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2229A - Tv 전원 연동형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Tv 전원 연동형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2229A
KR20160042229A KR1020140135020A KR20140135020A KR20160042229A KR 20160042229 A KR20160042229 A KR 20160042229A KR 1020140135020 A KR1020140135020 A KR 1020140135020A KR 20140135020 A KR20140135020 A KR 20140135020A KR 20160042229 A KR20160042229 A KR 20160042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control signal
power
top box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복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셋토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셋토퍼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셋토퍼
Priority to KR1020140135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2229A/ko
Priority to PCT/KR2015/001219 priority patent/WO2016056712A1/ko
Priority to CN201510431362.0A priority patent/CN106210813A/zh
Publication of KR20160042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2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V로부터 TV의 온(on)/오프(off)를 위한 TV전원신호를 수신받는 TV전원신호수신부;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마이컴;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는 동작센서; 시간을 카운트하여 카운트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및 TV의 전원제어를 위한 리모컨신호를 상기 TV에 송신하는 리모컨신호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TV전원신호수신부에 수신되는 TV전원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고, 상기 동작센서의 감지신호가 정해진 시간동안 수신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셋톱박스를 오프시킴과 아울러, 상기 TV를 오프시키기 위한 리모컨신호가 상기 리모컨신호송신부를 통해서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TV의 전원상태에 따라 셋톱박스의 전원이 동기화되도록 리모컨에서 전송되는 TV 전원신호를 이용하여 셋톱박스의 전원을 TV 상태와 동일하게 제어하고, 이로 인해 기존 리모컨이 TV와 셋톱박스의 리모컨 포맷을 동시에 보내어 제어할 때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하나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TV와 셋톱박스를 동시에 제어하여, 기기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함은 물론, 동작센서와 타이머를 이용하여 TV 주변 환경을 인지하여, 자동으로 TV와 셋톱박스의 전원을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도록 한다.

Description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Set-top box linked TV power}
본 발명은 셋톱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TV와 셋탑박스의 전원이 서로 연동되도록 하는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셋톱박스(Set-top box)는 유선 및 무선의 전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방송신호를 TV 등과 같은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의 일종이다.
종래 셋톱박스는 설치에 따른 공간을 필요로 하며, TV에 인접하도록 설치됨으로써 TV 주변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셋톱박스를 TV 후면에 설치하거나, TV 후면 벽면에 설치해 왔다. 셋톱박스가 TV 후면에 설치될 경우 TV에 의해 가려져 셋톱박스의 온(on)/오프(off) 상태를 확인하기 어렵고, 리모컨의 신호가 셋톱박스에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TV 후측에 셋톱박스를 설치하기 위한 수단과 설치에 따른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리모콘 신호를 셋톱박스에 정확히 전달시키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TV와 셋톱박스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기 위하여, 전용 전원버튼이 2개 필요하며, 이들에 대한 전원 오프시, TV를 선택하여 전원을 오프하고, 셋톱박스를 선택하여 전원을 오프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2가지 제품을 모두 사용할 경우에는 전원 제어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00097호의 "IPTV용 셋톱박스 전원 자동제어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IPTV용 셋톱박스 전원 제어장치에 있어서,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와; 전원 제어용 펌웨어가 내장된 데이터 저장장치와;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에 저장된 전원 제어용 펌웨어를 추출하여 전원을 제어하되, 특정 버튼 및 전원 버튼의 눌러지는 상태나 시간과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의 움직임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셋톱박스의 전원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전원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종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086734호의 "TV용 셋톱박스 전원 자동제어장치 및 그 방법"가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TV용 셋톱박스 전원 제어장치에 있어서,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와; 전원 제어용 펌웨어가 내장된 데이터 저장장치와;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에 저장된 전원 제어용 펌웨어를 추출하여 전원을 제어하되, 특정 버튼 및 전원 버튼의 눌러지는 상태나 시간과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의 움직임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셋톱박스의 전원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전원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기는 상기 전원 버튼이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이상 눌러진 경우에만 전원 대기모드 신호로 인식하고, 셋톱박스의 전원을 대기모드 상태로 제어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셋톱박스의 전원 제어에만 관심이 있고, TV와 셋톱박스의 전원 제어가 연동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TV와 셋톱박스의 전원 제어에 대한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셋톱박스의 전원이 꺼져 있더라도 TV 전원이 여전히 켜져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발생하게 되어 불필요한 전력이 소비된다. 