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863A -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 - Google Patents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863A
KR20160041863A KR1020160035305A KR20160035305A KR20160041863A KR 20160041863 A KR20160041863 A KR 20160041863A KR 1020160035305 A KR1020160035305 A KR 1020160035305A KR 20160035305 A KR20160035305 A KR 20160035305A KR 20160041863 A KR20160041863 A KR 20160041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joints
bolts
supporting frame
neck pi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3369B1 (ko
Inventor
남희철
이성하
Original Assignee
남희철
이성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희철, 이성하 filed Critical 남희철
Priority to KR1020160035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369B1/ko
Publication of KR20160041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34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two orthogonal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44Multib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의 주요 구성부인 지지대골격이 수개의 관절유닛에 의해 필요한 각도만큼만 꺾이면서 조절된(꺾여진) 각도를 일정한 탄력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인접한 관절유닛 사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지대골격의 길이를 단축시키면서 지지대골격을 전체적으로 오므리면 목베개로 사용하게 하고, 지지대 골격을 펼치면 양측무릎의 외측을 지지하는 무릎지지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상기 관절유닛이 일정각도 범위를 넘어서면 거꾸로 접히지 않게 구성되어서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를 무릎지지대로 사용하고자 지지대골격을 펼쳤을 때 지지대골격이 거꾸로 접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퍼 또는 매직테이프와 같은 개폐수단을 구비한 외피(3)와, 외피(3)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대골격(2)으로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1)가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골격(2)은 한 쌍의 걸림식관절(10)이 힌지식으로 절첩되게 설치되는 수개의 관절유닛(4)과, 인접한 관절유닛(4)의 사이에 간격을 조절하게 연결 설치되는 연결대(20)와, 양측에 설치되는 관절유닛(4)의 외측단부에 설치되는 낫형태로 절곡된 절곡연결대(5)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식관절(10)은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회전몸체(13)의 중앙에 전후방향으로 중앙통공(11)이 형성되고 중앙통공(11)의 방사상 외측 원판면에 크라운 기어(crown gear)형태로 다수의 회전걸림부(12)가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며, 이 회전몸체(13)의 외부면에는 12시 방향에 걸림면을 형성하는 걸림몸체(15)를 형성하되, 이 걸림몸체(15)의 외측 단부에는 연결부(16)가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걸림식관절(10)은 2개가 마주대하게 결합되어 관절유닛(4)을 구성하되, 서로 마주대하는 걸림식관절(10)의 전후방측 회전걸림부(12)가 기어형태로 밀착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서로 통하는 각각의 회전몸체(13)의 중앙통공(11)으로 볼트(19)가 삽입되고 반대편으로 나온 볼트(19)의 나사부에는 스프링(18)을 끼운 상태로 너트(19a)를 체결하여 한 쌍의 걸림식관절(10)이 힌지식으로 절첩되는 관절유닛(4)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Neck pi1low with Knee support fixture}
본 발명은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의 주요 구성부인 지지대골격이 수개의 관절유닛에 의해 필요한 각도만큼만 꺾이면서 조절된(꺾여진) 각도를 일정한 탄력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인접한 관절유닛 사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지대골격의 길이를 단축시키면서 지지대골격을 전체적으로 오므리면 목베개로 사용하게 하고, 지지대 골격을 펼치면 양측무릎의 외측을 지지하는 무릎지지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상기 관절유닛이 일정각도 범위를 넘어서면 거꾸로 접히지 않게 구성되어서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를 무릎지지대로 사용하고자 지지대골격을 펼쳤을 때 지지대골격이 거꾸로 접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무릎지지대에 대하여 특허출원하여 특허등록 제10-1481367호로 등록된 바가 있고, 그 외에도 공개특허 제10-2010-94054호(발명의 명칭 : 무릎오므리개)의 발명과 공개특허 제10-2011-82977호(발명의 명칭 : 휴대용 다리고정기)의 발명이 특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위 3건의 발명은 모두가 무릎의 양측을 지지하여 양측 무릎이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게 지지하는 무릎지지대로만 사용하도록 하는 기능만 있으면서 부피는 커서 상품에 대한 구매력이 낮은 문제와 보관 및 휴대상의 문제가 있었다.
