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300A -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300A
KR20160047300A KR1020140143570A KR20140143570A KR20160047300A KR 20160047300 A KR20160047300 A KR 20160047300A KR 1020140143570 A KR1020140143570 A KR 1020140143570A KR 20140143570 A KR20140143570 A KR 20140143570A KR 20160047300 A KR20160047300 A KR 20160047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p ore
sintering
separator
rolls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3605B1 (ko
Inventor
이문규
김영인
김창수
오한얼
송하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43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605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0Charging directly from hoppers or sho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F27D2003/121Band, belt or 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 정량 공급 장치(CFW: Constant Feed Weigher)에서 정량 절출된 각종 주원료 및 부원료에 일정량의 수분을 첨가하여 혼합 및 조립 과정을 거쳐 배합원료가 될 때, 혼합 및 조립기의 최종 단계로서 배합원료를 혼합 및 조립하여 배출하는 리롤링 드럼(Rerolling Drum), 상기 리롤링 드럼의 하부에 다수개가 경사면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합원료에 혼합된 괴광을 상기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롤 (Roll), 및 상기 다수개의 롤의 경사면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송된 괴광을 설정 크기 이상의 괴광과 설정 크기 미만의 괴광으로 분리하기 괴광 분리기, 상기 괴광 분리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괴광 분리기에 의하여 분리된 설정 크기 이상의 괴광이 낙하되는 괴광처리 슈트, 상기 괴광 분리기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괴광 분리기에 의하여 분리되어 이송되어 오는 일정한 크기 미만의 괴광을 일정한 크기 이하로 파쇄하기 위한 파쇄기, 및 상기 파쇄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파쇄기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 이하로 파쇄된 괴광을 배합원료와 함께 소결용 원료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apparatus for treating LUMP ORE OF mixing raw materials FOR sintering}
본 발명은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결 조업시 소결기 대차에 장입되는 배합원료를 균일하게 하여 소결 조업을 안정하게 하며, 이에 따라 소결광 품질 향상 및 소결광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는 소결광을 장입하여 연소시키며, 이러한 소결광은 통상 8㎜ 이하의 철광석과, 석회석 및 사문암 등의 부 원료, 그리고 연료원으로 사용되는 코크스와 반광을 혼합하여 배합원료를 제조한 후, 이 배합원료에 생석회를 첨가하여 소결기에서 소결하는 소결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소결 공정은 광석 빈(Ore Bin)(㉮)에 저장된 각종 주원료 및 부원료는 후 공정에서 요구하는 목표성분에 맞도록 계산 된 값에 따라 정량 절출 장치(㉯)에서 정량 절출 되어 1차 믹서(Mixer)(㉰) 와 2차 리롤링 드럼(Rerolling Drum)(㉱)에서 적당량의 수분을 참가하여 혼합, 조립 과정을 거친 배합원료는 컨베이어 벨트(Belt Conveyor Belt)로 수송되어 서지 호퍼(Surge Hopper)(㉲)에 저장된다.
상기 서지 호퍼(Surge Hopper)(㉲)에 저장된 배합원료는 소결기(㉶) 바닥에 상부광(㉳)을 깔고 그 위에 드럼 피더(Drum Feeder)(㉴)에서 절출시켜 배합원료가 소결기(㉶)에 장입된다. 상기 소결기(㉶)에 장입된 배합원료는 점화로(㉵)에서 화염으로 배합원료의 표면에 착화시키고 두 대의 주배풍기(㉷)에서 하방 흡입 방식으로 공기를 통과시켜 결합재가 연소되면서 소결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소결이 완료된 소결광은 소결기(㉶)가 배광부에 도달하여 반전되면서 소결광은 핫 크러셔(Hot Crusher(㉸)로 떨어져 예컨대, 250mm 이하로 파쇄되어 쿨러(Cooler)(㉹)에 적재된다. 쿨러(Cooler)(㉹)에 적재된 소결광은 강제로 송풍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성품처리 설비로 보내지게 된다.
