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8176A - 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8176A
KR20160048176A KR1020167008132A KR20167008132A KR20160048176A KR 20160048176 A KR20160048176 A KR 20160048176A KR 1020167008132 A KR1020167008132 A KR 1020167008132A KR 20167008132 A KR20167008132 A KR 20167008132A KR 20160048176 A KR20160048176 A KR 20160048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blower
centrifugal separator
dust
main body
centrifug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2653B1 (ko
Inventor
나오코 가와무라
야스히로 오츠
유키오 마치다
츠토무 이노우에
아츠시 모리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33531A external-priority patent/JP65527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66163A external-priority patent/JP659959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60048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47L9/1633Concentric cycl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6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the winding course of the gas stream, the centrifugal forces being generated solely or partly by mechanical means, e.g. fixed swirl v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기 밸런스를 확보하면서, 대형화되지 않고 정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한다. 전기청소기는 전동송풍기(25)를 구비한다. 전기청소기는 전동송풍기(25)에 의해 흡입된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부(39)를 구비한다. 분리부(39)는 전동송풍기(25)에 의해 흡입된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제1 원심분리부(32)를 구비한다. 분리부(39)는 제1 원심분리부(32)에서 분리되는 먼지보다 작은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복수의 제2 원심분리부(36)를 구비한다. 제2 원심분리부(36)는 제1 원심분리부(32)의 하류측에 연통하고, 전동송풍기(25)에 대하여 서로 반대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청소기{ELECTRIC VACUUM CLEANER}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전동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원심분리부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이동시키면서 청소 가능한 전기청소기는 전동송풍기 및 집진부 등을 갖춘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접속된 연장관 등의 풍로체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부의 파지(把持)용 핸들을 잡고 전기청소기 전체를 이동시키면서, 전동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부압에 의해 먼지를 풍로체로부터 집진부에 흡입하여 청소를 실시한다.
이와 같은 전기청소기의 집진부로서,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선회시켜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원심분리부를 구비하고, 또한 이 원심분리부의 중앙부의 공간에, 전동송풍기를 수용한 전동송풍기실을 배치한 것이 있다. 이 경우, 원통 형상의 원심분리부의 둘레벽부가 전동송풍기의 중심축에 대하여 동축 형상으로 배치되므로 흡기에 편중이 발생하기 어려워 흡기 밸런스는 확보할 수 있지만, 원심분리부에서 먼지가 포함된 공기 중의 상대적으로 큰 먼지인 굵은 먼지를 원심 분리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둘레벽부의 직경 치수를 크게 설정할 필요가 있어, 소형화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전동송풍기실의 주위에는 기본적으로 원심분리부의 둘레벽부만이 위치하므로, 전동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소리 등의 소음이 충분히 차단되지 않고 외부에 새어나올 우려가 있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제2011-52421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흡기 밸런스를 확보하면서, 대형화하지 않고 정음성(靜音性)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형태의 전기청소기는 전동송풍기를 갖는다. 또한, 이 전기청소기는 전동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부를 갖는다. 이 분리부는 전동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제1 원심분리부를 구비한다. 또한, 이 분리부는 제1 원심분리부에서 분리하는 먼지보다 작은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복수의 제2 원심분리부를 구비한다. 이들 제2 원심분리부는 제1 원심분리부의 하류측에 연통하고, 전동송풍기에 대하여 서로 반대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전기청소기의 본체부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상방으로부터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본체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전기청소기의 유지부의 위치에서 풍로체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한 하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전기청소기의 유지부의 위치에서 풍로체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한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전기청소기의 풍로체를 유지부에 의해 본체부에 장착한 하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전기청소기의 하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전기청소기의 풍로체를 유지부에 의해 본체부에 장착한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전기청소기의 풍로체를 유지부에 의해 본체부에 장착한 또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전기청소기의 풍로체를 유지부에 의해 본체부에 장착한 또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전기청소기의 본체부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제1 실시형태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에서 "11"은 전기청소기를 나타내고, 상기 전기청소기(11)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를 움직이면서 스틱 클리너(업라이트 클리너)로서 사용하는 형태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를 이동시키면서 핸디 클리너로서 사용하는 형태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전기청소기(11)는 본체부(12)와, 이 본체부(12)와 접속된 풍로체(13)를 구비하고, 이 풍로체(13)가 유지부(14)를 통하여 본체부(12)에 대하여 유지 가능해져 있고, 또한 본체부(12)에 본체용 핸들(15)이 돌출 설치되고, 풍로체(13)에 풍로체용 핸들(17)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 상하 방향은 전기청소기(11)를 피청소면상에 얹은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즉, 도 4에 도시한 화살표 U방향이 본 실시형태의 상방향, 화살표 D방향이 본 실시형태의 하방향이 된다.
본체부(12)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길이방향을 갖는, 즉 전후방향의 치수가 좌우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의 각각의 치수보다 큰 본체 케이스(18)와, 상기 본체 케이스(18)의 하부에 착탈 가능한 먼지 수용체로서의 컵부인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집진컵(19)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케이스(18)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전후 방향을 따라서 긴 형상의 케이스 본체(21)와, 상기 케이스 본체(21)의 길이 방향의 단부인 전단부의 상부에 설치된 유지 수용부(22)와, 상기 케이스 본체(21)의 전단부의 하부, 즉 유지 수용부(22)의 하방에 설치되고 케이스 본체(2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풍로체 접속부(23)를 갖고, 중량물인 전동송풍기(25)가 전동송풍기실(26) 내에 수용되어 있고, 또한 전동송풍기(25)의 동작을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은 본체 제어부, 및 중량물인 전원부로서의 전지인 2차 전지(27)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18)(케이스 본체(21))의 후부에 본체용 핸들(15)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본체용 핸들(15)에 의해 본체부(12)가 파지 가능해져 있다.
케이스 본체(21)의 하부에는 집진컵(19)을 착탈 가능한 장착 개구부(31)가 풍로체 접속부(23)의 후방의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이 장착 개구부(31)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개구되어 있고, 이 장착 개구부(31)에는, 집진컵(19)의 본체 케이스(18)(장착 개구부(31))로의 장착에 의해 이 집진컵(19)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 집진컵(19)과 함께 상류측 분리부로서의 제1 분리부인 제1 원심분리부(32)를 구성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분리체부(33)가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장착 개구부(31)의 상방의 케이스 본체(21) 내에는, 전동송풍기실(26)의 외주에, 장착 개구부(31)와 연통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연통풍로부(35)가 구획 형성되어 있고, 이 연통풍로부(35)의 외방에는, 분리체부(33)(제1 원심분리부(32))를 통과한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 즉 제1 원심분리부(32)에서 분리되는 먼지보다 작은 먼지를 분리하는 하류측 분리부로서의 제2 분리부인 제2 원심분리부(36)를 구성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분리통부(37)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분리통부(37)의 상부에서 케이스 본체(21)의 내부에, 이들 분리통부(37)(제2 원심분리부(36))와 연통하는 풍로부(38)가 구획되어 있고, 이 풍로부(38)가 전동송풍기(25)의 흡입측과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원심분리부(32)로부터 연통풍로부(35), 제2 원심분리부(36), 풍로부(38)를 통하여 전동송풍기(25)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풍로가 형성되고, 제1 원심분리부(32)와 제2 원심분리부(36)에 의해, 먼지를 공기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부(39)가 구성되어 있다.
제1 원심분리부(32)는 집진컵(19)의 내주면과 분리체부(33)의 외주면 사이에서 공기를 선회시킴으로써, 먼지(큰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제1 원심분리부(32)의 선회류는 상하방향을 따라서 축방향을 갖고 있다.
분리체부(33)는 상하방향을 따라서 축방향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집진컵(19)과 동축(동심)으로 배치된다. 이 분리체부(33)는 원통형상의 분리체부 본체(41), 이 분리체부 본체(41)의 내측방향에 동축형상으로 위치하는 배기부(42), 및 분리체부 본체(41)보다 직경 치수가 큰 원통형상의 압축부(43)를 축방향에 인접하여 구비하고 있다.
