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5314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5314A
KR20160045314A KR1020140140653A KR20140140653A KR20160045314A KR 20160045314 A KR20160045314 A KR 20160045314A KR 1020140140653 A KR1020140140653 A KR 1020140140653A KR 20140140653 A KR20140140653 A KR 20140140653A KR 20160045314 A KR20160045314 A KR 20160045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helf
storage space
refrigerato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1260B1 (ko
Inventor
유선일
권홍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0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260B1/ko
Priority to EP20190573.4A priority patent/EP3770538B1/en
Priority to ES15850110T priority patent/ES2821824T3/es
Priority to CN201580047043.8A priority patent/CN106605115B/zh
Priority to EP15850110.6A priority patent/EP3207319B1/en
Priority to US15/516,925 priority patent/US10113789B2/en
Priority to PCT/KR2015/011036 priority patent/WO2016060531A1/en
Publication of KR20160045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7Rotatable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고,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공간를 개폐하는 제 2 도어; 상기 제 1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선반; 및 상기 제2도어와 상기 선반의 회전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할 때 상기 선반을 외측으로 펼지고,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수납공간을 폐쇄할 때 상기 선반을 내측으로 접는 연결 모듈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냉장고 도어에 설치된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일정한 수용공간을 갖추어 음식물 등을 저온상태로 유지하는 장치로서, 저온 범위를 구분하여 영상으로 유지하는 냉장실과 영하로 유지하는 냉동실로 구획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냉장실 또는 냉동실을 냉각한다.
한편,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 및 에너지 효율 등을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가 구비되고 있다.
예컨대, 냉장고의 도어에는 식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도어에 형성된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홈바도어와, 홈바도어가 수납공간을 개방할 때, 수납공간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음료 용기 등 받칠 수 있는 선반을 구비한 냉장고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냉장고는, 홈바도어와 선반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홈바도어가 움직이면 선반도 동시에 움직여 선반위의 음료 용기 등이 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7855에 개시된다.
본 발명은, 홈바도어가 도어의 수납공간을 개방한 뒤, 선반이 홈바도어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고,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공간를 개폐하는 제 2 도어; 상기 제 1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선반; 및 상기 제2도어와 상기 선반의 회전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할 때 상기 선반을 외측으로 펼지고,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수납공간을 폐쇄할 때 상기 선반을 내측으로 접는 연결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제1도어의 내외부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제1도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슬롯이 상하로 형성된 이동부와, 일단은 상기 선반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부의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1도어의 내외부로 이동할 때 회동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할 때, 상기 선반이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상기 선반의 무게 중심은 상기 선반의 회전축을 상하로 통과하는 가상면을 기준으로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할 때 상기 선반이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상기 선반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며, 상기 선반이 외측으로 펼쳐져 수평 상태일 때 상기 제1도어의 내부면과 접촉되어 상기 선반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가 접촉되는 상기 제1도어의 내부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와 상기 제1도어의 내부면이 접촉할 때 접촉충격을 완화시켜주는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선반의 회전축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와, 상기 제1도어의 내외부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제1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랙 기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2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1도어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도어는, 상기 이동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를 가압하는 상기 가압편의 가압면은 만곡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도어가 회전하는 회전구간은,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이동부와 접촉되는 제1회전구간과,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이동부에서 이격되는 제2회전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제2도어가 수납공간을 개방한 뒤, 선반이 제2도어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2도어를 일회 가압하는 작동으로 상기 선반이 펼쳐지는 동작과 제2도어가 열리는 동작이 동시에 자동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제2도어가 닫혀질 때, 동시에 상기 선반도 상기 수납공간으로 접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가 열린 모습의 부분사시도,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제1도어에서 제2도어가 개방된 모습의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의 제2도어가 제1도어에 닫힐 때, 선반이 접히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 는 도 3의 A-A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5에서 연결 모듈과 선반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8 및 9는 도 1의 냉장고의 제1도어에 설치된 선반 및 연결 모듈과, 도 1의 냉장고의 제2도어에 설치된 가압편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가 열린 모습의 부분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제1도어에서 제2도어가 개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0)는 캐비닛(20)과 도어(30)를 포함한다.
