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912A - 디히드록시페닐 신경전달물질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히드록시페닐 신경전달물질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912A
KR20160041912A KR1020167003133A KR20167003133A KR20160041912A KR 20160041912 A KR20160041912 A KR 20160041912A KR 1020167003133 A KR1020167003133 A KR 1020167003133A KR 20167003133 A KR20167003133 A KR 20167003133A KR 20160041912 A KR20160041912 A KR 20160041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uterium
compound
group
hydrogen
purd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에스 골드스타인
코트니 홈즈
루돌프-기스버트 앨켄
프랑크 슈나이더
청지 장
Original Assignee
오스펙스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더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오브 어메리카, 애즈 리프리젠티드 바이 더 세크러테리, 디파트먼트 오브 헬쓰 앤드 휴먼 서비씨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펙스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더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오브 어메리카, 애즈 리프리젠티드 바이 더 세크러테리, 디파트먼트 오브 헬쓰 앤드 휴먼 서비씨즈 filed Critical 오스펙스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41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91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2Non-specific cardiovascular stimulants, e.g. drugs for syncope, antihypoten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3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29/36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 at least one amino group and one carboxyl group bound to the same carbon atom of the carbon skele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05Isotopically modified compounds, e.g. label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sychia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Diabetes (AREA)
  • Immu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besit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syc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의 신경전달물질 수준의 디히드록시페닐 조절제, 그 약학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히드록시페닐 신경전달물질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 {DIHYDROXYPHENYL NEUROTRANSMITTER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본 출원은 미국 가출원 번호 62/010,098 (2014 년 6 월 10 일 제출) 및 번호 61/843,549 (2013 년 7 월 8 일 제출) 의 우선권의 유익함을 주장하며, 그 개시물들은 그 전문이 본원에 기재되었다면 여기서 참조로 포함된 것이다.
신규의 디히드록시페닐 화합물 및 조성물 및 장애의 치료를 위한 약학제로서의 그 적용이 본원에 개시되어 있다. 대상체에서의 신경전달물질 수준의 조절 방법은 또한 저혈압, 기립성 저혈압,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증세성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다중계 위축증 (MSA)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샤이-드레거 증후군 관련 기립성 저혈압,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증 (FAP)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순수 자율신경 부전 (PAF)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특발성 기립성 저혈압, 교감신경긴장성 저혈압, 파킨슨병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투석중 저혈압 (IDH), 혈액투석-야기된 저혈압, 섬유근육통 증후군 (FMS) 관련 저혈압, 척수 외상에 의한 저혈압, 만성 피로 증후군 (CFS) 관련 저혈압, 파킨슨병에 의한 고착 보행, 무동증 및 구음장애, 루이체 치매, 급속 안구 운동 (REM) 행동 장애, 만성 심부전, 스트레스-관련 장애, 운동 또는 언어 장애, 만성 통증, 뇌졸중, 뇌 허혈증, 비충혈, 기분 장애, 수면 장애, 기면증, 불면증, 주의력 결핍 장애 (ADD), 주의력 결핍 과잉활동 장애 (ADHD), 무취증, 후각 감퇴증, 경도 인지 장애 (MCI), 다운 증후군,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에 의해 야기되는 자세 반사적 이상, 자가면역 자율신경 부전, 가족성 자율신경이상증, 당뇨병성 자율 신경병증, 다발성 골수종에 의한 아밀로이드증, 파킨슨병, 식전 저혈압, 도파민 베타-히드록실라아제 결핍증, 통증, 진행성 핵상 마비, 멘케스병, 가족성 자율신경이상증 (라일리-데이 증후군), PD-관련 자율신경이상증 (자율신경 기능장애), 청소년기의 기립성 조절장애, 신경심장성 (미주신경성) 실신, 자세 기립성 빈맥 증후군 (POTS), 섬유근육통, 이질통, 통각과민, 피로, 수면 방해(sleep disturbance), 우울증, 만성 기립성 조절장애, 소아 발달 장애, 노르에피네프린 합성 또는 효과 감소를 수반하는 유전병, 다중계 조절 장애, 통증, 신경변성 질환, 인지 기능장애, 후각 장애, 신경내분비 장애, 및 자가면역 장애와 같은 장애의 치료를 위해 제공된다.
드록시도파 (Northera; DOPS; L-DOPS; L-트레오-DOPS; SM 5688; (2S,3R)-3-(3,4-디히드록시페닐)-2-아미노-3-히드록시프로판산; 또는 L-트레오-디히드록시페닐세린) 는 신경전달물질 조절제이다. 채내에서, 드록시도파는 효소 L-방향족-아미노-산 데카르복실라아제의 작용에 의해 노르에피네프린 (노르아드레날린과 동의어) 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드록시도파는 노르에피네프린 전구체이다.
노르에피네프린은 뇌 및 말초에서 중요한 화학물질이다. 뇌에서, 노르에피네프린은 주의력, 기억력, 각성, 및 근심과 같은 수많은 신경거동 현상에 수반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대표적인 신경전달물질이다. 말초에서, 노르에피네프린은 순환 조절의 원인이 되는 교감 신경계의 주 신경전달물질이다.
사람이 기립할때, 심장으로의 정맥 환류량의 감소는 압수용기(baroreceptor) 를 언로딩(unloading) 하고, 교감 신경 트래픽(traffic) 을 반사적으로 증가시킨다. 이는, 심장 및 혈관 벽에서 교감 신경으로부터 노르에피네프린 방출을 시사한다. 방출된 노르에피네프린은 아드레날린수용체에 결합함으로써 혈관의 수축을 유도하는데, 기립시 혈압을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예상대로, 기립성 저혈압, 사람이 기립할때 혈압의 저하는 교감성 노르아드레날린성 부전의 주요 발현인 것이다.
폭넓은 흔하고 드문 의과 및 정신과적 병태 모두는 노르아드레날린성 탈신경화, 노르에피네프린 합성 실패, 또는 불충분하거나 부적절한 노르에피네프린 방출 또는 불활성화로 인해 노르에피네프린 결핍증을 수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거나 또는 의심되어 진다. 그러나, 경구성 노르에피네프린은, 노르에피네프린이 소화관에서 효과적으로 대사되기 때문에 노르에피네프린 결핍증의 치료에 유효하지 않다. 문맥 배액법으로의 노르에피네프린은 또한 간에서 광범위하게 대사된다. 게다가, 카테콜아민을 위한 혈액-뇌벽으로 인해, 전신 순환에 있어서 매우 소량의 노르에피네프린이 뇌에 변함없이 진입한다.
반대로, 경구성 드록시도파는 혈류에 진입하고, 중성 아미노산으로서 혈액-뇌벽을 횡단할 수 있다. 따라서, 드록시도파는 노르에피네프린 결핍증 관련 병태를 위한 효과적인 치료일 수 있다.
드록시도파는 증세성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에 사용하는 것으로 승인된다. Birkmayer et al., J. Neural Trans., 1983, 58(3-4), 305-13; Freeman et al., Clin. Neuropharmacol., 1991, 14(4), 296-304; Mathias et al., Clinical Autonomic Research: Official J. Clinical Autonomic Research Society, 2001, 11(4), 235-42; Goldstein, Cardiovascular Drug Rev., 2006, 24(3-4), 189-203; Vichayanrat et al., Future Neurology, 2013, 8(4), 381-397; 및 Hauser et al., J. Parkinson's Disease, 2014, 4(1), 57-65. 드록시도파는 현재 다중계 위축증 (MSA)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샤이-드레거 증후군 관련 기립성 저혈압,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증 (FAP)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순수 자율신경 부전 (PAF)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특발성 기립성 저혈압, 교감신경긴장성 저혈압, 파킨슨병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투석중 저혈압 (IDH), 혈액투석-야기된 저혈압, 섬유근육통 증후군 (FMS) 관련 저혈압, 척수 외상에 의한 저혈압, 및 만성 피로 증후군 (CFS) 관련 저혈압의 치료를 위해 연구 중이다. Suzuki et al., Neurology 1981, 31(10), 1323-6; Iida et al.,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Dialysis and Transplant Association - European Renal Association, 1994, 9(8), 1130-5; Freeman et al., Neurology, 1996, 47(6), 1414-20; Wikstrom et al., Amyloid, 1996, 3(3), 162-166; Carvalho et al., J. Autonomic Nervous Syst., 1997, 62(1/2), 63-71; Terazaki et al., J. Autonomic Nervous Syst., 1998, 68(1-2), 101-8; Freeman et al., Neurology, 1999, 53(9), 2151-7; Goldstein et al., Cardiovascular Drug Review, 2006, 24(3-4), 189-203; 및 Iida et al., Am. J. Nephrology, 2002, 22(4), 338-46. 드록시도파는 또한 파킨슨병에 의한 고착 보행, 무동증, 및 구음장애, 루이체 치매, 급속 안구 운동 (REM) 행동 장애, 만성 심부전, 스트레스-관련 장애, 운동 또는 언어 장애, 만성 통증, 뇌졸중, 뇌 허혈증, 비충혈, 기분 장애, 수면 장애, 기면증, 불면증, 주의력 결핍 장애 (ADD), 주의력 결핍 과잉활동 장애 (ADHD), 무취증, 후각 감퇴증, 경도 인지 장애 (MCI), 다운 증후군, 알츠하이머병, 및 파킨슨병에 의해 야기되는 자세 반사적 이상, 자가면역 자율신경 부전, 가족성 자율신경이상증, 당뇨병성 자율 신경병증, 다발성 골수종에 의한 아밀로이드증, 파킨슨병, 식전 저혈압, 도파민 베타-히드록실라아제 결핍증, 통증, 진행성 핵상 마비, 멘케스병, 가족성 자율신경이상증 (라일리-데이 증후군), PD-관련 자율신경이상증 (자율신경 기능장애), 청소년기의 기립성 조절장애, 신경심장성 (미주신경성) 실신, 자세 기립성 빈맥 증후군 (POTS), 섬유근육통, 이질통, 통각과민, 피로, 수면 방해, 및 우울증의 치료에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여졌다. Ogawa et al., J. Medicine, 1985, 16(5-6), 525-34; Yamamoto et al., Clin. Neuropharmacol., 1985, 8(4), 334-42; CA 2133514 A1; Takagi et al., Eur. Neuropsychopharmacol., 1996, 6(1), 43-7; EP 887078 A1; Miyai et al.,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000, 14(2), 141-7; WO 2005084330 A2; WO 2008137923 A2; WO 2010132128 A1; WO 2012158612 A1; Kalinin et al., Neurobiology of Aging, 2012, 33(8), 1651-1663; Goldstein et al., Cardiovascular Drug Review, 2006, 24(3-4), 189-203; US 8383681; 및 US 8008285.
Figure pct00001
드록시도파
드록시도파 화학 구조는 단정한다면 불활성 또는 유독성 대사물 (그 형성은 본원에 기재된 접근법에 의해 저하될 수 있음) 을 생성하는 수많은 특성들을 함유한다. 드록시도파는 방향족 L-아미노산 데카르복실라아제에 의한 대사에 적용되어 노르에피네프린 (노르아드레날린) 을 생성하며, 이는 페닐에탄올아민 N-메틸전이효소로 추가로 메틸화되어 에피네프린 (아드레날린) 을 생성한다. 노르에피네프린 및 에피네프린은 모노아민 옥시다아제 (MAO) 에 의해 산화성 대사에 적용되어 유독성 대사물 3,4-디히드록시페닐글리콜알데히드 (DOPEGAL) 를 생성한다.
모노아민 옥시다아제는 노르에피네프린 프로-드러그로서 드록시도파의 능력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유독성을 야기할 수 있다. 노르에피네프린에 대한 모노아민 옥시다아제의 작용에 의한 중간 생성물은 카테콜알데히드, 디히드록시페닐글리콜알데히드이다. 디히드록시페닐글리콜알데히드는 가교 및 그로 인한 단백질의 불활성화, 뿐만 아니라 유해한 퀴논을 형성하는 자가산화를 야기함으로써 잠재적으로 유독성이다. 효소 탈아미노화는 과산화수소, 산화성 스트레서(stressor) 를 생성한다.
이들은 기타 대사성 전환 뿐만 아니라 환자간 가변성을 악화시키는 다형체로 발현되는 효소를 통해 부분 발생한다. 추가로, 일부 드록시도파 대사물은 목적하지 않는 부작용을 가질 수 있다. 드록시도파 투여 관련 부작용은 두통, 현기증, 구역질, 고혈압, 쓰러짐, 요로 감염증, 실신, 배위성 고혈압, 초고열, 혼란, 기존의 허혈성 심장 질환의 악화, 부정맥, 및 울혈성 심부전을 포함한다. 그 짧은 반감기를 극복하기 위해, 약물은 아마도 하루 3 회 섭취되어야 하는데, 이는 환자 불순응 및 중단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추가로, 드록시도파를 사용하는 치료의 급정지는 철회 또는 중단 증후군을 야기할 수 있다. 보다 긴 반감기를 갖는 약제가 아마도 이들 유해한 영향을 약화시킬 것이다.
듀테륨 동적 동위원소 효과
치료제와 같은 외래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동물체는 시토크롬 P450 효소 (CYP), 에스테라아제, 프로테아제, 환원효소, 탈수소효소, 및 모노아민 옥시다아제와 같은 각종 효소를 발현하여 이들 외래 물질과 반응시켜 더 극성인 중간체 또는 신장 배출용 대사물로 전환시킨다. 상기 대사 반응은 흔히 탄소-수소 (C-H) 결합의 탄소-산소 (C-O) 또는 탄소-탄소 (C-C) π-결합으로의 산화를 수반한다. 수득한 대사물은 생리학적 조건 하에 안정 또는 불안정할 수 있고, 모(母)화합물에 비해 실질적으로 상이한 약동학적, 약력학적, 및 단기간 및 장기간 유독성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대부분의 약물에서, 상기 산화는 일반적으로 급속이고, 궁극적으로 다중 또는 높은 일일량의 투여를 야기한다.
활성화 에너지 및 반응 속도 사이의 관계식은 아레니우스식, k = Ae-Eact/RT 에 의해 정량화될 수 있다. 아레니우스식은 제시된 온도에서 화학 반응의 속도가 활성화 에너지 (Eact) 에 기하급수적으로 달라지는 것을 언급한다.
반응의 전이 상태는 원래의 결합이 그 한계까지 뻗어나가는 반응 경로에 따라 단명된 상태이다. 정의하자면, 반응을 위한 활성화 에너지 Eact 는 상기 반응의 전이 상태에 도달하는데 요구되는 에너지이다. 전이 상태에 일단 도달되면, 분자는 원래의 반응물로 되돌아가거나, 또는 새로운 결합을 형성해 반응 생성물을 생성한다. 촉매는 활성화 에너지를 낮춰 전이 상태를 유도함으로써 반응 과정을 촉진시킨다. 효소는 생물학적 촉매의 예이다.
탄소-수소 결합 강도는 결합의 기저-상태 진동 에너지의 절대값에 직접 비례한다. 상기 진동 에너지는 결합을 형성하는 원자들의 질량에 따라 다르고, 결합을 만드는 원자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질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증가된다. 듀테륨 (D) 이 프로튬 (1H) 의 질량의 2 배를 갖기 때문에, C-D 결합은 상응하는 C-1H 결합보다 강하다. C-1H 결합이 화학 반응에서 속도-결정 단계 (즉, 가장 높은 전이 상태 에너지를 갖는 단계) 동안 파단된다면, 프로튬에 대한 듀테륨 치환은 반응 속도의 감소를 야기할 것이다. 상기 현상은 듀테륨 동적 동위원소 효과 (DKIE) 로 알려져 있다. DKIE 의 크기는 C-1H 결합이 파단되는 소정의 반응의 속도와 프로튬에 대한 듀테륨 치환의 경우의 동일한 반응 사이의 비로서 표현될 수 있다. DKIE 는 약 1 (동위원소 효과 없음) 에서 매우 큰 수, 예컨대 50 이상 범위일 수 있다. 수소에 대한 트리튬 치환은 듀테륨보다 여전히 강한 결합을 유도하고, 수치상으로 보다 큰 동위원소 효과를 제공한다.
듀테륨 (2H 또는 D) 은 가장 통상적인 수소의 동위원소인, 프로튬 (1H) 의 질량의 대략 2 배를 갖는 안정하고 비방사선의 수소의 동위원소이다. 듀테륨 옥시드 (D2O 또는 "중수(heavy water)") 는 H2O 와 같이 보이고 풍미이지만, 상이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
순수 D2O 를 설치류에 제공한 경우, 급격히 흡수된다. 유독성을 야기하는데 요구되는 듀테륨의 양은 극히 높다. 약 0-15% 의 체 수분을 D2O 로 대체한 경우, 동물은 건강하지만 대조 (미처리) 군만큼 빠르게 체중이 늘수 없다. 약 15-20% 의 체 수분을 D2O 로 대체한 경우, 동물은 흥분성이 된다. 약 20-25% 의 체 수분을 D2O 로 대체한 경우, 동물은 매우 흥분성이 되어 자극받으면 빈번히 경련을 일으킨다. 피부 병변, 발 및 주둥이에서의 궤양, 및 꼬리의 괴사가 나타난다. 동물은 또한 매우 공격성이 된다. 약 30% 의 체 수분을 D2O 로 대체한 경우, 동물은 먹는 것을 거부하고, 혼수상태가 된다. 그 체중이 급격히 떨어지고, 그 대사 속도가 정상보다 훨씬 아래로 떨어지며, D2O 로의 약 30 내지 약 35% 대체시에는 죽음이 발생한다. 이전 체중의 30% 초과가 D2O 로 인해 손실되지 않는한, 그 영향은 가역적이다. 연구는 또한 D2O 의 사용이 암 세포의 생장을 지연시킬 수 있고, 특정한 항신생물제의 세포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약동학 (PK), 약력학 (PD), 및 유독성 프로파일 개선을 위한 약학제의 듀테륨화가 일부 부류의 약물로 이미 입증되었다. 예를 들어, DKIE 는 아마도 트리플루오로아세틸 클로라이드와 같은 반응성 종의 생성을 제한함으로써 할로탄의 간독성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모든 약물 부류에 적용가능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듀테륨 혼입은 대사 스위칭(switching) 을 야기할 수 있다. 대사 스위칭은 Phase I 효소에 의해 격리된 제노겐(xenogen) 이 화학 반응 (예, 산화) 이전에 다양한 입체배열로 일시적 결합 및 재결합되는 경우 일어난다. 대사 스위칭은 수많은 대사 반응의 잡다한 성질 및 수많은 Phase I 효소의 비교적 엄청난 크기의 결합 포켓에 의해 가능하다. 대사 스위칭은 상이한 비의 공지된 대사물 뿐만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대사물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대사 프로파일은 다소 유독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위험은 분명한 것이 아니고, 임의의 약물 부류에 대하여 연역적으로 예측가능하지 않다.
드록시도파는 신경전달물질 조절제이다. 드록시도파의 탄소-수소 결합은 자연 발생 분포의 수소 동위원소, 즉 1H 또는 프로튬 (약 99.9844%), 2H 또는 듀테륨 (약 0.0156%), 및 3H 또는 트리튬 (1018 개의 프로튬 원자 당 약 0.5 내지 67 개 범위의 트리튬 원자) 을 함유한다. 듀테륨 혼입 수준의 증가는 자연 발생 수준의 듀테륨을 갖는 화합물과 비교시 상기 드록시도파의 약동학적, 약리학적 및/또는 독성학적 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검출가능한 듀테륨 동적 동위원소 효과 (DKIE) 를 생성할 수 있다.
문헌을 고려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험실에서의 발견들을 기준으로, 드록시도파는 인간에서 쉽게 대사되어 에피네프린 및 노르에피네프린을 생성하며, 이는 그 N-메틸렌기에서 추가로 대사된다. 현 접근법은 상기 부위에서의 대사 방지 가능성을 갖는다. 분자 상의 기타 부위가 또한 전환을 겪어 아직 알려지지 않은 약리학/독성학을 갖는 대사물을 유도할 수 있다. 이들 대사물의 생성을 제한하는 것은 상기 약물의 투여 위험을 감소시키는 가능성을 갖고, 심지어는 투여량 증가 및/또는 효율 증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모든 이들 전환은 환자간 가변성을 악화시키는 다형체로 발현되는 효소를 통해 일어날 수 있다. 추가로, 일부 장애는 대상체가 24 시간 내내 또는 장시간 동안 약물 투여받은 경우에 최적으로 치료된다. 앞서 언급된 이유들 모두로, 보다 긴 반감기를 갖는 약제는 보다 큰 효율 및 비용 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 각종 듀테륨화 패턴은 (a) 원치않는 대사물의 저하 또는 제거, (b) 모약물의 반감기의 증가, (c)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는데 요구되는 투여수의 감소, (d)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는데 요구되는 투여량의 감소, (e) 형성되어진다면, 활성 대사물의 형성 증가, (f) 특정 조직에서 유해한 대사물의 생성 감소, 및/또는 (g) 다제투여(polypharmacy) 여부에 상관없이 다제투여를 위한 더 효과적인 약물 및/또는 보다 안전한 약물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듀테륨화 접근법은 드록시도파의 대사를 늦추고 환자간 가변성을 약화시키는 강한 가능성을 갖는다.
신규 화합물 및 약학 조성물 (그 일부는 신경전달물질 프로드러그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밝혀짐) 이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써 환자의 신경전달물질-매개된 장애의 치료 방법을 포함해, 화합물의 합성 및 사용 방법과 함께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특정한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I 또는 그 염을 갖는다:
Figure pct00002
식 중:
R1-R2 는 독립적으로 수소, 듀테륨, 메틸, 퍼듀테로메틸, 에틸, 퍼듀테로에틸, 프로필, 퍼듀테로프로필, 부틸, 퍼듀테로부틸,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은 듀테륨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고;
R3-R8 은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9-R11 은 독립적으로 수소, 듀테륨, 메틸, 퍼듀테로메틸, 에틸, 퍼듀테로에틸, 프로필, 퍼듀테로프로필, 부틸, 퍼듀테로부틸,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은 듀테륨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고;
R3-R6 및 R8 중 하나 이상은 듀테륨임.
