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348A -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348A
KR20160051348A KR1020140151201A KR20140151201A KR20160051348A KR 20160051348 A KR20160051348 A KR 20160051348A KR 1020140151201 A KR1020140151201 A KR 1020140151201A KR 20140151201 A KR20140151201 A KR 20140151201A KR 20160051348 A KR20160051348 A KR 20160051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lifting
pump
unit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1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1237B1 (ko
Inventor
정영주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1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237B1/ko
Publication of KR20160051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9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68Ste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건설기계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조향 유니트; 상기 건설기계의 주 작업을 수행하는 메인 작업 유니트; 상기 건설기계의 보조 작업을 수행하는 보조 작업 유니트; 압유 저장탱크에서 상기 조향 유니트 또는 상기 메인 작업 유니트로 압유를 공급하는 제1 펌프; 및 상기 압유 저장탱크에서 상기 보조 작업 유니트 또는 상기 메인 작업 유니트로 압유를 공급하는 제2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작업 유니트는,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를 통해 압유를 공급받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은, 압유를 공급하는 펌프를 조향 장치 및 리프팅 장치로 압유를 공급하는 제1 펌프 및 틸팅 및 사이드 시프트 장치로 압유를 공급하는 제2 펌프로 구비함으로써, 펌프를 소형화할 수 있고 조향 장치로 공급되는 압유를 컨트롤하는 프라이어리티 밸브의 용량 또한 소형화할 수 있어 건설기계 내부의 설치공간 확보가 유리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설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각각의 작업 장치로 공급되는 압유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은, 리프팅 실린더와 틸팅 또는 사이드 시프트 실린더로의 압유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미드 인렛 블럭을 추가구비하여 건설기계의 리프팅 작업 중 상승 작업시 제1 펌프 및 제2 펌프에서 공급되는 압유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압유의 최대유량을 사용할 수 있어, 상승 작업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와 펌프 및 엔진의 효율적인 사용으로 건설기계의 에너지 사용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은, 제1 펌프 및 제2 펌프의 유압 회로가 독립적으로 분리됨에 따라, 복합 작동시(조향 및 틸팅 실린더 동시 작동) 급조작에 의한 수충격 현상이 제2 펌프에 의해 제어되는 유압회로에 발생되더라도 제1 펌프에 의해 제어되는 유압회로인 조향 시스템의 운전대는 일시 잠김 현상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A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설 장비란 일반적으로 건설 토목용 기계를 의미하며, 도로, 하천, 항만, 철도, 플랜트 등과 같은 공사별로 각각 그 특성에 적합한 기계구조 및 성능을 보유하게 된다. 즉 건설 장비는 산업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의 다양성으로 인해, 굴삭장비, 적재장비, 운반장비, 하역장비, 다짐장비, 기초공사장비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불도저, 굴삭기, 로더, 덤프트럭, 롤러, 지게차 등과 같이 상당히 많은 종류의 건설기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 중 지게차는, 전면에 설치된 포크를 이용하여 팰릿(Pallet)위에 올려진 고중량의 적재 하물(荷物)을 하역 운반하는데 사용하는 장비로, 물류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카운터 밸런스형(Counter Balance Type) 지게차의 경우, 이동은 전륜을 중심으로 뒷바퀴를 조향(操向)하고 전륜으로 구동(驅動)하는 것이 보통이며(지게차의 전륜에는 큰 하중이 걸리게 됨), 하역은 전륜에는 마스트 조립체가 있어 이에 맞물린 한 쌍의 포크를 하물 밑 팰릿에 밀어 넣어 들어 올리는 것이 보통이다.
마스트 구조물은 리프팅 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고, 틸팅 실린더에 의해 전경 또는 후경으로 일정각도 범위에서 경사지게 제어된다. 포크에는 취급하는 하물의 성질에 따라 각종 어태치먼트(예를 들어 사이드 시프트 등과 같은) 장치를 추가 설치하여 이용하기도 한다. 아울러 조향 시스템은 운전 조작이 쉽도록 유압 파워스티어링 방식이 적용된다.
이러한 지게차의 유압시스템은 엔진(전기모터)에서 구동되는 펌프에 의해 발생되는 유량을 밸브의(방향, 유량 압력) 제어에 의해 마스트, 조향 브레이크(유압 부스터 방식) 등의 각종 액츄에이터(Actuator)에 적절하게 공급되며, 그 상호 연관성에 따라 원펌프 또는 투펌프 방식 회로로 나누어진다.
과거에는 원펌프 시스템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장비의 경량화와 작업효율 증대에 따라 시스템 고압화가 요구되고, 고압용 대용량 펌프는 가격이 높고 구하기 힘들어 시스템 구성에 제한이 많았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피스톤 펌프에 의한 가변유량펌프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 또한 비용면에서 경쟁력을 가지고 있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3.3톤 이하의 소형장비에 소용량의 원펌프 시스템이, 3.5톤 이상의 중/대형 장비에는 소용량의 투펌프 시스템이 적용되는 추세이다.
중소형 지게차 조향 시스템의 경우 로드 센싱 방식이 많이 사용되는데, 이는 조향 운전대 조작속도에 필요한 적정 유량을 부하 신호에 의해 조절됨으로 조향을 느리게 조작할 때, 또는 미사용시 펌프 전 유량을 메인컨트롤밸브로 공급할 수 있어 펌프 용량 축소와 에너지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으로 인해 주로 적용된다.
