사방향으로(33, 36)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수용부(12) 또는 고정 슬리브(13)의 고정축(14)은 나사 보어(38) 등의 축(37)에 대해 동축으로 정렬될 수 있다.
홀딩 부재(9)는 또한 길이방향 축(관 축;8)을 중심으로 선회 또는 회전될 수 있으므로, 하부면(29) 또는 하부면(29)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측면, 즉 각각의 적용예에서 수용부(12)가 고정되는 측면은 접속 구조(16)의 표면(18)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 설정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홀딩 부재(9)는 길이방향 축(8)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는 고정축(14)의 추가 공차 보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방향(32)으로 또는 방향(32)과 반대로 가능하다.
장치(1)용 어셈블리 내 개별 부품들의 위치 설정의 정확성은 결합 동안 연결 방법의 조절 과정에 의해 달성된다. 조절 과정을 위해 각각의 홀더(3 내지 5)마다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2, 12', 12A, 12B)가 사용된다.
결합 과정은 개별 부품들의 서로 간의 위치 설정 및 무응력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2, 12', 12A, 12B)를 사용한 개별 부품들의 고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수용부들(12, 12', 12A, 12B)은 이 경우 폐쇄된 링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수용부들(12, 12', 12A, 12B)이 다른 형태로, 예를 들어 하프셸, 직육면체 또는 초승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2 연료 분배기
3 홀더
4 홀더
5 홀더
9 홀딩 부재
10 연결 섹션
12 수용부
13 고정 슬리브
15 고정 수단
16 내연기관
21 정렬면
25 지지면
39 관통 개구

Claims (10)

  1. 부품(2), 특히 연료 분배기(2)를 내연기관(16)에 고정하기 위한 홀더(3)로서, 홀딩 부재(9)를 포함하고, 상기 홀딩 부재(9)는 부품측 연결 섹션(10)을 갖고, 상기 연결 섹션에서 홀딩 부재(9)는 부품(2)에 연결 가능하고, 상기 홀딩 부재(9)는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을 갖고, 상기 연결 섹션에서 상기 홀딩 부재(9)는 고정 수단(15)에 의해 상기 내연기관(16)에 고정 가능한, 홀더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2)와 고정 슬리브(13)가 제공되고, 상기 수용부(12)는 상기 고정 슬리브(13)를 상기 홀딩 부재(9)의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고정 슬리브(13)는 관통 개구(39)를 갖고, 상기 관통 개구를 통해 상기 고정 수단(15)이 안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측 연결 섹션(10)에 지지면(2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은 적어도 거의 실린더 재킷면의 부분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에 리세스(35)가 제공되고, 상기 리세스 내에 상기 고정 슬리브(13)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고정 슬리브(13)와 상기 리세스(35) 사이에 위치 설정 갭(34)이 제공되고, 상기 갭은 상기 수용부(12)에 의해 상기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에 상기 고정 슬리브(13)를 연결하기 전에, 상기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에 대해 상기 고정 슬리브(13)의 축방향(30)으로 및/또는 상기 고정 슬리브(13)의 적어도 하나의 방사방향(33, 36)으로 상기 고정 슬리브(13)의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에 제공된 상기 리세스(35)는 관통 보어(35)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에 제공된 상기 리세스(35)는 상기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의 측면(60)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2)는 부분링 형상의 수용부(12)로서 형성되고 및/또는 상기 고정 슬리브(13)를 원주를 따라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또는 상기 수용부(12)는 링형 수용부(12)로서 형성되고 및/또는 상기 고정 슬리브(13)를 원주를 따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수용부(12')가 제공되고, 상기 다른 수용부(12')는 상기 홀딩 부재(9)의 상기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에 상기 고정 슬리브(13)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은 상기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에 상기 고정 슬리브(13)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12)와 상기 다른 수용부(1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2)는 외부면(6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홈(64)을 갖고, 상기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은 상기 고정 슬리브(13)를 상기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12)의 상기 홈(64) 내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슬리브(13)는 고정 섹션(70)을 갖고, 상기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에 상기 고정 슬리브(13)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12)가 상기 고정 섹션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슬리브(13)는 상기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에 상기 고정 슬리브(13)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 섹션(71, 72)에 대해 테이퍼링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9. 