분리체부 본체(41)는, 주위에 개구되고 연통풍로부(35)와 연통되는 복수의 개구(44)와, 이들 개구(44)를 덮는 분리필터(45)를 갖고 있다. 즉, 분리체부 본체(41)의 외부(집진컵(19)의 내부)와 연통풍로부(35)가 개구(44)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원심분리부(32)에서는, 이 분리체부 본체(41)의 외주면과 집진컵(19)의 내주면 사이에서 공기가 선회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배기부(42)는, 분리체부 본체(41)와 일체로 성형되고, 이 분리체부 본체(41)와 2중의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 배기부(42)는 전동송풍기(25)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략 평행인 중심축을 갖고, 실질적으로 전동송풍기(25)와 동축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압축부(43)는 쉐이드부라고도 불리고, 분리체부 본체(41)의 하단부에 단차 형상으로 직경이 확대되어 연속되고 있고, 이 분리체부 본체(41)와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이 압축부(43)는 분리체부 본체(41)의 하단부의 주위에 상하 방향을 따라서 개구된 복수의 압축개구(47)와, 이들 압축개구(47)를 덮는 압축필터(48)를 갖고 있다. 그리고, 분리체부 본체(41)의 외주와 집진컵(19)의 내주 사이를 선회하는 공기의 일부가 압축부(43)의 하단부로부터 압축부(43)의 내부를 통하여 압축 개구(47)(압축필터(48))를 통과함으로써, 제1 원심분리부(32)에서 원심 분리된 먼지를 압축 필터(48)에 억압하여 압축부(43)내에서 압축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연통풍로부(35)는 전동송풍기실(26)의 앞뒤에 각각 상하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좌우 양측 방향으로 확대되어 있다. 즉, 이 연통풍로부(35)는 전동송풍기실(26)의 전부 및 후부와 인접하여, 이 전동송풍기실(26)의 상하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연통풍로부(35)는 양측 방향의 중앙부(35a)가 양측부(35b, 35b)보다 전후방향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풍로 단면이 양측부(35b, 35b)로부터 중앙부(35a)로 서서히 전후방향으로 넓어지는(전동송풍기(25)(전동송풍기실(26)로부터 이격되는) 대략 초승달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연통풍로부(35)는 중앙부(35a)에서의 유속이 양측부(35b, 35b)에서의 유속보다 작게 되어 있고, 중앙부(35a)와 양측부(35b, 35b)에서의 공기의 유량이 균일화되어 있다.
제2 원심분리부(36)는 제1 원심분리부(32)의 상방,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제1 원심분리부(32)의 상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분리통부(37)의 내면을 따라서 공기를 선회시킴으로써, 먼지(미세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제2 원심분리부(36)의 선회류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축방향을 갖고 있다.
각 분리통부(37)는 연통풍로부(35)(전동송풍기실(26))의 측방의 위치에, 상하방향을 따라서 축방향을 갖고 있고,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서서히 직경이 축소되어 있다. 즉, 이들 분리통부(37)(제2 원심분리부(36))는 연통풍로부(35)(전동송풍기(25))와 대략 평행으로 축방향을 갖고 있다. 또한, 각 분리통부(37)는 집진컵(19)보다 직경 치수가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원심분리부(36)는 제1 원심분리부(32)보다 선회류의 유속이 빨라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들 분리통부(37)는 연통풍로부(35)(전동송풍기(25))의 앞뒤에 복수, 예를 들어 3개씩, 각각 상방에서 보아 연통풍로부(35)(전동송풍기(25))의 둘레방향을 따르는 원호를 따라서 대략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분리통부(37)(제2 원심분리부(36))는 전동송풍기(25)에 대하여 반대측의 위치에 각각 복수(3개)씩 배치되어 있고, 전동송풍기(25)의 중심축에 대하여 서로 전후 방향으로 선대칭으로 위치하고, 이 전동송풍기(25)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분리통부(37)의 상단 근방에는, 연통풍로부(35)와 연통하여 이 분리통부(37) 내로 접선 방향을 따라서 먼지가 함유된 공기를 인도하는 흡입개구부(37a)가 축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측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각 제2 원심분리부(36)의 흡입 개구부(37a)는 전동송풍기(25)의 중심축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선 대칭으로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분리통부(37)의 하단부는 집진컵(19)의 상부에 대향하여 개구하고 먼지를 집진컵(19)으로 배출하는 먼지 배출구(37b)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분리통부(37)의 상단부에는, 이 분리통부(37)와 동축형상으로, 먼지를 원심 분리한 공기가 풍로부(38)로 연통하는 원통형상의 배출통부(49)가 배치되어 있고, 이 배출통부(49)의 하류단인 상단부가, 분리통부(37)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제2 원심분리부(36)의 배출개구부(49a)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분리통부(37)의 전동송풍기(25)(전동송풍기실(26))측, 즉 연통풍로부(35)측은, 이 연통풍로부(35)와 격벽부(50)를 통하여 서로 구획되어 있다. 이 격벽부(50)는 예를 들어 전후방향으로 긴, 긴 원형(타원형상)의 단면형상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연통풍로부(35)의 외측부와 분리통부(37)의 전동송풍기(25)측의 부분을 이루고, 연통풍로부(35)와 분리통부(37)의 벽부를 겸하고 있다. 또한, 이 격벽부(50)는 각 제2 원심분리부(36)의 분리통부(37)와 동일한 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흡입 개구부(37a)는 분리통부(37)의 접선방향 또한 연통풍로부(35)의 법선방향을 따라서 연통풍로부(35)측, 즉 전동송풍기(25)측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또한, 이들 흡입개구부(37a)는 대략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고, 연통풍로부(35)의 바깥 가장자리부로부터 각 분리통부(37)까지의 거리가 서로 대략 동등해져 있다.
배출개구부(49a)는, 흡기구(25c)와 대략 동등한 높이로, 또한 상기 흡기구(25c)에 대하여 서로 대략 동등한 소정 거리에 위치하고, 수평방향을 따라서 직선상에 위치하는 풍로부(38)를 통하여 흡기구(25c)와 직접 연통되어 있다.
풍로부(38)는 본체 케이스(18)의 케이스 본체(21) 내의 상부를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하고 있고, 각 배출통부(49)의 하류단인 배출 개구부(49a)와 각각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유지 수용부(22)는 제1 원심분리부(32)의 선회류의 축방향에 대하여 한쪽 방향인 전방에 위치하고, 케이스 본체(21)의 전부(前部)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지 수용부(22)는 전방으로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유지 수용부(22)의 내부에는 풍로체(13)를 본체부(1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걸어 고정하는 도시하지 않은 걸어맞춤 수용부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풍로체 접속부(23)는, 전후방향 및 수평방향을 따라서 축방향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지 수용부(22)의 하방(바로 아래)에, 또한 제2 원심분리부(36)의 선회류의 축방향에 대하여 한쪽 방향인 전방에 위치하여 케이스 본체(21)의 전부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즉, 이들 유지 수용부(22)와 풍로체 접속부(23)는 본체부(12)의 동일측 방향인 전방에 각각 위치하고, 또한 본체부(12)(본체 케이스(18))를 앞쪽에서 보아 상하로 나란히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풍로체 접속부(23)는 집진컵(19)에 대하여 기밀하게 접속되는 부분이고, 이 풍로체 접속부(23)내에는 풍로체(13) 및 집진컵(19)과 기밀하게 접속하기 위한 원통형상의 시일부(61)가 배치되어 있다.
전동송풍기(25)는 2차 전지(27)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구동하는 전동부(25a)와, 이 전동부(25a)에 의해 회전되는 원심팬(25b)을 구비하고, 전동부(25a)에 의해 원심팬(25b)을 회전시킴으로써 부압을 발생시켜 집진컵(19)으로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풍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전동송풍기(25)는, 케이스 본체(21)(본체 케이스(18))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또한 제1 원심분리부(32)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전동부(25a)를 하측으로, 원심팬(25b)을 상측으로 하여, 전체가 전동송풍기실(26)에 덮여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전동송풍기(25)는 전동송풍실(26) 내에서 원심팬(25b)의 상류측에 연통하는 흡입측인 흡기구(25c)를 상측으로, 전동부(25a)의 하류측에 연통하는 배기측인 도시하지 않은 배기구를 하측으로 하고 있다. 즉, 상기 전동송풍기(25)는 제1 원심분리부(32)(집진컵(19))의 (선회류의) 축방향과 평행인 성분, 즉 상하 방향 성분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이 전동송풍기(25)는 수평방향과 다른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중심축(회전축)이 제1 원심분리부(32)(집진컵(19))의 (선회류의) 중심축에 대하여 측방에서 보아 예각형상(바람직하게는 45° 이하의 예각형상)으로 교차, 또는 이 중심축과 동축인 위치로 되어 있다. 즉, 전동송풍기(25)는 제1 원심분리부(32)(집진컵(19))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직렬형상을 나열되어 배치되어, 제1 원심분리부(32)(집진컵(19))의 중심축의 연장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전동송풍기(25)는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부재에 의해 구성된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방진부재를 통하여 주위가 전동송풍기실(26)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동송풍기(25)의 흡입측(흡기구(25c))는 본체부(12) 내의 상부 근방에 위치하여 (풍로부(38)를 통하여) 제2 원심분리부(36))의 하류측과 연통하고 있고, 또한 이들 풍로부(38), 제2 원심분리부(36) 및 연통풍로부(35)를 통하여 제1 원심분리부(32)(집진컵(19))와 연통하고 있다.
