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8305A - 제습장치 및 제습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제습장치 및 제습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8305A
KR20160048305A KR1020140144461A KR20140144461A KR20160048305A KR 20160048305 A KR20160048305 A KR 20160048305A KR 1020140144461 A KR1020140144461 A KR 1020140144461A KR 20140144461 A KR20140144461 A KR 20140144461A KR 20160048305 A KR20160048305 A KR 20160048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illuminance
value
temperature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8819B1 (ko
Inventor
허성환
한창수
홍현진
이찬희
최영광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4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819B1/ko
Publication of KR20160048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습장치 및 제습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제습장치는, 압축기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습도를 조절하는 제습부,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여 조도값을 출력하는 조도 센서,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값을 출력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조도값 및 온도값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습장치 및 제습장치의 제어방법{APPARATUS FOR DEHUMID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습장치 및 제습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내의 공기는 적당한 습도(예를 들어, 40% ~ 60%)를 유지하는 것이 호흡장애, 질병예방에 도움이 되고,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공기 중의 습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부패, 부식 및 응결수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악취 및 박테리아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공기 중의 습도 조절은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를 이용하여 공기 중이 습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제습기는 압축기, 응축기 및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즉, 공기에 함유된 수증기를 상기 열교환기에서 물로 응결시키는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제습기는 압축기 및 송풍팬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고, 제습동작시 냉동사이클에 따라 발생하는 열에 의해 실내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특히, 제습기는 고온 다습한 여름에 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수면시간에 동작시킬 경우, 소음 및 온도 상승으로 인해 수면에 적합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은 제습 기능과 공기 청정 기능을 구비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나, 상술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086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도 센서를 이용해 측정한 조도값과 온도 센서를 이용해 측정한 온도값을 기초로 압축기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밤에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제습동작에 따른 온도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제습장치 및 제습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습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제습장치는 압축기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습도를 조절하는 제습부,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여 조도값을 출력하는 조도 센서,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값을 출력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조도값 및 온도값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값이 임계조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압축기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정음모드 회전속도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값이 기 설정된 온도값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감온모드 회전속도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서 출력하는 현재 온도값이 초기 온도값 보다 큰 경우, 상기 현재 온도값과 상기 초기 온도값의 차이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습장치는 회전에 의해 공기 흐름을 형성하여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값 및 온도값에 따라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제습장치의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제습장치의 제어방법은 외부의 조도 및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한 조도 및 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조도의 조도값이 임계조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정음모드 회전속도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온도의 온도값이 기 설정된 온도값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감온모드 회전속도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도 센서를 이용해 측정한 조도값과 온도 센서를 이용해 측정한 온도값을 기초로 압축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밤에 소음을 줄이고, 제습동작에 따른 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수면에 적합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단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3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단계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가 사용될 것이며,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10)는 제습부(100), 조도 센서(200), 온도 센서(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습장치(10)는 송풍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습장치(10)는 필터부(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습부(10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하여 상기 공기가 포함할 수 있는 포화수증기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포화수증기의 양을 넘어서는 수증기는 물로 응결되므로,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 즉, 습도를 낮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습부(100)는 압축기(110) 응축기(120) 및 열교환기(130)를 이용하여 냉매가스의 상변화를 유도하고 상기 냉매가스의 상변화에 따른 흡열반응을 이용하여 제습장치(10)로 유입된 공기를 냉각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압축기(110)가 냉매가스를 압축하면, 응축기(120)는 상기 압축된 냉매가스를 액화하고, 상기 액화된 냉매가스는 열교환기(130)에서 기화, 팽창되면서 주변의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냉매가스는 다시 압축기(110)로 유입되어 압출될 수 잇다.
즉, 상기 냉매가스는 상기 압축기(110), 응축기(120) 및 열교환기(130)를 순환하면서 반복적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조도 센서(200)는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여 제어부(400)로 조도값을 출력할 수 있다. 조도 센서(200)는 제습장치(10)의 외부, 즉 제습장치(10)가 위치하는 실내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조도 센서(200)는 일반적으로 제습장치 등에 활용되어 조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사용될 수 있다. 조도 센서(200)는 상기 측정된 조도값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00)에 전송할 수 있다.