본원에 개시된 특정한 화합물은 유용한 신경전달물질 조절 활성을 가질 수 있고, 신경전달물질 수준이 활성 역할을 수행하는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구현예는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하나 이상의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뿐만 아니라 화합물 및 조성물의 제조 및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한 구현예는 신경전달물질 활성의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기타 구현예는 치료적 유효량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환자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경전달물질-매개된 장애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신경전달물질-매개된 장애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신경전달물질 수준의 조절에 의해 완화되는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본원에 개시된 특정한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은 또한 탄소의 경우에는 13C 또는 14C, 황의 경우에는 33S, 34S, 또는 36S, 질소의 경우에는 15N, 및 산소의 경우에는 17O 또는 18O 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거의 일반적이지 않는 기타 원소들에 대한 동위원소를 함유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환자를 최대 약 0.000005% D2O 또는 약 0.00001% DHO 에 노출시킬 수 있는데,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에서의 C-D 결합 모두가 D2O 또는 DHO 로서 방출 및 대사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동물에 유독성을 야기하는 것으로 보이는 D2O 의 수준은 심지어는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듀테륨 풍부화 화합물의 투여에 의해 야기되는 최대 노출 한계보다 훨씬 더 높다. 따라서, 특정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듀테륨-풍부화 화합물은 약물 대사시 D2O 또는 DHO 의 형성으로 인해 어떠한 추가의 유독성을 야기하지 않아야 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탄소-13 으로 풍부화(enriched) 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R6 이 듀테륨인 경우, R3-R5 또는 R8 중 하나 이상은 듀테륨이거나, 또는 R1-R2, R7, 또는 R9-R10 중 하나 이상은 듀테륨, 메틸, 퍼듀테로메틸, 에틸, 퍼듀테로에틸, 프로필, 퍼듀테로프로필, 부틸, 퍼듀테로부틸,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은 듀테륨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R1-R11 은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6 및 R8 중 하나 이상은 듀테륨이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R1-R2, R6, 및 R8-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는 듀테륨이고; R7 은 수소이고; R11 은 수소, 듀테륨,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은 듀테륨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R1-R2, R6, 및 R9-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및 R8 은 듀테륨이고; R7 은 수소이고; R11 은 듀테륨,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은 듀테륨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R1-R2, R6, 및 R9-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및 R8 은 듀테륨이고; R7 은 수소이고; R11 은 수소, 듀테륨,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은 듀테륨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R1-R2, R6, 및 R9-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및 R8 은 듀테륨이고; R7 은 수소이고; R11 은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R1-R2, R6, 및 R9-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및 R8 은 듀테륨이고; R7 은 수소이고; R11 은 메틸이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R1-R2, R6, 및 R9-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및 R8 은 듀테륨이고; R7 은 수소이고; R11 은 에틸이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R1-R2, R6, 및 R9-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및 R8 은 듀테륨이고; R7 은 수소이고; R11 은 퍼듀테로메틸이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R1-R2, R6, 및 R9-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및 R8 은 듀테륨이고; R7 은 수소이고; R11 은 퍼듀테로에틸이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R1-R2, R6, 및 R8-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는 듀테륨이고; R7 은 수소이고; R11 은 퍼듀테로메틸이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R1-R2, R6, 및 R8-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는 듀테륨이고; R7 은 수소이고; R11 은 퍼듀테로에틸이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R1-R2 는 듀테륨이고; R3-R6, 및 R8-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 은 수소이고; R11 은 퍼듀테로메틸이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R1-R2 는 듀테륨이고; R3-R6, 및 R8-R10 은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 은 수소이고; R11 은 퍼듀테로에틸이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R3-R6 및 R8 중 하나 이상은 독립적으로 약 10% 이상의 듀테륨 풍부화도를 갖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R3-R6 및 R8 중 하나 이상은 독립적으로 약 50% 이상의 듀테륨 풍부화도를 갖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R3-R6 및 R8 중 하나 이상은 독립적으로 약 90% 이상의 듀테륨 풍부화도를 갖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R3-R6 및 R8 중 하나 이상은 독립적으로 약 98% 이상의 듀테륨 풍부화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특정한 구현예에서,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II 또는 그 염을 갖는다:
Figure pct00003
(II)
식 중:
R1-R11 은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R11 중 하나 이상은 듀테륨임.
특정한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조식을 갖는다:
Figure pct00004
특정한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을 갖는다:
Figure pct00005
특정한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을 갖는다:
Figure pct00006
특정한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을 갖는다:
Figure pct00007
특정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듀테륨화 화합물은 실질적으로 최대 내성량의 증가, 유독성 감소, 반감기 (T1/2) 증가, 최대 유효 투여량 (MED) 의 최대 혈장 농도 (Cmax) 저하, 유효량 저하, 및 따라서 비메커니즘-관련 유독성 감소 및/또는 약물-약물 상호작용의 가능성 저하와 함께 상응하는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분자의 유익한 양태를 유지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약 100 mg 내지 약 1 g 전체 중량의 경구 전달을 위한 고체 투여 형태로 하기를 포함하는 연장-방출성 약학 제형이 본원에 개시된다:
약 2 내지 약 18% 의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
약 70% 내지 약 96% 의 하나 이상의 희석제;
약 1% 내지 약 10% 의 수용성 결합제; 및
약 0.5 내지 약 2% 의 계면활성제.
특정한 구현예에서, 희석제 또는 희석제들은 만니톨, 락토오스, 및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로부터 선택되고; 결합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이고;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이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연장-방출성 약학 제형은 약 2.5% 내지 약 11% 의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을 포함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연장-방출성 약학 제형은 하기를 포함한다:
약 60% 내지 약 70% 만니톨 또는 락토오스;
약 15% 내지 약 25%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약 5% 의 폴리비닐피롤리돈 K29/32; 및
약 1 내지 약 2% 의 Tween 80.
특정한 구현예에서, 연장-방출성 약학 제형은 하기를 포함한다:
약 4% 내지 약 9% 의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
약 60% 내지 약 70% 만니톨 또는 락토오스;
약 20% 내지 약 25%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약 5% 의 폴리비닐피롤리돈 K29/32; 및
약 1.4% 의 Tween 80.
특정한 구현예에서, 약 100 mg 내지 약 1 g 전체 중량의 경구 전달을 위한 고체 투여 형태로 하기를 포함하는 연장-방출성 약학 제형이 본원에 개시된다:
약 70 내지 약 95% 의 과립화된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 (이때, 활성 성분은 약 1 내지 약 15% 의 과립화를 포함);
약 5% 내지 약 15% 의 하나 이상의 희석제;
약 5% 내지 약 20% 의 지효성 폴리머; 및
약 0.5 내지 약 2% 의 윤활제.
특정한 구현예에서, 연장-방출성 약학 제형은 하기를 포함한다:
약 5% 내지 약 15% 의 하나 이상의 분무-건조된 만니톨 또는 분무-건조된 락토오스;
약 5% 내지 약 20% 의 지효성 폴리머; 및
약 0.5 내지 약 2% 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특정한 구현예에서, 지효성 폴리머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폴리비닐피롤리돈 혼합물 및 폴리(에틸렌 옥시드) 폴리머로부터 선택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지효성 폴리머는 Kollidon® SR, POLYOX® N60K, 및 Carbopol® 로부터 선택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지효성 폴리머는 Kollidon® SR 이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지효성 폴리머는 POLYOX® N60K 이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지효성 폴리머는 Carbopol® 이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연장-방출성 약학 제형은 약 5 mg 내지 약 100 mg 의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을 포함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U.S. 특허 출원 번호 14/030,322 (2013 년 9 월 18 일 제출)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연장-방출성 약학 제형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본원에 인용된 모든 공보 및 참조문헌은 그 전문이 참조로서 본원에 명백히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포함된 공보 또는 참조문헌 및 그 문헌에 명백히 나열 또는 정의된 것들 모두에서 발견되는 임의의 유사하거나 동일한 용어에 관하여, 그 문헌에 명백히 나열된 이들 용어 정의 또는 의미는 모든 점에 있어서 컨트롤되어야 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는 하기에 나타낸 의미를 갖는다.
단수형은 달리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한 복수형으로 칭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약" 은 개질된 수치를 정량화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값이 오차 범위 내에서 가변적인 것을 나타낸다. 데이터의 표 또는 차트에서 제시된 평균 값에 대한 표준 편차와 같이 특정한 오차 범위가 인용되지 않는다면, 용어 "약" 은 인용된 값을 포함하는 범위 및 또한 유효 수치로 간주되는, 그 수치의 잘라 올림 또는 내림으로써 포함되는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값들의 범위가 개시되고 표기 "n1 … 에서 n2" 또는 "n1-n2" (이때, n1 및 n2 는 수치임) 가 사용되는 경우, 달리 명시되지 않는한 상기 표기는 수치 그 자체 및 이들 사이의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상기 범위는 끝 값들을 포함해 끝 값들 간에 적분 또는 연속일 수 있다.
용어 "듀테륨 풍부화도" 는 수소 대신에 분자의 제시된 위치에서의 듀테륨의 혼입 백분율로 칭한다. 예를 들어, 제시된 위치에서 듀테륨 풍부화도 1% 는 제시된 샘플에서 분자의 1% 가 특정 위치에서 듀테륨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듀테륨의 자연 발생 분포율이 약 0.0156% 이기 때문에, 비풍부화된 출발 물질을 사용해 합성한 화합물의 임의의 위치에서 듀테륨 풍부화도는 약 0.0156% 이다. 듀테륨 풍부화도는 질량 분광법 및 핵 자기 공명 분광법을 포함해 당업자에 공지된 종래의 분석 방법을 사용해 측정될 수 있다.
R1-R11 과 같은 분자에서 제시된 위치를 기재하는데 사용되는 경우의 용어 "듀테륨임" 또는 분자 구조 그림에서 제시된 위치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경우의 기호 "D" 는 명시된 위치가 듀테륨의 자연 발생 분포율 초과로 듀테륨으로 풍부화된 것임을 의미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듀테륨 풍부화도는 명시된 위치에서 약 1% 이상,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약 5% 이상,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약 10% 이상,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약 20% 이상,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약 50% 이상,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약 70% 이상,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약 80% 이상,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약 90% 이상, 또는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약 98% 이상의 듀테륨이다.
용어 "동위원소 풍부화도" 는 보다 일반적인 원소의 동위원소 대신에 분자의 제시된 위치에서의 거의 일반적이지 않는 원소의 동위원소의 혼입 백분율로 칭한다.
용어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은 각종 동위원소의 백분율이 자연 발생 백분율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분자로 칭한다.
비대칭 중심이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에 존재한다. 이들 중심은 기호 "R" 또는 "S" 로 나타내며, 키랄 탄소 원자 주변의 치환기의 배열에 따라 다르다. 본 발명이 부분입체이성질체, 거울상이성질체, 및 에피머 형태, 뿐만 아니라 d-이성질체 및 l-이성질체,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하는, 모든 입체화학 이성질체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화합물의 별개 입체이성질체는 합성적으로 키랄 중심을 함유하는 시판 출발 물질로부터, 또는 거울상이성질체 생성물들의 혼합물의 제조, 이후에 부분입체이성질체들의 혼합물로의 전환과 같은 분리, 이후에 분리 또는 재결정화, 크로마토그래피 기법, 키랄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서 거울상이성질체의 직접 분리,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기타 적절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정한 입체화학의 출발 화합물은 시판 또는 제조될 수 있고, 당업계에 공지된 기법에 의해 해결된다. 추가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기하학적 이성질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든 시스, 트랜스, 신, 안티, 엔트게겐(entgegen) (E), 및 주삼멘(zusammen) (Z) 이성질체, 뿐만 아니라 그 적절한 혼합물을 포함한다. 추가로, 화합물은 호변이성질체로서 존재할 수 있고; 모든 호변이성질체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추가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비용매화 뿐만 아니라 물, 에탄올 등과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와 함께 용매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매화 형태는 비용매화 형태와 같은 것으로 간주된다.
용어 "결합" 은 결합에 의해 연결된 원자가 보다 큰 구조의 부분인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2 개의 원자, 또는 2 개의 부분 사이의 공유 결합으로 칭한다. 결합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한 단일, 이중 또는 삼중일 수 있다. 분자 그림에서 2 개의 원자 사이의 점선은, 추가의 결합이 그 위치에 존재 또는 부재일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장애" 는 정상적인 기능을 손상시키는, 인간 또는 동물체, 또는 그 부분들 중 하나의 비정상적 병태를 모두 반영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용어 "질환" 및 "병태" (의료적 병태의 경우) 와 동의어이고, 그와 상호교환되어 사용되고, 전형적으로 징후 및 증상을 구별지음으로써 제시된다.
용어 "치료하다", "치료하는" 및 "치료" 는 장애 또는 장애 관련 증상들 중 하나 이상의 완화 또는 폐기; 또는 장애 그 자체의 원인(들) 의 완화 또는 근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미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장애의 "치료" 로 언급하는 것은 예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용어 "예방하다", "예방하는" 및 "예방" 은 장애; 및/또는 그 수반되는 증상이 개시되는 것의 지연 또는 배제; 대상체의 장애 발병으로부터 제외, 또는 대상체의 장애 발병 위험의 저하 방법으로 칭한다.
용어 "치료적 유효량" 은 투여시 치료되는 장애의 증상들 중 하나 이상을 어느 정도 완화, 또는 그 발병을 막는데 충분한 화합물의 양으로 칭한다. 용어 "치료적 유효량" 은 또한 연구원, 수의사, 의사 또는 임상의에 의해 추구되는, 세포, 조직, 계, 동물 또는 인간의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도출하는데 충분한 화합물의 양으로 칭한다.
용어 "대상체" 는 영장류 (예, 인간, 원숭이, 침팬지, 고릴라 등), 설치류 (예, 래트, 마우스, 게르빌루스쥐, 햄스터, 흰담비 등), 토끼류, 돼지류 (예, 돼지, 미니돼지), 말류, 개류, 고양이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동물로 칭한다. 용어 "대상체" 및 "환자" 는 예를 들어 인간 환자와 같은 포유류 대상체로 언급함으로써 본원에서 상호교환되어 사용된다.
용어 "병용 치료법" 은 본 개시물에 기재된 치료적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2 개 이상의 치료제의 투여를 의미한다. 상기 투여는 각 활성 성분을 위한 다중, 별개 캡슐, 또는 고정비의 활성 성분을 갖는 단일 캡슐과 같이 실질적 동시 방식으로 이들 치료제의 공투여를 포함한다. 추가로, 상기 투여는 또한 순차적 방식으로 각 유형의 치료제의 사용을 포함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치료 계획(treatment regimen) 은 본원에 기재된 장애의 치료에 있어서 약물 조합의 유익한 효과를 제공할 것이다.
용어 "신경전달물질" 은 하나의 뉴런 (뇌 세포) 에서 또 다른 '표적' 뉴런으로 시냅스를 가로질러 신호를 전달하는 내인성 화학물질로 칭한다. 신경전달물질은 시냅스의 시냅스전 부분에서 축삭 말단의 막 아래에 군집화된 시냅스 소낭으로 패키징된다. 신경전달물질은 시냅스 간극 내에 방출 및 이를 가로질러 발산되는데, 이때 이들은 시냅스의 시냅스후 부분에서 막의 특이적 수용체에 결합된다. 수많은 신경전달물질은 식이로부터 용이하게 이용가능하고 소수의 생합성 단계만이 전환을 위해 요구되는, 아미노산과 같은 풍부하고 단순한 전구체로부터 합성된다. 특이적 신경전달물질의 수준이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에 의해 조절되는 특이적 신경전달물질은 노르에피네프린 및 에피네프린을 포함한다.
노르에피네프린은 호르몬 및 신경전달물질로서 포함하는, 다중 역할을 갖는 카테콜아민이다. 의료적으로, 극심한 저혈압을 앓는 경우에 사용된다. α-아드레날린 수용체 활성화를 통해 혈관 긴장도 (혈관 평활근의 긴장도) 를 증가시킴으로써 이행된다. 노르에피네프린의 가장 중요한 기능들 중 하나는 심장에 영향을 주는 교감 뉴런으로부터 방출되는 신경전달물질로서의 그 역할이다. 교감 신경계로부터 노르에피네프린의 증가는 심장의 수축 속도를 증가시킨다. 스트레스 호르몬으로서, 노르에피네프린은 주의력 및 반응이 조절되는 편도체와 같은 뇌의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 노르에피네프린은 또한 투쟁 혹은 도피 반응의 토대가 되어, 에피네프린과 함께 직접 심박동수를 증가시키고 에너지 저장소로부터 글루코오스의 방출을 유발하고 골격근에 혈류를 증가시킨다. 이는 뇌의 산소 공급을 증가시킨다. 노르에피네프린은 수질 크롬친화성 세포의 분비 과립 중의 도파민 β-히드록실라아제에 의해 도파민으로부터 합성된다. 이는 호르몬으로서 부신 수질로부터 혈액에 방출되고, 또한 중추 신경계 및 교감 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로서, 이때 청반에서 노르아드레날린성 뉴런으로부터 방출된다. 노르에피네프린의 작용은 아드레날린 수용체에의 결합을 통해 실시된다.
에피네프린은 거의 모든 체조직에서 작용되는 신경전달물질 및 호르몬이다. 그 작용은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조직 발현 및 조직 유형에 의해 가변적이다. 예를 들어, 고수준의 에피네프린은 기도의 평활근 완화를 유도하지만, 대부분의 세동맥을 라이닝(lining) 하는 평활근의 수축을 유도한다. 에피네프린은 다양한 아드레날린 수용체에 결합함으로써 작용된다. 에피네프린은 주요 하위유형 α1, α2, β1, β2, 및 β3 을 포함하는, 모든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비선택성 아고니스트이다. 에피네프린의 이들 수용체에의 결합은 수많은 대사 변화를 유발한다. α-아드레날린 수용체에의 결합은 췌장에 의한 인슐린 분비를 저해하고, 간 및 근육에서 글리코겐분해를 자극하고, 근육에서 당분해를 자극한다. β-아드레날린 수용체 결합은 췌장에서 글루카곤 분비를 유발하여 뇌하수체에 의한 부신피질자극 호르몬 (ACTH) 분비를 증가시키고, 지방 조직에 의한 지방분해를 증가시킨다. 함께, 이들 효과는 혈당 및 지방산의 증가를 유도하여, 몸 전체적으로 세포 내에 에너지 생성을 위한 기질을 제공한다. 아드레날린은 하기를 포함하는 수많은 병태를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심장 마비, 과민증, 및 외상 출혈.
용어 "신경전달물질-매개된 장애" 는 비정상적 또는 준최적 수준의 노르에피네프린 및/또는 에피네프린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로 칭한다. 신경전달물질-매개된 장애는 신경전달물질 수준을 조절함으로써 완전 또는 부분 매개될 수 있다. 특히, 신경전달물질-매개된 장애는 신경전달물질 수준의 조절이 기저 장애에 일부 효과를 유도하는 것, 예를 들어 신경전달물질 조절제의 투여가 치료받는 환자의 적어의 일부의 부분 개선을 유도하는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용어 "신경전달물질-매개된 장애" 는 파킨슨병 및 특발성 기립성 저혈압과 같이 노르에피네프린의 감소된 합성, 저장, 방출, 재흡수, 대사, 또는 영향이 존재하는 장애로 칭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용어 "신경전달물질-매개된 장애" 는 저혈압, 불충분한 혈관수축, 저혈량, 또는 노르에피네프린이 약물로서 승인되는 기타 상황을 수반하는 장애로 칭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용어 "신경전달물질-매개된 장애" 는 장애로 칭한다.
