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639B1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639B1
KR102097639B1 KR1020130133689A KR20130133689A KR102097639B1 KR 102097639 B1 KR102097639 B1 KR 102097639B1 KR 1020130133689 A KR1020130133689 A KR 1020130133689A KR 20130133689 A KR20130133689 A KR 20130133689A KR 102097639 B1 KR102097639 B1 KR 102097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put
visual information
touch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1771A (ko
Inventor
오윤주
정정문
홍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3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639B1/ko
Priority to PCT/KR2014/002873 priority patent/WO2015068911A1/en
Priority to US14/250,104 priority patent/US9594479B2/en
Publication of KR20150051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06F1/169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the I/O peripheral being a secondary touch screen used as control interface, e.g. virtual buttons or sli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면 및 후면을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전면에 배치되어,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시각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전면에 배치되어 제어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전면 입력부 및 상기 후면에 배치되어 제어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후면 입력부와,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면 입력부에 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1 시각정보에 상기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적용하고, 상기 후면 입력부에 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레이어의 하위에 배치된 제2 레이어를 활성화시킨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이동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방송 수신, 게임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적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디자인적 형태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좀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의 하나로 사용자 입력부가 고려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단말의 한 화면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멀티 태스킹(multitask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전에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은 하위 레이어(layer) 표시되고, 나중에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은 상위 레이어(layer)에 표시된다. 그에 따라, 최상위에는 가장 최근에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상태에서, 멀티태스킹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최상위 레이어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서 맨 아래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진입하려면, 먼저 맨 아래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최상위 레이어에 표시되도록 해야한다.
특히, 사용자가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계속 유지하면서 이전에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진입하여 소정의 제어명령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각 어플리케이션간의 이동을 위해 사용자 입력부를 여러 번 조작해야하는 불편이 있을 아니라, 하위 레이어(layer)의 어플리케이션에만 특정 제어명령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단말기 후면에 구비된 새로운 형태의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하위 레이어(layer)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단말기 후면에 새로운 형태의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상위 레이어(layer)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기존의 다른 특정 기능이 바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전면 및 후면을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전면에 배치되어,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시각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전면에 배치되어 제어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전면 입력부 및 상기 후면에 배치되어 제어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후면 입력부와; 상기 전면 입력부에 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1 시각정보에 상기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적용하고, 상기 후면 입력부에 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레이어의 하위에 배치된 제2 레이어를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시각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최상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제1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화면이고, 상기 제2 시각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최하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 입력부에 일 방향의 플리킹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2 시각정보를 상기 일 방향에 대응되는 제3 시각정보로 전환하거나 상기 제2 시각정보에 포함된 객체를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일체로 터치스크린을 형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 입력부에 입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일 방향의 플리킹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2 시각정보를 상기 일 방향에 대응되는 제3 시각정보로 전환하거나 상기 제2 시각정보에 포함된 객체를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 입력부에 인가된 입력이 제1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2 시각정보의 출력범위를 감소시키고, 상기 후면 입력부에 인가된 입력이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2 시각정보의 출력범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면 입력부 및 상기 후면 입력부에 입력이 인가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의 활성화 여부가 다르게 결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 입력부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터치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1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후면 입력부에 터치업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아이콘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 입력부에 제1 및 제2 입력이 연속하여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입력에 대응되는 영역에 표시된 객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 레이어에서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레이어의 하위 레이어로 다수의 레이어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후면 입력부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의 속도 및 세기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다수의 레이어 중에서 활성화될 상기 제2 레이어의 개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일체로 터치스크린을 형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제1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제1 시각정보에 적용하고, 상기 후면 입력부에 입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제1 터치입력인가되면,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2 시각정보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이 상기 제1 시각정보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의 실행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레이어의 상위 레이어상에 표시하고, 상기 후면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이 상기 제2 시각정보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의 실행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레이어의 하위 레이어에 표시하거나 상기 제1 시각정보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 입력부에 입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인가된 터치가 상기 제1 시각정보가 표시된 영역내에서 드래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의 이동경로 및 터치궤적을 따라 상기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상기 제1 시각정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에 따라 상기 제1 시각정보의 투명도가 조절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시각정보에 의해 가려진 상기 제2 시각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보여지도록 하고, 소정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제1 시각정보의 투명도가 다시 복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시각정보의 제2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시각정보가 상기 제2 시각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다시 가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레이어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각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제1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시각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제1기능을 적용하고, 상기 제1 시각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제1 터치입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후면 입력부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기능을 잠금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각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제2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시각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제2기능을 적용하고, 상기 후면 입력부에 입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시각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제2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시각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상기 제2기능과 다른 제3기능을 적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일체로 터치스크린을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 입력부에 입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시각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인가된 터치가 일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터치가 드래그되는 방향 및 정도에 따라 상기 제3기능의 적용 레벨을 다르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 입력부에 상기 입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시각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인가된 터치가 제1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3기능의 적용 레벨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키고, 상기 터치가 제2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3기능의 적용 레벨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각정보에 상기 제3기능이 적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후면 입력부에 터치업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시각정보의 표시가 상기 제3기능이 적용되기 이전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 입력부에 입력이 인가되어 상기 제2 레이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연속하여 상기 전면 입력부 또는 측면 입력부의 특정 키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제2 레이어와 상기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각 시각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단말의 전면 입력부에 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1 시각정보에 상기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적용하는 단계와; 상기 후면 입력부에 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레이어의 하위에 배치된 제2 레이어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후면 입력부에의 입력이 일 방향으로 플리킹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2 시각정보를 상기 일 방향에 대응되는 제3 시각정보로 전환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시각정보에 포함된 객체를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상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리고 상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가리지 않고, 디스플레이부의 하위 레이어(layer)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와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상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기존과 다른 특정 기능이 즉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레이어의 전환없이도 디스플레이부의 상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하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각각 제어명령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복수의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예시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와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복수의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하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출력범위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단말기 바디의 전면 및 후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에의 입력 순서에 따라, 활성화되는 레이어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하위 레이어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활성화되는 하위 레이어의 개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하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하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시 상위 레이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상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기존 기능의 적용을 잠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상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기존 기능과 다른 기능을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레이어의 적층순서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E-book),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100)의 방위, 이동 단말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 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시 사용자 입력부(130)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단말기 후면에 배치되어, 전면 디스플레이가 보다 대화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사용자 입력부(130)가 후면에 배치되는 상세 구조와, 이에 의하여 구현되는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2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200)의 후면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2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단말기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201), 리어 케이스(202) 및 배터리 커버(203)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소자가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티타늄(Ti),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201)에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출력모듈(252), 카메라 모듈(221)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01) 및 리어 케이스(202)의 측면에는 마이크(222), 측면 입력부(232), 인터페이스(2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프론트 케이스(2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즉, 디스플레이부(251)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배치되어 시각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2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모듈(252)과 카메라 모듈(221)이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전면 입력부(231)가 배치된다.
