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681A -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 - Google Patents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681A
KR20160044681A KR1020140139168A KR20140139168A KR20160044681A KR 20160044681 A KR20160044681 A KR 20160044681A KR 1020140139168 A KR1020140139168 A KR 1020140139168A KR 20140139168 A KR20140139168 A KR 20140139168A KR 20160044681 A KR20160044681 A KR 20160044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unit
nozzle
pip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5296B1 (ko
Inventor
장철수
하성동
Original Assignee
장철수
하성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철수, 하성동 filed Critical 장철수
Priority to KR1020140139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296B1/ko
Publication of KR20160044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2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for removal of clogging p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료를 이루는 주제 및 경화제와의 혼합이 가장 이상적인 비율인 49 대 1의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도료의 토출 후에는 자동세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DETERMINATION RATION OF MAIN MATERIAL AND HARDENER AND PAINTING APPARATUS OF TRAFFIC LANE FOR AUTOMATIC CLEANSING}
본 발명은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료를 이루는 주제 및 경화제와의 혼합이 가장 이상적인 비율인 49 대 1의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도료의 토출 후에는 자동세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차선은 자동차 도로에 주행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그어 놓은 선을 일컫는 것으로서, 포장도로에는 차량의 주행을 구획하는 중앙선과 차량의 주행 구간을 분리하기 위한 주행차선 및 차도와 보도를 구분하기 위한 보행선 등을 포함하는 차선이 도색된다.
이러한 차선은 운전자로 하여금 주행방향을 식별토록 하여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기준이 되며, 도색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도료를 도로상에 분사하여 선을 도색한다.
이와 같은 차선의 도색작업은 차선 도색장치가 탑재된 도색차량이 도로를 주행하면서 그 도로면 상에 도료를 토출시켜 차선을 도색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6625호에는 차선 도색장치용 이액형 도료 믹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선 도색장치는 주제 및 경화제와의 혼합이 가장 이상적인 비율인 49 대 1의 비율로 이루어지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도료의 토출 후에는 자동세척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6625호(2013.12.0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료를 이루는 주제 및 경화제와의 혼합이 가장 이상적인 비율인 49 대 1의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도료의 토출 후에는 자동세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료를 이루는 주제 및 경화제가 혼합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로 상기 경화제를 공급하는 경화제공급부; 상기 혼합부로 주제를 공급하는 주제공급부; 상기 혼합부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분사하여 차선을 도색하는 분사부 및 상기 혼합부로 세척제를 분사하여 그 세척제가 상기 혼합부로부터 상기 분사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내부에 존재하는 도료가 제거되도록 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차선 도색장치로서, 상기 분사부를 통과하는 세척제를 포집하는 포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혼합부는, 상,하부가 개방되며, 그 개방되는 상부로 상기 경화제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주제가 유입되거나, 상기 세척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제가 유입되고, 그 개방되는 하부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도료가 배출되는 혼합관을 포함하며, 상기 경화제공급부는, 양단부를 가지며, 타단부로 외부로부터 경화제가 공급되고, 일단부가 상기 혼합관에 연결되면서 그 혼합관의 내부로 경화제를 공급하는 공급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혼합부는, 양단부가 개방되고, 일단부가 상기 혼합관과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분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급노즐은,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분기관으로 인입되고 경화제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노즐유닛; 및 양단부가 개방되며, 일단부가 상기 노즐유닛의 타단부와 나사결합되고 타단부로 외부로부터 경화제가 공급되며, 외측으로 상기 분기관에 접하면서 그 분기관으로의 인입이 정지되도록 하는 단턱이 형성되는 노즐관을 포함하고, 상기 경화제공급부는, 상기 노즐관의 타단부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분기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공급노즐을 그 분기관에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출공은, 양단부가 상기 노즐유닛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노즐관과 연통되고, 그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출공은, 타단부의 직경이 0.3mm로 이루어지고, 일단부의 직경이 0.36mm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노즐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분기관으로 