상기 냉장고(10)는 상기 캐비닛(20)과 상기 도어(3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20)에는 식품 등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공간(20a, 20b)이 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20)의 내부에 형성된 저장공간(20a, 20b)은 상하에 각각 위치한 냉장실(20a)과 냉동실(20b)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는 상기 냉장실(20a)을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31)와 상기 냉동실(20b)을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31)에는 수납모듈(45)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수납모듈(45)의 내부에는 상기 냉장실(20a)과 구분되는 별도의 수납공간(3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모듈(45)의 내부에는 바스켓(46, basket) 등이 포켓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 음료 용기 또는 식품 등이 수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납공간(31a)은 상기 냉장실(20a)과 별도로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냉장실 도어(31)는 상기 냉장실(20a)을 개폐하는 제1도어(311)와, 상기 수납공간(31a)을 개폐하는 제2도어(31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1도어(311)가 상기 냉장실(20a)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312)는 상기 수납공간(31a)을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모듈(45)에는 상기 냉장실(20a)과 상기 수납공간(31a)을 구획하는 차단도어(4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도어(47)는 상기 수납모듈(45)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납공간(31a)을 상기 냉장실(20a)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차단도어(47)는, 상기 제1도어(311)가 닫히고, 상기 제2도어(312)가 상기 수납공간(31a)을 외부로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냉장실(20a)과 상기 수납공간(31a)을 구획하기 때문에, 상기 냉장실(20a)의 냉기가 상기 수납공간(31a)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311)는 일측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된 도어 힌지(door hinge, 33)에 의해 상기 캐비닛(20)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311)의 회동에 따라 상기 냉장실(20a)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311)의 배면 둘레에는 상기 제1도어(311)가 닫힐 때, 상기 캐비닛(20)의 전면 둘레와 접하는 제1실러(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러(71)는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압축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도어(311)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제1실러(71)가 상기 캐비닛(20)에 밀착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실러(71)는 상기 냉장실(20a)의 냉기가 상기 제1도어(31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제1도어(311)가 상기 냉장실(20a)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차단도어(47)도 수납공간(31a)을 외부로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냉장실(20a)과 상기 수납공간(31a)을 동시에 외부로 개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차단도어(47)가 상기 수납모듈(45)에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차단도어(47)와 상기 수납모듈(45)에는 제1록킹유닛(6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록킹유닛(61)은 제1래치 후크(62)와 제1래치 슬롯(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록킹유닛(61)은 사용자의가 상기 차단도어(47)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속여부가 전환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차단도어(47)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차단도어(47)를 닫아 누르면 상기 제1래치 후크(62)는 상기 제1래치 슬롯(63)에 삽입되어 상기 차단도어(47)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차단도어(47)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차단도어(47)를 누르면 상기 제1래치 후크(62)는 상기 제1래치 슬롯(63)에 이탈되어 상기 차단도어(47)가 열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도어(312)의 배면에는 상기 수납공간(31a)으로 돌출된 도어 바스켓(48)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스켓(48)은 식품 등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제2도어(312)가 닫혔을 때 상기 수납공간(31a)의 상기 바스켓(4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도어(312)의 배면 둘레에는 상기 제2도어(312)가 닫힐 때, 상기 제1도어(311)의 전면 둘레와 접하는 제2실러(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러(72)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압축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실러(72)는 상기 제2도어(31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311)의 전면과 밀착되어, 상기 제2도어(312)를 통해 상기 수납공간(31a)의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2도어(312)가 상기 제1도어(311)에 닫힌 상태롤 유지하도록 상기 제2도어(312)와 제1도어(311) 사이에는 제2록킹유닛(6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록킹유닛(65)은 제2래치 후크(66)와 제2래치 슬롯(6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록킹유닛(65)은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312)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속여부가 전환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도어(312)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312)를 닫아 누르면 상기 제2래치 후크(66)는 상기 제2래치 슬롯(67)에 삽입되어 상기 제2도어(312)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도어(312)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312)를 누르면 상기 제2래치 후크(66)는 상기 제2래치 슬롯(67)에 이탈되어 상기 제2도어(312)가 열릴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10)는, 상기 제1도어(311)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선반(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40)이 상기 수납공간(31a)의 외측으로 회동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선반(40)의 상면에는 식품 또는 음료 용기 등이 놓일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선반(40)은 상기 수납공간(31a)의 외부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제1도어(311)에 장착되며, 상기 제2도어(312)가 닫힌 상태에서는 접힌 상태를 유지하나, 상기 제2도어(312)가 열리면 상기 수납공간(31a) 외부로 회동하여 펼쳐질 수 있다.