전면 입력부(231)는 사용자 입력부(130, 도 1 참조)의 일 예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면 입력부(231)는 터치키로 구성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면 입력부(231)에 푸시키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30)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단말기 전면에 전면 입력부(231)가 없는 구성도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이동 단말기(200)는 단말기 바디에 대한 입력조작이 디스플레이부(251)와 후술할 후면 입력부(233)를 통하여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의 또 다른 일 예로서 구성되는 측면 입력부(232)는 음향출력모듈(2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2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202)에는 카메라 모듈(221')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21')은 카메라(2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 모듈(221)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의 카메라 모듈(221)은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후면의 카메라 모듈(221')은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모듈들(221, 221')은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221')에 인접하게는 플래시(223)와 거울(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223)는 카메라 모듈(2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2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출력모듈(252')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후면의 음향출력모듈(252')은 전면의 음향출력모듈(252, 도 2a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2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후면 입력부(233)가 배치된다. 후면 입력부(233)는,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221')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후면 입력부(233)는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음향출력모듈(252, 2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후면 입력부(233)는 회전조작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후면 입력부(233)는 상술한 터치센서를 구비할 수 있고, '근접 터치'가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후면 입력부(233)는 복수의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키들은 단말기 바디를 회전하지 않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촉감을 통해 식별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후면 입력부(233)는 프레임 및 이에 장착되는 휠키와 윈도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레임(미도시)은 단말기 바디의 케이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케이스(202)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휠키(미도시)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소정의 관통홀을 통해 후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는 휠키의 회전조작에 따라 변경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는 시계, 알람, 날씨, 상태, 알림 등의 비교적 간단한 시각 정보가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면, 상기 후면 입력부(233)의 조작에 따라, 출력된 시각 정보가 변경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입력부(233)는 단말기 바디의 양면에 각각 디스플레이부 및 터치패널을 구비한 형태의 단말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각 디스플레이부는 투명 디스플레이, 입체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배치된 후면 입력부(233)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본 명세서에서 구현된다.
또한,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은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술한 후면 입력부(233)를 이용하여 레이어의 변환없이 디스플레이부(151)의 하위 레이어(layer)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빠르고 쉽게 진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한다.
종래에는, 하나의 화면에서 멀티 태스킹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상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작업 도중에 하위 레이어에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킨 다음에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기존에 상위 레이어에서 실행되었던 애플리케이션을 다시 선택하여 활성화시킨 다음에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원하는 작업을 위해 상위 또는 하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위치가 변경되어 멀티 태스킹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멀티 터치 등을 수행하여 복수의 레이어에의 진입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였으나, 많은 개수의 레이어들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경우에까지 확장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의 전면에 배치되어,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시각정보를 각각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단말의 전면에 배치된 전면 입력부와 단말의 후면에 배치되어 제어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후면 입력부로 형성되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단말의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 입력부에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제1 레이어(예, 최상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1 시각정보에 상기 전면 입력부에 인가된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적용한다. 그리고, 단말의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면 입력부에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제1 레이어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제1 레이어의 하위에 배치된 제2 레이어(예, 최하위 레이어)를 활성화시킨다. 즉, 제2 레이어에 대한 선택이나 표시위치의 변경됨이 없이 하위 레이어에의 즉시 진입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3과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레이어의 변환없이 상술한 후면 입력부(233)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하위 레이어(layer)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복수의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예시 흐름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각 시각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S310).
여기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각 시각정보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하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시각정보는 대기화면이나 이전에(또는, 가장 먼저)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일 수 있다. 또, 상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시각정보는 나중에(또는, 가장 최근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각 시각정보가 표시된 경우, 제어부(180)는 단말의 전면 입력부(231 및/또는 251)에 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1 시각정보에 상기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S320).