또한, 중소형 지게차에 적용되는 메인컨트롤밸브는 빠른 응답성과 저비용 장점으로 인해 기계식의 오픈센터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오픈센터방식 메인컨트롤밸브는 응답성이 빨라 급조작시 수충격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상기 로드센싱형 조향시스템과 조합되는 장비의 경우, 운전대와 동시 조작시(예를 들어 메인컨트롤밸브의 틸트 또는 어태치먼트 레버를 중립으로 급하게 놓거나 또는 반대방향으로 급조작시) 압력 및 유속의 큰 변화는 수충격 현상이 발생되어 조향 운전대 회전이 일시적으로 잠기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최근에는 유압을 적절히 배분하여 지게차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설기계의 유압 시스템에 대해 수많은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프팅 실린더와 틸팅 또는 사이드 시프트 실린더로 압유 공급을 선택적으로 구현하는 미드 인렛 블럭을 추가로 구비하여 건설기계의 에너지 사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은, 건설기계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조향 유니트; 상기 건설기계의 주 작업을 수행하는 메인 작업 유니트; 상기 건설기계의 보조 작업을 수행하는 보조 작업 유니트; 압유 저장탱크에서 상기 조향 유니트 또는 상기 메인 작업 유니트로 압유를 공급하는 제1 펌프; 및 상기 압유 저장탱크에서 상기 보조 작업 유니트 또는 상기 메인 작업 유니트로 압유를 공급하는 제2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작업 유니트는,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를 통해 압유를 공급받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작업 유니트는, 상기 건설기계의 리프팅 작업을 수행하는 리프팅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작업 유니트는, 상기 건설기계의 틸팅 작업을 수행하는 틸팅 유니트; 및 상기 건설기계의 사이드 시프팅 작업을 수행하는 사이드 시프트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프팅 유니트 상의 압유를 제어하는 리프팅 블럭; 상기 틸팅 유니트 상의 압유를 제어하는 틸팅 블럭; 상기 사이드 시프트 상의 압유를 제어하는 사이드 시프트 블럭; 및 상기 제2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상기 틸팅 블럭 및 상기 사이드 시프트 블럭으로 공급할지 또는, 상기 리프팅 블럭으로 공급할지 또는, 상기 리프팅 블럭, 상기 틸팅 블럭 및 상기 사이드 시프트 블럭으로 동시에 공급할지를 제어하는 미드 인렛 블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향 유니트 상의 압유를 제어하는 조향 블럭; 및 상기 제1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상기 조향 유니트로 또는 상기 리프팅 블럭으로 공급할지를 제어하는 프라이어리티 블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드 인렛 블럭 및 상기 프라이어리티 블럭은, 상기 건설기계의 리프팅 작업 중 상승 작업시 상기 리프팅 블럭으로 압유를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레이크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압유를 공급하는 브레이크 블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블럭은, 상기 제1 펌프로부터 상기 프라이어리티 블럭으로 공급되는 압유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프라이어리티 블럭보다 먼저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는, 상기 건설기계의 조향 작업시에는 상기 프라이어리티 블럭을 통해 상기 조향 블럭으로 우선 공급하고 잉여 압유는 상기 리프팅 블럭으로 공급하며, 상기 제2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는, 상기 미드 인렛 블럭을 통해 상기 틸팅 블럭 또는 상기 사이드 시프트 블럭으로 우선 공급되며, 상기 건설기계의 리프팅 작업 중 상승 작업시에는 상기 미드 인렛 블럭을 통해 상기 리프팅 블럭으로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드 인렛 블럭은, 상기 틸팅 블럭 또는 상기 사이드 시프트 블럭으로의 압유공급을 제어하는 미드 인렛 제1 밸브; 및 상기 리프팅 블럭으로의 압유공급을 제어하는 미드 인렛 제2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드 인렛 제1 밸브는, 상기 틸팅 블럭 또는 상기 사이드 시프트 블럭으로 압유가 공급되도록 개방되는 제1 챔버; 및 상기 틸팅 블럭 또는 상기 사이드 시프트 블럭으로 압유의 공급을 막도록 폐쇄되는 제2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미드 인렛 제2 밸브는, 상기 리프팅 블럭으로 압유가 공급되도록 개방되는 개방 챔버; 및 상기 리프팅 블럭으로 압유의 공급을 막도록 폐쇄되는 폐쇄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틸팅 블럭 또는 상기 사이드 시프트 블럭으로 압유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미드 인렛 제1 밸브는, 제1 챔버로 전환되고, 상기 미드 인렛 제2 밸브는, 폐쇄 챔버로 전환되며, 상기 리프팅 블럭으로 압유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미드 인렛 제1 밸브는, 제2 챔버로 전환되고, 상기 미드 인렛 제2 밸브는, 개방 챔버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은, 압유를 공급하는 펌프를 조향 장치 및 리프팅 장치로 압유를 공급하는 제1 펌프 및 틸팅 및 사이드 시프트 장치로 압유를 공급하는 제2 펌프로 구비함으로써, 펌프를 소형화할 수 있고 조향 장치로 공급되는 압유를 컨트롤하는 프라이어리티 밸브의 용량 또한 소형화할 수 있어 건설기계 내부의 설치공간 확보가 유리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설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각각의 작업 장치로 공급되는 압유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은, 리프팅 실린더와 틸팅 또는 사이드 시프트 실린더로의 압유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미드 인렛 블럭을 추가구비하여 건설기계의 리프팅 작업 중 상승 작업시 제1 펌프 및 제2 펌프에서 공급되는 압유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압유의 최대유량을 사용할 수 있어 상승 작업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와 펌프의 효율적인 사용으로 엔진의 에너지 사용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은, 제1 펌프 및 제2 펌프의 유압 회로가 분리됨에 따라, 복합 작동시(조향, 틸팅 및 사이드 시프트 실린더 동시 작동) 급조작에 의한 수충격 현상이 제2 펌프에 의해 제어되는 유압회로에 발생되더라도 제1 펌프에 의해 제어되는 유압회로인 조향 시스템의 운전대는 일시 잠김 현상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건설기계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의 유압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의 유압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건설기계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건설기계(바람직하게는 지게차; 1)를 우선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건설기계(1)는 지게차(1)로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제어 시스템(50b)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1)는, 고중량의 화물(40)을 들어올리는 리프팅 작업 및 이를 하역장소로 운반하는 운반작업 등의 작업을 행하는 건설기계(1)로서 지게차 본체(10), 마스트 조립체(20), 주행 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게차(1)는, 조향 보조장치(도시하지 않음), 주행 장치(30) 및 마스트 조립체(20), 리프팅 실린더(531)와 틸팅 실린더(521)를 구비할 수 있다.
