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385B1 - 걸이형 셋톱박스 - Google Patents

걸이형 셋톱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385B1
KR101343385B1 KR1020120083006A KR20120083006A KR101343385B1 KR 101343385 B1 KR101343385 B1 KR 101343385B1 KR 1020120083006 A KR1020120083006 A KR 1020120083006A KR 20120083006 A KR20120083006 A KR 20120083006A KR 101343385 B1 KR101343385 B1 KR 101343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box body
remote control
digital broadcast
ope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호
Original Assignee
이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호 filed Critical 이관호
Priority to KR1020120083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3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걸이형 셋톱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셋톱박스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와 떨어져 설치되므로 셋톱박스 리모컨을 디지털 방송수신기(TV, 모니터)의 리모컨수신부로 향하여 조작하면 셋톱박스가 그 신호를 잘 받지 못하므로 반복해서 무리하게 리모컨버튼을 누름에 따라 리모컨 수명이 단축되고, 천정 및 벽걸이로 설치할 때는 셋톱박스용 선반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면에 연결대출입공(101)이 구비된 셋톱박스본체(100); 셋톱박스본체(100)와 분리 상태로 만들어지는 전방 조작부(110); 일단은 전방 조작부(1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셋톱박스본체(100)의 연결대출입공(101)에 끼워져 출입되며, 힌지부(121)에 의해 셋톱박스본체(100)를 절첩시키고, 셋톱박스본체(100)와 전방 조작부(110)를 연결하는 배선이 내부로 설치되는 연결대(120);로 구성되어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테두리 베젤에 셋톱박스를 설치하므로 셋톱박스 리모컨을 디지털 방송수신기로 향해 조작하더라도 셋톱박스가 정확하게 조작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며, 천정형이나 벽걸이형으로 매달아 설치할 때도 종래처럼 별도의 선반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설치시간이 단축되고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걸이형 셋톱박스{Hanger type set-top box}
본 발명은 걸이형 셋톱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판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TV 및 컴퓨터 모니터의 하단이나 상단 테두리에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셋톱박스의 리모컨을 TV 나 모니터를 향하더라도 조작이 양호하게 되는 걸이형 셋톱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방송이란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정보의 신호를 부호화하여 기록하는 디지털 형태로 텔레비전 신호를 압축하여 내보내기 때문에 쌍방향 운용, 재생, 축적이 가능한 차세대 방송기술이다.
이러한 디지털방송은 방송수신기(TV수상기, 인터넷TV 수상기인 컴퓨터 모니터)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HD 수신안테나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대부분은 위성방송국이나 디지털방송국(또는 방송 중계사업자)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각종 디지털방송을 셋톱박스(settop box)를 통해 수신하고 있다.
또한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정보 서비스, 동영상 콘텐츠 및 방송 등과 관련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양방향으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IP 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도 셋톱박스와 연결된 TV 수상기를 통하여야만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줄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디지털방송을 수신하는 TV 수상기, 컴퓨터 모니터, IP TV (이하 "디지털 방송수신기"라 칭함)는 대부분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를 사용하고 있으며, 평판 타입에 따라 PDP형 디스플레이, LCD형 디스플레이, LED형 디스플레이, OLED형 디스플레이로 구분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방송을 줄기기 위해 디지털 방송수신기와 연결되는 셋톱박스는 대부분 전면에는 리모컨수신부, 디스플레이창, 전원스위치를 포함한 각종 조작스위치가 구비되고, 후면에는 디지털 방송수신기(TV, 모니터)와 연결하기 위한 전원단자, 입출력단자, USB 단자, 음성단자, 디지털단자 등이 설치된다.
상기 디지털 방송수신기(TV, 모니터)가 스탠드형인 경우는 이에 연결되는 셋톱박스를 대부분 디지털 방송수신기가 놓이는 바닥(장식장의 경우는 장식장 표면)의 일측(대부분 디지털 방송수신기(TV, 모니터)의 옆쪽)에 배치시켜 놓고 있다.
