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587A - 유기농 인삼의 재배시설 및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농 인삼의 재배시설 및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587A
KR20160046587A KR1020140142710A KR20140142710A KR20160046587A KR 20160046587 A KR20160046587 A KR 20160046587A KR 1020140142710 A KR1020140142710 A KR 1020140142710A KR 20140142710 A KR20140142710 A KR 20140142710A KR 20160046587 A KR20160046587 A KR 20160046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water
rainwater
cultivation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0950B1 (ko
Inventor
김옥화
Original Assignee
그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2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950B1/ko
Publication of KR20160046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5Conduits for heating by means of liquids, e.g. used as frame members or for soil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농 인삼의 재배시설 및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농 인삼 재배시설은, 하우스 형태를 이루되 빗물이 내부의 인삼에 직접 뿌려지지 않도록 빗물을 차단하는 빗물차단수단: 및 인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은 배관을 통해 공급하되 공급되는 물이 자화 육각수화 되는 과정을 거쳐 공급되도록 공급될 물에 자력을 가하여 자화 육각수화 하는 물분자변환살균장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유기농 인삼 재배시설 및 재배방법은, 재배시설 내의 인삼이 빗물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빗물을 차단하고, 생육에 필요한 물을 자화 육각수로 만들어 공급함으로써 인삼이 병원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삼이 병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므로 농약을 살포하지 않고 인삼을 재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삼의 성장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져 고품질의 인삼을 얻을 수 있으며, 재배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유기농 인삼의 재배시설 및 재배방법{FACILITIES FOR GINSENG GROWING AND GROW METHOD OF GINSE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삼의 재배를 위한 하우스 시설 및 인삼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인삼은 귀한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고가에 판매되어 농촌에 큰 소득을 가져오는 작물 중 하나이다.
그런데 환경의 변화 등으로 인해 재배 중인 인삼에 여러 가지 병해가 발생되어 농약의 사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농약의 살포 횟수는 건강을 위해 인삼을 먹는 것을 고려할 때 심각한 문제가 되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특히, 최근의 수요자들은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 유기농 채소나 과일을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현재 인삼재배 농가에서 실시되고 있는 인삼의 농약 살포 정도가 수요자들에게 널리 알려진다면 인삼의 수요는 급격히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또, 국외에서 고려인삼으로 알려져 수요가 많은 국내 인삼의 수출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한편, 인삼을 고부가 가치 상품으로 판매하기 위해서는 4년 내지 6년 정도로 상당히 긴 시간동안 재배가 이루어져야 했다.
종래의 인삼재배 시설은 수년 동안 한 장소에서 재배되기 때문에 재배과정에서 폭설, 홍수, 태풍, 폭우, 폭염, 가뭄 등의 기상재해 환경에 놓이는 경우가 많아 인삼농가에 큰 피해를 입히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 해소를 위해 안출된 한국 특허출원 제10-2008-0109632호, 한국 특허출원 제10-2010-0111512호, 한국 특허출원 제10-2008-0061820호 등은 단순히 인삼을 하우스 시설 등에서 재배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을 뿐이었다.
한국 특허출원 제10-2008-0109632호 한국 특허출원 제10-2010-0111512호 한국 특허출원 제10-2008-006182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농약 유기농 인삼을 재배할 수 있고, 인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하우스 형태의 인삼 재배시설 및 인삼 재배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재배시설 내의 인삼에 공급되는 물을 자화 육각수로 만들어 공급함으로써 인삼이 병원균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병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인삼의 성장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빗물 등이 자화 육각수화 되는 과정에서 은과 접촉되어 강력한 살균처리 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인삼이 병원균에 노출되는 것을 더욱 최소화한다.
또, 인삼에 가해지는 광량을 인삼의 생육조건에 적합하도록 조절하여 인삼이 병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인삼의 성장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인삼의 생육에 적합한 온도와 습도 조건에 놓이도록 하여 병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인삼의 성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기농 인삼 재배방법은, 인삼에 빗물이 직접 뿌려지지 않도록 인삼의 상부를 차단하고, 인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은 배관을 통해 공급하되 공급되는 물은 자력에 의해 자화 육각수화 되는 과정을 거쳐 공급되도록 하는 인삼의 재배 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유기농 인삼 재배시설은, 하우스 형태를 이루되 빗물이 내부의 인삼에 직접 뿌려지지 않도록 빗물을 차단하는 빗물차단수단을 갖는다.
