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562A - 셋톱박스와 tv의 동시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셋톱박스와 tv의 동시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562A
KR20140046562A KR1020120110681A KR20120110681A KR20140046562A KR 20140046562 A KR20140046562 A KR 20140046562A KR 1020120110681 A KR1020120110681 A KR 1020120110681A KR 20120110681 A KR20120110681 A KR 20120110681A KR 20140046562 A KR20140046562 A KR 20140046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op box
control
signal
pow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복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셋토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셋토퍼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셋토퍼
Priority to KR1020120110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6562A/ko
Publication of KR20140046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셋톱박스와 TV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TV 제어용 리모컨으로부터 출력된 TV 전원신호 또는 셋톱박스 제어용 리모컨으로부터 출력된 전원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 셋톱박스와 TV의 전원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 펌웨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 장치 및 셋톱박스와 TV를 동시에 제어하는 동시전원제어모드로 작동시 셋톱박스 제어용 리모컨으로부터 출력된 TV 전원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제어기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와 TV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셋톱박스와 TV의 동시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CURRENCY CONTROL OF POWER IN TV AND SET-TOP BOX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셋톱박스와 TV의 동시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출력되는 TV 전원신호를 수신하여 셋톱박스와 TV의 전원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PTV와 위성수신TV에 연동하는 셋톱박스(내장형 또는 독립형)는 독립적으로 기능 구현이 불가능한 장비로, 아날로그 TV, LCD TV, 프로젝트 등과 같은 영상매체와 항상 연결된 상태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장비이다.
셋톱박스와 TV는 전원 제어 방식이 이중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이 복잡하고 불편하다, 예컨대, 셋톱박스와 TV의 전원이 모두 꺼진 상태에서, 2가지 제품을 모두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리모컨을 이용하여 TV를 선택한 후 전원을 온시키고, 다시 셋톱박스를 선택한 후 전원을 온 시키는 방식으로, 전원을 제어하여 2가지 제품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게 된다. 예를 들면, TV 리모컨으로 TV 전원 제어를 수행하고, 셋톱박스 리모컨으로 셋톱박스 전원 제어를 수행하게 되므로, 2가지 제품 사용으로 인해 전원 제어가 복잡해진다. 이러한 불편함을 조금이나마 해소하기 위해서 셋톱박스 전원을 항상 켜놓는 경우가 다반사인데, 이 경우에는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셋톱박스 제어용 리모컨으로부터 수신되는 TV 전원신호를 이용하여 셋톱박스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셋톱박스와 TV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TV 제어용 리모컨으로부터 출력된 TV 전원신호 또는 셋톱박스 제어용 리모컨으로부터 출력된 전원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 셋톱박스와 TV의 전원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 펌웨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 장치; 및 상기 셋톱박스와 TV를 동시에 제어하는 동시전원제어모드로 작동시 상기 셋톱박스 제어용 리모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TV 전원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제어기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와 TV 전원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TV 전원신호는 상기 셋톱박스 전원을 온 시키는 제1 전원신호; 및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을 오프 시키는 제2 전원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제어기는 상기 TV 전원신호를 하나만 사용할 경우, 상기 셋톱박스가 전원 오프(전원 대기 모드)일 경우 상기 TV 전원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을 온 시키고, 상기 셋톱박스가 전원 온 상태에서 상기 TV 전원신호 수신되면 수신되는 시간에 따라 상기 셋톱박스를 오프시키는 전원신호로 사용 또는 폐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셋톱박스와 TV 전원제어장치는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 및 전원제어기가 상기 셋톱박스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수신부는 상기 TV 또는 상기 셋톱박스에 내장되거나, 탈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a) 셋톱박스 제어용 리모컨으로부터 출력되는 TV 전원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TV의 전원과 셋톱박스의 전원을 동시에 제어하는 전원동시제어모드의 설정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원동시제어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TV 전원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와 TV의 전원동시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는 상기 셋톱박스가 전원대기상태일 경우 제1 전원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셋톱박스를 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셋톱박스가 켜진상태에서 상기 제2 전원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신호와 상기 제2 전원신호는 서로 다른 데이터 코드일 수 있다.