여기서, 상기 전면 입력부(231 및/또는 251)는 단말의 전면에 배치된 베젤부에 구비된 입력부와, 단말의 측면에 구비된 하드키를 포함할 수 있고,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일체로 터치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제1 시각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최상위 레이어에서 현재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큐 슬라이드 기능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제1 시각정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플로팅 윈도우 형태로 출력되는 동영상 화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단말의 후면 입력부(233)에 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레이어의 하위에 배치된 제2 레이어를 활성화한다(S330). 이러한 경우,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2 시각정보는 활성화에 대응되는 표시변화가 디스플레이부(151)상에 출력되거나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후면 입력부(233)에의 입력은,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입력이거나 푸쉬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입력부(233)가 터치패드를 구비한 경우 상기 입력은 터치패드를 가볍게 톡 두드리는 '탭'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의 후면에 구비된 터치센서(233)를 일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하면, 이하에 보다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단말의 전면 디스플레이부(151)의 최하위 레이어에의 진입 및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 상기 제2 시각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최하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이 대기 화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제2 시각정보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객체로 포함하는 대기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1 시각정보의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은, 후면 입력부(233)에의 조작을 통해 제2 레이어가 활성화되는 동안 제1 시각정보에는 아무런 표시변화(예, 투명도, 휘도, 하이라이팅 효과 등)가 일어나지 않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레이어에 유투브 동영상이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는 후면 입력부(233)를 조작함으로써, 유투브 동영상을 계속 시청하면서 그리고 사용자의 손 등에 의하여 유투브 동영상을 전혀 가리지 않으면서, 제1 레이어의 하위에 위치한 제2 레이어에 진입(또는 활성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제2 레이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후면 입력부(233)에 인가된 입력이 일 방향으로 플리킹되는 것이 감지되면(S34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2 시각정보를 상기 일 방향에 대응되는 제3 시각정보로 전환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시각정보에 포함된 객체를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350).
여기서, '플리킹'은 상기 후면 입력부(233)에 인가된 터치가 손가락으로 책장을 넘기듯 밀어넘겨지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3 시각정보는 상기 제2 시각정보와 동일한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화면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 시각정보는 제2 시각정보가 대기화면인 경우에는 제2 시각정보에 대응되는 대기화면과 다른 대기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레이어에 복수의 웹 페이지로 구성된 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2 시각정보와 제3 시각정보는 서로 다른 웹 페이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시각정보에 포함된 객체는 상기 제2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모든 이미지나 텍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시각정보에 포함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아이콘, 제2 시각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컨텍스트 메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 사용자가 후면 입력부(233)를 일 방향(예,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드래그 터치입력을 수행한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디스플레이부(151)의 최상위 레이어에 출력되는 동영상 화면(410)의 상태는 유지되면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최하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대기 화면(420)이 터치입력의 방향을 따라, 즉 좌측 회전방향에 위치한 다른 대기화면(420")으로 화면전환된다. 이때, 대기 화면(420)이 전환되는 동안 그리고 그 이후에도 최상위 레이어에 출력되는 동영상 화면(410)에 의하여 최하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대기 화면의 화면 가림 상태는 유지된다. 반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최하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대기 화면이 변경되는 동안에도, 사용자는 최상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동영상 화면(410)의 표시변화나 화면의 가림 없이 시청을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단계(S340)에서 후면 입력부(233)에 인가된 입력이 상기 제2 시각정보에 포함된 특정 객체에 대한 '선택'으로 인식된 경우에는 도 4b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최하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대기 화면(420)에서, 선택된 특정 아이콘을 드래그 터치입력이 종료된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제1 시각정보의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 레이어의 표시상태를 제어하는 중에, 후면 입력부(233)에의 입력이 중단되고(예, 터치 업) 전면 입력부(231 및/또는 251)에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제2 시각정보의 제2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시 제1 레이어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복수의 레이어들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위 레이어와 하위 레이어에 각각 빠르게 진입하거나 빠져나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에 의하여 단말의 '전면'에 배치된 입력부를 조작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위' 레이어를 제어할 수 있고, 단말의 '후면'에 배치된 입력부를 조작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하위' 레이어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상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리고 상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가리지 않고도 디스플레이부의 하위 레이어(layer)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된 후면 입력부(233)와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복수의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여기서는, 상술한 전면 입력부가 디스플레이부(151)와 일체로 터치스크린을 형성한 경우를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151)에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각 시각정보가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각 시각정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무런 제한이 없다.
이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각 시각정보가 표시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251)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251)의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1 시각정보에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각정보가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특정 웹 페이지 화면인 경우, 터치입력의 드래그 방향을 따라 상기 웹 페이지 화면에 스크롤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후면 입력부(233)에 입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일 방향의 플리킹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의 전면이 사용자를 향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촉감을 이용하여 후면 입력부(233)에의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을 이용하여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플리킹 터치입력를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면 입력부(233)에의 입력과 터치스크린에의 플리킹 터치입력이 동시에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의 상태(즉, 최상위 레이어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2 시각정보를 상기 일 방향에 대응되는 제3 시각정보로 전환하거나 상기 제2 시각정보에 포함된 객체를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제1 레이어에 플로팅 윈도우 형태로 동영상 화면(510)이 출력되고 제2 레이어에 대기화면(520)이 표시된 경우, 후면 입력부(233)에 터치입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동영상 화면(510)이 출력된 영역을 포함하여 일 방향으로 플리킹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동영상 화면(510)에의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변화가 없고 대기화면만 플리킹 방향에 대응되는 다른 대기화면(520")으로 전환된다.