공공 대합실 등에 설치된 TV의 경우, 시청자가 없을 경우에도 TV가 계속 켜져 있어 불필요한 전력(대기 모드상태에서 0.3W, 켜진상태 400W 정도, 40인치 TV 기준)이 소비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TV 전원버튼과 셋톱박스 전원버튼이 분리된 상태인데, 분리된 리모컨 사용의 복잡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TV 전원버튼과 셋톱박스 전원버튼이 통합된 리모컨이 출시되었다. 그러나 전원버튼이 통합된 리모컨에서는 통합전원버튼에 추가하여 오작동을 해결하기 위한 기존의 TV전원버튼과 셋톱박스 전원버튼이 그대로 있게 되므로 오히려 3개의 전원 버튼이 만들어지고, 두 기기중 하나가 전원 ON/OFF 상태가 서로 다르거나, 두 기기중 하나가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 TV와 셋톱박스 전원의 엇갈림 현상이 발생하고, 이러한 현상은 TV의 전원 로딩시간과 셋톱박스의 전원 로딩시간으로 인해, 사용자가 오작동 원인을 인식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고장으로 인식하기 쉽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TV의 전원상태에 따라 셋톱박스의 전원이 동기화되도록 하여, 기존 리모컨이 TV와 셋톱박스의 리모컨 포맷을 동시에 보내어 제어할 때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하나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TV와 셋톱박스를 동시에 제어하여, 기기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하며,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고, 셋톱박스가 TV 하단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TV의 세련된 디자인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셋톱박스의 설치를 위한 장소 제공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셋톱박스에 있어서, TV로부터 TV의 온(on)/오프(off)를 위한 TV전원신호를 수신받는 TV전원신호수신부;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마이컴;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는 동작센서; 시간을 카운트하여 카운트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 및 TV의 전원제어를 위한 리모컨신호를 상기 TV에 송신하는 리모컨신호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TV전원신호수신부에 수신되는 TV전원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고, 상기 동작센서의 감지신호가 정해진 시간동안 수신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셋톱박스를 오프시킴과 아울러, 상기 TV를 오프시키기 위한 리모컨신호가 상기 리모컨신호송신부를 통해서 송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감지신호가 수신시, 상기 셋톱박스를 온시킴과 아울러, 상기 TV를 온시키기 위한 리모컨신호가 상기 리모컨신호송신부를 통해서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가 제공된다.
상기 TV전원신호수신부는, 상기 TV의 USB단자에 USB케이블로 연결되는 USB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이컴은, 상기 감지신호가 수신시, 상기 셋톱박스를 온시킴과 아울러, 상기 TV를 온시키기 위한 리모컨신호가 상기 리모컨신호송신부를 통해서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리모컨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신호수신부; 상기 리모컨신호수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TV의 전원제어용 리모컨신호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에 상응하는 상기 TV의 전원제어용 리모컨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리모컨신호송신부에 전달하는 리모컨신호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TV의 전원을 제어할 때마다, 상기 메모리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리모컨신호변환부의 변환에 의해 상기 TV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셋팅할 수 있다.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과 상기 TV의 하단에 개재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TV의 하단에 고정시키는 제 1 접착부재; 및 상기 TV의 후면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본체와 상기 TV를 결합시키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면에 전후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제 1 가이드홀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 1 가이드홀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볼트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휨이 가능한 재질 또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홀이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브라켓이 휜 상태에서 상기 볼트가 상기 고정홀을 통해서 체결되기 위한 제 2 가이드홀이 상면에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하부가 절개부에 의해 분할되는 다수의 분할부로 이루어짐으로써 휨을 가이드하도록 하고, 상기 분할부 각각에 상기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USB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들이 상면에 마련되고, 상면을 포함하는 외측면에 방열구가 다수로 분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모컨신호송신부는,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부를 가지는 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도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모컨신호송신부는,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에 연결되어 TV의 리모컨신호수신부에 부착되는 부착링의 내측에 갭을 가지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TV가 전체적으로 곡률을 가지는 경우, 전면이 상기 곡률에 상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TV로부터 출력되는 TV전원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TV전원신호가 상기 TV의 온 또는 오프를 위한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TV의 온 또는 오프를 위한 신호인지에 따라 셋톱박스를 상기 TV의 온 또는 오프와 동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동작센서에 