상기 단계 (c)는 상기 셋톱박스가 전원 대기 상태에서 상기 TV 전원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을 온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셋톱박스가 전원 온 상태에서 상기 TV 전원신호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수신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셋톱박스와 TV의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은 셋톱박스 제어용 리모컨의 TV 전원신호를 이용하여 셋톱박스와 TV의 전원을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리모컨 버튼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리모컨 기능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리모콘 전원 버튼 하나로 2개 이상의 기기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셋톱박스와 TV 전원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셋톱박스와 TV 전원동시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셋톱박스와 TV 전원동시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전원제어장치에 저장된 셋톱박스 전원제어 신호의 일 예를 도시한 파형도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1에 도시된 전원제어장치에 저장된 셋톱박스 전원제어 신호의 다른 예를 도시한 파형도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5e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셋톱박스와 TV의 전원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와 TV의 전원제어장치는 적외선 수신부(110), 전원제어기(130) 및 데이터 저장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제어장치(100)는 TV 또는 셋톱박스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원제어장치(100)가 셋톱박스에 구비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제어장치(100)는 TV 제어용 리모컨(10)에서 출력된 TV 전원신호를 수신하면 적외선 수신부(110)에서 이를 수신하여 셋톱박스와 TV의 전원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적외선 수신부(110)는 셋톱박스 제어용 리모컨(10)에서 출력되는 전원신호를 수신한다. 적외선 수신부(110)는 셋톱박스에 내장되는 적외선 수신기 또는 외부에 셋톱박스용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부가된 적외선 수신기일 수 있다.
데이터 저장장치(120)는 전원 제어 펌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저장장치(120)는 전원제어 신호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저장된 정보를 전원제어기(130)에 제공할 수 있다. 전원 제어 펌웨어는 도 4a 내지 도 5e에 도시된 신호들이 입력될 경우 이에 상응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제어기(130)는 셋톱박스 제어용 리모컨(10)에서 수신되는 전원신호, 채널변경신호, 음량변경신호, 선택신호 등의 다양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이에 상응하여 셋톱박스를 제어할 수 있다.
전원제어기(130)는 데이터 저장장치(120)에 저장된 전원 제어 펌웨어를 추출하여 TV 및 셋톱박스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전원제어기(130)는 TV 제어용 리모컨 또는 셋톱박스 제어용 리모컨(10)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고, 적외선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셋톱박스의 전원을 온오프 하거나 채널, 음량변경 등의 일반적인 제어를 할 수 있다.
전원제어기(130)는 셋톱박스와 TV를 동시에 전원제어하는 동시전원제어모드가 설정될 경우 셋톱박스 제어용 리모컨(10)에서 출력되는 TV 전원신호를 수신하여 셋톱박스와 TV의 전원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제어기(130)는 셋톱박스 제어용 리모컨(10)으로부터 수신된 TV 전원신호를 온 신호와 오프 신호로 분리하여 서로 다르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전원제어기는 수신된 TV 전원신호를 분석하여 셋톱박스를 온/오프시키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원제어기(130)는 TV 전원신호를 하나만 이용하고 누르는 시간을 다르게 할 경우, 셋톱박스 전원 오프(전원 대기모드)에서는 TV 전원신호가 수신되면 셋톱박스의 전원을 온시키고, 이와 달리 셋톱박스 전원 온 상태에서는 수신되는 TV 전원신호의 수신시간(2초 이상, 리피트 펄스의 개수로 판단함)에 따라 TV 전원신호로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폐기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셋톱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신호로 사용할 경우 셋톱박스 전원을 오프(전원 대기모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제어장치는 