지게차 본체(10)는 앞부분에 마스트 조립체(20)가 연결되며, 주행장치(30), 운전실(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운전실(11)에는 마스트 조립체 조작부(부호 도시하지 않음), 주행 조작부(도시하지 않음) 등 작업자(도시하지 않음)가 지게차(1)를 운전할 수 있는 각종 조작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마스트 조립체 조작부는 , 마스트 조립체(20)의 세부 구성을 각각 조작할 수 있는 레버 혹은 스위치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주행 조작부는, 후술할 주행장치(30)의 조작을 위해 가속 페달과 제동 페달 등의 페달(112) 및 전후좌우 방향조절을 위한 복수 개의 주행 레버가 구비될 수 있다.
운전실(11)의 상측은 운전실(11)에 탑승하는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오버 헤드 가드(111)가 설치된다.
마스트 조립체(20)는, 마스트 레일(21)과 마스트 레일(21)을 따라 상, 하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22)를 갖추고 있으며, 캐리지(22)에는 화물(40)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23)가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주행 장치(30)는, 장비의 이동 역할을 하며, 지게차 본체(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전측에는 좌우 한 벌의 전륜휠(3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후측에는 후륜휠(3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지게차(1)를 구동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유압제어시스템(50b)를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의 건설기계의 유압제어시스템(50a)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종래의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의 유압회로도이다.
도 2의 종래의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50a)을 참고하여 유압 전달 계통을 통한 지게차(1)의 구동매커니즘을 설명하여보면, 엔진(60)의 구동에 의해서 제1 펌프(61)가 가동되고, 제1 펌프(61)에 의해서 압유 저장탱크(70)에 저장된 압유가 프라이어리티 유니트(56) 및 브레이크 유니트(57)로 공급된다.
압유는 브레이크 유니트(57)의 브레이크 블럭(571)에 구성되는 브레이크 컨트롤 밸브(5711)에 가장 먼저 공급되어 압유의 적어도 일부를 브레이크(부호 도시하지 않음)로 공급하고(보통 2~6L/min 정도 공급; 바람직하게는 4L/min) 나머지 일부를 프라이어리티 유니트(56)로 공급한다.
프라이어리티 유니트(56)로 공급된 압유는, 프라이어리티 블럭(561)의 프라이어리티 밸브(5611)에 의해 조향 유니트(55)로 공급되거나, 리프팅 유니트(53), 틸팅 유니트(52) 및 사이드 시프트 유니트(51)로 공급된다.
조향 유니트(55)로 공급된 압유는, 조향 실린더(551)에 공급되어 지게차(1)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는 데 사용되며, 리프팅 유니트(53), 틸팅 유니트(52) 및 사이드 시프트 유니트(51)로 공급된 압유는 각각 리프팅 실린더(531), 틸팅 실린더(521) 및 사이드 시프트 실린더(511)에 공급되어 지게차(1)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건설기계의 유압제어시스템(50a)은, 하나의 펌프(61)를 통해 조향과 작업을 모두 실시해야하므로 압유의 사용이 비효율적이며, 압유의 관로손실의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조향과 작업을 하나의 펌프(61)로 실시함으로써, 조향 작업을 실시하는 상태에서 틸팅 작업이나 사이드 시프트 작업을 수행하면 조향 실린더(551)로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이 일시적으로 잠기는 현상(kick back; 킥백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유압제어시스템(50b)을 개발하였으며, 이하에서부터는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유압제어시스템(50b)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제어시스템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제어시스템(50b)은, 사이드 시프트 유니트(51), 틸팅 유니트(52), 리프팅 유니트(53), 인렛 유니트(54), 조향 유니트(55), 프라이어리티 유니트(56), 브레이크 유니트(57), 미드 인렛 유니트(58), 엔진(60), 제1 펌프(61), 제2 펌프(62) 및 압유 저장탱크(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제어시스템(50b)은 미드 인렛 유니트(58), 제1 펌프(61) 및 제2 펌프(62) 외에 도 2에서 설명하는 종래의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50a)에서의 각 구성과 편의상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나, 반드시 동일한 구성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사이드 시프트 유니트(51)는, 지게차(1)의 포크(23)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작업(보조 작업 또는 사이드 시프팅 작업, 이하에서는 보조 작업에는 사이드 시프팅 작업이 포함될 수 있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사이드 시프트 실린더(511) 및 사이드 시프트 블럭(512)을 포함한다.
사이드 시프트 실린더(511)는, 사이드 시프트 블럭(512)으로부터 공급받는 압유를 통해 입출됨으로써, 사이드 시프트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할 수 있으며, 사이드 시프트 장치의 작동으로 포트(23)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이드 시프트 블럭(512)은, 사이드 시프트 유니트(51) 상의 압유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이드 시프트 블럭(512)은, 제2 펌프(62)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압유 저장탱크(70)로 공급하거나 사이드 시프트 실린더(511)로 공급할 수 있다.