의해 동작 감지시 상기 셋톱박스가 온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TV를 온시키기 위한 리모컨신호가 리모컨신호송신부를 통해서 송신되어 상기 TV에 수신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센서에 의해 동작 감지가 정해진 시간동안 발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셋톱박스가 오프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TV를 오프시키기 위한 리모컨신호가 리모컨신호송신부를 통해서 송신되어 상기 TV에 수신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TV를 온시키기 위한 리모컨신호가 상기 TV에 수신되도록 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TV의 전원제어용 리모컨신호를 미리 수신받아 데이터로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TV의 전원을 제어할 때마다, 상기 메모리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리모컨신호변환부의 변환에 의해 상기 TV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셋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에 의하면, TV의 전원상태에 따라 셋톱박스의 전원이 동기화되도록 리모컨에서 전송되는 TV 전원신호를 이용하여 셋톱박스의 전원을 TV 상태와 동일하게 제어하고, 이로 인해 기존 리모컨이 TV와 셋톱박스의 리모컨 포맷을 동시에 보내어 제어할 때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TV와 셋톱박스를 동시에 제어하여, 기기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함은 물론, 동작센서와 타이머를 이용하여 TV 주변 환경을 인지하여, 자동으로 TV와 셋톱박스의 전원을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에 의하면, 셋톱박스가 TV 하단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TV의 세련된 디자인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셋톱박스의 설치를 위한 장소 제공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TV 주변의 미관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고, 셋톱박스의 리모컨신호 수신 효율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를 도시한 분해상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를 도시한 부착상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에서 곡면 TV인 경우 브라켓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에서 적외선신호송신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에서 셋톱박스에 의한 TV의 전원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에 의해 여러 가지의 실시례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특정한 실시례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100)는 TV(10)로부터 TV(10)의 온(on)/오프(off)를 위한 TV전원신호를 수신받는 TV전원신호수신부(110)와, 셋톱박스(100)의 전원을 제어하는 마이컴(120)을 포함할 수 있다.
TV전원신호수신부(110)는 TV(10)로부터 TV전원신호를 수신받기 위하여, 다양한 신호수신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TV(10)의 USB단자(도 2에 도시; 13)에 USB케이블로 연결되는 USB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TV전원신호수신부(110)는 TV(10)가 온(on)되는 경우, TV(10)의 USB단자(13)에 인가되는 전류를 USB케이블을 통해서 전달받아 TV(10)가 온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100)는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는 동작센서(160), 시간을 카운트하여 카운트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170), 그리고 TV의 전원제어를 위한 리모컨신호를 TV에 송신하는 리모컨신호송신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컴(120)은 TV전원신호수신부(110)에 수신되는 TV전원신호에 상응하여 셋톱박스(100)의 전원을 온/오프시킨다. 즉 마이컴(120)은 TV전원신호수신부(110)에 수신되는 TV전원신호가 온(on)신호일 경우 셋톱박스(100)의 전원을 온(on)시키도록 제어하고, TV전원신호가 오프(off)신호일 경우 셋톱박스(100)의 전원을 오프(off)시키도록 제어한다.
마이컴(120)은 동작센서(160)의 감지신호가 정해진 시간동안 수신되지 못하는 경우, 셋톱박스(100)를 오프시킴과 아울러, TV(10)를 오프시키기 위한 리모컨신호가 리모컨신호송신부(180)를 통해서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작센서(160)는 후술하게 될 본체(190; 도 2에 도시)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감지 영역에 대한 사람 등의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리모컨신호는 일례로 적외선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 밖에도 블루투스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무선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마이컴(120)은 동작센서(160)의 감지신호가 수신시, 셋톱박스(100)를 온시킴과 아울러, TV(10)를 온시키기 위한 리모컨신호가 리모컨신호송신부(180)를 통해서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V(10)는 리모컨신호송신부(180)로부터 송신되는 리모컨신호를 수신받아 해당하는 전원의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TV(10)는 일반적인 TV는 물론 IP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100)는 대개의 리모컨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신호수신부(130), 리모컨신호수신부(130)에 수신되는 TV(10)의 전원제어용 리모컨신호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메모리부(140), 그리고,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데이터에 상응하는 TV(10)의 전원제어용 리모컨신호로 변환하여 리모컨신호송신부(180)에 전달하는 리모컨신호변환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이컴(120)은 TV(10)의 전원을 제어할 때마다, 메모리부(140)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리모컨신호변환부(150)의 변환에 의해 TV(1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셋팅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모델별 또는 제조사별 상이한 리모컨신호를 사용하는 TV(10)에 대한 전원제어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100)는 전체적인 케이스 역할을 하는 본체(190)와, 본체(190)의 상면과 TV(10)의 하단에 개재되어 본체(190)를 TV(10)의 하단에 고정시키는 제 1 접착부재(210)와, TV(10)의 후면 하단에 고정되고, 본체(190)의 상면에 고정됨으로써 본체(190)와 TV(10)를 결합시키는 브라켓(230)이 마련될 수 있다.
