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770A - 듀얼 매스 플라이휠 - Google Patents

듀얼 매스 플라이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770A
KR20160047770A KR1020140144097A KR20140144097A KR20160047770A KR 20160047770 A KR20160047770 A KR 20160047770A KR 1020140144097 A KR1020140144097 A KR 1020140144097A KR 20140144097 A KR20140144097 A KR 20140144097A KR 20160047770 A KR20160047770 A KR 20160047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flywheel
primary flywheel
crank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0210B1 (ko
Inventor
허성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평화발레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to KR1020140144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210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0Fly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0Flywheels
    • F16F15/315Flywheels characterised by their supporting arrangement, e.g. mountings, cages, securing inertia member to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매스 플라이휠에 관한 것으로, 허브에 형성된 결합부가 프라이머리 플라이휠의 결합공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허브와 프라이머리 플라이휠이 회전방향으로 상호 구속된다. 크랭크볼트가 허브의 결합부만을 관통하여 크랭크샤프트에 장착됨으로써 크랭크샤프트 사양 변경시 허브 사양만 변경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 매스 플라이휠{dual mass flywheel}
본 발명은 듀얼 매스 플라이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크랭크샤프트 사양 변화에 허브의 변경만으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에 관한 것이다.
엔진은 팽창행정만이 출력행정이 되고 나머지 흡입, 압축, 배기 행정에서는 출력이 감소되므로 엔진 출력의 회전력 및 회전속도는 주기적으로 증감 변동된다. 따라서, 플라이휠을 이용하여 엔진 회전의 변동을 감소시켜 일정하고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플라이휠은 크랭크축의 말단에 장착된 주철제의 중량체로서, 이의 회전 관성을 이용하여 엔진의 회전 변동을 감쇠시킨다.
크랭크축에는 혼합기의 연소에 따라 발생하는 회전력이 간격을 두고 전달되지만 플라이휠은 관성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려고 하므로 균일한 회전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엔진의 출력 토크의 증가, 트랜스미션의 기어비의 감소 등 토크 변동 요인의 증가로 기존의 플라이휠만으로는 엔진의 회전 진동에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듀얼 매스 플라이휠(이중 질량 플라이휠)이 개발되었는데, 듀얼 매스 플라이휠은 엔진쪽에 연결된 프라이머리 플라이휠과 변속기쪽에 연결된 세컨더리 플라이휠 및, 두 플라이휠 사이에 장착된 댐퍼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01615호에 개시된 것으로,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구성을 포함하는 종래의 듀얼 매스 플라이휠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듀얼 매스 플라이휠은, 엔진측에 연결되는 프라이머리 플라이휠(1)과, 변속기측에 연결되는 세컨더리 플라이휠(2) 및 세컨더리 플라이휠(2)과 연결된 드라이브플레이트(5)를 포함한다.
또한, 프라이머리 플라이휠(1)과 드라이브플레이트(5)의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댐퍼스프링으로서 토션스프링(12,13)이 설치되고, 토션스프링(12,13)의 외측에 이의 작동을 가이드하는 토션가이드(14)가 설치된다.
프라이머리 플라이휠(1)은 크랭크볼트(11)로 크랭크축의 단부에 장착되는 허브(3)에 장착되고, 허브(3)의 외주 일측에 세컨더리 플라이휠(2)이 베어링(20)을 매개로 지지된다.
따라서, 프라이머리 플라이휠(1)의 회전이 토션스프링(12,13)을 매개로 세컨더리 플라이휠(2)로 전달되므로 엔진의 토크 및 회전수 변동에 따라 토션스프링(12,13)이 압축 및 이완되면서 진동이 감쇠된다.
