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604A -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 - Google Patents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604A
KR20160047604A KR1020140143041A KR20140143041A KR20160047604A KR 20160047604 A KR20160047604 A KR 20160047604A KR 1020140143041 A KR1020140143041 A KR 1020140143041A KR 20140143041 A KR20140143041 A KR 20140143041A KR 20160047604 A KR20160047604 A KR 20160047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hip
display unit
permanent magn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1562B1 (ko
Inventor
이충영
신지호
조희종
Original Assignee
(주)유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비테크 filed Critical (주)유비테크
Priority to KR1020140143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562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5/00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35/02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moving magnets and stationary coi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서, 파도에 의한 선박의 요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좌우이동에 따라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전부가 발생시킨 유도기전력이 충전된 배터리로부터 케이스의 표시부가 유도기전력을 공급받아 발광되어 선박의 비상구 방향을 표시하기 때문에 상기 표시부가 상기 케이스 외부의 별도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필요가 없어지게 됨과 더불어 별도의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표시부를 번거롭게 일일이 전선 등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으며, 아울러, 선박이 기울어지면서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될 시 회전축으로부터 권출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객실 등에서 승객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self-generation type emergency exit display lamp for ship}
본 발명은 파도에 의한 선박의 요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좌우이동에 따라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전부가 발생시킨 유도기전력이 충전된 배터리로부터 케이스의 표시부가 유도기전력을 공급받아 발광되어 선박의 비상구 방향을 표시하기 때문에 상기 표시부가 상기 케이스 외부의 별도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필요가 없어지게 됨과 더불어 별도의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표시부를 번거롭게 일일이 전선 등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으며, 아울러, 선박이 기울어지면서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될 시 회전축으로부터 권출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객실 등에서 승객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대단위의 화물이나 승객을 해상에서 수송하거나 어업을 위해 사용되는 운송수단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중대형 선박의 경우 장기간 해상에 떠있는 관계로 선체 내부에 기관실 및 선원실 등을 마련하기 위해 다수의 격벽에 의해 격리시킴으로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선박에 화재 등이 발생될 경우 선체 내부에 거주하는 승선원이나 승객 등이 비상구를 통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비상구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비상구 유도등이 선체에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비상구 유도등은 상기 비상구 유도등 외부에 별도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방식이 대부분으로서, 별도의 전원공급부의 전원이 상기 비상구 유도등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전원공급부와 상기 비상구 유도등을 전선 등으로 일일이 연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099928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파도에 의한 선박의 요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좌우이동에 따라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전부가 발생시킨 유도기전력이 충전된 배터리로부터 케이스의 표시부가 유도기전력을 공급받아 발광되어 선박의 비상구 방향을 표시하기 때문에 상기 표시부가 상기 케이스 외부의 별도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필요가 없어지게 됨과 더불어 별도의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표시부를 번거롭게 일일이 전선 등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으며, 아울러, 선박이 기울어지면서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될 시 회전축으로부터 권출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객실 등에서 승객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선박의 비상구 방향을 발광하여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파도에 의한 선박의 요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이동에 따라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유도 기전력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발전부와; 비상시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상기 표시부에 공급하여 상기 표시부를 발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는 다수의 LED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전부는 상기 영구자석과 상기 코일이 복수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발전부에는 상기 영구자석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는 관체가 구비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관체의 주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는 상기 케이스를 선박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선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영구자석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용 영구자석에 의해 상기 선체에 고정된 상기 케이스가 아래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흡착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부에 의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다수의 LED로 이루어진 상기 표시부에 비상구 방향 표시가 다양한 색상으로 변화되며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화재감지센서부는 온도센서와 연기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기울기센서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정역회전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하부와 연결되는 볼부재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단속하는 회전단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볼부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타측 상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단속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고정되는 피스톤로드가 구비된 전자석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파도에 의한 선박의 요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좌우이동에 따라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전부가 발생시킨 유도기전력이 충전된 배터리로부터 케이스의 표시부가 유도기전력을 공급받아 발광되어 선박의 비상구 방향을 표시하기 때문에 상기 표시부가 상기 케이스 외부의 별도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필요가 없어지게 됨과 더불어 별도의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표시부를 번거롭게 일일이 전선 등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으며, 아울러, 선박이 기울어지면서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될 시 회전축으로부터 권출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객실 등에서 승객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발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케이스의 배면에 영구자석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케이스의 배면에 미끄럼 방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7은 표시부에 비상구 방향 표시가 표시되는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회전축에 회전단속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선박의 객실 내 벽면과 선박의 이동통로 벽면에 케이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와이어가 회전축으로부터 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발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케이스(10), 배터리(20), 발전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는 선체의 벽면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전면 상측에는 비상구 방향을 발광하여 표시하는 표시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2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발전부(30)는 상기 배터리(2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발전부(30)는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배터리(20)에 충전시킨다.
