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7185A -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 - Google Patents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7185A
KR20160047185A KR1020140143254A KR20140143254A KR20160047185A KR 20160047185 A KR20160047185 A KR 20160047185A KR 1020140143254 A KR1020140143254 A KR 1020140143254A KR 20140143254 A KR20140143254 A KR 20140143254A KR 20160047185 A KR20160047185 A KR 20160047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nula
probe
tendon
support
cath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4824B1 (ko
Inventor
김기봉
조국래
오재환
박향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메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메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메드텍
Priority to KR1020140143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824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2Radiation therapy using microwaves

Abstract

본 발명은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알에프(RF) 고주파를 건과 뼈의 접점부위, 건의 찢어진 부위 또는 건의 염증부위에 직접 방사하도록 하는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상으로 제작되는 카눌라(cannula)(110);와, 상기 카눌라(cannula)(110)를 피부 및 조직을 관통하도록 설치하는 경우 사용되며,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일 측으로 삽입되고 완전 삽입시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타 측 말단 외부로 노출되어 피부 및 조직을 관통할 수 있는 첨단부(122)가 상기 타 측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일 측 말단에는 스토퍼(121)가 형성되는 스타일렛(stylet)(120);과, 상기 알에프(RF) 고주파를 건과 뼈의 접점부위, 건의 찢어진 부위 또는 건의 염증부위에 직접 방사하도록 사용되며, 사용시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일측으로 삽입되고 완전 삽입시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타 측 말단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전극부(122) 및 제 2 전극부(133)가 구비된 프로브(130);와, 상기 프로브(130)에 알에프 제네레이터(160)에서 발생시킨 알에프(RF) 고주파를 전달하는 케이블(1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Tendon Catheter}
본 발명은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알에프(RF) 고주파를 건과 뼈의 접점부위, 건의 찢어진 부위 또는 건의 염증부위에 직접 방사하도록 하는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상으로 제작되는 카눌라(cannula)(110);와, 상기 카눌라(cannula)(110)를 피부 및 조직을 관통하도록 설치하는 경우 사용되며,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일 측으로 삽입되고 완전 삽입시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타 측 말단 외부로 노출되어 피부 및 조직을 관통할 수 있는 첨단부(122)가 상기 타 측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일 측 말단에는 스토퍼(121)가 형성되는 스타일렛(stylet)(120);과, 상기 알에프(RF) 고주파를 건과 뼈의 접점부위, 건의 찢어진 부위 또는 건의 염증부위에 직접 방사하도록 사용되며, 사용시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일측으로 삽입되고 완전 삽입시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타 측 말단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전극부(122) 및 제 2 전극부(133)가 구비된 프로브(130);와, 상기 프로브(130)에 알에프 제네레이터(160)에서 발생시킨 알에프(RF) 고주파를 전달하는 케이블(1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힘줄(건(腱):tendon이라고도 함.이허. '건"이라 한다.)은, 근육을 몸의 다른 부위(주로 뼈)에 부착시키는 조직을 말한다. 건은 근수축으로 생기는 물리적 힘을 뼈에 전달하는 결합조직으로서, 한쪽 끝은 근육섬유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은 뼈에 붙어 있다. 고밀도의 섬유성 결합조직인 건은 주로 섬유아세포라고 불리는 방추 모양의 세포와 콜라겐 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성은 인대나 건막(腱膜)과 유사하다. 근수축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견디는 엄청난 장력은 강하고 질긴 많은 양의 콜라겐 섬유에 의해 생성된다.
