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650A -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650A
KR20160050650A KR1020140149274A KR20140149274A KR20160050650A KR 20160050650 A KR20160050650 A KR 20160050650A KR 1020140149274 A KR1020140149274 A KR 1020140149274A KR 20140149274 A KR20140149274 A KR 20140149274A KR 20160050650 A KR20160050650 A KR 20160050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edestrian
engine sound
control unit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9728B1 (ko
Inventor
한창규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9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728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은, 차량에 마련되어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 차량에 마련되며, 열화상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차량의 주변에 보행자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차량에 마련되며, 차량의 주변에 보행자가 있는 경우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키는 가상 엔진음 발생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차량의 속도에 대응되게 열화상 카메라의 화각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PEDESTRIAN INFORMING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보행자 유무를 인지 판단하여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킴으로써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발생되는 교통 사고는 보행자(자전거 탑승자 포함) 사고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이러한 보행자 사고는 일단 사고가 나면 사망 등의 큰 인명 사고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반드시 방지해야만 하는 사고이다.
최근 들어 연료 비용과 정숙성 등을 고려하여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나 전기 자동이륜차 등의 전동기(electric motors)로 구동되는 차량은 차량 자체의 소리가 조용하므로, 일반적인 가솔린차 등이 발생하는 엔진음을 모의(simulation)한 모의 엔진음(pseudo engine sound)을 인공적으로 발생시켜, 운전자(또는 탑승자)가 그 모의 엔진음을 듣는 것에 의해 스피드감을 체감시키는 시스템의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
또한 이 모의 엔진음을 단조로운 소리로서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차량의 외부환경에 따라서 모의 엔진음의 음량을 제어하는 장치도 고안되어 있다. 이 모의 엔진음 제어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속도나 전동기의 회전수 등의 파라미터로부터 차량의 주행상태나 정지상태를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에 따라 음량을 증감시수 있다.
나아가 철로의 건널목(railroad crossing) 이나 학교 근방과 같은 모의 엔진음을 억제해야 할 장소에 있어서는, 그 상황을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으로 검출하여 자동적으로 음량을 저하시킨다.
그리고 교통규칙으로 규정된 제한속도 초과 시 운전자에게 제한속도 초과상태를 인식시켜서 제한속도 이하로 차량을 제어시키기 위해서 음량을 증가하는 제어도 행해진다.
이러한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키는 선행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20839호(2006.08.30)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 및 차량운행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선행기술은 모든 차량이 통일된 규격의 근거리 통신장치를 구비해야만 차량 접근을 감지하여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킨다. 즉 다른 차량에 장착된 근거리 무선통신수단과 통신하여 자신의 차량에 장착된 VESS(Virtual Engine Sound System·가상 엔진 소음시스템)에서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차량 간에 근거리 통신장치가 서로 상이한 경우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킬 수 없고, 차량간에만 적용할 수 있고 보행자의 접근 시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0620839호(야마하 주식회사) 2006.08.30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소음 차량의 장점인 저소음으로 인해 보행자가 차량의 접근을 인지 못해 위험하게 될 수 있는 상황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마련되어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 상기 차량에 마련되며,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변에 보행자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량에 마련되며, 상기 차량의 주변에 보행자가 있는 경우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키는 가상 엔진음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에 대응되게 상기 열화상 카메라의 화각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초점 거리 변경이 가능한 줌 렌즈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변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이 저속 주행 시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광각 렌즈(wide angle lens)의 화각 기준으로 상기 차량의 주변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저속 주행 속도는 0 내지 10km/h일 수 있다.
