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362A - 아이콘 제어 단말기 - Google Patents

아이콘 제어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362A
KR20160047362A KR1020140143705A KR20140143705A KR20160047362A KR 20160047362 A KR20160047362 A KR 20160047362A KR 1020140143705 A KR1020140143705 A KR 1020140143705A KR 20140143705 A KR20140143705 A KR 20140143705A KR 20160047362 A KR20160047362 A KR 20160047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execution
execution icon
touch scree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3872B1 (ko
Inventor
편상연
Original Assignee
편상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편상연 filed Critical 편상연
Priority to KR1020140143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872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2Protecting executable software
    • G06F21/121Restricting unauthorised execution of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를 갖는다. 터치 스크린은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는 아이콘이 제1 각도로 회전하면 아이콘을 잠금 상태로 전환하고,아이콘이 제1 각도만큼 역회전하면 아이콘을 실행가능 상태로 전환한다.

Description

아이콘 제어 단말기{Icon-controllable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아이콘을 제어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서비스나 부가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나 부가 기능들은 대부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되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은 아이콘으로 구별하고 있다. 아이콘은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상의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아이콘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는데, 예를들어 몇초 동안 터치하여 해당 아이콘을 이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것, 아이콘을 더블 터치하여 실행시키는 것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아이콘 실행을 차단할 경우에는 단말기 전체를 잠그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특히, 종래의 아이콘 잠금/해제의 방법은 아이콘 전체를 잠그는 방식일 뿐 아니라, 덜 직감적이고,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는데도 한계가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14-0105328호(공개일자: 2014.09.01, 명칭: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아이콘을 개별적으로 잠그고 해제할 수 있고,
둘째, 아이콘의 잠금 및 해제를 직감적으로 수행하여 사용자가 친숙하게 아이콘을 잠그고 해제할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일 실시예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아이콘이 제1 각도로 회전하면 아이콘을 잠금 상태로 전환하고, 아이콘이 제1 각도만큼 역회전하면 아이콘을 실행가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제1 각도로 회전한 아이콘에 터치가 있으면 경고음 또는 진동을 생성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서, 제1 각도는 90° 또는 -9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실행 아이콘과 설정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설정 아이콘이 터치되면 비밀번호 입력창을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고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실행 아이콘이 제1 각도로 회전하면 실행 아이콘을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잠금된 실행 아이콘이 터치되면 터치 스크린에 비밀번호 입력수단을 디스플레이하고,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실행 아이콘을 제1 각도만큼 역회전시켜 실행 아이콘을 실행가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에서, 비밀번호 입력수단은 금고 다이얼 또는 번호 입력창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각도는 180° 또는 -18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또다른 실시예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실행 아이콘과 설정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설정 아이콘이 터치되면 설정시간 입력창을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고 입력되는 설정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실행 아이콘이 제1 각도로 회전하면 실행 아이콘을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실행 아이콘을 제1 각도만큼 역회전시켜 실행 아이콘을 실행가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설정시간 동안 실행 아이콘을 동일한 회전 속도로 제1 각도만큼 역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제1 각도는 시계 반대 방향일 수 있고, 이 경우 제어부는 실행 아이콘이 역회전하는 동안 시계 초침 소리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또다른 실시예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다수의 실행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실행 아이콘이 제2 실행 아이콘으로 이동하면 제1 실행 아이콘 또는 제2 실행 아이콘을 제2 실행 아이콘 또는 제1 실행 아이콘의 아래에 숨길 수 있다. 제어부는 드러난 제2 실행 아이콘 또는 제1 실행 아이콘이 티클링되면 숨겨진 제1 실행 아이콘 또는 제2 실행 아이콘을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은 설정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설정 아이콘이 터치되면 티클링 패턴 선택창을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고 선택된 티클링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드러난 제2 실행 아이콘 또는 제1 실행 아이콘이 저장된 티클링 패턴으로 티클링되면, 제어부는 숨겨진 제1 실행 아이콘 또는 제2 실행 아이콘을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티클링 패턴은 원형으로 문지르기, 좌우로 문지르기, 상하로 문지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드러난 제2 실행 아이콘 또는 제1 실행 아이콘이 티클링되면 숨겨진 제1 실행 아이콘 또는 제2 실행 아이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의하면, 아이콘을 개별적으로 잠그고 해제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잠금, 타이머 설정, 숨기기 등과 같이 아이콘의 잠금과 해제를 직감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친숙하게 