특허등록 제 10-1481367호(발명의 명칭 : 무릎지지대) 공개특허 제10-2010-94054호(발명의 명칭 : 무릎오므리개) 공개특허 제10-2011-82977호(발명의 명칭 : 휴대용 다리고정기)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릎지지대와 목베개를 겸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의 주요 구성부인 지지대골격이 수개(2~3)개의 관절유닛에 의해 필요한 각도만큼만 꺾이면서 조절된(꺾여진) 각도를 일정한 탄력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인접한 관절유닛 사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을 목베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지대골격의 전체길이를 단축시키면서 내측으로 오므려지게 하고, 지지대골격을 펼치면 양측무릎의 외측을 지지하는 무릎지지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무릎지지대로 완전히 펼치게 되면 지지대골격이 거꾸로 접히지 않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퍼 또는 매직테이프와 같은 개폐수단을 구비한 외피와, 외피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대골격으로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가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골격은 한 쌍의 걸림식관절이 힌지식으로 절첩되게 설치되는 수개의 관절유닛과, 인접한 관절유닛의 사이에 간격을 조절하게 연결 설치되는 연결대와, 양측에 설치되는 관절유닛의 외측단부에 설치되는 낫형태로 절곡된 절곡연결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식관절은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회전몸체의 중앙에 전후방향으로 중앙통공이 형성되고 중앙통공의 방사상 외측 원판면에 크라운 기어(crown gear)형태로 다수의 회전걸림부가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며, 이 회전몸체의 외부면에는 12시 방향에 걸림면이 형성되는 걸림몸체를 형성하되, 이 걸림몸체의 외측 단부에는 연결부가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걸림식관절은 2개가 마주대하게 결합되어 관절유닛을 구성하되, 서로 마주대하는 걸림식관절의 전후방측 회전걸림부가 기어형태로 밀착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서로 통하는 각각의 회전몸체의 중앙통공으로 볼트가 삽입되고 반대편으로 나온 볼트의 나사부에는 스프링을 끼운 상태로 너트를 체결하여 한 쌍의 걸림식관절이 힌지식으로 절첩되는 관절유닛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는, 지지대골격의 길이를 단축시키면서 오므리면 목베개로 사용할 수 있고, 지지대골격을 펼치게 되면 무릎지지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내측으로 오므려서 부피를 감축시킬 수 있음에 따라 하나의 제품으로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효과와, 상품에 대한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 그리고,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의 주요 구성부인 지지대골격이 수개(2~3)개의 관절유닛에 의해 필요한 각도만큼만 꺾이되고, 일정각도 범위를 넘어서면 거꾸로 접히지 않게 구성되어서, 본 발명을 무릎지지대로 사용하고자 지지대골격을 펼쳤을 때 지지대골격이 거꾸로 접히지 않아서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도 함께 지니고 있는 것이다.
도 1의 (가)(나)(다)는 본 발명에 따른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가 펼쳐진 상태와 오므려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관절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관절부분의 연결부분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를 학대 도시한 단면도.
도 5의 (가)(나)는 걸림식관절과 연결대의 제1연결 상태와 제2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관절유닛의 다른 실시예와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_에 따른 따른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1)는 지퍼 또는 매직테이프와 같은 개폐수단을 구비한 외피(3)와, 외피(3)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대골격(2)으로 이루어지며, 이 지지대골격(2)은 한 쌍의 걸림식관절(10)이 힌지식으로 절첩되게 설치되는 수개(2 ~3)개의 관절유닛(4)과, 인접한 관절유닛(4)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대(20)와, 양측에 설치되는 관절유닛(4)의 외측단부에 설치되는 낫형태로 절곡된 절곡연결대(5)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식관절(10)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회전몸체(13)의 중앙에 전후방향으로 중앙통공(11)이 형성되고 중앙통공(11)의 방사상 외측 원판면에 크라운 기어(crown gear)형태로 다수의 회전걸림부(12)가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며, 이 회전몸체(13)의 