전동송풍기실(26)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부(12)의 본체 케이스(18)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고, 이 전동송풍기실(26)의 전후에 연통풍로부(35)를 통하여 분리통부(37)가 3개씩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전동송풍기실(26)(전동송풍기(25))과 분리통부(37) 사이에 연통풍로부(35)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전동송풍기실(26)과 연통풍로부(35)는 격벽(64)을 통하여 서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전동송풍기실(26)의 하부의 중앙부에는 전동송풍기(25)의 배기측(배기구)와 연통하는 배출개구(65)가 하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즉, 상기 배출개구(65)는 본체부(12)의 본체 케이스(18)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고, 분리체부(33)의 내부로 연통되어 있다.
격벽(64)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동송풍기실(26)과 연통풍로부(35)의 내측부의 각각의 일부를 이루고, 전동송풍기실(26)과 연통풍로부(35)의 내측부의 벽부를 겸하고 있다. 즉, 연통풍로부(35)는 격벽부(50)와 격벽(64)과의 사이에 구획되어 있다. 또한, 이 격벽(64)의 외주부의 좌우 양측부는 격벽부(5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즉, 이 격벽(64)은 격벽부(50) 및 각 분리통부(37)와 동일한 재료에 의해 이들 격벽부(50) 및 각 분리통부(37)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이 격벽(64)은 격벽부(50)의 내방에 위치하고, 상기 격벽부(50)와 양측부가 일체로 연속되도록 전동송풍기(25)와 동축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들 격벽(64)과 격벽부(50)의 강도에 의해, 연통풍로부(35)의 폭, 즉 전동송풍기(25)(흡기구(25c)) 및 연통풍로부(35)와 각 제2 원심분리부(36)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이 격벽(64)의 외주부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는, 연통풍로부(35) 내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연통풍로부(35)의 보강용 돌출부(64a)가 각각 직경방향(전후방향)을 따라서 리브형상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이들 돌출부(64a)가 격벽부(5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격벽(64)은 하단측이 배출개구(65)를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축소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이 배출개구(65)로부터 전동송풍기(25)의 배기를 집중하여 전동송풍기(26)로부터 배출 가능해져 있다. 또한, 이 격벽(64)의 내주부, 즉 전동송풍기실(26)측에는 전동송풍기(25)를 하방으로부터 동력에 저항하여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서의 복수의 지지 리브(64b)가 직경방향을 따라서 중심축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
본체 제어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구비하고 있고, 전동송풍기(25)를 도통각 제어하여, 상기 전동송풍기(25)를 소정의 동작모드로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있다.
2차 전지(27)는 전동송풍기(25), 본체 제어부 및 풍로체(13)측 등으로 급전하는 것이고, 도시하지 않은 단자를 통하여 외부의 충전회로와 접속 가능하고, 이 충전회로를 통하여 필요에 따라서 충전 가능해져 있다. 그리고, 이 2차 전지(27)는 케이스 본체(21)(본체 케이스(18))의 후단부의 위치, 즉 분리부(39)(제1 및 제2 원심분리부(32, 36))의 선회류의 축방향에 대하여 타측방인 후방의 위치에, 상하 방향을 따라서 수용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유지 수용부(22) 및 풍로체 접속부(23)와 2차 전지(27)는 분리부(39)(제1 및 제2 원심분리부(32, 36)(집진컵(19))을 통하여 본체부(12)의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집진컵(19)은 전동송풍기(25)의 구동에 의해 흡입된 먼지를 포집하는 부분이고,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제1 먼지 수용부로서의 수용부인 집진컵 본체(66)와, 이 집진컵 본체(66)의 전부에 돌출되는 도입부(67)와, 상기 집진컵 본체(66)의 상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제2 먼지 수용부로서의 미세먼지 수용부(68)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집진컵(19)의 집진컵 본체(66)의 후부에는, 이 집전컵(19)을 본체 케이스(18)(장착 개구부(3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걸림 고정 유지하는 유지수단으로서의 클램프(70)가 장착되어 있다.
집진컵 본체(66)는 예를 들어 도입부(67) 및 미세먼지 수용부(68)와 함께, 투광성을 갖는 (투명한) 합성수지 등의 부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집진컵 본체(66)는 집진컵(19)을 본체 케이스(18)(장착 개구부(31))에 장착한 상태에서 분리체부(33)의 주위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즉, 이 집진컵 본체(66)는, 분리체부(33)와 함께 제1 원심분리부(32)를 구성하고 있고, 또한 하부가 이 제1 원심분리부(32)에서 원심 분리된 먼지를 모으는 먼지 저류부(71)로 이루어져 있다. 이 집진컵 본체(66)는 각 분리통부(37)보다 직경 치수가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집진컵 본체(66)의 저부에는, 이 집진컵 본체(66)와 동축(동심)형상으로, 즉 이 집진컵 본체(66)의 중심축을 따라서, 배출부로서의 배기통부(74)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저부의 외면부에는 복수의 도풍부(導風部)인 리브(75)가 각각 직경방향을 따라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배기통부(74)는 전동송풍기(25)의 배기를 본체부(12)의 외부로 배출하는 부분이고, 집진컵(19)을 본체 케이스(18)(장착 개구부(31))에 장착한 상태에서 분리체부(33)의 압축부(43) 및 분리체부 본체(41)의 내부에 삽입되고, 배기구(42)의 하단부에 동축 형상으로 기밀하게 접속되어 이 배기구(42)를 통하여 전동송풍기실(26)의 하부의 배출개구(65)와 기밀하게 접속된다. 즉, 이 배기통부(74)는 전동송풍기(25)의 배기측(배기구)와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전동송풍기(25)의 배기측(배기구)과 연통하는 배출개구(65)가 (배기부(42)를 통하여) 배기통부(74)의 상류측에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배기부(42) 및 배기통부(74)의 외방이 전동송풍기(25)의 흡입측과 연통하고, 배기부(42) 및 배기통부(74)의 내방이 전동송풍기(25)의 배기측과 연통하며, 이들 흡기측과 배기측이 서로 별개의 방이 되도록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배기통부(74)의 하류단인 하단부가, 배출개구(65)와 연통하여 전동송풍기(25)의 배기를 본체부(12)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개구(76)가 되어 있다.
리브(75)는 배기통부(74)로부터 배출된 배기를 직경 방향을 따라서 인도하는 것이다.