온도 센서(300)는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400)로 온도값을 출력할 수 있다. 온도 센서(300)는 제습장치(10)의 외부, 즉 제습장치(10)가 위치하는 실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 센서(300)는 상기 측정된 외부 온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조도 센서(200)로부터 입력되는 조도값 및 온도 센서(300)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값에 따라 압축기(110) 또는 송풍기(5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400)는 조도 센서(200)로부터 입력되는 조도값이 임계조도값 이하인 경우, 압축기(110)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정음모드 회전속도로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400)는 제어부(400)는 조도 센서(200)로부터 입력되는 조도값이 임계조도값 이하인 경우, 압축기(110) 및 송풍기(500)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정음모드 회전속도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조도값이 임계조도값 이하인 경우(예를 들면, 밤시간 또는 실내의 조명장치가 모두 소등되는 경우), 제습장치(10)가 발생시키는 소음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해 압축기(110) 및 송풍기(500)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값만큼 줄이는 등의 방법을 통하여 제습장치(10)가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는, 제어부(400)는 압축기(110) 및 송풍기(500)의 회전속도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서서히 줄여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온도 센서(300)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값에 따라 압축기(110) 및 송풍기(50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400)는 상기 온도값이 기 설정된 온도값 이상인 경우, 압축기(110)의 회전속도를 낮추거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온도값이 기설정된 온도값(예컨대, 30℃) 이상인 경우, 압축기(110) 의 회전속도를 감온모드 회전속도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기(110)의 감온모드 회전속도는, 제습동작에 의한 실내 온도의 상승을 막기 위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온모드 회전속도는 압축기(110)의 최대출력의 50%에 대응되는 회전속도 또는 그 이하 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400)는 제습장치(10)의 초기 구동시 측정된 온도값과 비교하여 현재 온도값이 기 설정된 온도값(예컨대, 3℃) 이상 상승하는 경우 압축기(110) 또는 송풍기(500)의 회전속도를 낮추거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상승한 온도값에 기초하여 압축기(110)의 감속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400)는 입력되는 온도값에 따라 압축기(110) 또는 송풍기(500)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온도구간별 회전속도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400)는 온도값이 15℃ 이하인 경우, 압축기(110) 또는 송풍기(500)의 회전속도를 최대출력의 70%에 대응되는 속도로 조절할 수 있고, 15℃ 초과 20℃ 이하인 경우 압축기(110) 또는 송풍기(500)의 회전속도를 최대출력의 60%에 대응되는 속도로 조절할 수 있으며, 20℃ 초과 23℃ 이하인 경우 압축기(110) 또는 송풍기(500)의 회전속도를 최대출력의 50%에 대응되는 속도로 조절할 수 있고, 23℃ 초과인 경우 압축기(110) 또는 송풍기(500)의 회전속도를 최대출력의 40%에 대응되는 속도로 조절할 수 있다.
송풍기(500)는 송풍모터와 상기 송풍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송풍모터의 구동속도에 따라 공기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흐름을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제습장치(1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외부공기를 열교환기(130)로 공급하여 상기 외부공기에 대한 제습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필터부(f)는 제습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즉, 필터부(f)는 송풍팬(500)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방식으로 상기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부(f)는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구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필터부와 제2 필터부로 나뉘어, 각각 제습장치(10)의 흡기구와 배기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에는 전처리 필터(prefilter) 및 기능성 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필터부에는 헤파 필터(HEPA filter,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탈취필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처리 필터는 비교적 큰 먼지, 머리카락, 애완동물의 털 등을 제거하고, 기능성 필터는 항균, 꽃가루, 집진드기, 세균, 박테리아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파 필터는 미세한 먼지, 실내 곰팡이 등 각종 세균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탈취 필터는 실내의 각종 악취와 유해가스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제습장치(10) 등에서 사용되는 필터라면 어떠한 것도 상기 필터부(f)에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단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5는 도 3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단계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습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2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습장치(10)에서 수행되므로,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에 상응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중복적으로 서술하지 아니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10)의 제어방법은, 조도 센서(200) 및 온도 센서(300)가 외부의 조도 및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S100), 및 제어부(400)가 상기 측정한 조도 및 온도에 따라 압축기(110) 및 송풍기(5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압축기(110) 및 송풍기(5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단계(S200)는 상기 조도의 조도값이 임계조도값 이하인 경우(S210), 압축기(110) 및 송풍기(500)의 회전속도를 정음모드 회전속도로 조절할 수 있다(S212).
