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706A - 복합소재 제품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복합소재 제품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706A
KR20160050706A KR1020140149455A KR20140149455A KR20160050706A KR 20160050706 A KR20160050706 A KR 20160050706A KR 1020140149455 A KR1020140149455 A KR 1020140149455A KR 20140149455 A KR20140149455 A KR 20140149455A KR 20160050706 A KR20160050706 A KR 20160050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molded
mold
composite material
produc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광우
김대근
서판기
남재두
차승훈
안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영
Priority to KR1020140149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0706A/ko
Publication of KR20160050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7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6Moulds or cores
    • B29C39/34Moulds or cores for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6Moulds or cores
    • B29C39/30Moulds or cores with means for cutting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42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70/46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atched moulds, e.g. for deforming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prepre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 제품 제조장치는 제1 금형과, 제2 금형, 및 트리밍 유닛을 포함한다. 제1 금형은 복합소재의 모재를 얹어서 지지하는 것으로, 제품 부분의 하면 형상을 성형하는 제1 제품 성형부와, 제1 제품 성형부의 외곽에 배치되어 비제품 부분의 하면 형상을 성형하는 제1 비제품 성형부, 및 성형된 비제품 부분이 제품 부분과의 하측 경계에 제1 단차 홈을 갖도록 제1 비제품 성형부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를 구비한다. 제2 금형은 제1 금형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1 금형과 합형 또는 이형되며 제1 금형과 합형시 복합소재의 모재를 제품 부분과 비제품 부분을 갖는 성형품으로 성형하는 것으로, 제품 부분의 상면 형상을 성형하는 제2 제품 성형부와, 제2 제품 성형부의 외곽에 배치되어 비제품 부분의 상면 형상을 성형하는 제2 비제품 성형부, 및 성형된 비제품 부분이 제품 부분과의 상측 경계에 제2 단차 홈을 갖도록 제2 비제품 성형부로부터 돌출된 제2 돌출부를 구비한다. 트리밍 유닛은 제1,2 금형에 의해 성형된 성형품을 공급받아 성형품의 제품 부분으로부터 비제품 부분을 절단한다.

Description

복합소재 제품 제조장치{Apparatus of manufacturing composite materials product}
본 발명은 복합소재를 사용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경량화는 완성차 업계의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되는 화두이다. 차량 경량화가 중요해지는 외부적인 요인으로는 각국의 연비규제 강화를 들 수 있다. 차량 경량화를 실현하는 방법 중 가장 효과가 큰 방법은 기존 소재보다 가벼운 소재로 변경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이하 CFRP) 소재와 같은 복합소재가 차량 업계에서 차세대 경량 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 이유로는 탄소섬유가 철보다 밀도뿐만 아니라 비강도, 비강성, 강도 값에서 우수한 물성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CFRP 소재의 제품은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CFRP 프리프레그(Prepreg)를 마련한다. 여기서, CFRP 프리프레그는 탄소섬유에 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직물 소재이다. 이러한 CFRP 프리프레그를 프레스 성형한 후 경화하여 성형품을 만든다. 성형품은 제품 부분의 가장자리에 불필요한 부분이 발생될 수 있는데, 불필요한 부분과 같은 비제품 부분은 트리밍(trimming)에 의해 절단되어 제거됨으로써, 제품 부분이 외관이 다듬어질 수 있다. 따라서, CFRP 소재의 제품이 완성될 수 있다.