아이콘을 잠그고 해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a~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의 잠금 및 해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a~3i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의 잠금 및 해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a~4i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의 잠금 및 해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a~5g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의 잠금 및 해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a~6f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의 잠금 및 해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는 제어부(110), 터치 스크린(120), 스피커(130), 메모리(140), 통신부(150), 마이크(160), 카메라(170), 전원부(180)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 구성요소는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 또는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로 휴대 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120)에서 터치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한 후 터치 스크린(120)에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스피커(130)를 통해 소리를 발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12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2a~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의 잠금 및 해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는 아이콘(210)을 포함하여 다수의 아이콘을 터치 스크린(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아이콘(210)을 예를들어 3초 이상 터치하고 있으면, 제어부(110)는 아이콘(210)을 이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아이콘(210)을 예를들어 -90°회전시키면, 제어부(110)는 아이콘(210)을 -90° 회전된 상태로 터치 스크린(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아이콘(210)이 -90° 회전된 상태가 되면, 제어부(110)는 아이콘(210)을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아이콘(210)이 잠금 상태가 되면, 사용자가 아이콘(210)을 예를들어 더블 터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실행을 시도하더라도, 잠금된 아이콘(210)은 실행되지 않는다. 오히려, 사용자가 잠금된 아이콘(210)을 터치하면, 제어부(110)는 스피커(130)를 통해 경고음을 발하거나 또는 휴대 단말기를 진동시킬 수 있다.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아이콘(210)을 3초 이상 터치하여 이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한 후 잠금 아이콘(210)을 역회전, 즉 90°회전시키면, 제어부(110)는 아이콘(210)을 원래 상태로 회전시켜 터치 스크린(120)에 디스플레이하고, 잠금 아이콘(210)을 실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아이콘(210)을 더블 터치하면, 제어부(210)는 아이콘(210)을 실행시킨다.
도 2a~2c의 제1 실시예는 아이콘(210)을 -90°회전시키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90°회전시키는 경우, 45°회전시키는 경우, -45°회전시키는 경우 등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a~3i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의 잠금 및 해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는 실행 아이콘(210)과 설정 아이콘(220)을 포함하는 다수의 아이콘을 터치 스크린(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설정 아이콘(220)을 더블 터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실행시키면, 제어부(110)는 설정 아이콘(220)을 실행시킨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 아이콘(220)이 실행되면,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120)에 비밀번호 입력창(230a)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비밀번호 입력창(230a)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완료 버튼(235)를 터치하면, 제어부(110)는 입력된 비밀번호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실행 아이콘(210)을 예를들어 3초 이상 터치하고 있으면, 제어부(110)는 실행 아이콘(210)을 이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가능한 상태의 실행 아이콘(210)을 예를들어 -180°회전시키면, 제어부(110)는 실행 아이콘(210)을 -180° 회전된 상태로 터치 스크린(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행 아이콘(210)이 -180° 회전된 상태가 되면, 제어부(110)는 실행 아이콘(210)을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잠금된 실행 아이콘(210)을 예를들어 더블 터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실행을 시도하면, 도 3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비밀번호 입력창(230b)를 터치 스크린(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비밀번호 입력창(230b)을 아이콘(210,220)을 제거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또는 아이콘(210,220)이 있는 터치 스크린(120)의 빈 공간에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3h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비밀번호 입력창(230b)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10)는 비밀번호 입력창(230b)을 제거하면서, 잠금된 실행 아이콘(210)을 역회전시킬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3i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잠금된 실행 아이콘(210)을 역회전, 즉 180°회전시키면, 제어부(110)는 실행 아이콘(210)을 원래 상태로 터치 스크린(120)에 디스플레이하고, 실행 아이콘(210)을 실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실행 아이콘(210)을 더블 터치하면, 제어부(210)는 실행 아이콘(210)을 실행시킨다.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입력창(230b)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사용자의 터치가 없어도 실행 시도된 실행 아이콘(210)을 역회전, 즉 180°회전시켜 실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거나, 또는 실행 아이콘(210)을 180°회전시키면서 바로 실행시킬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잠금된 실행 아이콘(210)을 1번 터치하면, 제어부(110)는 스피커(130)를 통해 경고음을 발하거나 또는 휴대 단말기를 진동시킬 수 있다.