셋톱박스 제어용 리모컨의 전원신호를 이용하여 셋톱박스와 TV의 전원을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리모콘 전원버튼을 하나로 줄일 수 있으며, 리모컨 기능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리모컨의 전원버튼 하나로 2개 이상의 기기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원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원제어장치의 전원제어기(130)에서 펌웨어를 이용하여 셋톱박스와 TV의 전원이 동시에 제어되는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원제어방법은 (a) 전원 대기모드에서 리모컨의 전원 버튼의 조작에 따라 전원제어기에서 셋톱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S101 ~ S103), (b) 전원 대기모드에서 셋톱박스와 TV 전원 동시 제어모드가 설정된 경우, 셋톱박스 전원제어를 위한 제1 또는 제2 전원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04, S106), (c) 전원 대기모드에서 제1 전원신호가 수신될 경우 셋톱박스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S107), 셋톱박스가 전원 온 상태에서 제2 전원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 제2 전원신호가 수신될 경우 셋톱박스의 전원을 전원 대기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S108, S109) 및 셋톱박스와 TV 전원 동시 제어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TV 전원버튼이 눌러지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0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전원신호는 셋톱박스 전원 온(on) 신호이고, 제2 전원신호는 셋톱박스 전원 오프(off)(전원 대기모드) 신호이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 예에 따른 셋톱박스와 TV의 전원동시제어방법은 전원제어기(23)에서 데이터 저장장치(22)에 저장된 전원 제어를 위한 펌웨어를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한 전원 제어 펌웨어를 기반으로 셋톱박스와 TV의 전원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단계 S101에서와 같이 셋톱박스 전원이 전원 대기모드 상태일 경우 단계S102에서 전원버튼이 눌러지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전원버튼이 눌러지지 않으면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고, 이와는 달리 전원 버튼이 눌러지면 단계 S103에서 셋톱박스 전원을 온(on) 시킨다. 여기서 전원 버튼이 눌러졌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은 적외선 수신부(21)에서 적외선을 수신한 경우 전원제어기(23)에서 이를 분석하여 TV 전원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가능하다.
셋톱박스와 TV에서 사용되는 전원 제어신호에 대한 코드 포맷은 상이하므로, 용이하게 어느 기기의 기능 신호인지 전원신호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아울러 전원 대기모드에서 전원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 단계S104를 통해 셋톱박스와 TV 전원 동시 제어모드가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셋톱박스와 TV 전원 동시 제어모드는 TV 전원신호를 이용하여 셋톱박스 전원을 제어함과 동시에 TV 전원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모드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어 모드의 설정은 셋톱박스 생산시 미리 펌웨어로 작성하여 데이터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기 생산된 셋톱박스 일 경우 프로그램 업그레이드를 위한 데이트 입력포트를 통해 펌웨어(제어 프로그램)를 입력시켜, 전원 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방식으로도 설정할 수 있다.
셋톱박스와 TV 전원 동시 제어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05에서와 같이 TV 전원 버튼이 눌러지면 단계 S109로 이동하여 셋톱박스 전원을 오프(전원 대기모드)하게 된다. 즉, 셋톱박스 제어용 리모컨을 통해 전원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셋톱박스 전원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셋톱박스와 TV 전원 동시 제어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단계 S106으로 이동하여 셋톱박스 전원 제어를 위한 제1 전원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제1 전원신호는 셋톱박스 전원제어를 위해 셋톱박스 제어용 리모컨(10)에서 송출되는 TV 전원용으로 포맷된 신호이다.
상기 제1 전원신호는 도 4a와 같은 코드 포맷에서 앞쪽에 위치한 1st파워 데이터 코드(1st power data code)일 수 있다.
제1 전원신호가 수신되면 단계 S107에서 전원제어기(23)는 셋톱박스 전원을 온(on) 시키게 된다. 이때 TV도 전원이 온 된다.
