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835A -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835A
KR20160044835A KR1020140139807A KR20140139807A KR20160044835A KR 20160044835 A KR20160044835 A KR 20160044835A KR 1020140139807 A KR1020140139807 A KR 1020140139807A KR 20140139807 A KR20140139807 A KR 20140139807A KR 20160044835 A KR20160044835 A KR 20160044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disease
information
estrus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6643B1 (ko
Inventor
안순현
Original Assignee
렉스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렉스젠(주) filed Critical 렉스젠(주)
Priority to KR1020140139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643B1/ko
Publication of KR20160044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1/00Devices for assisting or preventing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 관리 시스템은, 소정 크기의 감시 대상 구역 내 가축들 각각에 장착 또는 삽입된 송신 모듈들로부터 식별 아이디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장치; 및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가축들 각각의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위치 좌표값을 기초로 상기 가축들 각각의 군집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발정 또는 질병 여부를 알리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축 관리 방법을 통해 감시 대상 구역 내에 분포되어 있는 가축들의 군집 행동 여부, 상태 여부 등을 파악함으로써, 가축의 질병 또는 발정 발생 여부를 관리자에게 빠르고 정확하게 알릴 수 있음은 물론, 해당 가축의 활동 시점의 영상을 추출하여 관리자에게 함께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가축의 이상 움직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APPARATUS FOR MANAGING LIVESTOCK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축의 군집 행동 패턴에 따라 가축의 질병/발정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질병/발정이 확인된 가축에 대한 영상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객체 관리 기술은 영상 혹은 센싱된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를 검출 및 인식하고, 그 정보를 효과적으로 저장 및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현재 보안 및 감시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기존의 대표적인 객체 관리 기술로, 영상 내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마다 번호를 붙여 관리하는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각 객체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객체의 형태, 모양, 부착표 등을 통해 객체를 인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는 기술이다.
객체 관리 기술은 다양한 곳에 응용이 가능한데, 그 대표적인 예로 소정 크기의 공간 내 소, 염소 등의 가축을 관리하는 가축 관리 시스템이 있다.
이 시스템은 영상을 통해 각 가축에 부착된 표식을 인식하여 다수의 가축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영상 신호에서 검출한 표식을 이용하여 가축을 관리하기 때문에, 객체 수나 가축 식별 등에 상당히 유용하다.
기존 축사에서의 가축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1)영상 신호 내에서 가축에 부착된 표식을 검출하고 2)검출된 표식을 인식한 후, 3) 표식의 높이 변화량을 산출하여, 4) 산출된 높이 변화량이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발정 여부를 판단한다.
하지만, 기존의 가축 관리 시스템은 영상 내 표식을 실시간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식별력이 저하되는 야간이나, 객체(예를 들어, 소, 양)가 카메라를 등지는 행위, 누워있는 행위 등과 같이 표식을 가리는 행위를 하게 되면, 시스템이 영상 신호 내 표식을 검출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러한 영상을 통한 가축 관리 시스템 외에도, 가축에 센서 장치를 부착하여 가축의 존재 여부, 심박수 등을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여 가축이 공간을 벗어났는지, 건강상 문제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있다. 하지만 이 역시, 가축의 존재 여부나 심박수만 파악할 뿐, 해당 가축의 이동 경로를 추정하거나, 발정 여부 및 움직임 이상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가축 관리 기술들은, 다양한 연구를 거듭하여 인식률과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있으나, 객체의 정확한 위치나 움직임, 이동 경로, 건강 여부 등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기에는 많은 부분 부족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10-0808852(2008.03.07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가축의 군집 행동 패턴에 따라 가축의 질병/발정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질병/발정이 확인된 가축에 대한 영상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의 실시 예에 따른 가축 관리 시스템은, 소정 크기의 감시 대상 구역 내 가축들 각각에 장착 또는 삽입된 송신 모듈들로부터 식별 아이디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장치; 및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가축들 각각의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위치 좌표값을 기초로 상기 가축들 각각의 군집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발정 또는 질병 여부를 알리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는 위치 좌표 산출부; 상기 가축들 각각의 발정 또는 질병 여부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상기 감시 대상 구역을 분할 또는 전체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발정 또는 질병으로 판단한 가축에 대한 영상을 상기 