또, 인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은 배관을 통해 공급하되 공급되는 물이 자화 육각수화 되는 과정을 거쳐 공급되도록 공급될 물에 자력을 가하여 자화 육각수화 하는 물분자변환살균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생장수공급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의 유기농 인삼 재배시설 및 재배방법은, 재배시설 내의 인삼이 빗물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빗물을 차단하고, 생육에 필요한 물을 자화 육각수로 만들어 공급함으로써 인삼이 병원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삼이 병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므로 농약을 살포하지 않고 인삼을 재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삼의 성장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져 고품질의 인삼을 얻을 수 있으며, 재배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 자화 육각수화 되는 물이 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거나 은으로 코팅되어 있는 살균몸체에 의해 살균처리 되도록 된 경우 공급되는 물에 병균이 포함되는 것을 더욱 방지하여 인삼의 성장이 더욱 원활한 특징이 있다.
또,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빛 투과량을 줄이기 위한 차광수단,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수단,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습도조절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인삼이 병에 걸리는 것을 더욱 방지하여 농약 살포 없는 유기농 인삼을 재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삼의 성장이 더욱 원활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을 통해 무농약 인삼을 재배함으로써 인삼의 잎, 꽃, 열매도 식용이나 약재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기농 인삼의 재배시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물분자변환살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살균몸체가 코일형태를 이루고, 물분자변환용자석봉에 감긴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물분자변환살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살균몸체가 코일형태를 이루고, 물분자변환용자석봉과 간격을 두고 위치된 구조의 개략도
A : 정면도
B : S-S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물분자변환살균장치에서 와류형성돌기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도록 된 본 발명의 물 분자 변환 살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정면도
B : E-E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물분자변환살균장치에서 나선을 형성하면서 감긴 코일 형태로 이루어져 있되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면서 나선을 형성한 코일 형태의 살균몸체가 좌, 우에 각각 설치된 것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도 5에 위치된 살균몸체의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인삼의 유기농 재배를 위한 시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시설은 대부분 하우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우스 내에는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시설도 하우스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만, 하우스의 의미는 비닐 하우스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유리 온실 등의 시설까지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무농약 유기농 인삼을 재배할 수 있고, 인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유기농 인삼 재배시설 및 재배방법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오랜 연구와 노력을 통해 인삼이 병에 걸리는 이유는 온도, 습도, 광량 등도 영향이 있지만 그러한 조건은 간접적인 것이거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고, 병에 걸리는 직접적인 이유는 인삼의 생육을 위해 공급되는 물이 병균에 오염되어 있기 때문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유기농 인삼 재배시설은, 하우스 형태를 이루되 빗물이 내부의 인삼에 직접 뿌려지지 않도록 빗물을 차단하는 빗물차단수단(200)을 갖는다.
이러한 빗물차단수단(200)은 비닐하우스에서와 같이 비닐이 상부에 씌워진 형태나 유리 온실 등과 같이 빗물이 유입되지 않게 지붕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빗물이 차단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인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배관을 통해 공급하는 생장수공급수단(100)을 갖는다.
그런데 약품을 사용하여 물을 살균처리한 후 공급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유기농 인삼의 재배라 할 수 없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기계적인 방법을 통해 물을 살균처리하여 원활하게 공급하는 방식을 안출하였는데 물의 분자 구조를 흡수가 원활한 형태로 상태로 만들어 공급하는 구조를 안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생장수공급수단(100)은 물이 자화 육각수화 되는 과정을 거쳐 공급되도록 공급될 물에 자력을 가하여 자화 육각수화 하는 물분자변환살균장치(100a)를 구비한다.
이러한 물분자변환용살균장치는 유동되는 물에 자력을 가하여 물 분자가 변환되면서 물이 자화 육각수화 되도록 하는 물분자변환용자석봉(110)을 갖는 형태이다.