한편,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에의 플리킹 터치입력을 유지하면서 후면 입력부(233)에의 입력을 종료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레이어를 다시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플리킹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종전과 같이 제1 레이어에 표시된 제1 시각정보에 적용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5c를 참조하면, 도 5b에서와 같이 동영상 화면(510)이 출력된 영역을 포함하여 일 방향으로 플리킹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후면 입력부(233)에 인가된 터치입력이 터치 업(touch-up) 되는 경우, 대기화면(520")의 표시변화는 없고 플로팅 윈도우 형태로 출력된 동영상 화면이 플리킹 방향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이동한다(520").
이와 같이, 후면 입력부(233)와 터치스크린이 연동하여 조작되는 경우, 최하위 레이어에 대한 진입 및 조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와 함께 최상위 레이어에 대한 조작의 잠금 기능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하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출력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하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출력범위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후면 입력부(233)는 단말의 후면에 배치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센서를 구비하거나 그리고/또는 복수의 키를 구비하여 다양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이와 같은 다양한 제어명령의 입력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최하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대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후면 입력부(233)가 복수의 키들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단말의 전면을 보면서 손가락의 촉감에 의하여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다른 요철 형상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각 시각정보가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각 시각정보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이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각 시각정보가 표시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단말의 후면 입력부(233)에 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최상위 레이어(및 최하위 레이어를 제외한 다른 레이어들의 상태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최하위 레이어를 활성화시킨다.
이와 같이 최하위 레이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후면 입력부(180)에 인가되는 입력에 대응되는 다양한 제어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후면 입력부(233)에 인가된 입력이 제1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즉, 최상위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레이어(즉, 최하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2 시각정보의 출력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서 후면 입력부(233)에 인가된 터치가 A 방향(예,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응답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의 최상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동영상 화면(610)의 출력 상태는 유지되면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최하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메시지 기능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실행화면(620)의 출력범위가 감소된다(620"). 즉, 메시지 기능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실행화면(620)의 텍스트 크기가 증가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후면 입력부(233)에 인가된 터치의 회전 정도에 비례하여 최하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화면의 출력범위가 감소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후면 입력부(233)에 인가된 입력이 제2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즉, 최상위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레이어(즉, 최하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2 시각정보의 출력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c에서 후면 입력부(233)에 인가된 터치가 B 방향(예,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응답하여,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의 최상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동영상 화면(610)의 출력 상태는 유지되면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최하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음원 듣기 기능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리스트화면(630)의 출력범위가 증가된다(630"). 즉, 리스트화면(630)에 포함되는 항목의 개수는 증가되고 각 항목에 대응되는 텍스트 크기는 감소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마찬가지로 후면 입력부(233)에 인가된 터치의 회전 정도에 비례하여 최하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화면의 출력범위가 증가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후면 입력부(233)에 인가된 적어도 두 개의 터치지점이 일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즉, 최상위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레이어(즉, 최하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2 시각정보가 지도 검색 기능처럼 원하는 범위가 출력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후면 입력부(233)에 구비된 제1키(예, '+'키)에 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즉, 최상위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레이어(즉, 최하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2 시각정보에 대하여 볼륨 업, 밝기 증가, 채널 업, 및 위 방향으로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또는, 후면 입력부(233)에 구비된 제2키(예, '-'키)에 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즉, 최상위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레이어(즉, 최하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2 시각정보에 대하여 볼륨 다운, 밝기 감소, 채널 다운, 및 아래 방향으로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키 또는 제2키에 입력이 인가되는 횟수에 따라 적용되는 기능의 레벨이 점차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2 시각정보에 적용되는 기능에 대응되는 표시변화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제2 레이어상에 표시되거나 다른 레이어에 표시될 수 있음)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후면 입력부(233)에 기설정된 횟수의 '탭'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즉, 최상위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시각정보를 가리지 않는 지점에 포인터(미도시)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출력된 포인터는, 후면 입력부(233)에 인가되는 터치의 이동경로를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의 제2 레이어(즉, 최하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2 시각정보에 지속적으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제2 시각정보에 포함된 특정 객체를 선택하거나, 선택된 객체에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후면 입력부(233)에 인가되는 다양한 입력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의 최하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화면이 다양하게 변화되는 실시 예들을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단말의 전면 입력부와 후면 입력부의 입력순서에 따라, 활성화되는 레이어가 달라지는 것을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단말기 바디의 전면 및 후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에의 입력 순서에 따라, 활성화되는 레이어가 결정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각 시각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단말의 전면 입력부(또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후면 입력부에 입력이 인가되는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의 제1 레이어(즉, 최상위 레이어)의 활성화 여부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제1실시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각 시각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 입력부(즉, 터치스크린)에 인가되는 제1방향의 플리킹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방향의 플리킹 터치입력에 따라 최상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동영상 화면(710)이 이동되는 중에, 단말의 후면 입력부(233)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최하위 레이어를 활성화시키고 이와 함께, 최상위 레이어를 비활성화시킨다. 즉, 최상위 레이어에 대한 표시변화는 없으나, 이후 최상위 레이어에 대한 제어명령의 입력이 제한된다.