상기 차량이 중속 주행 시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표준 렌즈 및 망원 렌즈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변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중속 주행 속도는 10km/h를 초과하고 90km/h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차량이 고속 주행 시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초망원 렌즈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변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고속 주행 속도는 90km/h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상기 차량의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피사체 높이와 초점 거리에 비례하는 촬영 거리를 시간당 이동거리로 설정하여 주행 속도에 대하여 알맞은 초점 거리 및 촬영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의 내부에서 인체 온도는 황색으로 촬영되도록 설정하고, 촬영된 이미지에서 황색 픽셀이 10% 이상이고, 높이축 기준 최하단 황색 픽셀에서 최상단 황색 픽셀 사이의 거리가 촬상소자의 세로 길이의 20% 이상의 길이가 될 경우 제어부는 보행자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광각 렌즈, 표준 렌즈, 망원 렌즈 및 초망원 렌즈를 각각 마련하여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마련되는 렌즈들에 의해 근거리부터 원거리까지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유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주행 또는 정차 시 미리 설정된 최대 거리 내에서 보행잘 인식된 대상이 촬영될 경우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먼 거리에서 가까운 거리까지 계속 보행자를 촬영하면서 가상 엔진음을 계속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보행자가 카메라를 촬영할 수 없는 영역까지 접근한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까지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킨 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클락션 조작 시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어린이 보호구역 및 보행자가 많아 복잡한 곳을 미리 입력한 후 상기 입력된 지점을 주행 또는 주차 시 제어부에서 GPS를 기초로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보행자가 많아 복잡한 장소에서의 소음을 녹음한 후 상기 복잡한 장소를 주행 또는 주차 시 상기 녹음 된 소음과 유사한 수준의 음압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는 자동으로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어부에서 차량용 열화상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보행자 유무를 인지 판단하여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키므로 보행자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차량의 속도에 대응되게 열화상 카메라의 화각을 변화시키므로 차량의 주행 속도 예를 들어 저속 주행 속도, 중속 주행 속도, 고속 주행 속도 등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화상 카메라의 카메라 화각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서 차량의 각 주행 속도별 촬영 거리를 변경시켜 피사체 높이를 동일하게 촬영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 3에 도시된 도면을 함축적으로 요약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서 피사체의 높이에 따른 화각 및 촬영 거리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열화상 카메라로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를 채택하고 온도에 기반하여 보행자를 인식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화상 카메라의 카메라 화각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서 차량의 각 주행 속도별 촬영 거리를 변경시켜 피사체 높이를 동일하게 촬영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에 도 3에 도시된 도면을 함축적으로 요약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1)은, 차량에 마련되어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10)와, 차량에 마련되며 열화상 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차량의 주변에 보행자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되 차량의 속도에 대응되게 열화상 카메라(10)의 화각을 변화시키는 제어부(20)와, 차량에 마련되며 차량의 주변에 보행자가 있는 경우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키는 가상 엔진음 발생부(30)를 구비한다.
열화상 카메라(10)는, 차량의 전방부 및 후방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고, 그 전방부 및 후방부에 단수 또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열화상 카메라(10)는 제어부(20)에 의해 차량의 속도에 대응되게 화각(카메라로 포착하는 장면의 시야)이 변화될 수 있고, 이는 도 2 내지 도 4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 열화상 카메라(10)는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열화상 카메라는 열을 발생하는 물체를 촬영하여 온도 범위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하여 열이 발생되는 물체를 구분할 수 있다. 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긴 빛으로서, 절대 온도 제로(0 K; -273℃) 이상인 모든 물체는 이러한 열에 해당하는 적외선을 방사한다. 적외선 감지 기술은 이러한 적외선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화시켜 주는 기술(센서)이며, 이러한 적외선 감지 기술을 이용한 카메라가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이다.
실내에 설치된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 시스템의 경우 일정한 배경 영상을 양호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으나, 실외에 설치된 경우 배경 영상의 신호 크기가 날씨 및 온도 등의 변화에 따라 변동하게 되고, 이때 해당 감시 영역의 평균온도 변화는 감시영역의 환경조건(계절, 풍속, 습도, 음지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예컨대, 사람의 경우 피부 온도는 37℃이고, 적외선량은 1.76 W/m이며, 항온동물이므로 주변환경과 무관하게 일정하게 유지된다. 열화상 카메라의 감시영역 내에 존재하는 사람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배경신호와 사람(비교신호) 사이에 일정한 적외선량 차가 존재하여야 하며, 배경으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량은 주변온도를 비록한 환경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열화상 카메라(10)에 채택되는 렌즈는 초점 거리 변경이 가능한 줌 렌즈, 초점 거리가 짧은 렌즈로서 표준 렌즈에 비해 넓은 화각을 제공하는 광각 렌즈, 사람의 시각과 가장 유사하게 영상을 포착하는 표준 렌즈,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준렌즈보다 초점거리가 길고 사각(寫角)이 약 30°보다 좁은 망원 렌즈, 일반적인 망원 렌즈보다 초점 거리가 매우 길어 피사체를 극단적으로 확대하는 구실을 하는 초망원 렌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차량의 각 주행 속도별 촬영 거리를 제어부(20)에서 변경하여 피사체의 높이를 동일하게 촬영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2를 참고하여 카메라 화각 구성도를 설명한다.
도 2에서 촬영 거리는 L로 표시되고, 화각에 따라 달라지는 초점 거리는 F로 표시되고, 렌즈 화각(picture angle)은 θ로 표시된다.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따라 촬영 거리(L)는 L=h/2tan(θ/2) 이고, 초점 거리(F)는 F=h'/(2tan(θ/2))이다. 초점 거리(F)를 기초로 렌즈 화각을 구하면 θ=2tan-1(h'/2F)이다.