외부면에는 12시 방향에 걸림면이 형성되는 걸림몸체(15)를 형성하되, 이 걸림몸체(15)의 외측 단부에는 연결구멍(17)을 형성한 연결부(16)가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되는 걸림식관절(10)은 2개가 마주대하게 결합되어 관절유닛(4)을 구성하는데, 각각의 걸림식관절(10)에 크라운 기어 형태로 형성된 회전걸림부(12)가 서로 마주대하여 기어형태로 밀착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서로 통하는 각각의 회전몸체(13)의 중앙통공(11)으로 볼트(19)가 삽입되고 반대편으로 나온 볼트(19)의 나사부에는 스프링(18)을 끼운 상태로 너트(19a)를 체결하여 한 쌍의 걸림식관절(10)이 힌지식으로 절첩되는 관절유닛(4)이 구성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관절유닛(4)을 2~3개를 구비한 뒤에 그들의 사이에 연결대(20)를 연결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의 관절유닛(4) 사이에 연결대(20)를 연결 설치하고, 양측 관절유닛(4)의 외측단에 절곡연결대(5)를 설치하는 것으로, 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서로 인접한 관절유닛(4)의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대(20)는 도 1 및 도 5의 (가)와 같이 연결대(20)의 양단부에 수개의 연결구멍(21)을 간격을 두고 형성한 뒤에, 이 연결대(20)의 양단을 걸림식관절(10)의 연결부(16)에 형성된 연결구멍(17)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일치된 연결구멍(21,17)으로 연결핀이나 연결볼트(22)를 끼움 설치하여 연결구멍(21)의 끼움위치에 따라 양측 관절유닛(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양측 관절유닛(4)의 외측에 위치하는 연결부(16)에는 낫형태로 절곡된 절곡연결대(5)를 결합 설치하는데, 이는 절곡연결대(5)와 연결되는 외측 관절유닛(4)의 연결부(16)에 연결구멍(17)을 형성하여 절곡연결대(5)를 끼워 연결핀이나 연결볼트로 끼워서 연결 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연결구멍(17)을 삭제한 뒤에 서로의 연결부를 억지끼움식이나 나사식으로 연결 설치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5의 (나)에 도시된 경우는 연결대(20)를 2개로 분리하여 서로를 끼울 수 있게 하면서 서로 끼워지는 부분에 수개의 연결구멍(21)을 간격을 두고 형성한 뒤에, 그들을 끼웠을 때 서로 일치하는 연결구멍(21)으로 연결핀이나 연결볼트(22)를 끼워 2개로 분리된 2개의 연결대(20)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들 2개가 연결된 연결대(20)의 양단부는 그 와 대응되는 관절유닛(4)의 연결부(16)와 리벳(23)이나 연결볼트 등의 연결부재로 연결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경우는 관절유닛(4)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회전몸체(13)의 마주대하는 원판면에 크라운 기어형태의 회전걸림부(12)를 형성하지 않고, 일측 회전몸체(13a)에는 걸림돌기(25)가 스프링(24)에 의해 탄력적으로 출몰되게 설치되며, 그와 마주대하는 또 다른 회전몸체(13b)에는 걸림돌기(25)의 선단부가 탄력적으로 걸리는 수개의 걸림홈(26)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서로 마주 대하는 한 쌍의 회전몸체(13a,13b)가 핀이나 리벳, 볼트(19)와 같은 연결부재로 결합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관절유닛(4)의 다른 예는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일실시예와는 서로 대면하는 원판면에 크라운 기어형태로 밀착 결합되는 것과, 걸림돌기(25)와 걸림홈(26)이 탄력적으로 걸리도록 된 부분만 다르고 나머지는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외피(3)는 외피 소재자체가 양호한 쿠션을 지닌 두꺼운 시트로 제작 형성하거나, 또는 일반적인 직물지로서 제작하고 그 내부에 스폰지나 베개속, 솜과 같은 충전재를 투입하여 단단한 지지대골격(2)이 직접적으로 신체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밝혀둔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중에서 도 2에 표시된 "14" 는 걸림몸체(15)의 폭을 회전몸체(13)의 폭보다 두 배 넓게 형성하고 회전몸체(13)가 일측으로 치우치게 걸림몸체(15)와 일체로 형성되어서 반대편의 또 다른 걸림식관절(10)의 회전몸체(13)가 동작하는데 걸림이 없이 회전되게 하는 회전공간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가)는 본 발명에 의한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1)를 무릎지지대로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는 양측 관절유닛(4)을 수평하게 펼쳐서 도면상 수평 부분이 사용자의 양측 무릎 위에 얹히고 양측 절곡연결대(5)의 수직부는 양측 무릎의 외측을 지지하여 양측 다리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이렇게 양측 다리의 외측을 양측 절곡연결대(5)의 수직부가 지지함에 따라 무기력하던 다리를 안정되게 지지해주어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무릎지지대의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특허등록된 특허등록 제10-1481367호의 특허명세서 기재되어 있음을 밝힌다.