도입부(67)는 집진컵 본체(66)의 상단 근방, 즉 집진컵 본체(66)(집진컵(19))내로 삽입된 분리체부(33)의 분리체부 본체(41)(분리필터(45))의 전방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집진컵 본체(66)로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도입하는 것으로, 집진컵(19)을 본체 케이스(18)(장착 개구부(31))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류단부인 전단부가 시일부(61)를 통하여 풍로체 접속부(23)의 하류측에 기밀하게 접속된다. 그리고, 이 도입부(67)의 하류단인 후단부에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집진컵 본체(66)(집진컵(19))내로 도입하는 흡입구(77)가 집진컵 본체(66)의 접선방향을 따라서 개구되어 있다. 상기 흡입구(77)는 상하방향, 즉 제1 원심분리부(32)의 선회류의 축방향에서 분리체부(33)와 대략 동등한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흡입구(77)는 전동송풍기(25)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이 전동송풍기(25)의 흡기구(25c) 및 배기구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어긋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미세먼지 수용부(68)는 집진컵(19)을 본체 케이스(18)(장착개구부(31))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2 원심분리부(36)(분리통부(37))의 하단부의 하부에 연통하여, 제2 원심분리부(36)에서 원심 분리된 먼지를 모으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미세먼지 수용부(68)는 집진컵 본체(66)의 상단부 근방에서 이 집진컵 본체(66)의 축방향과 교차(직교)하는 전후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전후방향에서 보아 상측에 개구된 받침 접시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클램프(70)는 집진컵 본체(66)의 후부 상단으로부터 미세먼지 수용부(68)의 후부의 하부에 걸쳐 대략 L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풍로체(13)는, 풍로체 접속부(23)의 상류측인 전측에 하류측인 후측이 연통 접속된 신축 가능한 호스체(82)와, 상기 호스체(82)의 상류측인 전측이 연통 접속된 흡입구체부(83)와, 상기 흡입구체부(83)의 상류측인 전측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통 접속되는 어태치먼트부(84)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풍로체(13)는 청소의 형태에 따라서, 본체부(12)에 대하여 유지부(14)에 의해 유지된 상태와, 본체부(12)로부터 유지부(14)의 위치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호스체(82)는 하류측인 일단측 즉 후단측이 본체부(12)(풍로체 접속부(23)(시일부(61))와 기밀하게 접속되고, 상류측인 타단측 즉 전단측이 유지부(14)에 의해 유지되어 흡입구체부(83)(어태치먼트부(84))와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 호스체(82)는 하류단측이 풍로체 접속부(23)를 통하여 집진컵(19)(제1 원심분리부(32))와 연통하고, 또한 상기 집진컵(19), 연통풍로부(35), 분리통부(37)(제2 원심분리부(36)) 및 풍로부(38)를 추가로 개재하여 전동송풍기(25)의 흡입측과 연통하고 있다. 또한, 이 호스체(82)는 예를 들어 가요성을 갖는 합성수지 등에 의해 자바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신축 자유롭게 이루어져 있고, 수축 방향을 향하여 힘이 가해져 있다. 즉, 이 호스체(82)는 자연상태(무부하 상태)에서 최대로 수축된 상태가 되어 있고, 이 최대로 수축된 상태에서, 내면의 요철이 밀착되어 평면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이 호스체(82)는 외력을 가하여 양단방향으로 인장된 상태(본체부(12)측에 고정되어 있는 하류측에 대하여 상류측을 인장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에만 신장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흡입구체부(83)는 호스체(82)의 상류단부인 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흡입구체부(83)는 원통형상의 흡입구체부 본체(85)와, 이 흡입구체부 본체(85)와 연통하여 이 흡입구체부 본체(85)의 후부의 하측에 돌출 설치된 원통형상의 접속부(86)와, 흡입구체부 본체(85)의 상류단부인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청소부로서의 브러시부(87)와, 이 흡입구체부(83)에 대하여 어태치먼트부(84)를 착탈 가능하게 걸림 고정 유지하는 유지 클램프(89)을 구비하고 있다.
흡입구체부 본체(85)는 호스체(82)보다 경질의 부재인 합성수지 등에 의해 직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류단부인 후단부가 유지부(14)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86)는 흡입구체부 본체(85)의 축방향에 대하여 예각형상으로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서 축방향이 경사진 직관형상이 되어 흡입구체부 본체(85)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호스체(82)의 상류단부가 삽입되어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브러시부(87)는 전단부에 청소부재인 브러시모(87a)를 복수 구비한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 가장자리의 양측이 흡입구체 본체(85)의 상류단부인 전단부의 양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상기 흡입구체부 본체(85)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지 클램프(89)는 흡입구체부 본체(85)의 상부에 일부가 노출되어 조작 가능해져 있다.
어태치먼트부(84)는 청소의 형태에 따라서, 흡입구체부(83)에 대하여 적절하게 착탈되는 것이고, 예를 들어 직관의 긴 형상의 연장관(91)과, 이 연장관(91)의 상류단인 앞측에 착탈 가능한 흡입구체로서의 마루 브러시(92)를 구비하고 있다.
연장관(91)은 하류단부인 후단부에 접속구부(96)를 구비하고, 상류단부인 전단부에 흡입구부(97)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구부(96)는 어태치먼트부(84)(연장관(91))을 흡입구체부(83)에 접속할 때 흡입구체부(83)의 전단부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흡입구부(97)는 원통형상의 흡입구부 본체(101)와, 상기 흡입구부 본체(101)의 상류단부인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청소체부로서의 브러시모부(102)와, 상기 흡입구부(97)에 대하여 마루 브러시(92)를 착탈 가능하게 걸림 고정 유지하는 클램프부(104)를 구비하고 있다.
브러시모부(102)는 전단부에 연장관용 청소부재인 브러시모(102a)를 복수 구비한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 가장자리의 양측이 흡입구부 본체(101)의 상류단부인 전단부의 양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이 흡입구부 본체(101)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클램프부(104)는 흡입구부 본체(101)의 상부에 일부가 노출되어 조작 가능해져 있다.
마루 브러시(92)는 좌우폭 방향을 따라서 긴 형상, 즉 가로로 긴 케이스체(106)와, 상기 케이스체(106)의 후부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회전관(107)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체(106)에는 피청소면에 대향하는 하면에 도시하지 않은 흡입구가 개구되어 있다. 또한, 이 흡입구에는 회전 청소체로서의 회전 브러시를 배치해도 좋다. 회전관(107)은 케이스체(106)에 대하여 적어도 축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고, 흡입구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이 회전관(107)의 후단측(하류단측)은 연장관(91)의 하류단측과 대략 동등한 직경 치수를 갖고 있고, 흡입구부(97)와 동일하게 흡입구체부(83)에 대하여도 착탈 가능해져 있다.
유지부(14)는 풍로체(13)의 하류단측인 호스체(82)의 하류단부와 다른 위치, 본 실시형태에서는 호스체(82)의 상류측의 흡입구체부(83)를 본체부(12)(유지 수용부(2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하는 것이고, 흡입구체부(83)의 흡입구체부 본체(85)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호스체(82)에 대하여 병렬로 분기되는 풍로체용 핸들(17)과, 이 풍로체용 핸들(17)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연결부(117)와, 풍로체용 핸들(17)에 설치된 걸림고정수단으로서의 클램프체(11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풍로체용 핸들(17)은 유지부(14)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유지부(14)는 풍로체용 핸들(17)을 겸하고 있고, 풍로체(13)의 하류측인 호스체(82)와 다른 위치,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호스체(82)보다 상류측의 흡입구체부(83)와 전단측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지부(14)에 의해 풍로체(13)가 본체부(12)에 대하여 호스체(82)보다 상방의 위치에서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풍로체용 핸들(17)은 본체부(12)로부터 유지부(14)의 위치에서 분리한 풍로체(13)를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 호스체(82)보다 경질의 합성수지 등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흡입구체부 본체(85)와 동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체부 본체(85)와 대략 일직선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또한 이 흡입구체부 본체(85)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전후방향을 따라서 긴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117)는 풍로체용 핸들(17)의 후단부에 연속하여(유지부(14)의 일단측인 후단측에 위치하여) 본체부(12)의 유지 수용부(22)에 끼워 맞추는 부분이고,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원통형상의 접속 볼록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접속 볼록부(122)는 유지부(14)에 의해 풍로체(13)를 본체부(12)에 장착할 때 유지 수용부(22)에 삽입되어 끼워 맞추어지는 부분이다.
클램프체(118)는 풍로체용 핸들(17)의 전측의 상부에 일부가 노출되어 예를 들어 전후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조작 가능해져 있고, 접속 볼록부(122)의 상부에, 유지 수용부(22)의 걸어맞춤 수용부에 걸려 고정되는 도시하지 않은 걸림부가 노출되어 있다.
본체용 핸들(15)은 본체부(12)의 후부와의 사이에서 본체부(12)의 길이 방향과 교차(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개구하도록 상하방향으로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본체용 핸들(15)은 상하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본체용 핸들(15)의 상부에는 이 본체용 핸들(15)을 잡은 손으로 사용자가 전동송풍기(25)의 동작 등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버튼(135)이 서로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 복수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1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기청소기(11)는 예를 들어 실내의 마루면 등의 피청소면의 비교적 넓은 면적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부(14)에 의해 풍로체(13)를 본체부(12)에 대하여 유지 수용부(22)의 위치에서 장착하고, 본체용 핸들(15)을 잡고 전체를 움직이면서 청소를 한다.
