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9312A - 항암제 부작용의 경감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암제 부작용의 경감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9312A
KR20160049312A KR1020140146262A KR20140146262A KR20160049312A KR 20160049312 A KR20160049312 A KR 20160049312A KR 1020140146262 A KR1020140146262 A KR 1020140146262A KR 20140146262 A KR20140146262 A KR 20140146262A KR 20160049312 A KR20160049312 A KR 20160049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glucoside
cyanidin
side effects
ex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6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미경
송민경
Original Assignee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46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9312A/ko
Publication of KR20160049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암제 부작용의 경감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아니딘-3-글루코시드를 사용하여 5-플루오로우라실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반응과 장손상, 골수억제(myelosuppression)와 같은 항암제 부작용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으며, 항암제로 인해 유발되는 점막염 및 면역억제의 예방에 효과적인 치료제로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암제 부작용의 경감용 조성물{Compostion for reducing side effect of anticancer drug}
본 발명은 5-플루오로우라실에 의해 유발되는 항암제 부작용의 경감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은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는 최대의 질병 중의 하나로서, 세포가 일련의 돌연변이 과정을 거쳐, 무제한적이고 비조절적인 방식으로 증식하고 불사화 되어 발생하는 질병이다. 암 발생의 원인으로는 화학물질, 바이러스, 세균, 전리방사선 등의 환경적 또는 외적 요인과 선천성 유전자 변이 등의 내적 요인을 들 수 있다.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현재 외과적 치료, 방사선 치료 및 화학적 치료가 사용되고 있는데,외과적 치료는 암의 초기상태의 제거에는 효과적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장기를 제거해야 하는 등의 부작용과 전이를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으며, 방사선 치료의 경우도 특정부위의 암 치료에는 치료효과가 높은 장점이 있는 반면 방사선의 조사로 인해 새로운 발암위험성과 전이를 방지할 수 없다는 점과 함께 치료시 환자의 고통을 수반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학적 치료는 악성종양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화학요법제인 항암제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대부분의 항암제는 암세포의 대사경로에 개입하여 DNA와 직접 작용하여 DNA의 복제, 전사, 번역과정을 차단하거나, 핵산 전구체의 합성을 방해하고, 세포의 분열을 저해함으로써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들 항암제는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정상세포, 특히 세포분열이 활발한 조직세포에도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기 때문에 구토, 골수기능저하, 위장장애, 탈모증, 설사, 간·신장독성 등의 여러 가지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한다. 또한, 암세포의 전이 능력 및 유전적 불안정으로 인하여 항암제에 대한 내성 획득, 및 재발에 대한 문제점도 있다.
이에 인체의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항암효과를 높일 수 있는 항암제를 개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정상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표적지향성을 가지는 항암제의 개발, 항암제의 투여용량을 줄여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법, 체내의 면역력을 높이는 방법 등 효과적인 항암제를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항암제들은 여전히 높은 부작용 및 재발위험성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화학요법제 5-플루오로우라실(5-FU)은 1957년 최로로 합성되었으며 아직까지도 임상에서 널리 쓰고 있다. 암세포 내에서 활성 뉴클레오티드로 전환되어 티미딜래이트 합성효소를 억제함으로써 세포의 DNA 합성을 저해하는 항암제인 5-플루오로우라실(5-FU)은 유방암, 대장암, 직장암, 위암, 췌장암, 식도암, 간암, 두경부암, 방광암에 임상적으로 광범위하게 쓰이며 피부암에도 국소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조혈독성이 용량제한적(dose-limiting) 부작용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밖의 부작용으로는 심각한 위염, 식도염, 직장염, 설사 등의 소화기계 부작용이 강하며 또한 피부의 색소과다증도 종종 보고되고 있다.
또한 실험동물을 이용한 기초연구를 통하여 5-플루오로우라실(5-FU)은 마우스에서 백혈구 수치의 감소 등의 조혈독성과 소장점막 슈크라제 활성 감소, 설사유발 등의 소화기 독성, 비장중량감소, 임파구감소 등의 면역독성을 유발함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부작용들은 화학요법제들이 암세포와 활발하게 자라는 정상세포(골수조혈세포 및 점막, 피부, 모근의 상피세포)에 구별됨이 없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화학요법제의 부작용은 암환자의 일상생활의 활력 저하와 치료비용이 막대하게 지출되어 삶의 질 저하를 야기시킨다.