즉, 상기 선반(40)의 동작과 상기 제2도어(312)의 동작은 서로 연동될 수 있는데, 상기 선반(40)의 동작과 상기 제2도어(312)의 동작의 연동은 후술하는 연결 모듈(5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40)은 사용자기 음료 용기 등을 쉽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상기 제1도어(311)의 하측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반(40)은 상기 제2도어(312)가 열릴 때 상기 제2도어(312)의 배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일 모서리(40a)는 만곡된 형상을 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의 제2도어가 제1도어에 닫힐 때, 선반이 접히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는 도 3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에서 연결 모듈과 선반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10)는 상기 연결 모듈(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모듈(50)은, 상기 제2도어(312)와 상기 선반(40)의 회전축(41)을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312)가 상기 수납공간(31a)을 개방할 때 상기 선반(40)은 외측으로 펼쳐질 수 있고, 상기 제2도어(312)가 상기 수납공간(31a)을 폐쇄할 때 상기 연결 모듈(50)에 의해 상기 선반(40)은 내측으로 접힐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모듈(50)은, 이동부(51)와 연결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1)는 일면(511)이 상기 제1도어(311)의 내외부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제1도어(311)에 설치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도어(311)의 일측에는 상기 이동부(51)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공(311a)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51)의 일면(511)은 상기 제1도어(311)의 상기 가이드공(311a)을 따라, 상기 제1도어(311)의 내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51)에는 상기 연결부(52)의 타단(522)이 회동할 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슬롯(51a)이 상하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52)의 일단(521)은 상기 선반(40)의 회전축(41)에 고정되고 타단(522)은 상기 이동부(51)의 슬롯(5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선반(40)이 상기 수납공간(31a)의 외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선반(40)의 회전축(41)이 회전할 때, 상기 연결부(52)의 일단(521)도 동시에 회동하고. 이때 상기 연결부(52)의 타단(522)은 상기 슬롯(51a)의 상하로 일회 왕복하면서 회동하여, 상기 이동부(51)의 일면(511)을 상기 제1도어(311)의 가이드공(311a)의 외부로 밀어낸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311)의 상기 가이드공(311a)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 있는 상기 이동부(51)의 일면(511)이, 상기 제2도어(312)에 구비된 가압편(80)에 의해 상기 제1도어(311)의 상기 가이드공(311a)의 내부로 이동할 때, 상기 연결부(52)의 타단(522)은 상기 슬롯(51a)에 의해 상기 슬롯(51a)의 상하로 일회 왕복하면서 회동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52)의 일단(521)은 상기 선반(40)의 회전축(41)을 회전시키고 이로 인하여 상기 선반(40)이 상기 수납공간(31a) 방향으로 접히게 된다.