즉, 셋톱박스 전원 대기모드에서 셋톱박스 리모컨에서 발생한 TV 전원신호를 리모컨 수신부(21)에서 수신하고, 전원제어기(23)에서 이를 분석하여 제1 전원신호이면 셋톱박스의 전원을 온 시킬 수 있다. 또한, 한 번의 TV 전원신호로 셋톱박스와 TV의 전원을 동시에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제1 전원신호를 이용하여 셋톱박스 전원을 온 시킨 상태 이후에, 단계 S108에서와 같이 제2 전원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제2 전원신호는 도 4b와 같은 코드 포맷에서 우측에 위치한 1st파워 데이터 코드(1st power data code)와 같은 신호이다.
이 확인 결과 제2 전원신호가 수신되면 단계 S109로 이동하여 셋톱박스 전원을 오프(전원 대기모드)하게 된다. 이때, TV도 당연히 전원 오프가 된다.
한편, 제1 전원신호와 제2 전원신호는 도 5a 내지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드 포맷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원신호와 제2 전원신호는 서로 상이한 신호이며, 이렇게 분리된 신호를 이용하여 셋톱박스 전원신호로 사용하여 셋톱박스와 TV의 전원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셋톱박스와 TV의 전원동시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원제어장치의 전원제어기(130)에서 펌웨어를 이용하여 셋톱박스와 TV의 전원이 동시에 제어되는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셋톱박스와 TV의 전원동시제어방법은 (a) 셋톱박스의 전원 대기모드에서 셋톱박스 제어용 리모컨의 전원 버튼의 조작에 따라 전원제어기(22)에서 셋톱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S201 ~ S203), (b) 전원대기모드에서 셋톱박스와 TV 전원 동시 제어모드가 설정된 경우, 셋톱박스 전원 제어를 위한 TV 전원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204), (c) 전원 대기모드에서 TV 전원신호가 수신될 경우 셋톱박스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S206 ~ S207), (d) 셋톱박스가 전원 온 상태에서 TV 전원신호가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 이상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 TV 전원신호가 상기 일정 시간 이상 수신될 경우 셋톱박스의 전원을 전원 대기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S208 ~ S209) 및 셋톱박스와 TV 전원 동시 제어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전원 버튼이 눌러지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2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셋톱박스와 TV 동시모드가 설정되지 않을 경우 셋톱박스는 TV 전원신호가 입력되면 전원 대기모드에서 전원 온(on)이 되고, 셋톱박스의 전원이 온 상태에서 전원 오프(off)(전원대기모드)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셋톱박스와 TV 전원 동시 제어 방법은 전원제어기(23)에서 데이터 저장장치(22)에 저장된 전원 제어를 위한 펌웨어를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한 전원 제어 펌웨어를 기반으로 전원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단계 S201에서와 같이 셋톱박스 전원이 전원 대기모드 상태일 경우 단계S202에서 전원 버튼이 눌러지는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전원버튼이 눌러지지 않으면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고, 이와는 달리 전원 버튼이 눌러지면 단계 S203에서 셋톱박스 전원을 온(on) 시킨다. 여기서 전원 버튼이 눌러졌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은 적외선 수신부(21)에서 적외선을 수신한 경우 전원제어기(23)에서 이를 분석하여 전원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가능하다. 셋톱박스와 TV에서 송출되는 전원 제어신호에 대한 코드 포맷은 상이하므로, 용이하게 어느 기기의 기능 신호인지 전원신호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아울러 셋톱박스 전원 대기모드에서 TV 전원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 단계S204를 통해 셋톱박스와 TV 전원 동시 제어모드가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셋톱박스와 TV 전원 동시 제어모드는 TV 전원신호를 이용하여 셋톱박스 전원을 제어함과 동시에 TV 전원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모드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어 모드의 설정은 미리 펌웨어로 작성하여 데이터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기 제작된 셋톱박스일 경우 프로그램 업그레이드단계 S205에서와 같이 셋톱박스 전원 버튼이 눌러지면 기존 셋톱박스 전원 제어방식과 동일하게 단계 S209로 이동하여 셋톱박스 전원을 오프(전원 대기모드)하게 된다. 즉, 셋톱박스리모컨을 통해 TV 전원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기존 셋톱박스 전원 제어 방식과 동일하게 셋톱박스 전원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셋톱박스와 TV 전원 동시 제어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단계 S206으로 이동하여 셋톱박스 전원 제어를 위한 TV 전원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TV 전원신호는 셋톱박스 제어용 리모컨(10)에서 송출되는 TV 전원신호로서, 셋톱박스 전원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TV 전원신호는 도 4b와 같은 코드 포맷에서 앞쪽에 위치한 1st파워 데이터 코드(1st power data code)를 의미한다.