이 때, 집진컵(19)은 미리 본체 케이스(18)에 장착해 둔다. 즉, 집진컵(19)을 본체 케이스(18)의 장착 개구부(31)에 위치를 맞추어 본체 케이스(18)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미세먼지 수용부(68)가 제2 원심분리부(36)(분리통부(37))의 하단부에 대향하여 먼지 배출구(37b)와 연통하고, 분리체부(33)가 집진컵 본체(66) 내에 동축형상으로 삽입되며, 배기통부(74)가 분리체부(33) 내에 삽입되어 배기부(42)에 기밀하게 접속되고 이 배기부(42)를 통하여 배출 개구부(65)와 기밀하게 접속되며 또한 도입부(67)의 상류단부인 전단부가 시일부(61)를 통하여 풍로체 접속부(23)(풍로체(13))의 하류측인 후단부에 기밀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클램프(70)의 작용에 의해 집진컵(19)이 본체 케이스(18)에 걸림 고정 유지된다.
또한, 풍로체(13)는, 흡입구체부(83)의 상류단부인 전단부에 연장관(91)의 접속구부(96)를 삽입 접속하고, 또한 연장관(91)의 흡입구부(97)의 상류단부인 전단부에 대하여 마루 브러시(92)의 회전관(107)을 삽입 접속한다. 이 때, 유지 클램프(89)의 작용에 의해 연장관(91)이 흡입구체부(83)에 기밀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걸림 고정 유지되고, 또한 클램프부(104)의 작용에 의해 마루 브러시(92)가 연장관(91)에 기밀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걸림 고정 유지된다.
또한, 유지부(14)에서는, 도 4에 도시한 풍로체용 핸들(17)의 후단부의 연결부(117)를 본체부(12)의 유지 수용부(22)에 대하여 위치를 맞추면서 전방으로부터 삽입하여 끼워 맞춤으로써, 접속 볼록부(122)가 유지 수용부(22)에 상대적으로 삽입되고, 클램프체(118)의 걸림부가 걸어 맞춤 수용부에 대하여 삽입 걸림 고정됨으로써, 유지부(14)의 위치에서 풍로체(13)가 본체부(12)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부(14)의 일부를 이루는 풍로체용 핸들(17)이 전후방향을 따라서 위치하고, 이 풍로체용 핸들(17)과 동축형상의 흡입구체부(83)가 전후방향을 따라서 직관형상으로 위치함으로써, 풍로체(13)는 마루 브러시(92), 연장관(91)(어태치먼트부(84)), 흡입구체부(83) 및 풍로체용 핸들(17)이 대략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또한 흡입구체부(83)로부터 하방으로 분기한 호스체(82)의 하류단측이, 유지부(14)보다 하방의 풍로체 접속부(23)에서 본체부(12)에 대하여 접속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유지부(14)에 의해, 호스체(82)가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완만하게 굴곡된 상태로 형태가 유지되고, 풍로체(13)가 제1 원심분리부(32)로, 상하 좌우로 급격하게 굴곡되지 않고 기본적으로 전후방향을 따라서 대략 직선형상으로 연통된다. 이 때문에, 풍로체(13) 내에서의 압력손실이 적고, 공기 및 먼지가 내부를 통과하기 쉬워진다. 즉, 풍로체(13)는 유지부(14)의 위치와, 호스체(82)의 하류단측의 위치에서, 다시 말하면 상하로 나열된 위치에서 각각 본체부(12)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접속되고, 호스체(82)의 하류단측의 위치에서 풍로로서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본체용 핸들(15)를 파지하면서 설정 버튼(135)을 조작함으로써, 본체 제어부를 통하여 원하는 동작 모드에서 전동송풍기(25)를 구동시킨다. 이 전동송풍기(25)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부압은 풍로부(38), 제2 원심분리부(36), 연통풍로부(35), 제1 원심분리부(32), 도입부(67), 풍로체 접속부(23)(시일부(61)), 호스체(82), 흡입구체부(83) 및 어태치먼트부(84)를 통하여 마루 브러시(92)의 흡입구에 작용하므로, 사용자는 피청소면에 얹은 마루 브러시(92)를 전기청소기(11) 전체와 함께 피청소면상에서 앞뒤로 번갈아 주행시키며 피청소면의 전동송풍기(25)의 부압의 작용에 의해 흡입구로부터 공기와 함께 먼지를 흡입한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마루 브러시(92)의 회전 브러쉬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피청소면의 먼지를 긁어내거나 피청소면을 닦는 등의 청소 보조를 실시한다.
이때, 먼지와 함께 흡입된 공기, 즉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마루 브러시(92), 연장관(91), 흡입구체부(83), 호스체(82)로 이동하고, 이 호스체(82)의 내면을 따라서 완만하게 구부러지면서, 호스체(82)의 하류단으로부터 풍로체 접속부(23)(시일부(61)), 도입부(67) 및 흡입구(77)를 통하여 제1 원심분리부(32)의 집진컵(19)(집진컵 본체(66))으로 접선 방향을 따라서 흡입된다.
또한, 예를 들어 가구와 벽부 사이 등, 마루 브러시(92)를 삽입할 수 없는 좁은 틈새를 청소하는 등의 필요에 따라, 마루 브러시(92)를 연장관(91)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8). 이 경우에는 유지 클램프(89)를 조작함으로써 마루 브러시(92)의 걸림 고정을 해제하여 연장관(91)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연장관(91)의 전단부의 흡입구부(97)의 브러시모부(102) 등을 사용하면서, 이 흡입구부(97)부터 동일하게 공기와 함께 먼지를 흡입하여 피청소면을 청소한다.
한편, 예를 들어 테이블 위나 피청소면의 비교적 좁은 면적 등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상태에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로체(13)에서 어태치먼트부(84)(연장관(91) 및 마루 브러시(92))를 분리하여, 본체용 핸들(15)을 파지하고 전체를 움직이면서 청소를 실시한다.
이때, 어태치먼트부(84)(연장관(91))는 유지 클램프(89)를 조작함으로써 흡입구체부(83)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본체용 핸들(15)을 파지하고 전기청소기(11) 전체를 이동시키면서 흡입구체부(83)의 브러시부(87)등을 사용하여, 이 흡입구체부(83)로부터 공기와 함께 먼지를 흡입하여 청소를 실시한다.
또한, 이때 피청소면의 종류 등의 필요에 따라, 마루 브러시(92)만을 흡입구체부(83)에 장착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10). 이 경우에는 마루 브러시(92)의 회전관(107)을 흡입구체부(83)에 상류측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유지 클램프(89)의 작용에 의해서 마루 브러시(92)가 흡입구체부(83)에 대하여 기밀하게 접속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피청소면상에 얹은 마루 브러시(92)를 전기청소기(11) 전체와 함께 피청소면상에서 앞뒤로 번갈아 주행시키면서 피청소면의 전동송풍기(25)의 부압의 작용에 의해 흡입구로부터 공기와 함께 먼지를 흡입한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마루 브러시(92)의 회전 브러시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피청소면의 먼지를 긁어내거나, 피청소면을 닦는 등의 청소 보조를 실시한다.
또한, 예를 들어 천장 등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부(14)에 의해 풍로체(13)를 본체부(12)로부터 분리하여, 본체부(12)를 이동시키면서 이 본체부(12)에 대하여 풍로체(13)의 호스체(82)를 신장(신축)시키면서 연장관(91)의 전단부의 흡입구부(97)에 의해 청소를 실시한다.
또한, 예를 들어 텔레비전 등의 설치물의 내측, 차량의 시트, 또는 계단 등, 사용자 주위의 가까운 위치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추가로 연장관(91)을 분리하고, 본체부(12)를 이동시키면서 이 본체부(12)에 대하여 풍로체(13)의 호스체(82)를 신장(신축)시키면서, 흡입구체부(83)에 의해 청소를 실시한다.
이들의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청소형태의 경우에는 클램프 본체(118)를 조작함으로써, 이 클램프체(118)의 걸림부를 유지 수용부(22)의 걸어맞춤 수용부로부터 빼낸 상태에서 풍로체(13)를 본체부(12)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유지부(14)에서, 풍로체용 핸들(17)의 후단부의 연결부(117)가 본체부(12)의 유지 수용부(22)로부터 이격되고, 접속 볼록부(122)가 유지 수용부(22)로부터 빼내어진다.