이와 같은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1)를 무릎지지대로 사용할 때, 사용자의 체격크기에 따라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1)의 수평부 전체길이를 신축 조절할 수 있는데, 연결대의 제1연결 상태(일실시예)는 도 1, 2 및 도 5의 (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대(20)에 수개의 연결구멍(21)이 형성되고 걸림식관절(10)의 연결부(16)에는 1개의 연결구멍(17)이 형성되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연결부(16)와 연결대(20)의 끼움깊이를 조절하면서 서로의 연결구멍(21,17)을 일치시킨 뒤에, 그렇게 일치된 연결구멍(21,17)으로 연결볼트(22)를 끼움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연결대의 제2연결 상태(이실시예)는 도 1, 2 및 도 5의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로 분리된 연결대(20)에 수개의 연결구멍(21)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서로 끼움 되는 2개의 연결대(20)의 끼움깊이를 조절하면서 서로의 연결구멍(21)을 일치시킨 뒤에, 그렇게 일치된 연결구멍(21)으로 연결볼트(22)를 끼움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길이가 조절되게 연결된 연결대(20)의 양단부는 양측 걸림식관절(10)의 연결부(16)에 일정한 위치에 고정 결합되게 되는 것이며, 이렇게 연결대(20)의 길이조절, 즉 양측 관절유닛(4)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때는 외피(3)에 설치된 지퍼나 매직테이프 등의 개폐수단을 개방하여 그 내측에 들어 있는 지지대골격(2)이 노출되게 한 상태에서 필요한 조절작업을 실시해야함은 당연한 것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을 도 1의 (가)와 같이 펼치는 작업은 외피(3)가 유연하므로 외피(3)가 지지대골격(2)을 감싼 상태로 실행할 수 있으며,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1)가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1)가 거꾸로 접히지 않아서 사용상의 불편함은 없게 된다.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1)가 이렇게 거꾸로 접히지 않게 되는 것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몸체(13)의 외주연에는 12시 방향에 걸림면이 형성되는 걸림몸체(15)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면서 서로의 회전걸림부(12)가 마주 대한 상태에서 이런 2개의 걸림식관절(10)의 대칭되게 볼트(19)와 너트(19a)에 의해 중심부가 힌지식으로 결합되어있고, 서로 마주대하는 각각의 걸림식관절(10)의 걸림몸체(15)가 12시 방향에서 접촉한 상태로 걸려서 안쪽으로는 접히지만 반대편, 외측으로는 접히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의 (나)의 경우는 양측 절곡연결대(5)를 안쪽으로 오므리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양측 관절유닛(4) 사이의 간격을 감축하면 본 발명에 의한 목베게 겸용 무릎지지대(1)를 목베개로 사용할 수 있는 경우이다.
위에서 양측 관절유닛(4) 사이의 간격을 감축시키는 것은 본 발명을 목베개로 사용할 때, 양측 무릎 사이의 크기보다 목둘레가 작기 때문이다.
이 경우는 양측 관절유닛(4) 사이의 간격을 감축하는 것은 위에서의 설명한 바와 동일하고, 관절유닛(4)을 안쪽으로 접는 동작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 절곡연결대(5)를 안쪽으로 꺾으면(접으면), 크라운 기어형태로 형성된 회전걸림부(12)가 서로 전후로 물려있고, 서로 맞물린 2개의 회전몸체(13)는 스프링(18)이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19)와 너트(19a)에 의해 결합되어있다.