영상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영상 추출부; 및 상기 발정 또는 질병으로 판단한 가축을 관리자에 알리고, 상기 추출한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추출부는, 상기 발정 또는 질병이 발생한 가축의 식별부호에 매칭하는 영상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영상 정보에서 발정 또는 질병을 판단한 시간을 기준으로 설정된 시간 범위의 영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위치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가축들 각각이 군집 활동을 하고 있는지 여부와 상기 군집 활동을 하지 않는 가축을 중심으로 설정된 범위 내 반복적 또는 지속적으로 다른 가축이 감지되는지 여부에 대한 상기 군집 행동 패턴을 기초로 상기 발정 또는 상기 질병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반복적 또는 지속적으로 다른 가축이 감지되면, 상기 군집 활동을 하지 않는 가축의 체온, 심박수, 혈압, 이동 거리, 승가 행위 정보, 반추 행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가축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발정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반복적 또는 지속적으로 다른 가축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군집 활동을 하지 않는 가축의 체온, 심박수, 혈압, 이동 거리, 반추 행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질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가축의 체온, 심박수, 혈압, 승가 행위 정보, 반추 행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상태 측정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상태 측정값을 상기 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좌표값을 이용하여 가축별로 시간당 상기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가축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가축 관리 시스템의 가축 관리 방법에 있어서, 소정 크기의 감시 대상 구역 내 가축들 각각에 장착 또는 삽입된 송신 모듈들로부터 식별 아이디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가축들 각각의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위치 좌표값을 기초로 상기 가축들 각각의 군집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발정 또는 질병 여부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축 관리 방법을 통해 감시 대상 구역 내에 분포되어 있는 가축들의 군집 행동 여부, 상태 여부 등을 파악함으로써, 가축의 질병 또는 발정 발생 여부를 관리자에게 빠르고 정확하게 알릴 수 있음은 물론, 해당 가축의 활동 시점의 영상을 추출하여 관리자에게 함께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가축의 이상 움직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축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축 관리 시스템의 제어 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축 관리 시스템의 가축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축의 군집 행동 패턴에 따라 가축의 질병 또는 발정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질병 또는 발정이 발생된 가축의 영상을 정확하게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가축의 군집 행동 패턴은 관리자에 의해 기 설정된 패턴이거나, 학습을 통해 설정된 패턴일 수 있으며, 군집은 하나의 객체를 중심으로, 설정된 범위 내 적어도 두 마리의 가축이 있으면, 군집한 것으로 본다.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카메라는 보안 또는 감시 용도로 사용되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 등에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축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축 관리 시스템의 제어 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축 관리 시스템(200)은 카메라(210), 복수의 수신 장치(220) 및 제어 장치(230)를 포함하며, 복수의 송신 모듈(110)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객체(100)별로 위치 좌표값을 측정하고, 측정한 위치 좌표값을 기초로 가축의 군집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질병이나 발정이 발생한 가축들의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송신 모듈(110)는 초소형으로 구현되어 복수의 객체(100) 각각에 부착되거나 삽입되며, 식별 부호(ID)가 포함된 CSS(Chirp Spread Spectrum) 방식의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송신 모듈(110)는 CSS 방식 이외에,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Real-Time Location System; RTLS)에서의 송/수신 모듈 등과 같이 저전력으로 식별 부호를 송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송신 모듈(110)는 통신 모듈과 함께, 상태 측정 모듈(예를 들어, 체온, 심박수, 혈당, 승가 행위 정보, 반추 행위 정보 등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태 측정 모듈을 통해 측정한 상태 측정값을 송신 신호에 추가하여 송신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승가 행위 정보는 승가 횟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반추 행위 정보는 반추 횟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복수의 카메라(210)는 카메라별로 소정 크기를 갖는 감시 대상 구역을 분할하여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제어 장치(230)로 실시간 전송한다. 물론, 하나의 카메라(210)를 이용하여 감시 대상 구역 전체를 촬영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카메라(210)는 어안 렌즈 등을 이용하여 소정 크기의 감시 대상 구역 전체를 촬영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 장치(220)는 복수의 송신 모듈(110)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대한 신호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 장치(230)로 전송한다. 이때, 신호 정보는 식별 부호(ID; Identification) 및 특성 정보값을 포함한다. 여기서, 특성 정보값은 수신 신호 세기값, 주파수 도달 시간값 등 수신한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정보값을 포함한다.
