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481A - 광전복합케이블 - Google Patents

광전복합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481A
KR20160041481A KR1020140135510A KR20140135510A KR20160041481A KR 20160041481 A KR20160041481 A KR 20160041481A KR 1020140135510 A KR1020140135510 A KR 1020140135510A KR 20140135510 A KR20140135510 A KR 20140135510A KR 20160041481 A KR20160041481 A KR 20160041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line
optical fiber
twisted pair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2627B1 (ko
Inventor
조용찬
박래혁
김중관
이태훈
정인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5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62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1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22Cables including at least one electrical conductor together with optical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0Metal tubes, e.g. lead shea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3Power cables including electrical control or communication wires

Landscapes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광섬유 유닛과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선 유닛을 동시에 구비하여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꼬임 상선과 광전복합케이블의 포설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광전복합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광전복합케이블 {Optical fiber and power line composite c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전복합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기지국 장비의 제어신호, 이동통신신호, 및 전력을 전달하는 광전복합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의 경우에 통신사 기간국 등에서 기지국으로 통신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의 BTS(Base Transceiver Station)에서 전송된 RF 신호가 기지국 안테나부에 인가되어 전송된다. 또한 사용자의 휴대폰에서 전송된 무선신호는 상기 기지국 안테나에 인가되고 인가된 신호는 TMA(Tower Mount Amplifier)를 거쳐 그 신호세기가 증폭되어 BTS에 수신된다. 이때, 상기 기지국과 TMA, 안테나는 동축 급전선으로 연결된다.
그런데, 상기 동축 급전선은 케이블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신호의 손실(loss)이 커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수십 미터 높이의 타워에 상기 안테나를 설치하는 경우에 지상의 기지국과 상기 안테나를 연결하는 동축 급전선에서 손실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 동축 급전선의 손실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서 인가된 신호가 상기 안테나에서 요구되는 신호의 세기에 도달하지 못하고 감쇄된다. 따라서 동축 급전선의 감쇠량만큼의 신호를 증폭하여야 하고, 이는 추가적인 전력소모를 야기한다. 또한, 휴대폰에서 송신되어 기지국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는 그 신호세기가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손실이 큰 동축 급전선을 사용하여 BTS까지 전달하기 매우 힘들다. 따라서, 안테나의 입력부 측에 상기 감쇄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TMA(Tower Mounted Amplifier)를 설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상기 TMA는 상기 신호를 증폭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전력을 소비하게 되므로, 전체적인 시스템 측면에서 볼 때,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그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이러한 TMA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의 전력소비의 및 유지보수의 비효율적인 단점을 보완한 것이 RRH(Remote Radio Head)이다. RRH는 종래의 BTS에서 RRU(Remote RF Unit)를 분리하여 기지국 타워의 안테나 하부에 배치하고 원격 제어한다.
여기서, RRH에서 RRU가 분리된 기존 BTS의 나머지 부분(즉, BBU(Baseband Unit)과 PSU(Power Supply Unit))과 RRU는 길이당 감쇠가 거의 없는 광유닛 및 전력선 유닛을 포함하는 광전복합 케이블로 연결되어, BBU과 PSU에서 통신 신호는 광전복합 케이블을 구성하는 광유닛을 통해 RRU로 공급되고, 전력은 광전복합 케이블을 구성하는 전력선 유닛을 통해 RRU로 공급된다.
이러한, RRU는 기지국 타워 상단에 기지국 안테나 바로 아래 설치될 수 있으므로, RRU에 의하여 RF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안테나로 공급하기 위한 동축 급전선의 길이는 최소화되어 동축선을 통한 RF 신호 전송시 발생되는 RF 신호 감쇠가 문제되지 않으므로, 방사 직전까지의 신호의 감쇠량이 최소화되고, 기존 많은 소비전력을 사용하던 TMA의 필요성이 없어졌다. 이러한 기술적 특징은 기지국의 유지보수적인 측면에서 RRH의 특장점이 되었다.
RRH에서 RRU는 BBU와 이격되어 기지국 타워 상단에 기지국 안테나 바로 아래 설치되므로, 전원공급 이상 등 기타 여러가지 원인으로 RRU가 정상 동작하지 않을 경우 RRU의 상태를 파악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비하여 RRU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신호 전송 선로가 요구되며, 일반적으로 꼬임 쌍선이 상기 신호 전송 매체로 사용된다.