도 8 및 9는 도 1의 냉장고의 제1도어에 설치된 선반 및 연결 모듈과, 도 1의 냉장고의 제2도어에 설치된 가압편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도어(312)는 상기 제2도어(312)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51)의 일면(511)을 상기 제1도어(311)의 상기 가이드공(311a)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상기 가압편(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편(80)이 상기 이동부(51)의 일면(511)을 가압하는 가압면(81)은 만곡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가압면(81)이 만곡된 형상일 경우, 상기 가압편(80)이 상기 이동부(51)의 일면(511)을 가압할 때, 상기 이동부(51)가 상기 가압편(80)에 가하는 하중을 상기 가압편(80)의 전체로 분산시킬 수 있고, 상기 가압면(81)이 순차적으로 미끌리면서 상기 이동부(51)의 일면(511)을 가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가압면(81)이 상기 이동부(51)의 일면(511)과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도어(312)가 회전하는 회전구간(R1, R2)은, 제1회전구간(R1)과 제2회전구간(R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구간(R1)은 상기 제2도어(312)가 상기 연결 모듈(50)과 접촉되는 구간이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312)가 상기 제1회전구간(R1)에서 움직일 경우, 상기 가압편(80)의 가압면(81)이 상기 이동부(51)의 일면(511)과 접촉되어 상기 선반(40)이 접어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상기 제2회전구간(R2)은 상기 제2도어(312)가 상기 연결 모듈(50)에서 이격되는 구간이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312)가 상기 제1회전구간(R1)에서 움직이더라도, 상기 가압편(80)의 가압면(81)은 상기 이동부(51)의 일면(511)과 이격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선반(40)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10)는, 사용자가 상기 선반(40)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도어(312)가 상기 제2회전구간(R2)에 내에서 움직이더라도, 상기 선반(40)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상기 선반(40)에 놓여진 식품 또는 용기 등이 넘어지지 않은 이점이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도어(312)가 상기 수납공간(31a)을 개방할 때, 상기 선반(40)이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상기 선반(40)의 무게 중심은 상기 선반(40)의 회전축(41)을 상하로 통과하는 가상면(41a)을 기준으로 외측(도면상 왼쪽)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도어(312)가 상기 수납공간(31a)을 폐쇄한 상태, 즉 상기 2도어(30)가 닫힌 상태일 때, 상기 선반(40)은 상기 수납공간(31a)의 외측으로 무게 중심을 형성되고, 따라서 상기 제2도어(312)가 개방될 때 상기 선반(40)은 중력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31a)의 외부로 펼쳐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10)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 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토션스프링(미도시)은 상기 제1도어(311)에 설치되며, 상기 제2도어(312)가 상기 수납공간(31a)을 개방할 때 상기 선반(40)이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상기 선반(40)의 회전축(41)을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냉장고(10)는 가압스프링(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입스프링(미도시)은, 상기 이동부(51)를 가압하여 상기 가이드공(311a)의 외부로 상기 이동부(51)의 일면(511)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도어(3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가입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2도어(312)가 상기 수납공간(31a)을 개방하는 동작과 상기 선반(40)이 상기 수납공간(31a)의 외측으로 펼쳐지는 동작이 동시에 원활히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51)는 스토퍼(5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12)는 상기 이동부(51)에 구비되며, 상기 선반(40)이 외측으로 펼쳐져 수평 상태일 때, 상기 제1도어(311)의 상기 가이드공(311a) 내부에 형성된 접촉부재(311b)와 접촉되어 상기 선반(4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10)는 댐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미도시)는 상기 스토퍼(512)와 상기 접촉부재(311b)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512)와 상기 접촉부재(311b)와 접촉할 때 접촉 충격을 완화시켜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 모듈은, 상기 선반(40)의 회전축(41)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pinion gear)와, 상기 제1도어(311)의 내외부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제1도어(311)에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랙 기어(rack gea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가 상기 가압편(80)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선반(40)은 내측으로 접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랙 기어가 상기 가압편(80)을 가압하면 상기 제2도어(312)가 열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c 및 도5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상기 제2도어(312), 연결 모듈(50) 및 상기 선반(40)의 동작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2도어(312)가 상기 수납공간(31a)을 개방할 때 상기 선반(40)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제2도어(312)가 상기 제2록킹유닛(65)에 의해 구속되어 닫혀 있을 때, 상기 제2도어(312)의 배면에 설치된 상기 가압편(80)은 상기 이동부(51)를 가압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312)를 누르면 상기 제2도어(312)는 상기 제2록킹유닛(65)에서 해제되어 상기 수납공간(31a)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 선반(40)의 무게 중심은 상기 선반(40)의 회전축(41)을 상하로 통과하는 가상면(41a)을 기준으로 외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2도어(312)가 상기 제2록킹유닛(65)에서 해제되면 제2도어(312)는 상기 수납공간(31a)의 외측으로 펼쳐질 수 있다.
상기 선반(40)의회전축(41)은 상기 연결부(52) 및 상기 이동부(51)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선반(40)이 상기 수납공간(31a)의 외측으로 펼쳐질 때 상기 선반(40)의 회전축(41)은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연결부(52)의 타단(522)은 상기 이동부(51)의 일면(511)을 상기 제1도어(311)의 상기 가이드공(311a)의 외부로 밀어낸다. 이때 상기 이동부(51)의 일면(511)은 상기 제2도어(312)의 배면에 형성된 가압편(80)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가압편(80)이 가압된 상기 제2도어(312)는 외부로 열리게 된다.