성품처리 설비로 보내진 소결광은 콜드 크러셔(Cold Crusher)(㉺) 에서 예컨대, 50mm 이하로 파쇄되고 이후 1, 2, 3차 스크린(Screen)(㉻)의 선별과정을 거쳐 예컨대, 5 ~ 50mm의 소결광은 컨베이어 ?트(Conveyor Belt)로 수송되어 고로 빈(Bin)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소결 공정 조업시, 소결기 대차에 장입되는 배합원료를 균일하게 하여 안정된 소결 조업 및, 균일한 품질의 소결광 제조를 위하여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을 처리하고 있다.
이러한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을 처리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서지 호퍼(Surge Hopper) 상부에 다수개의 그리즐리 바(Grizzly Bar)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배합원료가 서지 호퍼(Surge Hopper)에 입조되는 과정에서 괴광은 그리즐리 바 상부에 얹히게 되고, 분리된 괴광은 셔틀 컨베이어 (Shuttle Conveyor)에 고정되어 설치된 스크래퍼(Scraper)에 의해 셔틀 컨베이어의 왕복 운동하면서 그리즐리 바의 끝단으로 처리된다.
그러나, 종래의 서지 호퍼(Surge Hopper) 상부에 설치된 그리즐리 바와 스크래퍼의 조합으로 구성된 괴광 처리 방식은 하기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그리즐리 바의 마모 및 변형으로 간격이 벌어져 서지 호퍼(Surge Hopper)에 괴광이 유입되며,
둘째, 서지 호퍼(Surge Hoppe)에 배합원료를 입조하는 과정에서 배합원료가 그리즐리 바에 부?혀 미립의 분광이 서지 호퍼(Surge Hopper) 벽면에 부착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착광이 성장하여 2차 트러블(Trouble)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발생시에는 소결기 대차에 장입되는 배합원료의 불균일을 초래하여 소결 조업이 불안전하게 되고 그로 인한 소결광 품질 저하 및 소결광 생산량 저하 등을 초래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소결 조업시 소결기 대차에 장입되는 배합원료를 균일하게 하여 소결 조업을 안정하게 하며, 이에 따라 소결광 품질 향상 및 소결광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 정량 공급 장치(CFW: Constant Feed Weigher)에서 정량 절출된 각종 주원료 및 부원료에 일정량의 수분을 첨가하여 혼합 및 조립 과정을 거쳐 배합원료가 될 때, 혼합 및 조립기의 최종 단계로서 배합원료를 혼합 및 조립하여 배출하는 리롤링 드럼(Rerolling Drum),
상기 리롤링 드럼의 하부에 다수개가 경사면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합원료에 혼합된 괴광을 상기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롤 (Roll), 및
상기 다수개의 롤의 경사면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송된 괴광을 설정 크기 이상의 괴광과 설정 크기 미만의 괴광으로 분리하기 괴광 분리기,
상기 괴광 분리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괴광 분리기에 의하여 분리된 설정 크기 이상의 괴광이 낙하되는 괴광처리 슈트,
상기 괴광 분리기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괴광 분리기에 의하여 분리되어 이송되어 오는 일정한 크기 미만의 괴광을 일정한 크기 이하로 파쇄하기 위한 파쇄기, 및
상기 파쇄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파쇄기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 이하로 파쇄된 괴광을 배합원료와 함께 소결용 원료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괴광 분리기에는 상기 괴광 분리기에 의하여 분리되는 괴광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괴광 분리기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괴광 분리기 높이 조절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롤 (Roll)은 일측에 위치한 롤로부터 타측에 위치한 롤쪽으로 가면서 다수개의 롤이 경사면을 이루도록 상기 리롤링 드럼의 수평 중심선(O-O선)에 대하여 하향 경사지게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롤이 이루는 경사면은 상기 배합원료에 혼합된 괴광을 상기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롤링 드럼의 하부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의 원호는 상기 리롤링 드럼의 하부에 상기 리롤링 드럼의 회전 중심과 일정한 거리 이격된 중심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의 원호는 상기 배합원료에 혼합된 괴광을 상기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롤링 드럼의 곡률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롤의 일단부에는 상기 다수개의 롤 각각을 연속적으로 일정한속도로 회전시켜 주기 위한 구동 모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괴광 분리기는 상기 괴광 분리기에 의하여 분리된 설정 크기 이상의 괴광을 용이하게 상기 괴광처리 슈트로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괴광처리 슈트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결 공정 조업시 소결기 대차에 장입되는 배합원료를 균일하게 하여 소결 조업을 안정하게 하며, 이에 따라 소결광의 품질 향상 및 소결광의 생산량을 매우 증가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업무 부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소결 공정 조업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소결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의 일부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의 파쇄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의 다수개의 롤의 경사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의 일부 상세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의 파쇄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의 다수개의 롤의 경사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는, 연속 정량 공급 장치(CFW: Constant Feed Weigher)에서 정량 절출된 각종 주원료 및 부원료에 일정량의 수분을 첨가하여 혼합 및 조립 과정을 거쳐 배합원료가 될 때, 혼합 및 조립기의 최종 단계로서 배합원료를 혼합 및 조립하여 배출하는 리롤링 드럼(Rerolling Drum)(10),