본체(190)는 상면에 전후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제 1 가이드홀(195)이 형성됨으로써, 브라켓(230)이 제 1 가이드홀(195)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볼트(232)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가이드홀(195)은 다수, 예컨대 2개가 나란하도록 본체(19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TV(10)마다 상이한 두께 차이로 인한 브라켓(230)의 위치 가변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체(190)는 USB단자(193)를 포함하는 단자(192a,192b,...192g)들이 상면에 마련되고, 상면을 포함하는 외측면에 방열구(191)가 다수로 분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자(192a,192b,...192g)는 예컨대 영상/음성출력단자(192a), 데이터통신단자(192b), 유선통신단자(192c), 외부입력단자(192d), HDMI단자(192e), 디지탈오디오단자(192f), 전원단자(192g)를 비롯하여 인터페이스, 방송, 전원, 통신 등에 필요한 다양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열구(191)는 방열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십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브라켓(230)은 예컨대 제 2 접착부재(220)에 의해 TV(10)의 후면 하단에 고정될 수 있고, 고정홀(231)을 통해서 볼트(232)로 본체(19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나 고무 또는 연성을 가진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등과 같이 휨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접힘을 가이드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볼트(232)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홀(231)이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L"자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90)는 곡면 TV와 같이 곡률을 가지는 TV 본체에 브라켓(230)이 고정됨으로써 브라켓(230)이 휜 상태에서, 볼트(232)가 고정홀(231)을 통해서 체결되기 위한 제 2 가이드홀(196)이 상면에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90)는 브라켓(230)이 휜 상태이더라도, 이러한 브라켓(230)의 고정홀(231)이 볼트(232)로 체결되도록 곡률의 제 2 가이드홀(196)을 제공하게 된다. 가이드홀(196)은 예컨대 나란하도록 전후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서 배열될 수 있다.
브라켓(230)은, 하부가 절개부(233)에 의해 분할되는 다수의 분할부(234)로 이루어짐으로써 수평면을 이루는 하부가 휘어질 수 있도록, 하부의 휨을 가이드하고, 분할부(234) 각각에 고정홀(23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230)은 절개부(233)에 의해 유격을 가지는 분할부(234)간에 휨을 가능하도록 하는데, 곡률의 제 2 가이드홀(196)은 이러한 휜 상태의 브라켓(230)에 형성되는 고정홀(231)이 볼트(232)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가 곡률을 가진 곡면 TV(20)인 경우, 이러한 곡률에 따라 브라켓(230)이 휘게 되는데, 이렇게 곡면 TV(20)의 곡률에 상응하도록 휜 상태의 브라켓(230)이 제 2 가이드홀(196)에 의해 볼트(231)로 쉽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셋톱박스(100)가 곡면 TV(20)에도 안정적이면서 쉽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신호송신부(180)는 예컨대 적외선 LED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체(19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됨과 아울러,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부(251)를 가지는 지지대(250)의 끝단에 설치됨으로써 TV(10)에서 디스플레이부(15)가 위치한 전면(14)에 마련되는 리모컨신호수신부(16)에 리모컨신호가 정확하게 송신되도록 할 수 있으며, 지지대(250)의 내측에 설치되는 도선(181)으로 연결되어 셋톱박스(100)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도록 한다. 지지대(250)는 본체(190)에 인출 및 삽입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고, 이와 달리 본 실시례에서처럼 커넥터(182)에 의해 본체(190)에 마련된 단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도 있다. 한편 본체(190)의 전면에는 셋톱박스(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리모컨신호를 수신받도록 리모컨신호수신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90)는 TV(10)가 전체적으로 곡률을 가지는 경우, 전면이 곡률에 상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컨신호송신부(180)는 본체(190)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183)에 연결되어 TV(10)의 리모컨신호수신부(16; 도 5에 도시) 전면에 부착되는 부착링(350)의 내측에 갭(351)을 가지도록 고정될 수 있다. 부착링(350)은 제 3 접착부재(352)에 의해 TV(10)의 리모컨신호수신부(16)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갭(351)은 TV 리모컨으로부터 출력되는 리모컨신호가 TV(10)의 리모컨신호수신부(16)에 수신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 3 접착부재(352)는 이전의 제 1 및 제 2 접착부재(210,220)와 함께 양면접착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은 TV(10)로부터 출력되는 TV전원신호를 TV전원신호수신부(110)에 의해 입력받는 단계(S11), TV전원신호가 TV(10)의 온 또는 오프를 위한 신호인지를 마이컴(120)에 의해 판단하는 단계(S12), 그리고 TV(10)의 온 또는 오프를 위한 신호인지에 따라 셋톱박스(100)를 TV(10)의 온 또는 오프와 동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14~16,S18~S20)를 포함할 수 있다.