한편, CFRP 소재로 만들어진 성형품은 CFRP 소재의 특성상, 비제품 부분의 절단 예정 라인을 따라 정확히 절단하기가 쉽지 않다. 이를 위해, 워터젯(water jet) 절단 등의 절단기가 사용될 수 있지만, 낮은 생산성이 문제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성형품에서 비제품 부분을 제품 부분으로부터 정확히 손쉽게 절단할 수 있고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복합소재 제품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 제품 제조장치는 제1 금형과, 제2 금형, 및 트리밍 유닛을 포함한다. 제1 금형은 복합소재의 모재를 얹어서 지지하는 것으로, 제품 부분의 하면 형상을 성형하는 제1 제품 성형부와, 제1 제품 성형부의 외곽에 배치되어 비제품 부분의 하면 형상을 성형하는 제1 비제품 성형부, 및 성형된 비제품 부분이 제품 부분과의 하측 경계에 제1 단차 홈을 갖도록 제1 비제품 성형부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를 구비한다. 제2 금형은 제1 금형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1 금형과 합형 또는 이형되며 제1 금형과 합형시 복합소재의 모재를 제품 부분과 비제품 부분을 갖는 성형품으로 성형하는 것으로, 제품 부분의 상면 형상을 성형하는 제2 제품 성형부와, 제2 제품 성형부의 외곽에 배치되어 비제품 부분의 상면 형상을 성형하는 제2 비제품 성형부, 및 성형된 비제품 부분이 제품 부분과의 상측 경계에 제2 단차 홈을 갖도록 제2 비제품 성형부로부터 돌출된 제2 돌출부를 구비한다. 트리밍 유닛은 제1,2 금형에 의해 성형된 성형품을 공급받아 성형품의 제품 부분으로부터 비제품 부분을 절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품에서 비제품 부분을 제품 부분으로부터 정확히 손쉽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제품 부분을 절단하는데 펀치나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비제품 부분을 제품 부분으로부터 정확히 손쉽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재 제품 제조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5는 도 1에 도시된 복합소재 제품 제조장치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절단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소재 제품 제조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5는 도 1에 도시된 복합소재 제품 제조장치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복합소재 제품 제조장치(100)는 제1 금형(110)과, 제2 금형(120), 및 트리밍 유닛(130)을 포함한다.
제1 금형(110)은 복합소재의 모재(10)를 얹어서 지지한다. 여기서, 복합소재의 모재(10)는 CFRP 프리프레그(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Prepreg)일 수 있다. CFRP 프리프레그는 1매로 공급되어 제1 금형(110) 상에 배치되거나, 복수 매로 공급되어 제1 금형(110)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제1 금형(110)은 제1 제품 성형부(111)와, 제1 비제품 성형부(112), 및 제1 돌출부(113)를 구비한다. 제1 제품 성형부(111)는 제품 부분(21)의 하면 형상을 성형한다. 제1 비제품 성형부(112)는 제1 제품 성형부(111)의 외곽에 배치되어 비제품 부분(22)의 하면 형상을 성형한다. 제1 제품 성형부(111) 및 제1 비제품 성형부(112)는 제1 금형(110)의 상면에 형성된다.
제1 돌출부(113)는 성형된 비제품 부분(22)이 제품 부분(21)과의 하측 경계에 제1 단차 홈(22a)을 갖도록 제1 비제품 성형부(112)로부터 돌출된다. 제1 돌출부(113)는 제1 제품 성형부(111)를 향한 측면이 제1 제품 성형부(111)와 제1 비제품 성형부(112)의 경계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제품 부분(21)과 비제품 부분(22)의 경계가 절단 예정 라인(A)을 따라 수직으로 절단되는 경우, 제1 돌출부(113)는 제1 제품 성형부(111)를 향한 측면이 수직면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차 홈(22a)은 제품 부분(21)과 비제품 부분(22)의 하측 경계에 수직한 내벽을 갖는다. 따라서, 비제품 부분(22)은 제품 부분(21)과의 하측 경계에서 제1 단차 홈(22a)에 의해 수직으로 단차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금형(120)은 제1 금형(1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1 금형(110)과 합형 또는 이형된다. 제2 금형(120)은 제1 금형(110)과 합형시 복합소재의 모재(10)를 제품 부분(21)과 비제품 부분(22)을 갖는 성형품(20)으로 성형한다. 예컨대, 제2 금형(120)은 제1 금형(110)에 대해 승강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금형(120)은 유압식 또는 기계식 프레스장치의 가동 프레임(미도시)에 연결되어, 가동 프레임이 승강 동작할 때, 가동 프레임과 함께 승강 동작할 수 있다.