부품(2) 및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홀더(3-5)를 포함하는 장치(1)로서, 상기 부품(2)은 베이스 바디(6)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바디(6)의 외부면(7)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 영역(26, 26A, 26B)은 적어도 거의 실린더 재킷면의 부분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더(3-5)의 부품측 연결 섹션(10)은 상기 베이스 바디(6)의 상기 외부면(7)에 있는 상기 고정 영역(26, 26A, 26B)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더(3-5)에 관형 베이스 바디(6)를 포함하는 부품(2)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방법으로서, 상기 관형 베이스 바디(6)는 2개의 수용 코운(41, 4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더(3-5)의 고정 슬리브(13, 13A)는, 상기 고정 슬리브(13, 13A)의 하부면(29, 29A)이 정렬면(21, 45, 46) 상에 평면으로 놓이고 삽입 아버(43, 44) 상에 중앙으로 끼워지도록, 할당된 삽입 아버(43, 44) 상에 끼워지고, 상기 수용부(12, 12A)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 방향(33, 36)으로 상기 고정 슬리브(13, 13A)에 위치 설정되고, 상기 홀딩 부재(9, 9A)의 부품측 연결 섹션(10, 10A)은 관형 베이스 바디(6)에 지지되어 상기 관형 베이스 바디(6)의 관 축(8)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홀딩 부재(9, 9A)의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 11A)의 하부면(17, 17A)은 정렬면(21)에 대해 평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2, 12A)는, 상기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 11A)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가(12, 12A)가 접촉하도록 상기 고정 슬리브(13, 13A)에 대해 상기 고정 슬리브(13)의 관통 개구(39)를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부품측 연결 섹션(10, 10A)은 상기 관형 베이스 바디(6)에 재료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12, 12A)는 상기 고정 수단측 연결 섹션(11, 11A)에 재료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12, 12A)는 상기 고정 슬리브(13, 13A)에 재료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방법.
KR1020167005902A 2013-09-06 2014-07-09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연결 방법 KR102239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17810.7 2013-09-06
DE102013217810.7A DE102013217810A1 (de) 2013-09-06 2013-09-06 Halter zur Befestigung eines Brennstoffverteilers an einer Brennkraftmaschine und Verbindungsverfahren
PCT/EP2014/064700 WO2015032530A1 (de) 2013-09-06 2014-07-09 Halter zur befestigung eines brennstoffverteilers an einer brennkraftmaschine und verbindungsverfahr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558A true KR20160052558A (ko) 2016-05-12
KR102239419B1 KR102239419B1 (ko) 2021-04-13

Family

ID=5117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5902A KR102239419B1 (ko) 2013-09-06 2014-07-09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02955B2 (ko)
EP (1) EP3042066B1 (ko)
KR (1) KR102239419B1 (ko)
CN (1) CN105579697B (ko)
DE (1) DE102013217810A1 (ko)
PL (1) PL3042066T3 (ko)
WO (1) WO20150325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4025B4 (de) * 2016-03-11 2021-05-27 Hirschvogel Umformtechnik Gmbh Innendruckbelastetes Bauteil (Rail)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101768949B1 (ko) * 2016-10-19 2017-08-21 (주)동보 Gdi 연료분배관의 구조
DE102017204531A1 (de) * 2017-03-17 2018-09-2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zur Fixierung einer Batteriezelle und/oder eines Zellpakets sowie Batteriegehäuse mit zumindest einer derartigen Anordnung
DE102019123673B3 (de) * 2019-09-04 2020-12-10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Kraftstoffverteiler
GB2586880B (en) * 2019-09-09 2022-03-23 Delphi Tech Ip Ltd Common rail mounting arrangement
FR3101678B1 (fr) * 2019-10-02 2023-06-30 Renault Sas Rampe d'injection pour moteu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3074A1 (en) * 2009-09-29 2011-03-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Engine assembly including cam cover mounted fuel rail
DE202011005464U1 (de) * 2010-04-22 2011-07-11 Mazda Motor Corporation Hochdruckkraftstoffrohrstruktur
EP2372140A1 (en) * 2010-03-25 2011-10-0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Coupling device
US20130125864A1 (en) * 2011-11-18 2013-05-23 Robert Bosch Gmbh Fuel rail mounting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6489A (en) * 1989-07-10 1991-10-15 Siemens-Bendix Automotive Electronics L.P. Fuel rail for v-type engine
DE19853090A1 (de) * 1998-11-18 2000-05-25 Bosch Gmbh Robert Brennstoffeinspritzanlage
US6340019B1 (en) * 2000-09-11 2002-01-22 Delphi Technologies, Inc. Fuel rail mounting bracket with isolator
US6817337B1 (en) * 2004-01-21 2004-11-16 Daimlerchrysler Corporation Cover connector
