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846A - 정밀 호이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정밀 호이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846A
KR20160050846A KR1020140149929A KR20140149929A KR20160050846A KR 20160050846 A KR20160050846 A KR 20160050846A KR 1020140149929 A KR1020140149929 A KR 1020140149929A KR 20140149929 A KR20140149929 A KR 20140149929A KR 20160050846 A KR20160050846 A KR 20160050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rotary
winding
end portion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헌우
김남훈
최준웅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49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0846A/ko
Publication of KR20160050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having hoisting gear adapted to special load-engaging elemen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대상체를 견인와이어에 연결하여 운반시 견인할 수 있는 하중이 증가되면서도 요동 및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비되되, 중심부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대칭되게 관통하는 제1축 및 제2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쌍으로 배치된 제1회전권취부 및 제2회전권취부가 구비된 하측 지지프레임;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회전권취부 및 상기 제2회전권취부와 상하방향으로 각각 대응되도록 중심부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대칭되게 관통하는 제3축 및 제4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방향으로 회전되는 쌍으로 배치된 제3회전권취부 및 제4회전권취부가 구비된 상측 지지프레임;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호 이웃하는 상기 각 회전권취부의 전측 및 후측을 경유하여 권취되고 중앙부가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의 하방으로 연장된 견인와이어와, 상기 견인와이어의 중앙부에 대상체가 연결되는 훅부재가 구비된 견인이송부; 및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각 회전권취부의 간격과 상기 견인와이어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권취된 횟수에 비례하여 상기 대상체의 승강폭이 증폭되도록,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와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을 수직으로 연결하되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이 승강되도록 선택적으로 신장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정밀 호이스트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밀 호이스트 장치{hoist apparatus}
본 발명은 정밀 호이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체를 견인와이어에 연결하여 운반시 견인할 수 있는 하중이 증가되면서도 요동 및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개선된 정밀 호이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는 창고, 철도역 등에서 화물의 운반이나 공장에서의 기계분해, 조립 등에 사용된다. 이러한 호이스트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짐을 오르내리는 기계장치의 하나로 견인모터, 기어감속장치, 와이어드럼 등을 한 조로 하고 와이어로프 끝에 훅을 장치하여 대상체를 들어올린다.
상세히, 상기 호이스트는 전기 호이스트, 공기 호이스트 등이 있으며, 전기 호이스트는 소형의 전동기, 가속장치 및 감속장치, 와이어드럼, 대상체을 잡고 있는 전자기 브레이크, 대상체를 내릴 때의 속도를 조절하는 하중브레이크 등을 좁은 용기 공간에 집중시킨 소형 견인장치이다.
이때, 상기 호이스트는 지브(jib) 끝에 붙이거나 또는 아이형 빔의 아래쪽 플렌지를 레일로 주행하며, 대상체를 오르내려 운반하는데 쓰인다. 여기서, 땅에서 로프를 조작하여 전동기를 움직이는 방식, 버튼을 움직이는 방식, 원격 조작하는 방식 등이 있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호이스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의 호이스트(1)는 대상체를 상부로 견인하도록 메인프레임(2)의 상부에 와이어로프가 권취되도록 형성된 와이어드럼(3)의 일측으로 견인모터(4)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5)와 견인을 중지하는 브레이크(6)를 견인모터(4)와 중간축(7)으로 연결하되, 중간축(7)은 와이어드럼(3)의 내부 중앙에 지지되도록 형성하고, 메인프레임(2)은 하부 전후로 차륜(8)을 주행모터(9)와 결합시켜 주행모터(9)의 구동으로 차륜(8)을 회전하여 횡행 주행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중간축(7)이 형성된 호이스트(1)는 견인모터(4)를 구동시키면 타측에 중간축(7)으로 연결된 감속기(5)에서 속도를 조절하면서 대상체를 견인하여 주행모터(9)로 구동되는 차륜(8)을 회전시켜 대상체를 이송하고 전원 차단, 고장 등과 같은 비상시에 중간축의 선단에 형성된 브레이크(6)를 작동시켜 견인을 중지한다.