제2 금형(120)은 제2 제품 성형부(121)와, 제2 비제품 성형부(122), 및 제2 돌출부(123)를 구비한다. 제2 제품 성형부(121)는 제품 부분(21)의 상면 형상을 성형한다. 제2 비제품 성형부(122)는 제2 제품 성형부(121)의 외곽에 배치되어 비제품 부분(22)의 상면 형상을 성형한다. 제2 제품 성형부(121) 및 제2 비제품 성형부(122)는 제2 금형(120)의 하면에 형성된다.
제2 돌출부(123)는 성형된 비제품 부분(22)이 제품 부분(21)과의 상측 경계에 제2 단차 홈(22b)을 갖도록 제2 비제품 성형부(122)로부터 돌출된다. 제2 돌출부(123)는 제2 제품 성형부(121)를 향한 측면이 제2 제품 성형부(121)와 제2 비제품 성형부(122)의 경계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제품 부분(21)과 비제품 부분(22)의 경계가 절단 예정 라인(A)을 따라 수직으로 절단되는 경우, 제2 돌출부(123)는 제2 제품 성형부(121)를 향한 측면이 수직면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단차 홈(22b)은 제품 부분(21)과 비제품 부분(22)의 상측 경계에 수직한 내벽을 갖는다. 따라서, 비제품 부분(22)은 제품 부분(21)과의 상측 경계에서 제2 단차 홈(22b)에 의해 수직으로 단차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 돌출부(113)(123)는 제1,2 금형(110)(120)의 합형시 서로 이격될 수 있는 높이로 각각 돌출되어 제품 부분(21)과 비제품 부분(22)이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복합소재의 모재(10)를 가열해서 성형하는 경우, 제1,2 금형(110)(120)은 히터를 내장할 수 있다. 히터는 제1,2 금형(110)(120)에 의해 복합소재의 모재(10)를 성형할 때 제1,2 금형(110)(120)을 가열함에 따라 복합소재의 모재(10)를 가열한다. 복합소재의 모재(10)는 가열 및 성형된 후, 경화되어 성형품(20)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트리밍 유닛(130)은 제1,2 금형(110)(120)에 의해 성형된 성형품(20)을 공급받아 성형품(20)의 제품 부분(21)으로부터 비제품 부분(22)을 절단한다. 따라서, 제품 부분(21)의 외관이 다듬어짐으로써, 복합소재의 제품(30)이 완성될 수 있다.
트리밍 유닛(130)은 성형품(20)을 공급받아 지지하는 지지 기구(131)와, 비제품 부분(22)을 절단하는 절단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기구(131)는 하부 다이(131a)와 상부 패드(131b)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 다이(131a)는 비제품 부분(22)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면에 제품 부분(21)을 안착시킨다. 상부 패드(131b)는 비제품 부분(22)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제품 부분(21)을 상부로부터 가압해서 고정할 수 있다. 절단기(132)는 펀치로 이루어져 제품 부분(21)으로부터 비제품 부분(22)을 절단할 수 있다.