자력을 이용한 물 분자 변환구조(자화 육각수화 하는 구조)는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일반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유기농 인삼 재배방법은, 인삼에 빗물이 직접 뿌려지지 않도록 인삼의 상부를 차단하고, 인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은 배관을 통해 공급하되 공급되는 물이 자력에 의해 자화 육각수화 되는 과정을 거쳐 공급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유기농 인삼의 재배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화 육각수의 생성 효율 및 살균처리 효과가 우수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통상의 자화 육각수도 살균처리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자화 육각수가 되더라도 완벽한 살균처리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자력에 영향을 받더라도 자화 육각수가 되지 못한 물은 살균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자화 육각수화 되는 효율이 우수할수록 살균처리 효과도 우수한 것이다.
자력을 사용하여 자화 육각수화 하는 종래의 물 분자 변환장치는 그 효율이 낮고, 자화 육각수를 곧바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살균효과가 낮으므로 살균과 관련한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웠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 해소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동되는 통상의 물에 강력한 자력을 발생시켜 자화 육각수가 되도록 하는 동시에 물이 물분자변환용자석봉(110)의 외측에 위치된 은 함유 살균몸체(130)를 동시에 경유하도록 하여 은에 의한 강력한 살균처리와 함께 물이 뒤섞이면서 유동되도록 한다.
즉, 물이 은을 함유한 살균몸체(130)에 부딪혀 뒤섞이면서 유동되어 자화 육각수화 되는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 단순히 은에 의한 살균처리 효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자화 육각수화 되면서 은 함유 살균몸체(130)에 접촉됨으로써 은에 의한 살균처리 효과가 더욱 우수하도록 하는 것이다.(통상의 물이 은에 접촉되는 것보다 자화 육각수가 은에 접촉될 때 살균처리 효과가 더 우수하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의 물분자변환용살균장치는, 물이 유동되는 라인에 연결되고, 유동되는 물이 경유하게 되는 중공(121)을 갖는 하우징(12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 하우징(120) 내에 위치되어 중공(121)을 따라 유동되는 물에 자력을 가하여 유동되는 물이 자화 육각수가 되도록 하는 물분자변환용자석봉(110)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 물분자변환용자석봉(110)의 외측에 위치되어 중공(121)을 따라 유동되면서 자화 육각수가 되는 물이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거나 은으로 코팅되어 있는 살균몸체(130)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하우징(120)을 물이 유동되는 라인에 연결하기 위한 구조는 볼팅을 위한 나선이 형성된 홈이나 돌기를 갖는 형태일 수 있다.
또, 물분자변환용자석봉(110)은 영구자석이 여러 개 일렬로 나열되어 있되 동일한 극성이 서로 마주하고 있는 통상의 형태일 수 있다.
또, 살균몸체(130)는 메쉬망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고 나선(131)을 형성하면서 감긴 코일 형태일 수도 있다.
나선(131)을 갖는 코일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물분자변환용자석봉(110)에 나선을 형성하면서 감겨 있거나 물분자변환용자석봉(110)과의 사이에 간격(T1)을 두고 위치되어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는 살균몸체(130)가 메쉬망 형태인 경우보다 유동되는 물의 흐름에 변화가 커져 물이 뒤섞이는 효율이 우수하다.
살균몸체(130)가 코일 형태를 이루더라도 물분자변환용자석봉(110)과의 사이에 간격(T1)을 두고 위치되어 있는 형태가 물의 흐름 변화가 크다.
또, 살균몸체(130)는 감겨있는 나선(131)과 나선(131) 사이에 간격(T2)이 형성되도록 감겨 있는 것이 좋다.
나선과 나선 사이에 간격(T2)이 없으면 물의 흐름 변화가 적으며 자력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작고, 물에 섞여 있는 이물질 중에서 자성을 갖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효과도 기대하기 어렵다.
그러나 나선과 나선 사이에 간격(T2)이 형성되도록 감긴 경우에는 자력의 변화가 크고, 물의 흐름 변화도 크며, 간격(T2)에 자성을 갖는 이물질이 걸러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틈새는 너무 작으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너무 크게 물의 흐름 변화가 작아지므로 간격(T2)은 나선 두께의 0.5~1.5배 정도 크기가 적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120)에는 중공(121) 내에서 물이 회전되면서 유동되도록 하는 와류형성수단(141)을 더 구비하여 물의 흐름 변화가 더욱 강해지도록 할 수 있다.