한편, 듀얼 매스 플라이휠은 엔진의 크랭크샤프트 사양에 따라 프라이머리 플라이휠(1)과 허브(3)의 사양이 결정된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프라이머리 플라이휠(1)이 허브(3)와 함께 크랭크볼트(11)를 매개로 크랭크샤프트에 장착되기 때문인데 즉, 크랭크샤프트의 단부에 형성된 볼트공의 수와 직경 및 PCD(Pitch center distance : 볼트공 중심 사이의 거리)가 크랭크샤프트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므로 프라이머리 플라이휠(1)과 허브(3) 역시 크랭크샤프트의 볼트공 수와 직경 및 PCD와 동일한 볼트공 수와 직경 및 PCD를 가져야만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규 엔진 개발에 따라 크랭크샤프트 사양이 변화되면 그때마다 크랭크샤프트의 사양에 부합되도록 프라이머리 플라이휠(1)과 허브(3)의 사양을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프라이머리 플라이휠은 그대로 사용하고 허브의 사양만 변경하는 것으로 크랭크샤프트의 사양 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크랭크샤프트의 사양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된 듀얼 매스 플라이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랭크샤프트에 크랭크볼트로 고정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에 회전 방향으로 구속되도록 장착된 프라이머리 플라이휠을 포함하고, 상기 허브의 정면에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프라이머리 플라이휠에 결합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결합공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허브와 프라이머리 플라이휠의 상대 회전이 구속된다.
상기 크랭크볼트가 허브만을 관통하여 크랭크샤프트 단부의 볼트공에 체결된다.
상기 결합부는 다각형의 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은 결합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원판형의 베이스부 외주에 등간격으로 치형이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은 원형 구멍의 외주에 상기 치형이 삽입되는 치형공간이 관통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치형 표면보다 베이스부의 표면이 더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은 치형공간의 정면쪽 부분에 가림판이 형성되어 치형이 프라이머리 플라이휠의 정면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허브의 중공은 결합부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허브의 볼트공은 중공의 동심원 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크랭크샤프트의 사양 변화시 프라이머리 플라이휠의 사양은 변경할 필요가 없고 허브의 사양만 변경하여 듀얼 매스 플라이휠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즉, 허브의 사양만 변경하여 다양한 사양을 갖는 크랭크샤프트에 호환 장착될 수 있는 듀얼 매스 플라이휠이 제공된다.
따라서, 크랭크샤프트의 사양 변화에 보다 간편하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유에 의하여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제조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단면도.(중심선(A-A선)을 기준으로 반만 도시하였음. 이하 동일.)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허브의 배면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허브의 정면 사시도로서, 2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허브의 정면 사시도.
도 8은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허브와 프라이머리 플라이휠의 결합 상태 정면도 및 그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허브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리 플라이휠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리 플라이휠의 배면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매스 플라이휠은 크랭크샤프트(미도시)에 크랭크볼트(10)를 매개로 고정되는 허브(20)와, 허브(20)의 일측에 회전 방향으로 구속되도록 장착된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과, 허브(20)의 타측에 베어링(40)을 매개로 허브(2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세컨더리 플라이휠(50)과,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과 세컨더리 플라이휠(50)의 사이에 배치되고 세컨더리 플라이휠(50)에 리벳(미도시)으로 고정된 드라이브 플레이트(60)와,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과 드라이브 플레이트(60)의 사이를 원주 방향으로 지지하는 댐퍼스프링(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듀얼 매스 플라이휠은 상기 허브(20)의 정면 즉, 크랭크샤프트쪽 면에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을 회전 방향으로 구속하는 결합부(21)가 돌출 형성되고,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에는 상기 결합부(21)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결합부(21)가 삽입 안착되는 결합공(31)이 형성된다.
상기 크랭크볼트(10)는 허브(20)만을 관통하여 크랭크샤프트 단부에 형성된 볼트공(탭홀)에 체결된다. 즉, 크랭크볼트(10)는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을 관통하지 않는다.
결합부(21)와 결합공(31)이 결합되면 허브(20)와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이 회전 방향으로 구속되어 크랭크샤프트와 함께 허브(20)가 회전할 때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도 허브(20)와 일체로 회전된다.
도 3은 허브(20)의 배면 사시도로서, 허브(20)의 배면에는 베어링(40)이 설치되는 베어링장착부(22)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베어링장착부(22)의 내측부에는 크랭크볼트(10)의 헤드부가 삽입 안착되는 볼트헤드홈(23)이 형성되며, 볼트헤드홈(23)의 바닥면으로부터 허브(20)를 관통하여 크랭크볼트(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볼트공(24)이 형성된다. 또한, 허브(20)의 중앙에는 중공(25)이 형성된다. 볼트공(24)과 중공(25)은 상기 결합부(21)를 관통한다.