그런데, 셋톱박스의 리모컨수신부는 그 수신범위가 일정 각도로 한정되어 있는 반면 디지털 방송수신기(TV, 모니터)는 "42인치" 이상으로 점차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리모컨수신부와 셋톱박스의 리모컨수신부는 서로 멀리 떨어진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셋톱박스의 리모컨을 사용할 때 그 리모컨을 셋톱박스를 향하지 않고 무의식적으로 디지털 방송수신기(TV, 모니터)의 리모컨수신부를 향하도록 한 상태로 조작하면 셋톱박스가 리모컨 조작 신호를 잘 받지 못함에 따라 사용자는 몇 번을 반복해서 무리하게 리모컨버튼을 누르게 되고, 이는 결국 리모컨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되었다.
그리고, 디지털 방송수신기(TV, 모니터)를 천정이나 벽걸이용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디지털 방송수신기(TV, 모니터)를 천정이나 벽에 걸어 설치하는 외에 셋톱박스를 설치하기 위한 선반을 별도로 마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인력 및 자재 추가로 설치비용이 많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셋톱박스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평판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디지털 방송수신기가 스탠드형이거나 또는 천정 및 벽걸이로 거치되는 타입 어느 것이라 하더라도 셋톱박스를 평판형인 TV 나 컴퓨터 모니터 등의 디지털 방송수신기(이하 "디지털 방송수신기"라 칭함)의 테두리를 이용하여 보다 신속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걸어 사용할 수 있는 걸이형 셋톱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셋톱박스를 구성하되 전원공급 및 디지털 방송수신기(TV, 모니터)와 연결하기 위한 각종 단자들이 설치되며, 전면 내부에는 연결대출입공이 구비된 셋톱박스본체와; 셋톱박스본체에서 출입되도록 셋톱박스본체와 분리된 상태로 만들어지며, 리모컨수신부와 디스플레이창 및 전원을 포함한 각종 조작스위치가 구비되는 전방 조작부와; 일단은 전방 조작부 이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셋톱박스본체의 연결대출입공에 끼워져서 출입되며, 힌지부에 의해 셋톱박스본체를 절첩시키는 연결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셋톱박스본체에는 견인고리부를 구비시키고, 전방 조작부 이면에는 양면테이프나 흡착구를 구비시키면 셋톱박스본체와 전방 조작부를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테두리 베젤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어 상기 목적 달성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스탠드형으로 설치할 때와 천정 및 벽걸이로 매달아 설치하는 타입 중 어느 것으로 설치하더라도 디지털 방송수신기(TV, 모니터)의 테두리 하단부 또는 상단부를 이용하여 셋톱박스를 최대한 근접시켜 설치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셋톱박스의 리모컨을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향하여 조작하더라도 셋톱박스가 언제나 신속 정확하게 조작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디지털 방송수신기를 천정형이나 벽걸이형으로 매달아 설치할 때 종래처럼 셋톱박스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선반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치시간이 단축되고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이 실시된 셋톱박스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셋톱박스본체에서 전방 조작부가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셋톱박스본체에서 전방 조작부가 인출된 상태의 측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셋톱박스본체가 연결대에 의해 접힌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셋톱박스를 스탠드형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설치한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셋톱박스를 천정이나 벽걸이형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설치한 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셋톱박스의 전방 조작부에 흡착구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이 실시된 셋톱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셋톱박스에서 전방 조작부가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수신기(TV, 모니터)(200)와 연결하기 위한 각종 단자들이 설치되며, 전면 내부에는 연결대출입공(101)이 구비된 셋톱박스본체(100)와; 상기 셋톱박스본체(100) 전면에서 출입 가능하도록 셋톱박스본체(100)와 분리된 상태로 만들어지며, 리모컨수신부(111)와 디스플레이창(112) 및 전원을 포함한 각종 조작스위치(113)가 구비되는 전방 조작부(110)와; 일단은 전방 조작부(110) 이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셋톱박스본체(100)의 연결대출입공(101)에 끼워져서 출입되며, 힌지부(121)에 의해 절첩되고, 셋톱박스본체(100)와 전방 조작부(110)를 연결하는 배선이 내부로 설치되는 연결대(1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셋톱박스본체(100)에는 견인줄(300)로 당길 수 있는 견인고리부(102)가 구비되고, 전방 조작부(110)의 이면에는 양면테이프(114) 또는 흡착구(115)가 설치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1)은 디지털 방송수신기(200)에 구비되어 있는 홀을 이용한 결착부이고, (300)은 견인줄 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 과 같이 전방 조작부(110)가 후방의 셋톱박스본체(10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는 연결대(120)가 셋톱박스본체(100)의 내부로 최대한 들어간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셋톱박스를 설치하고자 할 때는 도 2 및 도 3a 와 같이 전방 조작부(110)를 셋톱박스본체(100)로부터 당겨서 일정 거리만큼 벌어지도록 한다. 그러면 연결대(120)가 전방 조작부(110)를 따라 당겨지면서 셋톱박스본체(100)의 연결대출입공(101)을 통해 힌지부(121)가 외부로 인출될 때까지 뽑히게 된다.