제어 장치(230)는 수신 장치(220)들로부터 수신한 신호 정보를 기초로, 식별 부호(ID)별 위치 좌표값을 측정하고, 측정한 ID별 위치 좌표값들을 기초로 가축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질병이나 발정이 발생한 가축을 선별한다. 그리고, 선별된 가축의 가축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제어 장치(230)는 카메라들(210)로부터 수신한 영상에서 질병이나 발정이 발생한 가축의 영상을 추출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230)에 대해 도 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 장치(230)는 위치 좌표 산출부(231), 가축 정보 생성부(232), 상태 판단부(233), 영상 추출부(234), 저장부(235) 및 제어부(236)를 포함한다.
위치 좌표 산출부(231)는 복수의 수신 장치(220)들로부터 신호 정보를 수신하고,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ID(Identification)별 소정 크기의 감시 대상 구역 내 객체들 각각에 대한 위치 좌표값을 산출한다.
이때, 위치 좌표 산출부(231)는 복수의 수신 장치(220)로부터 유선을 통해 신호 정보를 수신하지만, 복수의 수신 장치(220)와 무선을 통해 신호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수신 장치(220), 제어 장치(230) 각각은 무선 통신 모듈(생략)을 구비하여 무선 통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축 정보 생성부(232)는 위치 좌표 산출부(231)에 의해 산출된 위치 좌표값을 이용하여 설정된 시간 단위로 가축별 이동거리를 산출한다. 또한, 가축 정보 생성부(232)는 복수의 수신 장치(220)들로부터 수신한 가축의 체온, 심박수, 혈압, 승가 행위 정보 및 반추 행위 정보 등이 포함된 시간당(예를 들어, 10초) 상태 측정값과 산출한 이동 거리가 포함된 가축별 가축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가축 정보를 상태 판단부(233)로 제공한다.
상태 판단부(233)는 위치 좌표 산출부(231)로부터 수신한 가축의 위치 좌표값을 기초로 가축의 군집 행동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질병이나 발정이 발생한 가축을 선별하여 제어부(236)로 제공한다.
영상 추출부(234)는 제어부(236)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235)에 저장된 영상 정보로부터 특정 가축의 영상 정보를 시간별로 추출하여 저장부(235)에 저장한다.
이때, 영상 추출부(234)는 특정 가축의 식별부호에 매칭하는 가축의 영상 정보를 검색하고(즉, 해당 가축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가축의 영상 정보), 검색한 영상 정보에서 검출 시간(발명 또는 질병을 판단한 시간)을 기준으로 설정된 시간 범위(예를 들어, 검출 시간 1시간전부터 1분전까지의 범위)의 영상 정보를 추출하여 제어부(236)로 제공하거나 저장부(235)에 저장한다.
저장부(235)는 가축 정보 생성부(232)에 의해 주기적으로 생성된 가축별 가축 정보와 상태 판단부(233)에 의해 생성된 가축의 질병, 발정 여부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35)는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 및 영상 추출부(234)에 의해 추출된 가축의 영상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영상 정보들은 시간 순으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영상 정보에 포함된 가축들의 식별 번호가 함께 저장될 수도 있다.