이러한 TV 전원신호가 수신되면 단계 S207에서 전원제어기(23)는 셋톱박스 전원을 온(on) 시키게 된다. 이때 TV도 당연히 전원이 온 된다. 즉, 셋톱박스 전원 대기모드에서 셋톱박스 리모컨에서 발생한 TV 전원신호를 셋톱박스의 리모컨 수신부(21)에서 수신하고, 전원제어기(23)에서 이를 분석하여 TV 전원신호이면 셋톱박스 전원도 온 시키게 된다. 예컨대, 한 번의 TV 전원신호로 셋톱박스와 TV의 전원을 동시에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TV 전원신호를 이용하여 TV 전원을 온 시킨 상태에서, 단계 S208에서와 같이 TV 전원신호가 일정시간 이상(예를 들어, 2초이상)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TV 전원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수신되는지의 여부는 도 4b와 같은 코드 포맷에서 108ms마다 수신되는 리피트 펄스(Repeat Pulse)를 카운트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예컨대, 수신되는 코드 포맷에서 108ms마다 수신되는 리피트 펄스를 카운트하여. 리피트 펄수가 19개 이상이면 2초 이상 TV 전원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을 하고, 이와는 달리 수신된 리피트 펄스가 19개 미만이면 수신된 TV 전원신호를 폐기한다.
이 확인 결과 TV 전원신호가 2초 이상 수신되면 단계 S209로 이동하여 셋톱박스 전원을 오프(전원 대기모드)하게 된다. 이때 TV도 당연히 전원 오프가 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동일한 TV 전원신호를 이용하여 셋톱박스와 TV 전원을 동시에 제어하되, 셋톱박스 전원 대기모드에서는 TV 전원신호가 발생만 하면(리피트 펄스가 1개 이상) TV 전원과 셋톱박스 전원을 동시에 온 시키나, 셋톱박스 전원 온 상태에서는 리피트 펄스의 개수가 19개 이상일 경우에만 셋톱박스 전원신호로 인정하고, TV 및 셋톱박스 전원을 오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TV 및 셋톱박스 전원을 온 할 경우에는 셋톱박스 제어용 리모컨에 구비된 파워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되나, TV 및 셋톱박스 전원을 오프할 경우에는 셋톱박스 제어용 리모컨에 구비된 파워 버튼을 조금 길게(2초 이상) 눌러야 한다.
10: 리모컨
100: 전원제어장치
110: 적외선 수신부
120: 데이터 저장장치
130: 전원제어기

Claims (9)

  1. 셋톱박스 제어용 리모컨으로부터 출력된 TV 전원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
    셋톱박스와 TV의 전원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 펌웨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 장치; 및
    상기 셋톱박스와 TV를 동시에 제어하는 동시전원제어모드로 작동시 상기 상기 TV 전원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셋톱박스와 상기 TV가 동기되어 온 또는 오프 되도록 전원을 동시에 제어하는 전원제어기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와 TV 전원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V 전원신호는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을 온 시키는 제1 전원신호; 및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을 오프 시키는 제2 전원신호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와 TV 전원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기는
    상기 셋톱박스가 전원 오프(전원 대기 모드)일 경우 상기 TV 전원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을 온 시키고,
    상기 셋톱박스가 전원 온 상태에서 상기 TV 전원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TV 전원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에 따라 상기 셋톱박스를 오프시키는 전원신호로 사용하거나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와 TV 전원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 및 전원제어기가 상기 셋톱박스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와 TV 전원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수신부는
    상기 TV 또는 상기 셋톱박스에 내장되거나,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와 TV 전원제어장치.
