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608A - 숙취 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숙취 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608A
KR20160051608A KR1020150145407A KR20150145407A KR20160051608A KR 20160051608 A KR20160051608 A KR 20160051608A KR 1020150145407 A KR1020150145407 A KR 1020150145407A KR 20150145407 A KR20150145407 A KR 20150145407A KR 20160051608 A KR20160051608 A KR 20160051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hangover
part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일
이헌식
이원경
이미경
나승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60051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608A/ko

Links

Classifications

    • A23L1/30
    • A23L1/08
    • A23L1/105
    • A23L1/3002
    • A23L1/31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44Taur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숙취 해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ELIEVING HANGOVER}
본 명세서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술은 뇌의 중추신경에 작용하여 기분을 좋게 하며, 영양학적인 측면으로는 비교적 높은 열량을 공급하고, 혈액 순환과 소화를 돕고 혈중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에는 간 기능을 손상시키며, 심지어는 뇌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어, 과다한 술을 섭취는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숙취는 간세포에 축적된 에탄올이 대사되면서 생성된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체내에 남아 발생하는 독작용에 의해 나타난다. 에탄올은 간에서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산화되고, 다시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 의해 아세트산과 수소로 분해된 뒤 체외로 배출된다. 숙취는 두통, 설사, 식욕부진, 오심, 구토, 오한, 식은땀, 피로감, 전신권태, 복부팽만감 등의 증세를 의미하며, 객관적인 증상으로는 인식능력 저하, 운동능력 저하, 혈액성분 변화 및 호르몬의 변화가 있다. 숙취의 정도는 유전적 개인의 편차, 영양 상태, 운동 상태, 탈수 정도, 건강 상태 등에 따라 차이가 매우 크다.
평소에 간 기능을 증진할 수 있는 식품을 꾸준히 섭취함으로써 음주로 인한 급격한 간 독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기에 현대인들에게 음주 전후에 숙취 해소와 간세포 보호를 위한 식품과 건강기능성식품들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숙취해소용 제품을 섭취하는 주 연령층은 30 - 50대의 직장인들로 비교적 높은 도수의 술을 선호하는 집단이며, 음주 후 다음날 원활한 활동을 위하여 숙취 해소용 제품을 선호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여성과 대학생 등 젊은 층에서도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숙취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식품이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이미 많은 제품이 소개되어 있고, 이들 대부분은 알코올 분해 효소 또는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 효소 활성을 통하여 체내 알코올 독성을 감소시키는 방향의 소재에 대한 연구 및 이를 적용한 제품들이다. 그러나, 이들 제품이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키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대부분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았거나 그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생체 내의 효소 활성 및 독성 저감 작용은 개인차가 커서 효능 발휘 정도가 크게 다르므로, 효능을 나타내는데 한계가 있다.
현재 국내에는 생약추출물 또는 인공제제 원료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식품이나 의약품이 개발되어 유통되고 있으나, 이들 중에서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효과에 대한 임상실험을 거친 것은 일부에 지나지 않으며, 일부는 상용량의 4 내지 5배 정도를 복용해야만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알코올 섭취 후에 나타나는 숙취 증상을 해소하고 혈중 알코올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키며 효과가 충분히 인정되는 제제에 대한 필요성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특허 공개 제2009-0082946호
본 명세서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돼지 간 가수분해 추출물; 및 헛개 추출물, 적포도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겔 농축추출물의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전술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전술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숙취 해소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음주 후 혈중 알코올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명세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돼지 간 가수분해 추출물; 및 헛개 추출물, 적포도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겔 농축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돼지 간은 고단백이며, 각종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서 고영양의 식품원료이다. 100 g 기준으로 단백질은 21 g으로 단백가가 높은 달걀보다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 A는 6,500 μg으로 영양소 기준치 900 %이상 포함하고 있다. 그 외에도 비타민 B2, B3, B6, B9, B12, C, 철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고단백질은 간세포의 재생과 손상된 간세포의 회복을 위해서 꼭 필요한 영양소이며, 비타민 A는 간세포를 보호해준다. 또한 비타민 B군과 비타민 C는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간기능을 원활하게 하고 간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돼지 간 가수분해 추출물은 돼지 간을 단백질 가수분해효소로 가수분해한 산물이며, 여과, 멸균단계를 거친 후 농축 건조하여 분말화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는 갈매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으로 경기, 강원 이남의 표고 50-800 m에 분포하고 있으며, 호깨나무, 허리깨나무, 지구(枳俱), 백석목(白石木), 목밀(木蜜), 현포리(玄圃梨) 등으로도 불린다. Hovenia속나무 열매는 본초학이나 식물도설에서 주독해독, 정혈, 이뇨, 갈증해소, 해독작용을 한다는 보고가 있다. 그리고 헛개나무잎, 줄기 및 열매로 만든 차가 주독(酒毒) 제거 및 간 기능 보호에 효능이 있다.