제어부(236)는 각 부간(231, 232, 233, 234, 235)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며, 상태 판단부(233)로부터 판단된 가축의 질병이나 발정 여부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한 결과를 기초로 질병이나 발정으로 판단된 객체의 영상 정보를 추출하도록 영상 추출부(234)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36)는 질병이나 발정으로 판단된 객체가 발생하면, 관리자에게 알림을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236)는 기 설정된 연락처로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media Message Service)의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디스플레이부(생략)를 통해 알림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어부(236)는 알림을 전송하는 경우에, 가축의 추출된 영상 정보가 저장된 링크 주소를 함께 전송하거나 추출된 영상 정보를 첨부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가축 관리 시스템은 소정 크기의 감시 대상 구역 내에 분포되어 있는 가축들의 군집 행동 여부, 상태 여부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가축의 질병 또는 발정 발생 여부를 관리자에게 빠르고 정확하게 알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해당 가축의 활동 시점의 영상을 추출하여 관리자에게 함께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가축의 이상 움직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큰 이점이 있다.
다음은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축 관리 시스템의 가축 관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가축 관리 시스템의 가축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가축 관리 방법에 대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가축을" 소"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축 관리 시스템(200)의 카메라(210)들은 소정 크기의 감시 대상 구역을 분할 또는 단독 촬영한다(S300).
수신 장치(220)들은 소(100)들 각각에 부착/삽입되어 있는 송신 모듈(110)로부터 송신한 신호들을 수신한다.
제어 장치(230)의 위치 좌표 산출부(231)는 수신 장치들(220)이 수신한 신호들을 이용하여 소들 각각의 위치 좌표값을 산출한다(S302). 그리고, 가축 정보 생성부(232)는 수신 장치(220)들로부터 수신한 상태 측정값과 위치 좌표값을 통해 산출한 이동거리가 포함된 가축 정보를 생성한다.
상태 판단부(233)는 주기적으로 위치 좌표 산출부(231)로부터 수신한 소들의 위치 좌표값을 기초로 소별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소의 질병이나 발정 여부를 판단하여 제어부(236)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태 판단부(233)의 군집 행동 패턴 분석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태 판단부(233)는 소들 각각의 위치 좌표값을 이용하여 각 소 중심으로 설정된 범위 내 적어도 두 마리의 소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소들 각각이 모두 군집 활동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4).
상기 S304 단계의 판단 결과, 소들 각각이 모두 군집 활동 중이면, 상태 판단부(233)는 주기적으로 상기 S300 내지 S304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상기 S304 단계의 판단 결과, 적어도 하나의 소가 군집 활동을 하고 있지 않으면, 상태 판단부(233)는 군집 활동을 하지 않는 소를 중심으로 설정된 범위 내 반복적(예를 들어, 설정된 시간 동안 5번 이상) 또는 지속적(연속적으로 4회 이상)으로 다른 한 마리의 소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6).
상기 S306 단계의 판단 결과, 소를 중심으로 설정된 범위 내 반복적 또는 지속적으로 다른 한 마리의 소가 감지되면, 상태 판단부(233)는 가축 정보 생성부(232)로부터 수신한 가축 정보를 기초로 발정 여부를 판단한다(S308).
구체적으로, 상태 판단부(233)는 가축 정보에 포함된 체온, 심박수, 혈압 및 승가 횟수, 이동 거리, 반추 횟수 등이 각각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발정 여부를 판단한다. 즉, 체온, 심박수, 혈압, 승가 횟수, 이동 거리 및 반추 횟수 각각이 각각 설정된 범위를 적어도 하나가 초과하면, 발정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S308 단계의 판단 결과, 발정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S300 내지 S306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상기 S308 단계의 판단 결과, 발정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태 판단부(233)는 발정이 발생한 소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식별 부호, 검출 시간 등)를 제어부(236)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S306 단계의 판단 결과, 군집 행위를 하지 않은 소를 중심으로 설정된 범위 내 반복적 또는 지속적으로 한 마리의 소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태 판단부(233)는 가축 정보 생성부(232)로부터 수신한 가축 정보를 기초로 질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10).
구체적으로, 상태 판단부(233)은 가축 정보에 포함된 체온, 심박수, 혈압, 이동 거리, 반추 횟수 등이 각각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질병 여부를 판단한다. 즉, 체온, 심박수, 혈압, 이동 거리 및 반추 횟수 각각이 설정된 범위를 적어도 하나가 초과하면, 질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S310 단계의 판단 결과, 질병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S300 내지 S306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상기 S310 단계의 판단 결과, 질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태 판단부(233)는 질병이 발생한 소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236)로 제공한다.