물의 흐름 변화가 커지면 유동되는 물이 살균몸체(130)와 접촉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접촉률도 향상되며, 자력에 고르게 영향을 받게 되므로 물 분자의 변화 효과(자화 육각수화 되는 효과)가 우수하고, 살균효과도 우수해진다.
상기와 같은 와류형성수단(141)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와류형성수단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우징(120)의 전방에 위치된 프로펠러(propeller, 41)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유동되는 물이 프로펠러 형태의 와류형성수단(141)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프로펠러 형태의 물체가 유동되는 물에 의해 회전되는 구조라면 와류의 형성효과는 더욱 커진다.
또 다른 형태로서 하우징(120)의 중공(121) 내에 나선을 형성하면서 형성된 와류형성용 돌기(42)를 갖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살균몸체(130)는 나선을 형성하면서 감긴 코일 형태로 이루어져 있되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면서 나선을 형성한 코일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살균몸체(130)는 물과의 접촉률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도 5와 같이 중공(121) 내에 복수 개 위치될 경우 물의 흐름 변화를 가져오면서 물과의 접촉률을 높일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의 22는 물분자변환용자석봉의 위치를 잡아주는 간격형성체이고, 23은 살균몸체의 위치를 잡아주는 살균몸체설치가이드이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오랜 연구와 노력 끝에 인삼을 재배할 때 적절한 광량을 설정해 주면 병해가 적어지거나 심각한 병해가 발생되지 않는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그러나 단순히 광량을 일정하게 해주는 것이 아니라 인삼의 시기별 생육에 적합한 조건을 설정해주어야 하는 것이었다.
인삼의 시기별 생육에 적합한 조건을 설정해주는 경우 인삼이 건강하게 자라고 생육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져 인삼의 품질이 향상되는 결과를 발생시켰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잎이 나기 시작하는 인삼의 생육초기(봄)에는 광량을 높여 잎이 웃자라는 것을 방지해야 병해가 적고, 중기(여름)과 후기(가을)에는 광량을 상대적으로 낮추어 주어야 병이 적게 발생되며, 병이 발생되더라도 농약의 살포까지 필요할 정도로 발생되지는 않았다.
물론, 농약의 살포가 필요한 정도의 병이 발생되면 발생 초기에 해당 인삼을 인삼재배용 하우스 시설의 외부로 반출하여 병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이를 위해서 인삼재배용 상토가 각각 분리된 박스(1)에 채워져 위치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때 단열이 이루어지는 박스(1)를 사용하고 이러한 박스(1)를 다단식으로 위치시키면 공간 활용성이 우수해져 좁은 면적에서 많은 양의 인삼을 재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출원의 발명자는 유기농 인삼재배용 하우스 시설을 안출하였다.
이러한 하우스 시설은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빛 투과량을 줄이기 위한 차광수단(10)을 갖는다.
또,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광량이 설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차광수단(1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기(20)를 갖는다.
차광수단(10)은 통상의 인삼 재배시설에서 빛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차광망과 같은 형태의 것일 수 있다.
물론, 차광망의 형태가 아니더라도 빛을 가릴 수 있는 형태의 천이나 필름 등일 수도 있다.
상기 제어기(20)는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나 각종 전자기기의 제어기(20)와 같은 형태로서 차광수단(10)의 구동을 제어하여 인삼재배 공간의 광량을 조절한다.
제어기(20)에 차광수단(10)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입력함에 있어 작업자가 수시로 인삼의 생육상태를 확인하여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시기별로 광량의 조건을 입력해 놓으면 그러한 입력데이터에 근거하여 자동으로 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삼 재배공간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형태로는 복수 개의 차광망(11)을 위치시켜 놓고 인삼 재배공간의 광량을 줄이려고 할 때는 차광망으로 하우스 시설의 상부와 측면을 가리되 여러 겹으로 가리도록 할 수 있다.