상기 발전부(3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구자석(310)과 코일(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측이 N극을 띄고, 타측이 S극을 띌수 있는 상기 영구자석(310)은 파도에 의한 선박의 요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코일(320)은 상기 영구자석(310)의 좌우이동에 따라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발전부(3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선박에 발생된 화재 등을 포함한 비상시 상기 배터리(20)에 충전된 전원 즉, 유도기전력을 상기 표시부(110)에 공급하여 상기 표시부(110)를 발광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표시부(1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0)를 이루는 다수의 상기 LED는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발광하여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EXIT'와 같은 문자 또는 '비상구'와 같은 문자를 발광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110)를 이루는 다수의 상기 LED를 통해 선박의 승선원이나 승객 등이 비상구 방향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하여 비상구를 통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와 같은 화살표 기호 또는 '〈〈〈〈〈' 등과 같은 비상구 방향을 가리키는 기호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배터리(20)에 보다 빠른 시간내에 많은 양의 유도 기전력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발전부(30)는 상기 영구자석(310)과 상기 코일(320)이 복수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영구자석(310)과 상기 코일(320)로 이루어지는 2개 이상의 상기 발전부(30)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상기 발전부(30)는 전선 등을 포함한 연결라인을 통해 직렬 또는 병렬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20)로 유도 기전력을 충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발전부에는 관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체(330)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수평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관체(330)의 내부에는 상기 영구자석(310)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320)은 상기 관체(330)의 주변에 구비될 수 있도록 가령, 상기 관체(33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관체(330)의 상부방향 및 상기 관체(330)의 하부방향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관체(330)의 일측과 상기 관체(330)의 타측에 각각 고무판 또는 스프링 등을 포함한 탄성부재(3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310)이 상기 탄성부재(340) 방향으로 좌우이동하여 상기 탄성부재(340)에 부딪칠 시 상기 탄성부재(340)가 상기 영구자석(310)에 가하는 반발력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310)이 상기 관체(330)의 내부 일측에서 상기 관체(330)의 내부 타측 및 상기 관체(330)의 내부 타측에서 상기 관체(330)의 내부 일측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좌우이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영구자석(310)이 상기 탄성부재(340) 방향으로 좌우이동하여 상기 탄성부재(340)에 부딪칠 시 상기 영구자석(310)이 상기 탄성부재(340)로 가하는 충격력을 상기 탄성부재(340)가 완화시키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재(340)에 상기 영구자석(310)이 부딪칠 시 발생되는 소음을 보다 용이하게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케이스의 배면에 영구자석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배면에는 고정용 영구자석(50)이 일체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용 영구자석(50)은 상기 케이스(10)의 배면 각 모서리에 구비되어 선박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선체의 벽면 등에 자력에 의해 부착고정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고정용 영구자석(50)을 통해 상기 케이스(10)를 선체의 벽면을 훼손시키지 않은 상태로 보다 간편하게 부착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체의 벽면 등에 상기 케이스(10)를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고정고리 등을 선체의 벽면 등에 용접고정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도 6은 도 5의 케이스의 배면에 미끄럼 방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용 영구자석(50)에 의해 상기 선체의 벽면 등에 부착고정된 상기 케이스(10)가 상기 선체의 벽면 아래방향으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60)가 상기 케이스(10)의 배면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6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영구자석(5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배면 상측과 상기 케이스(10)의 배면 하측 및 상기 케이스(10)의 배면 일측과 상기 케이스(10)의 배면 타측에 각각 일체구비되어 선체의 벽면 등과 접하는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과 동시에 직사각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미끄럼 방지패드(6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6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배면 중앙에 구비되어 선체의 벽면 등에 흡착고정될 수 있는 공지된 흡착구(610)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60)는 상기 미끄럼 방지패드(620)와 흡착구(610) 모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60)가 반드시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미끄럼 방지패드(620) 또는 공지된 흡착구(610)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선체의 벽면 등에 부착고정된 상기 케이스(10)가 상기 선체의 벽면 아래방향으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감지센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화재감지센서(70)는 가령 상기 표시부(1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선박에 화재발생으로 인한 백색연기가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110)가 백색을 발광할 경우 연기의 색상과 상기 표시부(110)의 발광색상이 동일하기 때문에 선박의 승선원이나 승객 등이 상기 표시부(110)가 표시하는 비상구 방향 표시를 인식하기가 어려운 즉,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박에 화재발생으로 인한 노란색 및 적색의 화염이 발생한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110)가 노란색 및 적색을 발광한 경우 화염의 색상과 상기 표시부(110)의 발광색상이 동일하기 때문에 선박의 승선원이나 승객 등이 상기 표시부(110)가 표시하는 비상구 방향 표시를 인식하기가 어려운 즉,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선박에 화재발생으로 인해 선박의 승선원이나 승객 등이 상기 표시부(110)가 표시하는 비상구 방향 표시를 보다 용이하게 인식, 즉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화재감지센서부(70)에 의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다수의 LED로 이루어진 상기 표시부(110)에 비상구 방향 표시가 다양한 색상으로 변화되며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표시부(110)는 흰색 → 적색 → 청색 → 녹색 순으로 일정시간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변화되면서 점등될 수 있다.