예를 들어, 도 7의 (a)에서 대기 화면(720)에 대응되는 레이어 위에 동영상 화면(710)이 플로팅 윈도우 형태로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동영상 화면(710)에 일 방향의 플리킹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도 7의 (b)와 같이, 대응되는 플리킹 터치입력의 방향으로 동영상 화면(710)이 이동된다(710"). 이러한 상태에서, 단말의 후면 입력부(233)에 입력이 감지되면 입력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750)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 예를 들어 하단 영역에 표시되고, 이후에는 동영상 화면(710")에 플리킹 터치입력이 인가되더라도 도 7의 (c)와 같이, 화면(710)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하위 레이어에 표시된 대기화면(720)이 화면전환된다(720").
제2실시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각 시각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후면 입력부(233)에 입력이 인가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후면 입력부(233)에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의 최하위 레이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전면 입력부(즉, 터치스크린)에 제1방향의 플리킹 터치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적어도 제1 레이어 중 제2 레이어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인가된 플리킹 터치입력에 대해서는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최상위 레이어에 대한 제어명령의 입력이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후면 입력부(233)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터치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1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아이콘은 후면 입력부에 입력이 인가되었음을 나타내는 어떠한 형태의 시각적 이미지라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입력부(233)에 입력이 있는 경우 단말의 후면을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750)가 제1아이콘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아이콘의 형상은 후면 입력부에 인가된 입력방식 또는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시각적으로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입력부에 인가된 터치라인이 표시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 형태이거나 또는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OSD(On Screen Display)의 썸네일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아이콘의 형상은 제1 레이어와 제2 레이어가 동시에 활성화되는 경우, 즉 후면 입력부(233)에의 입력이 제1 레이어에 대한 제어명령의 입력을 제한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제1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후면 입력부에 터치업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아이콘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로부터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위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단말의 후면 입력부(233)에의 조작을 통해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하위 레이어에서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시를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하위 레이어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각 시각정보가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각 시각정보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이와 같이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각 시각정보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후면 입력부에 제1 및 제2 입력이 연속하여 인가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면 입력부(233)에 제1 및 제2 입력이 연속하여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제1 레이어(즉, 최상위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입력에 대응되는 영역에 표시된 객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 레이어(즉, 최하위 레이어)상에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후면 입력부(233)를 통해, 제2 레이어(즉, 최하위 레이어)상에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명령이 인가되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되는 화면은 최상위 레이어가 아닌 제2 레이어(즉, 최하위 레이어)위에 출력된다.
구체적으로, 도 8에서 제2 레이어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대기화면(820)이 출력되고, 제1 레이어에 플로팅 윈도우 형태의 동영상 화면(810)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후면 입력부(233)를 통해 제1입력(예, '탭'입력)을 수행하면 도 8의 (a)와 같이 제2 레이어상에 포인터(805)가 표시된다. 그런 다음, 후면 입력부(233)에 인가된 제1입력을 드래그하여 상기 포인터(805)를 특정 객체, 즉 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801)으로 이동시킨 다음, 후면 입력부(233)를 통해 제2입력(예, '더블 탭'입력)을 수행하면, 도 8의 (b)와 같이 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820")이 제2 레이어상에 표시된다. 즉, 제2 레이어상에 표시되는 제2 시각정보가 대기화면(820)에서 특정 웹 페이지화면(820")으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제2 레이어에 특정 웹 페이지화면(8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면 입력부와 일체로 형성된 디스플레이부(151)를 일 방향, 예를 들어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하면, 도 8의 (c)와 같이, 제2 레이어에 표시된 웹 페이지화면(820")의 컨텐츠가 드래그된 방향을 따라 스크롤된다(820""). 이때, 후면 입력부(233)에 인가된 터치를 업(up) 시킨 상태에서 도 8의 (c)와 동일하게 디스플레이부(151)을 일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하면, 제1 레이어에 표시된 동영상 화면(810)이 드래그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81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는 후면 입력부(233)와 전면 입력부(231 및/또는 251)를 이용하여, 단말기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최상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최하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빠르게 직관적으로 진입 및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최상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도록 할지, 또는 최하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도록 할지를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후면 입력부(233)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최하위 레이어(또는 최하위와 최상위)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진입 및 제어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후면 입력부(233)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최하위 레이어에서 최상위 레이어방향으로 다수의 레이어들을 동시에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활성화되는 하위 레이어의 개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여기서, 상기 후면 입력부(233)는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터치가 인가된 지점, 압력(또는 세기), 및 터치속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후면 입력부(233)는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갖으며, 인가되는 터치입력의 압력 및 속도에 비례하여 두께가 달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말의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151)에 상기 제1 레이어(즉, 최상위)의 하위 레이어로 다수의 레이어가 배치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후면 입력부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의 속도 및 세기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다수의 레이어 중 활성화될 상기 제2 레이어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면 입력부(233)에 인가된 터치입력의 속도 및 세기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최하위 레이어만을 활성화시킨다. 반면, 후면 입력부(233)에 인가된 터치입력의 속도 및 세기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미만인 경우, 이상인 경우(이때, 기설정된 값은 복수의 레벨에 대응되는 복수의 값일 수 있음), 상기 제어부(180)는 최하위 레이어에 추가하여 최하위 바로 상위 레이어를 더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b에서 후면 입력부(233)에 인가된 터치입력의 속도 및 세기가 기준값 미만이면, 최하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대기 화면(920)만 활성화된다. 그리고, 후면 입력부(233)에 인가된 터치입력의 속도 및 세기가 기준값 이상이 되면, 상기 대기 화면(920)뿐만 아니라 그 상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화면(930)까지 동시에 활성화된다. 복수의 레이에에 대응되는 화면들(920, 930)이 동시에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후면 입력부(233)에 인가된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복수의 레이에에 대응되는 화면들(920, 930)에 동시에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후면 입력부(1233)의 조작에 따라, 최하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의 제어시, 관련된 부가 정보가 팝업될 수 있다. 이때, 팝업된 부가 정보의 표시위치와 관련된 실시 예를 살펴본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하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각 시각정보가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각 시각정보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또한, 단말의 전면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일체로 터치스크린을 형성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제1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제1 시각정보에 적용하고, 단말의 후면 입력부(233)에 입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제1 터치입력인가되면,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제1 레이어(최상위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2 시각정보에 적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이 상기 제1 시각정보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의 실행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레이어의 상위 레이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 시각정보와 관련된 부가 정보가 최상위 레이어에 표시된다.