다른 일 실시예에서, 압축기(110) 및 송풍기(5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단계(S200)는 상기 온도의 온도값이 기 설정된 온도값 이상인 경우(S220), 압축기(110) 및 송풍기(500)의 회전속도를 감온모드 회전속도로 조절할 수 있다(S222).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 제습장치
100: 제습부
110: 압축기
120: 응축기
130: 열교환기
200: 조도 센서
300: 온도 센서
400: 제어부
500: 송풍기

Claims (10)

  1. 압축기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습도를 조절하는 제습부;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여 조도값을 출력하는 조도 센서;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값을 출력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조도값 및 온도값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값이 임계조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압축기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정음모드 회전속도로 조절하는 제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값이 기 설정된 온도값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감온모드 회전속도로 조절하는 제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서 출력하는 현재 온도값이 초기 온도값 보다 큰 경우, 상기 현재 온도값과 상기 초기 온도값의 차이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제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회전에 의해 공기 흐름을 형성하여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제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값 및 온도값에 따라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제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값이 임계조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정음모드 회전속도로 조절하는 제습장치.
  8. 압축기와 송풍기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수증기를 제거하는 제습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외부의 조도 및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한 조도 및 온도에 따라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습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조도의 조도값이 임계조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정음모드 회전속도로 조절하는 제습장치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온도의 온도값이 기 설정된 온도값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감온모드 회전속도로 조절하는 제습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40144461A 2014-10-23 2014-10-23 제습장치 및 제습장치의 제어방법 KR102328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461A KR102328819B1 (ko) 2014-10-23 2014-10-23 제습장치 및 제습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461A KR102328819B1 (ko) 2014-10-23 2014-10-23 제습장치 및 제습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305A true KR20160048305A (ko) 2016-05-04
KR102328819B1 KR102328819B1 (ko) 2021-11-22

Family

ID=56021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461A KR102328819B1 (ko) 2014-10-23 2014-10-23 제습장치 및 제습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8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001A (ko) * 2016-06-30 2018-01-09 정현종 무선충전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공기청정기
CN112747435A (zh) * 2019-10-31 2021-05-04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用于控制直流通风系统的方法及装置、直流通风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6337B1 (ko) * 1995-07-08 1998-08-17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JPH11230605A (ja) * 1998-02-13 1999-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2002228180A (ja) * 2001-01-29 2002-08-14 Sharp Corp 空気調和機
KR20050059678A (ko) * 2003-12-15 2005-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KR20130000864A (ko) 2011-06-24 2013-01-03 코웨이 주식회사 제습 기능과 공기 청정 기능을 구비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6337B1 (ko) * 1995-07-08 1998-08-17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JPH11230605A (ja) * 1998-02-13 1999-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2002228180A (ja) * 2001-01-29 2002-08-14 Sharp Corp 空気調和機
KR20050059678A (ko) * 2003-12-15 2005-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KR20130000864A (ko) 2011-06-24 2013-01-03 코웨이 주식회사 제습 기능과 공기 청정 기능을 구비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001A (ko) * 2016-06-30 2018-01-09 정현종 무선충전모듈이 구비된 이동형 공기청정기
CN112747435A (zh) * 2019-10-31 2021-05-04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用于控制直流通风系统的方法及装置、直流通风系统
CN112747435B (zh) * 2019-10-31 2022-07-05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用于控制直流通风系统的方法及装置、直流通风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819B1 (ko)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77381A1 (en) System to control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living space
KR100737583B1 (ko) 태양열을 이용한 공조장치 구동 시스템 및 방법
KR102486845B1 (ko) 공기 청정 시스템
KR102043172B1 (ko) 제습 기능과 공기 청정 기능을 구비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00902B1 (ko) 제습장치 및 제습장치의 제어방법
KR20170121103A (ko) 제습장치 및 제습장치의 동작제어방법
RU2678881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темпертауры и очистки окружающего воздуха в здании
JP2007225236A (ja) 空調システム
WO2017158863A1 (ja) 調湿装置
KR102328819B1 (ko) 제습장치 및 제습장치의 제어방법
JP6469847B2 (ja) 除湿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102043170B1 (ko) 과부하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습공기청정기
JP2002089940A (ja) 空気調和機
KR20140076661A (ko) 공기조화장치의 운전제어방법
KR102473895B1 (ko) 제습장치
KR016040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160134961A (ko) 제습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20026888A (ja) 換気システム
JP7443941B2 (ja) 換気システム
WO2022018983A1 (ja) 空気浄化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WO2023042655A1 (ja) 空気調和機の換気制御方法、換気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262386A (ja) 空気調和装置
JP2022021449A (ja) 空気浄化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KR102433735B1 (ko) 제습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6628704B2 (ja) 空気清浄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