미국등록특허 제8,551,554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을 경감시키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5-플루오로우라실(5-FU)을 투여한 마우스에 시아니딘-3-글루코시드를 투여하는 경우, 전혈구 검사에서 백혈구수, 절대 호중구수, 림프구, 단핵구, 호염구, 혈소판 등에 대하여 우수한 회복 효과를 나타내며, 인터루킨-6(IL-6)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고, 클라우딘-1(claudin-1) 및 E-카데린(E-cadherin)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함으로써 시아니딘-3-글루코시드를 점막염 및 면역억제의 예방에 효과적인 치료제로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아니딘-3-글루코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부작용의 경감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아니딘-3-글루코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부작용의 경감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항암제는 5-플루오로우라실(5-FU)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아니딘-3-글루코시드는 1~50㎎/kg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아니딘-3-글루코시드는 인터루킨-6(IL-6)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아니딘-3-글루코시드는 밀착연접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밀착연접 단백질은 클라우딘-1(claudin-1) 및 E-카데린(E-cadherin) 중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아니딘-3-글루코시드를 사용하여 5-플루오로우라실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반응과 장손상, 골수억제(myelosuppression)와 같은 항암제 부작용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으며, 항암제로 인해 유발되는 점막염 및 면역억제의 예방에 효과적인 치료제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아니딘-3-글루코시드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의 도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의 체중변화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변 평가에서 시아니딘-3-글루코시드가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액학적 검사에서 시아니딘-3-글루코시드가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L-6, CXCL-1 및 IFN-γ발현에 대해 시아니딘-3-글루코시드가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연접 단백질 발현에 대해 시아니딘-3-글루코시드가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결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항암제 부작용의 경감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5-플루오로우라실에 의해 유발되는 항암제 부작용의 경감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장 점막염(mucositis), 골수억제(myelosuppression)와 같은 항암제 부작용을 유발하는 5-플루오로우라실(5-FU)에 대해 항산화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폴리페놀의 한 종류인 시아니딘-3-글루코시드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시아니딘-3-글루코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부작용의 경감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항암제는 5-플루오로우라실(5-fluorouracil, 5-FU)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표적인 항암제 중 하나인 5-플루오로우라실은 암 치료에 사용되는 피리미딘 유사체 약물로, DNA의 전구물질인 티민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암세포의 DNA 합성을 저해하며 항암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위암을 비롯한 소화기계 암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아니딘-3-글루코시드가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BALB/c 마우스를 군당 7마리씩 두 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었으며, 항암제 부작용을 유발하기 위해 5-플루오로우라실(5-FU)을 투여한 후, 대조군은 PBS를 투여하고, 실험군은 시아니딘-3-글루코시드을 10일 동안 투여하여 실험하였다. 혈액학적 지표를 측정하여 시아니딘-3-글루코시드를 투여하는 경우 혈소판 수가 상당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염증지표를 측정하여 인터루킨-6(IL-6)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밀착연접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터루킨-6(IL-6)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밀착연접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염증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밀착연접 단백질은 클라우딘-1(claudin-1) 또는 E-카데린(E-cadherin)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암제로 인해 발생하는 염증반응과 장손상, 골수억제(myelosuppression)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으며, 항암제로 인해 유발되는 점막염 및 면역억제의 예방에 효과적인 치료제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항암제의 투여 후에 투여됨으로써, 부작용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 시점은, 항암제의 투여 후 5분 내지 4시간 이내에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0분 이내에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항암제 및 조성물은 비경구, 경구, 부위한정(locoregionally), 또는 경피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기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생리식염수,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탄올, 식물성 오일, 및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하루에 1 내지 50 mg/체중kg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mg/체중kg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범위는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intra cer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아니딘-3-글루코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부작용의 경감용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시아니딘-3-글루코시드를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상기 생리활성성분이 동물 또는 사람에게 투여되어 목적하는 생리학적 또는 약리학적 활성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증상의 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제형은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공지의 화합물과도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일 실시예를 제공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아래의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실험동물 준비
실험동물로 BALB/c 마우스를 7마리씩 두 개의 군으로 나누어 사용하였다. 5-FU 175 mg/kg을 PBS에 용해하여 복강 내 주사하였다. 실험식이는 AIN 93G을 공급하였다. 대조군은 5-FU 투여 후 10일 동안 PBS를 경구 투어하였고, 실험군은 5-FU 투여 후 10일 동안 시아니딘-3-글루코시드(이하 “C3G"라고 함, 10 ㎎/kg)을 경구 투여하였다.