도 3a~3i의 제2 실시예는 실행 아이콘(210)을 -180°회전시키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180°회전시키는 경우, 90°회전시키는 경우, -90°회전시키는 경우 등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도 4a~4i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의 잠금 및 해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는 실행 아이콘(210)과 설정 아이콘(220)을 포함하는 다수의 아이콘을 터치 스크린(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 아이콘(220)을 더블 터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실행시키면, 제어부(110)는 설정 아이콘(220)을 실행시킨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 아이콘(220)이 실행되면,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120)에 비밀번호 입력창(230a)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비밀번호 입력창(230a)에 비밀번호 또는 회전수를 입력하고 완료 버튼(235)를 터치하면, 제어부(110)는 입력된 비밀번호또는 회전수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실행 아이콘(210)을 예를들어 3초 이상 터치하고 있으면, 제어부(110)는 실행 아이콘(210)을 이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가능한 상태의 실행 아이콘(210)을 예를들어 -180°회전시키면, 제어부(110)는 실행 아이콘(210)을 -180° 회전된 상태로 터치 스크린(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실행 아이콘(210)이 -180° 회전된 상태가 되면, 실행 아이콘(210)을 잠금 상태로 전환한다.
도 4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잠금된 실행 아이콘(210)을 예를들어 더블 터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실행을 시도하면, 도 4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금고 다이얼(240)을 터치 스크린(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금고 다이얼(240)을 아이콘(210,220)이 제거된 터치 스크린(12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아이콘(210,220)이 있는 터치 스크린(120)의 빈 공간이나 아이콘(210,220)의 상부에 겹쳐서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금고 다이얼(240)을 아이콘(210,220) 상부에 겹쳐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아이콘(210,220)을 실행 불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4h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금고 다이얼(240)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회전수만큼 회전시키면, 제어부(110)는 금고 다이얼(240)을 터치 스크린(120)에서 제거하면서, 잠금된 실행 아이콘(210)을 역회전시킬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4i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잠금된 실행 아이콘(210)을 역회전, 즉 180°회전시키면, 제어부(110)는 실행 아이콘(210)을 원래 상태로 터치 스크린(120)에 디스플레이하고, 실행 아이콘(210)을 실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실행 아이콘(210)을 더블 터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실행시키면, 제어부(210)는 실행 아이콘(210)을 실행시킨다.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금고 다이얼(240)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나 회전수를 입력하면, 실행 시도된 실행 아이콘(210)을 역회전, 즉 180°회전시켜 실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거나, 또는 실행 시도된 실행 아이콘(210)을 180°회전시키면서 바로 실행시킬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잠금된 실행 아이콘(210)을 1번 터치하면, 제어부(110)는 스피커(130)를 통해 경고음을 발하거나 또는 휴대 단말기를 진동시킬 수 있다.
도 4a~4i의 제3 실시예는 실행 아이콘(210)을 -180°회전시키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180°회전시키는 경우, 90°회전시키는 경우, -90°회전시키는 경우 등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도 5a~5g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의 잠금 및 해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는 실행 아이콘(210)과 설정 아이콘(220)을 포함하는 다수의 아이콘을 터치 스크린(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 아이콘(220)을 더블 터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실행시키면, 제어부(110)는 설정 아이콘(220)을 실행시킨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 아이콘(220)이 실행되면,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120)에 설정시간 입력창(2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시간 입력창(230a)에 설정시간을 입력하고 완료 버튼(255)를 터치하면, 제어부(110)는 입력된 설정시간을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실행 아이콘(210)을 예를들어 3초 이상 터치하고 있으면, 제어부(110)는 실행 아이콘(210)을 이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가능한 상태의 실행 아이콘(210)을 예를들어 -120°회전시키면, 제어부(110)는 실행 아이콘(210)을 -120° 회전된 상태로 터치 스크린(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실행 아이콘(210)이 -120° 회전된 상태가 되면, 실행 아이콘(210)을 잠금 상태로 전환한다.