상기 리롤링 드럼(10)의 하부에 다수개가 경사면(21)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합원료에 혼합된 괴광을 상기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롤 (Roll)(20), 및
상기 다수개의 롤(20)의 경사면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경사면(21)을 따라 이송된 괴광을 설정 크기(예컨대, 250mm) 이상의 괴광(100)과 설정 크기 미만의 괴광으로 분리하기 괴광 분리기(30),
상기 괴광 분리기(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괴광 분리기(30)에 의하여 분리된 설정 크기 이상의 괴광(100)이 낙하되는 괴광처리 슈트(40),
상기 괴광 분리기(30)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괴광 분리기(30)에 의하여 분리되어 이송되어 오는 일정한 크기 미만의 괴광을 일정한 크기(예컨대, 50mm) 이하로 파쇄하기 위한 파쇄기(50), 및
상기 파쇄기(5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파쇄기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예컨대, 50mm) 이하로 파쇄된 괴광을 배합원료와 함께 소결용 원료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괴광 분리기(30)에는 상기 괴광 분리기(30)에 의하여 분리되는 괴광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괴광 분리기(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괴광 분리기 높이 조절장치(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리롤링 드럼(10)의 일측에는 상기 리롤링 드럼(1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합원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리롤링 드럼(10)을 덮어주기 위한 배광 후드(1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롤(Roll)(20)은 일측에 위치한 롤(20)로부터 타측에 위치한 롤(30)쪽으로 가면서 다수개의 롤(30)이 경사면을 이루도록 상기 리롤링 드럼(10)의 수평 중심선(O-O선)에 대하여 하향 경사지게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롤(20)은 일방향, 예컨대,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연속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롤(20)이 이루는 경사면(31)은, 상기 다수개의 롤(20) 중 타측(도 2 내지 도 5에서 우측)에 위치한 롤(20)로부터 다수개의 롤 중 일측(도 2 내지 도 5에서 좌측)에 위치한 롤로 갈수록 상기 리롤링 드럼(10)의 수평 중심선(O-O선)에 대하여 점차 일정한 높이만큼 하부쪽에 위치하게 되는 다수개의 롤을 연결한 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롤(20)이 이루는 경사면(21)은 상기 배합원료에 혼합된 괴광을 상기 경사면(21)을 따라 하부로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롤링 드럼(10)의 하부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21)의 원호는 상기 리롤링 드럼(10)의 하부에 상기 리롤링 드럼(10)의 중심과 일정한 거리 이격된 회전 중심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경사면(21)의 원호는 상기 배합원료에 혼합된 괴광을 상기 경사면(21)을 따라 하부로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롤링 드럼(10)의 곡률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롤(20)의 일단부에는 상기 다수개의 롤(20) 각각을 연속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켜 주기 위한 구동 모터(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80)는 인버터를 설치하여 롤의 회전 속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어드 모터(Geared Mo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롤(20)의 양단부에는 상기 롤(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이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90, 9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괴광 분리기(30)는 상기 괴광 분리기(30)에 의하여 분리된 설정 크기 이상의 괴광(100)을 용이하게 상기 괴광처리 슈트(40)로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괴광처리 슈트(40)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31)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리롤링 드럼(10)은 연속 정량 공급 장치(CFW: Constant Feed Weigher)에서 정량 절출된 각종 주원료 및 부원료에 일정량의 수분을 첨가하여 혼합 및 조립 과정을 거쳐 배합원료가 될 때, 혼합 및 조립기의 최종 단계로서 배합원료를 혼합 및 조립하여 배출하게 된다.