상기 적포도는 저열량과 동시에 껍질과 씨에 많은 유용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폴리페놀성분들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라즈베라트롤 및 안토시아닌, 프로안토시아닌 등 폴리페놀 성분으로 항산화, 혈류개선, 항암효과가 있다.
상기 알로에는 백합목 백합과의 한 속으로 세계 여러 지역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식물이며, 전 세계적으로는 약 600여종이 분포되어 있다. 알로에는 알로인(aloin), 알로에 에머딘(aloe emodin), 알로에 울신(aloe ulcin), 알로이노사이드 A(aloinoside A), 알로이노사이드 B(aloinoside B), 아이소바발로인(isobarbaloin), 호모나탈로인(homonataloin), 알로에신(aloesin), 알로미신(alomicin), 나탈로에 에머딘(nataloe emodin), 기타 미네랄, 비타민 등이 포함되어 여러 가지 생리활성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헛개 추출물, 적포도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겔 농축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를 농축 건조하여 분말화 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당업계 공지된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용매로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추출 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냉침, 초음파, 환류냉각, 열수 추출, 가압 추출 등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가압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혼합물은 헛개 추출물, 적포도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겔 농축추출물의 고형분을 기준으로 1 : 0.1 내지 0.5 : 0.1 내지 0.5의 중량비로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 1 : 0.2 : 0.15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고형분"은 숙취 해소용 조성물 중 용매를 제외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 헛개 추출물: 적포도 추출물: 알로에베라겔 농축추출물 = 1 : 0.1 미만 : 0.1 미만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각 성분의 생리 활성 효과가 감소하며, 상기 헛개 추출물: 적포도 추출물: 알로에베라겔 농축추출물 = 1 : 0.5 초과 : 0.5 초과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생약 간의 상승작용이 크지 않으면서 경제적으로도 비효율적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돼지 간 가수분해 추출물을 0.05 내지 5 중량부; 및 상기 헛개 추출물, 적포도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겔 농축추출물의 혼합물을 0.05 내지 10 중량부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돼지 간 가수분해 추출물을 0.1 내지 3 중량부; 및 상기 헛개 추출물, 적포도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겔 농축추출물의 혼합물을 0.1 내지 5 중량부 포함하며,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돼지 간 가수분해 추출물을 0.1 내지 1 중량부; 및 상기 헛개 추출물, 적포도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겔 농축추출물을 0.1 내지 2 중량부 포함한다.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돼지간 추출물을 0.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숙취 해소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숙취 해소의 효과의 증가에는 큰 영향이 없으며, 특유의 향미로 인하여 상품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헛개 추출물, 적포도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겔 농축추출물의 혼합물을 0.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숙취 해소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숙취 해소의 효과의 증가에는 큰 영향이 없으며, 특유의 향미로 인하여 상품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벌꿀, 타우린, 미배아 발효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비타민 A, B, C, E, 비오틴, 엽산, 나이아신, 칼슘, 아연, 셀렌 등의 각종 비타민, 미네랄 성분, 아미노산, 대두유, 유화제, 감미제, 향미제, 보존제, 산도 조절제, 증점제, 증류수, 식물혼합 추출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혼합발효 추출농축액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첨가제는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벌꿀은 체내에 에너지와 수분을 보충해주는 효과가 있고, 상기 타우린은 피로회복에 좋으며, 상기 미배아 발효 추출물은 혈중 알코올 분해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상기 밀크씨슬 추출물은 간 건강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혼합발효 추출농축액은 갈화, 복령, 사인, 청피, 진피, 생강, 인삼, 백출 및 신곡을 각각 동량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돼지 간 가수분해 추출물; 및 헛개 추출물, 적포도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겔 농축추출물; 벌꿀; 타우린; 미배아 발효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돼지 간 가수분해 추출물을 0.05 내지 5 중량부; 및 상기 헛개 추출물, 적포도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겔 농축추출물을 0.05 내지 10 중량부, 상기 벌꿀을 1 내지 10 중량부, 상기 타우린을 0.1 내지 2 중량부, 상기 미배아 발효 추출물을 0.05 내지 0.1 중량부, 밀크씨슬 추출물을 0.01 내지 0.1 중량부 및 상기 첨가제를 72.8 내지 98.74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벌꿀을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생약 고유의 효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생약 특유의 향미로 인하여 상품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타우린을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생약 고유의 효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2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생약 특유의 향미로 인하여 상품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미배아 추출물을 0.