용어 "신경전달물질 수준 조절제" 는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이 노르에피네프린 및/또는 에피네프린의 수준을 변경할 수 있는 능력으로 칭한다. 조절제는 노르에피네프린 및/또는 에피네프린에 대해 생합성 전구체로서 작용함으로써 신경전달물질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조절은 단지 특정한 세포 유형에서만 명백한 것일 수 있거나, 또는 특정한 생물학적 이벤트에 달려있을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신경전달물질 수준의 조절은 Verhagen-Kamerbeek et al., Monit. Mol. Neurosci., Proc. Int. Conf. In Vivo Methods, 5th, 1991, 373-6; Yue et al., J. Pharmacy and Pharmacol., 1992, 44(12), 990-5; 및 Coll Mar et al., Hepatology (Baltimore, Md.), 2012, 56(5), 1849-60 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해 평가될 수 있다.
용어 "치료적으로 허용가능한" 은 과잉 유독성, 염증, 알레르기 반응, 면역원성 없이 환자의 조직과 접촉해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합리적인 유익함/위험비에 비례하고 그 의도되는 용도에 대해 효과적인 이들 화합물 (또는 염, 프로드러그, 호변이성질체, 짝이온 형태 등) 로 칭한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물질, 조성물, 또는 비히클, 예컨대 액체 또는 고체 충전제, 희석제, 부형제, 용매, 또는 캡슐화 물질로 칭한다. 각 성분은 약학 제형의 기타 성분과 양립가능하다는 의미에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 해야한다. 이는 또한 합리적인 유익함/위험비에 비례하는, 과잉의 유독성, 염증, 알레르기 반응, 면역원성, 또는 기타 문제 또는 합병증 없이 인간 및 동물의 조직 또는 기관과 접촉해 사용하기에 적합해야 한다.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1st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PA, 2005;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5th Edition; Rowe et al., Eds., The Pharmaceutical Press and the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2005; and Handbook of Pharmaceutical Additives, 3rd Edition; Ash and Ash Eds., Gower Publishing Company: 2007; Pharmaceutical Preformulation and Formulation, Gibson Ed., CRC Press LLC: Boca Raton, FL, 2004 를 참조하라.
용어 "활성 성분", "활성 화합물", 및 "활성 물질" 은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와의 조합으로 장애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치료, 예방 또는 완화를 위해 대상체에 투여되는 화합물로 칭한다.
용어 "약물", "치료제", 및 "화학치료제" 는 장애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치료, 예방 또는 완화를 위해 대상체에 투여되는 화합물 또는 그 약학 조성물로 칭한다.
용어 "방출 조절 부형제" 는 부형제의 1 차 기능이 종래의 즉시 방출 투여 형태와 비교시 투여 형태로부터 활성 물질의 방출 기간 또는 장소를 개질시키는 것인 부형제로 칭한다.
용어 "비방출 조절 부형제" 는 부형제의 1 차 기능이 종래의 즉시 방출 투여 형태와 비교시 투여 형태로부터 활성 물질의 방출 기간 또는 장소를 개질시키는 것을 포함하지 않는 부형제로 칭한다.
용어 "생리학적 조건 하에 용이하게 가수분해적으로 또는 효소적으로 절단가능한 기" 는 합성에 사용되는 통상의 보호기, 또는 소위 프로드러그를 유도하는 상기 보호기이고 당업자에 공지된 통상의 보호기로 칭한다. 이들 기는 메틸, 퍼듀테로메틸, 에틸, 퍼듀테로에틸, 프로필, 퍼듀테로프로필, 부틸, 퍼듀테로부틸, C1 내지 C6-알킬 (분지형 또는 미분지형일 수 있음), 또는 C5 내지 C6-시클로알킬, 듀테륨화 또는 부분 듀테륨화 C1 내지 C6-알킬 (분지형 또는 미분지형일 수 있음), 또는 듀테륨화 또는 부분 듀테륨화 C5 내지 C6-시클로알킬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용어 "프로드러그" 는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의 화합물 관능성 유도체로 칭하고, 모화합물로 생체내 용이하게 전환가능하다. 프로드러그는 일부 상황에서 모화합물보다 투여하기에 더 용이할 수 있기 때문에 종종 유용하다. 이들은 예를 들어 경구 투여에 의해 생체활용가능할 수 있지만, 모화합물은 그렇지 않다. 프로드러그는 또한 모화합물에 비하여 약학 조성물에서 향상된 용해도를 가질 수 있다. 프로드러그는 효소 프로세스 및 대사성 가수분해를 포함하는, 각종 메커니즘에 의해 모약물로 전환될 수 있다. Harper, Progress in Drug Research 1962, 4, 221-294; Morozowich et al. in "Design of Biopharmaceutical Properties through Prodrugs and Analogs," Roche Ed., APHA Acad. Pharm. Sci. 1977; "Bioreversible Carriers in Drug in Drug Design, Theory and Application," Roche Ed., APHA Acad. Pharm. Sci. 1987; "Design of Prodrugs," Bundgaard, Elsevier, 1985; Wang et al., Curr. Pharm. Design 1999, 5, 265-287; Pauletti et al., Adv. Drug. Delivery Rev. 1997, 27, 235-256; Mizen et al., Pharm. Biotech. 1998, 11, 345-365; Gaignault et al., Pract. Med. Chem. 1996, 671-696; Asgharnejad in "Transport Processes in Pharmaceutical Systems," Amidon et al., Ed., Marcell Dekker, 185-218, 2000; Balant et al., Eur. J. Drug Metab. Pharmacokinet. 1990, 15, 143-53; Balimane and Sinko, Adv. Drug Delivery Rev. 1999, 39, 183-209; Browne, Clin. Neuropharmacol. 1997, 20, 1-12; Bundgaard, Arch. Pharm. Chem. 1979, 86, 1-39; Bundgaard, Controlled Drug Delivery 1987, 17, 179-96; Bundgaard, Adv. Drug Delivery Rev.1992, 8, 1-38; Fleisher et al., Adv. Drug Delivery Rev. 1996, 19, 115-130; Fleisher et al., Methods Enzymol. 1985, 112, 360-381; Farquhar et al., J. Pharm. Sci. 1983, 72, 324-325; Freeman et al., J. Chem. Soc., Chem. Commun. 1991, 875-877; Friis and Bundgaard, Eur. J. Pharm. Sci. 1996, 4, 49-59; Gangwar et al., Des. Biopharm. Prop. Prodrugs Analogs, 1977, 409-421; Nathwani and Wood, Drugs 1993, 45, 866-94; Sinhababu and Thakker, Adv. Drug Delivery Rev. 1996, 19, 241-273; Stella et al., Drugs 1985, 29, 455-73; Tan et al., Adv. Drug Delivery Rev. 1999, 39, 117-151; Taylor, Adv. Drug Delivery Rev. 1996, 19, 131-148; Valentino and Borchardt, Drug Discovery Today 1997, 2, 148-155; Wiebe and Knaus, Adv. Drug Delivery Rev. 1999, 39, 63-80; Waller et al., Br. J. Clin. Pharmac. 1989, 28, 497-507 을 참조하라.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치료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치료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은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이 치료적으로 허용가능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염 또는 짝이온 형태를 나타낸다. 염은 화합물의 최종 단리 및 정제 동안, 또는 별개로는 적절한 화합물을 적합한 산 또는 염기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치료학적으로 허용가능함 염은 산 및 염기 부가 염을 포함한다. 염의 선택 및 제조에 관한 더 완전한 논의를 위해, "Handbook of Pharmaceutical Salts, Properties, and Use," Stah and Wermuth, Ed.;( Wiley-VCH and VHCA, Zurich, 2002) and Berge et al., J. Pharm. Sci. 1977, 66, 1-19 를 참조하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산은 아세트산, 2,2-디클로로아세트산, 아실화 아미노산, 아디프산, 알긴산, 아스코르브산, L-아스파르트산, 벤젠술폰산, 벤조산, 4-아세타미도벤조산, 붕산, (+)-캄포르산, 캄포르술폰산, (+)-(1S)-캄포-10-술폰산, 카프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신남산, 시트르산, 시클람산, 시클로헥산술팜산, 도데실황산, 에탄-1,2-디술폰산, 에탄술폰산, 2-히드록시-에탄술폰산, 포름산, 푸마르산, 갈락타르산, 겐티스산, 글루코헵톤산, D-글루콘산, D-글루쿠론산, L-글루탐산, α-옥소-글루타르산, 글리콜산, 히푸르산, 히드로브롬산, 히드로클로르산, 히드로요오드산, (+)-L-락트산, (±)-DL-락트산, 락토비온산, 라우르산, 말레산, (-)-L-말산, 말론산, (±)-DL-만델산, 메탄술폰산, 나프탈렌-2-술폰산, 나프탈렌-1,5-디술폰산, 1-히드록시-2-나프토산, 니코틴산, 질산, 올레산, 오로트산, 옥살산, 팔미트산, 파모산, 과염소산, 인산, L-피로글루탐산, 당산, 살리실산, 4-아미노-살리실산, 세바크산, 스테아르산, 숙신산, 황산, 탄닌산, (+)-L-타르타르산, 티오시안산, p-톨루엔술폰산, 운데실렌산, 및 발레르산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를 위해, 통상적인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무기 및 유기산, 예컨대 염산, 브롬화수소산, 인산, 황산, 옥살산, 말레산, 푸마르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말산, 시트르산, 살리실산, 아디프산 및 벤조산, 뿐만 아니라 적합한 짝이온을 갖는 염 (예컨대, 리시네이트 및 아스파르테이트) 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추가 산이, 예를 들어 Fortschritte der Arzneimittelforschung, Vol. 10, pp. 224-225, Birkhauser Publishers, Basel and Stuttgart, 1966, and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Vol. 66, pp. 1-5 (1977) 에 기재되어 있다.
산 부가 염은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저급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또는 이소프로판올 또는 저급 케톤, 예컨대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또는 메틸 이소부틸 케톤 또는 에테르, 예컨대 디에틸 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디옥산 중에서 유리 염기 또는 그 용액을 상응하는 산 또는 그 용액과 혼합함으로써 저절로 및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통상 수득된다. 보다 양호한 결정 침전을 위해, 명명된 용매들의 혼합물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화합물의 산 부가 염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수용액은 산 수용액 중에서 생성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산 부가 염은, 예를 들어 알칼리 또는 이온 교환기를 사용해 저절로 및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유리 염기로 전환될 수 있다. 부가 염은 무기 또는 유기산, 특히 치료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염의 형성에 적합한 것들과의 반응에 의해 유리 염기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크레이트와 같은 신규 화합물의 이들 또는 또한 기타 염은 또한 유리 염기를 염으로 전환시키고 상기 염을 분리하고 다시 염기를 염으로부터 방출시킴으로써 유리 염기의 정제에 기여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염기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기 염기, 예컨대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수산화칼륨, 수산화아연, 또는 수산화나트륨; 및 유기 염기, 예컨대 1 차, 2 차, 3 차, 및 4 차, 지방족 및 방향족 아민 (L-아르기닌, 베네타민, 벤자틴, 콜린, 데아놀, 디에탄올아민, 디에틸아민, 디메틸아민, 디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2-(디에틸아미노)-에탄올, 에탄올아민, 에틸아민, 에틸렌디아민, 이소프로필아민, N-메틸-글루카민, 히드라브아민, 1H-이미다졸, L-리신, 모르폴린, 4-(2-히드록시에틸)-모르폴린, 메틸아민, 피페리딘, 피페라진, 프로필아민, 피롤리딘, 1-(2-히드록시에틸)-피롤리딘, 피리딘, 퀴누클리딘, 퀴놀린, 이소퀴놀린, 2 차 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N-메틸-D-글루카민, 2-아미노-2-(히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및 트로메타민 포함).
주제 발명의 화합물이 원료 화학물질로서 투여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지만, 또한 약학 조성물로서 이를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중 하나 이상, 또는 하나 이상의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을 하나 이상의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임의로는 하나 이상의 기타 치료 성분과 함께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본원에 제시된다. 적절한 제형은 선택되는 투여 경로에 따라 다르다. 익히 공지된 기법, 담체 및 부형제 중 어느 하나가 당업계; 예를 들어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에서 간주되고 적합한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약학 조성물은, 예를 들어 종래의 혼합, 용해, 과립화, 드라제(dragee)-제조, 분쇄화, 에멀션화, 캡슐화, 인트랩핑(entrapping) 또는 압착 공정에 의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또한 지연형-, 확장형-, 연장형-, 유지형-, 박동형-, 조절형-, 가속형- 및 신속형-, 표적화형-, 프로그래밍형-방출, 및 위 보유 투여 형태를 포함하는, 개질된 방출 투여 형태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들 투여 형태는 당업자에 공지된 종래의 방법 및 기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supra; Modified-Release Drug Deliver Technology, Rathbone et al., Eds., Drugs and the Pharmaceutical Science, Marcel Dekker, Inc.: New York, NY, 2002; Vol. 126; Hager's Handbuch [Handbook] (5th ed.) 2, 622-1045; List et al., Arzneiformenlehre [Instructions for Drug Forms], Stuttgart: Wiss. Verlagsges. 1985; Sucker et al., Pharmazeutische Technologie [Pharmaceutical Technology], Stuttgart: Thieme 1991; Ullmann's Enzyklopadie [Encyclopedia] (5th ed.) A 19, 241-271; Voigt, Pharmazeutische Technologie [Pharmaceutical Technology], Berlin: Ullstein Mosby 1995 참조).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피하, 피내, 근육내, 정맥내, 관절내, 및 골수내 포함), 복강내, 경점막, 경피, 직장내 및 국소 (피부, 구강, 설하 및 안구내 포함) 투여에 적합한 것들을 포함하지만, 가장 적합한 경로는, 예를 들어 수용자의 병태 및 장애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조성물은 단위 투여 형태로 편의적으로 제시될 수 있고, 약학 분야에 익히 공지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들 방법은 주제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 약학적 염,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활성 성분") 을 하나 이상의 부속 성분으로 구성되는 담체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조성물은 활성 성분을 액체 담체 또는 미분된 고체 담체 또는 그 둘 모두와 단일하게 및 친밀하게 결합시킨 후, 필요하다면 생성물을 목적하는 제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조성물은 경구 투여에 적합한 것들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단위 투여 형태로 편의적으로 제시될 수 있고, 약학 분야에 익히 공지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들 방법은 주제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 약학적 염, 프로드러그, 또는 용매화물 ("활성 성분") 을 하나 이상의 부속 성분으로 구성되는 담체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조성물은 활성 성분을 액체 담체 또는 미분된 고체 담체 또는 그 둘 모두와 단일하게 및 친밀하게 결합시킨 후, 필요하다면 생성물을 목적하는 제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제형은 캡슐, 카시에(cachet) 또는 정제와 같은 별개의 단위로서 (각각은 소정량의 활성 성분을 함유); 분말 또는 과립으로서; 수성 액체 또는 비수성 액체 중의 현탁물 또는 용액으로서; 또는 수중유(oil-in-water) 액체 에멀션 또는 유중수(water-in-oil) 액체 에멀션으로서 제시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은 또한 볼러스(bolus), 연약 또는 페이스트로서 제시될 수 있다.
경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약학 제제는 정제, 젤라틴으로 만들어진 푸시-피트(push-fit) 캡슐, 뿐만 아니라 글리세롤 또는 소르비톨과 같은 가소제 및 젤라틴으로 만들어진 연질의 밀봉된 캡슐을 포함한다. 정제는 임의로는 하나 이상의 부속 성분과 함께 압착 또는 몰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압착된 정제는 임의로는 결합제, 불활성 희석제, 또는 윤활제, 표면 활성제 또는 분산제와 혼합된, 분말 또는 과립과 같은 자유-유동 형태의 활성 성분을 적합한 기기에서 압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몰딩된 정제는 불활성 액체 희석제로 적신 분말화된 화합물의 혼합물을 적합한 기기에서 몰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정제는 임의로는 코팅 또는 스코어링(scoring) 될 수 있고, 제형화되어 그안의 활성 성분의 저속 또는 조절 방출을 제공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모든 제형은 상기 투여에 적합한 투여량이어야 한다. 푸시-피트 캡슐은 충전제, 예컨대 락토오스, 결합제, 예컨대 전분, 및/또는 윤활제, 예컨대 탈크 또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임의로는 안정화제와의 부가혼합물 중에 활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연질 캡슐에서, 활성 화합물은 적합한 액체, 예컨대 지방유, 액체 파라핀, 또는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에 용해 또는 현탁될 수 있다. 추가로, 안정화제가 첨가될 수 있다. 드라제 코어가 적합한 코팅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위해, 농축된 당 용액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는 아라비아 검, 탈크, 폴리비닐 피롤리돈, 카르보폴 겔,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이산화티탄, 래커 용액, 및 적합한 유기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을 임의 함유할 수 있다. 염료 또는 안료가 상이한 조합의 활성 화합물 투여량을 특성화하거나 식별하기 위해 정제 또는 드라제 코팅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용액 또는 현탁물은 사카린, 시클라메이트 또는 당과 같은 맛을 개선하는 제제,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바닐라 또는 오렌지 추출물과 같은 맛 향상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현탁 아쥬반트, 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보존제, 예컨대 p-히드록시벤조에이트를 함유할 수 있다.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캡슐은, 예를 들어 활성 물질을 불활성 비히클, 예컨대 락토오스 또는 소르비톨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젤라틴 캡슐로 캡슐화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적합한 좌제는, 예를 들어 이를 위해 제공된 비히클제, 예컨대 중성 지방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그 유도체와의 혼합으로 생성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희석제는 만니톨 분말, 분무 건조된 만니톨,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락토오스, 디칼슘 포스페이트, 트리칼슘 포스페이트, 전분, 전호화 전분, 압착성 당, 규화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계면활성제는 Tween 80,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 및 도쿠세이트 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결합제는 포비돈 (PVP) K29/32,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HPC),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HPMC), 에틸셀룰로오스 (EC), 옥수수 전분, 전호화 전분, 젤라틴, 및 당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윤활제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나트륨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수소화 식물유, 광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0-6000, 탈크, 및 글리세릴 베헤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유지형 방출 폴리머는 POLYOX® (폴리 (에틸렌 옥시드)), POLYOX® N60K 그레이드, Kollidon® SR, HPMC, HPMC (고점도), HPC, HPC (고점도), 및 Carbopol®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연장형/조절형 방출 코팅은 에틸셀룰로오스 폴리머, 예컨대 ETHOCELTM 및 Surelease® Aqueous Ethylcellulose Dispersions 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항산화제는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BHA),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BHT), 나트륨 아스코르베이트, 및 α-토코페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정제 코팅은 Opadry® 200, Opadry® II, Opadry® fx, Opadry® amb, Opaglos® 2, Opadry® tm, Opadry®, Opadry® NS, Opalux®, Opatint®, Opaspray®, Nutraficient® 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단위 투여 제형은 본원에서 하기 인용된 바와 같은 유효 투여량 또는 그 적절한 분율의 활성 성분을 함유한 것들이다.