그리고 피사체의 높이(h):CCD의 높이(h')=촬영 거리(L):초점 거리(F)와 같고, 이 식을 통해 촬영 거리(L)을 구할 수 있다. 즉 L=피사체 높이(h)*초점 거리(F)/CCD 높이(h') 이다.
본 실시 예는 피사체 높이(h)와 초점 거리(F)에 비례하는 촬영 거리(L)를 시간당 이동거리(속도: 초(sec)당 이동거리, 시간(hour) 당 이동거리)로 설정하여 각 주행 속도에 대하여 알맞은 초점 거리(F) 및 촬영 거리(L)를 제어부(20)에서 계산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열화상 카메라(10)의 렌즈로 초점 거리 변경이 가능한 줌 렌즈를 채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주행 속도에 관계없이 줌 렌즈를 이용하여 화각을 변경시켜 피사체를 일정한 키 높이의 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저속 주행 시 광각 렌즈를 이용하여 보행자를 촬영할 수 있고, 중속 주행 시 표준 및 망원 렌즈를 이용하여 보행자를 촬영할 수 있다.
나아가 고속 주행 시 초망원 렌즈를 이용하여 보행자를 촬영할 수 있고, 본 실시 예에서 저속 주행은 주행 속도는 0 내지 10km/h일 수 있고, 중속 주행 속도는 10km/h를 초과하고 90km/h 미만일 수 있고, 고속 주행 속도는 90km/h 이상일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과 도 4를 참고하여 차량의 각 주행 속도별 촬영 거리 변경에 기반하여 피사체의 높이를 동일하게 제어부(20)에서 촬영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거리(L)를, 주행 속도인 초당 주행 거리[m/s]와 일치시켜 주행 속도가 변하면 촬영 거리(L) 및 초점 거리(F)가 동일 비율로 변경되어 항상 보행자를 동일한 크기(h)로 촬영할 수 있다. 즉 비례식으로 제어부(20)에서 촬영 거리(L)를 계산할 수 있다. 전수한 바와 같이 촬영 거리(L)=피사체 높이(h)*초점 거리(F)/촬상면 높이(h') 이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주행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차량의 각 주행 속도별로 일정한 비율의 보행자 영상정보(일정한 키높이)를 촬영하기 위해, 각 주행 속도별로 촬영 화각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초당 주행 속도를 촬영 길이 설정 후 각 주행 속도에 따라 줌 렌즈로 화각 및 초점 거리를 변경시켜 보행자를 항상 일정한 비율의 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주행 속도에 상관없이 줌 렌즈를 이용하여 화각을 변경시켜 일정한 키높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차량에 3개 이상의 렌즈를 장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속 주행 시에는 광각 렌즈로 보행자를 촬영하고, 중속 주행 시에는 표준 및 망원 렌즈로 보행자를 촬영하고, 고속 주행 시에는 초망원 렌즈로 보행자를 촬영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저속 주행 시 제동 거리가 매우 짧고 보행자가 매우 가까이 있으므로 저속 주행 길이와 촬영 거리가 일치하는 광각 렌즈를 사용하여 보행자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중속 주행 시 제동 거리가 비교적 짧고 보행자가 근거리에 있으므로 중속 주행 길이와 촬영 거리가 일치하는 표준 및 망원 렌즈를 사용하여 보행자를 촬영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는 고속 주행 시 제동 거리가 길고 보행자가 원 거리에 있으므로 고속 주행 길이와 촬영 걸리가 일치하는 초망원 렌즈를 이용하여 보행자를 촬영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서 피사체의 높이에 따른 화각 및 촬영 거리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 피사체 높이(h)를 2000mmm로, 촬상면 높이(h')를 24mm로 설정할 경우 피사체 높이(h)가 보행자의 평균키인 170cm 보다 크므로 화각안에 들어오는 거의 모든 보행자를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적외선 열화상 촬상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저속 주행 시 차량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장착된 광각 렌즈 또는 줌 렌즈가 화각을 유지한 상태에서 광각 렌즈에 해당되는 촬열 거리에 해당하는 곳에 있는 보행자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3mm 촬상 소자를 이용한 저속 주행(예:10km/h) 기반 촬영 거리(L)는, 도 5에 도시된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최소 2.78m 이상 떨어진 보행자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중속 주행 시 차량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장착된 표준 및 망원 렌즈 혹은 줌 렌즈가 표준 및 망원 화각을 유지한 상태에서 광표준 및 망원 렌즈에 해당되는 촬영 거리에 해당하는 곳에 있는 보행자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3mm 촬상 소자를 이용한 중속 주행(예:60km/h) 기반 촬영 거리(L)는, 도 5에 도시된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최소 16.67m 이상 떨어진 보행자를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는 고속 주행 시 차량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장착된 초망원 렌즈 혹은 줌 렌즈가 표준 및 초망원 화각을 유지한 상태에서 초망원 렌즈에 해당되는 촬영 거리에 해당하는 곳에 있는 보행자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3mm 촬상 소자를 이용한 고속 주행(예:120km/h) 기반 촬영 거리(L)는, 도 5에 도시된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최소 33.33m 이상 떨어진 보행자를 인식할 수 있다.