체중 및 배변 점수(diarrhea score)는 매일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실험동물은 실험 시작 후 10일 차에 희생하였다.
< 실시예 2>
체중 변화 확인
실험기간 동안 실험동물의 체중 변화를 확인한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실험동물은 5-FU를 투여하고 하루 후에 체중이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5일째부터 체중이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평균 체중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 실시예 3>
장기 무게 및 길이 확인
실험동물을 희생하고 장기무게와 길이를 확인한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장기무게 및 길이는 차이가 없었다.
흉선
(g/100g)

(g/100g)

(g/100g)
비장
(g/100g)

(g/100g)
5-FU 0.08±0.02 0.56±0.04 4.32±0.47 0.30±0.04 0.76±0.09
C3G 0.04±0.01 0.57±0.04 4.64±0.79 0.36±0.08 0.82±0.12
맹장
(g/100g)
소장
(g/100g)
대장
(g/100g)
소장
(cm)
대장
(cm)
5-FU 1.40±0.11 3.42±0.19 0.75±0.07 6.70±0.52 6.70±0.52
C3G 1.49±0.09 3.28±0.24 0.69±0.07 7.17±1.03 7.17±1.03
< 실시예 4>
배변( diarrhea ) 평가
배변평가는 하기의 기준으로 결정하였다.
0 : normal(정상 대변 또는 없음)
1 : slight(약간 젖은 부드러운 대변)
2 : moderate(항문 주위에 보통으로 묻는 젖고 형태가 없는 대변)
3 : 심각(항문 주위에 많이 묻는 젖은 대변)
모든 변수는 5-FU를 투여하고 나서 0일에서 7일까지 매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변평가 점수는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5-FU를 투여하고 하루 후에 상당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시예 5>
혈액학적 지표 검사
실험동물의 심장에서 전혈을 채취하여 자동화혈구분석기로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의 수치들을 측정하였다.
혈액 샘플은 EDTA 튜브로 심장으로부터 채취하였고, 20분 동안 4000rpm으로 원심분리하였다. 혈액 세포 변수는 Bayer Advia 2120 hematology analyzer(Bayer , Newbury, Berkshire, UK)로 측정하였다. 측정항목은 백혈구 수와 호중구(neutrophil), 림프구(lymphocyte), 단핵구(monocyte), 호산구(eosinophil), 호염구(basophil) 및 헤모글로빈(haemoglobin)을 포함하는 차등 백혈구 수, 헤마토크리트(hematocrit), 적혈구 수, 혈소판 수를 포함한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 백혈구수, 절대 호중구수, 림프구, 단핵구, 호염구 및 혈소판은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혈소판 수는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상당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시예 6>
소장점막 내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시아니딘-3-글루코시드가 소장점막 내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Real time PCR 방법을 사용하여 IL-6, CXCL-1, IFN-γ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고, 밀착연접 단백질인 클라우딘-1(claudin-1), 클라우딘-2(claudin-2), E-카데린(E-cadherin)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6-1> RNA 분리 및 real - time quantitative PCR 분석
총 RNA(1 ㎍)는 cDNA 합성 키트(Genepole, Gwangmyeong, Korea)를 사용하여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소장으로부터 역전사하였다. 첫번째 cDNA 가닥은 Oligo(DT)18 프라이머 믹스 및 랜덤 헥산 프라이머 믹스를 사용하여 1㎍ RNA로부터 생성되었다. Real-Time quantitative PCR은 QuantiMix SYBR Kit (Genepole, Gwangmyeong, Korea)를 사용하여 7500 Fast Real Time PCR 시스템에서 수행하였다. 상대 폴드 변화는(Relative fold changes)는 2-ΔΔCT (relative quantification) 분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보조관리유전자(house keeping gene)인 β-엑틴은 PCR 반응의 정상화를 위해 사용하였다.