즉 상기 냉장고(10)는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312)를 1회 누름으로써, 상기 선반(40)이 상기 수납공간(31a)의 외부로 펼쳐지는 동작과, 상기 제2도어(312)가 상기 수납공간(31a)을 개방하는 동작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도어(312)가 상기 수납공간(31a)을 폐쇄할 때 상기 선반(40)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선반(40)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312)는 상기 제2회전구간(R2)에 위치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2도어(312)가 닫힐 때, 상기 제2도어(312)는 제1회전구간(R1)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편(80)은, 상기 제2도어(312)의 위치가 상기 제2회전구간(R2)에 상기 제1회전구간(R1)로 변경될 때 상기 이동부(51)의 일면(511)과 접촉되고, 상기 제1회전구간(R1)에서 상기 이동부(51)의 일면(511)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이동부(51)의 일면(511)이 가압되면, 상기 연결부(52)의 타단(522)은 상기 슬롯(51a)에 의해 상기 슬롯(51a)의 상하로 일회 왕복하면서 회동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52)의 일단(521)은 상기 선반(40)의 회전축(41)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선반(40)의 회전축(41)을 회전시키고, 상기 선반(40)은 상기 수납공간(31a)의 향하여 접힐 수 있다.
즉 상기 냉장고(10)는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312)를 회전시켜 상기 수납공간(31a)을 폐쇄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상기 선반(40)은 상기 수납공간(31a)의 내부로 접힐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냉장고 20:캐비닛
30:도어 311:제1도어
312:제2도어 40:선반
41:회전축 50:연결 모듈
51:이동부 51a:슬롯
52:연결부 80:가압편
R1:제1회전구간 R2:제2회전구간

Claims (11)

  1.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고,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공간를 개폐하는 제 2 도어;
    상기 제 1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선반; 및
    상기 제2도어와 상기 선반의 회전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할 때 상기 선반을 외측으로 펼지고,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수납공간을 폐쇄할 때 상기 선반을 내측으로 접는 연결 모듈을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제1도어의 내외부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제1도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슬롯이 상하로 형성된 이동부와,
    일단은 상기 선반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부의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1도어의 내외부로 이동할 때 회동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할 때, 상기 선반이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상기 선반의 무게 중심은 상기 선반의 회전축을 상하로 통과하는 가상면을 기준으로 외측에 형성된 냉장고.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수납공간을 개방할 때 상기 선반이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상기 선반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5. 제 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며, 상기 선반이 외측으로 펼쳐져 수평 상태일 때 상기 제1도어의 내부면과 접촉되어 상기 선반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가 접촉되는 상기 제1도어의 내부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와 상기 제1도어의 내부면이 접촉할 때 접촉충격을 완화시켜주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선반의 회전축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와,
    상기 제1도어의 내외부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제1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랙 기어을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2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1도어의 내부로 이동하는 냉장고.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는, 상기 이동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편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를 가압하는 상기 가압편의 가압면은 만곡된 형상인 냉장고.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가 회전하는 회전구간은,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이동부와 접촉되는 제1회전구간과,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이동부에서 이격되는 제2회전구간을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40140653A 2014-10-17 2014-10-17 냉장고 KR101691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653A KR101691260B1 (ko) 2014-10-17 2014-10-17 냉장고
EP20190573.4A EP3770538B1 (en) 2014-10-17 2015-10-19 Refrigerator
ES15850110T ES2821824T3 (es) 2014-10-17 2015-10-19 Frigorífico
CN201580047043.8A CN106605115B (zh) 2014-10-17 2015-10-19 冰箱
EP15850110.6A EP3207319B1 (en) 2014-10-17 2015-10-19 Refrigerator
US15/516,925 US10113789B2 (en) 2014-10-17 2015-10-19 Refrigerator
PCT/KR2015/011036 WO2016060531A1 (en) 2014-10-17 2015-10-19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653A KR101691260B1 (ko) 2014-10-17 2014-10-17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314A true KR20160045314A (ko) 2016-04-27