한편, 상기 후면 입력부(233)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이 상기 제2 시각정보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의 실행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제1 레이어의 하위 레이어에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각정보와 중첩되지 않는 제1 레이어의 일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하위 레이어에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1020)이 표시되고, 디스플레이부(151)의 상위 레이어에 동영상 화면(1010)이 플로팅 윈도우 형식으로 표시된 경우, 사용자가 후면 입력부(233)를 터치한 상태에서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1020)에서 특정 객체(1024)에 선택에 대응되는 터치입력을 수행하면, 대응되는 상세 정보(1025)가 동영상 화면(1010)이 출력되지 않은 상위 레이어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상세 정보(1025)와 동영상 화면(1010)은 최상위 레이어에 표시되고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1020)은 최하위 레이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후면 입력부(233)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이 상기 제2 시각정보에 적용되는 경우, 제1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의 실행과 관련된 정보, 예 부가 정보를 하위 레이어에 표시할지 또는 상위 레이어에 표시할지를 부가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후면 입력부(233)의 입력에 따라 최상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시각정보에는 아무런 표시변화 없이 하위 레이어를 조작하는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위 레이어에 의하여 하위 레이어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가려지거나 또는 선택과 관련된 중요 부분이 가려진 경우, 상위 레이어에 표시된 시각정보의 표시변화를 최소화하면서 하위 레이어를 조작하기 위한 실시예를 살펴본다.
이러한 실시예의 하나로,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하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시, 상위 레이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각 시각정보가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각 시각정보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후면 입력부(233)에 터치입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전면 입력부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가정함)에 인가된 터치가 상기 제1 시각정보가 표시된 영역내에서 드래그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의 이동경로 및 터치궤적을 따라 상기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상기 제1 시각정보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터치에 따라 상기 제1 시각정보의 투명도가 조절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시각정보에 의해 가려진 상기 제2 시각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투명도 조절된 제1 시각정보는, 최하위 레이어를 제어하려는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되도록, 기설정된 시간(예, 2~3초)이 경과하면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소정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제1 시각정보의 투명도가 다시 복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시각정보의 제2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시각정보가 상기 제2 시각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다시 가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 사용자가 후면 입력부(233)에 터치입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최하위 레이어에 표시된 대기화면(1120)에 포함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1121)을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및 상기 아이콘(1121)이 최상위 레이어에 표시된 동영상 화면(1110)을 지나는 경우, 터치의 이동 경로 및 터치궤적을 따라, 이어서 아이콘(1121)의 이동 경로 및 터치궤적을 따라, 동영상 화면(1110)의 투명도가 조절된다(1110"). 그리고 아이콘(1121)은 터치가 종료된 지점에 재배치된다(1121"). 그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예, 2~3초), 투명도 조절된 대기화면(1120")이 원상태로 복귀된다(1120"").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가 후면 입력부(233)에 대해서만 터치입력을 인가하는 경우에도, 상기 터치입력이 또는 상기 터치입력에 따라 선택된 객체가 최상위 레이어에 표시된 동영상 화면(1110)을 지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최상위 레이어에 표시된 동영상 화면(1110)의 투명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후면 입력부(233)를 이용하여 최하위 레이어에 진입 및 제어하는 실시예들을 위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후면 입력부(233)를 이용하여, 최상위 레이어에 기존과 다른 기능이 적용되도록 하기 위한 실시예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상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기존 기능을 잠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단말기 바디의 후면 입력부를 이용하여, 상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기존 기능과 다른 기능을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각 시각정보가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각 시각정보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최상위 레이어에 표시된 제1 시각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제1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시각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제1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의 (a)에서 최상위 레이어에 소정의 웹 페이지 화면(1210)이 표시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일 방향(예, 아래 방향)으로 플리킹 터치입력이 수행되면 도 12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일 방향으로 스크롤된 화면(1210")이 출력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시각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제1 터치입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후면 입력부(233)에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기능을 잠금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잠금 설정이란 제1기능이 적용되지는 않지만 화면은 활성화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의하면, 후면 입력부(233)에의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제1 시각정보에 제어명령의 입력이 제한되면서 시청만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1 시각정보의 하위 레이어가 활성화되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예를 들어, 도 12의 (c)에서 사용자가 웹 페이지 화면(1210")에 계속 스크롤 기능에 대응되는 플리킹 터치입력을 인가하더라도, 후면 입력부(233)에 입력이 인가된 경우에는, 도 1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페이지 화면(1210")이 더 이상 스크롤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제2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시각정보 또는 상기 제2 시각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제2기능을 적용하고, 후면 입력부(233)에 입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제2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시각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상기 제2기능과 다른 제3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후면 입력부(233)에 입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된 터치가 일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터치가 드래그되는 방향 및 정도에 따라 상기 제3기능의 적용 레벨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후면 입력부(233)에 상기 입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된 터치가 제1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3기능의 적용 레벨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가 제2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3기능의 적용 레벨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시각정보에 상기 제3기능이 적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후면 입력부(233)에 터치 업 이벤트가 발생하면, 즉 인가된 후면 입력부(233)에 인가된 터치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1 시각정보의 표시가 상기 제3기능이 적용되기 이전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부(151)의 최상위 레이어에 대기화면(1320)이 표시되고, 디스플레이부(151)의 최하위 레이어에 큐 슬라이드 기능에 대응되는 TV 화면(1310)이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1)를 일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입력을 수행하면, TV 화면(1310)의 출력상태는 유지되면서 최하위 레이어에 표시된 대기화면(1320)이 다른 화면으로 전환된다(제2 시각정보에 제2기능 적용).