도 7은 표시부에 비상구 방향 표시가 표시되는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나아가, 선박에 화재발생으로 인해 선박의 승선원이나 승객 등이 상기 표시부(110)가 표시하는 비상구 방향을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인식, 즉 시인성을 보다 더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10)는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 등과 같은 비상구 방향을 가리키는 기호를 상기 표시부(11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멸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화재감지센서부(70)는 온도센서(710)와 연기감지센서(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710)가 감지한 선체내의 온도값이 상기 제어부(40)에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값 초과인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선체내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다수의 LED로 이루어진 상기 표시부(110)에 비상구 방향 표시가 다양한 색상으로 변화되며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710)가 감지한 선체내의 온도값이 상기 제어부(40)에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값 이하 인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선체내에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함과 더불어 상기 표시부(110)가 발광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연기감지센서(720)가 선체내의 연기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선체내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다수의 LED로 이루어진 상기 표시부(110)에 비상구 방향 표시가 다양한 색상으로 변화되며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연기감지센서(720)가 선채내의 연기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선체내에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함과 더불어 상기 표시부(110)가 발광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기울기센서(1), 회전축(3), 와이어(5), 볼부재(7) 및 회전단속부(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 하부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기울기센서(1)는 상기 케이스(10)의 내주면 타측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자이로센서, 3축가속도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하측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베어링 결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5)는 상기 회전축(3)의 외주면에 권취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5) 하부는 상기 볼부재(7)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볼부재(7)는 중량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객실(17) 내에 있는 사람과 부딪혀 사람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단속부(9)는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조절되며, 상기 기울기센서(1)와 상기 회전축(3)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단속부(9)는 상기 케이스(10)의 내주면 타측에 볼트 고정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회전축에 회전단속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축(3)의 타측 상부에는 삽입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단속부(9)는 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특히, 상기 삽입홈(13)에 삽입고정되는 피스톤로드(15)가 구비된 전자석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울기센서(1)가 선박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단속부(9)의 피스톤로드(15)가 인입되고, 따라서 상기 볼부재(7)의 자중에 의해 상기 회전축(3)이 정역회전함에따라 상기 회전축(3)으로부터 상기 와이어(5)가 권출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기울기센서(1)가 선박의 기울어짐을 감지하지못하게 되면, 상기 회전단속부(9)의 피스톤로드(15)가 상기 삽입홈(13)에 삽입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상기 회전축(3)은 정역회전하지 않고, 상기 회전축(3)에 상기 와이어(5)가 권취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도 10은 선박의 객실 내 벽면과 선박의 이동통로 벽면에 케이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와이어가 회전축으로부터 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케이스(1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박의 객실(17) 내 벽면과 선박의 이동통로 벽면에 곳곳에 설치될 수 있고, 이에따라 선박이 기울어지는 비상사태가 발생될시, 탑승자가 위치한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상기 케이스(10)의 회전축(3)으로부터 권출되는 와이어(5)를 이용하여(도 11참조) 객실(17) 등에서 보다 빠르고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파도에 의한 선박의 요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상기 영구자석(310)과, 상기 영구자석(310)의 좌우이동에 따라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코일(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발전부(30)가 발생시킨 유도기전력이 충전된 상기 배터리(20)로부터 상기 케이스(10)의 표시부(110)가 유도기전력을 공급받아 발광되어 선박의 비상구 방향을 표시하기 때문에 상기 표시부(110)가 상기 케이스(10) 외부의 별도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필요가 없어지게 됨과 더불어 별도의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표시부(10)를 번거롭게 일일이 전선 등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고, 아울러, 선박이 기울어지면서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될 시 상기 회전축(3)으로부터 권출되는 와이어(5)를 이용하여 객실(17) 등에서 승객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케이스, 20; 배터리,
30; 발전부, 40; 제어부.