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생약 고유의 효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0.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생약 특유의 향미로 인하여 상품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밀크씨슬 추출물을 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생약 고유의 효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0.1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생약 특유의 향미로 인하여 상품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전술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의 제형은 음료, 젤리, 검 등으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형에 따라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성분들을 첨가제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전술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은 액제, 시럽제, 캡슐제, 농축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환 등으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형에 따라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부형제, 담체 등과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음주 전 또는/및 후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활성 성분의 흡수도, 배설속도, 섭취 대상의 연령, 체중, 성별 및 상태 등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가 1회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돼지 간 가수분해 추출물; 헛개 추출물, 적포도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겔 농축추출물의 혼합물(이하, '헛개 추출물 복합분말'이라 칭함); 벌꿀; 식물혼합 추출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타우린; 미배아 발효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및 혼합발효 추출농축액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중량부)에 따라 혼합하였다.
상기 벌꿀은 치악산 영농조합법인의 잡화꿀을 사용하였고, 식물혼합 추출물은 ㈜진성에프엠 사의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은 ㈜마츠다니 사의 화이버졸 2L을 사용하였다. 또한, 미배아 발효 추출물은 ㈜두한바이오 사 제품을사용하였고, 밀크씨슬 추출물은 ㈜바이오랜드 사의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혼합발효 추출농축액은 ㈜삼영식품원료공업 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돼지 간 가수분해 추출물 헛개 추출물 헛개 추출물복합분말 미배아발효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식물혼합추출물 벌꿀 타우린 혼합발효 추출농축액 정제수
비교예 1 10 - - - - - - - - 100 까지
비교예 2 - 10 - - - - - - - 100 까지
비교예 3 - - 10 - - - - - - 100 까지
비교예 4 - - 10 - - - - - 100 까지
비교예 5 - - - - 10 - - - - 100 까지
비교예 6 1 5 - - - - - - - 100 까지
비교예 7 - - - 0.15 0.05 5 - - 0.1 100 까지
실시예 1 1 - 5 - - - - - - 100 까지
실시예 2 0.15 - 0.5 0.15 0.05 5 5 0.7 0.1 100 까지
시험예 1: 알코올분해효소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7의 알코올분해효소(ADH)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엑소바이오에서 판매하는 키트(kit)를 사용하여 제공된 시험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평가하고자 하는 시료를 적절한 배율로 어세이 버퍼(assay buffer)에 희석하여 50 μL씩 96 well plate에 넣는다. 어세이 버퍼(assay buffer) 82 μL, developer 8μ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10 μL를 포함하는 혼합물(mixture)을 만들어 시료 희석액이 들어있는 well에 100 μL씩 첨가한 다음 37 ℃에서 3분간 인큐베이션(incubation)한 다음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A0). 다시 30분을 인큐베이션(incubation)한 다음 흡광도를 측정하고(A1), 그 후 키트(kit)에서 제시한 계산식에 의해서 알코올분해효소활성을 구하였다. 용매 대조군의 흡광도를 1로 보았을 때, 시료들의 상대적인 흡광도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용매 대조군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알코올분해효소 활성 1 2.5784 2.4751 2.5030 2.3565 2.1314
용매대조군 비교예 6 비교예 7 실시예 1 실시예 2
알코올분해효소 활성 1 2.6698 2.3894
2.7864 2.9151
상기 표 2에서는 흡광도 수치가 클수록 알코올분해효소의 활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주 성분인 돼지 간 가수분해 추출물 및 헛개 추출물 복합분말을 포함한 실시예 1과 돼지 간 가수분해 추출물만 포함한 비교예 1을 비교하였을 때, 비교예 1에 비하여 헛개 추출물 복합분말을 더 포함한 실시예 1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알코올분해효소의 활성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과 헛개 추출물 복합분말을 포함한 비교예 2를 비교하였을 때, 돼지 간 가수분해 추출물을 더 포함한 실시예 1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알코올분해효소 활성이 더 높았다.
