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4937A - 광량이 조절되는 하우스 내에서 인삼을 재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광량이 조절되는 하우스 내에서 인삼을 재배하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34937A KR20200034937A KR1020190116265A KR20190116265A KR20200034937A KR 20200034937 A KR20200034937 A KR 20200034937A KR 1020190116265 A KR1020190116265 A KR 1020190116265A KR 20190116265 A KR20190116265 A KR 20190116265A KR 20200034937 A KR20200034937 A KR 202000349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nseng
- house
- cultivation
- soil
- temperature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41000361919 Metaphire siebold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973 irrig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262 irrig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253 clad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364 cultiv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775 Tyvek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29920000690 Tyvek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10438 grani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6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331 s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107131 ginseng root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07 kidne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55 vermicu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54 vermicul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902 vermicu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41000605272 Acidithiobacillus thiooxida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86073 Arthrobacter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8909 Bored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62974 Hyphomicrob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9323 Methylobacte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9309 Methylobacterium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9774 Pseudomona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47700 Vomit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29 anti-fatigu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48 aphrodisia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9 aphrodisia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96 appetite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10 cerebral cortex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81 deodor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1233061 earthworm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256 fatigu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92 genitali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84 ger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632 homeosta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421 hyperglyc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66 loss of appet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017 loss of appetit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99 lung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65 m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35 monocro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16 nutrient absorp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1 per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62 perl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553 photosynth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72 photosynth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3 photosynth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43 protein synth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83 