상기와 같은 허브(20)의 배면 형상은 이후 설명할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도 동일하다.
허브(20)의 정면에는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이 허브(20)에 결합되었을 때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을 지지하는 면으로부터 상기 결합부(21)가 돌출 형성된다. 결합부(21)는 허브(20)와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을 회전방향으로 구속할 수 있는 형상으로서 예를 들어 다각형의 판 모양으로 형성된다. 그 실시예로서 도 4에는 사각형 판상의 결합부가(21) 형성되고, 도 5에는 육각형 판상의 결합부(21)가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21)에 대응하여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에는 결합부(21)와 동일한 다각형 판상의 결합공(31)이 형성된다. 즉, 결합부(21)가 도 5와 같이 사각형 판상으로 형성된 경우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의 결합공(31)도 사각형 구멍으로 형성되고, 결합부(21)가 도 6과 같이 육각형 판상으로 형성된 경우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의 결합공(31)도 육각형 구멍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공(31)에 결합부(21)가 삽입되는 상태로 허브(20)에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이 결합되면 결합부(21)와 결합공(31)의 꼭지점 부분이 상호 걸려짐으로써 허브(20)와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이 회전 방향으로 구속되어 크랭크샤프트에 장착된 허브(20)가 회전할 때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이 허브(20)와 일체로 회전하면서 회전력이 전달된다.
상기 결합부(21)를 관통하여 중공(25)과 볼트공(24)이 형성되는데, 중공(25)은 결합부(21)의 중앙에 형성되고, 볼트공(24)은 중공(25)과 동심원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는 허브(20)의 정면에 치형(21a)이 구비된 결합부(21)가 형성되고, 그와 동일한 형상의 결합공(31)이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1)는 허브(20)의 정면에 돌출 형성된 원판형의 베이스부(21b)와, 베이스부(21b)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치형(21a)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21b)는 허브(20)의 중공(25)과 동심원 관계에 있다.
상기 치형(21a)은 베이스부(21b)의 외주면을 밑변으로 하는 이등변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허브(20)의 회전력을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에 전달해줄 수 있는 형상이면 되는바, 예를 들어 베이스부(21b)의 외주면을 밑변으로 하는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의 결합공(31) 내주면에는 상기 치형(21a)에 대응되는 위치에 치형(21a)과 동일한 형상의 치형공간(31a)이 형성된다.(도 8 참조)
따라서, 결합부(21)가 결합공(31)에 삽입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형공간(31a)에 치형(21a)이 삽입되고, 치형(21a)과 치형공간(31a)의 양측 변은 상호 맞닿게 되어 허브(20)와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을 원주방향으로 구속한다.
따라서, 크랭크샤프트와 함께 허브(20)가 회전되면 허브(20)와 일체로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이 회전된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의 베이스부(21b)가 치형(21a)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베이스부(21b)의 표면이 치형(21a)의 표면보다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베이스부(21b)의 표면과 치형(21a)의 표면 사이에 단차(21c)가 형성된다.
그리고,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에는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31)이 단차(21c)를 포함한 베이스부(21b)의 두께로 관통 형성되되, 치형공간(31a)은 관통되지 않고 크랭크샤프트쪽 부분에 치형공간(31a)을 막는 가림판(31b)이 형성된다. 상기 가림판(31b)에 의하여 제3실시예의 결합공(31)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도 11과 같이 단순한 원형 구멍 형상이 되고, 배면에서 보았을 때 도 12와 같이 원형의 구멍 외주에 정면쪽이 막힌 치형공간(31a)이 형성된 형상이 된다.