Claims (12)

  1. 전면에 선박의 비상구 방향을 발광하여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파도에 의한 선박의 요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이동에 따라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유도 기전력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시키는 발전부와;
    비상시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상기 표시부에 공급하여 상기 표시부를 발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다수의 LE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는 상기 영구자석과 상기 코일이 복수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에는 상기 영구자석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는 관체가 구비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관체의 주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는 상기 케이스를 선박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선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영구자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영구자석에 의해 상기 선체에 고정된 상기 케이스가 아래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흡착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
  8. 제 2항에 있어서,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부에 의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다수의 LED로 이루어진 상기 표시부에 비상구 방향 표시가 다양한 색상으로 변화되며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센서부는 온도센서와 연기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기울기센서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정역회전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하부와 연결되는 볼부재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단속하는 회전단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볼부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타측 상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단속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고정되는 피스톤로드가 구비된 전자석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
KR1020140143041A 2014-10-22 2014-10-22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 KR101631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041A KR101631562B1 (ko) 2014-10-22 2014-10-22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041A KR101631562B1 (ko) 2014-10-22 2014-10-22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604A true KR20160047604A (ko) 2016-05-03
KR101631562B1 KR101631562B1 (ko) 2016-06-21

Family

ID=5602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041A KR101631562B1 (ko) 2014-10-22 2014-10-22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5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2053A (zh) * 2018-12-26 2019-04-16 大唐水电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浮球磁感应式发光水位尺
CN112102746A (zh) * 2020-11-18 2020-12-18 南京宏佳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消防应急指示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376A (ja) * 1989-06-09 1991-01-18 Ricoh Co Ltd キャリヤ供給用治具
KR20090101034A (ko) * 2008-03-20 2009-09-24 주식회사 하나아이엔씨 비상구 안내장치
KR100999282B1 (ko) 2010-06-15 2010-12-07 이경복 선박의 출구 비상 유도 장치
KR20140064516A (ko) * 2012-11-20 2014-05-28 현지영 진동을 이용한 자가발전장치
KR20140083953A (ko) * 2014-06-03 2014-07-04 윤종식 선박의 비상탈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1376B2 (ja) 1991-05-20 2000-02-2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2値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376A (ja) * 1989-06-09 1991-01-18 Ricoh Co Ltd キャリヤ供給用治具
KR20090101034A (ko) * 2008-03-20 2009-09-24 주식회사 하나아이엔씨 비상구 안내장치
KR100999282B1 (ko) 2010-06-15 2010-12-07 이경복 선박의 출구 비상 유도 장치
KR20140064516A (ko) * 2012-11-20 2014-05-28 현지영 진동을 이용한 자가발전장치
KR20140083953A (ko) * 2014-06-03 2014-07-04 윤종식 선박의 비상탈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2053A (zh) * 2018-12-26 2019-04-16 大唐水电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浮球磁感应式发光水位尺
CN112102746A (zh) * 2020-11-18 2020-12-18 南京宏佳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消防应急指示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562B1 (ko) 201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55190B1 (en) System for evacuating persons from a vehicle
US10648659B2 (en) Status light assembly for patient handling equipment
KR101730002B1 (ko) 소방용 완강기 설치구조
KR101631562B1 (ko) 선박용 자가발전형 비상구 유도등
JP5307654B2 (ja) 安全帯用チェック装置
ES2289418T3 (es) Controlador remoto inalambrico para yates.
JP2020519515A (ja) 一体式照明を有する乗客拘束装置
KR20170068185A (ko)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ES2748447T3 (es) Conjunto de ascensor adaptado para determinar en base a sonido las posiciones de dispositivos en varios pisos
US8061293B2 (en) Avalanche rescue device
KR101806168B1 (ko) 비상 대피용 소방 표시등
KR20170136237A (ko) 방향 알림 기능을 갖는 소화장치
KR20160069059A (ko) 생명길 유도등
KR200320784Y1 (ko) 움직이는 대피로유도표시 생성 레이저유도등
KR20140060764A (ko) 미아방지 및 실종방지용 신발
JP6006566B2 (ja) 発光式誘導棒
KR100971376B1 (ko) 비상조명등
KR101775280B1 (ko) 비상 유도장치
KR20180043716A (ko) 이동식 엑스선 영상 장치
JP2012035734A (ja) 水中作業管理装置
JP3216408U (ja) マグネットスイッチを用いた応用製品
KR101921137B1 (ko) 화재벨 감응 발광 유도표시 완강기
KR20170079164A (ko)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200480537Y1 (ko) 발광 차단봉
JP2017190545A (ja) Led付ヘル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