그러나, 종래의 호이스트는 견인 및 주행시 관성에 의한 요동으로 인해 대상체의 낙하 사고와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과부하장치의 오작동으로 인해 견인 및 주행시 모터가 회전하지 않을 경우 브레이크가 개방되어 상기 대상체가 추락하는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대상체의 신속한 견인이 가능하도록 큰 직경의 와이어드럼을 채용하는 경우, 큰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감속비가 큰 감속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장치가 대형화되고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899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대상체를 케이블에 연결하여 운반시 견일할 수 있는 하중이 증가되면서도 요동 및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개선된 정밀 호이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비되되, 중심부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대칭되게 관통하는 제1축 및 제2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쌍으로 배치된 제1회전권취부 및 제2회전권취부가 구비된 하측 지지프레임;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회전권취부 및 상기 제2회전권취부와 상하방향으로 각각 대응되도록 중심부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대칭되게 관통하는 제3축 및 제4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방향으로 회전되는 쌍으로 배치된 제3회전권취부 및 제4회전권취부가 구비된 상측 지지프레임;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호 이웃하는 상기 각 회전권취부의 전측 및 후측을 경유하여 권취되고 중앙부가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의 하방으로 연장된 견인와이어와, 상기 견인와이어의 중앙부에 대상체가 연결되는 훅부재가 구비된 견인이송부; 및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각 회전권취부의 간격과 상기 견인와이어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권취된 횟수에 비례하여 상기 대상체의 승강폭이 증폭되도록,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와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을 수직으로 연결하되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이 승강되도록 선택적으로 신장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정밀 호이스트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각 회전권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견인와이어의 일단부 및 타단부의 권취되는 경로를 다단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축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권취홈이 다단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견인와이어는 기설정된 원주길이로 일체로 연결되어 구비되되, 상기 일단부 및 타단부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각 회전권취부의 전측 및 후측의 외주면을 따라 상호 인접한 내측방향을 향하여 권취되며, 중앙부는 상기 각 축의 전후방향으로 상호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견인와이어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각 회전권취부의 전측 및 후측에 각각 권취되되, 상기 각 견인와이어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각 회전권취부의 좌측 및 우측 외주면을 따라 상호 인접한 내측방향을 향하여 권취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대상체의 중량에 대응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의 신장폭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체의 중량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유압신린더에 개별적으로 동력을 인가하여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병렬연결된 복수개 유압모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정밀 호이스트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하측으로 구비된 각 지지프레임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상기 유압실린더가 선택적으로 신장되는 것만으로도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각 회전권취부에 상기 견인와이어가 권취된 길이가 증폭됨과 비례하여 상대적으로 대상체를 신속하게 견인하는 간단한 구조로 별도의 가속기, 브레이크 등의 부재가 생략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소음이 최소화되어 작업환경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대상체의 견인속도 및 견인폭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각 회전권취부가 이격되어 벌어지는 간격과 상기 견인와이어가 상기 각 회전권취부에 권취되는 횟수에 비례하여 광범위하게 증폭되면서도, 이러한 과정이 단지 상기 유압실린더의 신장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므로 소음이 최소화되는 시너지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셋째, 상기 유압실린더가 신장되도록 복수개의 유압모터가 병렬연결되어 순차적으로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유연한 실린더 구동이 가능하며, 상기 유압실린더를 신장시키는 속도 및 폭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견인속도 및 견인폭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대상체의 요동 및 추락을 방지하여 안정적이면서도 작업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호이스트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밀 호이스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밀 호이스트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권취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인와이어의 권취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밀 호이스트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밀 호이스트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밀 호이스트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밀 호이스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밀 호이스트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권취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인와이어의 권취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또한,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밀 호이스트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밀 호이스트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밀 호이스트 장치(100)는 하측 지지프레임(10), 상측 지지프레임(20), 견인이송부(30) 그리고 유압실린더(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창고 내지 공장과 같은 작업공간에서 대상물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작업공간의 상측에 설치되는 레일(a)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10)은 상하면이 개구된 하측케이스(11)의 상단부 테두리에 이동롤러(14)가 체결되는 이동롤러 체결부(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10)은 상기 하측케이스(11)의 중심부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대칭되게 관통하는 제1축(15) 및 제2축(16)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쌍으로 배치된 제1회전권취부(17) 및 제2회전권취부(18)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권취부(17) 및 상기 제2회전권취부(18)는 중앙부가 상기 제1축(15) 및 상기 제2축(16)에 각각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회전풀리(17a,17b,18a,18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대향방향으로 회전된다 함은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제1회전권취부(17) 및 상기 제2회전권취부(18)가 상기 하측케이스(11)의 중심 방향을 향하여 회전되거나 혹은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회전권취부(17)가 상기 하측케이스(11)의 중심방향으로 회전된다면 상기 제2회전권취부(18) 역시 상기 하측케이스(11)의 