사이드 시프트 블럭(512)은, 사이드 시프트 밸브(512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사이드 시프트 실린더(511)로 압유를 공급하도록 하는 특정 챔버 및 압유 저장탱크(70)로 압유를 리턴시키거나 또는 타 작업 장치를 작동시키는 임의의 블럭(도시하지 않음)으로 압유를 공급하는 임의의 챔버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시프트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사이드 시프트 밸브(5121)는 사이드 시프트 실린더(511)로 공급하도록 하는 특정 챔버로 전환되어 틸팅 블럭(522)으로부터 압유를 공급받아 사이드 시프트 실린더(511)를 작동시키며, 사이드 시프트 작업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드 시프트 밸브(5121)를 압유 저장탱크(70)로 압유를 리턴시키거나 또는 타 작업 장치를 작동시키는 임의의 블럭(도시하지 않음)으로 압유를 공급하는 임의의 챔버로 전환되어 사이드 시프트 실린더(511)로의 압유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틸팅 유니트(52)는, 지게차(1)의 마스트 조립체(20)를 기울이는 작업(보조 작업 또는 틸팅 작업, 이하에서는 보조 작업에는 틸팅 작업이 포함될 수 있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틸팅 실린더(521) 및 틸팅 블럭(522)을 포함한다.
틸팅 실린더(521)는, 틸팅 블럭(522)으로부터 공급받는 압유를 통해 입출됨으로써, 틸팅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할 수 있으며, 틸팅 장치의 작동으로 마스트 조립체(20)가 앞 또는 뒤로 경사가 형성되도록 마스트 조립체(20)를 기울일 수 있다.
틸팅 블럭(522)은, 틸팅 유니트(52)상의 압유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틸팅 블럭(522)은, 제2 펌프(62)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사이드 시프트 유니트(51)로 공급하거나 틸팅 실린더(521)로 공급할 수 있다.
틸팅 블럭(522)은, 틸팅 컨트롤 밸브(5221)를 구비할 수 있으며, 틸팅 실린더(521)로 압유를 공급하도록 하는 특정 챔버 및 압유 저장탱크(70)로 압유를 리턴시키거나 또는 사이드 시프트 블럭(512)으로 압유를 공급하는 임의의 챔버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틸팅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틸팅 컨트롤 밸브(5221)는 틸팅 실린더(521)로 공급하도록 하는 특정 챔버로 전환되어 미드 인렛 블럭(582)으로부터 압유를 공급받아 틸팅 실린더(521)를 작동시키며, 틸팅 작업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틸팅 컨트롤 밸브(5221)를 압유 저장탱크(70)로 압유를 리턴시키거나 또는 사이드 시프트 블럭(512)으로 압유를 공급하는 임의의 챔버로 전환되어 틸팅 실린더(521)로의 압유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리프팅 유니트(53)는, 지게차(1)가 화물(40)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작업(주 작업 또는 메인 작업, 이하에서는 리프팅 작업이라 한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리프팅 실린더(531), 리프팅 블럭(532)을 포함한다. (메인 작업 유니트는 리프팅 유니트(53)일 수 있다.)
리프팅 실린더(531)는, 리프팅 블럭(532)으로부터 공급받는 압유를 통해 입출됨으로써, 리프팅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할 수 있으며, 리프팅 장치의 상승 또는 하강을 통해 화물(40)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리프팅 유니트(53)는, 리프팅 작업시 작동되며, 지게차(1)가 리프팅 유니트(53)를 작동시키는 경우 제1 펌프(61) 및 제2 펌프(62)를 통해 동시에 압유를 공급받을 수 있고, 구체적으로 리프팅 작업 중 화물(40)을 들어올리는 상승 작업시, 제1 펌프(61) 및 제2 펌프(62)의 유량을 동시에 공급받을 수 있다.
리프팅 블럭(532)은, 리프팅 유니트(53) 상의 압유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프팅 블럭(532)은, 제1 펌프(61) 또는 제2 펌프(62)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인렛 유니트(54)를 거쳐 리프팅 실린더(531)로 공급할 수 있다.
리프팅 블럭(532)은, 리프팅 컨트롤 밸브(5321)를 구비할 수 있으며, 리프팅 실린더(531)로 압유를 공급하도록 하는 특정 챔버 및 압유 저장탱크(70)로 압유를 리턴시키는 임의의 챔버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프팅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리프팅 컨트롤 밸브(5321)는 리프팅 실린더(531)로 공급하도록 하는 특정 챔버로 전환되어 압유를 공급받고, 프라이어리티 블럭(561)에서 공급되어 인렛 블럭(542)을 거친 압유를 공급받아 리프팅 실린더(531)를 작동시키며, 리프팅 작업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리프팅 컨트롤 밸브(5321)를 압유 저장탱크(70)로 압유를 리턴시키는 임의의 챔버로 전환되어 리프팅 실린더(531)로의 압유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여기서 리프팅 작업 중 화물(40)을 들어올리는 상승 작업시에는 압유의 공급이 상당히 많이 필요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펌프(61)에서 공급되는 압유를 프라이어리티 블럭(561)에서 리프팅 블럭(532)으로 우선공급되도록 하며(물론 이 경우 지게차(1)가 조향작업을 동시에 실시한다면, 제1 펌프(61)에서 공급되는 압유가 프라이어리티 블럭(561)에서 리프팅 블럭(532)으로 우선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조향 블럭(551)으로 우선 공급되고 잉여 압유가 리프팅 블럭(532)으로 공급되게 된다.), 제2 펌프(62)에서 공급되는 압유를 미드 인렛 블럭(581)에서 사이드 시프트 블럭(512) 및 틸팅 블럭(522)이 아닌 리프팅 블럭(532)으로 우선 공급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리프팅 작업 중 화물(40)을 들어올리는 상승 작업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지게차(1)의 동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조향 유니트(55)는, 지게차(1)의 이동 방향을 정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조향 실린더(551) 및 조향 블럭(552)을 포함한다.