soil fumig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75 sunscreen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16 sunscre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71 till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616 trans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054 trans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73 vomi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42 wellbe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3 yel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 A01G13/0231—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01G9/222—Lamellar or like blind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
- Y02A40/237—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 Y02A40/27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량이 조절되는 하우스 내에서 인삼을 재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하우스 골조에 타이벡을 씌우고, 지렁이 분변토와 마사토가 혼합된 상토에서 점적관수를 하여 인삼을 재배하는 방식으로 하우스 내의 광도와 온도를 조절하여 계절에 관계없이 생육이 우수한 인삼을 재배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량이 조절되는 하우스 내에서 인삼을 재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소비자의 웰빙 식품, 기능성 식품 등 안전 농산물에 대한 관심과 소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예로부터 인삼은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에 쓰이며 폐기능을 돕고, 안신작용 및 신기능을 높여 주는 등 뛰어난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대뇌피질 흥분과 억제, 평형, 항피로, 항노화, 면역증강, 신장수축, 성선촉진, 고혈당 억제, 단백질합성 촉진, 항상성 유지, 항암, 해독작용 등이 알려졌다. 이와 같은 효능 및 작용으로 인해 근래에는 인삼 성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삼 가공기술이 발달하면서 각종 음료, 음식 및 보양 약재 등의 다양한 형태로 사용 및 응용되어 빠른 속도로 대중화되고 있다.
그러나, 인삼은 성장 조건이 매우 까다로운 음지성 다년생 작물이다. 인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종자를 직파 또는 인삼을 이식하여 4~6년간 재배해야 하며, 한 장소에서 오랫동안 재배되므로 병충해 및 생리 장해의 피해가 큰 작물에 속한다. 또한, 인삼을 재배하기 전에 1~2년간 예정지 관리가 필요하므로, 다량의 유기질 사용과 10회 이상의 경운을 통해 토양을 개량하여 인삼의 생육에 알맞은 조건을 만들어 주어야 하지만, 관리 비용이 많이 들고 예정지 관리 기간에는 인삼 재배가 불가능하며, 예정지 관리를 완료한 토양에 인삼 종자의 파종 및 묘삼의 이식, 해가림 시설 설치, 병충해 및 잡초 방제, 채굴 등의 작업에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다. 게다가 인삼 주산지에서는 초작지 부족으로 연작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인삼을 재배하는 기간 중 빗물의 누수, 폭설, 태풍, 가뭄, 침관수, 고온, 저온 등의 자연재해와 염류 장해 등에 의한 황증, 적변 등의 피해가 많아 인삼의 안정적 생산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개발한 인삼의 하우스 재배는 빗물의 유입을 막아 병해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고, 폭풍우, 저온, 폭설 등에 의한 자연재해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연작 피해 및 농약잔류 해결과 예정지 관리, 농약살포 및 제초작업 등에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18-0047224호에는 '냉풍을 이용하는 밀폐형 인삼 재배 하우스 및 이를 이용한 인삼 재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17-0009175호에는 '태양광발전장치를 갖는 무농약 인삼 재배시설 및 그것을 사용한 인삼 재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타이벡 피복재, 지렁이 분변토와 마사토가 혼합된 상토 및 점적관수를 이용한, 광량이 조절되는 하우스 내에서 인삼을 재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하우스 골조에 비닐 대신 타이벡을 피복재로 씌운 재배시설 내에 지렁이 분변토와 마사토를 동량으로 혼합한 상토를 복토하고 점적호수를 매설한 후 관수하면서 인삼을 재배한 결과, 종래의 재배 방법에 비해 인삼 뿌리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일정하면서 길게 자란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재배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하우스 내의 인삼 재배용 상토에 점적호수를 매설한 후 관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의 하우스 재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타이벡을 피복재로 이용하여 인삼에 가해지는 광량을 인삼의 생육조건에 적합하도록 조절할 수 있고, 인삼 재배용 상토에 점적호수를 매설하여 인삼 재배에 적합한 수분함량을 유지할 수 있으며, 천연 유기질 비료인 지렁이 분변토를 인삼 재배용 상토로 사용함으로써 화학비료와 농약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면 인삼 재배 농가에서 저비용으로 고품질의 인삼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타이벡 하우스의 외부 및 내부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타이벡(Tyvek)이 씌워진 하우스 내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인삼 재배용 타이벡 하우스의 외부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빨간색 선; 하우스 골조에 타이벡이 씌워진 부분, 파란색 선; 하우스 골조에 비닐이 씌워진 부분.