US7591246B2 (en) * 2006-01-17 2009-09-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Isolated fuel delivery system
US7682117B2 (en) * 2006-09-27 2010-03-23 Illinois Tool Works Inc. Work piece isolating assembly
JP4415987B2 (ja) * 2006-12-20 2010-02-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燃料供給装置
EP2171254B1 (en) 2007-06-21 2013-06-05 Volvo Lastvagnar AB Hydraulic connection of injector to a pressure source
US7516735B1 (en) * 2008-01-16 2009-04-14 Millennium Industries Attachment for fuel injectors in a fuel delivery system
US7793639B2 (en) * 2008-09-25 2010-09-14 Hitachi, Ltd. Apparatus for reducing the transmission for noise from the fuel rail in a direct injection engine
DE102008044165A1 (de) 2008-11-28 2010-06-02 Robert Bosch Gmbh Kraftstoffzuteiler
JP2012082775A (ja) * 2010-10-13 2012-04-26 Denso Corp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DE102010051488A1 (de) * 2010-11-15 2012-05-16 Audi Ag Befestigungsanordnung einer Kraftstoffzufuhrvorrichtung an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sowie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r Kraftstoffzufuhrvorrichtung an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DE102011082743A1 (de) * 2011-09-15 2013-03-21 Robert Bosch Gmbh Brennstoffverteiler
US8875681B2 (en) * 2011-10-28 2014-11-04 Robert Bosch Gmbh Fuel rail mounting arrangement
DE102012206931A1 (de) * 2012-04-26 2013-10-31 Robert Bosch Gmbh Anordnung mit einem Brennstoffverteiler und einem Halter
DE102012206937A1 (de) * 2012-04-26 2013-10-31 Robert Bosch Gmbh Anordnung mit einem Brennstoffverteiler und einem Halter
US8844502B2 (en) * 2012-07-24 2014-09-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rail mount
US20140102415A1 (en) * 2012-10-11 2014-04-17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s, Llc Fuel system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3074A1 (en) * 2009-09-29 2011-03-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Engine assembly including cam cover mounted fuel rail
EP2372140A1 (en) * 2010-03-25 2011-10-0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Coupling device
DE202011005464U1 (de) * 2010-04-22 2011-07-11 Mazda Motor Corporation Hochdruckkraftstoffrohrstruktur
US20130125864A1 (en) * 2011-11-18 2013-05-23 Robert Bosch Gmbh Fuel rail mounting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217810A1 (de) 2015-03-12
US20160305387A1 (en) 2016-10-20
KR102239419B1 (ko) 2021-04-13
US10202955B2 (en) 2019-02-12
WO2015032530A1 (de) 2015-03-12
EP3042066A1 (de) 2016-07-13
PL3042066T3 (pl) 2020-02-28
CN105579697B (zh) 2019-06-04
CN105579697A (zh) 2016-05-11
EP3042066B1 (de)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2558A (ko) 내연기관에 연료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연결 방법
US9027394B2 (en) Variable injector mounting
US9796064B2 (en) Quick change adapter for grinding wheels
US10480469B2 (en) Coupling device
US20130157825A1 (en) Fixing apparatus
KR20140099279A (ko) 연료 분사 장치용 디커플링 부재
US20150136084A1 (en) Fuel distributor
KR20180110137A (ko) 제조 공정이 단순한 윤활 노즐
JP2005300140A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に燃料噴射器を装着するための心出し、位置決め装置
US10190557B2 (en) Fuel injector mounting device and fuel rail
CN103089474A (zh) 包括轴承座的发动机部件及其装配方法
US10337479B2 (en) Holder for fastening a component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204897B2 (ja) スタータ
JP2005118983A (ja) 流体軸受のシャフト部の製造装置
JP2015121107A (ja) 燃料分配供給装置
JP4184238B2 (ja) フュ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JP5725473B2 (ja) 部品の挿入方法、及び、挿入装置
EP3353409A1 (en) Fuel rail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uel rail assembly
CN105065786A (zh) 减振橡胶圈结构及具有其的空调器
EP2799705A1 (en) Fuel Injector Assembly and Sleeve Insert
US9359983B2 (en) Actuator arrangement for an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fuel injecto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KR100574204B1 (ko) 분리트랜스의 조립방법
JP7483391B2 (ja) ガソリン直噴エンジン用燃料レールのインジェクターホルダー組み付け装置
JP5442043B2 (ja) 直噴インジェクタユニットの組付方法及び組付装置
JP2023162150A (ja) ロータ及びロー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