이와 같은 건에 염증이 발생하는 건염의 치료를 위하여, 기존에는 하기 특허문헌의 "체외 충격파 치료기"(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2513호)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는 체외충격파치료, 저주파치료(TENS), 간섭파치료(ICT) 또는 고주파 신경차단술이 실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치료방법은 간접적 치료방법으로서 통증부위에 원인이 되는 건염에 대하여 체외에서 물리적 힘을 가하여 통증을 치료하는 방법이 주류를 이루며, 따라서 치료빈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주파 신경차단술의 경우, 체내에 가이드 니들을 주입하여 고주파 바늘을 넣어 감각신경을 차단함으로써 통증을 감소시키나, 이 역시 건염을 직접적으로 치료하지 않고, 건염으로부터 발생하는 통증감소를 위하여 신경을 차단한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치료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기존의 치료방법과 다른 직접적인 치료법으로, 'TOPAZ®'라 불리우는 치료법이 근래 들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TOPAZ®'는 RF 고주파를 건(인대)의 중간부위에 방사하여, 인대수축 및 통증완화를 가져오는 치료법이나, 이 시술을 위해서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시술 부위를 절개하여야만 한다는 큰 문제점이 있는 것은 물론, 정확한 염증 부위의 치료라기보다는 건 전체의 여러 부위에 순차적으로 RF 고주파를 인가하여 전체적으로 통증 부위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시술되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2513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RF 고주파를 건과 뼈의 접점부위에 찢어지거나 염증부위에 직접 방사하여 염증부위를 직접적이고도 효율적으로 치료하는 것은 물론, 절개가 필요없이 최소침습적 시술이 가능하도록 하는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또한, 절개 없이도 용이하게 염증부위를 찾아내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 시술 과정에서 안정적이고도 용이하게 고정해 둘 수 있는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는, 알에프(RF) 고주파를 건과 뼈의 접점부위, 건의 찢어진 부위 또는 건의 염증부위에 직접 방사하도록 하는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상으로 제작되는 카눌라(cannula)(110);와, 상기 카눌라(cannula)(110)를 피부 및 조직을 관통하도록 설치하는 경우 사용되며,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일 측으로 삽입되고 완전 삽입시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타 측 말단 외부로 노출되어 피부 및 조직을 관통할 수 있는 첨단부(122)가 상기 타 측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일 측 말단에는 스토퍼(121)가 형성되는 스타일렛(stylet)(120);과, 상기 알에프(RF) 고주파를 건과 뼈의 접점부위, 건의 찢어진 부위 또는 건의 염증부위에 직접 방사하도록 사용되며, 사용시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일측으로 삽입되고 완전 삽입시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타 측 말단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전극부(122) 및 제 2 전극부(133)가 구비된 프로브(130);와, 상기 프로브(130)에 알에프 제네레이터(160)에서 발생시킨 알에프(RF) 고주파를 전달하는 케이블(1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상기 일 측에 형성되는 프로브 삽입 지지부(111);와,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일 측면에 설치되며, 주사기 또는 약물 공급 수단(10)으로부터 공급되는 약물을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관 내측으로 전달하는 약물 주입공(112);과, 상기 프로브(130)의 상기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프로브 삽입 지지부(111)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카눌라(cannula)(110)에 상기 프로브(130)를 결합하여 지지하도록 하는 프로브 지지부(131);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브(130)와 상기 케이블(150) 사이에는 컨트롤러 핸들(140)이 더 결합되되, 상기 프로브(130)는 상기 컨트롤러 핸들(1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컨트롤러 핸들(140)은 상기 프로브(130)에 전달되는 상기 알에프(RF) 고주파를 조절할 수 있는 조작 버튼(141)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눌라(cannula)(110)가 삽입될 수 있는 제 1 지지관(210)과 , 상기 제 1 지지관(210)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행과 열을 맞추어 각각 제 1 지지부(220)를 통하여 지지되며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 지지판(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염증 부위 탐측 지지판(20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눌라(cannula)(110)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 지지관(310)과 , 상기 제 2 지지관(310)이 제 2 지지부(320)를 통하여 지지되며 설치되어 있는 지지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술 지지대(3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RF 고주파를 건과 뼈의 접점부위 또는 건이 찢어지거나 염증이 발생한 부위에 직접 방사하여 염증부위를 직접적이고도 효율적으로 치료하는 것은 물론, 절개가 필요없이 최소침습적 시술이 가능하도록 하는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또한, 절개 없이도 용이하게 염증부위를 찾아내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 시술 과정에서 안정적이고도 용이하게 고정해 둘 수 있는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도 1: 기존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TOPAZ®'의 시술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또다른 도면.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의 컨트롤러 핸들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의 염증 부위 탐측 지지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의 염증 부위 탐측 지지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