조향 실린더(551)는, 조향 블럭(552)으로부터 공급받는 압유를 통해 입출됨으로써, 조향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할 수 있으며, 조향 장치의 방향전환으로 지게차(1)의 이동 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정해질 수 있다.
조향 블럭(552)은, 조향 유니트(55) 상의 압유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향 블럭(552)은, 제1 펌프(61)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조향 실린더(551)로 공급하거나 압유 저장탱크(70)로 공급할 수 있다.
조향 블럭(552)은, 조향 컨트롤 밸브(552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조향 실린더(551)로 압유를 공급하도록 하는 특정 챔버 및 압유 저장탱크(70)로 압유를 리턴시키는 임의의 챔버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향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조향 컨트롤 밸브(5521)는 조향 실린더(551)로 공급하도록 하는 특정 챔버로 전환되어 프라이어리티 블럭(561)으로부터 압유를 공급받아 조향 실린더(551)를 작동시키며, 조향 작업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조향 컨트롤 밸브(5521)를 압유 저장탱크(70)로 압유를 리턴시키는 임의의 챔버로 전환되어 조향 실린더(551)로의 압유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프라이어리티 유니트(56)는, 조향 유니트(55)로 압유를 우선적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프라이어리티 블럭(561)을 포함한다.
프라이어리티 블럭(561)은, 제1 펌프(61)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조향 유니트(55)로 공급할지 또는 리프팅 유니트(53)로 공급할지를 제어할 수 있으며, 지게차(1)의 조향 작업 실시시, 조향 컨트롤 밸브(5521)로 압유를 우선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라이어리티 블럭(561)은, 지게차(1)가 조향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제1 펌프(61)로부터 공급받은 압유를 조향 블럭(552)으로 우선 공급하고, 잉여 압유는 리프팅 유니트(53)로 공급한다.
다만, 프라이어리티 블록(561)은, 지게차(1)가 리프팅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라도 동시에 조향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 경우, 제 1 펌프(61)로부터 공급받은 압유를 리프팅 유니트(53)가 아닌 조향 블럭(552)으로 우선 공급하고 잉여 압유를 리프팅 유니트(53)로 공급하게 된다. 즉, 프라이어리티 블럭(561)은 최우선적으로 조향 유니트(55)로 압유를 공급한다.
프라이어리티 블럭(561)은, 지게차(1)의 조향 작업 미실시시에는, 조향 유니트(55)로 압유의 공급이 중단되므로, 압유의 전량을 리프팅 유니트(53)로 공급할 수 있다.
프라이어리티 블럭(561)은, 프라이어리티 밸브(561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조향 블럭(552) 및 리프팅 블럭(531)으로 압유를 공급하도록 하는 특정 챔버와 리프팅 블럭(531)으로 압유를 리턴시키는 임의의 챔버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라이어리티 블럭(561)은, 조향 작업시에는 우선적으로 프라이어리티 밸브(5611)를 조향 블럭(551) 및 리프팅 블럭(531)으로 압유를 공급하도록 하는 특정 챔버로 전환시켜 조향 블럭(551)으로 압유를 우선적으로 공급하고, 잉여 압유를 리프팅 블럭(531)으로 공급하며, 조향 작업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라이어리티 밸브(5611)를 리프팅 블럭(531)으로 압유를 리턴시키는 임의의 챔버로 전환시켜 리프팅 블럭(532)으로 추가 압유의 공급을 수행한다.
브레이크 유니트(57)는, 지게차(1)의 진행을 정지하도록 하거나 지게차(1)의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하며, 브레이크(부호 도시하지 않음) 및 브레이크 블럭(571)을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블럭(571)으로부터 공급받는 압유를 통해 작동됨으로써, 지게차(1)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으며, 지게차(1)의 작동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브레이크의 구동은 매우 중요하므로 브레이크로 압유의 공급은 항상 우선적으로 공급된다.
브레이크 블럭(571)은, 제1 펌프(61)로부터 공급받는 압유를 통해 브레이크의 작동을 제어하며, 제1 펌프(61)로부터 프라이어리티 블럭(561)으로 공급되는 압유 중 적어도 일부를 프라이어리티 블럭(561)보다 우선적으로 공급받을 브레이크를 제어할 수 있다.