돼지 간 가수분해 추출물 및 헛개 추출물 복합분말과 함께 벌꿀, 식물혼합 추출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타우린, 미배아 발효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및 혼합발효 추출농축액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2의 경우에는 벌꿀, 식물혼합 추출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타우린, 미배아 발효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및 혼합발효 추출농축액을 포함하는 비교예 7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과 비교하였을 때, 알코올분해 효소의 활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돼지 간 가수분해 추출물 및 헛개 추출물 복합분말을 포함한 실시예 1과 돼지 간 가수분해 추출물, 헛개 추출물 복합분말과 함께 벌꿀, 식물혼합 추출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타우린, 미배아 발효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및 혼합발효 추출농축액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2를 비교하였을 때, 벌꿀, 식물혼합 추출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타우린, 미배아 발효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및 혼합발효 추출농축액을 더 포함한 실시예 2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이 우수한 알코올분해효소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돼지 간 가수분해 추출물 및 헛개 추출물 복합분말을 함께 포함하는 것 보다 돼지 간 가수분해 추출물 및 헛개 추출물 복합분말에 벌꿀, 식물혼합 추출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타우린, 미배아 발효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및 혼합발효 추출농축액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이 가장 높은 알코올분해효소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실시예 2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섭취 시 숙취 해소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7의 섭취 시 숙취 해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건강한 성인 남성 30명에 대하서 숙취 해소 효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각각 체중kg 당 1.3 g 알코올/kg 체중의 소주를 마시게 한 다음 알코올 섭취 전 후에 실시예 2 및 비교예 7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섭취하게 하고 음주 측정기를 이용하여 호기 알코올양을 측정하였다. 1주일 후에 평가자들에게 실시예 2 및 비교예 7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섭취하는 대신 대조음료(생수)를 마시게 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으며, 또 다시 1주일 후에 평가자들에게 실시예 2 및 비교예 7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섭취하는 대신 현재 유통되고 있는 시판제품을 마시게 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1시간 후 3시간 후 5시간 후
대조음료(생수) 0.0958 0.0648 0.0396
비교예 7 0.0894 0.0657 0.0353
실시예 2 0.0728 0.0560 0.0271
시판제품 0.0874 0.0660 0.0284
실험 결과 대조음료, 비교예 7 및 시판제품은 유사하게 알코올의 농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시예 2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섭취한 경우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호기 시 알코올 농도가 급감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생체 내 효소 활성 및 독성 저감 작용의 개인차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숙취해소 효능을 발휘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조예 1: 숙취 해소용 식품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원료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식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인 감미제, 향미제, 보존제, 산도조절제, 증점제 등을 사용하여 하기 표 4와 같은 함량으로 음료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부)
돼지 간 가수분해 추출물 0.15
헛개추출물 복합분말 0.5
식물혼합추출물 5
벌꿀 5
타우린 0.7
미배아 발효 추출물 0.15
밀크씨슬 추출물 0.05
혼합발효 추출 농축액 0.1
향미제 적량
산도조절제 적량
보존제 적량
증류수 100 까지
(총계) 100
상기 표 4의 함량으로 원료를 첨가한 후, 고속 교반기를 사용하여 증류수에 균일하게 혼합하였으며, 이를 고온 살균한 후 파우치, 병 또는 캔에 투입하여 통상의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숙취 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원료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건강기능식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하기 표 5와 같은 함량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부)
돼지 간 가수분해 추출물 0.15
헛개추출물 복합분말 0.5
식물혼합 추출물 5
벌꿀 5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3
타우린 5
미배아 발효 추출물 0.15
밀크씨슬 추출물 2
혼합발효 추출 농축액 0.1
비타민 B1 1.5
비타민 B2 1.5
비타민 B6 2
향미제 적량
부형제 적량
(총계) 100