상기 리롤링 드럼(Rolling Drum)(10) 하부에 다수 개의 롤(Roll)(20)이 경사면(21)을 이루도록 상기 리롤링 드럼(10)의 수평 중심선(O-O선)에 대하여 하향 경사지게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다수개의 롤(20)이 이루는 경사면(31)은, 상기 다수개의 롤(20) 중 타측(도 2 내지 도 5에서 우측)에 위치한 롤(20)로부터 다수개의 롤 중 일측(도 2 내지 도 5에서 좌측)에 위치한 롤로 갈수록 상기 리롤링 드럼(10)의 수평 중심선(O-O선)에 대하여 점차 일정한 높이만큼 하부쪽에 위치하게 되는 다수개의 롤을 연결한 선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다수개의 롤(20)이 이루는 경사면(21)은 상기 배합원료에 혼합된 괴광을 상기 경사면(21)을 따라 하부로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롤링 드럼(10)의 하부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롤(20) 각각은 롤의 회전 속도의 조절이 가능한 기어드 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모터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일정한 회전속도로, 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롤링 드럼(10)의 하부 일단에서 배출되는 배합원료에 혼합된 괴광은 상기 다수개의 롤(20)의 경사면(21)을 따라 하부로 이송되고, 상기 경사면(21)을 따라 하부로 이송되는 배출되는 배합원료에 혼합된 괴광은, 상기 괴광 분리기에 의하여 설정 크기(예컨대, 250mm) 이상의 괴광(100)과 설정 크기 미만의 괴광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괴광 분리기(30)에 의하여 분리된 설정 크기 이상의 괴광(100)은 괴광처리 슈트(40)로 낙하되며, 또한, 상기 괴광 분리기(30)에 의하여 분리되어 이송되어 오는 일정한 크기 미만의 괴광은 상기 파쇄기(50)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예컨대, 50mm) 이하로 파쇄되고, 상기 파쇄기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예컨대, 50mm) 이하로 파쇄된 괴광은 컨베이어 벨트(60)에 의하여 배합원료와 함께 이송되어 소결용 원료로 재사용 될 수 있다.
10: 리롤링 드럼 20: 롤
30: 괴광 분리기 40: 괴광처리 슈트
50: 파쇄기 60: 컨베이어 벨트
70: 괴광 분리기 높이 조절 장치 80: 구동모터
90: 베어링 하우징

Claims (8)

  1. 연속 정량 공급 장치(CFW: Constant Feed Weigher)에서 정량 절출된 각종 주원료 및 부원료에 일정량의 수분을 첨가하여 혼합 및 조립 과정을 거쳐 배합원료가 될 때, 혼합 및 조립기의 최종 단계로서 배합원료를 혼합 및 조립하여 배출하는 리롤링 드럼(Rerolling Drum),
    상기 리롤링 드럼의 하부에 다수개가 경사면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합원료에 혼합된 괴광을 상기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롤 (Roll), 및
    상기 다수개의 롤의 경사면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송된 괴광을 설정 크기 이상의 괴광과 설정 크기 미만의 괴광으로 분리하기 괴광 분리기,
    상기 괴광 분리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괴광 분리기에 의하여 분리된 설정 크기 이상의 괴광이 낙하되는 괴광처리 슈트,
    상기 괴광 분리기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괴광 분리기에 의하여 분리되어 이송되어 오는 일정한 크기 미만의 괴광을 일정한 크기 이하로 파쇄하기 위한 파쇄기, 및
    상기 파쇄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파쇄기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 이하로 파쇄된 괴광을 배합원료와 함께 소결용 원료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
    를 포함하는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괴광 분리기에는 상기 괴광 분리기에 의하여 분리되는 괴광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괴광 분리기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괴광 분리기 높이 조절장치가 설치되는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롤(Roll)은 일측에 위치한 롤로부터 타측에 위치한 롤쪽으로 가면서 다수개의 롤이 경사면을 이루도록 상기 리롤링 드럼의 수평 중심선(O-O선)에 대하여 하향 경사지게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롤이 이루는 경사면은 상기 배합원료에 혼합된 괴광을 상기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롤링 드럼의 하부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원호는 상기 리롤링 드럼의 하부에 상기 리롤링 드럼의 회전 중심과 일정한 거리 이격된 중심을 가지는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원호는 상기 배합원료에 혼합된 괴광을 상기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롤링 드럼의 곡률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가지는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롤의 일단부에는 상기 다수개의 롤 각각을 연속적으로 일정한속도로 회전시켜 주기 위한 구동 모터가 설치되는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괴광 분리기는 상기 괴광 분리기에 의하여 분리된 설정 크기 이상의 괴광을 용이하게 상기 괴광처리 슈트로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괴광처리 슈트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는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
