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334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334B1
KR101651334B1 KR1020140140655A KR20140140655A KR101651334B1 KR 101651334 B1 KR101651334 B1 KR 101651334B1 KR 1020140140655 A KR1020140140655 A KR 1020140140655A KR 20140140655 A KR20140140655 A KR 20140140655A KR 101651334 B1 KR101651334 B1 KR 101651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door
duct
cool air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5316A (ko
Inventor
유선일
허준이
김형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0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334B1/ko
Publication of KR20160045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부;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고, 내부에는 상기 저장공간과 구획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제 1 도어; 및 상기 캐비닛 및 상기 제1도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냉기 공급부의 냉기를 상기 수납공간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냉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냉기덕트는,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폐쇄할 때 상기 냉기 공급부와 상기 수납공간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개방할 때 상기 냉기 공급부와 상기 수납공간의 연결을 차단하는 냉장고를 제고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냉장고 도어에 형성된 수납공간의 냉기 공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일정한 수용공간을 갖추어 음식물 등을 저온상태로 유지하는 장치로서, 저온 범위를 구분하여 영상으로 유지하는 냉장실과 영하로 유지하는 냉동실로 구획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냉장실 또는 냉동실을 냉각한다.
한편,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 및 에너지 효율 등을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가 구비되고 있다.
예컨대, 냉장고의 도어에는 식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도어에 형성된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홈바도어와, 홈바도어가 수납공간을 개방할 때, 수납공간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음료 용기 등 받칠 수 있는 선반을 구비한 냉장고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냉장고는, 홈바도어 개방시 냉장실의 냉기가 수납공간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가 있고, 도어에 형성된 수납공간의 냉각성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7855에 개시된다.
본 발명은, 홈바도어 개방 시 냉장실의 냉기의 유출을 차단하고, 도어에 형성된 수납공간의 냉각성능을 개선한 냉장고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부;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고, 내부에는 상기 저장공간과 구획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제 1 도어; 및 상기 캐비닛 및 상기 제1도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냉기 공급부의 냉기를 상기 수납공간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냉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냉기덕트는,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폐쇄할 때 상기 냉기 공급부와 상기 수납공간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개방할 때 상기 냉기 공급부와 상기 수납공간의 연결을 차단한다.
상기 냉기덕트는, 일단은 상기 냉기 공급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캐비닛의 저장공간으로 연통되는 제1덕트와, 일단은 상기 제1덕트의 타단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제2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덕트에 구비되어 냉기를 상기 수납공간으로 유동시키는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상기 제2덕트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폐쇄할 때 상기 제1덕트와 상기 제2덕트는 서로 연통되고,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개방할 때 상기 제1덕트와 상기 제2덕트는 서로 단절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에는 수납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수납모듈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모듈은,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하는 바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로 구획된 상기 수납공간으로 각각 냉기를 토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덕트는 상기 복수의 관통공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은 상기 수납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수납공간을 상기 저장공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단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외부로 개폐하는 제2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제2도어가 수납공간을 개방하여도 냉장실의 냉기가 수납공간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도어의 수납공간에 냉기 공급부의 냉기를 전달할 수 있어 냉각성능이 개선된다.