따라서, 전후방에 위치하면서 서로 대면하는 전후방측 회전걸림부(12)는 서로 기어식으로 맞물려있지만 스프링(18)이 후퇴할 수 있는 간격만큼은 전후방측 회전몸체(13)가 탄력적으로 벌어질 수 있으므로 절곡연결대(5)를 안쪽으로 접는 힘에 의해 전후방측 회전걸림부(12)가 벌어지면서 물림상태가 해제되고, 그 상태로 사용자가 안쪽으로 꺾는 만큼 볼트(19)를 중심으로 안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관절유닛(4)을 안쪽으로 꺾다가 안쪽으로 오므리는 동작을 멈추면, 스프링(18)의 탄력에 의해 전후방측 회전몸체(13)가 서로 면접촉하면서 서로 면접촉하는 면에 형성된 각각의 회전걸림부(12)가 기어식으로 맞물려서 절곡연결대(5)를 꺽은 각도만큼 꺾인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렇게 양측 절곡연결대(5)를 안쪽으로 꺾으면서 오므리면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1)는 하측이 개구된 "C"형태로 형성되어 본 발명을 목베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의 (다)는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1)을 최대로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한 것으로, 이 경우는 휴대가 용이하고, 보관 시 부피를 감축시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경우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걸림식관절을 포함한 관절유닛의 다른 실시예와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경우로서, 이 경우도 도 2, 3, 4에 도시된 일실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한 작용관계가 되는 것이다.
즉, 이 경우도 관절유닛(4)을 꺾으면, 관절유닛(4)을 꺾는 힘에 의해 일측 회전몸체(13a)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걸림돌기(25)가 후방으로 탄력적으로 밀려나면서 반대편 회전몸체(13b)에 형성된 걸림홈(26)에서 이탈하게 되고, 볼트(19)를 중심으로 양측 걸림식관절(10)이 접히다가 꺽는 동작을 멈추면 스프링(24)의 탄력에 의해 걸림돌기(25)가 전방으로 노출되면서 반대편 걸림홈(26)에 걸리면서 절곡연결대(5)를 꺽은 각도만큼 꺾인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1 :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 2 : 지지대골격 3 : 외피
4 : 관절유닛 5 : 절곡연결대 10 : 걸림식관절
11 : 중앙통공 12 : 회전걸림부 13 : 회전몸체
14 : 회전공간부 15 : 걸림몸체 16 : 연결부
17 : 연결구멍 18 : 스프링 19 : 볼트
20 : 연결대 21 : 연결구멍 22 : 연결볼트
23 : 리벳 24 : 스프링 25 : 걸림돌기
26 : 걸림홈

Claims (4)

  1. 지퍼 또는 매직테이프와 같은 개폐수단을 구비한 외피(3)와, 외피(3)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대골격(2)으로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1)가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골격(2)은 한 쌍의 걸림식관절(10)이 힌지식으로 절첩되게 설치되는 수개의 관절유닛(4)과, 인접한 관절유닛(4)의 사이에 간격을 조절하게 연결 설치되는 연결대(20)와, 양측에 설치되는 관절유닛(4)의 외측단부에 설치되는 낫형태로 절곡된 절곡연결대(5)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식관절(10)은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회전몸체(13)의 중앙에 전후방향으로 중앙통공(11)이 형성되고 중앙통공(11)의 방사상 외측 원판면에 크라운 기어(crown gear)형태로 다수의 회전걸림부(12)가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며, 이 회전몸체(13)의 외부면에는 12시 방향에 걸림면이 형성되는 걸림몸체(15)를 형성하되, 이 걸림몸체(15)의 외측 단부에는 연결부(16)가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걸림식관절(10)은 2개가 마주대하게 결합되어 관절유닛(4)을 구성하되, 서로 마주대하는 걸림식관절(10)의 전후방측 회전걸림부(12)가 기어형태로 밀착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서로 통하는 각각의 회전몸체(13)의 중앙통공(11)으로 볼트(19)가 삽입되고 반대편으로 나온 볼트(19)의 나사부에는 스프링(18)을 끼운 상태로 너트(19a)를 체결하여 한 쌍의 걸림식관절(10)이 힌지식으로 절첩되는 관절유닛(4)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
  2. 지퍼 또는 매직테이프와 같은 개폐수단을 구비한 외피(3)와, 외피(3)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대골격(2)으로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1)가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골격(2)은 한 쌍의 걸림식관절(10)이 힌지식으로 절첩되게 설치되는 수개의 관절유닛(4)과, 인접한 관절유닛(4)의 사이에 간격을 조절하게 연결 설치되는 연결대(20)와, 양측에 설치되는 관절유닛(4)의 외측단부에 설치되는 낫형태로 절곡된 절곡연결대(5)를 포함하며,