중심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하측케이스(11)는 상기 제1회전권취부(17) 및 상기 제2회전권취부(18)의 측면을 실질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폭의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가 배치되는 구획을 나누고 내구성이 보강되도록 다수개의 격벽(11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개의 격벽(11a)에도 상기 제1축(15) 및 제2축(16)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10)의 상측에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2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20)은 중심부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대칭되게 관통하는 제3축(25) 및 제4축(26)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방향으로 회전되는 쌍으로 배치된 제3회전권취부(27) 및 제4회전권취부(28)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케이스(21)는 상기 하측케이스(11)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3회전권취부(27) 및 상기 제4회전권취부(28)의 측면을 실질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폭의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회전권취부(27,28)가 배치되는 구획을 나누고 내구성이 보강되도록 다수개의 격벽(2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케이스(21)에 형성된 다수개의 격벽(21a)에도 상기 제3축(25) 및 제4축(26)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회전권취부(17)의 상측에는 상기 제3회전권취부(27)가 상하방향으로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회전권취부(18)의 상측에는 상기 제4회전권취부(28)가 상하방향으로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3회전권취부(27)와 상기 제4회전권취부(28) 역시 중앙부가 상기 제3축(25) 및 제4축(26)에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회전풀리(27a,27b,28a,28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하방향으로 대응되는 상기 제1회전권취부(17)와 제3회전권취부(27)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제1회전권취부(17)의 중심 즉, 제1축(15)과 상기 제3회전권취부(27)의 중심 즉, 제3축(25)이 기설정된 각도로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상기 제2회전권취부(18) 및 상기 제4회전권취부(28) 역시 상술한 바와 마찬자기로 수직 혹은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는 상기 각 축(15,16,25,26)의 전측 및 후측에 각각 다수개의 풀리 단위체가 중첩되어 구비되거나, 경우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풀리 단위체가 중첩된 형태로 일체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풀리 단위체라 함은 상기 로프나 와이어를 걸어 회전시키는 통상의 바퀴부재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각 회전풀리(17a,17b,18a,18b,27a,27b,28a,28b)는 상기 다수개의 상기 풀리 단위체가 중첩되거나 중첩된 형태로 일체화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전측이라 함은 상기 각 축(15,16,25,26)의 일단부 방향을 의미하고 상기 후측이라 함은 상기 각 축(15,16,25,26)의 타단부 방향을 의미하며, 특정된 방향성을 나타내지는 않음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는 상기 각 축(15,16,25,26)의 전측 및 후측에 상기 회전풀리(17a,17b,18a,18b,27a,27b,28a,28b)가 각각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회전권취부(17)는 상기 제1축(15)의 양단부에 각각 전측 제1회전풀리(17a)와 후측 제1회전풀리(17b)를 포함하며, 상기 제2회전권취부(18) 내지 제4회전권취부(28)도 상기 제1회전권취부(17)와 동일한 형태로 구비된다.
즉,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은 좌우방향으로 대칭되게 구비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를 구성하는 상기 각 회전풀리(17a,17b, 18a,18b,27a,27b,28a,28b)도 상기 각 축(15,16,25,26)의 전측 및 후측에 상호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에는 상기 견인이송부(30)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견인이송부(30)는 견인와이어(31)와 훅부재(3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견인와이어(31)는 일단부(31a)로부터 타단부(31b)까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링형상으로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기 제1회전권취부(17)와 제3회전권취부(27), 그리고 상기 제2회전권취부(18)와 제4회전권취부(28)의 외주면을 각각 쌍으로 경유하여 권취된다.
이때,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의 외주면을 각각 경유하여 권취된다 함은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를 구성하는 상기 각 회전풀리(17a,17b,18a, 18b,27a,27b,28a,28b)의 외주면을 경유하여 회전 귄취됨과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는 상기 각 회전풀리(17a,17b,18a, 18b,27a,27b,28a,28b)의 외주면을 따라 견인와이어(31)의 일단부(31a) 및 타단부(31b)가 권취되는 경로를 다단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축(15,16,25,26)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권취홈(s)이 다단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권취홈(s)은 상기 각 회전풀리(17a,17b,18a,18b,27a,27b,28a, 28b)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일단부(31a) 및 타단부(31b)가 서로 엉키거나 상기 각 회전풀리(17a,17b,18a,18b,27a,27b,28a,28b)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설정된 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권취홈(s)은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를 이루를 각 풀리 단위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각각의 풀리 단위체가 상기 각 축(15,16,25,26)에 관통되어 연속적으로 복수개 중첩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권취홈(s)이 상기 각 축(15,16,25,26)의 연장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에서 상기 권취홈(s)의 개수는 상기 풀리 단위체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일단부(31a) 및 타단부(31b)를 권취하고자 하는 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풀리 단위체의 개수를 탄력적으로 변경하여 중첩 연결할 수도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권취홈(s)은 상기 각 축(15,16,25,26)의 연장방향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회전풀리의 외주면에 링형상 내지 나선형상으로 다단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1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중앙부에는 훅부재(32)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는 상기 각 축(15,16,25,26)의 전측 및 후측에 각 회전풀리(17a,17b,18a,18b,27a, 27b,28a,28b)가 대칭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일단부(31a) 및 타단부(31b)가 상기 각 축(15,16,25,26)의 전측 및 후측에 각각 연결되면서도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상기 각 회전풀리(17a,17b,18a,18b,27a,27b,28a,28b)의 외주면을 경유하여 권취된다. 그리고,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일단부(31a) 및 타단부(31b) 사이에 형성된상기 견인와이어(31)의 중앙부(31c)는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10)의 하방으로 연장되며 훅부재(32)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훅부재(32)는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중앙부(31c)가 권취되는 훅풀리(32a)와 상기 훅풀리(32a)의 하측에 연결된 걸림훅(32b)을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걸림훅(32b)은 경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송하고자 하는 상기 대상물(k)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형태의 제한을 두지 않는다.