제어부(236)는 발정 또는 질병이 발생한 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관리자에게 알림을 제공한다. 물론, 제어부(236)는 알림과 함께, 해당 소의 정보에 매칭하여 추출한 영상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6)는 영상 추출부(234)로 해당 소의 영상 정보를 추출하도록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축 관리 방법을 통해 감시 대상 구역 내에 분포되어 있는 가축들의 군집 행동 여부, 상태 여부 등을 파악함으로써, 가축의 질병 또는 발정 발생 여부를 관리자에게 빠르고 정확하게 알릴 수 있음은 물론, 해당 가축의 활동 시점의 영상을 추출하여 관리자에게 함께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가축의 이상 움직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큰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가축 110: 송신 모듈
200: 가축 관리 시스템 210: 카메라
220: 수신 장치 230: 제어 장치
231: 위치 좌표 산출부 232: 가축 정보 생성부
233: 상태 판단부 234: 영상 추출부
235: 저장부 236: 제어부

Claims (14)

  1. 소정 크기의 감시 대상 구역 내 가축들 각각에 장착 또는 삽입된 송신 모듈들로부터 식별 아이디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장치; 및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가축들 각각의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위치 좌표값을 기초로 상기 가축들 각각의 군집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발정 또는 질병 여부를 알리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가축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는 위치 좌표 산출부;
    상기 가축들 각각의 발정 또는 질병 여부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상기 감시 대상 구역을 분할 또는 전체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발정 또는 질병으로 판단한 가축에 대한 영상을 상기 영상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영상 추출부; 및
    상기 발정 또는 질병으로 판단한 가축을 관리자에 알리고, 상기 추출한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가축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추출부는,
    상기 발정 또는 질병이 발생한 가축의 식별부호에 매칭하는 영상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영상 정보에서 발정 또는 질병을 판단한 시간을 기준으로 설정된 시간 범위의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가축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위치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가축들 각각이 군집 활동을 하고 있는지 여부와 상기 군집 활동을 하지 않는 가축을 중심으로 설정된 범위 내 반복적 또는 지속적으로 다른 가축이 감지되는지 여부에 대한 상기 군집 행동 패턴을 기초로 상기 발정 또는 상기 질병을 판단하는 가축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반복적 또는 지속적으로 다른 가축이 감지되면, 상기 군집 활동을 하지 않는 가축의 체온, 심박수, 혈압, 이동 거리, 승가 행위 정보, 반추 행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가축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발정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반복적 또는 지속적으로 다른 가축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군집 활동을 하지 않는 가축의 체온, 심박수, 혈압, 이동 거리, 반추 행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질병 여부를 판단하는 가축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가축의 체온, 심박수, 혈압, 승가 행위 정보, 반추 행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상태 측정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상태 측정값을 상기 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가축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위치 좌표값을 이용하여 가축별로 시간당 상기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가축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가축 관리 시스템.
  8. 가축 관리 시스템의 가축 관리 방법에 있어서,
    소정 크기의 감시 대상 구역 내 가축들 각각에 장착 또는 삽입된 송신 모듈들로부터 식별 아이디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가축들 각각의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위치 좌표값을 기초로 상기 가축들 각각의 군집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발정 또는 질병 여부를 알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축 관리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발정 또는 질병 여부를 알리는 단계는,
    상기 가축들 각각의 발정 또는 질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감시 대상 구역을 분할 또는 전체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발정 또는 질병으로 판단한 가축에 대한 영상을 상기 영상 정보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상기 발정 또는 질병으로 판단한 가축을 관리자에 알리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축 관리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발정 또는 질병으로 판단한 가축의 식별부호에 매칭하는 영상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한 영상 정보에서 발정 또는 질병을 판단한 시간을 기준으로 설정된 시간 범위의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축 관리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발정 또는 질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가축들의 위치 좌표값을 이용하여 가축들 각각이 군집 활동을 하고 있는지 여부와 상기 군집 활동을 하지 않는 가축을 중심으로 설정된 범위 내 반복적 또는 지속적으로 다른 가축이 감지되는지 여부에 대한 상기 군집 행동 패턴을 기초로 상기 발정 또는 상기 질병을 판단하는 가축 관리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발정 또는 질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반복적 또는 지속적으로 다른 가축이 감지되면, 상기 군집 활동을 하지 않는 가축의 체온, 심박수, 혈압, 이동 거리, 승가 행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가축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발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반복적 또는 지속적으로 다른 가축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군집 활동을 하지 않는 가축의 체온, 심박수, 혈압,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질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축 관리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가축의 체온, 심박수, 혈압, 승가 행위 정보, 반추 행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상태 측정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상태 측정값을 상기 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가축 관리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위치 좌표값을 이용하여 가축별로 시간당 상기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축 관리 방법.