인입되어 상기 혼합관의 내주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타단부는 상기 혼합관의 하부에 연결되고, 일단부는 상기 분사부에 연결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사부는, 상기 혼합부로부터 공급되는 도료가 분사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의 상부에 위치되며, 그 분사노즐을 개폐하는 분사개폐밸브; 및 상기 분사개폐밸브와 상기 분사노즐의 사이에 연결되면서 개방된 상,하부가 차단되는 한편, 상기 연결관의 일단부 및 상기 포집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부재는,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연결관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1연결공 및 상기 제1연결공과 연통되며 상기 포집부가 연결되는 제2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포집부는, 상기 제2연결공에 연결되어 그 제2연결공을 개폐하는 조절밸브; 및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조절밸브에 연결되는 포집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제2연결공에 결합되며, 양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와 연통되고, 일단부가 상기 연결부재의 내주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되는 체결관; 일단부에 상기 체결관의 타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그 체결관과 연통되는 빈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양단부를 가지며, 상기 체결관에 그 양단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그 이동에 따라 상기 체결관을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개방된 상기 하우징의 타단부를 차단하는 한편, 상기 개폐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체결관이 개폐되도록 조절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실린더; 상기 빈공간에 위치되며, 일단부는 상기 개폐바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실린더의 일단부에 양단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로드; 및 상기 실린더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공압이 공급되거나, 그 공급되는 공압이 배출되면서 상기 실린더로드가 양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료를 이루는 주제 및 경화제와의 혼합이 가장 이상적인 비율인 49 대 1의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경화제의 과잉이나 부족으로 인한 도료의 탈색이나 깨짐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료의 토출 후에는 세척이 가능함으로써 내부에 잔여하는 도료가 경화되면서 발생되는 막힘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세척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능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에서 혼합부에 결합되는 공급노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에서 분사부에 결합되는 포집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에서 혼합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이하 "도색장치"라 한다)(1)는 도료를 이루는 주제 및 경화제가 혼합되는 혼합부(10), 상기 혼합부(10)로 주제를 공급하는 주제공급부(20), 상기 혼합부(10)로 경화제를 공급하는 경화제공급부(30), 상기 혼합부(10)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분사하여 차선을 도색하는 분사부(40) 및 상기 혼합부(10)로 세척제를 분사하여 그 세척제각 상기 혼합부(10)로부터 상기 분사부(40)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내부에 존재하는 도료가 제거되도록 하는 세척부(50)를 포함하는 차선 도색장치로서, 상기 분사부(40)를 통과하는 세척제를 포집하는 포집부(60)를 포함한다.
상기 도색장치(1)는 도 1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관(11)의 타단부와 상기 분사부(40)를 연결하는 연결관(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색장치(1)는 별개의 다른 도색차량에 탑재된 상태로 도로에 차선을 도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주제는 페인트로 이해될 수 있으며, 경화제는 주제의 경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물질로 이해될 수 있다.
주제와 경화제의 비율은 49 대 1을 이룰 때 가장 이상적인 비율로 알려져 있으며, 경화제의 과잉공급이나, 부족 등에 따라 도료의 탈색이나, 깨짐 현상 등이 발생된다.
상기 혼합부(10)는 상,하부가 개방되며, 그 개방되는 상부로 상기 경화제공급부(30)로부터 공급되는 주제가 유입되거나, 상기 세척부(50)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제가 유입되고, 그 개방되는 하부로 상기 연결관(70)의 타단부가 연결되면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도료가 배출되는 혼합관(11)을 포함한다.
상기 혼합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관(11)의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교반스크류(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스크류(12)는 상기 혼합관(11)의 내부에서 주제와 경화제 간의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주제공급부(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혼합관(11)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로 외부로부터 주제가 공급되며, 제1개폐밸브(22)가 구비되는 주제공급관(21)을 포함한다.
상기 주제공급관(21)은 타단부에 주제공급수단(100)이 연결되며, 그 주제공급수단(100)의 구동에 따라 주제가 상기 혼합부(10)로 공급되어 도료로 혼합된 뒤 상기 분사부(40)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주제공급수단(100)은 주제저장탱크(미도시) 및 펌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주제공급수단은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개폐밸브(22)는 상기 주제공급관(21)의 양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그 주제공급관(21)을 개폐한다.