  6. (a) 셋톱박스 제어용 리모컨으로부터 출력되는 TV 전원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TV의 전원과 셋톱박스의 전원을 동시에 제어하는 전원동시제어모드의 설정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전원동시제어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TV 전원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와 TV의 전원동시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셋톱박스가 전원대기상태일 경우 제1 전원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셋톱박스를 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셋톱박스가 켜진상태에서 제2 전원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와 TV의 전원동시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신호와 상기 제2 전원신호는 서로 다른 데이터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와 TV의 전원동시제어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셋톱박스가 전원 대기 상태에서 상기 TV 전원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을 온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셋톱박스가 전원 온 상태에서 상기 TV 전원신호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수신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셋톱박스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와 TV의 전원동시제어방법.
KR1020120110681A 2012-10-05 2012-10-05 셋톱박스와 tv의 동시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465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681A KR20140046562A (ko) 2012-10-05 2012-10-05 셋톱박스와 tv의 동시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681A KR20140046562A (ko) 2012-10-05 2012-10-05 셋톱박스와 tv의 동시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562A true KR20140046562A (ko) 2014-04-21

Family

ID=50653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681A KR20140046562A (ko) 2012-10-05 2012-10-05 셋톱박스와 tv의 동시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656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6712A1 (ko) * 2014-10-07 2016-04-14 유한회사 셋토퍼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CN106506175A (zh) * 2016-11-21 2017-03-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设备电源的控制方法和装置
KR20200005218A (ko) * 2018-07-06 2020-01-15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Tv와 셋톱 박스의 전원 동기화 방법
WO2022059807A1 (ko) * 2020-09-15 2022-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전원 오프 제어 방법
WO2024043574A1 (ko) * 2022-08-22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기 모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6712A1 (ko) * 2014-10-07 2016-04-14 유한회사 셋토퍼 Tv 전원 연동형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CN106506175A (zh) * 2016-11-21 2017-03-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设备电源的控制方法和装置
CN106506175B (zh) * 2016-11-21 2019-06-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设备电源的控制方法和装置
KR20200005218A (ko) * 2018-07-06 2020-01-15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Tv와 셋톱 박스의 전원 동기화 방법
WO2022059807A1 (ko) * 2020-09-15 2022-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전원 오프 제어 방법
WO2024043574A1 (ko) * 2022-08-22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기 모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6750B2 (en) Method for recognizing control command and control device using the same
KR20140046562A (ko) 셋톱박스와 tv의 동시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20120068833A1 (en) Closed loop universal remote control
US9210357B1 (en) Automatically pairing remote
JP2019208355A (ja) 電源モード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CN100399372C (zh) 一种集成家电产品遥控控制方法
CN103632531A (zh) 一种具有激光笔功能的智能遥控器及其遥控方法
CN103135954A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WO2008105179A1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203630952U (zh) 一种具有激光笔功能的智能遥控器
CN101783899B (zh) 一种具有一键功能找回遥控器的电视机和实现方法
CN102611927A (zh) 具有万能遥控功能的机顶盒
TWI566213B (zh) Wireless remote control integration system
CN203859333U (zh) 一种智能电视机插座的装置
JP2007235198A (ja) テレビ受信機
CN101027902A (zh) 控制电子设备的方法
US20100295698A1 (en) Remote Control Setting Method and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and Remote Control System
US9508255B2 (en) Integrated system of infrared remote controls
US20190340919A1 (en) Back cover for portable terminal having remote control function mounted there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product using same
US20130033647A1 (en) Method for Switching Channels in Electronic Device
CN103220483A (zh) 显示装置和信号处理方法
US8468560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setting channel
CN105704534A (zh) 一种具有快捷键设置功能的伸缩型遥控器
CN104581323A (zh) 一种语音控制遥控器
KR101220288B1 (ko) Tv 전원 상태에 기인한 방송수신장치 자동 모드 전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