셋톱박스(100)를 TV(10)의 온 또는 오프와 동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14~16,S18~S20)는 마이컴(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데, 예컨대 TV전원신호가 TV(10)의 온을 위한 신호인 경우, 셋톱박스(100)가 온인지를 판단하고(S14), 셋톱박스(100)가 온인 경우 셋톱박스(100)가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S15), 셋톱박스(100)가 오프인 경우 셋톱박스(100)를 온시키도록 제어하며(S16), TV전원신호가 TV(10)의 오프을 위한 신호인 경우, 셋톱박스(100)가 오프인지를 판단하고(S18), 셋톱박스(100)가 오프인 경우 셋톱박스(100)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S19), 셋톱박스(100)가 온인 경우 셋톱박스(100)를 오프시키도록 제어한다(S20). 한편 TV(10)는 TV전원신호에 따라 자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된다(S13,S17).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에서 셋톱박스에 의한 TV의 전원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러한 셋톱박스(100)에 의한 TV(10)의 전원 제어는 마이컴(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도 8에 설명한 TV전원제어신호에 의한 셋톱박스(100)의 전원제어 과정(S11~S20) 이전 또는 이후 또는 이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데, 예컨대 동작센서(160)에 의해 동작 감지시 셋톱박스(100)가 온되도록 함과 아울러, TV(10)를 온시키기 위한 리모컨신호가 리모컨신호송신부(180)를 통해서 송신되어 TV(10)의 리모컨신호수신부(16)에 수신되도록 하는 단계(S38,S39)와, 동작센서(160)에 의해 동작 감지가 타이머(170)에 의해 카운트되는 정해진 시간동안 발생하지 못하는 경우, 셋톱박스(100)가 오프되도록 함과 아울러, TV(10)를 오프시키기 위한 리모컨신호가 리모컨신호송신부(180)를 통해서 송신되어 TV(10)의 리모컨신호수신부(16)에 수신되도록 하는 단계(S40,S3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계들은 자동감지모드(S36)의 설정에 의해 수행되는 모드이거나, 자동으로 조건없이 수행되는 모드일 수 있으며, 이러한 자동감지모드가 설정, 동작신호, 전원차단 등에 의해 오프될 때(S41)까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TV(10)는 리모컨신호가 모델별 또는 제조사별 상이할 수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셋톱박스(100)에 의한 TV(10)의 전원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TV(10)를 온시키기 위한 리모컨신호가 TV(10)에 수신되도록 하는 단계(S38,S39) 이전에, TV(10)의 전원제어용 리모컨신호를 TV(10)의 리모컨을 통해서 미리 수신받아 데이터로 메모리부(140)에 저장하고, 마이컴(120)이 TV(10)의 전원을 제어할 때마다, 메모리부(140)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리모컨신호변환부(150)의 변환과 리모컨신호송신부(180)에 의해 TV(1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셋팅하는 단계(S31~S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셋톱박스(100)가 온(on)된 다음(S31), 마이컴(120)의 제어에 의해 리모컨신호 셋팅모드(S32)가 설정 또는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고, TV(10)의 전원제어용 리모컨신호를 TV(10)의 리모컨을 통해서 리모컨신호수신부(130)가 미리 수신받아(S33), 데이터로 메모리부(140)에 저장하고(S34), 마이컴(120)이 TV(10)의 전원을 제어할 때마다, 메모리부(140)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리모컨신호변환부(150)의 변환과 리모컨신호송신부(180)에 의해 TV(1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셋팅한다(S35).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에 따르면, TV(10)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셋톱박스(10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TV(10)가 온 상태에서, 리모컨에서 전원제어신호가 송신되어 TV(10)가 오프되면, 예컨대 TV(10)의 후면(11; 도 2에 도시)에 마련된 입출력단자(12)와 함께 마련되는 USB단자(13)에서 전원신호가 차단되고, 이 신호가 셋톱박스(100)에서 TV전원신호수신부(110)의 일례인 USB단자를 통하여 감지되면, 마이컴(120)은 셋톱박스(100)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TV(10)가 오프 상태에서, 리모컨에서 전원제어신호가 송신되어 TV(10) 전원이 온되면 TV(10) USB단자(13)에서 전원신호가 발생되고, 이 신호가 TV전원신호수신부(110)에 의해 감지되면, 마이컴(120)은 셋톱박스(100)의 전원을 온시킨다. 따라서, TV(10)와 셋톱박스(100)의 관계를 주종관계로 설정하여, TV(10)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셋톱박스(100)가 온/오프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동작센서(160)와 타이머(170)를 이용하여, 셋톱박스(100)에 의한 TV(10)의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박물관, 전시장, 대합실, 병원, 공공기관 등에 리모컨을 비치하지 않는 장소에 TV(10)를 시청하는 사람이 없을 경우, TV(10)와 셋톱박스(100)의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이때, 마이컴(120)은 동작센서(160)가 동작을 감지할 때마다 타이머(170)가 초기화되도록 하여 다시 카운트를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TV의 전원상태에 따라 셋톱박스의 전원이 동기화되도록 리모컨에서 전송되는 TV 전원신호를 이용하여 셋톱박스의 전원을 TV 상태와 동일하게 제어하고, 이로 인해 기존 리모컨이 TV와 셋톱박스의 리모컨 포맷을 동시에 보내어 제어할 때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TV와 셋톱박스를 동시에 제어하여, 기기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함은 물론, 동작센서와 타이머를 이용하여 TV 주변 환경을 인지하여, 자동으로 TV와 셋톱박스의 전원을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도록 한다. 