KR101691260B1 KR101691260B1 (ko) 2016-12-29

Family

ID=55746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653A KR101691260B1 (ko) 2014-10-17 2014-10-17 냉장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13789B2 (ko)
EP (2) EP3207319B1 (ko)
KR (1) KR101691260B1 (ko)
CN (1) CN106605115B (ko)
ES (1) ES2821824T3 (ko)
WO (1) WO20160605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700A (ko) * 2018-11-20 2020-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935B1 (ko) * 2014-10-22 201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070421B1 (en) * 2015-03-18 2019-06-0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577442B1 (ko) * 2016-06-07 202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된 접힘유도장치
CN108253708A (zh) * 2016-12-29 2018-07-0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家用电器
US10914507B2 (en) * 2017-06-06 2021-02-09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bin
CN111664640B (zh) * 2019-03-05 2022-11-11 Bsh家用电器有限公司 具有包括覆盖件的门装置的家用制冷器具
CN112484386A (zh) * 2019-09-11 2021-03-1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搁物架及冰箱
US11215391B1 (en) * 2020-12-01 2022-01-0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taged access door for a home appliance
US11668513B2 (en) 2020-12-01 2023-06-0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taged access door for a home appliance
CN115839581A (zh) * 2021-09-18 2023-03-24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7855A (ko) * 2010-08-20 2012-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2771A (en) * 1934-03-30 1938-03-29 Nash Kelvinator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2062360A (en) * 1934-03-30 1936-12-01 Kelvinator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JPH06103146B2 (ja) * 1989-11-16 1994-12-14 三洋電機株式会社 冷蔵庫
CN1683854A (zh) * 2004-04-12 2005-10-1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冰箱显示器部锁的结构
KR20070039522A (ko) * 2004-07-23 2007-04-12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식기세척기 내에 날붙이를 적재하기 위한 장치
TWM284285U (en) 2005-07-13 2006-01-01 Yu Yu Ting Foldable type multi-function load bearing device
US8640482B2 (en) 2006-08-11 2014-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aving folding shelf
KR101055736B1 (ko) 2008-09-30 2011-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
KR101307681B1 (ko) * 2009-06-03 2013-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923471B1 (ko) * 2011-10-04 2018-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298070B1 (ko) * 2011-10-20 2013-08-20 라현진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공간 가변형 냉장고
KR101844072B1 (ko) 2011-11-11 2018-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918296B1 (ko) 2012-06-21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070421B1 (en) * 2015-03-18 2019-06-0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7855A (ko) * 2010-08-20 2012-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700A (ko) * 2018-11-20 2020-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70538A1 (en) 2021-01-27
EP3770538B1 (en) 2022-02-16
CN106605115A (zh) 2017-04-26
ES2821824T3 (es) 2021-04-27
EP3207319A1 (en) 2017-08-23
EP3207319A4 (en) 2018-05-23
US10113789B2 (en) 2018-10-30
KR101691260B1 (ko) 2016-12-29
CN106605115B (zh) 2019-07-30
WO2016060531A1 (en) 2016-04-21
EP3207319B1 (en) 2020-09-23
US20170299256A1 (en)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260B1 (ko) 냉장고
EP2770284B1 (en) Refrigerator
KR102391409B1 (ko) 냉장고
CN103069235B (zh) 冰箱
US9845628B2 (en) Refrigerator
KR101844072B1 (ko) 냉장고
EP3034973B1 (en) Refrigerator
EP2578972B1 (en) Refrigerator
US9920557B2 (en) Refrigerator
US9534828B2 (en) Refrigerator
KR102567513B1 (ko) 냉장고
KR101651334B1 (ko) 냉장고
CN104613714A (zh) 冰箱
US10393424B2 (en) Refrigerator
KR102227959B1 (ko) 냉장고
CN212205250U (zh) 抽屉组件及冰箱
WO2017134219A1 (en) A drawer comprising phase changing material and a refrigerator wherein the same is used
CN219913592U (zh) 具有可移动模块的冰箱
CN111750602B (zh) 冷藏冷冻装置
KR20170071039A (ko) 냉장고
KR101649529B1 (ko) 냉장고
KR20150015327A (ko) 도어 및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