전술한 복합소재 제품 제조장치(100)의 작용 예에 대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된 제1,2 금형(110)(120) 사이로 복합소재의 모재(10)가 공급된다. 복합소재의 모재(10)는 CFRP 프리프레그일 수 있다. 그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금형(110)(120)이 합형된다. 그러면, 복합소재의 모재(10)가 성형품(20)으로 성형된다. 이 과정에서, 제1,2 금형(110)(120)은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복합소재의 모재(10)는 가열되면서 성형품(20)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후, 성형품(20)은 냉각되어 경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2 금형(110)(120)을 거친 성형품(20)은 제1,2 제품 성형부(111)(121)에 의해 성형된 제품 부분(21)과, 제1,2 비제품 성형부(112)(122)에 의해 성형된 비제품 부품(22)을 갖게 된다. 또한, 비제품 부분(22)은 제품 부분(21)과의 하측 경계에 제1 돌출부(113)에 의해 제1 단차 홈(22a)이 형성되며, 제품 부분(21)과의 상측 경계에 제2 돌출부(123)에 의해 제2 단차 홈(22b)이 형성된다. 따라서, 비제품 부분(22)은 제품 부분(21)과의 상하측 경계에서 각각 단차진 형태로 제품 부분(21)에 연결된다. 또한, 비제품 부분(22)은 제품 부분(21)과의 연결 부위가 다른 부위보다 얇게 형성된다.
그 다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밍 유닛(130)에 의해 제품 부분(21)으로부터 비제품 부분(22)이 절단된다. 예컨대, 제품 부분(21)은 비제품 부분(22)이 노출되도록 하부 다이(131a)와 상부 패드(131b)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비제품 부분(22)은 절단기(132)에 의해 절단 예정 라인(A)을 따라 정확히 손쉽게 제품 부분(21)으로부터 절단될 수 있다.
즉, 비교예로서 비제품 부분(22)이 제품 부분(21)과의 하측 경계에 제1,2 단차 홈(22a)(22b) 없이 연결된 구조에서는, 펀치와 같은 절단기(132)에 의해 비제품 부분(22)이 절단될 때, 비제품 부분(22)의 상측 경계로 진입 안내가 용이하지 않고, 비제품 부분(22)의 하측 경계에서 절단 예정 라인(A)을 벗어나 제품 부분(21)의 안쪽으로 절단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비제품 부분(22)이 상하측 경계에서 제1,2 단차 홈(22b)(22a)에 의해 단차진 형태로 제품 부분(2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워터젯 절단기를 사용하지 않고 펀치에 의해서도 상측 경계에서 펀치의 진입 안내가 용이하고, 하측 경계에서 비제품 부분(22)이 절단 예정 라인(A)을 따라 정확히 손쉽게 절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기(232)는 레이저 절단기에 의해 제품 부분(21)으로부터 비제품 부분(22)을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제품 부분(22)은 레이저 절단기에 의해서도 절단 예정 라인(A)을 따라 정확히 손쉽게 제품 부분(21)으로부터 절단될 수 있다.
즉, 비교예로서 비제품 부분(22)이 제품 부분(21)과의 하측 경계에 제1,2 단차 홈(22a)(22b) 없이 연결된 구조에서는, 레이저 절단기와 같은 절단기(232)에 의해 비제품 부분(22)이 절단될 때, 비제품 부분(22)의 상측 경계로 진입 안내가 용이하지 않고, 비제품 부분(22)의 하측 경계에서 절단 예정 라인(A)을 따라 깔끔하게 절단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성형품(20)이 CFRP 소재로 만들어진 경우, 비제품 부분(22)의 하측 경계에서 섬유 소재가 풀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비제품 부분(22)이 제품 부분(21)과의 상하측 경계에서 각각 제1,2 단차 홈(22a)(22b)에 의해 단차진 형태로 제품 부분(2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레이저 절단기에 의해서도 상측 경계에서 레이저의 진입 안내가 용이하고, 하측 경계에서 비제품 부분(22)이 절단 예정 라인(A)을 따라 정확히 손쉽게 절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성형품 21..제품 부분
22..비제품 부분 110..제1 금형
111..제1 제품 성형부 112..제1 비제품 성형부
113..제1 돌출부 120..제2 금형
121..제2 제품 성형부 122..제2 비제품 성형부
123..제2 돌출부 130..트리밍 유닛
131..지지 기구 132,232..절단기

Claims (4)

  1. 복합소재의 모재를 얹어서 지지하는 것으로, 제품 부분의 하면 형상을 성형하는 제1 제품 성형부와, 상기 제1 제품 성형부의 외곽에 배치되어 비제품 부분의 하면 형상을 성형하는 제1 비제품 성형부, 및 성형된 비제품 부분이 제품 부분과의 하측 경계에 제1 단차 홈을 갖도록 상기 제1 비제품 성형부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 금형;