화합물은 하루 0.1 내지 500 mg/kg 의 투여량으로 경구 투여될 수 있다. 성인 인간의 경우의 투여 범위는 일반적으로 5 mg 내지 2 g/일이다. 별개의 단위로 제공되는 정제 또는 기타 형태의 제제는 다수의, 예를 들어 5 mg 내지 500 mg, 통상적으로 대략 10 mg 내지 200 mg 을 함유하는 동일 단위들로서 또는 상기 투여량으로 유효한 소정량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편의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화합물은 주사, 예를 들어 볼러스 주사 또는 연속 투입에 의해 비경구 투여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주사용 제형은 첨가된 보존제와 함께 단위 투여 형태, 예를 들어 앰풀 또는 다중 투여 컨테이너로 제시될 수 있다. 조성물은 유성 또는 수성 비히클 중의 현탁물, 용액 또는 에멀션과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고, 현탁제, 안정화제 및/또는 분산제와 같은 제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제형은 단위-투여 또는 다중-투여 컨테이너, 예를 들어 밀봉된 앰풀 및 바이알로 제시될 수 있고, 사용 직전에 무균 액체 담체, 예를 들어 소금 또는 무균 무발열원수의 첨가만을 필요로 하는 동결-건조 (냉동건조) 조건 또는 분말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즉석 주사 용액 및 현탁물은 상기 기재된 종류의 무균 분말, 과립 및 정제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은 제형을 의도되는 수용자의 혈액과 등장성이 되게 하는 용질, 세균발육저지제, 완충액 및 항산화제를 함유할 수 있는 활성 화합물의 수성 및 비수성 (유성) 무균 주사 용액; 및 현탁제 및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무균 현탁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친유성 용매 또는 비히클은 지방유, 예컨대 참기름, 또는 합성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 올레에이트 또는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리포솜을 포함한다. 수성 주사 현탁물은 현탁물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물질, 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소르비톨, 또는 덱스트란을 함유할 수 있다. 임의로는, 현탁물은 또한 고농축된 용액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적합한 안정화제 또는 화합물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제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제형 외에도, 화합물은 또한 데포제(depot preparation) 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장기 작용 제형은 이식 (예를 들어, 피하 또는 근육내) 또는 근육내 주사로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화합물은 적합한 폴리머성 또는 소수성 물질 (예를 들어, 허용가능한 오일 중의 에멀션으로서) 또는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해, 또는 난용성 유도체, 예를 들어 난용성 염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구강 또는 설하 투여의 경우, 조성물은 종래의 방식으로 제형화되는 정제, 로젠지(lozenge), 패스틀(pastille), 또는 겔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수크로오스 및 아카시아 또는 트래거캔스와 같이 풍미 기준의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합물은 또한 예를 들어 종래의 좌제 베이스, 예컨대 코코아 버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기타 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보류 관장 또는 좌제와 같은 직장내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특정한 화합물은 국소, 즉 비전신 투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는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표피 또는 구강에의 외부 적용 및 상기 화합물의 귀, 눈 및 코에의 점적을 포함하며, 화합물이 혈류에 상당히 진입하지 않는다. 반대로, 전신 투여는 경구, 정맥내, 복강내 및 근육내 투여로 칭한다.
국소 투여에 적합한 제형은 피부를 통한 염증 부위에의 침투에 적합한 액체 또는 반액체 제제, 예컨대 겔, 리니먼트제, 로션, 크림, 연고 또는 페이스트, 및 눈, 귀 또는 코에의 투여에 적합한 점적제를 포함한다.
흡입에 의한 투여의 경우, 화합물은 취입기, 분무기 가압 팩 또는 에어로졸 분무를 전달하는 기타 종래의 수단으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가압 팩은 적합한 추진제, 예컨대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기타 적합한 기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여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기 위한 밸브를 제공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흡입 또는 통기에 의한 투여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건조 분말 조성물, 예를 들어 화합물 및 적합한 분말 베이스, 예컨대 락토오스 또는 전분의 분말 믹스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분말 조성물은 단위 투여 형태, 예를 들어 캡슐, 카트리지, 젤라틴 또는 블리스터 팩 (그로부터 분말은 흡입기 또는 취입기의 도움으로 투여될 수 있음) 으로 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한 단위 투여 제형은 본원에서 하기 인용된 바와 같이 유효 투여량 또는 그 적절한 분율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것들이다.
화합물은 하루 0.1 내지 500 mg/kg 의 투여량으로 주사를 통해 또는 경구 투여될 수 있다. 성인 인간의 경우 투여량 범위는 일반적으로 5 mg 내지 2 g/일이다. 별개의 단위로 제공되는 정제 또는 기타 형태의 제제는 다수의, 예를 들어 5 mg 내지 500 mg, 통상적으로 대략 10 mg 내지 200 mg 을 함유하는 동일 단위들로서 또는 상기 투여량으로 유효한 소정량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편의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목적하는 효과를 수득하기 위해,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분할 투여로 하여 하루 100 내지 1500 mg 으로 가변적일 수 있다.
각 단일 투여량은 약학 비히클과의 조합으로 50 내지 1000 mg 의 활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단일 투여량은 하루 1 내지 4 회 투여될 수 있다.
단일 투여 형태를 생성하기 위해 담체 물질과 조합될 수 있는 활성 성분의 양은 치료받는 숙주 및 특정한 투여 모드에 따라 가변적일 것이다.
화합물은 각종 모드, 예를 들어 경구, 국소, 또는 주사로 투여될 수 있다. 환자에 투여되는 화합물의 정확한 양은 수행 내과의의 책임일 것이다. 임의의 특정한 환자에 대한 특별한 투여 수준은 활용되는 특정한 화합물의 활성,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성,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약물 조합, 치료되는 정확한 장애 및 치료되는 장애의 경중도를 포함하는 다양한 인자들에 따라 다를 것이다. 또한, 투여 경로는 장애 및 그 경중도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환자의 병태가 개선되지 않는 경우에, 의사의 재량에 따라, 환자의 장애의 증상의 완화, 또는 그렇지 않으면 조절 또는 제한을 위해 화합물의 투여를 만성적으로, 즉 장시간 동안 (환자의 전 생애 포함) 투여할 수 있다.
환자의 상태가 개선된 경우에, 의사의 재량에 따라, 화합물의 투여를 연속 제시하거나, 또는 특정한 기간 동안 일시적으로 중지시킬 수 있다 (즉, "드러그 홀리데이(drug holiday)")
환자의 병태의 개선이 일단 일어나면, 필요하다면 유지 투여량을 투여한다. 이어서, 투여량 또는 투여 빈도 또는 그 둘 모두를 증상에 따라 개선된 장애가 보유되는 수준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환자는 장기적으로는 증상의 임의 재발을 기반으로 간헐적 치료를 필요로 할 수 있다.
티로신 키나아제-매개된 장애의 치료 방법으로서, 상기와 같은 장애를 앓거나 앓는 것으로 의심되는 대상체에 치료적 유효량의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프로드러그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본원에 개시되어 있다.
신경전달물질-매개된 장애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저혈압, 기립성 저혈압,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증세성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다중계 위축증 (MSA)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샤이-드레거 증후군 관련 기립성 저혈압,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증 (FAP)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순수 자율신경 부전 (PAF)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특발성 기립성 저혈압, 교감신경긴장성 저혈압, 파킨슨병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투석중 저혈압 (IDH), 혈액투석-야기된 저혈압, 섬유근육통 증후군 (FMS) 관련 저혈압, 척수 외상에 의한 저혈압, 만성 피로 증후군 (CFS) 관련 저혈압, 파킨슨병에 의한 고착 보행, 무동증, 및 구음장애, 루이체 치매, 급속 안구 운동 (REM) 행동 장애, 만성 심부전, 스트레스-관련 장애, 운동 또는 언어 장애, 만성 통증, 뇌졸중, 뇌 허혈증, 비충혈, 기분 장애, 수면 장애, 기면증, 불면증, 주의력 결핍 장애 (ADD), 주의력 결핍 과잉활동 장애 (ADHD), 무취증, 후각 감퇴증, 경도 인지 장애 (MCI), 다운 증후군,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에 의해 야기되는 자세 반사적 이상, 자가면역 자율신경 부전, 가족성 자율신경이상증, 당뇨병성 자율 신경병증, 다발성 골수종에 의한 아밀로이드증, 파킨슨병, 식전 저혈압, 도파민 베타-히드록실라아제 결핍증, 통증, 진행성 핵상 마비, 멘케스병, 가족성 자율신경이상증 (라일리-데이 증후군), PD-관련 자율신경이상증 (자율신경 기능장애), 청소년기의 기립성 조절장애, 신경심장성 (미주신경성) 실신, 자세 기립성 빈맥 증후군 (POTS), 섬유근육통, 이질통, 통각과민, 피로, 수면 방해, 우울증, 만성 기립성 조절장애, 소아 발달 장애, 노르에피네프린 합성 또는 효과 감소를 수반하는 유전병, 다중계 조절 장애, 통증, 신경변성 질환, 인지 기능장애, 후각 장애, 신경내분비 장애, 및 자가면역 장애.
특정한 구현예에서, 신경전달물질-매개된 장애는 도파민-베타-히드록실라아제 결핍증, 멘케스병, 비타민 C 결핍증, 루이체병, 파킨슨병, 루이체 치매, 순수 자율신경 부전, 가족성 자율신경이상증, 양측 내시경 흉부 교감신경절제 후 병태(status-post bilateral endoscopic thoracic sympathectomy), 기립성 조절장애, 및 기립성 저혈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신경전달물질-매개된 장애는 기립성 저혈압, 다중계 위축증 (MSA)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샤이-드레거 증후군 관련 기립성 저혈압,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증 (FAP)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순수 자율신경 부전 (PAF)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특발성 기립성 저혈압, 교감신경긴장성 저혈압, 파킨슨병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투석중 저혈압 (IDH), 혈액투석-야기된 저혈압, 섬유근육통 증후군 (FMS) 관련 저혈압, 척수 외상에 의한 저혈압, 및 만성 피로 증후군 (CFS) 관련 저혈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신경전달물질-매개된 장애는 기립성 저혈압이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신경전달물질-매개된 장애의 치료 방법은 하기의 효과를 위해 대상체에 치료적 유효량의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프로드러그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1) 화합물 또는 그 대사물의 혈장 수준에 있어서 개인간 가변성 감소; (2) 투여 단위 당 화합물의 평균 혈장 수준 증가 또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대사물의 평균 혈장 수준 감소; (3) 대상체에서 하나 이상의 시토크롬 P450 또는 모노아민 옥시다아제 동형의 저해 감소, 및/또는 그에 의한 대사 감소; (4) 대상체에서 하나 이상의 다형체로 발현되는 시토크롬 P450 동형을 통한 대사 감소; (5) 장애-조절 및/또는 장애-근절 종말점의 하나 이상의 통계적으로-유의한 개선; (6) 장애의 치료 동안 임상 효과 개선, (7) 1 차 임상적 유익함으로서 비정상적 영양 또는 간 파라미터의 재발, 또는 하락 지연 또는 출현 방지, 또는 (8) 상응하는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임의의 진단적 간담즙 기능 종말점의 유해한 변화의 저하 또는 제거.
특정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 또는 그 대사물의 혈장 수준의 개인간 가변성은 감소되고;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의 평균 혈장 수준은 증가되고;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의 대사물의 평균 혈장 수준은 감소되고;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에 의한 시토크롬 P450 또는 모노아민 옥시다아제 동형의 저해가 감소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형체로 발현되는 시토크롬 P450 동형에 의한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의 대사가 하기까지 감소된다; 상응하는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약 5% 초과, 약 10% 초과, 약 20% 초과, 약 30% 초과, 약 40% 초과, 또는 약 50% 초과.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 또는 그 대사물의 혈장 수준은 Li et al. Rapid Communications in Mass Spectrometry 2005, 19, 1943-1950, Hughes et al, Xenobiotica 1992, 22(7), 859-69, Varma et al, 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 2004, 36(3), 669-674, Massoud et al, Journal of Chromatography, B: Biomedical Sciences and Applications 1999, 734(1), 163-167, Kim et al, 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 2003, 31(2), 341-349, 및 Lindeke et al, Acta Pharmaceutica Suecica 1981, 18(1), 25-34 에 의해 기재된 방법을 사용해 측정될 수 있다.
포유류 대상체에서 시토크롬 P450 동형의 예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CYP1A1, CYP1A2, CYP1B1, CYP2A6, CYP2A13, CYP2B6, CYP2C8, CYP2C9, CYP2C18, CYP2C19, CYP2D6, CYP2E1, CYP2G1, CYP2J2, CYP2R1, CYP2S1, CYP3A4, CYP3A5, CYP3A5P1, CYP3A5P2, CYP3A7, CYP4A11, CYP4B1, CYP4F2, CYP4F3, CYP4F8, CYP4F11, CYP4F12, CYP4X1, CYP4Z1, CYP5A1, CYP7A1, CYP7B1, CYP8A1, CYP8B1, CYP11A1, CYP11B1, CYP11B2, CYP17, CYP19, CYP21, CYP24, CYP26A1, CYP26B1, CYP27A1, CYP27B1, CYP39, CYP46, 및 CYP51.
포유류 대상체에서 모노아민 옥시다아제 동형의 예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MAOA, 및 MAOB.
시토크롬 P450 동형의 저해율은 Ko 등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2000, 49, 343-351) 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MAOA 동형의 저해율은 Weyler 등 (J. Biol Chem. 1985, 260, 13199-13207) 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MAOB 동형의 저해율은 Uebelhack 등 (Pharmacopsychiatry, 1998, 31, 187-192) 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포유류 대상체에서 다형체로 발현되는 시토크롬 P450 동형의 예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CYP2C8, CYP2C9, CYP2C19, 및 CYP2D6.
간 마이크로솜, 시토크롬 P450 동형, 및 모노아민 옥시다아제 동형의 대사 활성은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개선되는 장애-조절 및/또는 장애-근절 종말점, 또는 개선되는 임상 효과의 예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혈압, 평균 혈압, 수축성 혈압, 평균 수축성 혈압, 배위성 혈압, 평균 배위성 혈압, 기립성 수축성 BP 감소, 기립성 저혈압 설문지 (OHQ) 스코어, 현기증/약간의 두통 스코어, 쓰러짐 수, 쓰러짐-관련 손상, 혼(Hoehn) 평가척도 스코어, 야(Yahr) 평가척도 스코어, 시각 유사 크기 (VAS) 스코어, 심박동수, 전완 혈류 저항, 및 혈장 노르에피네프린 농도.
진단적 간담즙 기능 종말점의 예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ALT"), 세럼 글루타민-피루브 트랜스아미나아제 ("SGPT"),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 ("AST" 또는 "SGOT"), ALT/AST 비, 세럼 알돌라아제,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ALP"), 암모니아 수준, 빌리루빈, 감마-글루타밀 트랜스펩티다아제 ("GGTP," "γ-GTP," 또는 "GGT"), 류신 아미노펩티다아제 ("LAP"), 간 생검, 간 초음파검사, 간 핵 스캔, 5'-뉴클레오티다아제, 및 혈액 단백질. 간담즙성 종말점을 "Diagnostic and Laboratory Test Reference", 4th edition, Mosby, 1999 에 제시된 바와 같이 언급된 정상 수준과 비교한다. 이들 어세이를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인가된 실험실에서 실시한다.
인간 치료에 유용한 것 외에도, 본원에 개시된 특정한 화합물 및 제형은 또한 포유류, 설치류 등을 포함하는, 반려 동물, 외래 동물 및 농경 동물의 수의과적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한 동물은 말, 개 및 고양이를 포함한다.
병용 치료법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들이 또한 조합될 수 있거나, 또는 티로신 키나아제-매개된 장애의 치료에 유용한 기타 제제와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단지 예로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들 중 하나의 치료 효과가 아쥬반트의 투여로 향상될 수 있다 (즉, 아쥬반트 그 자체로는 최소의 치료적 유익함을 가질수 있을 뿐이지만, 또 다른 치료제와의 조합으로 환자에 대한 전체 치료적 유익함이 향상됨).
상기 기타 제제, 아쥬반트, 또는 약물은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과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이를 위해 통상 사용되는 경로 및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기타 약물과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이외에 상기 기타 약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이 활용될 수 있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US 특허 번호 7,745,665 (그 전문이 참조로 본원에 포함되어 있음) 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구조식 I 의 화합물과 조합될 수 있다:
Figure pct00008
특정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09
및 그 혼합물과 조합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이 US 특허 번호 8,168,820 및 US 특허 번호 8,247,603 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전문이 참조로 본원에 포함되어 있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들의 혼합물과 조합될 수 있다:
Figure pct00010
특정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약 90% 의 하기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11
;및
약 10% 의 하기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12