덧붙여 본 실시예는 차량의 전방부 및 후방부 각각에 광각, 표준, 망원 및 초망원 4개를 동시에 장착하고, 광각 렌즈로 근거리 보행자를 촬영 및 인식할 수 있고, 표준 및 망원 렌즈로 중거리 보행자를 촬영 및 인식할 수 있고, 초망원 렌즈로 원거리 보행자를 촬영 및 인식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전방부에 4개 후방부에 4개 총 8개의 열화상 카메라(10)가 근거리에서 원거리까지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보행자를 동시에 인식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열화상 카메라(10)로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10)를 채택하고 온도에 기반하여 보행자를 인식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열화상 카메라(10)로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를 채택할 수 있고,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의 내부에서 인체의 온도가 35~37℃의 범위에서 황색으로 촬영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20)는 촬영된 이미지에서 황색 픽셀이 10% 이상이고, Y축 기준 최하단 황색 픽셀에서 최상단 황색 픽셀 사이의 거리 h''의 길이가 촬상 소자 세로 길이 h의 20% 이상의 길이가 될 경우 보행자로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제어부(20)가 보행자로 인식하면 가상 엔진음 발생부(30)에서 가상 엔진음이나 특정 음을 발생하고, 이로 인해 차량 전방에 보행자가 있음을 인지할 수 있고, 보행자도 이 소리로 인해 차량이 접근해 있음을 알수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열화상 이미지에서 황색 픽셀이 10% 미만이 되는 경우 전방에 보행자가 없음을 나타내므로 가상 엔진음이나 특정 음은 발생되지 않는다.
제어부(20)는, 거리에 상관 없이 차량이 주행 또는 정차 시 미리 설정된 최대 거리(L) 내에서 보행자로 인식된 물체가 촬영될 경우 가상 엔진음 발생부(30)의 제어에 의해 가상 엔진음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먼 거리에서 가까운 거리까지 계속 보행자를 촬영하면서 가상 엔진음을 계속 발생하게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어부(20)는 보행자가 카메라로 촬열할 수 없는 영역(초점 거리 F 이하)에 접근할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까지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킨 후 정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20)는 차량의 클락션 조작 시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고, 어린이 보호구역 및 보행자가 많아 복잡한 곳을 미리 입력한 후 입력된 지점을 차량이 주행 또는 주차 시 GPS를 기초로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보행자가 많아 복잡한 장소에서의 소음을 녹음한 후 복잡한 장소를 주행 또는 주차 시 녹음 된 소음과 유사한 수준의 음압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20)는 자동으로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가상 엔진음 발생부(30)는,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가상 엔진음 발생부(30)에서 발생되는 소리는 가솔린 차량의 주행 속도별 엔진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솔린 엔진의 주/정차 엔진음, 저속 주행 엔진음, 중속 주행 엔진음, 고속 주행 엔진음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차량은 가솔린 또는 디젤 차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음이 적은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제어부에서 차량용 열화상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보행자 유무를 인지 판단하여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키므로 보행자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차량의 속도에 대응되게 열화상 카메라의 화각을 변화시키므로 차량의 주행 속도 예를 들어 저속 주행 속도, 중속 주행 속도, 고속 주행 속도 등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10 : 열화상 카메라
20 : 제어부
30 : 가상 엔진음 발생부

Claims (20)

  1. 차량에 마련되어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
    상기 차량에 마련되며,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주변에 보행자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량에 마련되며, 상기 차량의 주변에 보행자가 있는 경우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키는 가상 엔진음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에 대응되게 상기 열화상 카메라의 화각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초점 거리 변경이 가능한 줌 렌즈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저속 주행 시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광각 렌즈(wide angle lens)의 화각 기준으로 상기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저속 주행 속도는 0 내지 10km/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중속 주행 시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표준 렌즈 및 망원 렌즈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중속 주행 속도는 10km/h를 초과하고 90km/h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고속 주행 시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초망원 렌즈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속 주행 속도는 90km/h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상기 차량의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복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피사체 높이와 초점 거리에 비례하는 촬영 거리를 시간당 이동거리로 설정하여 주행 속도에 대하여 알맞은 초점 거리 및 촬영 거리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의 내부에서 인체 온도는 황색으로 촬영되도록 설정하고, 촬영된 이미지에서 황색 픽셀이 10% 이상이고, 높이축 기준 최하단 황색 픽셀에서 최상단 황색 픽셀 사이의 거리가 촬상소자의 세로 길이의 20% 이상의 길이가 될 경우 제어부는 보행자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광각 렌즈, 표준 렌즈, 망원 렌즈 및 초망원 렌즈를 각각 마련하여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마련되는 렌즈들에 의해 근거리부터 원거리까지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유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주행 또는 정차 시 미리 설정된 최대 거리 내에서 보행잘 인식된 대상이 촬영될 경우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먼 거리에서 가까운 거리까지 계속 보행자를 촬영하면서 가상 엔진음을 계속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보행자가 카메라를 촬영할 수 없는 영역까지 접근한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까지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킨 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클락션 조작 시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어린이 보호구역 및 보행자가 많아 복잡한 곳을 미리 입력한 후 상기 입력된 지점을 주행 또는 주차 시 제어부에서 GPS를 기초로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19. 청구항 1에 있어서,