도 4는 종래의 인삼 재배시설(A)과 본 발명의 타이벡을 이용한 인삼 재배시설(B)의 외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종래의 재배시설에서 재배된 인삼(A)과 본 발명의 타이벡을 이용한 재배시설에서 재배된 인삼(B)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타이벡(Tyvek)이 씌워진 하우스 내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인삼 재배용 타이벡 하우스의 외부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빨간색 선; 하우스 골조에 타이벡이 씌워진 부분, 파란색 선; 하우스 골조에 비닐이 씌워진 부분.
도 4는 종래의 인삼 재배시설(A)과 본 발명의 타이벡을 이용한 인삼 재배시설(B)의 외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종래의 재배시설에서 재배된 인삼(A)과 본 발명의 타이벡을 이용한 재배시설에서 재배된 인삼(B)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배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하우스 내의 인삼 재배용 상토에 점적호수를 매설한 후 관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의 하우스 재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인삼의 하우스 재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는 하우스 골조에 적외선 또는 자외선을 반사하는 피복재를 씌운 것으로, 상기 피복재는 바람직하게는 타이벡(Tyvek)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우스는 하우스 골조의 한쪽 측면 및 상부에 타이벡이 씌워져 있고, 다른 한쪽 측면에는 비닐이 씌워져 있다(도 3 참고). 하우스 골조에 타이벡을 씌워 전체 광량의 11~15%만 투과되도록 조절한 것으로, 인삼의 재배 특성을 고려하여, 계절 및 날씨 등을 고려하여 태양광의 입사각에 따라 타이벡의 개폐를 통해 통과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하우스 내의 온도는 저감시키고 작물의 생육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스는 습도 및 온도 조절을 위해 자동환풍기를 하우스 상부에 설치하고 뜨거운 공기가 자동환풍기로 포집될 수 있도록 포집용 비닐을 설치하였으며, 북측에는 하우스 하부에서 30 cm 높이까지 방충망을 설치하여 해충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고 차가운 공기가 들어올 수 있는 하부 고정식 측장을 설치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우스는, 추가로 하우스 상부에 분무시설을 설치하여 20~35분 간격으로 5~25초 동안 20~60 L의 물을 미스트 형태로 살포하여 하우스 실내 온도를 28~32℃로 유지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하우스 상부에 분무시설을 설치하여 25분 간격으로 10초 동안 30 L의 물을 미스트 형태로 살포하여 하우스 실내 온도를 30℃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물에 영양제 등을 혼합하여 분무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인삼 재배 과정에서 여름철 최적의 광도와 온도는 각각 10,000~13,000 lux, 29~31℃ 정도이며, 35℃ 이상으로 지속될 경우 고온장해와 같은 생리적 장해가 발생할 수 있고, 광합성 효율이 낮아지고 호흡량이 증가하여 인삼 잎이 타들어가 고사하거나 낙엽이져 생장이 멈추고 수량이 감소할 수 있다. 실내 온도가 35℃ 이상으로 증가하면 미스트 분무를 통하여 실내 온도를 29~30℃로 유지할 수 있으며, 실내 온도를 30℃ 부근으로 조절하여 광합성을 통해 영양분을 축적시킬 수 있다. 또한, 인삼 생육의 최적 온도는 대략 20~25℃로 근권부 온도가 저온일수록 고온장해에 견디는 힘이 커지는데, 기존의 차광막을 사용한 재배시설은 복사열에 의해 근권부의 온도가 올라가는 반면, 타이벡을 사용한 재배시설은 복사열에 의해 근권부의 온도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이벡을 하우스의 피복재로 사용하고 하우스 내부에 분무시설을 설치하여 미스트 형태로 물을 공급할 경우 인삼 재배에 최적 광도인 12,000 lux 및 최적의 실내 온도인 30℃와 최적의 근권부 온도인 23℃를 유지할 수 있다.
기존의 인삼 재배 하우스는 비닐하우스의 상부에 볏집, 부직포 또는 차광막 등의 피복재를 이중으로 씌운 것으로, 차광막으로 100% 차광하여도 실내온도는 40℃ 이상으로 유지된다. 또한, 비닐하우스 실내의 광량 조절을 위해 실내에서 타이벡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태양광의 열이 이미 하우스로 유입되어 태양광의 열을 차단하는 기능은 상실되어 하우스 내의 인삼 재배의 최적 온도 및 광량을 조절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인삼의 하우스 재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삼 재배용 상토는 바람직하게는 지렁이 분변토 및 마사토가 동량으로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피트모스(Peatmoss), 코코피트(Cocopeat), 펄라이트(Perl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등을 포함하는 인삼 전용 상토를 추가로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렁이 분변토(earthworm casts)는 지렁이가 흙과 유기물을 섭취 소화시켜서 배설한 것으로서, 매우 부드러운 입자로 되어 있어 토양과 쉽게 혼합될 수 있다. 지렁이 분변토는 티오바실러스 티오옥시단스(Thiobacillus thiooxidans), 슈도모나스(Pseudomonas sp .), 아트로박터(Arthrobacter sp .), 하이포마이크로비움 엑스(Hyphomicrobium X), 메틸로박테리움(Methylobacterium sp.) 등과 같은 다양한 미생물을 함유하고 있어서 생물학적 탈취제로서 이용될 수 있고, 비표면적이 크고 양이온 치환능력이 매우 우수하여 통기성 및 수분의 흡수성이 우수하다. 상기 마사토는 화강암이 풍화하여 생성된 흙으로 화강토라고도 불리며, 이물질 및 병균이 없고 배수력이 뛰어나 오염도가 낮으며, 마사토의 입자간 유격이 물빠짐과 토양의 혼합을 원활하게 하고 뿌리의 활착을 돕는다.