또한 셋톱박스가 TV 하단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TV의 세련된 디자인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셋톱박스의 설치를 위한 장소 제공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TV 주변의 미관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고, 셋톱박스의 리모컨신호 수신 효율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20 : TV 11 : 후면
12 : 입출력단자 13 : USB단자
14 : 전면 15 : 화면
16 : 리모컨신호수신부 110 : TV전원신호수신부
120 : 마이컴 130 : 리모컨신호수신부
140 : 메모리부 150 : 리모컨신호변환부
160 : 동작센서 170 : 타이머
180 : 리모컨신호송신부 181 : 도선
182 : 커넥터 183 : 케이블
190,290 : 본체 191 : 방열구
192a : 영상/음성출력단자 192b : 데이터통신단자
192c : 유선통신단자 192d : 외부입력단자
192e : HDMI단자 192f : 디지탈오디오단자
192g : 전원단자 193 : USB단자
194 : 접착영역 195 : 제 1 가이드홀
196 : 제 2 가이드홀 210 : 제 1 접착부재
220 : 제 2 접착부재 230 : 브라켓
231 : 고정홀 232 : 볼트
233 : 절개부 234 : 분할부
250 : 지지대 251 : 힌지결합부
350 : 부착링 351 : 갭
352 : 제 3 접착부재

Claims (13)

  1. 셋톱박스에 있어서,
    TV(10)로부터 TV(10)의 온(on)/오프(off)를 위한 TV전원신호를 수신받는 TV전원신호수신부(110);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마이컴(120);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는 동작센서(160);
    시간을 카운트하여 카운트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170); 및
    TV의 전원제어를 위한 리모컨신호를 상기 TV에 송신하는 리모컨신호송신부(180);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120)은,
    상기 TV전원신호수신부(110)에 수신되는 TV전원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셋톱박스(10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고, 상기 동작센서(160)의 감지신호가 정해진 시간동안 수신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셋톱박스(100)를 오프시킴과 아울러, 상기 TV(10)를 오프시키기 위한 리모컨신호가 상기 리모컨신호송신부(180)를 통해서 송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마이컴(120)은,
    상기 감지신호가 수신시, 상기 셋톱박스(100)를 온시킴과 아울러, 상기 TV(10)를 온시키기 위한 리모컨신호가 상기 리모컨신호송신부(180)를 통해서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TV전원신호수신부(110)는,
    상기 TV(10)의 USB단자(13)에 USB케이블로 연결되는 USB단자(19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리모컨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신호수신부(130);
    상기 리모컨신호수신부(130)에 수신되는 상기 TV(10)의 전원제어용 리모컨신호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메모리부(140); 및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데이터에 상응하는 상기 TV(10)의 전원제어용 리모컨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리모컨신호송신부(180)에 전달하는 리모컨신호변환부(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120)은,
    상기 TV(10)의 전원을 제어할 때마다, 상기 메모리부(140)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리모컨신호변환부(150)의 변환에 의해 상기 TV(1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셋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190);
    상기 본체(190)의 상면과 상기 TV(10)의 하단에 개재되어 상기 본체(190)를 상기 TV(10)의 하단에 고정시키는 제 1 접착부재(210); 및
    상기 TV(10)의 후면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190)의 상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본체(190)와 상기 TV(10)를 결합시키는 브라켓(23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190)는,
    상면에 전후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제 1 가이드홀(195)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브라켓(230)이 상기 제 1 가이드홀(195)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볼트(232)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30)은,