제3실시예 역시, 결합부(21)가 결합공(31)에 삽입 결합되면, 치형(21a)이 치형공간(31a) 내에 안착(이때 치형(21a)의 정면쪽 표면은 가림판(31b)에 밀착된다.)되어 치형(21a)과 치형공간(31a)의 양측면이 서로 맞닿게 됨으로써 허브(20)와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을 원주방향으로 구속하여 일체로 회전하면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허브(20)의 치형(21a)은 상기 가림판(31b)에 의해 가려짐으로써 크랭크샤프트쪽 방향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엔진 동력은 크랭크샤프트를 통해 출력된다. 크랭크샤프트가 회전되면 크랭크샤프트에 크랭크볼트(10)로 장착된 허브(20)가 회전되고, 허브(20)가 회전되면 허브(20)의 결합부(21)가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의 결합공(31)에 삽입되어 걸려진 것에 의해 허브(20)와 함께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이 회전되며,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은 댐퍼스프링(70)을 매개로 드라이브 플레이트(60)를 회전시킨다. 이에 드라이브 플레이트(60)와 리벳으로 연결된 세컨더리 플라이휠(50)이 회전된다. 이후, 세컨더리 플라이휠(50)의 회전은 클러치를 통해 변속기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상기 결합부(21)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결합공(31)이 그와 동일한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부(21)와 결합공(31)의 꼭지점 부분이 서로 걸려짐으로써 허브(20)와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이 회전 방향으로 구속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실시예는 상기 결합부(21)가 원판형 베이스(21b)의 외주면에 복수의 치형(21a)이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1)은 베이스(21b)가 삽입되는 원형공의 외주에 상기 치형(21a)이 삽입되는 치형공간(31a)이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자 결합시 치형(21a)과 치형공간(31a)이 상호 걸림으로써 허브(20)와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이 회전 방향으로 구속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다수의 치형(21a)이 일대일 대응되는 치형공간(31a)에 삽입되어 양자의 양측변이 서로 맞닿게 됨으로써 회전력 전달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결합부(21)와 결합공(31)이 다각형 형상인 제1실시예에 비하여 보다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매스 플라이휠은 허브(20)와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의 결합은 허브(20)에 돌출 형성된 결합부(21)와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에 관통 형성된 결합부(31)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뿐 허브(20)를 크랭크샤프트에 장착하는 크랭크볼트(10)와는 무관하다.
따라서,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은 크랭크샤프트의 사양 변화와는 무관하다. 즉,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에 볼트공이 형성되어 종래와 같이 크랭크볼트(10)로 허브(20)와 함께 크랭크샤프트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크랭크샤프트의 사양(크랭크볼트가 체결되는 볼트공의 수, 직경, PCD)이 변경된 경우에도 허브(20)에 형성되는 볼트공(24)의 수, 직경, PCD만 변경함으로써 크랭크샤프트 사양 변경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크랭크샤프트의 사양 변경시, 허브의 사양만 따라서 변경하고, 프라이머리 플라이휠의 사양은 변경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크랭크샤프트 사양 변경에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소요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듀얼 매스 플라이휠을 크랭크샤프트에 조립할 때, 종래에는 크랭크볼트를 허브와 프라이머리 플라이휠을 모두 관통하여 크랭크샤프트에 장착하였으므로 조립이 본 발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난해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 크랭크볼트가 허브의 볼트공만을 관통하여 크랭크샤프트에 장착되므로 조립조건이 유리해짐으로써 조립 작업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3실시예의 경우, 허브(20)의 결합부(21) 베이스부(21b)의 표면과 치형(21a)의 표면 사이에 단차(21c)가 존재하도록 치형(21a)에 비해 베이스부(21b)가 더 돌출 형성되고,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의 결합홈(21) 외주에는 상기 치형(21a)에 상응하는 치형공간(31a)이 형성되되, 치형공간(31a)의 정면(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의 정면)쪽 부분은 가림판(31b)이 형성되어 막혀 있다.
