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872B1 - 유기농 인삼의 재배를 위한 하우스시설 및 유기농 인삼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농 인삼의 재배를 위한 하우스시설 및 유기농 인삼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872B1
KR101199872B1 KR1020120003664A KR20120003664A KR101199872B1 KR 101199872 B1 KR101199872 B1 KR 101199872B1 KR 1020120003664 A KR1020120003664 A KR 1020120003664A KR 20120003664 A KR20120003664 A KR 20120003664A KR 101199872 B1 KR101199872 B1 KR 101199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space
grown
temperature
hum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환
이원연
Original Assignee
한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56436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9987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용환 filed Critical 한용환
Priority to KR1020120003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농 인삼의 재배를 위한 하우스시설 및 유기농 인삼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삼 재배용 하우스 시설은,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빛 투과량을 줄이기 위한 차광수단;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광량이 인삼의 생육시기에 맞는 설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차광수단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인삼 재배용 하우스 시설은, 인삼에 가해지는 광량을 인삼의 생육조건에 적합하도록 조절할 수 있어 인삼이 병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농약을 살포하지 않고 인삼을 재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삼의 성장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져 고품질의 인삼을 얻을 수 있으며, 재배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 온도조절수단이나 습도조절수단을 통해 인삼의 생육에 접합한 온도나 습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경우 인삼이 병에 걸리는 것을 더욱 방지하여 농약 살포 없는 유기농 인삼을 재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삼의 성장이 더욱 원활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유기농 인삼의 재배를 위한 하우스시설 및 유기농 인삼의 재배방법{HOUSE FOR GINSENG GROWING AND GROW METHOD OF GINSE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삼의 재배를 위한 하우스 시설 및 인삼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인삼은 귀한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고가에 판매되어 농촌에 큰 소득을 가져오는 작물 중 하나이다.
그런데 환경의 변화 등으로 인해 재배 중인 인삼에 여러 가지 병해가 발생되어 농약의 사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농약의 살포 횟수는 건강을 위해 인삼을 먹는 것을 고려할 때 심각한 문제가 되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특히, 최근의 수요자들은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 유기농 채소나 과일을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현재 인삼재배 농가에서 실시되고 있는 인삼의 농약 살포 정도가 수요자들에게 널리 알려진다면 인삼의 수요는 급격히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또, 국외에서 고려인삼으로 알려져 수요가 많은 국내 인삼의 수출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한편, 인삼을 고부가 가치 상품으로 판매하기 위해서는 4년 내지 6년 정도로 상당히 긴 시간동안 재배가 이루어져야 했다.
종래의 인삼재배 시설은 수년 동안 한 장소에서 재배되기 때문에 재배과정에서 폭설, 홍수, 태풍, 폭우, 폭염, 가뭄 등의 기상재해 환경에 놓이는 경우가 많아 인삼농가에 큰 피해를 입히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 해소를 위해 안출된 한국 특허출원 제10-2008-0109632호 등은 단순히 인삼을 하우스 시설에서 재배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을 뿐이었다.
한국 특허출원 제10-2008-010963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농약 유기농 인삼을 재배할 수 있고, 인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인삼재배용 하우스 시설 및 인삼 재배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삼에 가해지는 광량을 인삼의 생육조건에 적합하도록 조절하여 인삼이 병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인삼의 성장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인삼의 생육에 적합한 온도와 습도 조건에 놓이도록 하여 병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인삼의 성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기농 인삼 재배방법은,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광량을 인삼의 생육시기에 맞게 조절하되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광량이 설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빛의 투과량을 조절하는 제어기를 통해 조절하면서 인삼을 재배하는 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유기농 인삼 재배시설은,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빛 투과량을 줄이기 위한 차광수단을 갖는다.
또,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광량이 설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차광수단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유기농 인삼 재배방법은,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광량을 인삼의 생육시기에 맞게 조절하되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어기가 차광수단을 움직여 빛의 투과량을 조절함으로써 광량을 조절한다.
또, 온도측정수단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와 인삼의 생육에 맞게 입력된 온도관련 데이터에 근거하여 온도조절수단의 구동을 제어기를 통해 제어함으로써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온도가 설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한다.