또한 복수개로 구획된 수납공간의 각 층 마다, 별도록 냉기를 공급할 수 있어, 수납공간 전체를 빠르게 냉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제1도어가 열린 모습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1도어에서 제2도어가 열린 후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제1도어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2의 A-A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제1도어가 열린 모습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제1도어에서 제2도어가 열린 후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제1도어의 우측면도이고, 도 5는 도2의 A-A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캐비닛(10), 냉기 공급부(미도시), 도어(20) 및 냉기덕트(31, 32)를 포함한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캐비닛(10)과 상기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에는 식품 등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공간(10a, 10b)이 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형성된 저장공간(10a, 10b)은 상하에 각각 위치한 냉장실(10a)과 냉동실(10b)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냉기 공급부(미도시)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상기 냉장실(10a)과 냉동실(10b)에 공급한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0a)을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21)와 상기 냉동실(10b)을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1)에는 수납모듈(40)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수납모듈(40)의 내부에는 상기 냉장실(10a)과 구분되는 별도의 수납공간(2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기 공급부(미도시)의 냉기는 상기 수납공간(21a)에 상기 냉기덕트(31, 32)을 통해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수납모듈(40)은 케이스(41)와 바스켓(4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케이스(41)는 상기 수납모듈(40)의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21a)은 케이스(41)의 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스켓(42)은 상기 케이스(41)의 내부에 포켓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음료 용기 또는 식품 등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42)은 상기 수납공간(21a)을 상하로 복수개로 구획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납공간(21a)은 상기 냉장실(10a)과 별도로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냉장실 도어(21)는 상기 냉장실(10a)을 개폐하는 제1도어(211)와, 상기 수납공간(21a)을 개폐하는 제2도어(21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1도어(211)가 상기 냉장실(10a)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212)는 상기 수납공간(21a)을 외부로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모듈(40)에는 상기 냉장실(10a)과 상기 수납공간(21a)을 구획하는 차단도어(43)가 구비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상기 차단도어(43)는 상기 케이스(41)에 일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차단도어(43)는, 상기 제2도어(212)가 상기 수납공간(21a)을 외부로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냉장실(10a)과 상기 수납공간(21a)을 구획하기 때문에, 상기 냉장실(10a)의 냉기가 상기 수납공간(21a)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211)는 일측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된 도어 힌지(door hinge, 23)에 의해 상기 캐비닛(10)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211)의 회동에 따라 상기 냉장실(10a)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211)의 배면 둘레에는 상기 제1도어(211)가 닫힐 때,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둘레와 접하는 제1실러(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러(71)는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압축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211)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제1실러(71)가 상기 캐비닛(10)에 밀착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실러(71)는 상기 냉장실(10a)의 냉기가 상기 제1도어(21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도어(211)가 상기 냉장실(10a)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차단도어(43)도 수납공간(21a)을 외부로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냉장실(10a)과 상기 수납공간(21a)을 동시에 외부로 개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차단도어(43)가 상기 상기 케이스(41)에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차단도어(43)와 상기 상기 케이스(41) 사이에는 제1록킹유닛(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록킹유닛(미도시)은 제1래치 후크와 제1래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록킹유닛(미도시)은 사용자의가 상기 차단도어(43)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속여부가 전환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차단도어(43)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차단도어(43)를 닫아 누르면 상기 제1래치 후크는 상기 제1래치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차단도어(43)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차단도어(43)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차단도어(43)를 누르면 상기 제1래치 후크는 상기 제1래치 슬롯에 이탈되어 상기 차단도어(43)가 열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도어(212)의 배면 둘레에는 상기 제2도어(212)가 닫힐 때, 상기 제1도어(211)의 전면 둘레와 접하는 제2실러(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러(72)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압축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실러(72)는 상기 제2도어(21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211)의 