의 혼합물과 조합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페닐에프린, 도부타민, 도파민, 에페드린, 미도드린, 및 아메지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교감신경흥분제와 조합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디페투르(difetur) 및 이조투론(izoturon)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S-알킬이소티오우로늄 유도체와 조합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히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 프레드니손(prednisone),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및 베타메타손(betamethasone)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글루코코르티코이드와 조합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베메그리드(bemegride), 카페인(caffeine), 캄포라(camphora), 및 코르디아민(cordiamine)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체력회복제와 조합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암페타민(amphetamine), 아토목세틴(atomoxetine), 부프로피온(bupropion), 둘록세틴(duloxetine), 메탐페타민(methamphetamine), 메틸페니데이트(methylphenidate), 레복세틴(reboxetine), 및 벤라팍신(venlafaxine)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신신경용제와 조합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강심배당체, 스트로판틴(strophantin) K, 코르글리콘(corglycon), 디곡신(digoxin), 암리논(amrinone), 및 밀리논(milrinone)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축력 증가제와 조합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안지오텐시나미드(angiotensinamide), 인도메타신(indomethacin), 옥실로프린(oxilofrine), 염화칼륨, 및 요힘빈(yohimbine)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항저혈압제와 조합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벤세라지드(benserazide), 카르비도파(carbidopa), 메틸도파(methyldopa), 및 α-디플루오로메틸-DOPA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L-방향족-아미노산 데카르복실라아제 저해제와 조합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엔타카폰(entacapone), 톨카폰(tolcapone), 및 니테카폰(nitecapone)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카테콜-O-메틸전이효소 저해제와 조합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이소카르복사지드(isocarboxazid), 이소니아지드(isoniazid), 니알라미드(nialamide), 페넬진(phenelzine), 트라닐시프로민(tranylcypromine), 모클로베미드(moclobemide), 피르린돌(pirlindole), 톨록사톤(toloxatone), 라사길린(rasagiline), 및 셀레길린(selegiline)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모노아민 옥시다아제 저해제와 조합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핌바세린(pimvaserin)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5-HT2A 역 아고니스트와 조합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또한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기타 부류의 화합물과의 조합으로 투여될 수 있다: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저해제 (NRI), 예컨대 아토목세틴; 도파민 재흡수 저해제 (DARI), 예컨대 메틸페니데이트;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저해제 (SNRI), 예컨대 밀나시프란(milnacipran); 진정제, 예컨대 디아제팜(diazepham); 노르에피네프린-도파민 재흡수 저해제 (NDRI), 예컨대 부프로피온;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도파민-재흡수-저해제 (SNDRI), 예컨대 벤라팍신; 모노아민 옥시다아제 저해제, 예컨대 셀레길린; 시상하부 인지질; 엔도텔린 전환 효소 (ECE) 저해제, 예컨대 포스포라미돈(phosphoramidon); 오피오이드, 예컨대 트라마돌(tramadol); 트롬복산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예컨대 이페트로반(ifetroban); 칼륨 채널 오프너; 트롬빈 저해제, 예컨대 히루딘(hirudin); 시상하부 인지질; 성장 인자 저해제, 예컨대 PDGF 활성의 조절제; 혈소판 활성 인자 (PAF) 안타고니스트; 항혈소판제, 예컨대 GPIIb/IIIa 차단제 (예, 아브득시맙(abdximab), 에프티피바티드(eptifibatide), 및 티로피반(tirofiban)), P2Y(AC) 안타고니스트 (예, 클로피도그렐(clopidogrel), 티클로피딘(ticlopidine) 및 CS-747), 및 아스피린; 항응고제, 예컨대 와르파린(warfarin); 저분자량 헤파린, 예컨대 에녹사파린(enoxaparin); 인자 VIIa 저해제 및 인자 Xa 저해제; 레닌 저해제; 중성 엔도펩티다아제 (NEP) 저해제; 바소펩시다아제 저해제 (이중 NEP-ACE 저해제), 예컨대 오마파트릴라트(omapatrilat) 및 게모파트릴라트(gemopatrilat); HMG CoA 환원효소 저해제, 예컨대 프라바스타틴(pravastatin), 로바스타틴(lovastatin), 아토르바스타틴(atorvastatin), 심바스타틴(simvastatin), NK-104 (이타바스타틴(itavastatin), 니스바스타틴(nisvastatin), 또는 니스바스타틴(nisbastatin) 으로도 알려짐), 및 ZD-4522 (로수바스타틴(rosuvastatin), 또는 아타바스타틴(atavastatin) 또는 비사스타틴(visastatin) 으로도 알려짐); 스쿠알렌 합성효소 저해제; 피브레이트; 담즙 산 금속이온봉쇄제, 예컨대 퀘스트란(questran); 니아신; 항죽상경화제, 예컨대 ACAT 저해제; MTP 저해제; 칼슘 채널 차단제, 예컨대 암로디핀 베실레이트(amlodipine besylate); 칼륨 채널 활성화제; 알파-무스카린제; 베타-무스카린제, 예컨대 카르베딜롤(carvedilol) 및 메토프롤롤(metoprolol); 항부정맥제; 이뇨제, 예컨대 클로로틀라지드(chlorothlazide), 히드로치오로티아지드(hydrochiorothiazide), 플루메티아지드(flumethiazide), 히드로플루메티아지드(hydroflumethiazide), 벤드로플루메티아지드(bendroflumethiazide), 메틸클로로티아지드(methylchlorothiazide), 트리치오로메티아지드(trichioromethiazide), 폴리티아지드(polythiazide), 벤조틀라지드(benzothlazide), 에타크린산(ethacrynic acid), 트리크리나펜(tricrynafen), 클로르탈리돈(chlorthalidone), 푸로세닐드(furosenilde), 무솔리민(musolimine), 부메타니드(bumetanide), 트리암테렌(triamterene), 아밀로리드(amiloride), 및 스피로놀락톤(spironolactone); 혈전용해제, 예컨대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 (tPA), 재조합 tPA, 스트렙토키나아제, 우로키나아제, 프로우로키나아제, 및 아니소일화(anisoylated) 플라스미노겐 스트렙토키나아제 활성화제 착물 (APSAC); 항당뇨제, 예컨대 비구아니드 (예, 메트포르민(metformin)), 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 (예, 아카르보스(acarbose)), 인슐린, 메글리티니드 (예, 레파글리니드(repaglinide)), 술포닐우레아 (예, 글리메피리드(glimepiride), 글리부리드(glyburide), 및 글리피지드(glipizide)), 티오졸리딘디온 (예, 트로글리타존(troglitazone), 로시글리타존(rosiglitazone) 및 피오글리타존(pioglitazone)), 및 PPAR-감마 아고니스트; 미네랄로코르티코이드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예컨대 스피로놀락톤 및 에프레레논(eplerenone); 성장 호르몬 분비촉진제; aP2 저해제;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 저해제, 예컨대 PDE III 저해제 (예, 실로스타졸(cilostazol)) 및 PDE V 저해제 (예, 실데나필(sildenafil), 타다라필(tadalafil), 바르데나필(vardenafil)); 단백질 티로신 키나아제 저해제; 항염증제; 항증식제, 예컨대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FK506 (타크롤리무스(tacrolimus), 프로그라프(Prograf)), 마이코페놀레이트 모페틸(mycophenolate mofetil); 화학치료제; 면역억제제; 항암제 및 세포독성제 (예, 알킬화제, 예컨대 질소 머스타드, 알킬 술포네이트, 니트로소우레아, 에틸렌이민, 및 트리아젠); 항대사제, 예컨대 폴레이트 안타고니스트, 퓨린 유사체, 및 피리딘 유사체; 항생제, 예컨대 안트라시클린, 블레오마이신, 미토마이신(mitomycin), 다크티노마이신(dactinomycin), 및 플리카마이신(plicamycin); 효소, 예컨대 L-아스파라기나아제; 파르네실-단백질 전이효소 저해제; 호르몬제, 예컨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예, 코르티손(cortisone)), 에스트로겐/항에스트로겐, 안드로겐/항안드로겐, 프로게스틴, 및 황체형성 호르몬-방출 호르몬 아나타고니스트, 및 옥트레오티드 아세테이트; 미소관-분열제, 예컨대 엑테이나시딘(ecteinascidin); 미소관-안정화제, 예컨대 팍시탁셀(pacitaxel), 도세탁셀(docetaxel), 및 에포틸론(epothilone) A-F; 식물-유래 생성물, 예컨대 빈카 알칼로이드(vinca alkaloid), 에피포도필로톡신(epipodophyllotoxin), 및 탁산(taxane); 및 토포이소머라아제 저해제; 프레닐-단백질 전이효소 저해제; 및 시클로스포린; 스테로이드, 예컨대 프레드니손 및 덱사메타손; 세포독성 약물, 예컨대 아자티프린(azathiprine) 및 시클로포스파미드; TNF-알파 저해제, 예컨대 테니답(tenidap); 항-TNF 항체 또는 가용성 TNF 수용체, 예컨대 에타네르셉트(etanercept), 라파마이신(rapamycin), 및 레플루니미드(leflunimide); 및 시클로옥시게나아제-2 (COX-2) 저해제, 예컨대 셀레콕십(celecoxib) 및 로페콕십(rofecoxib); 및 기타 제제, 예컨대, 히드록시우레아, 프로카르바진(procarbazine), 미토탄(mitotane), 헥사메틸멜라민, 금 화합물, 백금 배위 착물, 예컨대 시스플라틴(cisplatin), 사트라플라틴(satraplatin), 및 카르보플라틴(carboplatin).
따라서, 또 다른 양태에서, 특정한 구현예는 티로신 키나아제-매개된 장애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 또는 동물 대상체에서의 티로신 키나아제-매개된 장애의 치료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체에 당업계에 공지된 상기 장애의 치료를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제제와의 조합으로 대상체에서의 상기 장애의 저하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소정량의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을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제공한다. 관련 양태에서, 특정한 구현예는 티로신 키나아제-매개된 장애의 치료를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제제와의 조합으로 하나 이상의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치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일반 합성 방법
동위원소 수소를 듀테륨화 시약을 활용하는 합성 기법 (이때, 혼입 속도는 사전-결정됨); 및/또는 교환 기법 (이때, 혼입 속도는 평형 조건에 의해 결정됨) 에 의해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 내에 도입시킬 수 있고, 반응 조건에 따라 매우 가변적일 수 있다. 트리튬 또는 듀테륨이 공지된 동위원소 내용물의 트리튬화 또는 듀테륨화 시약에 의해 직접적이고 특별하게 삽입되는 합성 기법은 높은 트리튬 또는 듀테륨 존재비를 유도할 수 있지만, 요구되는 화학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교환 기법은 보다 낮은 트리튬 또는 듀테륨 혼입을 유도할 수 있으며, 종종 동위원소는 분자의 수많은 부위에 대하여 분산되어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은 당업자에 공지된 방법 및 그 통상적인 개질법, 및/또는 본원에 실시예 섹션에 기재된 것들과 유사한 절차 및 그 통상적인 개질법, 및/또는 EP 84928 B1, EP 128684 A1, DE 19619510 A1, JP 1997249626 A, WO 2011001976 A1, 및 WO 2013142093 A1 (그 전문이 본원에 포함되어 있음) 및 그에 인용된 참조문헌에 밝혀진 절차 및 그 통상적인 개질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및 그 통상적인 개질법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하기 반응식은 본 발명을 시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수소로서 나타낸 임의의 위치는 듀테륨으로 임의 대체될 수 있다.
반응식 I
Figure pct00013
화합물 (1) 을 적절한 보호제, 예컨대 벤질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화합물 (2) 를 수득한다. 화합물 (2) 를 적절한 염소화제, 예컨대 티오닐 클로라이드로 처리한 후, 적절한 환원제, 예컨대 바륨 술페이트 상 팔라듐과 수소의 조합물로 처리하여 화합물 (3) 을 수득한다. 화합물 (4) 를 트리에틸 포스페이트와 반응시켜 화합물 (5) 를 수득한다. 화합물 (3) 을 적절한 염기, 예컨대 수소화나트륨의 존재 하에 화합물 (5) 와 반응시켜 화합물 (6) 을 수득한다. 화합물 (6) 을 화합물 (7) 과 적절한 염기, 예컨대 수산화칼륨의 존재 하에 반응시켜 화합물 (8) 을 수득한다. 화합물 (8) 을 적절한 산화제, 예컨대 나트륨 퍼요오데이트, 및 적절한 브로마이드 염, 예컨대 리튬 브로마이드와 반응시켜 화합물 (9) 를 수득한다. 화합물 (9) 를 나트륨 아지드와 반응시켜 화합물 (10) 을 수득한다. 화합물 (10) 을 적절한 옥사졸리디논 탈보호제, 예컨대 수산화리튬 및 과산화수소의 혼합물과 반응시켜 화합물 (11) 을 수득한다. 화합물 (11) 을 적절한 환원제, 예컨대 탄소 상 팔라듐과 수소의 조합물과 반응시켜 식 I 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식 I 의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을, 식 I 의 화합물을 염산과 적절한 용매, 예컨대 물 및 이소프로판올의 혼합물 중에서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듀테륨을 적절한 듀테륨화 중간체를 사용함으로써, 합성적으로는 반응식 I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합성 절차에 따라 상이한 위치들에 혼입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R3-R5 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듀테륨의 도입을 위해, 상응하는 듀테륨 치환을 갖는 화합물 (1) 을 사용할 수 있다. R6 에서 듀테륨의 도입을 위해, 듀테륨 기체를 사용할 수 있다. R8 에서 듀테륨의 도입을 위해, 상응하는 듀테륨 치환을 갖는 화합물 (4) 를 사용할 수 있다.
듀테륨을 앙성자-듀테륨 평형 교환을 통해 교환가능한 앙성자, 예컨대 페닐 히드록실 O-H, 벤질성 알코올 히드록실 O-H, 아민 N-H, 및 카르복실 O-H 를 갖는 각 위치들에 혼입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R1-R2, R7, R9-R10, 및 R11 에서 듀테륨의 도입을 위해, 이들 앙성자를 당업계에 공지된 앙성자-듀테륨 교환 방법을 통해 선택 또는 비선택적으로 듀테륨으로 대체할 수 있다.
반응식 II
Figure pct00014
화합물 (12) 를 적절한 환원제, 예컨대 리튬 알루미늄 수소화물과 적절한 용매,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반응시켜 화합물 (13) 을 수득한다. 화합물 (13) 을 적절한 산화제, 예컨대 Dess-Martin 퍼요오디난으로 적절한 용매,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처리하여 화합물 (14) 를 수득한다. 화합물 (14) 를 화합물 (15) 와 적절한 염기, 예컨대 수산화칼륨의 존재 하에 적절한 용매, 예컨대 톨루엔 및 메탄올의 혼합물 중에서 반응시켜 화합물 (16) 을 수득한다. 화합물 (16) 을 적절한 아민 보호제, 예컨대 N-카르보메톡시 프탈이미드와 적절한 용매, 예컨대 물 중에서 적절한 염기, 예컨대 탄산나트륨의 존재 하에 반응시킨 후, 적절한 산, 예컨대 황산과 반응시켜 화합물 (17) 을 수득한다. 화합물 (17) 을 적절한 키랄 분해제, 예컨대 L-노르에페드린과 적절한 용매, 예컨대 메탄올 중에서 반응시켜 화합물 (18) 의 L-노르에페드린 염을 수득하며, 이를 적절한 산, 예컨대 황산으로 적절한 용매, 예컨대 물 중에서 추가 처리하여 유리산으로서 화합물 (18) 을 수득한다. 화합물 (18) 을 적절한 메틸렌디옥시 탈보호제, 예컨대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및 옥탄티올의 혼합물과 적절한 용매,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반응시켜 화합물 (19) 를 수득한다. 화합물 (19) 를 적절한 프탈이미드 탈보호제, 예컨대 히드록실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및 중탄산나트륨의 혼합물과 적절한 용매, 예컨대 메탄올 중에서 승온에서 반응시켜 식 I 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식 I 의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을, 식 I 의 화합물을 염산과 적절한 용매, 예컨대 물 및 이소프로판올의 혼합물 중에서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듀테륨을 적절한 듀테륨화 중간체를 사용함으로써 합성적으로는 반응식 I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합성 절차에 따라 상이한 위치들에 혼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R3-R5 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듀테륨의 도입을 위해, 상응하는 듀테륨 치환을 갖는 화합물 (12) 를 사용할 수 있다. R6 에서 듀테륨의 도입을 위해, 리튬 알루미늄 중수소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R8 에서 듀테륨의 도입을 위해, 상응하는 듀테륨 치환을 갖는 화합물 (15) 를 사용할 수 있다.
듀테륨을 앙성자-듀테륨 평형 교환을 통해 교환가능한 앙성자, 예컨대 페닐 히드록실 O-H, 벤질성 알코올 히드록실 O-H, 아민 N-H, 및 카르복실 O-H 를 갖는 각종 위치들에 혼입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R1-R2, R7, R9-R10, 및 R11 에서 듀테륨의 도입을 위해, 이들 앙성자를 당업계에 공지된 앙성자-듀테륨 교환 방법을 통해 선택 또는 비선택적으로 듀테륨으로 대체할 수 있다.
하기 화합물을 일반적으로 상기 기재된 방법을 사용해 제조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이 제조시에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것들과 유사한 활성을 가질 것이라고 기대된다.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대사 특성의 변화가 그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유사체와 비교로 하기 어세이를 사용해 보여질 수 있다. 아직 제조 및/또는 시험되지 않은 상기 나열된 화합물은 또한 이들 어세이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은 변화된 대사 특성을 갖는 것으로 예상된다.
생물학적 활성 어세이
2 mg/kg L-트레오-2,3-디듀테로 DOPS 의 정맥내 투여에 따른 마취시킨 래트의, 동일량의 L-트레오-DOPS 와의 비교시의 평균 동맥 혈압의 변화
L-트레오-2,3-디듀테로 DOPS 의 투여는 평균 동맥 혈압의 향상 및 연장된 증가를 유도한다.
시험관내 간 마이크로솜 안정 어세이
간 마이크로솜 안정 어세이를 2% NaHCO3 (2.2 mM NADPH, 25.6 mM 글루코오스 6-포스페이트, 글루코오스 6-포스페이트 탈수소효소 mL 당 6 개의 단위 및 3.3 mM MgCl2) 중에서 NADPH-발생 시스템을 갖는 간 마이크로솜 단백질 mL 당 1 mg 으로 수행한다. 시험 화합물을 20% 아세토니트릴-물 중의 용액으로서 제조하고, 어세이 혼합물 (최종 어세이 농도 mL 당 5 마이크로그램) 에 첨가하고, 37 ℃ 에서 인큐베이션한다. 어세이 중의 아세토니트릴의 최종 농도는 < 1% 이어야 한다. 앨리쿼트(Aliquot) (50 μL) 를 시간 0, 15, 30, 45, 및 60 분에 테이크 아웃(take out) 하고, 빙냉 아세토니트릴 (200 μL) 로 희석하여 반응을 중지시킨다. 샘플을 12,000 RPM 에서 1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단백질을 침전시킨다. 상청액을 마이크로원심분리관으로 이동시키고, 시험 화합물의 분해 반감기의 LC/MS/MS 분석을 위해 저장한다.
시험관내 모노아민 옥시다아제 A 분해 어세이
노르에피네프린 및 d6-노르에피네프린을 모노아민 옥시다아제-A (MAO-A) 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Figure pct00025
d6-노르에피네프린
3,4-디히드록시페닐글리콜알데히드의 출현 및 노르에피네프린의 소실을 추적하였다. 비듀테륨화 노르에피네프린과 비교시, d6-노르에피네프린은 MAO-A 에 의한 소화에 있어서 약 5 배 감소, 및 3,4-디히드록시페닐글리콜알데히드 생성에 있어서 약 75% 감소와 관련이 있었다.
어세이 방법은 배치(batch) 알루미나 추출, 이후에 전기화학 검출을 갖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이다. 포스트-컬럼 전극을 직렬로 배열시킨다 (제 1 전극은 산화 전위 및 제 3 전극은 환원 전위로 함). 상기 플로-쓰루(flow-through) 전극의 직렬 배열은 용매 프론트(front) 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고, 가역적 산화 종, 예컨대 카테콜의 검출을 위한 감수성 및 특이성을 개선시킨다. 3,4-디히드록시페닐글리콜알데히드는 용매 프론트 내에서 넓고 짧은 피크로 식별된다.
인간 시토크롬 P 450 효소를 사용하는 시험관내 대사
시토크롬 P450 효소를 배큘로바이러스 발현 시스템 (BD Biosciences, San Jose, CA) 을 사용해 상응하는 인간 cDNA 로부터 발현시킨다. 100 밀리몰 칼륨 포스페이트 (pH 7.4) 중에서 단백질 밀리리터 당 0.8 밀리그램, 1.3 밀리몰 NADP+, 3.3 밀리몰 글루코오스-6-포스페이트, 0.4 U/mL 글루코오스-6-포스페이트 탈수소효소, 3.3 밀리몰 염화마그네슘 및 0.2 밀리몰의 식 I 의 화합물 (상응하는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 또는 표준 또는 대조군) 을 함유하는 0.25 밀리리터 반응 혼합물을 37 ℃ 에서 20 분 동안 인큐베이션한다. 인큐베이션 후에, 반응을 적절한 용매 (예, 아세토니트릴, 20% 트리클로로아세트산, 94% 아세토니트릴/6% 빙초산, 70% 과염소산, 94% 아세토니트릴/6% 빙초산) 의 첨가로 중지시키고, 3 분 동안 원심분리한다 (10,000 g). 상청액을 HPLC/MS/MS 로 분석한다.
Figure pct00026
모노아민 옥시다아제 A 저해 및 산화성 턴오버(Turnover)
절차를 Weyler,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985, 260, 13199-13207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음) 에 의해 기재된 방법을 사용해 수행한다. 모노아민 옥시다아제 A 활성을, 분광광도법으로 314 nm 의 흡광도에서 키누라민의 산화로 4-히드록시퀴놀린의 형성 증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측정한다. 측정을 30 ℃ 에서 전체 부피 1 mL 로 하여 50 mM NaPi 완충액, pH 7.2 (0.2% Triton X-100 (모노아민 옥시다아제 어세이 완충액) + 1 mM 키누라민 함유) 및 목적하는 양의 효소 중에서 수행한다.
모노오아민 옥시다아제 B 저해 및 산화성 턴오버
절차를 Uebelhack, Pharmacopsychiatry 1998, 31(5), 187-192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음)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한다.
시험관내 래트 CNS 세포외 노르에피네프린 생성
절차를 Verhagen-Kamerbeek et al., Monit. Mol. Neurosci., Proc. Int. Conf. In Vivo Methods, 5th, 1991, 373-6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음)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한다.
래트 시상하부 슬라이스에서 시냅스전 수용체로부터 내인성 노르에피네프린 방출
절차를 Yue et al., J. Pharmacy and Pharmacol., 1992, 44(12), 990-5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음)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한다.
문맥 고혈압 래트의 혈류역학 및 신장 변화
절차를 Coll Mar et al., Hepatology (Baltimore, Md.), 2012, 56(5), 1849-60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음)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한다.
앞서 언급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그 취지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각종 변화 및 개질을 각종 이용 및 조건에 맞출 수 있게끔 한다.