그러면 셋톱박스본체(100)는 힌지부(121)를 기점으로 하여 일측으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셋톱박스본체(100)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도 3b 와 같이 전방 조작부(110)와 연결대(120)와 셋톱박스본체(100)는 "ㄷ"자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셋톱박스를 스탠드형에 설치할 때는 도 4 와 같이 "ㄷ"자 형태로 접힌 셋톱박스에서 전방 조작부(110)는 리모컨수신부(111)와 디스플레이창(112)이 전방을 향하도록 디지털 방송수신기(TV, 모니터)(200)의 하단부 테두리 베젤(bezel) 표면에 접촉시키고, 후방의 셋톱박스본체(100)는 디지털 방송수신기(200)의 이면에 밀착되게 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 조작부(110)는 도 3a 에 도시된 양면테이프(114) 또는 도 6 에서 표현된 흡착구(115)를 이용하여 부착하면 디지털 방송수신기(TV, 모니터)의 하단부 테두리 베젤(bezel) 표면에 접촉된 상태를 매우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방송수신기(200) 이면쪽의 셋톱박스본체(100)는 견인고리부(102)를 이용하여 견인줄(300)로 디지털 방송수신기(200) 후면의 결착부(201)에 결착하면 셋톱박스본체(100)는 디지털 방송수신기(200) 이면에 밀착된 상태를 매우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셋톱박스는 천정이나 벽걸이용으로 디지털 방송수신기(TV, 모니터)(200)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전방 조작부(110)와 연결대(120) 및 셋톱박스본체(100)를 ㄷ"자 형태로 접은 상태에서 도 5 와 같이 전방 조작부(110)를 디지털 방송수신기(TV, 모니터)의 상단부 테두리 베젤(bezel) 표면에 접촉되게 하고, 후방의 셋톱박스본체(100)는 디지털 방송수신기(200)의 이면에 밀착되게 끼워 설치하면 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셋톱박스는 공중에 매달린 디지털 방송수신기(200)의 상단 테두리 베젤에 끼우져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며, 이때 전방 조작부(110) 이면에 구비된 양면테이프(114)나 흡착구(115)를 이용하면 전방 조작부(110)가 디지털 방송수신기(200)의 테두리 베젤(bezel) 표면에 매우 신속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셋톱박스본체(100)의 견인고리부(102)를 이용하여 견인줄(300)로 디지털 방송수신기(200)의 후면에 걸어 셋톱박스본체(100)를 견인하게 되면 셋톱박스가 더욱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수신기(200)를 스탠드 타입과 천정 및 벽걸이용으로 매다는 타입 중 어느 것에 설치하더라도 디지털 방송수신기(200)의 테두리 베젤 표면에 셋톱박스의 전방 조작부(110)가 놓여 있으므로 사용자가 무의식중에 셋톱박스의 리모컨을 디지털 방송수신기(200)로 향하여 조작하더라도 그 신호를 전방 조작부(110)의 리모컨수신부(111)에서 양호하게 수신할 수 있어 셋톱박스를 언제나 신속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셋톱박스본체 101 : 연결대출입공
102 : 견인고리부 110 : 전방 조작부
111 : 리모컨수신부 114 : 양면테이프
115 : 흡착구 120 : 연결대
121 : 힌지부 300 : 견인줄

Claims (2)

  1. 셋톱박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수신기(TV, 모니터)(200)와 연결하기 위한 각종 단자들이 설치되며, 전면 내부에는 연결대출입공(101)이 구비된 셋톱박스본체(100)와;
    상기 셋톱박스본체(100) 전면에서 출입 가능하도록 셋톱박스본체(100)와 분리된 상태로 만들어지며, 리모컨수신부(111)와 디스플레이창(112) 및 전원을 포함한 각종 조작스위치(113)가 구비되는 전방 조작부(110)와;
    일단은 전방 조작부(110) 이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셋톱박스본체(100)의 연결대출입공(101)에 끼워져서 출입되며, 힌지부(121)에 의해 셋톱박스본체(100)를 절첩시키고, 셋톱박스본체(100)와 전방 조작부(110)를 연결하는 배선이 내부로 설치되는 연결대(120);
    로 이루어져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하단부나 상단부 테두리 베젤에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형 셋톱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셋톱박스본체(100)에는 견인줄(300)로 견인하기 위한 견인고리부(102)가 구비되고,
    전방 조작부(110)의 이면에는 양면테이프(114) 또는 흡착구(115)가 구비되어
    셋톱박스본체(100)와 전방 조작부(110)의 설치 상태를 견고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형 셋톱박스.