도 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설정시간 동안 동일한 회전 속도로 잠금된 실행 아이콘(210)을 역회전, 즉 120°회전시키고, 도 5g에 도시한 바와 같이 120°회전이 완료되면 실행 아이콘(21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잠금된 실행 아이콘(210)이 120°회전만큼 역회전하는 동안 스피커(130)를 통해 시계 초침 소리를 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잠금된 실행 아이콘(210)을 메모리(140)에 저장된 설정시간 동안 -120° 회전된 상태로 유지하다가, 설정시간의 경과가 종료될 때 잠금된 실행 아이콘(210)을 120°회전시키면서 실행 아이콘(210)의 잠금을 해제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5a~5g의 제4 실시예는 실행 아이콘(210)을 -120°회전시키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180°회전시키는 경우, -270°회전시키는 경우, -360°회전시키는 경우 등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5a~5g의 제4 실시예는 시간 표시창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120)에 시간 표시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시간 표시창에 실행 아이콘(210)이 역회전하는데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a~6f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의 잠금 및 해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는 다수의 아이콘(210a,210b)을 터치 스크린(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아이콘(210b)을 3초 이상 터치하면, 제어부(110)는 제2 아이콘(210b)을 이동 가능한 상태가 전환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 아이콘(210b)을 제1 아이콘(210a) 쪽으로 이동시켜 제1 아이콘(210a)와 겹치게 하면,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제2 아이콘(210b)을 제1 아이콘(210a) 뒤에 숨길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이동하는 제2 아이콘(210b)을 고정된 제1 아이콘(210a) 위에 올려 제1 아이콘(210a)를 숨길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드러난 제1 아이콘(210a)을 더블 터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실행을 시도하면, 드러난 제1 아이콘(210a)만 실행되고 그 뒤에 숨어있는 제2 아이콘(210b)은 실행되지 않는다.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드러난 제1 아이콘(210a)을 소정의 티클링 패턴으로 티클링하면,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숨은 제2 아이콘(210b)을 제1 아이콘(210a)에서 빼내어, 도 6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아이콘(210b)의 원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5 실시예는 도 6a의 실행 이전에 티클링 패턴을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제1,2 아이콘(210a,210b) 외에 설정 아이콘을 터치 스크린(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 아이콘을 더블 터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실행시키면, 제어부(110)는 설정 아이콘을 실행시킨다. 설정 아이콘이 실행되면,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120)에 티클링 패턴 선택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티클링 패턴 선택창에서 하나의 티클링 패턴을 선택하면, 제어부(110)는 선택된 티클링 패턴을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티클링 패턴은 원형으로 세번 문지르기, 좌우로 세번 문지르기, 상하로 세번 문지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실시예가 티클링 패턴을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경우, 도 6d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티클링 패턴이 메모리(140)에 저장된 티클링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에만, 제어부(110)는 도 6e와 같은 제1,2 아이콘(210a,210b)의 분리를 수행한다.
이상 본 발명을 여러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러한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경하거나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므로, 그러한 변경이나 수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10 : 제어부 120 : 터치 스크린
130 : 스피커 140 : 메모리
210,210a,210b : 실행 아이콘 220 : 설정 아이콘
230a,230b : 비밀번호 입력창 235,255 : 완료 버튼
240 : 금고 다이얼 250 : 설정시간 입력창

Claims (13)

  1. 단말기에 있어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아이콘이 제1 각도로 회전하면 상기 아이콘을 잠금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아이콘이 상기 제1 각도만큼 역회전하면 상기 아이콘을 실행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아이콘 제어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각도로 회전한 상기 아이콘에 터치가 있으면 경고음 또는 진동을 생성하는, 아이콘 제어 단말기.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90° 또는 -90°인, 아이콘 제어 단말기.
  4. 단말기에 있어서,
    실행 아이콘과 설정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설정 아이콘이 터치되면 비밀번호 입력창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비밀번호 입력창에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실행 아이콘이 제1 각도로 회전하면 상기 실행 아이콘을 잠금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회전된 실행 아이콘이 터치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에 비밀번호 입력수단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비밀번호 입력수단에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실행 아이콘을 상기 제1 각도만큼 역회전시키면서 상기 실행 아이콘을 실행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아이콘 제어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입력수단은
    금고 다이얼 또는 번호 입력창인, 아이콘 제어 단말기.
  6.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180° 또는 -180°인, 아이콘 제어 단말기.