그리고, 한 쪽 손으로 본체용 핸들(15)을 파지하고 본체부(12)를 이동시키면서 다른 쪽 손으로 풍로체용 핸들(17)을 파지하고, 기본적으로는 호스체(82)를 신축시켜 풍로체(13)만을 움직이면서 흡입구부(97)의 브러시모부(102), 또는 흡입구체(83)의 브러시부(87) 등을 사용하여 공기와 함께 먼지를 흡입하여 청소를 실시한다.
또한, 호스체(82)의 신장만으로 충분히 닿는 범위를 청소하는 경우, 또는 침대 밑 등을 청소하는 경우 등에는, 본체부(12)는 본체용 핸들(15)을 파지하여 들어올리지 않고, 피청소면상에 배치한 상태 등으로 해도 좋다. 이 때, 리브(75)가 피청소면에 닿음으로써, 집진컵(19)의 하부의 배기개구(76)가 피청소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이 피청소면에 의해 폐색되지 않고, 배기통부(74)(배기개구(76))로부터의 배기가 방해받는 일이 없다.
그리고, 제1 원심분리부(32)의 집진컵(19)(집진컵 본체(66))에 흡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집진컵(19)(집진컵 본체(66))의 내주면과 분리체부(33)의 분리체부 본체(4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선회되고 특히 큰 먼지(굵은 먼지)가 자중(自重)에 의해 공기로부터 원심 분리되어 집진컵 본체(66)의 내주면을 따라 낙하하여 집진컵 본체(66)의 먼지 저류부(71)에 포집된다. 이 먼지는 집진컵 본체(66)내의 선회류의 일부가 압축부(43)의 하단부로부터 압축개구(47)(압축필터(48))를 통과함으로써 압축필터(48)에 억압되어 압축되고, 압축부(43)의 내부에 모인다.
먼지가 원심 분리된 공기는 분리 필터(45)를 통과하면서 개구(44)에 유입된다. 이 개구(44)(분리 필터(45))를 통과한 공기는 배기부(42)의 매끄러운 원통형상의 외주에 의해 정류되면서 연통풍로부(35)를 통과함으로써, 이 연통풍로부(35)와 격벽(64)에 의해서 구획된 전동송풍기실(26)을 직접 냉각함으로써, 이 전동송풍기실(26)내에 수용된 전동송풍기(25)의 전동부(25a) 및 원심팬(25b)을 간접적으로 냉각한다. 또한, 이 연통풍로부(35)를 통과한 공기는 흡입개구부(37a)를 통하여 제2 원심분리부(36)(분리통부(37))로 유입되고, 이 제2 원심분리부(36)에서 분리통부(37)의 내주면을 따라서 선회되어 미세먼지가 더욱 원심 분리된다. 이 분리된 미세먼지는 분리통부(37)의 하단부의 먼지 배출구(37b)로부터 집진컵(19)의 미세먼지 수용부(68)로 낙하하여 포집된다. 즉, 집진컵 본체(66)와 미세먼지 수용부(68)에서 굵은 먼지와 미세먼지가 별개로 포집된다. 이 미세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분리통부(37)의 상단부의 배출통부(49)의 배출 개구부(49a)로부터 풍로부(38)로 유출되고 이 풍로부(38)를 통하여 전동송풍기(25)의 흡기구(25c)로 흡입된다.
그리고, 이 전동송풍기(25)에 흡입된 공기는 원심팬(25b)의 중앙부로부터 흡입되어 이 원심팬(25b)의 외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분출되고, 또한 전동부(25a)의 내부를 통과하여 이 전동송풍기(25)(원심팬(25b) 및 전동부(25a))을 직접 냉각하면서 배기풍이 되고, 배기구로부터 전동송풍기실(26)내로 배출된 후, 이 전동송풍기실(26)의 하부의 배출개구(65)로부터 배기부(42) 및 배기통부(74)의 매끄러운 내주면에 의해 정류되면서 분리체부(33)의 내방을 하방으로 통과하여 배기개구(76)로부터 집진컵(19)(본체부(12))의 외방인 하방으로 배출된다.
청소가 종료되면, 사용자는 설정 버튼(135)을 조작하여 전동송풍기(25)를 정지시킨다.
또한, 먼지를 폐기할 때에는 클램프(70)를 조작하여 집진컵(19)을 본체 케이스(18)(장착 개구부(31))로부터 분리하고, 쓰레기통 등의 위에서 집진컵(19)을 상하 반대로 하여 집진 저류부(71) 및 미세먼지 수용부(68)의 먼지를 배출한다.
상술한 것처럼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원심분리부(32)보다 직경 치수가 작은 제2 원심분리부(36)를 전동송풍기(25)에 대하여 서로 반대측(앞뒤)에 제2 원심분리부(36)를 각각 배치함으로써, 각 제2 원심분리부(36)로부터 전동송풍기(25)로 밸런스 좋게 흡기되고, 흡기 밸런스를 확보하면서 본체부(12)(전기청소기(11))를 대형화지 않고 각 제2 원심분리부(36)에 의해서 정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형태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2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각 제2 원심분리부(36)(분리통부(37))의 축 방향이 상하 방향을 따라, 또한 그 하단측, 즉 먼지 배출구(37b)측이 전동송풍기(25)측에 각각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각 제2 원심분리부(36)(분리통부(37))의 상단측에 위치하는 흡입개구부(37a)는 연통풍로부(35)에 대하여 각각 외방(직경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기울어져 있다. 또한, 각 제2 원심분리부(36)(분리통부(37))는 전동송풍기(25)측의 외주부가 대략 수직(연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2 원심분리부(36)(분리통부(37))를 경사지게 하고 흡입개구부(37a)를 연통풍로부(35)에 대하여 이격시킴으로써,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연통풍로부(35)로부터 각 제2 원심분리부(36)로 완만하게 흘러 흡입되어 난류가 발생하기 어렵고, 이 난류에 기인하는 효율의 저하나 소음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제2 원심분리부(36)는 전동송풍기(25)의 앞뒤에 3개씩 배치했지만, 예를 들어 2개씩, 또는 4개 이상씩 등으로 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적어도 1개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제2 원심분리부(36)를 전동송풍기(25)에 대하여 서로 반대측(앞뒤)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각 제2 원심분리부(36)로부터 전동송풍기(25)로 밸런스 좋게 흡기되고, 흡기 밸런스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동송풍기(25)(전동송풍기실(26))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각각(앞뒤의) 제2 원심분리부(36)에 의해서 차단되고, 제2 원심분리부(36)를 구성하는 분리통부(37)의 외주부가 차음벽이 된다. 즉, 제2 원심분리부(36)의 분리통부(37)의 외주부가 전동송풍기(25)(전동송풍기실(26))에 대향하는 부분과, 그 반대측의 부분에서 2중으로 차음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전동송풍기(25)(전동송풍기실(26))에서 직경 방향으로 발생한 소음은, 분리통부(37)의 외주부에 의해서 다중으로 차단되게 된다. 그 결과, 정음성을 확실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원심분리부(36)의 분리통부(37)는 제1 원심분리부(32)에서 분리하는 먼지보다도 작은 먼지를 원심 분리하기 위해서 유속을 높이도록 직경 치수를 비교적 작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전동송풍기(25)(전동송풍기실(26))를 끼고 서로 반대 측에 제2 원심분리부(36)를 배치해도 본체부(12)가 대형화되기 어렵다.