상기 세척부(50)는 세척제가 상기 혼합부(10)로부터 상기 분사부(40)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도료가 분사된 뒤에 잔여하는 도료가 굳기 전에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세척부(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제1개폐밸브(22)와 상기 주제공급관(21)의 일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그 주제공급관(21)에 연결되고, 타단부로 외부로부터 세척제가 공급되며 제2개폐밸브(52)가 구비되는 세척제공급관(5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세척제공급관(51)과 상기 주제공급관(21) 및 상기 혼합관(11)은 'T'형 이음관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제공급관(51)은 타단부에 세척제공급수단(110)이 연결되며, 그 세척제공급수단(110)의 구동에 따라 세척제가 상기 혼합부(10)로부터 상기 분사부(40) 방향으로 흐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2개폐밸브(52)는 상기 세척제공급관(51)의 양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그 세척제공급관(51)을 개폐한다.
상기 세척제공급수단(110)은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미도시) 및 세척제저장탱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세척제공급수단은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2개폐밸브(22,52)는 서로 정반대로 개폐되며, 솔레노이드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주제공급부(20)는 상기 제1개폐밸브(22)와 상기 주제공급관(21)의 일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그 주제공급관(21)에 연결되는 제1체크밸브(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부(50)는 상기 제2개폐밸브(52)와 상기 세척제공급관(51)의 일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그 세척제공급관(51)에 연결되는 제2체크밸브(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체크밸브(22)는 세척제가 상기 주제공급관(2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2체크밸브(53)는 주제가 상기 세척제공급관(5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경화제공급부(30)는 상기 혼합관(11)의 양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그 혼합관(11)으로 경화제를 공급한다.
상기 경화제공급부(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를 가지며 타단부로 외부로부터 경화제가 공급되고 제3개폐밸브(32)가 구비되는 경화제공급관(31) 및 타단부는 상기 경화제공급관(31)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일단부는 상기 혼합관(11)에 연결되면서 그 혼합관(11)의 내부로 경화제를 공급하는 공급노즐(34)을 포함한다.
상기 경화제공급부(30)는 상기 제3개폐밸브(32)와 상기 경화제공급관(31)의 일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그 경화제공급관(31)에 연결되는 제3체크밸브(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개폐밸브(32)는 상기 경화제공급관(31)의 양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그 경화제공급관(31)을 개폐한다.
상기 제3개폐밸브(32)는 상기 제1개폐밸브(22)와 함께 개폐되며, 전술한 제1,2개폐밸브(22,52)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3개폐밸브(22,32)는 상기 제2개폐밸브(52)와 서로 정반대로 개폐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3체크밸브(33)는 상기 혼합관(11)으로부터 도료가 상기 경화제공급관(3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경화제공급관(31)은 타단부에 경화제공급수단(120)이 연결되며, 상기 공급노즐(34)은 상기 경화제공급수단(120)의 구동에 따라 경화제가 상기 혼합관(11)으로 공급되어 상기 주제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주제와 혼합되어 도료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화제공급수단(120)은 경화제저장탱크(미도시) 및 펌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화제공급수단은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혼합부(10)는 양단부가 개방되며 일단부가 상기 혼합관(11)과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분기관(13)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급노즐(34)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분기관(13)으로 인입되고 경화제가 배출되는 배출공(35a)이 형성되는 노즐유닛(35) 및 양단부가 개방되며 일단부가 상기 노즐유닛(35)의 타단부와 나사결합되고 타단부에 상기 경화제공급수단(120)이 연결되며 외측으로 상기 분기관(13)에 접하면서 그 분기관(13)으로의 인입이 정지되도록 하는 단턱(36a)이 형성되는 노즐관(36)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유닛(35)은 타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관(36)은 일단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호 나사결합된다.
상기 단턱(36a)은 상기 노즐관(36)의 일단부 외측에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노즐유닛(35)은 상기 단턱(36a)이 상기 분기관(13)에 접하면서 그 분기관(13)으로의 인입이 정지된다.
상기 경화제공급부(30)는 상기 노즐관(36)의 타단부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분기관(13)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공급노즐(34)을 그 분기관(11)에 결속하는 너트 등의 결속부재(37)를 더 포함한다.