KR1020140143570A 2014-10-22 2014-10-22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 KR101633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570A KR101633605B1 (ko) 2014-10-22 2014-10-22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570A KR101633605B1 (ko) 2014-10-22 2014-10-22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300A true KR20160047300A (ko) 2016-05-02
KR101633605B1 KR101633605B1 (ko) 2016-06-27

Family

ID=56021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570A KR101633605B1 (ko) 2014-10-22 2014-10-22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6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469A (ko) * 2017-07-04 2020-02-03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소결광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328A (ko) * 1999-11-19 2001-06-15 이구택 소결연료 코크스의 균일입도 파쇄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장치
KR20100106107A (ko) * 2009-03-23 2010-10-01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의 비정상 적재물 처리장치
KR20120116712A (ko) * 2011-04-13 2012-10-23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파쇄 장치
KR20130136868A (ko) * 2012-06-05 2013-12-13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의 장입장치 및 장입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328A (ko) * 1999-11-19 2001-06-15 이구택 소결연료 코크스의 균일입도 파쇄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장치
KR20100106107A (ko) * 2009-03-23 2010-10-01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의 비정상 적재물 처리장치
KR20120116712A (ko) * 2011-04-13 2012-10-23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파쇄 장치
KR20130136868A (ko) * 2012-06-05 2013-12-13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의 장입장치 및 장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605B1 (ko) 201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061B1 (ko) 소결용 원료 혼합물 제조 방법
EP3498387A1 (en) Incinerated-ash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method
US20100044479A1 (en) Cooling and comminution of particulate material
KR101480873B1 (ko) 소결용 분코크스의 균일 입도 파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17869B1 (ko) 과립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1633605B1 (ko) 소결용 배합원료의 괴광 처리 장치
JP2007175561A (ja) 微粉炭の製造設備および製造方法
KR20160137016A (ko) 철강 슬래그에서 재활용 철의 선별장치 및 선별방법
EP3631333B1 (en) Method of operating a sinter plant
CN103041905A (zh) 一种碳化渣的破磨方法及系统
KR100865223B1 (ko) 코크스의 제조방법 및 제조설비
JP5845979B2 (ja) コークス炉装入用石炭の製造方法
RU2370327C2 (ru) Рудообогатительный передвижной модульный комплекс
CN110793024B (zh) 适用于料仓皮带层狭小空间的筛分破碎装置
KR102246861B1 (ko) 분체 분쇄장치
JP2015202442A (ja) 多結晶シリコンの破砕装置
JP2009161705A (ja) コークスの製造方法
KR101304823B1 (ko) 호퍼 장입장치 및 배합원료의 호퍼 장입방법
KR101703042B1 (ko) 원료처리장치
KR200337813Y1 (ko) 소결용 코크스 파쇄장치
JP2018134565A (ja) ローラスクリーン選別機
KR100931236B1 (ko) 소결 연료의 입도 균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6969138B2 (ja) 成型炭の製造方法
JP2008127494A (ja) コークスの製造方法
JP2024048561A (ja) 焼結鉱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