또, 습도측정수단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와 인삼의 생육에 맞게 입력된 습도관련 데이터에 근거하여 습도조절수단의 구동을 제어기를 통해 제어함으로서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습도가 설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인삼 재배용 하우스 시설은, 인삼에 가해지는 광량을 인삼의 생육조건에 적합하도록 조절할 수 있어 인삼이 병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농약을 살포하지 않고 인삼을 재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삼의 성장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져 고품질의 인삼을 얻을 수 있으며, 재배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 온도조절수단이나 습도조절수단을 통해 인삼의 생육에 접합한 온도나 습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경우 인삼이 병에 걸리는 것을 더욱 방지하여 농약 살포 없는 유기농 인삼을 재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삼의 성장이 더욱 원활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을 통해 무농약 인삼을 재배함으로써 인삼의 잎, 꽃, 열매도 식용이나 약재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기농 인삼의 재배를 위한 하우스시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인삼의 재배를 위한 하우스 시설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하우스 시설 내에는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은 무농약 유기농 인삼을 재배할 수 있고, 인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인삼용 하우스 재배시설 및 인삼 재배방법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오랜 연구와 노력 끝에 인삼을 재배할 때 적절한 광량을 설정해 주면 병해가 적어지거나 심각한 병해가 발생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단순히 광량을 일정하게 해주는 것이 아니라 인삼의 시기별 생육에 적합한 조건을 설정해주어야 하는 것이었다.
인삼의 시기별 생육에 적합한 조건을 설정해주는 경우 인삼이 건강하게 자라고 생육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져 인삼의 품질이 향상되는 결과를 발생시켰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잎이 나기 시작하는 인삼의 생육초기(봄)에는 광량을 높여 잎이 웃자라는 것을 방지해야 병해가 적고, 중기(여름)과 후기(가을)에는 광량을 상대적으로 낮추어 주어야 병이 적게 발생되며, 병이 발생되더라도 농약의 살포까지 필요할 정도로 발생되지는 않았다.
물론, 농약의 살포가 필요한 정도의 병이 발생되면 발생 초기에 해당 인삼을 인삼재배용 하우스 시설의 외부로 반출하여 병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이를 위해서 인삼재배용 상토가 각각 분리된 박스(1)에 채워져 위치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때 단열이 이루어지는 박스(1)를 사용하고 이러한 박스(1)를 다단식으로 위치시키면 공간 활용성이 우수해져 좁은 면적에서 많은 양의 인삼을 재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출원의 발명자는 유기농 인삼재배용 하우스 시설을 안출하였다.
이러한 하우스 시설은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빛 투과량을 줄이기 위한 차광수단(10)을 갖는다.
또,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광량이 설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차광수단(1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기(20)를 갖는다.
차광수단(10)은 통상의 인삼 재배시설에서 빛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차광망과 같은 형태의 것일 수 있다.
물론, 차광망의 형태가 아니더라도 빛을 가릴 수 있는 형태의 천이나 필름 등일 수도 있다.
상기 제어기(20)는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나 각종 전자기기의 제어기(20)와 같은 형태로서 차광수단(10)의 구동을 제어하여 인삼재배 공간의 광량을 조절한다.
제어기(20)에 차광수단(10)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입력함에 있어 작업자가 수시로 인삼의 생육상태를 확인하여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시기별로 광량의 조건을 입력해 놓으면 그러한 입력데이터에 근거하여 자동으로 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삼 재배공간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형태로는 복수 개의 차광망(11)을 위치시켜 놓고 인삼 재배공간의 광량을 줄이려고 할 때는 차광망으로 하우스 시설의 상부와 측면을 가리되 여러 겹으로 가리도록 할 수 있다.
즉, 한 개의 차광망 위에 또 다른 차광망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빛의 투과율이 다른 차광망을 복수 개 구비해 놓고 인삼 재배공간의 광량 설정에 맞는 차광망이 인삼 재배공간을 차단하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차광망이 하우스 시설의 상부는 가리면서 측면의 개방 정도는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인삼 재배공간의 광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인삼의 무농약 재배에 관한 연구과정에서 광량을 조절하는 것과 함께 인삼 재배공간의 온도나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해 줄 경우 병해 발생이 더욱 적어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물론, 온도조건과 습도조건 모두를 적절하게 유지해 줄 경우 병해 발생이 최소화되어 병해 발생이 거의 없는 결과도 얻을 수 있었다.
인삼의 잎이 나오기 시작하는 출아시기의 적온은 10~15℃가 바람직하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잎이 펴진 전엽 후 생육 적온은 21~25℃로 비교적 저온이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 30℃ 이상에서는 광합성 중단 및 호홉량이 증가되며, 30℃ 이상 일수가 7일이상 지속되면 고온장해가 발생되었다.
여름철 고온기에 외부기온이 30℃이상일 경우 인삼밭 내부 기온은 외부 기온 보다 3~4℃정도 높은 33~34℃까지 상승되고, 광합성 중단과 호홉량 증가로 고온장해 등이 발생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근비대 억제와 근비중이 저하되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삼 재배용 하우스 시설에는,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수단(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온도측정수단(30)은 온도감지센서를 갖는 형태가 바람직함)
또,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수단(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제어기(20)는 온도조절수단(40)의 구동을 제어하여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온도가 설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온도조절수단(4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온도가 설정된 수치 이상일 때 하우스 시설의 내부나 외부에 물을 분사하여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물분사기(41)을 갖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온도가 설정된 수치 이상일 때 하우스 시설의 내부에 냉풍을 공급하여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냉풍공급수단을 갖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상기와 같은 방식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나 경제성을 고려할 때 물분사기(41)을 갖는 형태가 좋다.
인삼 재배공간의 습도 조절을 위해서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수단(50)을 구비할 수 있다.(습도측정수단(50)은 습도측정센서를 갖는 형태가 바람직함)