상기 노즐유닛(35)은 일단부가 상기 혼합관(11)의 내측으로 돌출되거나, 그 혼합관(11)의 내주면보다 외측에 위치됨이 없이 그 혼합관(11)의 내주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주제와 경화제 간의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도료가 적체되는 턱 등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배출공(36a)은 양단부가 상기 노즐유닛(35)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노즐관(36)과 연통되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배출공(36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의 직경(A)이 0.3mm로 이루어지고, 일단부의 직경(B)이 0.36mm로 이루어지면서 테이퍼진 형태를 이룬다. 이때의 상기 주제공급부(20)에서 공급되는 주제와 상기 경화제공급부(30)에서 공급되는 경화제가 상기 혼합관(11)에서 가장 이상적인 49 대 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40)는 도 4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가 분사되는 분사노즐(41), 상기 분사노즐(41)의 상부에 위치되며 그 분사노즐(41)을 개폐하는 분사개폐밸브(42) 및 상기 분사개폐밸브(42)와 상기 분사노즐(41)의 사이에 연결되면서 개방된 상,하부가 차단되는 한편, 상기 연결관(70)의 일단부 및 상기 포집부(60)가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재(43)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개폐밸브(42)는 공압에 의해 상기 분사노즐(41)을 개폐하며, 상기 분사노즐(41)은 상기 연결부재(43)를 통해 공급되는 도료를 분사한다.
이러한, 상기 분사개폐밸브(42) 및 상기 분사노즐(41)은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분사개폐밸브(42)는 상기 제1,3개폐밸브(22,32)와 함께 개방되면서 상기 제2개폐밸브(52)와는 정반대로 개폐된다.
상기 연결부재(43)는 내측으로 공간부(43a)가 형성되면서 상기 혼합부(10)에서 공급되는 도료가 상기 분사노즐(41)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세척부(50)에서 공급되는 세척제가 상기 포집부(6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재(4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연결관(70)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1연결공(44) 및 상기 제1연결공(44)과 연결되며 상기 포집부(60)가 연결되는 제2연결공(45)이 형성된다.
상기 포집부(60)는 상기 제2연결공(45)에 연결되어 그 제2연결공(45)을 개폐하는 조절밸브(61) 및 상기 조절밸브(61)에 연결되는 포집관(62)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밸브(61)는 공압식 전동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개폐밸브(52)와 함께 개방되면서 상기 제1,3개폐밸브(22,32)와는 정반대로 개폐된다. 여기서, 상기 도색장치(1)는 상기 제1,2,3개폐밸브(22,52,32), 상기 분사개폐밸브(42) 및 상기 조절밸브(61)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그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조절밸브(61)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공(45)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며, 양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연결부재(43)의 내부와 연통되는 체결관(63), 일단부에 상기 체결관(63)의 타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그 체결관(63)과 연통되는 빈공간(64a)을 형성하는 하우징(64), 양단부를 가지며 상기 체결관(63)에 그 양단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그 이동에 따라 상기 체결관(63)을 개폐하는 개폐부재(65) 및 개방된 상기 하우징(64)의 타단부를 차단하는 한편, 상기 개폐부재(65)를 직선이동시켜 상기 체결관(64)이 개폐되도록 조절하는 이송수단(66)을 포함한다.
상기 포집관(62)은 상기 빈공간(64a)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64)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연결공(45)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관(63)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그 제2연결공(45)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체결관(63)은 일단부가 상기 제2연결공(45)으로부터 상기 연결부재(43)의 내측으로 돌출되거나, 그 제2연결공(45)의 내부에 위치됨이 없이 상기 연결부재(43)가 이루는 내주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료가 적체되는 턱 등이 형성되는 것을 방기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65)는 상기 체결관(63)의 일단부를 차단하는 개폐판(65a) 및 상기 개폐판(65a)으로부터 상기 이송수단(66)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이송수단(66)에 연결되는 개폐바(65b)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수단(66)은 상기 하우징(64)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실린더(66a), 상기 빈공간(64a)에 위치되며 일단부는 상기 개폐바(65b)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실린더(66a)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실린더로드(66b) 및 상기 실린더(66a)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공압이 공급되거나, 그 공급되는 공압이 배출되는 체결부(66c)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바(65b)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로드(66b)는 일단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호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66a)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64)은 타단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호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절밸브(61)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64)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실린더(66a)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하우징(64)에 상기 실린더(66a)를 결속하는 결속링(6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집부(60)는 상기 포집관(62)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제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통(6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도색장치(1)의 작동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도색장치(1)는 도색작업시 상기 제1,3개폐밸브(22,32) 및 상기 분사개폐밸브(42)는 개방되고, 상기 제2개폐밸브(52) 및 상기 조절밸브(61)는 차단된다.