    휨이 가능한 재질 또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볼트(232)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홀(231)이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90)는,
    상기 브라켓(230)이 휜 상태에서 상기 볼트(232)가 상기 고정홀(231)을 통해서 체결되기 위한 제 2 가이드홀(196)이 상면에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30)은,
    하부가 절개부(233)에 의해 분할되는 다수의 분할부(234)로 이루어짐으로써 휨을 가이드하도록 하고, 상기 분할부(234) 각각에 상기 고정홀(2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190)는,
    USB단자(193)를 포함하는 단자(192a,192b,...192g)들이 상면에 마련되고, 상면을 포함하는 외측면에 방열구(191)가 다수로 분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신호송신부(180)는,
    본체(19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부(251)를 가지는 지지대(250)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250)에 설치되는 도선(181)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신호송신부(180)는,
    본체(190)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183)에 연결되어 TV(10)의 리모컨신호수신부(16) 전면에 부착되는 부착링(350)의 내측에 갭(351)을 가지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290)는,
    상기 TV(20)가 전체적으로 곡률을 가지는 경우, 전면이 상기 곡률에 상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
  12. TV(10)로부터 출력되는 TV전원신호를 입력받는 단계(S11);
    상기 TV전원신호가 상기 TV(10)의 온 또는 오프를 위한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2);
    상기 TV(10)의 온 또는 오프를 위한 신호인지에 따라 셋톱박스(100)를 상기 TV(10)의 온 또는 오프와 동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14~16,S18~S20);
    동작센서(160)에 의해 동작 감지시 상기 셋톱박스(100)가 온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TV(10)를 온시키기 위한 리모컨신호가 리모컨신호송신부(180)를 통해서 송신되어 상기 TV(10)에 수신되도록 하는 단계(S38,S39); 및
    상기 동작센서(160)에 의해 동작 감지가 정해진 시간동안 발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셋톱박스(100)가 오프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TV(10)를 오프시키기 위한 리모컨신호가 상기 리모컨신호송신부(180)를 통해서 송신되어 상기 TV(10)에 수신되도록 하는 단계(S40,S3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TV(10)를 온시키기 위한 리모컨신호가 상기 TV(10)에 수신되도록 하는 단계(S38,S39) 이전에, 상기 TV(10)의 전원제어용 리모컨신호를 미리 수신받아 데이터로 메모리부(140)에 저장하고, 상기 TV(10)의 전원을 제어할 때마다, 상기 메모리부(140)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리모컨신호변환부(150)의 변환에 의해 상기 TV(1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셋팅하는 단계(S31~S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KR1020140135020A 2014-10-07 2014-10-07 Tv 전원 연동형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KR2016004222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020A KR20160042229A (ko) 2014-10-07 2014-10-07 Tv 전원 연동형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PCT/KR2015/001219 WO2016056712A1 (ko) 2014-10-07 2015-02-06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CN201510431362.0A CN106210813A (zh) 2014-10-07 2015-07-21 电视电源联动式机顶盒及利用其的电源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020A KR20160042229A (ko) 2014-10-07 2014-10-07 Tv 전원 연동형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229A true KR20160042229A (ko) 2016-04-19

Family

ID=55653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020A KR20160042229A (ko) 2014-10-07 2014-10-07 Tv 전원 연동형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60042229A (ko)
CN (1) CN106210813A (ko)
WO (1) WO201605671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773B1 (ko) * 2018-04-26 2018-07-25 주식회사 오성전자 리모컨을 이용한 파워 밸런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리모컨
KR101961708B1 (ko) * 2017-09-22 2019-03-25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셋탑박스, 원격 제어기기, iptv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00005218A (ko) 2018-07-06 2020-01-15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Tv와 셋톱 박스의 전원 동기화 방법