또,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습도조절수단(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어기(20)는 습도조절수단(60)의 구동을 제어하여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습도가 설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한다.
습도조절수단(60)은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습도가 설정된 수치 이하일 때 물을 분사하는 가습기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의 가습기라는 것은 전술한 물분사기(41) 형태의 것일 수도 있다.
즉, 물을 분사하는 것만으로도 가습 효과가 발생되고, 인삼 재배공간의 온도 보다 낮은 온도의 물을 인삼 재배용 하우스 시설의 내부에 분사하면 온도를 낮추는 냉각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가습기를 갖는 구조에서 제어기(20)는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습도가 설정된 수치 이상일 때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을 환기시킴으로써 습도를 낮추어 줄 수 있다.
환기를 위해서 단순히 인삼재배용 하우스 시설의 상부나 측면을 개방하여 자연스럽게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나 환기팬의 구동에 의해 강제적인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인삼 재배용 하우스 시설의 상부(상부와 측면 모두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음)는 비닐(3) 등으로 차단되어 빗물이 인삼 재배공간으로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닐(3)이 씌워져 있다고 하더라도 그 상부나 하부에 차광망(11) 등이 위치되면 광량 조절은 가능하다.
물론, 하우스 시설에 씌워진 비닐은 필요에 따라 접혀지거나 말아져 개방되거나 반대로 펼쳐지도록 구현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비닐을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통해 인삼 재배공간의 온도를 조절 할 수도 있다.
농작물 재배용 하우스 시설(비닐 하우스 등)에서 비닐이 접히거나 말아져 재배공간이 개방되도록 하거나 비닐이 펼쳐져 하우스에 씌워진 형태가 되도록 하는 기기의 구조는 이미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기술은 차광망의 구동을 통한 광량 조절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하우스 시설에 비닐을 씌우는 기술을 적용하되 비닐이 아닌 차광망이 씌워지도록 함으로써 인삼 재배공간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인삼 재배를 위한 흙(상토)는 P.H 6-7 이 좋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왕겨나 코코피트 비율이 증가하면 PH가 약간 상승하더라도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상토는 피트모스, 코코피트, 왕겨, 고토석회(dolomite), 피마자박을 첨가하여 제조할 때 만족한 만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미설명 부호 2는 재배되는 인삼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관수장치이다.
10. 차광수단
11. 차광망
20. 제어기
30. 온도측정수단
40. 온도조절수단
41. 물분사기
50. 습도측정수단
60. 습도조절수단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인삼의 재배를 위한 하우스 시설에 있어서,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빛 투과량을 줄이기 위한 차광수단(10);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수단(30);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수단(40);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수단(50);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습도조절수단(60);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광량이 인삼의 생육시기에 맞는 설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차광수단(10)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온도조절수단(40)의 구동을 제어하여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온도가 설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하며, 습도조절수단(60)의 구동을 제어하여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습도가 설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하는 제어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기농 인삼의 재배를 위한 하우스시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40)은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온도가 설정된 수치 이상일 때 물을 분사하여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물분사기(41)나 냉풍을 공급하여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냉풍공급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농 인삼의 재배를 위한 하우스시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조절수단(60)은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습도가 설정된 수치 이하일 때 물을 분사하는 가습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20)는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습도가 설정된 수치 이상일 때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을 환기시키도록 된, 유기농 인삼의 재배를 위한 하우스시설.
  6. 인삼의 재배 방법에 있어서,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광량을 인삼의 생육시기에 맞게 조절하되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어기가 차광수단을 움직여 빛의 투과량을 조절함으로써 광량을 조절하고,
    온도측정수단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와 인삼의 생육에 맞게 입력된 온도관련 데이터에 근거하여 온도조절수단의 구동을 제어기를 통해 제어함으로써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온도가 설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하며,
    습도측정수단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와 인삼의 생육에 맞게 입력된 습도관련 데이터에 근거하여 습도조절수단의 구동을 제어기를 통해 제어함으로서 인삼이 재배되는 공간의 습도가 설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농 인삼의 재배방법.
KR1020120003664A 2012-01-12 2012-01-12 유기농 인삼의 재배를 위한 하우스시설 및 유기농 인삼의 재배방법 KR101199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664A KR101199872B1 (ko) 2012-01-12 2012-01-12 유기농 인삼의 재배를 위한 하우스시설 및 유기농 인삼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664A KR101199872B1 (ko) 2012-01-12 2012-01-12 유기농 인삼의 재배를 위한 하우스시설 및 유기농 인삼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9872B1 true KR101199872B1 (ko) 2012-11-16