상기 제1,3개폐밸브(22,32)의 개방에 따라 상기 주제공급부(20) 및 상기 경화제공급부(30)에서 공급되는 주제 및 경화제는 상기 혼합관(11)에서 도료로 혼합된 뒤 상기 연결관(70)을 통해 상기 분사부(40)로 전달되어 토출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도색장치(1)는 상기 분사부(40)로부터 도료가 토출된 후 세척작업시에는, 상기 제1,3개폐밸브(22,32) 및 상기 분사개폐밸브(42)가 차단되고, 상기 제2개폐밸브(52) 및 상기 조절밸브(61)는 개방된다.
상기 제2개폐밸브(52)의 개방에 따라 상기 세척부(50)에서 공급되는 세척제가 상기 혼합부(10), 상기 연결관(70) 및 상기 분사부(4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그 내부에 존재하는 도료를 제거하는 한편, 상기 조절밸브(61)의 개방에 따라 상기 분사부(40)를 통과하여 상기 포집부(60)에 포집된다.
이로 인해, 상기 도색장치(1)는 도색작업시 도료를 이루는 주제 및 경화제와의 혼합이 가장 이상적인 비율인 49 대 1의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도료의 토출 후에는 상기 혼합부(10), 상기 연결관(70) 및 상기 분사부(40)에 존재하는 도료가 굳기 전에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색장치 10 : 혼합부
11 : 혼합관 13 : 분기관
20 : 주제공급부 21 : 주제공급관
22 : 제1개폐밸브 23 : 제1체크밸브
30 : 경화제공급부 31 : 경화제공급관
32 : 제3개폐밸브 33 : 제3체크밸브
34 : 공급노즐 35 : 노즐유닛
35a : 배출공 36 : 노즐관
36a : 단턱 37 : 결속부재
40 : 분사부 41 : 분사노즐
42 : 분사개폐밸브 43 : 연결부재
44 : 제1연결공 45 : 제2연결공
50 : 세척부 51 : 세척제공급관
52 : 제2개폐밸브 53 : 제2체크밸브
60 : 포집부 61 : 조절밸브
62 : 포집관 63 : 체결관
64 : 하우징 64a : 빈공간
65 : 개폐부재 66 : 이송수단
66a : 실린더 66b : 실린더로드
66c : 체결부 67 : 결속링
68 : 포집통 70 : 연결관
100 : 주제공급수단 110 : 세척제공급수단
120 : 경화제공급수단

Claims (10)

  1. 도료를 이루는 주제 및 경화제가 혼합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로 상기 경화제를 공급하는 경화제공급부; 상기 혼합부로 주제를 공급하는 주제공급부; 상기 혼합부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분사하여 차선을 도색하는 분사부 및 상기 혼합부로 세척제를 분사하여 그 세척제가 상기 혼합부로부터 상기 분사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내부에 존재하는 도료가 제거되도록 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차선 도색장치로서,
    상기 분사부를 통과하는 세척제를 포집하는 포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상,하부가 개방되며, 그 개방되는 상부로 상기 경화제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주제가 유입되거나, 상기 세척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제가 유입되고, 그 개방되는 하부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도료가 배출되는 혼합관을 포함하며,
    상기 경화제공급부는,
    양단부를 가지며, 타단부로 외부로부터 경화제가 공급되고, 일단부가 상기 혼합관에 연결되면서 그 혼합관의 내부로 경화제를 공급하는 공급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양단부가 개방되고, 일단부가 상기 혼합관과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분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급노즐은,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분기관으로 인입되고 경화제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노즐유닛; 및
    양단부가 개방되며, 일단부가 상기 노즐유닛의 타단부와 나사결합되고 타단부로 외부로부터 경화제가 공급되며, 외측으로 상기 분기관에 접하면서 그 분기관으로의 인입이 정지되도록 하는 단턱이 형성되는 노즐관을 포함하고,
    상기 경화제공급부는,
    상기 노즐관의 타단부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분기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공급노즐을 그 분기관에 결속하는 결속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양단부가 상기 노즐유닛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노즐관과 연통되고, 그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타단부의 직경이 0.3mm로 이루어지고, 일단부의 직경이 0.36mm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분기관으로 인입되어 상기 혼합관의 내주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타단부는 상기 혼합관의 하부에 연결되고, 일단부는 상기 분사부에 연결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사부는,
    상기 혼합부로부터 공급되는 도료가 분사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의 상부에 위치되며, 그 분사노즐을 개폐하는 분사개폐밸브; 및
    상기 분사개폐밸브와 상기 분사노즐의 사이에 연결되면서 개방된 상,하부가 차단되는 한편, 상기 연결관의 일단부 및 상기 포집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연결관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1연결공 및 상기 제1연결공과 연통되며 상기 포집부가 연결되는 제2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포집부는,