브레이크 블럭(571)은, 브레이크 컨트롤 밸브(5711)를 구비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 컨트롤 밸브(5711)는 오리피스의 형태로 구성되어 항상 일정 유량의 압유가 브레이크로 공급되고 일정 유량 외의 나머지 압유가 프라이어리티 블럭(561)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미드 인렛 유니트(58)는, 리프팅 유니트(53) 또는 틸팅 유니트(52) 및 사이드 시프트 유니트(51)로 공급되는 압유를 제어하며, 미드 인렛 블럭(581) 및 미드 인렛 제1 밸브(5811), 미드 인렛 제2 밸브(5812) 및 미드 인렛 제3 밸브(5813)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드 인렛 블럭(581)은, 제2 펌프(62)를 통해 공급되는 압유를 틸팅 블럭(521) 또는 사이드 시프트 블럭(511)으로 공급할지 또는 리프팅 블럭(531)으로 공급할지를 제어할 수 있으며, 지게차(1)의 리프팅 작업 중 상승 작업시 리프팅 유니트(53)로 압유를 우선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드 인렛 블럭(581)은, 제2 펌프(62)를 통해 공급되는 압유를 틸팅 블럭(521) 또는 사이드 시프트 블럭(511)으로 우선 공급되며, 지게차(1)의 리프팅 작업 중 상승 작업시 리프팅 유니트(53)로 압유를 우선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지게차(1)의 리프팅 작업 중 상승 작업시에는 소비되는 압유의 필요량이 많아 지므로 제2 펌프(62)에서 공급되는 유량 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드 인렛 블럭(581) 및 프라이어리티 블럭(561)을 구비하여 지게차(1)의 리프팅 작업 중 상승 작업시 제1 펌프(61) 및 제2 펌프(62)의 압유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화물(40)의 상승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미드 인렛 블럭(581)은, 틸팅 블럭(522) 또는 사이드 시프트 블럭(512)으로의 압유 공급을 제어하는 미드 인렛 제1 밸브(5811), 리프팅 블럭(532)으로의 압유 공급을 제어하는 미드 인렛 제2 밸브(5812), 압유 저장탱크(70)로의 압유 공급을 제어하는 미드 인렛 제3 밸브(5813)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드 인렛 제1 밸브(5811)는, 틸팅 블럭(522) 또는 사이드 시프트 블럭(512)으로 압유가 공급되도록 개방되는 제1 챔버(부호 도시하지 않음) 및 틸팅 블럭(522) 또는 사이드 시프트 블럭(512)으로 압유의 공급을 막도록 폐쇄되는 제2 챔버(부호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드 인렛 제2 밸브(5812)는, 리프팅 블럭(532)으로 압유가 공급되도록 개방되는 개방 챔버(부호 도시하지 않음) 및 리프팅 블럭(532)으로 압유의 공급을 막도록 폐쇄되는 폐쇄 챔버(부호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드 인렛 제3 밸브(5813)은, 틸팅 장치 및 사이드 시프팅 장치로 공급되는 압유가 과압이 형성되는 경우 틸팅 블럭(522) 또는 사이드 시프트 블럭(512)으로 공급되는 압유의 일부를 압유 저장탱크(70)로 리턴시킬 수 있다. 즉, 미드 인렛 제3 밸브(5813)은 틸팅 블럭(522) 또는 사이드 시프트 블럭(512)으로 공급되는 압유의 과압 형성을 방지하는 릴리프 밸브일 수 있다.
미드 인렛 블럭(581)은, 틸팅 블럭(522) 또는 사이드 시프트 블럭(512)으로 압유가 공급되는 경우 미드 인렛 제1 밸브(5811)를 제1 챔버로 전환시키고 미드 인렛 제2 밸브(5812)를 폐쇄 챔버로 전환시키며, 리프팅 블럭(532)으로 압유가 공급되는 경우 미드 인렛 제1 밸브(5811)를 제2 챔버로 전환시키고 미드 인렛 제2 밸브(5812)를 개방 챔버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틸팅 작업 또는 사이드 시프트 작업과 같은 보조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미드 인렛 블럭(581)은, 미드 인렛 제1 밸브(5811)를 제1 챔버로 전환시키고 미드 인렛 제2 밸브(5812)를 폐쇄 챔버로 전환시켜 제2 펌프(62)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리프팅 블럭(532)으로 공급되는 것을 막고 틸팅 블럭(522) 또는 사이드 시프트 블럭(512)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리프팅 작업과 같은 메인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미드 인렛 블럭(581)은, 미드 인렛 제1 밸브(5811)를 제2 챔버로 전환시키고 미드 인렛 제2 밸브(5812)를 개방 챔버로 전환시켜 제2 펌프(62)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틸팅 블럭(522) 또는 사이드 시프트 블럭(512)으로 공급되는 것을 막고 리프팅 블럭(532)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엔진(60)은,주행 장치(30)를 구동하며, 동시에 제1 펌프(61) 및 제2 펌프(62)를 구동할 수 있다. 엔진(60)은 제1 펌프(61) 및 제2 펌프(62)와 직결되어 엔진(60)의 구동과 함께 제1 펌프(61) 및 제2 펌프(62)가 구동될 수 있다.
제1 펌프(61)는, 압유 저장탱크(70)에서 조향 유니트(55) 또는 리프팅 유니트(53)로 압유를 공급한다. 여기서 제1 펌프(61)는, 약 27 내지 29cc의 유량을 조향 유니트(55), 브레이크 유니트(57) 또는 리프팅 유니트(53)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펌프(61)는 고정 용량형 펌프일 수 있으며, 조향 유니트(55) 또는 리프팅 유니트(53)로만 압유를 공급하게 되어 종래의 건설기계의 압유제어시스템(50a)에서의 펌프와는 달리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제1 펌프(61)는, 제2 펌프(62)에 비해 약 6 내지 8cc 정도 더 많은 양을 공급할 수 있는데 이는 브레이크 유니트(57)로 압유 항상 우선적으로 공급하기 위함이다.
제2 펌프(62)는, 압유 저장탱크(70)에서 리프팅 유니트(53) 또는 사이드 시프팅 유니트(51), 틸팅 유니트(52)로 압유를 공급한다. 여기서 제2 펌프(62)는 약 20 내지 22cc의 유량을 리프팅 유니트(53) 또는 사이드 시프팅 유니트(51), 틸팅 유니트(52)로 공급할 수 있다.