Family

ID=47564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664A KR101199872B1 (ko) 2012-01-12 2012-01-12 유기농 인삼의 재배를 위한 하우스시설 및 유기농 인삼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87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0706A (zh) * 2016-03-31 2016-08-10 德清绿色阳光农业生态有限公司 一种抑制红掌骄阳黄叶再生的栽培方式
WO2016167419A1 (ko) * 2015-04-15 2016-10-20 김성헌 저온형 버섯재배용 공조시스템
CN107439309A (zh) * 2017-08-25 2017-12-08 南京裕泉生态园林有限公司 用于培育苗木的苗圃和使用该苗圃的苗木培育方法
KR20180047224A (ko) * 2016-10-31 2018-05-10 보령시농업기술센터 냉풍을 이용하는 밀폐형 인삼 재배 하우스 및 이를 이용한 인삼 재배방법
CN112449908A (zh) * 2020-11-25 2021-03-09 上海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设施栽培中的追光补光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805Y1 (ko) * 2002-08-08 2002-11-01 손경수 비닐하우스 실온 하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805Y1 (ko) * 2002-08-08 2002-11-01 손경수 비닐하우스 실온 하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419A1 (ko) * 2015-04-15 2016-10-20 김성헌 저온형 버섯재배용 공조시스템
CN105830706A (zh) * 2016-03-31 2016-08-10 德清绿色阳光农业生态有限公司 一种抑制红掌骄阳黄叶再生的栽培方式
KR20180047224A (ko) * 2016-10-31 2018-05-10 보령시농업기술센터 냉풍을 이용하는 밀폐형 인삼 재배 하우스 및 이를 이용한 인삼 재배방법
CN107439309A (zh) * 2017-08-25 2017-12-08 南京裕泉生态园林有限公司 用于培育苗木的苗圃和使用该苗圃的苗木培育方法
CN112449908A (zh) * 2020-11-25 2021-03-09 上海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设施栽培中的追光补光系统
CN112449908B (zh) * 2020-11-25 2023-03-07 上海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设施栽培中的追光补光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o et al. Effects of deficit irrigation on yield and water use of greenhouse grown cucumber in the North China Plain
KR101199872B1 (ko) 유기농 인삼의 재배를 위한 하우스시설 및 유기농 인삼의 재배방법
JP6369827B2 (ja) 植物の栽培方法及び植物の栽培装置
CN106478293B (zh) 一种火龙果低温环境的种植方法
Qian et al. Response of tomato crop growth and development to a vertical temperature gradient in a semi-closed greenhouse
Santosh et al. Influence of different protected cultivation structures on water requirements of winter vegetables
Bakker Greenhouse climate control: constraints and limitations
KR101321802B1 (ko) 유기농 묘삼의 하우스 재배 방법
Murali et al. Hydroponics
Argade et al. Effect of different shading intensities on growth and yield of cherry tomato
Kumar et al. Effect of irrigation levels and frequencies on yield, quality and water use efficiency of capsicum grown under protected conditions
CN104855088A (zh) 一种年产双季茭白的栽培方法
Patanè et al. Seed yield in kenaf (Hibiscus cannabinus L.) as affected by sowing time in South Italy
CN206713597U (zh) 一种高山蔬菜生态化种植装置
CN110558215A (zh) 一种有机蔬菜栽培方法及其使用的栽培槽和应用
Shukla et al. Effect of different micro climate on the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yield of capsicum
De Gelder et al. Validating the concept of the next generation greenhouse cultivation: an experiment with tomato
CN108812259A (zh) 提高温室有机基质型无土栽培厚皮甜瓜品质和产量的栽培方法
Lodhi et al. Low tunnel technology for vegetable crops in India
Srikanth et al. Impact of climate change in Capsicum production: A review
Olabisi et al. Principles for the Production of Tomatoes in the Greenhouse
Jayathilaka et al. Effectiveness of iot based automation system for salad cucumber (Cucumis sativus) cultivation in protected house under Sri Lankan conditions.
Adeogun Yield response of okra to irrigation frequency and amount in a sprinkler irrigation system
Makeen et al. Modification of microclimate for better growth and develop of summer tomato crop
Chauhan et al. Low cost protected cultivation of vegetable crops for sustainable farm inco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11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121105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30117

Decision date: 20140310

Appeal identifier: 201310000012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117

Effective date: 2014031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14031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30117

Decision date: 20140310

Appeal identifier: 2013100000129

PC2102 Extinguishment

Termination category: Others

Termination date: 2014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