  7. 단말기에 있어서,
    실행 아이콘과 설정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설정 아이콘이 터치되면 시간 입력창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시간 입력창에 입력되는 설정시간을 저장하고, 상기 실행 아이콘이 제1 각도로 회전하면 상기 실행 아이콘을 잠금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실행 아이콘을 상기 제1 각도만큼 역회전시키면서 상기 실행 아이콘을 실행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아이콘 제어 단말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시간 동안 상기 실행 아이콘을 동일한 회전 속도로 상기 제1 각도만큼 역회전시키는, 아이콘 제어 단말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시계 반대 방향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 아이콘이 역회전하는 동안 시계 초침 소리를 생성하는, 아이콘 제어 단말기.
  10. 단말기에 있어서,
    다수의 실행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
    제1 실행 아이콘이 제2 실행 아이콘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실행 아이콘 또는 상기 제2 실행 아이콘을 상기 제2 실행 아이콘 또는 상기 제1 실행 아이콘에 숨기고, 드러난 상기 제2 실행 아이콘 또는 상기 제1 실행 아이콘이 티클링되면 숨겨진 상기 제1 실행 아이콘 또는 상기 제2 실행 아이콘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아이콘 제어 단말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설정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아이콘이 터치되면 티클링 패턴 선택창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여 선택된 티클링 패턴을 저장하고, 드러난 상기 제2 실행 아이콘 또는 상기 제1 실행 아이콘이 상기 저장된 티클링 패턴으로 티클링되면 숨겨진 상기 제1 실행 아이콘 또는 상기 제2 실행 아이콘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아이콘 제어 단말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티클링 패턴은
    원형으로 문지르기, 좌우로 문지르기, 및 상하로 문지르기를 포함하는, 아이콘 제어 단말기.
  13. 제10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드러난 상기 제2 실행 아이콘 또는 상기 제1 실행 아이콘이 티클링되면 숨겨진 상기 제1 실행 아이콘 또는 상기 제2 실행 아이콘을 실행시키는, 아이콘 제어 단말기.
KR1020140143705A 2014-10-22 2014-10-22 회전을 이용한 아이콘 제어 단말기 KR101683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705A KR101683872B1 (ko) 2014-10-22 2014-10-22 회전을 이용한 아이콘 제어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705A KR101683872B1 (ko) 2014-10-22 2014-10-22 회전을 이용한 아이콘 제어 단말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630A Division KR101944107B1 (ko) 2016-07-08 2016-07-08 숨김과 티클링을 이용한 아이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362A true KR20160047362A (ko) 2016-05-02
KR101683872B1 KR101683872B1 (ko) 2016-12-07

Family

ID=5602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705A KR101683872B1 (ko) 2014-10-22 2014-10-22 회전을 이용한 아이콘 제어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8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8043A (zh) * 2016-07-28 2016-12-1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应用图标隐藏方法及终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3108A (ko) * 2009-05-14 2010-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아이콘 위치 이동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40105328A (ko) 2013-02-22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3108A (ko) * 2009-05-14 2010-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아이콘 위치 이동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40105328A (ko) 2013-02-22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8043A (zh) * 2016-07-28 2016-12-1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应用图标隐藏方法及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872B1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9821B2 (en) Computing devices having swiping interfa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ES2770573T3 (es) Conmutación de modo
KR100876754B1 (ko) 작동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휴대용 전자기기
JP4932979B2 (ja) オートズームフィーチャーを有する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タッチスクリーン
KR101343591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9535588B2 (en) Method and device for unlocking touch screen
KR10209763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828306B1 (ko)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 및 장치
WO2017166711A1 (zh) 终端横竖屏切换方法及装置
JP2010039772A (ja) 入力操作装置
KR102058010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TW201337721A (zh) 手持式裝置及其相關控制方法
KR2013003667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TWI470481B (zh) 行動終端機及該行動終端機的控制方法
KR2015006554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7643912B (zh) 一种信息分享方法及移动终端
WO2022068865A1 (zh) 挂件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555639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927795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103224B (zh) 一种解锁方法及移动终端
WO2022228378A1 (zh) 可穿戴式设备的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120105167A (ko)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2068726A1 (zh) 控件设置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20170091431A1 (en) Sec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ntry on a small touchscreen display
KR101608799B1 (ko) 객체 출력이 가능한 다이얼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