제2 펌프(62)는 고정 용량형 펌프일 수 있으며, 리프팅 유니트(53) 또는 사이드 시프팅 유니트(51), 틸팅 유니트(52)로만 압유를 공급하게 되어 역시 종래의 건설기계의 압유제어시스템(50a)에서의 펌프와는 달리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펌프를 제1 펌프(61) 및 제2 펌프(62)로 분리하여 제1 펌프(61)는 조향 유니트(55) 또는 리프팅 유니트(53)로만 압유를 공급하고, 제2 펌프(62)는, 리프팅 유니트(53) 또는 사이드 시프팅 유니트(51), 틸팅 유니트(52)로만 압유를 공급하여 조향 장치와 작업 장치를 수행하는 펌프를 분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향 작업을 실시하는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틸팅 작업이나 사이드 시프트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킥백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압유 저장탱크(70)는, 지게차(1)의 주요 장치들에 사용되는 압유를 저장할 수 있으며, 압유 저장탱크(70)는 압유를 제1 펌프(61) 및 제2 펌프(62)를 통해 사이드 시프트 유니트(51), 틸팅 유니트(52), 미드 인렛 유니트(58), 리프팅 유니트(53), 메인 릴리프 유니트(54), 조향 유니트(55), 프라이어리티 유니트(56), 브레이크 유니트(57) 등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유니트(51 내지 58)에서 사용되고 난 후에 리턴되는 압유를 재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압유 저장탱크(70)는 필터링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여 리턴되는 압유를 필터링한 후 저장함으로써, 상기 유니트(51 내지 58)로 압유를 재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50b)은, 압유를 공급하는 펌프(61,62)를 조향 장치(도시하지 않음) 및 리프팅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압유를 공급하는 제1 펌프(61) 및 틸팅 및 사이드 시프트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압유를 공급하는 제2 펌프(62)로 구비함으로써, 제1 펌프(61)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조향 장치로 공급되는 압유를 컨트롤하는 프라이어리티 밸브(5611)의 용량 또한 소형화할 수 있어 건설기계(1) 내부의 설치공간 확보가 유리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설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각각의 작업 장치로 공급되는 압유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50b)은, 리프팅 실린더(531)와 틸팅 또는 사이드 시프트 실린더(521,511)로의 압유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미드 인렛 블럭(581)을 추가구비하여 건설기계(1)의 리프팅 작업 중 상승 작업시 제1 펌프(61) 및 제2 펌프(62)에서 공급되는 압유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압유의 최대유량을 사용할 수 있어, 상승 작업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와 펌프(61,62) 및 엔진(60)의 효율적인 사용으로 건설기계(1)의 에너지 사용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50b)은, 제1 펌프(61) 및 제2 펌프(62)의 유압 회로가 독립적으로 분리됨에 따라, 복합 작동시(조향 및 틸팅 실린더(551, 521) 동시 작동) 급조작에 의한 수충격 현상이 제2 펌프(62)에 의해 제어되는 유압회로에 발생되더라도 제1 펌프(61)에 의해 제어되는 유압회로인 조향 유니트(55)의 운전대(도시하지 않음)는 일시 잠김 현상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지게차 10: 지게차 본체
11: 운전실 111: 오버 헤드 가드
112: 페달 20: 마스트 조립체
21: 마스트 레일 22: 캐리지
23: 포크 30: 주행장치
31: 전륜휠 32: 후륜휠
40: 화물 50a: 종래의 유압 제어시스템
50b: 본 발명의 유압 제어시스템 51: 사이드 시프트 유니트
511: 사이드 시프트 실린더 512: 사이드 시프트 블럭
5121: 사이드 시프트 밸브 52: 틸팅 유니트
521: 틸팅 실린더 522: 틸팅 블럭
5221: 틸팅 컨트롤 밸브 53: 리프팅 유니트
531: 리프팅 실린더 532: 리프팅 블럭
5321: 리프팅 컨트롤 밸브 54: 인렛 유니트
541: 인렛 블럭 5411: 메인 릴리프 밸브
55: 조향 유니트 551: 조향 실린더
552: 조향 블럭 5521: 조향 컨트롤 밸브
56: 프라이어리티 유니트 561: 프라이어리티 블럭
5611: 프라이어리티 밸브 57: 브레이크 유니트
571: 브레이크 블럭 5711: 브레이크 컨트롤 밸브
58: 미드 인렛 유니트 581: 미드 인렛 블럭
5811: 미드 인렛 제1 밸브 5812: 미드 인렛 제2 밸브
5813: 미드 인렛 제3 밸브 60: 엔진
61: 제1 펌프 62: 제2 펌프
70: 압유 저장탱크

Claims (9)

  1. 건설기계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조향 유니트;
    상기 건설기계의 주 작업을 수행하는 메인 작업 유니트;
    상기 건설기계의 보조 작업을 수행하는 보조 작업 유니트;
    압유 저장탱크에서 상기 조향 유니트 또는 상기 메인 작업 유니트로 압유를 공급하는 제1 펌프; 및
    상기 압유 저장탱크에서 상기 보조 작업 유니트 또는 상기 메인 작업 유니트로 압유를 공급하는 제2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작업 유니트는,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를 통해 압유를 공급받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작업 유니트는,
    상기 건설기계의 리프팅 작업을 수행하는 리프팅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작업 유니트는,
    상기 건설기계의 틸팅 작업을 수행하는 틸팅 유니트; 및
    상기 건설기계의 사이드 시프팅 작업을 수행하는 사이드 시프트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유니트 상의 압유를 제어하는 리프팅 블럭;
    상기 틸팅 유니트 상의 압유를 제어하는 틸팅 블럭;
    상기 사이드 시프트 상의 압유를 제어하는 사이드 시프트 블럭; 및
    상기 제2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상기 틸팅 블럭 및 상기 사이드 시프트 블럭으로 공급할지 또는,
    상기 리프팅 블럭으로 공급할지 또는,
    상기 리프팅 블럭, 상기 틸팅 블럭 및 상기 사이드 시프트 블럭으로 동시에 공급할지를 제어하는 미드 인렛 블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유니트 상의 압유를 제어하는 조향 블럭; 및