    상기 제1 금형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금형과 합형 또는 이형되며 상기 제1 금형과 합형시 복합소재의 모재를 제품 부분과 비제품 부분을 갖는 성형품으로 성형하는 것으로, 제품 부분의 상면 형상을 성형하는 제2 제품 성형부와, 상기 제2 제품 성형부의 외곽에 배치되어 비제품 부분의 상면 형상을 성형하는 제2 비제품 성형부, 및 성형된 비제품 부분이 제품 부분과의 상측 경계에 제2 단차 홈을 갖도록 상기 제2 비제품 성형부로부터 돌출된 제2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2 금형; 및
    상기 제1,2 금형에 의해 성형된 성형품을 공급받아 성형품의 제품 부분으로부터 비제품 부분을 절단하는 트리밍 유닛;
    을 포함하는 복합소재 제품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 유닛은 펀치에 의해 제품 부분으로부터 비제품 부분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 제품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 유닛은 레이저 절단기에 의해 제품 부분으로부터 비제품 부분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 제품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소재의 모재는 CFRP 프리프레그(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Prepre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 제품 제조장치.
KR1020140149455A 2014-10-30 2014-10-30 복합소재 제품 제조장치 KR20160050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455A KR20160050706A (ko) 2014-10-30 2014-10-30 복합소재 제품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455A KR20160050706A (ko) 2014-10-30 2014-10-30 복합소재 제품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706A true KR20160050706A (ko) 2016-05-11

Family

ID=56025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455A KR20160050706A (ko) 2014-10-30 2014-10-30 복합소재 제품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07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543B1 (ko) * 2021-06-22 2022-07-20 아진산업(주) 프리프레그 성형용 금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543B1 (ko) * 2021-06-22 2022-07-20 아진산업(주) 프리프레그 성형용 금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55240B (zh) 预成型体的制造方法以及纤维增强树脂成型品的制造方法
US10293524B2 (en) Press molding apparatus and press molding method
CN110757722B (zh) 一种热塑性连续纤维增强复合材料制件的成型方法
EP3085606A1 (en) Bicycle saddle manufacturing method
US2019015210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moulded parts
CN109562578A (zh) 复合材料结构体和复合材料结构体的制造方法
JP6231015B2 (ja) 繊維強化された成形部材の製造中に繊維スクリムから三次元のプリフォームを製造する方法並びに装置
US970105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resin molded member
MX359016B (es) Piso de material plastico para vehiculo automotor con insertos metalicos de herraje.
CN104816661A (zh) 一种连续纤维热塑性复合塑料座椅骨架及其制备方法
JP6230083B1 (ja) 繊維強化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脱型方法
JP6008788B2 (ja) 複合成形物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6020512B2 (ja) 車両用アンダーカバーの製造方法
CN103402725B (zh) 在发泡工具内生产内饰件的方法
KR20160050706A (ko) 복합소재 제품 제조장치
JPWO2017068812A1 (ja) 繊維強化樹脂構造物の製造方法、繊維強化樹脂構造物の製造システム及び繊維強化樹脂構造物
CN102632143A (zh) 一种板材修边废料刀
KR101765701B1 (ko) 탄소섬유 트리밍 시스템
EP3461624A1 (en) Formed article of fiber-reinforced resin material, and method and die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JP2014169411A (ja) プリプレグ、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76490B1 (ko) 버어 제거가 가능한 성형 장치
JP2017071196A (ja) スタンピング成形用金型構造及びそ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成形品
JP2016221884A (ja) 繊維強化樹脂構造体の製造方法
KR101514632B1 (ko) 사출 성형 방법
RU138015U1 (ru) Форма для вакуумной формов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