KR1020120083006A 2012-07-30 2012-07-30 걸이형 셋톱박스 KR101343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006A KR101343385B1 (ko) 2012-07-30 2012-07-30 걸이형 셋톱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006A KR101343385B1 (ko) 2012-07-30 2012-07-30 걸이형 셋톱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3385B1 true KR101343385B1 (ko) 2013-12-20

Family

ID=49988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006A KR101343385B1 (ko) 2012-07-30 2012-07-30 걸이형 셋톱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38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8790A (zh) * 2018-11-29 2019-01-15 张家林 一种数字电视机顶盒
CN109348268A (zh) * 2018-11-16 2019-02-15 江苏沃达视听科技有限公司 一种电视机顶盒
WO2019194377A1 (ko) * 2018-04-02 2019-10-1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92757Y1 (ko) * 2020-04-13 2020-12-04 주식회사 케이티 서비스 북부 Tv 셋탑박스 걸이구
CN114268819A (zh) * 2021-12-09 2022-04-01 郭雨 一种数字电视机顶盒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127B1 (ko) 2011-10-27 2012-02-15 김재복 셋톱박스 시스템
KR101144728B1 (ko) 2012-01-16 2012-05-24 유한회사 셋토퍼 셋톱박스 설치용 브라켓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127B1 (ko) 2011-10-27 2012-02-15 김재복 셋톱박스 시스템
KR101144728B1 (ko) 2012-01-16 2012-05-24 유한회사 셋토퍼 셋톱박스 설치용 브라켓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4377A1 (ko) * 2018-04-02 2019-10-1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스플레이 장치
CN109348268A (zh) * 2018-11-16 2019-02-15 江苏沃达视听科技有限公司 一种电视机顶盒
CN109218790A (zh) * 2018-11-29 2019-01-15 张家林 一种数字电视机顶盒
KR200492757Y1 (ko) * 2020-04-13 2020-12-04 주식회사 케이티 서비스 북부 Tv 셋탑박스 걸이구
CN114268819A (zh) * 2021-12-09 2022-04-01 郭雨 一种数字电视机顶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933505U (zh) 显示助理设备
KR101343385B1 (ko) 걸이형 셋톱박스
US10616641B2 (en) Media appliance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9095057B2 (en) Media appliance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8717751B2 (en) Protective enclosure
CN201533364U (zh) 平板电视的机械布置
US11874707B2 (en) Display assistant device
US8382514B1 (en) Wall plate/cover housing assembly
GB2516573A (en) Control box for intelligent furniture
CN207867456U (zh) 一种语音手势双操作的语音控制终端
US20120137338A1 (en) Decoder vesa mounting assembly
CN203289587U (zh) 一种壁挂式机顶盒
CN210053498U (zh) 一种壁挂式机顶盒
CN212113204U (zh) 一种4k高清网络电视触摸唱歌机
CN203813869U (zh) 一种挂墙的超低音电视音箱系统
CN107483856B (zh) 一种电视机与音箱一体化装置
CN207340076U (zh) 内置直流隔离器的机顶盒
CN205005202U (zh) 一种集成墙体面板
CN207124693U (zh) 一种带有可拆卸储物盒的电视机壳
CN201450539U (zh) 可挂可台的机顶盒
CN205726190U (zh) 一种多功能壁挂式机顶盒
KR200412945Y1 (ko) 컴퓨터용 케이스
CN210530008U (zh) 一种新型电视墙
US201401849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wer to a Television Accessory
RU95938U1 (ru) Приставка цифровая телевизионна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