전면과 밀착되어, 상기 제2도어(212)를 통해 상기 수납공간(21a)의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2도어(212)가 상기 제1도어(211)에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도어(212)와 제1도어(211) 사이에는 제2록킹유닛(6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록킹유닛(65)은 제2래치 후크(66)와 제2래치 슬롯(6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록킹유닛(65)은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212)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속여부가 전환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도어(212)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212)를 닫아 누르면 상기 제2래치 후크(66)는 상기 제2래치 슬롯(67)에 삽입되어 상기 제2도어(212)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도어(212)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212)를 누르면 상기 제2래치 후크(66)는 상기 제2래치 슬롯(67)에 이탈되어 상기 제2도어(212)가 열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기 공급부(미도시)의 냉기는 상기 수납공간(21a)에 전달하는 상기 냉기덕트(31, 32)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냉기덕트(31, 32)는, 제1덕트(31)와 제2덕트(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1)의 일단은 상기 냉기 공급부(미도시)와 연통되고, 상기 제1덕트(31)의 타단은 상기 캐비닛(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홀 연결부(11)을 통해 후술하는 제2홀 연결부(411)와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홀 연결부(11)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덕트(31)의 냉기를 상기 제2홀 연결부(411)로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제2덕트(32)의 일단은 상기 제1덕트(31)의 타단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고, 상기 제2덕트(32)의 타단은 상기 수납공간(21a)과 연통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덕트(32)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41)에 설치된 제2홀 연결부(411)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2홀 연결부(411)에도 복수의 구멍이 형성될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홀 연결부(411)는 상기 제1홀 연결부(11)으로부터 전달된 냉기를 상기 제2덕트(32)로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덕트(32)의 타단은 상기 케이스(41)에 형성된 관통공(40a)에 연결되어 냉기를 수납공간(21a)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관통공(40a)은 그리고 상기 바스켓(42)에 의해 복수개로 구획된 상기 수납공간(21a)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41)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납공간(21a)이 상기 바스켓(42)에 의해 상하로 제1수납공간(211a), 제2수납공간(212a) 및 제3 수납공간(213a) 을 구획되면 상기 관통공(40a)은 상기 제1수납공간(21a)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제1관통공(401a), 상기 제2수납공간(212a)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제2관통공(402a), 및 상기 제3수납공간(213a)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제3관통공(403a)으로 상기 케이스(41)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2덕트(32)는, 복수개로 구획된 상기 수납공간(21a)의 각 층 마다, 복수의 상기 관통공(40a)을 통해 각각 개별적으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어, 상기 수납공간(21a) 전체를 빠르게 냉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기덕트(31, 32)에는 팬(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미도시)은 상기 제2덕트(32)에 구비되어 냉기를 상기 수납공간(21a)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덕트(31)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1덕트(31)에서 냉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차단막(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막(미도시)은 상기 제1도어(211)와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도어(211)가 상기 냉장실(10a)을 개방할 때 상기 차단막(미도시)은 상기 제1덕트(31)을 막아 상기 제1덕트(31)에서 냉기가 유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단막(미도시)은 상기 제1도어(211)가 열릴 때 상기 제1덕트(31)를 통해 외부로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냉기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도어(211)의 동작에 따른 상기 제1덕트(31)와 상기 제2덕트(32)를 통한 냉기의 유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1도어(211)가 상기 냉장실(10a)을 폐쇄할 때, 상기 냉기덕트(31, 32)는 상기 냉기 공급부(미도시)의 냉기를 상기 수납공간(21a)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도어(211)가 상기 저장공간을 폐쇄할 때 상기 제1홀 연결부(11)의 일면과 제2홀 연결부(411)은 서로 접촉되고, 상기 제1홀 연결부(11)의 일면과 제2홀 연결부(411)에 각각 형성된 홀은 서로 연통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덕트(31)와 상기 제2덕트(32)가 서로 연통되고, 상기 냉기 공급부(미도시)의 냉기는 상기 제1덕트(31) 및 제2덕트(32)를 순차적으로 지나 상기 수납공간(21a)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냉기덕트(31, 32)는 상기 제1도어(211)가 상기 냉장실(10a)을 개방할 때, 상기 냉기덕트(31, 32)는 상기 냉기 공급부(미도시)의 냉기가 상기 수납공간(21a)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도어(211)가 상기 저장공간을 개방할 때 상기 제1홀 연결부(11)의 일면과 제2홀 연결부(411)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홀 연결부(11)의 일면과 제2홀 연결부(411)에 각각 형성된 홀의 연결은 차단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덕트(31)와 상기 제2덕트(32)는 서로 단절되고 상기 냉기 공급부(미도시)의 냉기가 상기 수납공간(21a)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211)가 상기 냉장실(10a)을 개방할 때 상기 차단막(미도시)는 상기 제1덕트(31)를 차단하기 때문에 상기 제1덕트(31)를 통해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냉장고 10:캐비닛
20:도어 211:제1도어
212:제2도어 31, 32:냉기덕트
31:제1덕트 32:제2덕트
40:수납모듈 41:케이스
42:바스켓 43:차단도어

Claims (11)