    보행자가 많아 복잡한 장소에서의 소음을 녹음한 후 상기 복잡한 장소를 주행 또는 주차 시 상기 녹음 된 소음과 유사한 수준의 음압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는 자동으로 가상 엔진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KR1020140149274A 2014-10-30 2014-10-30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KR101669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274A KR101669728B1 (ko) 2014-10-30 2014-10-30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274A KR101669728B1 (ko) 2014-10-30 2014-10-30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650A true KR20160050650A (ko) 2016-05-11
KR101669728B1 KR101669728B1 (ko) 2016-10-27

Family

ID=5602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274A KR101669728B1 (ko) 2014-10-30 2014-10-30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7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2654A (zh) * 2018-11-14 2019-03-29 上海迪彼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引擎声浪与车外行人警示音集成控制系统
US10569709B2 (en) 2016-12-28 2020-02-25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rtual engine sound of vehicle
KR20200125573A (ko) * 2020-10-29 2020-11-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긴급 제동 준비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839B1 (ko) 2003-05-30 2006-09-14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 및 차량운행 시스템
JP2006264574A (ja) * 2005-03-25 2006-10-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カメラ及び車載カメラシステム
JP2010208439A (ja) * 2009-03-09 2010-09-24 Denso It Laboratory Inc 警報発生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自動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839B1 (ko) 2003-05-30 2006-09-14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모의 엔진음 발생장치 및 차량운행 시스템
JP2006264574A (ja) * 2005-03-25 2006-10-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カメラ及び車載カメラシステム
JP2010208439A (ja) * 2009-03-09 2010-09-24 Denso It Laboratory Inc 警報発生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自動車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9709B2 (en) 2016-12-28 2020-02-25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rtual engine sound of vehicle
CN109532654A (zh) * 2018-11-14 2019-03-29 上海迪彼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引擎声浪与车外行人警示音集成控制系统
KR20200125573A (ko) * 2020-10-29 2020-11-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긴급 제동 준비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728B1 (ko) 201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290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
US10757320B2 (en) Multiple operating modes to expand dynamic range
US10768505B2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US10317771B2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CN113998034B (zh) 骑乘者辅助系统和方法
JP6819680B2 (ja) 撮像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車両
KR101579098B1 (ko) 스테레오 카메라, 이를 구비한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KR102117598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EP3569447B1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JP718839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6819681B2 (ja) 撮像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車両
KR101698783B1 (ko) 스테레오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102043060B1 (ko) 자율 주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CN105313778B (zh) 摄像头及具有该摄像头的车辆
KR101891460B1 (ko) 차도 위의 반사체를 인식하고 평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6167045A (zh) 驾驶人员辅助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70028126A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KR102118066B1 (ko) 주행 안전을 위한 차량 제어방법
US20200324713A1 (en) Vehicular camera apparatus and method
KR102372566B1 (ko) 차량용 조명 장치 및 차량
KR20210009610A (ko) 역주행 방지 방법 및 장치
KR101669728B1 (ko) 차량용 보행자 알림시스템
KR102227371B1 (ko) 차량용 영상투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20210054107A (ko)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70140284A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