    상기 제1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상기 조향 유니트로 또는 상기 리프팅 블럭으로 공급할지를 제어하는 프라이어리티 블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드 인렛 블럭 및 상기 프라이어리티 블럭은,
    상기 건설기계의 리프팅 작업 중 상승 작업시 상기 리프팅 블럭으로 압유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압유를 공급하는 브레이크 블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블럭은,
    상기 제1 펌프로부터 상기 프라이어리티 블럭으로 공급되는 압유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프라이어리티 블럭보다 먼저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는,
    상기 건설기계의 조향 작업시에는 상기 프라이어리티 블럭을 통해 상기 조향 블럭으로 우선 공급하고 잉여 압유는 상기 리프팅 블럭으로 공급하며,
    상기 제2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는,
    상기 미드 인렛 블럭을 통해 상기 틸팅 블럭 또는 상기 사이드 시프트 블럭으로 우선 공급되며, 상기 건설기계의 리프팅 작업 중 상승 작업시에는 상기 미드 인렛 블럭을 통해 상기 리프팅 블럭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 인렛 블럭은,
    상기 틸팅 블럭 또는 상기 사이드 시프트 블럭으로의 압유공급을 제어하는 미드 인렛 제1 밸브; 및
    상기 리프팅 블럭으로의 압유공급을 제어하는 미드 인렛 제2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 인렛 제1 밸브는,
    상기 틸팅 블럭 또는 상기 사이드 시프트 블럭으로 압유가 공급되도록 개방되는 제1 챔버; 및
    상기 틸팅 블럭 또는 상기 사이드 시프트 블럭으로 압유의 공급을 막도록 폐쇄되는 제2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미드 인렛 제2 밸브는,
    상기 리프팅 블럭으로 압유가 공급되도록 개방되는 개방 챔버; 및
    상기 리프팅 블럭으로 압유의 공급을 막도록 폐쇄되는 폐쇄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블럭 또는 상기 사이드 시프트 블럭으로 압유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미드 인렛 제1 밸브는, 제1 챔버로 전환되고, 상기 미드 인렛 제2 밸브는, 폐쇄 챔버로 전환되며,
    상기 리프팅 블럭으로 압유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미드 인렛 제1 밸브는, 제2 챔버로 전환되고, 상기 미드 인렛 제2 밸브는, 개방 챔버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1020140151201A 2014-11-03 2014-11-03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101971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201A KR101971237B1 (ko) 2014-11-03 2014-11-03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201A KR101971237B1 (ko) 2014-11-03 2014-11-03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348A true KR20160051348A (ko) 2016-05-11
KR101971237B1 KR101971237B1 (ko) 2019-04-22

Family

ID=56026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1201A KR101971237B1 (ko) 2014-11-03 2014-11-03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2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317A (ko) 2016-11-24 2018-06-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유압 에너지 회수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366A (ko) * 1996-12-31 1998-10-07 추호석 지게차용 유압 시스템
KR20080035397A (ko) * 2006-10-19 2008-04-23 주식회사 유압사랑 에너지 절감형 3펌프 제어용 콘트롤 밸브의 유압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366A (ko) * 1996-12-31 1998-10-07 추호석 지게차용 유압 시스템
KR20080035397A (ko) * 2006-10-19 2008-04-23 주식회사 유압사랑 에너지 절감형 3펌프 제어용 콘트롤 밸브의 유압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317A (ko) 2016-11-24 2018-06-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유압 에너지 회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237B1 (ko) 201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77905A1 (en) Hydraulic control device of industrial machinery
US20130098464A1 (en) Closed-Loop Hydraulic System Having Regeneration Configuration
JP5898763B2 (ja) 運搬車両
EP1868935B1 (en) Hydraulic system for an industrial vehicle
JP6831648B2 (ja) 液圧駆動システム
EP2752385B1 (en) Forklift
US20130081382A1 (en) Regeneration configuration for closed-loop hydraulic systems
KR20160079815A (ko) 유압 회로 및 작업 기계
JP3162384B2 (ja) 作業装置を備えた作業機械のための液圧装置
JP5963768B2 (ja) 運搬車両
WO2016169939A1 (en) Hydraulic circuit and working machine
CN116692724A (zh) 无人驾驶运输系统
CN107923152B (zh) 用于使工程机械的工具移动的液压系统和方法
JP6333713B2 (ja) 油圧駆動システム
US20120251283A1 (en) Construction equipment machine with improved boom suspension
KR101971237B1 (ko) 건설기계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20140010042A (ko) 과부하의 경우 대기 모드로 부하 감지 제어
CN112424429A (zh) 装卸作业车辆
JP6457380B2 (ja) 運搬車両
KR101998308B1 (ko) 건설장비용 전자유압 밸브의 유량제어 시스템
KR20180026885A (ko) 지게차의 유압제어 시스템
KR20230046857A (ko) 건설 기계의 워밍업 시스템 및 건설 기계의 제어 방법
KR20170046363A (ko) 작업기계
KR102410600B1 (ko) 건설기계의 유압제어시스템
US20190003154A1 (en) Hydraulic system for work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