한편,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20)과 하측 지지프레임(10)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유압실린더(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압실린더(40)가 신장됨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 사이가 이격되는 간격과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일단부(31a) 및 타단부(31b)가 권취된 횟수에 비례하여 상기 대상체(k)의 상승폭이 선택적으로 증폭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20)은 상하면이 개구된 중공형의 상기 상측케이스(21) 내부가 다수개의 격벽(21a)으로 구획되되 중앙부에 상기 유압실린더(40)의 일단부(40a)가 삽입되는 상측 실린더체결부(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10)은 상하면이 개구된 중공형의 상기 하측케이스(11) 내부가 다수개의 격벽(11a)으로 구획되되 그 중앙부에 상기 유압실린더(40)의 타단부(40b)가 삽입되는 하측 실린더체결부(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 실린더체결부(22)와 상기 하측 실린더체결부(12)에 상기 유압실린더(40)의 일단부(40a) 및 타단부(40b)가 각각 삽입된다. 이때,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10)은 실질적으로 상기 레일(a)에 장착되는 형태로 구비되므로 상기 유압실린더(40)가 신장시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20)이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10)의 상측으로 승강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20)이 승강시 상기 유압실린더(40)의 일단부(40a)가 상기 상측 실린더체결부(22)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압실린더(40)의 일단부(40a) 상면을 커버하는 상측커버(23)가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20)이 하강시 상기 유압실린더(40)의 일단부(40a)가 상기 상측 실린더체결부(22)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상측커버(23)를 관통하여 상기 유압실린더(40)의 일단부(40a) 상면을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측 실린더체결부(12)에 삽입되는 상기 유압실린더(40)가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압실린더(40)의 타단부(40b) 외면에는 고정돌기부(41)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실린터체결부(12)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돌기부(41)가 형합되는 고정형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유압실린더(40)는 경우에 따라 상기 각 지지프레임(10,20)의 전후 내지 좌우측에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상기 정밀 호이스트 장치(100)는 상기 유압실린더(40)의 신장시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10)으로부터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20)이 상측으로 승강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각각 대응되게 구비되는 상기 제1회전권취부(17)와 상기 제3회전권취부(27), 그리고 상기 제2회전권취부(18)와 상기 제4회전권취부(28) 사이 간격이 선택적으로 이격되어 벌어진다.
상세히,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의 상하방향 간격이 이격되어 벌어짐에 따라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일단부(31a) 및 타단부(31b)가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를 상하방향으로 경유하여 권취되는 길이가 길어진다. 즉,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 사이에 벌어지는 간격에 비례하여 그의 외주면에 각각 권취되는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일단부(31a)와 타단부(31b)의 실질적으로 권취되는 둘레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견인와이어(31)는 상기 일단부(31a)로부터 타단부(31b)까지 일체로 연결된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일단부(31a) 및 타단부(31b)가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권취홈(s)을 따라 권취되는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중앙부(31c)가 하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아지면서 상기 대상체(k)를 견인할 수 있다.
이때, 상하방향으로 구비된 상기 회전권취부(17,18,27,28)가 이격됨에 의해 상기 견인와이어(31)가 탄성 신장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견인와이어(31)는 신축성이 최소화된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도 5a에서와 같이, 견인와이어(30)는 기설정된 원주길이로 일체로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링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일단부(31a) 및 타단부(31b)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 27,28)의 전측 및 후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각 회전풀리(17a,17b,18a,18b,27a, 27b,28a,28b)의 외주면을 따라 상호 인접한 내측방향으로 각각 권취된다. 더불어, 상기 견인와이어(31) 중앙부(31c)는 상기 각 축(15,16,25,26)의 전후방향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회전권취부(17)의 상측에는 상기 제3회전권취부(27)가 배치된다. 이때, 각 회전권취부(17,27)는 각 축(15,25)의 전측 및 후측에 각각의 회전풀리(17a,17b,27a,27b)가 구비된다. 즉, 전측 제1회전풀리(17a)의 상측에는 전측 제3회전풀리(27a)가 배치되고, 후측 제1회전풀리(17b)의 상측에는 후측 제3회전풀리(27b)가 배치된다.
더불어, 상기 제2회전권취부(18)의 상측에는 상기 제4회전권취부(28)가 배치된다. 이때, 각 회전권취부(18,28)는 각 축(16,26)의 전측 및 후측에 각각의 회전풀리(18a,18b,28a,28b)가 구비된다. 즉, 전측 제2회전풀리(18a)의 상측에는 전측 제4회전풀리(28a)가 배치되고, 후측 제2회전풀리(18b)의 상측에는 후측 제4회전풀리(28b)가 배치된다.