KR1020140139807A 2014-10-16 2014-10-16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6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807A KR101676643B1 (ko) 2014-10-16 2014-10-16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807A KR101676643B1 (ko) 2014-10-16 2014-10-16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835A true KR20160044835A (ko) 2016-04-26
KR101676643B1 KR101676643B1 (ko) 2016-11-29

Family

ID=55919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807A KR101676643B1 (ko) 2014-10-16 2014-10-16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643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3365A (ja) * 2016-08-31 2018-03-08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20190093798A (ko) 2018-01-17 2019-08-12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흑염소의 행동 분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20190102760A (ko) * 2018-02-27 2019-09-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상 개체 검출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KR102047428B1 (ko) * 2019-08-09 2019-11-21 강현철 되새김 활동 측정을 이용한 소의 건강 관리 시스템
KR20190143701A (ko) * 2018-06-21 2019-12-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상 개체 검출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CN110795987A (zh) * 2019-07-30 2020-02-14 重庆小富农康农业科技服务有限公司 猪脸识别方法和装置
KR102117092B1 (ko) * 2019-08-09 2020-05-29 강현철 행동 패턴 인식을 이용한 소의 발정 탐지 시스템
WO2020141888A1 (ko) * 2019-01-02 2020-07-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사육장 환경 관리 장치
KR20210004458A (ko) * 2019-07-04 2021-01-13 주식회사 제이씨레이다 가축 질병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41207A (ko) * 2019-10-07 2021-04-15 블루오션영어조합법인 어류질병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
US11080522B2 (en) * 2015-07-01 2021-08-03 Viking Genetics Fmba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individual animals based on images of the back
KR20220078908A (ko) * 2020-12-04 2022-06-13 한국아이오티주식회사 가축 발정탐지장치
CN114883010A (zh) * 2022-04-26 2022-08-09 深圳市中融数字科技有限公司 牲畜存亡状态判别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WO2022255663A1 (ko) * 2021-06-02 2022-12-08 주식회사 에스비솔루션 동물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527058B1 (ko) * 2022-12-01 2023-05-02 한국아이오티 주식회사 소의 승가 행위 검출 장치
WO2023095966A1 (ko) * 2021-11-29 2023-06-01 주식회사 다모아텍 가축 체내 삽입형 가임기 센서 및 센서를 이용한 가임기 판정 방법
WO2023229423A1 (ko) * 2022-05-26 2023-11-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기반 행동 패턴 분석 장치 및 방법
WO2024058630A1 (ko) * 2022-09-16 2024-03-21 인트플로우 주식회사 영상 기반 가축의 재고 관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478B1 (ko) 2019-02-28 2021-10-01 주식회사 에스티엔 컴퓨터 비전을 이용한 가축 질병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2595B2 (en) 2015-07-01 2023-12-05 Viking Genetics Fmba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individual animals based on images of the back
US11080522B2 (en) * 2015-07-01 2021-08-03 Viking Genetics Fmba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individual animals based on images of the back
JP2018033365A (ja) * 2016-08-31 2018-03-08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20190093798A (ko) 2018-01-17 2019-08-12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흑염소의 행동 분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20190102760A (ko) * 2018-02-27 2019-09-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상 개체 검출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KR20190143701A (ko) * 2018-06-21 2019-12-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상 개체 검출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CN113273179A (zh) * 2019-01-02 2021-08-17 Lg伊诺特有限公司 用于管理养殖场环境的装置