    상기 관절유닛(4)은 전후방 회전몸체(13a,13b)의 원판면이 서로 전후방으로 면접촉하게 밀착된 상태에서 중심부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 회전몸체(13a)의 외주면에는 12시 방향에 걸림면이 형성되는 걸림몸체(15)가 형성되며, 전방 회전몸체(13a)의 걸림몸체(15)에 대응되는 위치의 후방 회전몸체(13b)에는 전방 회전몸체(13a)의 걸림몸체(15)에 맞닿아 걸리는 걸림몸체(15)가 형성되고,
    전방 회전몸체(13a)의 원판면에는 걸림돌기(25)가 스프링(24)에 의해 탄력적으로 출몰되게 설치되며, 그와 마주대하는 또 다른 회전몸체(13b)에는 걸림돌기(25)의 선단부가 탄력적으로 걸리는 수개의 걸림홈(26)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양측 걸림몸체(15)의 외측 단부에는 연결부(16)가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20)의 양단부에 수개의 연결구멍(21)을 간격을 두고 형성한 뒤에, 이 연결대(20)의 양단을 연결부(16)에 형성된 연결구멍(17)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일치된 연결구멍(21,17)으로 연결핀이나 연결볼트(22)를 끼움 설치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20)는 서로를 끼울 수 있게 2개로 분리되고, 서로 끼워지는 부분에 수개의 연결구멍(21)을 간격을 두고 형성한 뒤에, 그들을 끼웠을 때 서로 일치하는 연결구멍(21)으로 연결볼트(22)를 끼워서 결합하며, 이들 2개가 연결된 연결대(20)의 양단부는 그 와 대응되는 관절유닛(4)의 연결부(16)와 리벳(23)이나 연결볼트 중의 선택된 하나의 부재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
KR1020160035305A 2016-03-22 2016-03-22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 KR101793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305A KR101793369B1 (ko) 2016-03-22 2016-03-22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305A KR101793369B1 (ko) 2016-03-22 2016-03-22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863A true KR20160041863A (ko) 2016-04-18
KR101793369B1 KR101793369B1 (ko) 2017-11-02

Family

ID=5591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305A KR101793369B1 (ko) 2016-03-22 2016-03-22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3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56160A (zh) * 2020-01-21 2021-04-16 宁波甬顺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调节支架及可调式u型枕
CN112656160B (zh) * 2020-01-21 2024-06-07 宁波甬顺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调节支架及可调式u型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221B1 (ko) 2014-03-19 2015-10-02 최성진 다리 교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56160A (zh) * 2020-01-21 2021-04-16 宁波甬顺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调节支架及可调式u型枕
CN112656160B (zh) * 2020-01-21 2024-06-07 宁波甬顺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调节支架及可调式u型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369B1 (ko)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23845B (zh) 可转换为多种使用状态的儿童座椅
JP6753576B2 (ja) 折り畳み式椅子
GB2526430A (en) Joint mechanism and child high chair thereof
JP2009035066A (ja) 幌付折畳式乳母車
JP5797244B2 (ja) 人形体の関節構造
KR101793369B1 (ko) 목베개 겸용 무릎지지대
US2225306A (en) Folding chair
CN104843044A (zh) 折叠式婴儿车及相应婴儿车的睡篮
CN203619160U (zh) 一种便携式折叠婴儿床
FR2797168A3 (fr) Structure de base de lit pliable
JP6886684B2 (ja) 人形の首関節構造
US20040084073A1 (en) Leg assembly for a canopy
WO2013013512A1 (zh) 一种收折结构
JP7264403B2 (ja) マネキン用のドッキング装置
KR200479697Y1 (ko)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한 원터치 테이블
JPH1147059A (ja) 掃除具
CN205625352U (zh) 折叠平床架
CN205136347U (zh) 一种连接设备和通过该连接设备进行折叠的可折叠的椅子
CN205321890U (zh) 一种婴儿餐椅
CN104138165A (zh) 背靠连动机构及儿童座椅
TWM484964U (zh) 具有可調式桌板的桌子
CN219854571U (zh) 可折叠外骨骼
CN209284716U (zh) 一种新型高脚椅
CN209391467U (zh) 折叠摇椅
CN217612697U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跳绳手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