즉, 한 개의 차광망 위에 또 다른 차광망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빛의 투과율이 다른 차광망을 복수 개 구비해 놓고 인삼 재배공간의 광량 설정에 맞는 차광망이 인삼 재배공간을 차단하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차광망이 하우스 시설의 상부는 가리면서 측면의 개방 정도는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인삼 재배공간의 광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인삼의 무농약 재배에 관한 연구과정에서 광량을 조절하는 것과 함께 인삼 재배공간의 온도나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해 줄 경우 병해 발생이 더욱 적어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물론, 온도조건과 습도조건 모두를 적절하게 유지해 줄 경우 병해 발생이 최소화되어 병해 발생이 거의 없는 결과도 얻을 수 있었다.
인삼의 잎이 나오기 시작하는 출아 시기의 적온은 10~15℃가 바람직하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잎이 펴진 전엽 후 생육 적온은 21~25℃로 비교적 저온이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 30℃ 이상에서는 광합성 중단 및 호홉량이 증가되며, 30℃ 이상 일수가 7일이상 지속되면 고온장해가 발생되었다.
여름철 고온기에 외부기온이 30℃이상일 경우 인삼밭 내부 기온은 외부 기온 보다 3~4℃정도 높은 33~34℃까지 상승되고, 광합성 중단과 호홉량 증가로 고온장해 등이 발생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근비대 억제와 근비중이 저하되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삼 재배용 하우스 시설에는,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수단(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온도측정수단(30)은 온도감지센서를 갖는 형태가 바람직함)
또,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수단(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제어기(20)는 온도조절수단(40)의 구동을 제어하여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온도가 설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온도조절수단(4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온도가 설정된 수치 이상일 때 하우스 시설의 내부나 외부에 물을 분사하여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물분사기(41)을 갖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온도가 설정된 수치 이상일 때 하우스 시설의 내부에 냉풍을 공급하여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냉풍공급수단을 갖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상기와 같은 방식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나 경제성을 고려할 때 물분사기(41)을 갖는 형태가 좋다.
인삼 재배공간의 습도 조절을 위해서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수단(50)을 구비할 수 있다.(습도측정수단(50)은 습도측정센서를 갖는 형태가 바람직함)
또,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습도조절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어기(20)는 습도조절수단의 구동을 제어하여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습도가 설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한다.
습도조절수단은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습도가 설정된 수치 이하일 때 물을 분사하는 가습기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의 가습기라는 것은 전술한 물분사기(41) 형태의 것일 수도 있다.
즉, 물을 분사하는 것만으로도 가습 효과가 발생되고, 인삼 재배공간의 온도 보다 낮은 온도의 물을 인삼 재배용 하우스 시설의 내부에 분사하면 온도를 낮추는 냉각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가습기를 갖는 구조에서 제어기(20)는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습도가 설정된 수치 이상일 때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을 환기시킴으로써 습도를 낮추어 줄 수 있다.
환기를 위해서 단순히 인삼재배용 하우스 시설의 상부나 측면을 개방하여 자연스럽게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나 환기팬의 구동에 의해 강제적인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삼 재배시설의 상부(상부와 측면 모두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음)는 비닐(3) 등으로 차단되어 빗물이 인삼 재배공간으로 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더라도 그 상부나 하부에 차광망(11) 등이 위치되면 광량 조절은 가능하다.
물론, 하우스 시설에 씌워진 비닐은 필요에 따라 접혀지거나 말아져 개방되거나 반대로 펼쳐지도록 구현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비닐을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통해 인삼 재배공간의 온도를 조절 할 수도 있다.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 시설(비닐 하우스 등)에서 비닐이 접히거나 말아져 재배공간이 개방되도록 하거나 비닐이 펼쳐져 하우스에 씌워진 형태가 되도록 하는 기기의 구조는 이미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기술은 차광망의 구동을 통한 광량 조절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하우스 시설에 비닐을 씌우는 기술을 적용하되 비닐이 아닌 차광망이 씌워지도록 함으로써 인삼 재배공간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인삼 재배를 위한 흙(상토)는 P.H 6-7 이 좋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왕겨나 코코피트 비율이 증가하면 PH가 약간 상승하더라도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상토는 피트모스, 코코피트, 왕겨, 고토석회(dolomite), 피마자박을 첨가하여 제조할 때 만족한 만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물분자변환살균장치(100a)로 공급되는 물은 필터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물분자변환살균장치의 앞쪽에 이물질 제거용 필터를 구비하는 것이다.