US11350158B2 (en) 2018-09-11 202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6455A1 (zh) * 2017-04-01 2018-10-04 深圳市智晟达科技有限公司 根据电视状态关闭机顶盒的方法以及机顶盒
WO2018176470A1 (zh) * 2017-04-01 2018-10-04 深圳市智晟达科技有限公司 关闭电视自动关闭连接设备的方法以及电视
TWI604433B (zh) * 2017-04-20 2017-11-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用於電視系統之同步控制裝置及其方法
US20230335035A1 (en) * 2020-09-15 2023-10-19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power-off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6336A (ko) * 2006-08-18 200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CN201487488U (zh) * 2009-07-27 2010-05-26 江苏银河电子股份有限公司 中型平板电视支架
CN101764966A (zh) * 2009-11-27 2010-06-30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视机与机顶盒的控制连接方法及系统
CN102147968B (zh) * 2010-02-06 2012-10-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力线通信设备
CN101867693B (zh) * 2010-04-29 2012-04-04 杨式宁 电视机机顶盒的组合架及安装方法
KR101144728B1 (ko) * 2012-01-16 2012-05-24 유한회사 셋토퍼 셋톱박스 설치용 브라켓 장치
KR20140046562A (ko) * 2012-10-05 2014-04-21 유한회사 셋토퍼 셋톱박스와 tv의 동시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03888824A (zh) * 2012-12-19 2014-06-25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Iptv机顶盒及其自动待机的方法
KR101489811B1 (ko) * 2013-02-27 2015-02-06 유한회사 셋토퍼 전원자동제어장치 및 전원자동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708B1 (ko) * 2017-09-22 2019-03-25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셋탑박스, 원격 제어기기, iptv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881773B1 (ko) * 2018-04-26 2018-07-25 주식회사 오성전자 리모컨을 이용한 파워 밸런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리모컨
KR20200005218A (ko) 2018-07-06 2020-01-15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Tv와 셋톱 박스의 전원 동기화 방법
US11350158B2 (en) 2018-09-11 202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56712A1 (ko) 2016-04-14
CN106210813A (zh)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2229A (ko) Tv 전원 연동형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KR101489811B1 (ko) 전원자동제어장치 및 전원자동제어방법
US8531061B2 (en) Plug device for controlling connection with power source
US9812004B1 (en) Control system for a terminal device and a switch
EP3285494B1 (en) Display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the same
KR20180057127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 방법
KR101343385B1 (ko) 걸이형 셋톱박스
US20040125234A1 (en) Lighting apparatus of television
KR2008010109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975364B2 (en) Radio television and frequency modulation monitor transmitting receiving control apparatus
KR20220090659A (ko) Tv 전원 연동형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KR10261795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1728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89810B1 (ko) 셋톱박스 리피터 및 이를 포함하는 셋톱박스 시스템
KR101114998B1 (ko) 복수의 제어 대상 기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리모콘 및 그 방법
TWI566213B (zh) Wireless remote control integration system
US20120144434A1 (en) Hospitality Set-Top to Television Interface
EP3958436B1 (en) Display device
US9508255B2 (en) Integrated system of infrared remote controls
JP3547422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7701324B2 (en) Collaborative wireless micro-control system
JP2009010801A (ja) 映像出力装置の接続ユニット及び浴室テレビシステム湯沸し器
JP5176541B2 (ja) 外部機器接続ユニットおよび浴室テレビシステム
US20110134046A1 (en) Display device
CN108737688B (zh) 用于电视系统的同步控制装置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