도 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의 시술 지지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의 시술 지지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는 알에프(RF) 고주파를 건과 뼈의 접점부위, 건의 찢어진 부위 또는 건의 염증부위에 직접 방사하도록 사용되며, 크게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카눌라(cannula)(110), 스타일렛(stylet)(120), 프로브(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부위 탐측 지지판(200) 또는 시술 지지대(30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카눌라(cannula)(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카눌라(cannula)(11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상으로 제작된다. 한편,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상기 일 측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프로브 삽입 지지부(111)가 더 형성되도록 하여, 후술할 프로브 지지부(131)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서 죄측 방향을 '일 측', 우측 방향을 '타 측'이라 표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일 측면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주사기 또는 약물 공급 수단(10)으로부터 공급되는 약물을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관 내측으로 전달하는 약물 주입공(112)이 더 설치되도록 하여, 알에프(RF) 고주파를에 의한 치료 효과와 병행하여 약물에 의한 치료도 함께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약물 주입공(112)에 약물 공급 수단(10)이 연결되는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약물 주입공(112)의 외측에는 고정 나사부(113)가 더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약물 공급 수단(10)의 약물공급수단 결합수단(11)을 용이하게 착탈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카눌라(cannula)(110)는 접지가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어접지가 가능하도록 하되, 그 외측 표면은 절연 처리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스타일렛(stylet)(12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스타일렛(stylet)(120)은 상기 카눌라(cannula)(110)를 피부 및 조직을 관통하도록 설치하는 경우 사용되며,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일 측으로 삽입되고 완전 삽입시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타 측 말단 외부로 노출되어 피부 및 조직을 관통할 수 있는 첨단부(122)가 상기 타 측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일 측 말단에는 소정의 위치까지(즉, 완전 삽입시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타 측 말단 외부로 첨단부(122)가 노출되어 피부 및 조직을 관통할 수 있는 위치까지)만 상기 스타일렛(stylet)(120)이 상기 카눌라(cannula)(1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한하는 스토퍼(12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타일렛(stylet)(120)은 일단 피부 및 조직을 관통하는 단계가 종료되면 상기 프로브(130)의 삽입을 위하여 상기 카눌라(cannula)(110)로부터 뽑아져 탈거된다.
다음으로, 프로브(1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프로브(130)는 상기 알에프(RF) 고주파를 건과 뼈의 접점부위, 건의 찢어진 부위 또는 건의 염증부위에 직접 방사하도록 사용되며,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시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일측으로 삽입되고 완전 삽입시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타 측 말단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전극부(122) 및 제 2 전극부(133)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 1 전극부(122) 및 제 2 전극부(133)는
이 경우, 상기 프로브(13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프로브(130)의 상기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프로브 삽입 지지부(111)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카눌라(cannula)(110)에 상기 프로브(130)를 결합하여 지지하도록 하는 프로브 지지부(131);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여, 시술시 상기 카눌라(cannula)(110)와 일체로 조작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프로브(130)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알에프 제네레이터(160)에서 발생시킨 알에프(RF) 고주파를 전달하는 케이블(150)이 더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카눌라(cannula)(110)에 상기 스타일렛(stylet)(120)을 삽입하여 결합한 후 환자의 환부에 칩습시킨 후, 상기 스타일렛(stylet)(120)을 탈거하고 상기 프로브(130)를 삽입하여 시술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에 의해, 기존의 직접 치료법인 'TOPAZ®'와는 전혀 다르게 절개의 필요없이 최소침습적 시술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팔꿈치 무릎, 아킬레스 건이 있는 발목 등 다양한 시술부위에 따라, 시술자의 용이한 조작을 위하여, 상기 프로브(130)와 상기 케이블(150) 사이에는 컨트롤러 핸들(140)이 더 결합되되, 상기 프로브(130)는 상기 컨트롤러 핸들(1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컨트롤러 핸들(140)은 상기 프로브(130)에 전달되는 상기 알에프(RF) 고주파를 조절할 수 있는 조작 버튼(141)이 더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통상적인 펜(pen) 타입의 컨트롤러 핸들(140)의 경우에는 도 4에서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조작버튼(141)이 상기 프로브(130) 방향에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이스틱(joy-stick) 타입의 컨트롤러 핸들(140')의 경우에는 도 4에서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조작버튼(141')이 상기 프로브(130)의 반대 방향에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염증이 발생한 건의 넓은 부위를 시술하는 기존 발명과 달리, RF 고주파를 건과 뼈의 접점부위 또는 건이 찢어지거나 염증이 발생한 부위에 직접 방사하여 치료하는 본 발명의 특성상, 정확한 시술부위를 절개 없이 찾아내는 것 역시 대단히 중요하다. 