  1.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부;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고, 내부에는 상기 저장공간과 구획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의 전면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제2도어; 및
    상기 캐비닛 및 상기 제1도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냉기 공급부의 냉기를 상기 수납공간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냉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냉기덕트는,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폐쇄할 때 상기 냉기 공급부와 상기 수납공간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개방할 때 상기 냉기 공급부와 상기 수납공간의 연결을 차단하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덕트는,
    일단은 상기 냉기 공급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캐비닛의 저장공간으로 연통되는 제1덕트와,
    일단은 상기 제1덕트의 타단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제2덕트를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덕트에 구비되어 냉기를 상기 수납공간으로 유동시키는 팬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제2덕트에 구비된 냉장고.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폐쇄할 때 상기 제1덕트와 상기 제2덕트는 서로 연통되고,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개방할 때 상기 제1덕트와 상기 제2덕트는 서로 단절되는 냉장고.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에는 수납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수납모듈 내부에 형성된 냉장고.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모듈은,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하는 바스켓을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7항에 있어서,
    복수개로 구획된 상기 수납공간으로 각각 냉기를 토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덕트는 상기 복수의 관통공과 연통된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수납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로 구획하는 냉장고.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수납공간을 상기 저장공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단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11. 삭제
KR1020140140655A 2014-10-17 2014-10-17 냉장고 KR101651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655A KR101651334B1 (ko) 2014-10-17 2014-10-17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655A KR101651334B1 (ko) 2014-10-17 2014-10-17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316A KR20160045316A (ko) 2016-04-27
KR101651334B1 true KR101651334B1 (ko) 2016-08-25

Family

ID=5591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655A KR101651334B1 (ko) 2014-10-17 2014-10-17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3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0199B2 (en) 2015-11-02 2024-03-2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83974A (zh) * 2020-09-15 2022-03-15 合肥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4183965A (zh) * 2020-09-15 2022-03-15 沈阳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4183966B (zh) * 2020-09-15 2023-03-17 沈阳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的控制方法和计算机存储介质
CN114183977A (zh) * 2020-09-15 2022-03-1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4183957B (zh) * 2020-09-15 2022-09-20 重庆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冰箱及其控制方法
CN116817518A (zh) * 2022-03-22 2023-09-2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6817519A (zh) * 2022-03-22 2023-09-2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331Y1 (ko) * 1996-09-04 1999-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바를 가진 냉장고
KR100887575B1 (ko) * 2002-04-22 2009-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중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10041659A (ko) * 2009-10-16 2011-04-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양문형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0199B2 (en) 2015-11-02 2024-03-2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953257B2 (en) 2015-11-02 2024-04-0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316A (ko)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334B1 (ko) 냉장고
US10465975B2 (en) Refrigerator
EP2627956B1 (en) Refrigerator
US11029071B2 (en) Refrigerator
EP3023717B1 (en) Refrigerator
US9353983B2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variable temperature compartment
US9841224B2 (en) Refrigerator appliances with passive storage compartments
KR102338471B1 (ko) 냉장고
US10634418B2 (en) Refrigerator
KR102417751B1 (ko) 냉장고
EP3314180B1 (en) Refrigerator
KR20160077741A (ko) 냉장고
KR20150027979A (ko) 냉장고
KR101496679B1 (ko) 냉장고
CN107120894B (zh) 变容积冷冻冷藏风冷式制冷设备
CN111512103B (zh) 具有门装式制冰系统的冰箱
JP2001227856A (ja) 冷蔵庫
AU2014279424B2 (en) Refrigerator
JP2004053227A (ja) 冷却貯蔵庫
JP6349549B2 (ja) 冷蔵庫
ITTO20100556A1 (it) Apparecchio di refrigerazione espandibile
CN113531987B (zh) 冰箱
US20230375249A1 (en) Refrigerator appliance
US20230221055A1 (en) Refrigerator
JP7056199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