한편, 사용자가 단말의 후면에 배치된 후면 입력부(233)를 터치한 상태에서 위에서와 동일하게 디스플레이부(즉, 터치스크린)(151)를 일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입력을 수행하면, TV 화면(1310)에 투명창 기능이 즉시 적용된다(제1 시각정보에 제3기능 적용). 그리고, 이러한 투명창 기능은 사용자가 후면 입력부(233)에 인가한 터치를 종료함으로써, 즉시 적용취소된다.
도 13에 도시된 투명창 기능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최상위 레이어에 표시된 시각정보에 특정 기능을 적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과정을 필요로 하는 모든 경우에, 상기 후면 입력부(233)를 이용하여 즉시 특정 기능을 적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즉, 후면 입력부(233)를 이용하여, 최상위 레이어의 표시변화 없이 최하위 레이어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상위 레이어에 대한 토글 기능(적용시킬 기능을 설정하는 구현도 가능하다)의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시각정보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각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최하위 레이어와 최상위 레이어를 빠르고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서,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레이어를 적층순서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최상위 레이어에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계속 보면서 최하위 레이어를 제어하다가, 최하위 레이어와 최상위 레이어의 표시를 전환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원하는 레이어를 선택하여 표시변환하도록 하는 예들이 있기는 했으나, 디스플레이부(151)에 많은 레이어들이 실행되고 있고, 특히 최상위 레이어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에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는, 최하위 레이어를 최상위 레이어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여러번의 조작이 요구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제2 레이어(즉, 최하위 레이어)가 활성화 상태에서, 특정 키가 입력되면 제1 레이어(즉, 최상위 레이어)와 제2 레이어(즉, 최하위 레이어)가 즉시 표시전환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후면 입력부(233)에 입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2 레이어(즉, 최하위 레이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연속하여 상기 전면 입력부(터치스크린을 포함함)의 특정 키(예, 베젤부에 포함된 키, 측면 하드키, 터치스크린의 가상 키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음)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제2 레이어와 상기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a)에서와 같이, 후면 입력부(233)에 입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도 14의 (b)와 같이, 상기 전면 입력부에 대응되는 베젤부에 구비된 특정 키(231b)에 입력이 감지되면, 최상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웹페이지 화면(1410)과 최하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1420)의 레이어를 전환시킨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만(1420")이 표시된다.
한편, 이러한 상태에서, 후면 입력부(233)에 인가된 입력을 유지한 채, 특정 키(231b)에 다시 입력이 감지되면, 최상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1420")과 최하위 레이어에 표시되는 웹페이지 화면(1410)의 레이어가 다시 전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상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디스플레이부의 하위 레이어(layer)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와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상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기존과 다른 특정 기능이 즉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레이어의 전환없이도 디스플레이부의 상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하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각각 원하는 제어명령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멀티태스킹이 가능하다.