또한, 상기 인삼 재배용 상토는 활성토(토양의 활성화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으로, 부식한 톱밥이나 부식한 식물성박(껍데기) 등을 혼합한 통상의 것임)를 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활성토는 인삼의 기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삼 재배용 상토에 적정량 혼합됨에 따라 성인병 예방, 인체의 면역력 및 저항력의 향상 등과 같은 인삼의 우수한 약리적 효능이 극대화된 인삼을 재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인삼의 하우스 재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삼 재배용 상토는 인삼 수확 후 상토를 소독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삼을 수확한 후 상토를 증기살균 시스템 등으로 소독하여 병원균을 사멸시키고, 상토의 영양분을 분석하여 생육에 부족한 양분 또는 새로운 상토를 첨가하는 등의 방법으로 연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인삼의 하우스 재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수는 인삼 재배용 상토에 점적호수를 인삼 크기에 따라 7~32 cm 깊이로 매설하여 점적관수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종자를 파종할 경우 점적호수를 7~13 cm 깊이로 매설하여 점적관수할 수 있고, 유묘(묘삼)를 재배할 경우 점적호수를 13~32 cm 깊이로 매설하여 점적관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인삼 토양 수분함량은 18~21%가 되도록 유지해야 하며, 수분이 부족할 경우 발아가 불량하거나 뿌리 발생이 억제될 수 있고, 수분이 과다할 경우 통기성이 불량해져 뿌리의 호흡 작용이 억제되고 양분 흡수가 저해되어 어린 뿌리가 탈락할 뿐만 아니라 지상부도 말라죽을 수 있다. 따라서, 인삼 재배용 상토에 점적호수를 매설한 후 관수하여 상토가 촉촉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여름철 고온기에 인삼 재배에 적합한 수분 조건을 형성하여 인삼을 안전하게 생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삼 재배
본 발명은 인삼 종묘 또는 묘삼의 재배를 위해 타이벡으로 시공된 재배시설 실내에 마사토와 지렁이 분변토의 혼합물을 복토하고 점적호수를 땅에 매설하여 점적관수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타이벡 재배시설 실내에 마사토와 지렁이 분변토를 동량으로 혼합하여 40 cm로 복토한 후 토양 훈증제(soil fumigant)를 살포하고 2회 로터리하여 토양이 소독되도록 하였다. 관리기로 두둑을 90 cm 간격으로, 높이 30 cm의 고랑을 30 cm 간격으로 만들고 두둑(90 cm)의 양측면에서 15 cm씩 들어와서 20 cm 간격으로 점적호스(드리퍼 간격 15 cm)를 매설하였다. 이때 씨앗 직파인 경우에는 점적호수를 10 cm 깊이로 매설하였고 묘삼일 경우에는 년생에 따라 깊이를 깊게 하여 매설하였다. 점적호스를 매설한 후 두둑 상면을 편평하게 하고 파종장척을 이용하여 파종한 후 모래나 흙으로 균일하게 덮고 널판지로 가볍게 눌러주어 파종한 종자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짚으로 덮어주었다. 관수는 일일 2회 10분씩 관주하였고, 인삼의 재배 시 내부 온도가 35℃ 이상으로 증가하면 고온장해가 발생하므로 온도가 35℃ 이상일 경우 30분에 1회 미스트 분무하여 약 30℃로 유지하였으며 분무하는 과정에서 친환경 약제(자닮유황과 자닮오일 500배 희석액)를 같이 살포하였다(도 2). 또한, 여름철 인삼의 최적 생육 온도는 약 20~25℃이며 인삼 근권부의 온도가 저온일수록 고온장해에 견디는 힘이 커지는데, 기존의 차광막을 사용한 재배시설은 복사열에 의하여 근권부의 온도가 올라가는 반면, 타이벡을 사용한 재배시설은 근권부의 온도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1).