더욱이, 상기 제1축(15)과 제2축(16)은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10)의 중심부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대칭됨에 따라 상기 전측 제1회전풀리(17a)와 전측 제2회전풀리(18a)는 좌우 대칭되게 구비되고, 전측 제3회전풀리(27a)와 전측 제4회전풀리(28a) 역시 좌우 대칭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3축(25) 및 제4축(26)도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20)의 중심부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대칭됨에 따라 상기 후측 제1회전풀리(17b)와 후측 제2회전풀리(18b), 그리고 후측 제3회전풀리(27b)와 후측 제4회전풀리(28b) 역시 각각 좌우방향으로 대칭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일단부(31a)는 각각 상하측으로 배치된 전측 회전풀리(17a,18a,27a,28a)의 외주면을 따라 권취되고, 상기 견인와이어의(31) 타단부(31b)는 각각 상하측으로 배치된 후측 회전풀리(17b,18b,27b,28b)의 외주면을 따라 권취된다. 이때,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일단부(31a) 및 타단부(31b)가 각각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의 좌우측으로 상호 인접한 내측방향을 향하여 회전되어 권취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일단부(31a)는 상기 전측 회전풀리(17a,18a,27a,28a)에 좌우측이 대칭되도록 권취되되, 상기 중앙부(31c)로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의 상호 인접하는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견인와이어(31)의 타단부(31b)는 상기 후측 회전풀리(17b,18b,27b,28b)에 좌우측이 대칭되도록 권취되되, 상기 중앙부(31c)로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의 상호 인접하는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그리하여,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중앙부(31c)가 자연스럽게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10)의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중앙부(31c)는 상기 훅풀리(32a)에 귄취된다. 이때,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에 권취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중앙부(31c)가 상호 인접한 내측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엉킴 등을 방지하여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혹은,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견인와이어(131,132)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의 전측 및 후측에 각각 권취된다. 이때, 상기 각 견인와이어(131,132)의 일단부(131a,132a) 및 타단부(131b,132b)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의 좌측 및 우측 외주면을 따라 상호 인접한 내측방향을 향하여 권취된다.
상세히, 상기 견인와이어(131,132)는 전측 회전풀리((17a,18a,27a,28a)의 외주면을 따라 권취되는 전측 견인와이어(131)와 후측 회전풀리(17b,18b,27b,28b)의 외주면을 따라 권취되는 후측 견인와이어(13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측 견인와이어(131)의 일단부(131a)는 좌측 내지 우측 중 어느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전측 회전풀리(17a,27a)의 외주면에 권취되고 타단부(131b)는 상기와 가로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전측 회전풀리(18a,28a)의 외주면에 권취된다. 그리고, 상기 전측 견인와이어(131)의 일단부(131a)와 타단부(131b)는 상기 회전풀리의 외주면을 따라 상호 인접한 내측방향으로 각각 권취되며 중앙부(131c)가 자연스럽게 상기 하측지지프레임(도3의 10)의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측 견인와이어(132)의 일단부(132a)는 좌측 내지 우측 중 어느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후측 회전풀리(17b,27b)의 외주면에 권취되고 타단부(132b)는 상기와 가로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후측 회전풀리(18b,28b)의 외주면에 권취된다. 그리고, 상기 후측 견인와이어(132)의 일단부(132a)와 타단부(132b)는 상기 회전풀리의 외주면을 따라 상호 인접한 내측방향으로 각각 권취되며 중앙부(132c)가 자연스럽게 상기 하측지지프레임(도3의 10)의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측 견인와이어(131)와 후측 견인와이어(132)의 각각의 중앙부(131c,132c)는 각각 분리되어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상태로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도3의 10)의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훅풀리(32a)에 권취된다.
즉, 상기 정밀 호이스트 장치(100)는 상기 견인와이어(31,131,132)가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의 외주면을 따라 권취되되 그의 일단부(31a,131a, 132a)와 타단부(31b,131b,132b) 그리고 중앙부(31c,131c,132c)가 연속적으로 이어진 링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유압실린더(40)의 신장시 상기 견인와이어(31,131,132)의 일단부부(31a,131a,132a) 및 타단부(31b,131b,132b)가 상기 회전권취부(17,18,27,28)에 권취되는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상기 견인와이어(31,131,132)의 중앙부(31c,131c,132c)의 길이는 짧아짐으로써 상기 훅부재에 연결되는 상기 대상체(k)를 견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상체(k)가 견인되는 높이 즉, 견인폭은 좌우뿐만 아니라 상하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에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일단부(31a) 및 타단부(31b)가 권취되는 횟수 즉, 상기 각 회전풀리(17a,17b,18a, 18b,27a,27b,28a,28b)의 외주면에 상기 권취홈(s)이 형성된 개수에 비례한다.