Claims (115)

  1. 하기 구조식 I 의 화합물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Figure pct00027

    [식 중:
    R1-R2 는 독립적으로 수소, 듀테륨, 메틸, 퍼듀테로메틸, 에틸, 퍼듀테로에틸, 프로필, 퍼듀테로프로필, 부틸, 퍼듀테로부틸,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은 듀테륨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고;
    R3-R8 은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9-R11 은 독립적으로 수소, 듀테륨, 메틸, 퍼듀테로메틸, 에틸, 퍼듀테로에틸, 프로필, 퍼듀테로프로필, 부틸, 퍼듀테로부틸,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은 듀테륨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고;
    R3-R6 및 R8 중 하나 이상은 듀테륨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탄소-13 으로 풍부화(enriched) 되지 않은 화합물.
  3. 제 1 항에 있어서, R6 이 듀테륨인 경우,
    R3-R5 또는 R8 중 하나 이상이 듀테륨이거나, 또는
    R1-R2, R7, 또는 R9-R10 중 하나 이상이 듀테륨, 메틸, 퍼듀테로메틸, 에틸, 퍼듀테로에틸, 프로필, 퍼듀테로프로필, 부틸, 퍼듀테로부틸,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이 듀테륨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는 화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R1-R11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6 및 R8 중 하나 이상이 듀테륨인 화합물.
  5. 제 1 항에 있어서,
    R1-R2, R6, 및 R8-R10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가 듀테륨이고;
    R7 이 수소이고;
    R11 이 수소, 듀테륨,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이 듀테륨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는 화합물.
  6. 제 1 항에 있어서,
    R1-R2, R6, 및 R9-R10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및 R8 이 듀테륨이고;
    R7 이 수소이고;
    R11 이 듀테륨,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이 듀테륨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는 화합물.
  7. 제 1 항에 있어서,
    R1-R2, R6, 및 R9-R10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및 R8 이 듀테륨이고;
    R7 이 수소이고;
    R11 이 수소, 듀테륨,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이 듀테륨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는 화합물.
  8. 제 1 항에 있어서,
    R1-R2, R6, 및 R9-R10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및 R8 이 듀테륨이고;
    R7 이 수소이고;
    R11 이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9. 제 1 항에 있어서,
    R1-R2, R6, 및 R9-R10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및 R8 이 듀테륨이고;
    R7 이 수소이고;
    R11 이 메틸인 화합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R1-R2, R6, 및 R9-R10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및 R8 이 듀테륨이고;
    R7 이 수소이고;
    R11 이 에틸인 화합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R1-R2, R6, 및 R9-R10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및 R8 이 듀테륨이고;
    R7 이 수소이고;
    R11 이 퍼듀테로에틸인 화합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R1-R2, R6, 및 R9-R10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및 R8 이 듀테륨이고;
    R7 이 수소이고;
    R11 이 퍼듀테로메틸인 화합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R1-R2, R6, 및 R8-R10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가 듀테륨이고;
    R7 이 수소이고;
    R11 이 퍼듀테로에틸인 화합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R1-R2, R6, 및 R8-R10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가 듀테륨이고;
    R7 이 수소이고;
    R11 이 퍼듀테로메틸인 화합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R1-R2 가 듀테륨이고;
    R3-R6, 및 R8-R10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 이 수소이고;
    R11 이 퍼듀테로메틸인 화합물.
  16. 제 1 항에 있어서,
    R1-R2 가 듀테륨이고;
    R3-R6, 및 R8-R10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 이 수소이고;
    R11 이 퍼듀테로에틸인 화합물.
  17. 제 1 항에 있어서, R3-R6 및 R8 중 하나 이상이 독립적으로 약 10% 이상의 듀테륨 풍부화도를 갖는 화합물.
  18. 제 1 항에 있어서, R3-R6 및 R8 중 하나 이상이 독립적으로 약 50% 이상의 듀테륨 풍부화도를 갖는 화합물.
  19. 제 1 항에 있어서, R3-R6 및 R8 중 하나 이상이 독립적으로 약 90% 이상의 듀테륨 풍부화도를 갖는 화합물.
  20. 제 1 항에 있어서, R3-R6 및 R8 중 하나 이상이 독립적으로 약 98% 이상의 듀테륨 풍부화도를 갖는 화합물.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28