표 1에 기재된 인삼 재배 조건(8월 기준)에서 인삼 종자를 파종하고 2년간 재배된 본 발명의 인삼과 종래의 방법으로 재배된 인삼을 비교한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 방법으로 재배된 인삼은 뿌리의 상·하부 두께가 일정하지 않고 뿌리의 길이가 다소 짧았으나(길이 6~10 cm), 본 발명의 방법으로 재배된 인삼은 뿌리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일정하면서 뿌리가 길게 자란 것을 확인하였다(길이 11~14 cm).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면 새싹삼 재배에 적합한 묘삼 생산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일반비닐 재배시설(도 4A) | 본 발명의 인삼 재배시설(도 4B) | |
재배시설 | - 상부 점적관수 20 cm 간격 - 마사토 100% - 상부 차광망 75% |
- 지하부 10 cm 점적관수 20 cm 간격 - 마사토 50%, 지렁이 분변토 50% - 상부 타이벡 시공 - 상부 미스트 분무시설 설치 |
시설 내외 온도 |
- 외기온도 : 35℃ - 내부온도 : 45℃ - 근권부온도 : 27℃ |
- 외기온도 : 35℃ - 내부온도 : 36℃(미스트 미분무) - 내부온도 : 29℃(미스트 분무) - 근권부온도 : 23℃ |
Claims (5)
- 재배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하우스 내의 인삼 재배용 상토에 점적호수를 매설한 후 관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의 하우스 재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는 하우스 골조에 적외선을 반사하는 피복재를 씌우고, 태양광의 입사각에 따라 적외선을 반사하는 피복재의 개폐를 통해 광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의 하우스 재배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재배용 상토는 지렁이 분변토 및 마사토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의 하우스 재배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는 인삼 재배용 상토에 점적호수를 13~32 cm의 깊이로 매설하여 점적관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의 하우스 재배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는 추가로 하우스 상부에 분무시설을 설치하여 27~33분 간격으로 18~22초 동안 90~110 L의 물을 미스트 형태로 살포하여 하우스 실내 온도를 28~32℃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의 하우스 재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80113495 | 2018-09-21 | ||
KR1020180113495 | 2018-09-2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4937A true KR20200034937A (ko) | 2020-04-01 |
Family
ID=70276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6265A KR20200034937A (ko) | 2018-09-21 | 2019-09-20 | 광량이 조절되는 하우스 내에서 인삼을 재배하는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34937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598021A (zh) * | 2021-10-09 | 2021-11-05 | 南通透灵信息科技有限公司 | 智慧农业灌溉装置 |
-
2019
- 2019-09-20 KR KR1020190116265A patent/KR2020003493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598021A (zh) * | 2021-10-09 | 2021-11-05 | 南通透灵信息科技有限公司 | 智慧农业灌溉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415077C (zh) | 红叶石楠扦插繁殖方法 | |
CN111357584A (zh) | 一种大棚蔬菜早熟高效栽培方法 | |
CN102612981B (zh) | 多芽重楼的快速育苗方法 | |
CN102823408B (zh) | 一种金线莲大棚土壤种植方法 | |
CN104380962A (zh) | 一种早春番茄育苗和大棚栽培方法 | |
CN105993870A (zh) | 一种有机番茄的无土种植方法 | |
CN105027910A (zh) | 中山杉扦插工艺 | |
CN105746323A (zh) | 一种有机西葫芦的无土栽培方法 | |
KR101321802B1 (ko) | 유기농 묘삼의 하우스 재배 방법 | |
CN105981540A (zh) | Kf156中南128杂交人参的速成栽培方法 | |
CN105325158A (zh) | 一种韭黄种植方法及其专用散光降温热辐射调控膜 | |
CN104718946A (zh) | 亮剑尖椒的周年栽培方法 | |
CN103416179A (zh) | 一种人参果的快速扦插育苗方法 | |
CN205357543U (zh) | 一种铁皮石斛三角多层立体栽培装置 | |
CN107347604A (zh) | 一种盆栽欧洲水仙矮化的栽培方法 | |
CN105900662A (zh) | 一种有机韭菜无土半水培的种植方法 | |
CN106538366A (zh) | 一种利用苔藓和腐殖土栽培金线莲的方法 | |
CN101095392A (zh) | 日光温室越冬茄子无公害栽培方法 | |
KR20200034937A (ko) | 광량이 조절되는 하우스 내에서 인삼을 재배하는 방법 | |
CN112119844A (zh) | 一种高原地区温室大棚草莓轻简栽培技术 | |
CN106258876A (zh) | 一种铁皮石斛的种植方法 | |
CN105684704A (zh) | 一种霍山石斛立体式栽培方法 | |
CN105981554A (zh) | 一种大棚原生态种植铁皮石斛的方法 | |
CN101731070A (zh) | 日光温室越冬茄子无公害栽培方法 | |
CN106105735B (zh) | 一种用于虎尾兰设施种植的简约化控害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