또한, 제2 원심분리부(36)가 전동송풍기(25)의 주위 중 적어도 일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동송풍기(25)의 전방 및 후방에 복수개씩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동송풍기(25)의 앞뒤를 복수의 제2 원심분리부(36)에 의해 둘러싼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이들 제2 원심분리부(36)의 분리통부(37)의 외주부가, 전동송풍기(25)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보다 확실하게 차음하고, 정음성을 보다 확실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원심분리부(36)의 배출개구부(49a)를, 전동송풍기(25)의 흡기구(25c) 근방, 즉 흡기구(25c)와 대략 동등한 높이 위치에서, 또한 소정 거리 이내의 범위에 배치함으로써, 각 제2 원심분리부(36)로부터 전동송풍기(25)로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할 때의 저항(풍로부(38)의 통기 저항)이 적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원심분리부(32)를, 제2 원심분리부(36)보다도 하방에 배치함으로써, 굵은 먼지를 원심 분리하기 위해 직경 치수를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할 필요가 있는 제1 원심분리부(32)를, 제2 원심분리부(36)의 측방 등에 나열하지 않고 그 배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본체부(12)(전기청소기(11))의 대형화를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원심분리부(36)를, 전동송풍기(25)를 끼고(전후방향으로) 선대칭인 위치에 동일한 수량씩(3개씩) 배치함으로써, 동일한 수량씩의 제2 원심분리부(36)로부터 전동송풍기(25)로 공기가 밸런스 좋게 흡입되어, 흡기 밸런스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원심분리부(36)는 전동송풍기(25)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각 제2 원심분리부(36)(배출개구부(49a))로부터 전동송풍기(25)의 흡기구(25c)에의 거리가 각각 대략 동등해지고 제2 원심분리부(36)로부터 전동송풍기(25)로 공기가 보다 밸런스 좋게 흡입되어, 흡기 밸런스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원심분리부(36)를, 전동송풍기(25)에 대하여 앞뒤에 위치하여 양측 방향으로 복수개씩 배치함으로써, 제2 원심분리부(36)로부터 공기가 전동송풍기(25)로 밸런스 좋게 흡입되어, 흡기 밸런스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들 제2 원심분리부(36)의 상류측에 연통하는 연통풍로부(35)를, 양측방향의 중앙측(중앙부(35a))이 양측(양측부(35b, 35b)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넓은 중앙부(35a)에서의 유속이,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좁은 양측부(35a, 35b)에서의 유속보다 작아지고, 단면적과 유속의 곱에 비례하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의 유량을 중앙부(35a)와 양측부(35b, 35b)에서 균일화할 수 있고, 각 제2 원심분리부(36)에 흡입되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의 양을 균일화할 수 있다. 또한, 제2 원심분리부(36)는 전동송풍기(25)의 앞뒤에 위치하고, 좌우 양측에는 위치하지 않으므로, 본체부(12)(전기청소기(11))가 좌우 양측 방향으로 넓어지지 않고, 본체부(12)(전기청소기(11))를 폭방향으로 슬림화할 수 있어, 한층 더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전동송풍기(25)는 구동에 의한 자기발열을 하고 분리부(39) 등을 경유하여 흡입된 공기가 전동송풍기(25)의 흡기구(25c)로부터 유입되어 내부를 흐름으로써 냉각되지만, 보다 효율좋게 전동송풍기(25)를 냉각할 수 있는 구성이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전동송풍기(25)를 수용한 전동송풍기실(26)의 외측부(외주부)를 따라서 제1 원심분리부(32)와 제2 원심분리부(36)를 연통하는 연통풍로부(35)를 배치함으로써, 연통풍로부(35)을 통과하는, 전동송풍기(25)에 흡입되기 전의 소위 차가운 공기가 전동송풍기실(26)과 함께 전동송풍기(25)를 냉각한다. 따라서, 전동송풍기(25)에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전동송풍기(25)를 안팎에서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어, 전동송풍기(25)를 보다 효율 좋게 냉각할 수 있다.
특히, 연통풍로부(35)를 전동송풍기실(26)과 제2 원심분리부(36)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전동송풍기실(26)과 함께 전동송풍기(25)를 효율 좋게 냉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동송풍기(25)(전동송풍기실(26))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새는 소음이 연통풍로부(35) 및 제2 원심분리부(36)에 의해 차단된다. 즉, 연통풍로부(35) 및 제2 원심분리부(36)를 구성하는 분리통부(37)의 외주부가 각각 차음벽이 되어, 정음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원심분리부(36)의 분리통부(37)는 제1 원심분리부(32)에서 분리되는 먼지보다 작은 먼지를 원심 분리하기 위해 유속을 높이도록 직경 치수를 비교적 작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제2 원심분리부(36)를 전동송풍기(25)(전동송풍기실(26))의 측방에 배치해도 본체부(12)가 대형화되기 어렵고, 또한 격벽(64)뿐만 아니라, 제2 원심분리부(36)의 분리통부(37)의 외주부가 전동송풍기(25)(전동송풍기실(26))에 대향하는 부분(연통풍로부(35))의 외측부를 이루는 격벽부(50))와, 그 반대측의 부분에서 2중으로 차음을 하게 된다. 즉, 전동송풍기(25)(전동송풍기실(26))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새어나온 소음은, 연통풍로부(35) 및 분리통부(37)의 외주부에 의해 다중으로 차폐된다. 그 결과, 정음성을 보다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동송풍기(25)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급전에 의해 구동하는 전동부(25a)의 발열이 가장 커지므로, 이 전동부(25a)를 포함하는 전동송풍기(25) 전체를 덮는 전동송풍기실(26)를 냉각함으로써, 가장 발열이 큰 전동부(25a)를, 이 전동부(25a)내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한 직접 냉각에 추가하여 연통풍로부(35)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간접적으로 냉각할 수 있으므로, 전동송풍기(25)의 냉각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원심분리부(36)가 전동송풍기(25)의 주위 중 적어도 일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동송풍기(25)의 전방 및 후방에 복수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동송풍기(25)의 전후를 연통풍로부(35) 각각과 복수의 제2 원심분리부(36)에 의해 둘러싼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이들 연통풍로부(35), 및 제2 원심분리부(36)의 분리통부(37)가, 전동송풍기(25)로부터 새는 소음을 보다 확실하게 차음하여, 정음성을 보다 확실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동송풍기실(26)과 연통풍로부(35)를 구획하는 격벽(64)이, 이들 전동송풍기실(26)과 연통풍로부(35)의 각각의 일부를 이루는 공통의 벽부이기 때문에, 연통풍로부(35)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전동송풍기실(26)이 직접 냉각된다. 따라서, 이 전동송풍기실(26)에 수용된 전동송풍기(25)의 냉각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원심분리부(36)의 분리통부(37)를, 연통풍로부(35)를 구성하는 격벽(64)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연통풍로부(35) 및 전동송풍기실(26)(전동송풍기(25))에 대한 각 제2 원심분리부(36)의 분리통부(37)의 거리의 밸런스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효율 및 흡기 밸런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동송풍기(25) 및 제2 원심분리부(36)를 제1 원심분리부(32)의 상방에 배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제1 원심분리부의 측방에 전동송풍기나 제2 원심분리부를 배치하는 경우 등과 비교하여, 각각 배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본체부(12)(전기청소기(11))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제1 원심분리부(32)는 굵은 먼지를 원심 분리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직경 치수를 크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전동송풍기(25) 및 제2 원심분리부(36)의 측방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제1 원심분리부(32)를 배치함으로써, 본체부(12)(전기청소기(11))의 대형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의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2)

  1. 전동송풍기,
    상기 전동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전동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제1 원심분리부, 및
    상기 제1 원심분리부의 하류측에 연통하여 상기 전동송풍기에 대하여 서로 반대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 원심분리부에서 분리되는 먼지보다 작은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복수의 제2 원심분리부를 구비하고 있는, 전기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2 원심분리부는 전동송풍기의 흡기구 근방에 배치된 배출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전기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제2 원심분리부는 전동송풍기의 축방향과 대략 동등한 상하방향을 따라서 축방향을 갖고, 또한 하단측이 상기 전동송풍기측을 향하여 경사져 있는, 전기청소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원심분리부는 제2 원심분리부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전기청소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원심분리부는 전동송풍기를 끼고 선대칭인 위치에 동일 수량씩 배치되어 있는, 전기청소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원심분리부는 전동송풍기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전기청소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원심분리부는 전동송풍기에 대하여 앞뒤에 위치하여 양측방향으로 복수개씩 배치되고,
    이들 제2 원심분리부의 상류측에 연통하여 양측방향의 중앙측이 상대적으로 넓은 연통풍로부를 구비하고 있는, 전기청소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동송풍기가 수용된 전동송풍기실과,
    상기 전동송풍기실의 외측부를 따라서 배치되고, 제1 원심분리부와 제2 원심분리부를 연통하는 연통풍로부를 구비하고 있는, 전기청소기.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동송풍기가 수용된 전동송풍기실, 및
    상기 전동송풍기실과 제2 원심분리부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원심분리부와 상기 제2 원심분리부를 연통하는 연통풍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원심분리부는 상기 전동송풍기실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는, 전기청소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동송풍기실과 연통풍로부를 구획하고, 이들 전동송풍기실과 연통풍로부의 각각의 일부를 이루는 격벽을 구비하고 있는, 전기청소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2 원심분리부는 내부에서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선회시키는 분리통부를 구비하고, 격벽은 상기 분리통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전기청소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동송풍기 및 제2 원심분리부는 제1 원심분리부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전기청소기.