이러한 염증 부위 탐측을 용이하고 객관적으로 정량화시켜서 수행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카눌라(cannula)(110)가 삽입될 수 있는 제 1 지지관(210)과 , 상기 제 1 지지관(210)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행과 열을 맞추어 각각 제 1 지지부(220)를 통하여 지지되며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 지지판(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염증 부위 탐측 지지판(2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환자의 피부를 절개하지 않고 상기 염증 부위 탐측 지지판(200)을 환자의 통증부위에 부착한 후, 행과 열을 맞추어 각각 형성된 제 1 지지관(210)에 기 스타일렛(stylet)(120)을 삽입하여 결합한 상기 카눌라(cannula)(110)를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침습한 후, 상기 프로브(130)를 교체 삽입하여 고주파를 인가하면서 환자의 통증 또는 증상을 판단하여 절개 없이 정확한 염증 부위를 탐측한다. 이 경우, 탐측 부위는 '상기 염증 부위 탐측 지지판(200) 상에서 몇번째 행, 몇번째 열에 형성된 상기 제 1 지지관(210)의 위치'와 같이 객관적으로 정량화시켜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과정을 통하여 정확한 치료 부위를 탐측한 후에는, 상기 염증 부위 탐측 지지판(200)을 그대로 부착한 상태에서 치료 과정을 시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 1 지지관(210)에 의하여 상기 카눌라(cannula)(110)가 정위치에 지지되므로, 시술자는 상기 카눌라(cannula)(110)가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작할 필요없이 좀더 용이하게 시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술과정에서 미세한 위치 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지지부(220) 및 상기 지지판(230)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어 의료용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또는 상기 염증 부위 탐측 지지판(200)을 통하여 정확한 시술 부위를 탐측 한 이후 또는 상기 염증 부위 탐측 지지판(2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용이한 시술 과정의 진행을 위하여, 본 발명의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카눌라(cannula)(110)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 지지관(310)과 , 상기 제 2 지지관(310)이 제 2 지지부(320)를 통하여 지지되며 설치되어 있는 지지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술 지지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시술 지지대(300)는 시술을 위한 부위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데, 이 경우 상기 지지부(33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그 교차점을 통하여 정확한 시술부위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약물 공급 수단
11: 약물 공급수단 결합수단
110: 카눌라(cannula)
111: 프로브 삽입 지지부 112: 약물 주입공
113: 고정 나사부
120: 스타일렛(stylet)
121: 스토퍼 122: 첨단부
130: 프로브
131: 프로브 지지부
132: 제 1 전극부 133: 제 2 전극부
140: 컨트롤러 핸들 141: 조작 버튼
150: 케이블 151: 커넥터
160: 알에프 제네레이터
200: 부위 탐측 지지판
210: 제 1 지지관 220: 제 1 지지부
230: 지지판
300: 시술 지지대
310: 제 2 지지관 320: 제 2 지지부
330: 지지부

Claims (5)

  1. 알에프(RF) 고주파를 건과 뼈의 접점부위, 건의 찢어진 부위 또는 건의 염증부위에 직접 방사하도록 하는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상으로 제작되는 카눌라(cannula)(110);
    상기 카눌라(cannula)(110)를 피부 및 조직을 관통하도록 설치하는 경우 사용되며,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일 측으로 삽입되고 완전 삽입시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타 측 말단 외부로 노출되어 피부 및 조직을 관통할 수 있는 첨단부(122)가 상기 타 측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일 측 말단에는 스토퍼(121)가 형성되는 스타일렛(stylet)(120);
    상기 알에프(RF) 고주파를 건과 뼈의 접점부위, 건의 찢어진 부위 또는 건의 염증부위에 직접 방사하도록 사용되며, 사용시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일측으로 삽입되고 완전 삽입시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타 측 말단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전극부(122) 및 제 2 전극부(133)가 구비된 프로브(130);
    상기 프로브(130)에 알에프 제네레이터(160)에서 발생시킨 알에프(RF) 고주파를 전달하는 케이블(1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상기 일 측에 형성되는 프로브 삽입 지지부(111);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일 측면에 설치되며, 주사기 또는 약물 공급 수단(10)으로부터 공급되는 약물을 상기 카눌라(cannula)(110)의 관 내측으로 전달하는 약물 주입공(112);
    상기 프로브(130)의 상기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프로브 삽입 지지부(111)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카눌라(cannula)(110)에 상기 프로브(130)를 결합하여 지지하도록 하는 프로브 지지부(131);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
  3. 청구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130)와 상기 케이블(150) 사이에는 컨트롤러 핸들(140)이 더 결합되되,
    상기 프로브(130)는 상기 컨트롤러 핸들(1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컨트롤러 핸들(140)은 상기 프로브(130)에 전달되는 상기 알에프(RF) 고주파를 조절할 수 있는 조작 버튼(141)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