상기의 제조예 1 또는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예로써, 본 명세서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및 원료 등을 한경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7)

  1. 돼지 간 가수분해 추출물; 및 헛개 추출물, 적포도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겔 농축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헛개 추출물, 적포도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겔 농축추출물의 고형분을 기준으로 1 : 0.1 내지 0.5 : 0.1 내지 0.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숙취 해소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돼지 간 가수분해 추출물을 0.05 내지 5 중량부; 및 상기 헛개 추출물, 적포도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겔 농축추출물의 혼합물을 0.05 내지 1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인 숙취 해소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벌꿀, 타우린, 미배아 발효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숙취 해소용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돼지 간 가수분해 추출물; 및 헛개 추출물, 적포도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겔 농축추출물의 혼합물; 벌꿀; 타우린; 미배아 발효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돼지 간 가수분해 추출물을 0.05 내지 5 중량부; 및 상기 헛개 추출물, 적포도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겔 농축추출물을 0.05 내지 10 중량부, 상기 벌꿀을 1 내지 10 중량부, 상기 타우린을 0.1 내지 2 중량부, 상기 미배아 발효 추출물을 0.05 내지 0.1 중량부, 밀크씨슬 추출물을 0.01 내지 0.1 중량부 및 상기 첨가제를 72.8 내지 98.74 중량부 포함하는 것인 숙취 해소용 조성물.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식품.
  7.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50145407A 2014-10-31 2015-10-19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1600516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0570 2014-10-31
KR1020140150570 2014-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608A true KR20160051608A (ko) 2016-05-11

Family

ID=5602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407A KR20160051608A (ko) 2014-10-31 2015-10-19 숙취 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16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4513B2 (en) Method for fermentation and cultivation, fermented plant extract, fermented plant extract powder,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fermented plant
KR100615039B1 (ko) 기능성 한방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KR102107387B1 (ko)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KR20200120465A (ko) 숙취해소에 뛰어나며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87982B1 (ko) 정자수 증가와 환경호르몬 예방효과를 갖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01947B1 (ko) 땅콩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455637A (zh) 霞多丽葡萄籽提取物
US20100261784A1 (en) Agent for reducing intestinal toxic bacterium and food or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mprising the same
KR20070105486A (ko) 간 기능 개선과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
TWI430754B (zh) 高γ-胺基丁酸含有物之製造方法
KR101665584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CN101953467B (zh) 一种含有纳豆冻干粉的组合物及其用途
KR101394358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JP2010275288A (ja) 宿酔を予防及び改善する機能性組成物とこれを含む食品及び食品添加剤
Kadam et al. Ferment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ine from dried Ficus carica (L)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NCIM 3282
KR101034986B1 (ko) 혼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294897B1 (ko) 천연 식물성 유산균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KR101672098B1 (ko) 발효 쌀뜨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60051608A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CN102911834A (zh) 一种蜂蜜花粉保健酒及其制作方法
KR20180002105A (ko) 유산균을 이용한 오미자청의 제조방법
KR101897005B1 (ko)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200092692A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080092045A (ko)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CN114631632B (zh) 一种护肝解酒的刺梨组合物及其制剂与应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