CN113273179B (zh) * 2019-01-02 2024-02-13 Lg伊诺特有限公司 用于管理养殖场环境的装置
WO2020141888A1 (ko) * 2019-01-02 2020-07-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사육장 환경 관리 장치
KR20210004458A (ko) * 2019-07-04 2021-01-13 주식회사 제이씨레이다 가축 질병 모니터링 시스템
CN110795987A (zh) * 2019-07-30 2020-02-14 重庆小富农康农业科技服务有限公司 猪脸识别方法和装置
CN110795987B (zh) * 2019-07-30 2023-12-22 重庆渝通合数字科技有限公司 猪脸识别方法和装置
KR102117092B1 (ko) * 2019-08-09 2020-05-29 강현철 행동 패턴 인식을 이용한 소의 발정 탐지 시스템
KR102047428B1 (ko) * 2019-08-09 2019-11-21 강현철 되새김 활동 측정을 이용한 소의 건강 관리 시스템
KR20210064157A (ko) * 2019-10-07 2021-06-02 블루오션영어조합법인 어류의 질병여부를 판단하고 포획할 수 있는 어류질병 감지장치
KR20210041207A (ko) * 2019-10-07 2021-04-15 블루오션영어조합법인 어류질병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
KR20220078908A (ko) * 2020-12-04 2022-06-13 한국아이오티주식회사 가축 발정탐지장치
WO2022255663A1 (ko) * 2021-06-02 2022-12-08 주식회사 에스비솔루션 동물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62996A (ko) * 2021-06-02 2022-12-09 주식회사 에스비솔루션 동물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WO2023095966A1 (ko) * 2021-11-29 2023-06-01 주식회사 다모아텍 가축 체내 삽입형 가임기 센서 및 센서를 이용한 가임기 판정 방법
CN114883010A (zh) * 2022-04-26 2022-08-09 深圳市中融数字科技有限公司 牲畜存亡状态判别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WO2023229423A1 (ko) * 2022-05-26 2023-11-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기반 행동 패턴 분석 장치 및 방법
WO2024058630A1 (ko) * 2022-09-16 2024-03-21 인트플로우 주식회사 영상 기반 가축의 재고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527058B1 (ko) * 2022-12-01 2023-05-02 한국아이오티 주식회사 소의 승가 행위 검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643B1 (ko) 201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643B1 (ko) 가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6203238B2 (ja) 畜産管理システム
KR101679597B1 (ko) 객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102730B2 (en) Monitoring apparatus for monitoring a targets exposure to danger
KR101607934B1 (ko) 전염병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1712633B1 (ko) 센서와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방목 가축 질병 예측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CN102056478A (zh) 移动对象的检测
EP4127773A1 (en) Integrated camera and ultra- wideband location devices and related systems
US20090066568A1 (en) Monitoring system
JP2009507295A5 (ko)
KR101574593B1 (ko) 스마트 단말기 연계형 실시간 검진 방법
JP5001808B2 (ja) 犯罪防止装置及び犯罪防止プログラム
WO20101084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ehaviour of animals
US20230260327A1 (en) Autonomous livestock monitoring
KR102522239B1 (ko) 영상 기반 가축의 급이 행동 분석 장치 및 방법
CN113257415A (zh) 健康数据收集装置和系统
KR102527322B1 (ko) 딥러닝 기반의 객체 인식을 통한 가축 관리 방법
EP35998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individual animals in a group of animals
KR102624927B1 (ko) 가축의 설사 탐지 및 설사 위험도 예측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
JP2022081882A (ja) 野生動物監視システム、野生動物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596689A (zh) 一种检测系统、搜救方式的确定方法及装置
JP2020188325A (ja) 引率支援システム
CN214225971U (zh) 新型畜牧动物监测系统
WO2023162723A1 (ja) 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CN110914880B (zh) 车辆管理装置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