  4.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눌라(cannula)(110)가 삽입될 수 있는 제 1 지지관(210)과 , 상기 제 1 지지관(210)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행과 열을 맞추어 각각 제 1 지지부(220)를 통하여 지지되며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 지지판(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염증 부위 탐측 지지판(20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
  5.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눌라(cannula)(110)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 지지관(310)과 , 상기 제 2 지지관(310)이 제 2 지지부(320)를 통하여 지지되며 설치되어 있는 지지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술 지지대(3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
KR1020140143254A 2014-10-22 2014-10-22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 KR101644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254A KR101644824B1 (ko) 2014-10-22 2014-10-22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254A KR101644824B1 (ko) 2014-10-22 2014-10-22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185A true KR20160047185A (ko) 2016-05-02
KR101644824B1 KR101644824B1 (ko) 2016-08-03

Family

ID=56021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254A KR101644824B1 (ko) 2014-10-22 2014-10-22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8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353A (ko) * 2021-03-24 2022-10-05 (주)글로벌메디칼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513B1 (ko) 2006-11-20 2008-01-08 조도연 체외 충격파 치료기
JP2008168138A (ja) * 2007-01-15 2008-07-24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超音波処置装置
KR20090037471A (ko) * 2006-08-02 2009-04-15 우노메디컬 에이/에스 삽입장치
KR20100010915A (ko) * 2008-07-23 2010-02-02 알란 엘만 고주파(rf) 추간판 수술 시스템
KR20140067012A (ko) * 2011-08-03 2014-06-03 베너스 테라피, 인크. 신체 내로 치료제를 주입하기 위한 조립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471A (ko) * 2006-08-02 2009-04-15 우노메디컬 에이/에스 삽입장치
KR100792513B1 (ko) 2006-11-20 2008-01-08 조도연 체외 충격파 치료기
JP2008168138A (ja) * 2007-01-15 2008-07-24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超音波処置装置
KR20100010915A (ko) * 2008-07-23 2010-02-02 알란 엘만 고주파(rf) 추간판 수술 시스템
KR20140067012A (ko) * 2011-08-03 2014-06-03 베너스 테라피, 인크. 신체 내로 치료제를 주입하기 위한 조립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353A (ko) * 2021-03-24 2022-10-05 (주)글로벌메디칼 하이브리드 카테터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824B1 (ko)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3817B2 (en) Systems and devices to identify and limit nerve conduction
AU201523437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an instrument through bone
US9119628B1 (en) Systems and devices to identify and limit nerve conduction
US20160206362A1 (en) Systems and devices to identify and limit nerve conduction
EP2521501B1 (en) Systems for navigating an instrument through bone
KR101632429B1 (ko) 조직 절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40316268A1 (en) Peripheral nerve identification
US201201233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posuction
CN107847261A (zh) 用于识别和限制神经传导的系统和设备
US20090198305A1 (en) Transcutaneous electrical therapeutic device
CN1119418A (zh) 经由尿道的针式切除装置和方法
ATE247430T1 (de) Vorrichtung zur führung von perkutanen verrichtungen mittels rechnergestützter tomographe
US10660699B2 (en) Ablation therapy to disrupt coordinated bladder contractions
DE602005013933D1 (de) Variabel lenkbare katheter
US20100125220A1 (en) Surgical method for gastrocnemius muscle reduction
US10912605B2 (en) Devices, kits and methods relating to treatment of facet joints
US20070135877A1 (en) Use of microwave energy for thermotherapy
EP1857067B1 (en) Bipolar probe with an injection needle
KR20170137836A (ko) 고주파 신경제거 바늘 및 방법
KR101644824B1 (ko) 건치료용 카테터 장치
Boesch et al. Histological, electrophysiological and clinical effects of thermal radiofrequency therapy of the saphenous nerve and pulsed radiofrequency therapy of the sciatic nerve in dogs
US1084970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medical conditions associated with sacroiliac joint abnormalities
JPH0542166A (ja) 高周波アブレーシヨン用電極カテーテル
WO2022147472A1 (en) Integrated probe-ablation device and systems for sensory nerve ablation in a joint
CN107617140A (zh) 心室壁注射辅助器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