따라서, 치형(21a)과 치형공간(31a)의 걸림 작용에 의해 허브(20)로부터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로의 회전력 전달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조립 상태에서 상기 가림판(31b)이 허브(20)의 치형(21a) 표면에 밀착됨으로써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의 조립 상태가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가림판(31b)에 의해 치형(21a)이 가려짐으로써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의 정면에서는 허브(20) 결합부(21)의 베이스부(21b)만 외부로 노출된다. 즉, 외부로 노출되는 허브(20)와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 사이의 경계면이 원형 형상을 이루게 되는바, 제2실시예에서 허브(20)와 프라이머리 플라이휠(30) 사이의 경계면이 베이스부(21b) 및 치형(21a)을 모두 포함하여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면 경계면의 길이가 크게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경계면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과 수분이 듀얼 매스 플라이휠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크랭크볼트 20 : 허브
21 : 결합부 21a : 치형
21b : 베이스부 30 : 프라이머리 플라이휠
31 : 결합공 31a : 치형공간
31c : 단차 40 : 베어링
50 : 세컨더리 플라이휠 60 : 드라이브 플레이트
70 : 댐퍼스프링

Claims (7)

  1. 크랭크샤프트에 크랭크볼트로 고정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에 회전 방향으로 구속되도록 장착된 프라이머리 플라이휠을 포함하고,
    상기 허브의 정면에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프라이머리 플라이휠에 결합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결합공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허브와 프라이머리 플라이휠의 상대 회전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매스 플라이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볼트가 허브만을 관통하여 크랭크샤프트 단부의 볼트공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매스 플라이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다각형의 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은 결합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매스 플라이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원판형의 베이스부 외주에 등간격으로 치형이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은 원형 구멍의 외주에 상기 치형이 삽입되는 치형공간이 관통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매스 플라이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치형 표면보다 베이스부의 표면이 더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은 치형공간의 정면쪽 부분에 가림판이 형성되어 치형이 프라이머리 플라이휠의 정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매스 플라이휠.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중공은 결합부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매스 플라이휠.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볼트공은 중공의 동심원 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매스 플라이휠.
KR1020140144097A 2014-10-23 2014-10-23 듀얼 매스 플라이휠 KR101620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097A KR101620210B1 (ko) 2014-10-23 2014-10-23 듀얼 매스 플라이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097A KR101620210B1 (ko) 2014-10-23 2014-10-23 듀얼 매스 플라이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770A true KR20160047770A (ko) 2016-05-03
KR101620210B1 KR101620210B1 (ko) 2016-05-12

Family

ID=56022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097A KR101620210B1 (ko) 2014-10-23 2014-10-23 듀얼 매스 플라이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2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1656A (zh) * 2016-08-09 2018-02-16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扭振减振器
US10895286B2 (en) 2018-06-14 2021-01-19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Polygonal spring coupling
US10663006B2 (en) 2018-06-14 2020-05-26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Polygon spring coupl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865B1 (ko) 2012-11-26 2014-04-17 평화크랏치공업 주식회사 듀얼 매스 플라이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210B1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1956B2 (ja) モータサイクル用クラッチ装置
US8720658B2 (en) Starting device and damper device for use therein
JP5531728B2 (ja) 流体伝動装置
WO2012090945A1 (ja) 遠心振子式吸振装置
JP2017075694A (ja) 自動車のトルク伝達装置
KR101620210B1 (ko) 듀얼 매스 플라이휠
JP2018532088A (ja) 流体動力学的トルク結合装置用ねじり振動ダンパー
US8454446B2 (en) Damper mechanism
KR20140035347A (ko) 댐핑 스프링을 구비한 마찰 클러치 플레이트
JP2017062029A (ja) 自動車の伝達システムのねじり振動減衰装置
JP2008215593A (ja) 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
JP5387562B2 (ja) 遠心振子式吸振装置
KR101472435B1 (ko) 듀얼 매스 댐퍼 플라이휠
US6968932B2 (en) Apparatus for damping vibrations
JP2020169683A (ja) トルクリミッタ付きダンパ装置
JP5234223B1 (ja) 捩り振動減衰装置
KR20200135197A (ko) 적어도 제 1 댐퍼 및 동적 진동 흡수기가 장착된 전달 장치
JP5754513B2 (ja) 捩り振動減衰装置
JP5545207B2 (ja) 遠心振子式吸振装置
WO2018037971A1 (ja) 車両用ダンパ装置
WO2018012171A1 (ja) ダンパ装置
JP5598367B2 (ja) 捩り振動低減装置
JP4226464B2 (ja) フライホイール装置
CN110657196B (zh) 扭转减振阻尼器
KR102090398B1 (ko) 댐퍼 플라이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