    Figure pct00029

    Figure pct00030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Figure pct00033

    Figure pct00034

    Figure pct00035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Figure pct00038
  22. 제 21 항에 있어서, D 로서 나타내는 각 위치가 약 10% 이상의 듀테륨 풍부화도를 갖는 화합물.
  23. 제 21 항에 있어서, D 로서 나타내는 각 위치가 약 50% 이상의 듀테륨 풍부화도를 갖는 화합물.
  24. 제 21 항에 있어서, D 로서 나타내는 각 위치가 약 90% 이상의 듀테륨 풍부화도를 갖는 화합물.
  25. 제 21 항에 있어서, D 로서 나타내는 각 위치가 약 98% 이상의 듀테륨 풍부화도를 갖는 화합물.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39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40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41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42
  30.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하기 구조식 I 의 화합물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함께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Figure pct00043

    [식 중:
    R1-R2 는 독립적으로 수소, 듀테륨, 메틸, 퍼듀테로메틸, 에틸, 퍼듀테로에틸, 프로필, 퍼듀테로프로필, 부틸, 퍼듀테로부틸,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은 듀테륨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고;
    R3-R8 은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9-R11 은 독립적으로 수소, 듀테륨, 메틸, 퍼듀테로메틸, 에틸, 퍼듀테로에틸, 프로필, 퍼듀테로프로필, 부틸, 퍼듀테로부틸,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은 듀테륨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고;
    R3-R6 및 R8 중 하나 이상은 듀테륨임].
  31. 치료적 유효량의 하기 구조식 I 의 화합물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투여를 포함하는, 신경전달물질-매개된 장애의 치료 방법:
    Figure pct00044

    [식 중:
    R1-R2 는 독립적으로 수소, 듀테륨, 메틸, 퍼듀테로메틸, 에틸, 퍼듀테로에틸, 프로필, 퍼듀테로프로필, 부틸, 퍼듀테로부틸,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은 듀테륨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고;
    R3-R8 은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9-R11 은 독립적으로 수소, 듀테륨, 메틸, 퍼듀테로메틸, 에틸, 퍼듀테로에틸, 프로필, 퍼듀테로프로필, 부틸, 퍼듀테로부틸,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은 듀테륨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고;
    R3-R6 및 R8 중 하나 이상은 듀테륨임].
  32. 제 31 항에 있어서, 장애가 저혈압, 기립성 저혈압,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증세성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다중계 위축증 (MSA)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샤이-드레거 증후군 관련 기립성 저혈압,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증 (FAP)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순수 자율신경 부전 (PAF)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특발성 기립성 저혈압, 교감신경긴장성 저혈압, 파킨슨병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투석중 저혈압 (IDH), 혈액투석-야기된 저혈압, 섬유근육통 증후군 (FMS) 관련 저혈압, 척수 외상에 의한 저혈압, 만성 피로 증후군 (CFS) 관련 저혈압, 파킨슨병에 의한 고착 보행, 무동증, 및 구음장애, 루이체 치매, 급속 안구 운동 (REM) 행동 장애, 만성 심부전, 스트레스-관련 장애, 운동 또는 언어 장애, 만성 통증, 뇌졸중, 뇌 허혈증, 비충혈, 기분 장애, 수면 장애, 기면증, 불면증, 주의력 결핍 장애 (ADD), 주의력 결핍 과잉활동 장애 (ADHD), 무취증, 후각 감퇴증, 경도 인지 장애 (MCI), 다운 증후군,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에 의해 야기되는 자세 반사적 이상, 자가면역 자율신경 부전, 가족성 자율신경이상증, 당뇨병성 자율 신경병증, 다발성 골수종에 의한 아밀로이드증, 파킨슨병, 식전 저혈압, 도파민 베타-히드록실라아제 결핍증, 통증, 진행성 핵상 마비, 멘케스병, 가족성 자율신경이상증 (라일리-데이 증후군), PD-관련 자율신경이상증 (자율신경 기능장애), 청소년기의 기립성 조절장애, 신경심장성 (미주신경성) 실신, 자세 기립성 빈맥 증후군 (POTS), 섬유근육통, 이질통, 통각과민, 피로, 수면 방해 (sleep disturbance), 우울증, 만성 기립성 조절장애, 소아 발달 장애, 노르에피네프린 합성 또는 효과 감소를 수반하는 유전병, 다중계 조절 장애, 통증, 신경변성 질환, 인지 기능장애, 후각 장애, 신경내분비 장애, 및 자가면역 장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장애가 기립성 저혈압, 다중계 위축증 (MSA)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샤이-드레거 증후군 관련 기립성 저혈압,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증 (FAP)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순수 자율신경 부전 (PAF)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특발성 기립성 저혈압, 교감신경긴장성 저혈압, 파킨슨병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투석중 저혈압 (IDH), 혈액투석-야기된 저혈압, 섬유근육통 증후군 (FMS) 관련 저혈압, 척수 외상에 의한 저혈압, 및 만성 피로 증후군 (CFS) 관련 저혈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4. 제 32 항에 있어서, 장애가 기립성 저혈압인 방법.
  35. 제 31 항에 있어서, 장애가 도파민-베타-히드록실라아제 결핍증, 멘케스병, 비타민 C 결핍증, 루이체병, 파킨슨병, 루이체 치매, 순수 자율신경 부전, 가족성 자율신경이상증, 양측 내시경 흉부 교감신경절제 후 병태(status-post bilateral endoscopic thoracic sympathectomy), 기립성 조절장애, 및 기립성 저혈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6. 제 31 항에 있어서, 추가의 치료제의 투여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추가의 치료제가 교감신경흥분제, S-알킬이소티오우로늄 유도체,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체력회복제, 정신신경용제, 수축력 증가제, 항저혈압제, L-방향족-아미노산 데카르복실라아제 저해제, 카테콜-O-메틸전이효소 저해제, 모노아민 옥시다아제 저해제, 및 5-HT2A 역 아고니스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교감신경흥분제가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페닐에프린, 도부타민, 도파민, 에페드린, 미도드린, 및 아메지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9. 제 37 항에 있어서, S-알킬이소티오우로늄 유도체가 디페투르(difetur) 및 이조투론(izoturon)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0. 제 37 항에 있어서, 글루코코르티코이드가 히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 프레드니손(prednisone),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및 베타메타손(betamethasone)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1. 제 37 항에 있어서, 체력회복제가 베메그리드(bemegride), 카페인(caffeine), 캄포라(camphora), 및 코르디아민(cordiamine)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2. 제 37 항에 있어서, 정신신경용제가 암페타민(amphetamine), 아토목세틴(atomoxetine), 부프로피온(bupropion), 둘록세틴(duloxetine), 메탐페타민(methamphetamine), 메틸페니데이트(methylphenidate), 레복세틴(reboxetine), 및 벤라팍신(venlafaxine)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3. 제 37 항에 있어서, 수축력 증가제가 강심배당체, 스트로판틴(strophantin) K, 코르글리콘(corglycon), 디곡신(digoxin), 암리논(amrinone), 및 밀리논(milrinone)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4. 제 37 항에 있어서, L-방향족-아미노산 데카르복실라아제 저해제가 벤세라지드(benserazide), 카르비도파(carbidopa), 메틸도파(methyldopa), 및 α-디플루오로메틸-DOPA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5. 제 37 항에 있어서, 카테콜-O-메틸전이효소 저해제가 엔타카폰(entacapone), 톨카폰(tolcapone), 및 니테카폰(nitecapone)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6. 제 37 항에 있어서, 모노아민 옥시다아제 저해제가 이소카르복사지드(isocarboxazid), 이소니아지드(isoniazid), 니알라미드(nialamide), 페넬진(phenelzine), 트라닐시프로민(tranylcypromine), 모클로베미드(moclobemide), 피르린돌(pirlindole), 톨록사톤(toloxatone), 라사길린(rasagiline), 및 셀레길린(selegiline)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7. 제 37 항에 있어서, 5-HT2A 역 아고니스트가 핌바세린(pimvaserin) 인 방법.
  48. 제 37 항에 있어서, 추가의 치료제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45

    그 혼합물인 방법.
  49. 제 37 항에 있어서, 추가의 치료제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들의 혼합물인 방법:
    Figure pct00046
  50. 제 37 항에 있어서, 추가의 치료제가 약 90% 의 하기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47

    약 10% 의 하기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48

    의 혼합물인 방법.
  51. 제 31 항에 있어서,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과를 추가로 유도하는 방법:
    a.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상기 화합물 또는 그 대사물의 혈장 수준의 개인간 가변성의 감소;
    b.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상기 화합물의 그 투여 단위 당 평균 혈장 수준의 증가;
    c.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상기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대사물의 그 투여 단위 당 평균 혈장 수준의 감소;
    d.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상기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대사물의 그 투여 단위 당 평균 혈장 수준의 증가;
    e.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대상체의 치료시 상기 화합물의 투여 단위 당 임상 효과의 개선.
  52. 제 31 항에 있어서,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 개 이상의 효과를 추가로 유도하는 방법:
    a.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상기 화합물 또는 그 대사물의 혈장 수준의 개인간 가변성의 감소;
    b.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상기 화합물의 그 투여 단위 당 평균 혈장 수준의 증가;
    c.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상기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대사물의 그 투여 단위 당 평균 혈장 수준의 감소;
    d.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상기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대사물의 그 투여 단위 당 평균 혈장 수준의 증가;
    e.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대상체의 치료시 상기 화합물의 투여 단위 당 임상 효과의 개선.
  53. 제 31 항에 있어서, 대상체에서 하나 이상의 다형체로 발현되는 시토크롬 P450 동형에 의해, 상기 화합물의 그 투여 단위 당 대사를, 상응하는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감소시키는 방법.
  54. 제 53 항에 있어서, 시토크롬 P450 동형이 CYP2C8, CYP2C9, CYP2C19, 및 CYP2D6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5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그 투여 단위 당 대상체에서의 하나 이상의 시토크롬 P450 또는 모노아민 옥시다아제 동형의 저해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6. 제 55 항에 있어서, 시토크롬 P450 또는 모노아민 옥시다아제 동형이 CYP1A1, CYP1A2, CYP1B1, CYP2A6, CYP2A13, CYP2B6, CYP2C8, CYP2C9, CYP2C18, CYP2C19, CYP2D6, CYP2E1, CYP2G1, CYP2J2, CYP2R1, CYP2S1, CYP3A4, CYP3A5, CYP3A5P1, CYP3A5P2, CYP3A7, CYP4A11, CYP4B1, CYP4F2, CYP4F3, CYP4F8, CYP4F11, CYP4F12, CYP4X1, CYP4Z1, CYP5A1, CYP7A1, CYP7B1, CYP8A1, CYP8B1, CYP11A1, CYP11B1, CYP11B2, CYP17, CYP19, CYP21, CYP24, CYP26A1, CYP26B1, CYP27A1, CYP27B1, CYP39, CYP46, CYP51, MAOA, 및 MAOB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57. 제 31 항에 있어서, 진단적 간담즙 기능 종말점의 유해한 변화를 상응하는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감소시키는 방법.
  58. 제 57 항에 있어서, 진단적 간담즙 기능 종말점이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ALT"), 세럼 글루타민-피루브 트랜스아미나아제 ("SGPT"),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 ("AST," "SGOT"), ALT/AST 비, 세럼 알돌라아제,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ALP"), 암모니아 수준, 빌리루빈, 감마-글루타밀 트랜스펩티다아제 ("GGTP," "γ-GTP," "GGT"), 류신 아미노펩티다아제 ("LAP"), 간 생검, 간 초음파검사, 간 핵 스캔, 5'-뉴클레오티다아제, 및 혈액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59. 약제로서 사용되는, 하기 구조식 I 을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Figure pct00049

    [식 중:
    R1-R2 는 독립적으로 수소, 듀테륨, 메틸, 퍼듀테로메틸, 에틸, 퍼듀테로에틸, 프로필, 퍼듀테로프로필, 부틸, 퍼듀테로부틸,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은 듀테륨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고;
    R3-R8 은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9-R11 은 독립적으로 수소, 듀테륨, 메틸, 퍼듀테로메틸, 에틸, 퍼듀테로에틸, 프로필, 퍼듀테로프로필, 부틸, 퍼듀테로부틸,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은 듀테륨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고;
    R3-R6 및 R8 중 하나 이상은 듀테륨임].
  60. 신경전달물질 수준을 조절함으로써 완화되는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하기 구조식 I 을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Figure pct00050

    [식 중:
    R1-R2 는 독립적으로 수소, 듀테륨, 메틸, 퍼듀테로메틸, 에틸, 퍼듀테로에틸, 프로필, 퍼듀테로프로필, 부틸, 퍼듀테로부틸,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은 듀테륨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고;
    R3-R8 은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9-R11 은 독립적으로 수소, 듀테륨, 메틸, 퍼듀테로메틸, 에틸, 퍼듀테로에틸, 프로필, 퍼듀테로프로필, 부틸, 퍼듀테로부틸,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은 듀테륨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고;
    R3-R6 및 R8 중 하나 이상은 듀테륨임].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탄소-13 으로 풍부화되지 않은 화합물.
  62. 제 60 항에 있어서, R6 이 듀테륨인 경우,
    R3-R5 또는 R8 중 하나 이상이 듀테륨이거나, 또는
    R1-R2, R7, 또는 R9-R10 중 하나 이상이 듀테륨, 메틸, 퍼듀테로메틸, 에틸, 퍼듀테로에틸, 프로필, 퍼듀테로프로필, 부틸, 퍼듀테로부틸,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이 듀테륨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는 화합물.
  63. 제 60 항에 있어서,
    R1-R11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6 및 R8 중 하나 이상이 듀테륨인 화합물.
  64. 제 60 항에 있어서,
    R1-R2, R6, 및 R8-R10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가 듀테륨이고;
    R7 이 수소이고;
    R11 이 수소, 듀테륨,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이 듀테륨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는 화합물.
  65. 제 60 항에 있어서,
    R1-R2, R6, 및 R9-R10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및 R8 이 듀테륨이고;
    R7 이 수소이고;
    R11 이 듀테륨,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이 듀테륨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는 화합물.
  66. 제 60 항에 있어서,
    R1-R2, R6, 및 R9-R10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및 R8 이 듀테륨이고;
    R7 이 수소이고;
    R11 이 수소, 듀테륨,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때 상기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이 듀테륨으로 임의 치환될 수 있는 화합물.
  67. 제 60 항에 있어서,
    R1-R2, R6, 및 R9-R10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및 R8 이 듀테륨이고;
    R7 이 수소이고;
    R11 이 C1-C6-알킬, 및 C5-C6-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68. 제 60 항에 있어서,
    R1-R2, R6, 및 R9-R10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및 R8 이 듀테륨이고;
    R7 이 수소이고;
    R11 이 메틸인 화합물.
  69. 제 60 항에 있어서,
    R1-R2, R6, 및 R9-R10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및 R8 이 듀테륨이고;
    R7 이 수소이고;
    R11 이 에틸인 화합물.
  70. 제 60 항에 있어서,
    R1-R2, R6, 및 R9-R10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및 R8 이 듀테륨이고;
    R7 이 수소이고;
    R11 이 퍼듀테로에틸인 화합물.
  71. 제 60 항에 있어서,
    R1-R2, R6, 및 R9-R10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및 R8 이 듀테륨이고;
    R7 이 수소이고;
    R11 이 퍼듀테로메틸인 화합물.
  72. 제 60 항에 있어서,
    R1-R2, R6, 및 R8-R10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가 듀테륨이고;
    R7 이 수소이고;
    R11 이 퍼듀테로에틸인 화합물.
  73. 제 60 항에 있어서,
    R1-R2, R6, 및 R8-R10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3-R5 가 듀테륨이고;
    R7 이 수소이고;
    R11 이 퍼듀테로메틸인 화합물.
  74. 제 60 항에 있어서,
    R1-R2 가 듀테륨이고;
    R3-R6 및 R8-R10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 이 수소이고;
    R11 이 퍼듀테로메틸인 화합물.
  75. 제 60 항에 있어서,
    R1-R2 가 듀테륨이고;
    R3-R6 및 R8-R10 이 독립적으로 수소 및 듀테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 이 수소이고;
    R11 이 퍼듀테로에틸인 화합물.
  76. 제 60 항에 있어서, R3-R6 및 R8 중 하나 이상이 독립적으로 약 10% 이상의 듀테륨 풍부화도를 갖는 화합물.
  77. 제 60 항에 있어서, R3-R6 및 R8 중 하나 이상이 독립적으로 약 50% 이상의 듀테륨 풍부화도를 갖는 화합물.
  78. 제 60 항에 있어서, R3-R6 및 R8 중 하나 이상이 독립적으로 약 90% 이상의 듀테륨 풍부화도를 갖는 화합물.
  79. 제 60 항에 있어서, R3-R6 및 R8 중 하나 이상이 독립적으로 약 98% 이상의 듀테륨 풍부화도를 갖는 화합물.
  80.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51