즉, 일정한 원주길이로 일체로 구비되는 상기 견인와이어(31)는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에 권취되는 상기 일단부(31a) 및 타단부(31b)가 연장될수록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1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중앙부(31c)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아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밀 호이스트 장치(100)를 적용함에 따른 상기 대상체(k)의 견인폭은 다음과 같은 식을 적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h2는 상기 대상체(k)가 기준면으로부터 견인된 높이 즉, 견인폭을 의미하고, h1은 상기 유압실린더(40)가 신장됨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각 축(15,16,25,26) 사이가 이격되어 벌어진 높이 즉, 승강폭을 의미한다.
상세히, 상기 유압실린더(40)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20)이 승강되고,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20)을 관통하는 상기 제3축(25) 및 제4축(26)이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10)을 관통하는 상기 제1축(15) 및 제2축(16)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벌어진다.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40)가 신장된 높이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각 축(15,16,25,26) 사이가 이격되어 벌어진 승강폭(h1)은 대응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sn은 상기 각 회전풀리(17a,17b,18a,18b, 27a,27b,28a,28b)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권취홈(s)의 개수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유압실린더(40)가 신장되기 전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의 외주면을 경유하는 상기 견인와이어(31)의 1회전 권취길이와 상기 유압실린더(40)가 신장됨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벌어진 각 회전권취(17,18,27,28)의 외주면을 경유하는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연장된 1회전 권취길이의 차이는 상기 승강폭(h1)의 2배가 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압실린더(40)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20)은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10)의 상측으로 승강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20)이 승강된 승강폭(h1)에 대응하여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10)에 연결된 상기 제1축(15) 및 제2축(16)과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20)에 연결된 상기 제3축(25) 및 제4축(26) 사이의 간격도 이격되어 벌어진다.
더욱이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전측 제1회전풀리(17a)와 그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전측 제3회전풀리(27a)의 외주면을 경유하도록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일단부(31a)가 권취된다. 이때,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일단부(31a)은 상기 전측 제1회전풀리(17a)의 하측 외주면과 상기 전측 제3회전풀리(27a)의 상측 외주면을 반원 형태로 감싸듯이 경유하며 그 사이는 직선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유압실린더(40)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전측 제1회전풀리(17a)와 상기 전측 제3회전풀리(27a)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상기 견인와이어의 일측 길이가 연장되는데 상기 각 전측 회전풀리(17a,27a)를 반원으로 감싸는 양단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되므로 상기 유압실린더(40)가 신장된 길이 즉, 승강폭(h1)의 2배의 길이로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를 경유하는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견인와이어(31)는 상기 일단부(31a), 타단부(31b), 중앙부(31c)가 일체로 구비되므로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일단부(31a)와 타단부(31b)가 각 회전권취부(17,18,27,28)에 권취되는 길이가 연장될수록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중앙부(31a)가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1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아진다.
즉, 상기 대상체의 견인폭(h2)은 상기 유압실린더(40)가 신장된 높이 즉, 상기 제1축(15) 내지 상기 제2축(16)과 상기 제3축(25) 내지 상기 제4축(26) 사이의 승강폭(h1)과 함께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권취홈(s)의 개수(sn)에 대응하여 상기 견인와이어(31)가 권취된 횟수에 대응한다.
더욱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각 회전풀리(17a,17b,18a,18b,27a,27b, 28a,28b)의 외주면을 따라 양단으로 상기 유압실린더(40)의 신장되어 상기 각 축(15,16,25,26)의 상하방향으로 벌어진 높이(h1)가 적용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2배로 더 승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20)에 관통 연결된 상기 제3축(25) 및 제4축(26)과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10)에 관통 연결된 상기 제1축(15) 및 제2축(16)의 상하방향의 초기폭(h0)이 10cm이고 상기 유압실린더(40)가 신장됨에 의해 15cm로 가변되고, 상하방향으로 연결된 각 회전권취부(17,18,27,28)에 형성된 권취홈(s)의 개수(sn)가 각 5개라고 가정한다면, 상기 견인폭(h2)은 2*5(cm)*5(권취홈개수) 즉, 50cm임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정밀 호이스트 장치(100)는 상기 유압실린더(40)가 신장된 높이 즉, 승강폭(h1)이 5cm에 불과하더라도 상기 견인와이어(31)가 상기 회전권취부(17,18,27,28)에 권취된 횟수 즉, 상기 권취홈(s)의 개수(sn)에 비례하여 견인폭은 그의 10배에 상응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견인효율이 현저히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권취홈(s)의 개수(sn)가 증가함에 따라 견인폭은 보다 광범위하게 증폭됨은 자명한 일이다.