나아가, 이상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전면 및 후면을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
    상기 전면에 배치되어, 복수의 레이어에 대응되는 시각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전면에 배치되어 제어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전면 입력부와 상기 후면에 배치되어 제어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후면 입력부; 및
    상기 전면 입력부에 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1 시각정보에 상기 전면 입력부에 인가된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적용하고, 상기 후면 입력부에 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레이어의 하위에 배치된 제2 레이어를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각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최상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제1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화면이고,
    상기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2 시각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최하위 레이어에서 실행되는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 입력부에 일 방향의 플리킹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2 시각정보를 상기 일 방향에 대응되는 제3 시각정보로 전환하거나 상기 제2 시각정보에 포함된 객체를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일체로 터치스크린을 형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 입력부에 입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일 방향의 플리킹 터치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2 시각정보를 상기 일 방향에 대응되는 제3 시각정보로 전환하거나 상기 제2 시각정보에 포함된 객체를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 입력부에 인가된 입력이 제1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2 시각정보의 출력범위를 감소시키고,
    상기 후면 입력부에 인가된 입력이 제2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2 시각정보의 출력범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면 입력부 및 상기 후면 입력부에 입력이 인가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레이어의 활성화 여부를 다르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 입력부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터치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1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후면 입력부에 터치업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아이콘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 입력부에 제1입력과 제2입력이 연속하여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입력에 대응되는 영역에 표시된 객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 레이어 상에서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레이어의 하위 레이어로 다수의 레이어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후면 입력부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의 속도 및 세기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상기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다수의 레이어 중 활성화될 상기 제2 레이어의 개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일체로 터치스크린을 형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제1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제1 시각정보에 적용하고,
    상기 후면 입력부에 입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제1 터치입력인가되면, 상기 제1 시각정보의 제1 레이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제2 레이어에 표시되는 제2 시각정보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30133689A 2013-11-05 2013-11-05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97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689A KR102097639B1 (ko) 2013-11-05 2013-11-05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PCT/KR2014/002873 WO2015068911A1 (en) 2013-11-05 2014-04-03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4/250,104 US9594479B2 (en) 2013-11-05 2014-04-10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689A KR102097639B1 (ko) 2013-11-05 2013-11-05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771A KR20150051771A (ko) 2015-05-13
KR102097639B1 true KR102097639B1 (ko) 2020-04-06

Family

ID=53008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689A KR102097639B1 (ko) 2013-11-05 2013-11-05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94479B2 (ko)
KR (1) KR102097639B1 (ko)
WO (1) WO20150689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9781B2 (en) 2012-05-09 2016-10-04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imated sequences
CN203930584U (zh) * 2014-04-22 2014-11-05 何衢 一种移动终端
US10452253B2 (en) 2014-08-15 2019-10-22 Apple Inc. Weather user interface
KR102244650B1 (ko) * 2014-10-24 2021-04-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17030646A1 (en) 2015-08-20 2017-02-23 Apple Inc. Exercise-based watch face and complications
JP2018084908A (ja) * 2016-11-22 2018-05-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DK179412B1 (en) 2017-05-12 2018-06-06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CN107172290B (zh) * 2017-06-02 2021-01-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照控制方法和装置
KR20190025328A (ko) * 2017-09-01 2019-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시작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US11126258B2 (en) 2017-10-14 2021-09-21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and mapping multi-sided touch
US11327650B2 (en) 2018-05-07 2022-05-10 Apple Inc. User interfaces having a collection of complications
US10775853B2 (en) * 2018-10-16 2020-09-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condary back surface touch sensor for handheld devices
US11372659B2 (en) 2020-05-11 2022-06-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sharing
DK202070624A1 (en) 2020-05-11 2022-01-04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EP4133371A1 (en) 2020-05-11 2023-02-1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sharing
US11694590B2 (en) 2020-12-21 2023-07-04 Apple Inc. Dynamic user interface with time indicator
US11720239B2 (en) 2021-01-07 2023-08-08 Apple Inc. Techniques for user interfaces related to an event
US11921992B2 (en) 2021-05-14 2024-03-05 Apple Inc. User interfaces related to time
US11630559B2 (en) 2021-06-06 2023-04-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weather inform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5064A1 (en) 2009-07-20 2013-08-22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for Manipulating a Plurality of Non-Selected Graphical User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2503A (ko) * 2007-05-21 2008-11-26 한국과학기술원 후면에 스크롤 입력창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JP5219929B2 (ja) * 2008-07-31 2013-06-2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592296B1 (ko) * 2008-09-03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객체 선택과 실행 방법
US20110021251A1 (en) * 2009-07-22 2011-01-2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device with touch-sensitive control
US20110291946A1 (en) * 2010-05-26 2011-12-01 T-Mobile Usa, Inc. Touchpad interaction
US8922493B2 (en) * 2010-09-19 2014-12-30 Christine Hana Kim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enablement of a rear-face entry in a mobile device
US20130100035A1 (en) * 2011-10-19 2013-04-25 Matthew Nicholas Papakipos Graphical User Interface Interaction Using Secondary Touch Input Device
KR101340015B1 (ko) * 2011-12-16 2013-12-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손가락 움직임에 따른 포인터 제어명령어 인식 방법
KR101899810B1 (ko) * 2012-02-07 2018-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869172A4 (en) * 2012-06-29 2015-12-02 Nec Corp TERMINA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40078086A1 (en) * 2012-09-20 2014-03-20 Marvell World Trade Ltd. Augmented touch control for hand-held devices
US9170659B2 (en) * 2013-05-23 2015-10-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102182160B1 (ko) * 2013-07-16 2020-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63104B1 (ko) * 2013-08-29 2020-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5064A1 (en) 2009-07-20 2013-08-22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for Manipulating a Plurality of Non-Selected Graphical User El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94479B2 (en) 2017-03-14
WO2015068911A1 (en) 2015-05-14
KR20150051771A (ko) 2015-05-13
US20150128078A1 (en)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63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09279B1 (ko) 이동 단말기
KR10213535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1518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0546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09116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38506B1 (ko) 이동 단말기
KR102043146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이용한 전자 노트 시스템
KR1020583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09223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30968A (ko) 단말기 및 그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3182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2738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화면 스크롤 방법
KR20100042978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6691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2563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13182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00077982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815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멀티터치를 이용한 객체 표시 제어 방법
KR10206376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0010456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37333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10128611A (ko) 듀얼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단말기에서 데이터 표시방법
US10628012B2 (en) Mobile terminal having front surface and rear surface with preset input applied to rear input unit causing portion of screen information and portion of home screen displayed together on front surface
KR2010009958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