    Figure pct00052

    Figure pct00053

    Figure pct00054

    Figure pct00055

    Figure pct00056

    Figure pct00057

    Figure pct00058

    Figure pct00059

    Figure pct00060

    Figure pct00061
  81. 제 80 항에 있어서, D 로서 나타내는 각 위치가 약 10% 이상의 듀테륨 풍부화도를 갖는 화합물.
  82. 제 80 항에 있어서, D 로서 나타내는 각 위치가 약 50% 이상의 듀테륨 풍부화도를 갖는 화합물.
  83. 제 80 항에 있어서, D 로서 나타내는 각 위치가 약 90% 이상의 듀테륨 풍부화도를 갖는 화합물.
  84. 제 80 항에 있어서, D 로서 나타내는 각 위치가 약 98% 이상의 듀테륨 풍부화도를 갖는 화합물.
  85. 제 80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62
  86. 제 85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63
  87. 제 85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64
  88. 제 85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65
  89. 제 60 항에 있어서, 장애가 저혈압, 기립성 저혈압,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증세성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다중계 위축증 (MSA)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샤이-드레거 증후군 관련 기립성 저혈압,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증 (FAP)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순수 자율신경 부전 (PAF)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특발성 기립성 저혈압, 교감신경긴장성 저혈압, 파킨슨병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투석중 저혈압 (IDH), 혈액투석-야기된 저혈압, 섬유근육통 증후군 (FMS) 관련 저혈압, 척수 외상에 의한 저혈압, 만성 피로 증후군 (CFS) 관련 저혈압, 파킨슨병에 의한 고착 보행, 무동증, 및 구음장애, 루이체 치매, 급속 안구 운동 (REM) 행동 장애, 만성 심부전, 스트레스-관련 장애, 운동 또는 언어 장애, 만성 통증, 뇌졸중, 뇌 허혈증, 비충혈, 기분 장애, 수면 장애, 기면증, 불면증, 주의력 결핍 장애 (ADD), 주의력 결핍 과잉활동 장애 (ADHD), 무취증, 후각 감퇴증, 경도 인지 장애 (MCI), 다운 증후군,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에 의해 야기되는 자세 반사적 이상, 자가면역 자율신경 부전, 가족성 자율신경이상증, 당뇨병성 자율 신경병증, 다발성 골수종에 의한 아밀로이드증, 파킨슨병, 식전 저혈압, 도파민 베타-히드록실라아제 결핍증, 통증, 진행성 핵상 마비, 멘케스병, 가족성 자율신경이상증 (라일리-데이 증후군), PD-관련 자율신경이상증 (자율신경 기능장애), 청소년기의 기립성 조절장애, 신경심장성 (미주신경성) 실신, 자세 기립성 빈맥 증후군 (POTS), 섬유근육통, 이질통, 통각과민, 피로, 수면 방해, 우울증, 만성 기립성 조절장애, 소아 발달 장애, 노르에피네프린 합성 또는 효과 감소를 수반하는 유전병, 다중계 조절 장애, 통증, 신경변성 질환, 인지 기능장애, 후각 장애, 신경내분비 장애, 및 자가면역 장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90. 제 89 항에 있어서, 장애가 기립성 저혈압, 다중계 위축증 (MSA)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샤이-드레거 증후군 관련 기립성 저혈압, 가족성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증 (FAP)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순수 자율신경 부전 (PAF)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특발성 기립성 저혈압, 교감신경긴장성 저혈압, 파킨슨병 관련 신경성 기립성 저혈압, 투석중 저혈압 (IDH), 혈액투석-야기된 저혈압, 섬유근육통 증후군 (FMS) 관련 저혈압, 척수 외상에 의한 저혈압, 및 만성 피로 증후군 (CFS) 관련 저혈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91. 제 89 항에 있어서, 장애가 기립성 저혈압인 화합물.
  92. 제 60 항에 있어서, 장애가 도파민-베타-히드록실라아제 결핍증, 멘케스병, 비타민 C 결핍증, 루이체병, 파킨슨병, 루이체 치매, 순수 자율신경 부전, 가족성 자율신경이상증, 양측 내시경 흉부 교감신경절제 후 병태, 기립성 조절장애, 및 기립성 저혈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93. 제 60 항에 있어서, 추가의 치료제의 투여를 추가로 포함하는 화합물.
  94. 제 93 항에 있어서, 추가의 치료제가 교감신경흥분제, S-알킬이소티오우로늄 유도체,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체력회복제, 정신신경용제, 수축력 증가제, 항저혈압제, L-방향족-아미노산 데카르복실라아제 저해제, 카테콜-O-메틸전이효소 저해제, 모노아민 옥시다아제 저해제, 및 5-HT2A 역 아고니스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95. 제 94 항에 있어서, 교감신경흥분제가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페닐에프린, 도부타민, 도파민, 에페드린, 미도드린, 및 아메지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96. 제 94 항에 있어서, S-알킬이소티오우로늄 유도체가 디페투르 및 이조투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97. 제 94 항에 있어서, 글루코코르티코이드가 히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손, 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및 베타메타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98. 제 94 항에 있어서, 체력회복제가 베메그리드, 카페인, 캄포라, 및 코르디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99. 제 94 항에 있어서, 정신신경용제가 암페타민, 아토목세틴, 부프로피온, 둘록세틴, 메탐페타민, 메틸페니데이트, 레복세틴, 및 벤라팍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100. 제 94 항에 있어서, 수축력 증가제가 강심배당체, 스트로판틴 K, 코르글리콘, 디곡신, 암리논, 및 밀리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101. 제 94 항에 있어서, L-방향족-아미노산 데카르복실라아제 저해제가 벤세라지드, 카르비도파, 메틸도파, 및 α-디플루오로메틸-DOPA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102. 제 94 항에 있어서, 카테콜-O-메틸전이효소 저해제가 엔타카폰, 톨카폰, 및 니테카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103. 제 94 항에 있어서, 모노아민 옥시다아제 저해제가 이소카르복사지드, 이소니아지드, 니알라미드, 페넬진, 트라닐시프로민, 모클로베미드, 피르린돌, 톨록사톤, 라사길린, 및 셀레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104. 제 94 항에 있어서, 5-HT2A 역 아고니스트가 핌바세린인 화합물.
  105. 제 94 항에 있어서, 추가의 치료제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66

    그 혼합물인 화합물.
  106. 제 94 항에 있어서, 추가의 치료제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들의 혼합물인 화합물:
    Figure pct00067
  107. 제 94 항에 있어서, 추가의 치료제가 약 90% 의 하기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68

    약 10% 의 하기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69

    의 혼합물인 화합물.
  108. 제 60 항에 있어서,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과를 추가로 유도하는 화합물:
    f.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상기 화합물 또는 그 대사물의 혈장 수준의 개인간 가변성의 감소;
    g.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상기 화합물의 그 투여 단위 당 평균 혈장 수준의 증가;
    h.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상기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대사물의 그 투여 단위 당 평균 혈장 수준의 감소;
    i.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상기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대사물의 그 투여 단위 당 평균 혈장 수준의 증가;
    e.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대상체의 치료시 상기 화합물의 투여 단위 당 임상 효과의 개선.
  109. 제 60 항에 있어서,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 개 이상의 효과를 추가로 유도하는 화합물:
    f.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상기 화합물 또는 그 대사물의 혈장 수준의 개인간 가변성의 감소;
    g.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상기 화합물의 그 투여 단위 당 평균 혈장 수준의 증가;
    h.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상기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대사물의 그 투여 단위 당 평균 혈장 수준의 감소;
    i.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상기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대사물의 그 투여 단위 당 평균 혈장 수준의 증가;
    e.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대상체의 치료시 상기 화합물의 투여 단위 당 임상 효과의 개선.
  110.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상응하는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대상체에서 하나 이상의 다형체로 발현되는 시토크롬 P450 동형에 의해, 화합물의 그 투여 단위 당 대사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11. 제 110 항에 있어서, 시토크롬 P450 동형이 CYP2C8, CYP2C9, CYP2C19, 및 CYP2D6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112.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그 투여 단위 당 대상체에서의 하나 이상의 시토크롬 P450 또는 모노아민 옥시다아제 동형의 저해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13. 제 112 항에 있어서, 시토크롬 P450 또는 모노아민 옥시다아제 동형이 CYP1A1, CYP1A2, CYP1B1, CYP2A6, CYP2A13, CYP2B6, CYP2C8, CYP2C9, CYP2C18, CYP2C19, CYP2D6, CYP2E1, CYP2G1, CYP2J2, CYP2R1, CYP2S1, CYP3A4, CYP3A5, CYP3A5P1, CYP3A5P2, CYP3A7, CYP4A11, CYP4B1, CYP4F2, CYP4F3, CYP4F8, CYP4F11, CYP4F12, CYP4X1, CYP4Z1, CYP5A1, CYP7A1, CYP7B1, CYP8A1, CYP8B1, CYP11A1, CYP11B1, CYP11B2, CYP17, CYP19, CYP21, CYP24, CYP26A1, CYP26B1, CYP27A1, CYP27B1, CYP39, CYP46, CYP51, MAOA, 및 MAOB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114.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상응하는 비동위원소적으로 풍부화된 화합물과 비교시, 진단적 간담즙 기능 종말점의 유해한 변화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15. 제 114 항에 있어서, 진단적 간담즙 기능 종말점이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ALT"), 세럼 글루타민-피루브 트랜스아미나아제 ("SGPT"),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 ("AST," "SGOT"), ALT/AST 비, 세럼 알돌라아제,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ALP"), 암모니아 수준, 빌리루빈, 감마-글루타밀 트랜스펩티다아제 ("GGTP," "γ-GTP," "GGT"), 류신 아미노펩티다아제 ("LAP"), 간 생검, 간 초음파검사, 간 핵 스캔, 5'-뉴클레오티다아제, 및 혈액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KR1020167003133A 2013-07-08 2014-07-08 디히드록시페닐 신경전달물질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 KR201600419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43549P 2013-07-08 2013-07-08
US61/843,549 2013-07-08
US201462010098P 2014-06-10 2014-06-10
US62/010,098 2014-06-10
PCT/US2014/045731 WO2015006315A1 (en) 2013-07-08 2014-07-08 Dihydroxyphenyl neurotransmitter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912A true KR20160041912A (ko) 2016-04-18

Family

ID=52133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133A KR20160041912A (ko) 2013-07-08 2014-07-08 디히드록시페닐 신경전달물질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5) US20150011630A1 (ko)
EP (2) EP3019467A4 (ko)
JP (1) JP6567515B2 (ko)
KR (1) KR20160041912A (ko)
CN (1) CN105473545B (ko)
AU (2) AU2014287418A1 (ko)
BR (1) BR112016000338A8 (ko)
CA (1) CA2917159C (ko)
CL (1) CL2016000019A1 (ko)
EA (1) EA201600093A1 (ko)
HK (2) HK1216747A1 (ko)
IL (2) IL243488A0 (ko)
MX (1) MX2016000219A (ko)
PE (1) PE20160556A1 (ko)
SG (2) SG11201510764QA (ko)
WO (1) WO20150063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288194B2 (en) * 2016-08-30 2024-03-01 Theravance Biopharma R& D Ip Llc [- 2 (- 6,4,2--trifluorophenoxymethyl) phenyl[piperidine for use in the treatment of neurogenic hypotension on standing
GB2566516A (en) 2017-09-15 2019-03-20 Univ Oxford Innovation Ltd Electrochemical recognition and quantification of cytochrome c oxidase expression in bacteria
GB2571696B (en) 2017-10-09 2020-05-27 Compass Pathways Ltd Large scale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Psilocybin and formulations of Psilocybin so produced
KR20220009955A (ko) 2019-04-17 2022-01-25 컴퍼스 패쓰파인더 리미티드 실로시빈에 의한 우울증 및 기타 다양한 장애의 치료
JP2022553371A (ja) * 2019-10-25 2022-12-22 キュラセン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α1A-AR部分アゴニストを用いて神経障害を治療するための方法
WO2021247963A1 (en) * 2020-06-05 2021-12-09 Senda Biosciences, Inc. (s)-alpha-fluoromethyltyrosine as decarboxylase inhibitor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hypotens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60726D1 (en) 1982-01-14 1985-10-17 Sumitomo Chemical Co Process for producing threo-3-(3,4-dihydroxyphenyl)serine
CA1223602A (en) 1983-05-25 1987-06-30 Naohito Ohashi Process for producing 3-(3,4-dihydroxyphenyl) serine
JP3764179B2 (ja) 1994-07-05 2006-04-05 克寛 西野 運動・意識または言語障害の機能改善剤
DE19619510A1 (de) 1995-05-18 1996-11-21 Sumitomo Chemical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hreo-3-(3,4-dihydroxyphenyl)serin
JP3489319B2 (ja) 1996-03-12 2004-01-19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カルボン酸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用途
JPH115738A (ja) 1997-06-15 1999-01-12 Katsuhiro Nishino 脳虚血に伴う神経脱落症状の予防剤および超急性期治療剤
US6376531B1 (en) * 1998-11-13 2002-04-23 Rupert Charles Bell Method of treatment using deuterium compounds
DE10261807A1 (de) * 2002-12-19 2004-07-01 Turicum Drug Development Ag Deuterierte Catecholaminderivate sowie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WO2005084330A2 (en) 2004-03-02 2005-09-15 Synergia Pharma,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nasal congestion
ME02508B (me) * 2006-02-17 2017-06-20 Ratiopharm Gmbh Deuterisani derivati kateholamina i medikamenti koji obuhvataju pomenuta jedinjenja
US8008285B2 (en) 2007-03-09 2011-08-30 Chelsea Therapeutics, Inc. Droxidopa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fibromyalgia
WO2008112773A2 (en) * 2007-03-12 2008-09-18 Chelsea Therapeutics, Inc. Droxidopa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neurally mediated hypotension
EP2514417A3 (en) 2007-05-07 2013-01-30 Chelsea Therapeutics, Inc. Droxidopa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mood disorders, sleep disorders, or attention deficit disorders
WO2008151179A2 (en) 2007-06-04 2008-12-11 Auspex Pharmaceuticals, Inc. Substituted phenethylamines
US20100172916A1 (en) * 2008-11-10 2010-07-08 Auspex Pharmaceuticals, Inc. Substituted hydroxyphenylamine compounds
WO2010132128A1 (en) 2009-05-14 2010-11-18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ethod of improving cognitve functions in individuals with down syndrome and/or alzheimer's disease
WO2011001976A1 (ja) 2009-07-01 2011-01-06 大日本住友製薬株式会社 スレオ-3-(3,4-ジヒドロキシフェニル)-l-セリンの製造法
JP5880913B2 (ja) 2011-05-17 2016-03-09 三郎 佐古田 パーキンソン病の体幹症状(姿勢反射異常)の治療剤
WO2013142093A1 (en) 2012-03-20 2013-09-26 Chelsea Therapeutics, Inc. Method for the synthesis of droxidop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06315A1 (en) 2015-01-15
PE20160556A1 (es) 2016-06-11
SG11201510764QA (en) 2016-01-28
SG10201800166UA (en) 2018-02-27
EA201600093A1 (ru) 2016-08-31
CN105473545B (zh) 2017-08-04
AU2018253594A1 (en) 2018-11-22
MX2016000219A (es) 2016-05-31
IL243488A0 (en) 2016-02-29
CA2917159C (en) 2022-08-23
EP3019467A1 (en) 2016-05-18
US20170319694A1 (en) 2017-11-09
HK1221713A1 (zh) 2017-06-09
CN105473545A (zh) 2016-04-06
HK1216747A1 (zh) 2016-12-02
JP6567515B2 (ja) 2019-08-28
US20220072131A1 (en) 2022-03-10
IL266767A (en) 2019-07-31
JP2016529228A (ja) 2016-09-23
AU2014287418A1 (en) 2016-01-28
EP3611159B1 (en) 2023-01-25
BR112016000338A8 (pt) 2020-01-07
EP3611159A1 (en) 2020-02-19
US20190374642A1 (en) 2019-12-12
CL2016000019A1 (es) 2016-11-04
US20180280511A1 (en) 2018-10-04
EP3019467A4 (en) 2017-03-15
CA2917159A1 (en) 2015-01-15
BR112016000338A2 (pt) 2017-08-22
US20150011630A1 (en) 2015-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01626A1 (en) 4,6-diaminopyrimidine stimulators of soluble guanylate cyclase
US20220072131A1 (en) Dihydroxyphenyl Neurotransmitter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US20100135956A1 (en) Steroid modulators of progesterone receptor and/or glucocorticoid receptor
US20100291151A1 (en) 1-methylpyrazole modulators of substance p,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adrenergic receptor, and/or 5-ht receptor
WO2016109362A1 (en) Cyclopropanecarboxamide modulators of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US20100143507A1 (en) Carboxylic acid inhibitors of histone deacetylase, gaba transaminase and sodium channel
US20100152283A1 (en) Tetrahydrocannabinol modulators of cannabinoid receptors
US20110257260A1 (en) 3,4-methylenedioxyphenyl inhibitors of gaba aminotransferase and/or gaba reuptake transporter inhibitor
US20100125094A1 (en) Pyrrolidinyl modulators of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s
US20100286124A1 (en) Prop-2-yn-1-amine inhibitors of monoamine oxidase type b
US20100075950A1 (en) Phenylpropanone modulators of dopamine receptor
US20110091459A1 (en) Imidazole modulators of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m3
US20100143287A1 (en) Trifluoromethylphenyl modulators of calcium-sensing receptor
US20100130582A1 (en) Indolinone modulators of dopamine receptor
US20100113405A1 (en) Methylindazole modulators of 5-ht3 receptors
US20100160271A1 (en) Bicyclic modulators of h1 receptors
WO2010080577A2 (en) Oxepine modulators of h1 receptors and/or inhibitors of mast cell degranulation
US20100130617A1 (en) Ethanolamine modulators of nmda receptor and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US20110086847A1 (en) Thiadiazole modulators of beta adrenergic receptor
US20100113478A1 (en) Indolone modulators of 5-ht3 receptor
US20100137332A1 (en) Piperazine modulators of nk-1 receptors
US20100137268A1 (en) Phthalazinone modulators of h1 receptors and/or ltc4 receptors
US20100144880A1 (en) Amino acid inhibitors of plasmin
US20100125067A1 (en) Sulfonamide inhibitors of carbonic anhydrase ii
US20100160338A1 (en) Benzenesulfonamide modulators of alpha-1a adrenergic recep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