그리하여, 상기 정밀 호이스트 장치(100)는 단지 상기 유압실린더(40)가 신장되기만 하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 사이가 이격되어 벌어지는 간단한 구조로서, 상기 유압실린더(40)의 신장폭 및 신장속도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대상체(k)의 견인속도를 초미속 내지 고속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견인폭 역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유압실린더(40)의 신장에 의해 상기 회전권취부(17,18,27,28)에 권취되는 상기 견인와이어(31)의 길이가 증폭되는 간단한 구조로 종래에 가속모터, 감속기, 브레이크 등의 복잡하고 과도한 소음을 발생시키는 구조가 선택적으로 생략가능하므로 소음발생이 최소화되어 작업환경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정밀 호이스트 장치(100)는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일단부(31a) 및 타단부(31b)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회전권취부(17,18,27,28)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권취홈(s)을 경유하여 권취되되, 상기 권취홈(s)의 개수에 대응하는 횟수로 권취됨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40)의 신장시 상기 권취홈(s)의 개수(sn)에 비례하여 상기 대상체(k)의 견인폭(h2)이 광범위하게 증폭되므로 견인 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회전풀리(17a,17b,18a,18b,27a,27b,28a,28b)는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를 구성하므로,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의 외주면에 상기 권취홈(s)이 형성되었다 함은 상기 각 회전풀리(17a,17b,18a,18b,27a,27b, 28a,28b)의 외주면에 상기 권취홈(s)이 형성된 것과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압실린더(40)의 신장길이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5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0)는 압력센서(51)와 유압모터(52)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압력센서(50)는 상기 견인와이어(31)의 중앙부(31c)에 연결되는 상기 대상체(k)의 무게를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압력센서(51)에서 측정된 중량에 대응하여 상기 유압실린더(40)의 신장속도 및 신장폭이 선택적으로 가변되도록 상기 유압모터(52)로 신호를 인가한다.
이때, 상기 유압모터(52)는 복수개로 구비되되 병렬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유압모터(52)는 상기 대상체(k)의 중량에 따라 상기 압력센서(5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각각의 유압모터(52a,52b,52c,52d)가 개별적으로 순차적으로 가동된다.
즉, 상기 대상체(k)의 중량이 작거나 작은 폭의 견인높이로도 이송이 가능할 경우 유압모터는 1개 내지 2개만 가동해도 상기 대상체(k)의 견인이송이 가능하다. 반대로, 상기 대상체(k)의 중량이 크거나 큰 폭의 견인높이를 필요로 할 경우 상기 복수개의 유압모터(52)를 모두 가동하여 상기 대상체(k)를 견인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복수개의 유압모터(52)에 동시에 신호를 인가하기보다 병렬로 연결된 각각의 유압모터(52a,52b,52c,52d)에 순차적으로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대상체(k)의 중량에 대하여 상기 유압실린더(40)가 급격하게 신장하거나 상기 견인와이어(31)에 과도한 힘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정밀 호이스트 장치(1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사용수명이 연장되고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40)를 신장시키는 속도 및 힘을 탄력적으로 가변함에 따라 초기 견인속도를 초미속으로 설정가능하므로 상기 대상체(k)가 요동치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압모터(52)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 외부로 전해지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유압모터(52)의 외측을 커버하는 방음커버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작업공간의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방지하여 작업환경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
한편, 어두운 환경에서도 상기 정밀 호이스트 장치(100)가 상기 레일(a) 상에서 상기 정밀 호이스트 장치(100)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훅부재(32)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10)에는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표식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어둡거나 복잡한 환경에서도 작업자가 상기 표식부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및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의 일측에는 상기 견인와이어(31)의 표면과 상기 권취홈(s) 외면 사이의 마찰력이 최소화되도록 윤활유 분사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견인와이어(31)가 상기 권취홈(s)의 외면을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딩 이송됨에 따라 상기 대상체(k)를 견인시 저항이 최소화되므로 안정적으로 견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견인와이어(31)와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 사이에 마찰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는 소음이 최소화되므로 사용자의 작업환경이 보다 개선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밀 호이스트 장치(100)는 상하측으로 구비된 각 지지프레임(10,20)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상기 유압실린더(40)가 선택적으로 신장되는 것만으로도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각 회전권취부(17,18,27,28)에 상기 견인와이어(31)가 권취된 길이가 증폭됨과 비례하여 상대적으로 대상체(k)를 견인하는 간단한 구조로 별도의 가속기, 브레이크 등의 부재가 생략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소음이 최소화되어 작업환경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상체(k)의 견인속도 및 견인폭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각 회전권취부(17,18,27,28)가 이격되어 벌어지는 간격과 상기 견인와이어(31)가 상기 각 회전권취부(17,18,27,28)에 권취되는 횟수에 비례하여 광범위하게 증폭되면서도, 이러한 과정이 단지 상기 유압실린더(40)의 신장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므로 소음이 최소화되는 시너지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유압실린더(40)가 신장되도록 복수개의 유압모터(52)가 병렬연결되어 순차적으로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유연한 실린더 구동이 가능하며, 상기 유압실린더(40)를 신장시키는 속도 및 폭을 제어하여 상기 정밀 호이스트 장치(100)의 견인속도 및 견인폭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대상체의 요동 및 추락을 방지하여 안정적이면서도 작업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하측 지지프레임 11 : 하측케이스