참고로 일반적인 물은 110∼180㎐로 나타나지만 물 분자 변환장치를 경우하면 58∼62㎐ 등과 같이 낮아지며,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된다.
1. 박스
3. 비닐
10. 차광수단
11. 차광망
20. 제어기
30. 온도측정수단
40. 온도조절수단
41. 물분사기
50. 습도측정수단
100. 생장수공급수단
100a. 물분자변환살균장치
100b. 배관
110. 물분자변환용자석봉
120. 하우징
121. 중공
122. 간격형성체
123. 살균몸체가이드
130. 살균몸체
131. 나선
140. 와류형성수단
141. 프로펠러
142. 와류형성돌기
200. 빗물차단수단

Claims (6)

  1. 인삼의 재배를 위한 시설에 있어서,
    하우스 형태를 이루되 빗물이 내부의 인삼에 직접 뿌려지지 않도록 빗물을 차단하는 빗물차단수단(200);
    인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은 배관을 통해 공급하되 공급되는 물이 자화 육각수화 되는 과정을 거쳐 공급되도록 공급될 물에 자력을 가하여 자화 육각수화 하는 물분자변환살균장치(100a)를 구비하고 있는 생장수공급수단(100);을 포함하여 구성된, 유기농 인삼의 재배시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자변환살균장치(100a)는 물이 유동되는 라인에 연결되고, 유동되는 물이 경유하게 되는 중공(21)을 갖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 내에 위치되어 중공(21)을 따라 유동되는 물에 자력을 가하여 유동되는 물이 자화 육각수가 되도록 하는 물분자변환용자석봉(10);
    상기 물분자변환용자석봉(10)의 외측에 위치되어 중공(21)을 따라 유동되면서 자화 육각수가 되는 물이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거나 은으로 코팅되어 있는 살균몸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기농 인삼의 재배시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몸체(30)는 코일 형태로 이루어져 있되 물분자변환용자석봉(10)에 감겨 있거나 물분자변환용자석봉(10)과의 사이에 간격(T1)을 두고 위치되어 있는, 유기농 인삼의 재배시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에는 중공(21) 내에서 물이 회전되면서 유동되도록 하는 와류형성수단(40)이 더 구비된, 유기농 인삼의 재배시설.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빛 투과량을 줄이기 위한 차광수단(10);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수단(40);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습도조절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있는, 유기농 인삼의 재배시설.
  6. 인삼의 재배 방법에 있어서,
    인삼에 빗물이 직접 뿌려지지 않도록 인삼의 상부를 차단하고, 인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은 배관을 통해 공급하되 공급되는 물이 자력에 의해 자화 육각수화 되는 과정을 거쳐 공급되도록 하는, 유기농 인삼의 재배방법.