    상기 제2연결공에 연결되어 그 제2연결공을 개폐하는 조절밸브; 및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조절밸브에 연결되는 포집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제2연결공에 결합되며, 양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와 연통되고, 일단부가 상기 연결부재의 내주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되는 체결관;
    일단부에 상기 체결관의 타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그 체결관과 연통되는 빈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양단부를 가지며, 상기 체결관에 그 양단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그 이동에 따라 상기 체결관을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개방된 상기 하우징의 타단부를 차단하는 한편, 상기 개폐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체결관이 개폐되도록 조절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실린더;
    상기 빈공간에 위치되며, 일단부는 상기 개폐바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실린더의 일단부에 양단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로드; 및
    상기 실린더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공압이 공급되거나, 그 공급되는 공압이 배출되면서 상기 실린더로드가 양단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
KR1020140139168A 2014-10-15 2014-10-15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 KR101625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168A KR101625296B1 (ko) 2014-10-15 2014-10-15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168A KR101625296B1 (ko) 2014-10-15 2014-10-15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681A true KR20160044681A (ko) 2016-04-26
KR101625296B1 KR101625296B1 (ko) 2016-05-30

Family

ID=55919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168A KR101625296B1 (ko) 2014-10-15 2014-10-15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2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5156A (zh) * 2022-02-14 2022-04-15 天津铭捷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双组分涂料混合装置及清洗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845B1 (ko) * 2022-02-22 2023-11-30 김승은 돌기형 차선 도색장치용 돌기 분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625B1 (ko) * 2013-04-10 2013-12-05 박상철 차선 도색장치용 이액형 도료 믹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5156A (zh) * 2022-02-14 2022-04-15 天津铭捷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双组分涂料混合装置及清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296B1 (ko) 201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36459A (en) Apparatus for spraying materials
EP2076336B1 (de) Fluidversorgungsvorrichtung für eine spritzanlage
KR101757412B1 (ko)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RU2417127C2 (ru) Пистолет-распылитель
KR101634298B1 (ko) 더블 벨컵
CN102802806A (zh) 用于涂覆多组分材料的流体通过针
KR101555524B1 (ko) 이액형 차선도색시스템
DE60204737T2 (de) Kontinuierliche Schlammabgabevorrichtung
KR101783820B1 (ko)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KR101625296B1 (ko)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
KR101107671B1 (ko) 무용제 청소형 도료 혼합기를 구비한 2액 내부혼합형 폴리우레탄 도장장치
KR101279431B1 (ko) 수동식 차선 도색장치
KR100859321B1 (ko) 이액형 도료 혼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관 도장장치
KR102170443B1 (ko)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KR101528245B1 (ko) 이액형 차선도색장치 및 차선도색공법
KR101377013B1 (ko) 차선 도색 장치용 다액형 도료 믹서기
EP2822696B1 (en) Multi-component container for spray gun
KR101905868B1 (ko) 선택형 멀티 공급라인을 구비하는 차선 도색장치
KR200476436Y1 (ko) 수동식 차선 도색장치
KR101400114B1 (ko) 차선도색장치
KR101466259B1 (ko) 도색제 압력탱크 세척장치
US3598322A (en) Two-material spray gun
KR101874252B1 (ko) 에어리스 도장기
KR200348548Y1 (ko) 2액 반응형 수지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도색 장치
KR20200027622A (ko)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