KR1020167008132A 2013-11-11 2014-11-07 전기청소기 KR101892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33531A JP6552785B2 (ja) 2013-11-11 2013-11-11 電気掃除機
JPJP-P-2013-233531 2013-11-11
JPJP-P-2013-266163 2013-12-24
JP2013266163A JP6599596B2 (ja) 2013-12-24 2013-12-24 電気掃除機
PCT/JP2014/079614 WO2015068817A1 (ja) 2013-11-11 2014-11-07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176A true KR20160048176A (ko) 2016-05-03
KR101892653B1 KR101892653B1 (ko) 2018-08-28

Family

ID=53041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132A KR101892653B1 (ko) 2013-11-11 2014-11-07 전기청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13079B2 (ko)
EP (1) EP3069646B1 (ko)
KR (1) KR101892653B1 (ko)
CN (1) CN104822301B (ko)
HK (1) HK1223256A1 (ko)
WO (1) WO20150688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8267B2 (en) * 2001-06-30 2019-09-03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Dust cup, dust cup assembly and handheld cleaner
US10258208B2 (en) 2016-04-11 2019-04-1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22086B2 (en) 2017-07-06 2020-07-2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674884B2 (en) 2013-02-28 2020-06-0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29294B2 (en) 2013-02-28 2020-08-0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91889B2 (en) 2016-01-08 2020-10-0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950745B2 (en) 2014-12-17 2024-04-0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O2017044613A1 (en) * 2015-09-09 2017-03-16 Gebhard Albert W Dual fluid channel vacuum apparatus
WO2017066628A2 (en) * 2015-10-14 2017-04-20 Qfix Systems, Llc Patient trolley and patient transfer device
US11737934B2 (en) 2015-10-14 2023-08-29 Qfix Systems, Llc MRI compatible patient trolley
US20170196423A1 (en) 2016-01-08 2017-07-1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962048B2 (en) 2016-01-08 2018-05-0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165914B2 (en) 2016-01-08 2019-01-0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ES2965608T3 (es) 2016-03-31 2024-04-16 Lg Electronics Inc Aparato de limpieza
US10646082B2 (en) 2016-03-31 2020-05-12 Lg Electronics Inc. Cleaner
WO2017171495A1 (ko) 2016-03-31 201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US11166607B2 (en) 2016-03-31 2021-11-09 Lg Electronics Inc. Cleaner
CN209733830U (zh) 2016-03-31 2019-12-06 Lg电子株式会社 吸尘器
KR102560970B1 (ko) 2016-03-31 2023-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US9986880B2 (en) 2016-04-11 2018-06-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241129B2 (en) 2016-04-11 2022-02-0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016105B2 (en) 2016-04-11 2018-07-1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016104B2 (en) 2016-04-11 2018-07-1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568477B2 (en) 2016-04-11 2020-02-2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A2971068A1 (en) 2016-06-30 2017-12-30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Handheld vacuum cleaner
JP6933923B2 (ja) * 2017-06-22 2021-09-0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10631693B2 (en) 2017-07-06 2020-04-2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842330B2 (en) 2017-07-06 2020-11-2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537216B2 (en) 2017-07-06 2020-01-2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02113B2 (en) 2017-07-06 2020-07-0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506904B2 (en) 2017-07-06 2019-12-1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50913B2 (en) 2017-07-06 2020-08-2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EP3749159A4 (en) 2018-02-09 2022-03-16 SharkNinja Operating LLC ACCESSORIES FOR SURFACE TREATMENT DEVICE
WO2020009810A1 (en) * 2018-07-02 2020-01-09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pod configured to couple to one or more accessories
US11399675B2 (en) 2018-07-31 2022-08-02 Sharkninja Operating Llc Upright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removable pod
WO2020051433A1 (en) 2018-09-07 2020-03-12 Sharkninja Operating Llc Battery and suction motor assembly for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nd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JP7185585B2 (ja) * 2019-04-08 2022-12-0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113144759B (zh) * 2021-06-11 2024-07-05 重庆宗申通用动力机械有限公司 一种空气过滤装置
GB2620289A (en) * 2022-06-29 2024-01-03 Dyson Technology Ltd Separation system for a vacuum clean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0091A (ja) * 2005-12-10 2007-06-28 Lg Electronics Inc 真空掃除機
US20080289140A1 (en) * 2005-05-27 2008-11-27 Dyson Technology Limited Cyclonic Separating Apparatus
KR100964699B1 (ko) * 2005-08-17 2010-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JP2011524215A (ja) 2008-06-20 2011-09-01 テク エレクトリカル (スーヂョウ)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サイクロン掃除機
CN103040409A (zh) * 2011-10-12 2013-04-17 百得有限公司 一种电动机、风扇和污物分离装置的结构
WO2013077122A1 (ja) * 2011-11-22 2013-05-30 株式会社 マキタ 集塵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0788A (ja) 1994-03-16 1995-10-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掃除機の蓄電池パック冷却機構
JP2003125995A (ja) 2001-10-29 2003-05-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US7770256B1 (en) 2004-04-30 2010-08-10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multiple cyclonic dirt separators and bottom discharge dirt cup
US7882592B2 (en) 2005-12-10 2011-02-08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GB2440107A (en) * 2006-07-18 2008-01-23 Dyson Technology Limited Hand-held vacuum cleaner
KR100776403B1 (ko) 2007-02-14 2007-11-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JP4954825B2 (ja) 2007-08-08 2012-06-20 シャープ株式会社 集塵装置
US8209815B2 (en) * 2007-12-06 2012-07-03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Dual stage cyclonic dust collector
JP4947110B2 (ja) 2009-08-24 2012-06-0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2012120561A (ja) 2010-12-06 2012-06-28 Sharp Corp 電気掃除機
GB2497944B (en) * 2011-12-22 2014-04-02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GB2497945B (en) * 2011-12-22 2014-11-12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JP2012135657A (ja) 2012-04-17 2012-07-19 Sharp Corp 電気掃除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89140A1 (en) * 2005-05-27 2008-11-27 Dyson Technology Limited Cyclonic Separating Apparatus
KR100964699B1 (ko) * 2005-08-17 2010-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JP2007160091A (ja) * 2005-12-10 2007-06-28 Lg Electronics Inc 真空掃除機
JP2011524215A (ja) 2008-06-20 2011-09-01 テク エレクトリカル (スーヂョウ)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サイクロン掃除機
CN103040409A (zh) * 2011-10-12 2013-04-17 百得有限公司 一种电动机、风扇和污物分离装置的结构
EP2581009A1 (en) * 2011-10-12 2013-04-17 Black & Decker Inc. A motor, fan and dirt separation means arrangement
WO2013077122A1 (ja) * 2011-11-22 2013-05-30 株式会社 マキタ 集塵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653B1 (ko) 2018-08-28
EP3069646A4 (en) 2017-07-19
CN104822301A (zh) 2015-08-05
US20160270614A1 (en) 2016-09-22
CN104822301B (zh) 2017-04-19
HK1223256A1 (zh) 2017-07-28
US10213079B2 (en) 2019-02-26
EP3069646A1 (en) 2016-09-21
EP3069646B1 (en) 2019-12-25
WO2015068817A1 (ja) 2015-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653B1 (ko) 전기청소기
KR101821908B1 (ko) 전기청소기
KR101452673B1 (ko) 전기 청소기
JP6291218B2 (ja) 電気掃除機
KR101981446B1 (ko) 전기청소기
KR20130031235A (ko) 전기 청소기
JP6230346B2 (ja) 電気掃除機
JP2014171669A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KR101512559B1 (ko) 집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
JP2014033718A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6334913B2 (ja) 電気掃除機
JP2014171668A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6705864B2 (ja) 電気掃除機
JP6552785B2 (ja) 電気掃除機
JP6599596B2 (ja) 電気掃除機
JP6416636B2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CN109717793B (zh) 电动吸尘器
JP6178214B2 (ja) 電気掃除機
JP6555705B2 (ja) 電気掃除機
JP6385663B2 (ja) 電気掃除機
CN118102958A (zh) 真空清洁器
JP2015051167A (ja) 電気掃除機
JP2013094494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アタッチ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