KR1020140142710A 2014-10-21 2014-10-21 유기농 인삼의 재배시설 및 재배방법 KR101630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710A KR101630950B1 (ko) 2014-10-21 2014-10-21 유기농 인삼의 재배시설 및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710A KR101630950B1 (ko) 2014-10-21 2014-10-21 유기농 인삼의 재배시설 및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587A true KR20160046587A (ko) 2016-04-29
KR101630950B1 KR101630950B1 (ko) 2016-06-24

Family

ID=55915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710A KR101630950B1 (ko) 2014-10-21 2014-10-21 유기농 인삼의 재배시설 및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9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121B1 (ko) * 2018-12-11 2019-04-01 주식회사 에스앤엠 분무 생장 시스템
KR20210063040A (ko) 2019-11-22 2021-06-01 농업회사법인 그린생명주식회사 고형화된 무농약 인삼 분말을 함유하는 경구용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0964B1 (ko) 2020-12-30 2022-08-09 농업회사법인 그린생명주식회사 무농약 인삼을 이용한 인삼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2634B1 (ko) 2021-04-20 2023-02-23 김옥화 무농약 인삼을 이용한 인삼 미용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7090A (ko) * 2002-11-07 2002-12-31 박제희 항균기능을 강화한 정수 겸용 자활수 시스템
JP2007054691A (ja) * 2005-08-22 2007-03-08 Japan Magnetic Chemical Institute 放水用器具
KR20080061820A (ko) 2006-12-28 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탭가공된 냉각 통로관을 포함하는 진공 장비
KR20080109632A (ko) 2007-06-13 2008-12-17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자기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111512A (ko) 2009-04-07 2010-10-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기주의 1차 방어 반응을 억제하는 도열병 진균 유래의 신규 병원성 유전자 및 그 용도
KR101363632B1 (ko) * 2011-06-08 2014-03-20 (주)토경엔터프라이즈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발산되는 결합형 자기 처리장치
KR101459007B1 (ko) * 2012-09-14 2014-11-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유기농 인삼 재배 하우스 및 이를 이용한 유기농 인삼 재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7090A (ko) * 2002-11-07 2002-12-31 박제희 항균기능을 강화한 정수 겸용 자활수 시스템
JP2007054691A (ja) * 2005-08-22 2007-03-08 Japan Magnetic Chemical Institute 放水用器具
KR20080061820A (ko) 2006-12-28 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탭가공된 냉각 통로관을 포함하는 진공 장비
KR20080109632A (ko) 2007-06-13 2008-12-17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자기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111512A (ko) 2009-04-07 2010-10-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기주의 1차 방어 반응을 억제하는 도열병 진균 유래의 신규 병원성 유전자 및 그 용도
KR101363632B1 (ko) * 2011-06-08 2014-03-20 (주)토경엔터프라이즈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발산되는 결합형 자기 처리장치
KR101459007B1 (ko) * 2012-09-14 2014-11-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유기농 인삼 재배 하우스 및 이를 이용한 유기농 인삼 재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950B1 (ko) 2016-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950B1 (ko) 유기농 인삼의 재배시설 및 재배방법
CN104020799A (zh) 一种基于时令的节能温室控制系统
DE102019209014A1 (de) System und Verfahren zur Kultivierung eines Pflanzenbestandes
KR20160131147A (ko) 생육조절이 가능한 유기농 인삼 재배시설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농 인삼 재배방법
KR101816243B1 (ko) 수경재배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199872B1 (ko) 유기농 인삼의 재배를 위한 하우스시설 및 유기농 인삼의 재배방법
CN108513860B (zh) 一种立体种植食用菌的装置
CN106879444A (zh) 一种苗木扦插全光雾育苗工艺
CN204377543U (zh) 铁皮石斛的种植大棚
CN204948918U (zh) 一种铁皮石斛种植大棚
Palai et al. Effect of planting dates and photoperiod on growth and flowering of chrysanthemum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cv. yellow Reagan
US11785899B2 (en) Method for cultivating a crop, crop production unit and crop production system
KR20170009175A (ko) 태양광발전장치를 갖는 무농약 인삼 재배시설 및 그것을 사용한 인삼 재배방법
DE202014101488U1 (de) Vorrichtung zur hydroponischen Kultivierung
KR100496027B1 (ko) 삼 암그루에서 수꽃 형성을 유도하여 자성종자를 생산하는 방법
Sarmah et al. Effect of mulching on growth and flowering of gerbera (Gerbera jamesonii Bolus) cv. Red Gem under Assam Condition
JP4104082B1 (ja) 花付山葵の栽培方法および装置
JPS63276424A (ja) 植物生育方法及び装置
KR20200034937A (ko) 광량이 조절되는 하우스 내에서 인삼을 재배하는 방법
CN108967105A (zh) 一种通过环境调控防治蝴蝶兰细菌性软腐病的方法
JP7080153B2 (ja) 農作物のハウス栽培方法
Dixit et al. Effect of various organic inputs on growth and its attributes of tomato(Solanum lycopersicum L.) cv. GS-600 under polyhouse condition
CN106942035A (zh) 一种蓝莓选种及繁育方法
KR102325405B1 (ko) 액비,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인삼 노지 재배 시스템
KR20120004548U (ko) 컨테이너 식물농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