14 : 이동롤러 15 : 제1축
16 : 제2축 17 : 제1회전권취부
18 : 제2회전권취부 20 : 상측 지지프레임
21 : 상측케이스 25 : 제3축
26 : 제4축 27 : 제3회전권취부
28 : 제4회전권취부 30 : 견인이송부
31 : 견인와이어 32 : 훅부재
40 : 유압실린더 50 : 제어부
100 : 정밀 호이스트 장치

Claims (5)

  1.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비되되, 중심부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대칭되게 관통하는 제1축 및 제2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쌍으로 배치된 제1회전권취부 및 제2회전권취부가 구비된 하측 지지프레임;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회전권취부 및 상기 제2회전권취부와 상하방향으로 각각 대응되도록 중심부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대칭되게 관통하는 제3축 및 제4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방향으로 회전되는 쌍으로 배치된 제3회전권취부 및 제4회전권취부가 구비된 상측 지지프레임;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호 이웃하는 상기 각 회전권취부의 전측 및 후측을 경유하여 권취되고 중앙부가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의 하방으로 연장된 견인와이어와, 상기 견인와이어의 중앙부에 대상체가 연결되는 훅부재가 구비된 견인이송부; 및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각 회전권취부의 간격과 상기 견인와이어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권취된 횟수에 비례하여 상기 대상체의 승강폭이 증폭되도록, 상기 하측 지지프레임와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을 수직으로 연결하되 상기 상측 지지프레임이 승강되도록 선택적으로 신장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정밀 호이스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회전권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견인와이어의 일단부 및 타단부의 권취되는 경로를 다단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축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권취홈이 다단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호이스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와이어는 기설정된 원주길이로 일체로 연결되어 구비되되, 상기 일단부 및 타단부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각 회전권취부의 전측 및 후측의 외주면을 따라 상호 인접한 내측방향을 향하여 권취되며, 중앙부는 상기 각 축의 전후방향으로 상호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호이스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와이어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각 회전권취부의 전측 및 후측에 각각 권취되되, 상기 각 견인와이어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각 회전권취부의 좌측 및 우측 외주면을 따라 상호 인접한 내측방향을 향하여 권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호이스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중량에 대응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의 신장폭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체의 중량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유압신린더에 개별적으로 동력을 인가하여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병렬연결된 복수개 유압모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호이스트 장치.
KR1020140149929A 2014-10-31 2014-10-31 정밀 호이스트 장치 KR201600508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929A KR20160050846A (ko) 2014-10-31 2014-10-31 정밀 호이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929A KR20160050846A (ko) 2014-10-31 2014-10-31 정밀 호이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846A true KR20160050846A (ko) 2016-05-11

Family

ID=56025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929A KR20160050846A (ko) 2014-10-31 2014-10-31 정밀 호이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08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027A (ko) * 2020-10-20 2022-04-27 김경식 전기굴삭기용 전원케이블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027A (ko) * 2020-10-20 2022-04-27 김경식 전기굴삭기용 전원케이블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826B1 (ko) 마찰차를 이용한 호이스트
US9016486B2 (en) Traveling crane having traveler and hoisting winch
EP2765110B1 (en) An arrangement for damping lateral sways of rope-like means fixed to an elevator unit and an elevator
EP2962977B1 (en) Gantry crane for handling containers
KR101752450B1 (ko) 갠트리 크레인
CN105692464B (zh) 一种双小车异向移动桥架型起重机
KR20150039941A (ko) 중량물 인양장치
KR101281201B1 (ko) 엘리베이터의 콤펜체인 가이드장치
JP5800916B2 (ja) 4:1ローピングを有するエレベータ装置
KR20160050846A (ko) 정밀 호이스트 장치
JP2018095433A (ja) クレーン
JP6578862B2 (ja) 昇降装置
CN214422057U (zh) 一种6比1曳引结构呈s型分布的电梯
KR200466509Y1 (ko) 엘리베이터의 종진동 제어장치
CN210214519U (zh) 一种用于曳引式建筑施工升降机的补偿链装置
CN110562832A (zh) 一种用于曳引式建筑施工升降机的补偿链装置
KR101488700B1 (ko) 크레인
CN205367499U (zh) 一种双梁起重机及其起升台车
CN105800431B (zh) 同步轿底轮结构的稳定型曳引系统
KR20140111811A (ko) 크레인용 권양장치의 훅블록 발란스유지장치
CN214934083U (zh) 自动堆叠机
CN220950907U (zh) 一种欧式起重机的升降装置
CN113415722B (zh) 防摇起升机构、起吊装置以及门式起重机
CN110436362B (zh) 环链卷扬机吊钩稳定系统及卷扬设备
RU2576222C2 (ru) Способ независимого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барабанами в системе канатных тележе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