유전자 방향 프라이머 서열(5´→3´)
IFN-γ Foward TCAAGTGGCATAGATGTGGAAGAA
Reverse TGGCTCTGCAGGATTTTCATG
IL-6 Foward ACCAGAGGAAATTTTCAATAGGC
Reverse TGATGCACTTGCAGAAAACA
CXCL-1 Foward GGATTCACCTCAAGAACATCCAGAG
Reverse CACCCTTCTACTAGCACAGTGGTTG
클라우딘-1(claudin-1) Foward TCTACGAGGGACTGTGGATG
Reverse TCAGATTCAGCTAGGAGTCG
클라우딘-2(claudin-2) Foward GGCTGTTAGGCTCATCCAT
Reverse TGGCACCAACATAGGAACTC
E-카데린(E-cadherin) Foward CAGCCTTCTTTTCGGAAGACT
Reverse GGTAGACAGCTCCCTATGACTG
GAPDH Foward TGTGTCCGTCGTGGATCTGA
Reverse CCTGCTTCACCACCTTCTTG
<6-2> IL -6, CXCL -1 및 IFN -γ발현에서 시아니딘 -3-글루코시드의 효과
시아니딘-3-글루코시드가 IL-6, CXCL-1 및 IFN-γ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IL-6의 발현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FN-γ및 CXCL-1의 발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6-3> 밀착연접 단백질 발현에서 시아니딘 -3-글루코시드의 효과
시아니딘-3-글루코시드가 밀착연접 단백질인 클라우딘-1(claudin-1) 및 E-카데린(E-cadherin)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군은 클라우딘-1(claudin-1) 및 E-카데린(E-cadherin)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클라우딘-2(claudin-2)의 발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본 발명에서는 시아니딘-3-글루코시드를 투여한 마우스는 적은 염증반응을 보였으며, 밀착연접 단백질의 중단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아니딘-3-글루코시드는 점막염 및 면역억제의 예방에 효과적인 치료제로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시아니딘-3-글루코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부작용 경감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5-플루오로우라실(5-F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아니딘-3-글루코시드는 1~50㎎/kg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아니딘-3-글루코시드는 인터루킨-6(IL-6)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아니딘-3-글루코시드는 밀착연접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연접 단백질은 클라우딘-1(claudin-1) 및 E-카데린(E-cadherin)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40146262A 2014-10-27 2014-10-27 항암제 부작용의 경감용 조성물 KR201600493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262A KR20160049312A (ko) 2014-10-27 2014-10-27 항암제 부작용의 경감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262A KR20160049312A (ko) 2014-10-27 2014-10-27 항암제 부작용의 경감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312A true KR20160049312A (ko) 2016-05-09

Family

ID=5602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6262A KR20160049312A (ko) 2014-10-27 2014-10-27 항암제 부작용의 경감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93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903B1 (ko) 백혈구 감소증 및 혈소판 감소증에 대한 치료 방법
JP6824998B2 (ja) 粘膜炎の治療方法
US9603866B2 (en) Anti-fatigue composition, formulation and use thereof
JP4828003B2 (ja) 多発性硬化症治療薬
JP2018514589A5 (ko)
EP1891961B1 (en) Use of 5&#39;-methylthioadenosine (mta) in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and/or transplant rejection
KR101910733B1 (ko) 파이퍼롱구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08387B1 (ko) 고시폴, 펜포르민 및 항암제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58632B1 (ko) 스트렙토니그린 및 항암제를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S2208330T3 (es) Composiciones para modular la respuesta nmune y para el tratamiento de la enfermedad inflamatoria.
KR20220088278A (ko) 오를리스타트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95801B1 (ko) 운동 뉴런의 자가 포식 작용 억제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40097369A (ko) 허혈로 인한 뉴런 손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아포에쿼린
KR20160049312A (ko) 항암제 부작용의 경감용 조성물
BRPI0720963A2 (pt) Utilização terapêutica para o tratamento das leucemias.
US9962400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lupus
CN112533605A (zh) 用于治疗癌症的组合疗法
CN114762694A (zh) 寡糖转移酶抑制剂在预防和/或治疗新型冠状病毒感染中的应用
RU2721282C2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рассеянного склероза (варианты)
KR101213599B1 (ko) 데커신 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또는 데커신및/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당귀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치료제 조성물
ES2376201T3 (es) Alcoholes grasos de longitud de cadena media como estimuladores de la hematopoyesis.
KR102387565B1 (ko) 스트렙토니그린 및 항암제를 모두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44816B1 (ko) 구아나벤즈를 포함하는 식욕부진증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969451B1 (ko) 만성 호흡기 질환 치료제 및 만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CN116898887A (zh) 三七和pd-1抑制剂用于制备治疗癌症的药物的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