상기 꼬임 상선은 RRH 시스템에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과 함께 추가적으로 포설되어야 하므로 시공 시간 및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꼬임 상선은 야외에 설치되는 특성상 외부로부터의 수분, 온도 등에 의한 성능 열화가 있을 수 있으며 물리적 충격에 의한 단선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광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광섬유 유닛과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선 유닛을 동시에 구비하여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꼬임 상선과 광전복합케이블의 포설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광전복합케이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 장비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갖는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이동통신신호 및 전력을 전달하는 광전복합케이블에 있어서, 도체 및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체를 구비하며, 상기 전력을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선 유닛;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를 수용하는 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통신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유닛; 상기 전력선 유닛과 상기 광섬유 유닛을 감싸는 금속보호층; 상기 금속보호층 외부에 형성된 외부피복층; 및 서로 이웃하는 전력선 유닛들 사이에 분산 배치되는 복수 개의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 을 구비하며,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은 상기 기지국 장비의 정상 작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알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유닛들은 상기 광섬유 유닛의 외주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들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전력선 유닛들과 상기 금속 보호층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들 각각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은 서로 이웃하는 전력선 유닛들의 공통 외접선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유닛들은 서로 외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유닛과 상기 광섬유 유닛은 직경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보호층은 주름산과 주름골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유닛들이 상기 광섬유 유닛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케이블 코어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케이블 코어의 외경을 Dc, 상기 주름산의 내경을 Do, 상기 주름골의 내경을 Di 라 할 때, Di < Dc ≤ Do 의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코어의 빈공간에 충진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장비가 RRU(remote radio unit)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은 상기 RRU에 연결되고, 접점 방식에 의해 상기 RRU의 정상 작동 유무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장비가 TMA(Tower Mounted Amplifier)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은 상기 RRU에 연결되고, 상기 TMA의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 장비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갖는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이동통신신호 및 전력을 전달하는 광전복합케이블에 있어서, 도체 및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체를 구비하며, 상기 전력을 전송하는 복수 개의 전력선 유닛;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를 수용하는 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통신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유닛; 상기 전력선 유닛과 상기 광섬유 유닛을 감싸는 금속보호층; 및 상기 기지국 장비의 정상 작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알람 신호를 전송하는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 을 구비하며,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은 서로 이웃하는 전력선 유닛들 사이,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전력선 유닛과 상기 광섬유 유닛 사이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중심인장선을 더 구비하며, 상기 중심인장선을 중심으로 상기 전력선 유닛들과 상기 광섬유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들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전력선 유닛들과 상기 금속 보호층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들,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전력선 유닛, 상기 광섬유 유닛, 상기 금속 보호층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들 각각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전력선 유닛들의 공통 외접선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전력선 유닛과 상기 광섬유 유닛의 공통 외접선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유닛들과 상기 광섬유 유닛은 서로 외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유닛은 상기 광섬유 유닛과 직경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보호층은 주름산과 주름골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심인장선을 중심으로 상기 전력선 유닛들과 상기 광섬유 유닛이 상기 중심인장선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케이블 코어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케이블 코어의 외경을 Dc, 상기 주름산의 내경을 Do, 상기 주름골의 내경을 Di 라 할 때, Di < Dc ≤ Do 의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코어의 빈공간에 충진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장비가 RRU(remote radio unit)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은 상기 RRU에 연결되고, 접점 방식에 의해 상기 RRU의 정상 작동 유무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장비가 TMA(Tower Mounted Amplifier)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은 상기 RRU에 연결되고, 상기 TMA의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광섬유 유닛,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선 유닛, 및 기지국 장비의 작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신호를 전송하는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을 동시에 구비하여 종래의 동축 급전선로의 손실을 방지하여 전체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케이블 포설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외력으로부터 광섬유 유닛,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 및 전력선 유닛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름관 형태의 금속 보호층을 구비하며, 상기 주름관의 내경을 내측의 케이블 코어 외경보다 작도록 구성하여, 상기 금속 보호층에 의해 내측의 케이블 코어를 고정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을 타워 등과 같이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케이블 코어가 중력에 의해 아래방향으로 빠져서 이동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을 구비한 이동통신 기지국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전복합케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광전복합케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광전복합케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2에 도시된 금속보호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2에 도시된 케이블 코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2에 도시된 전력선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을 구비한 이동통신 기지국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광전복합케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광전복합케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100)을 구비한 이동통신 기지국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종래의 TMA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의 전력소비의 및 유지보수의 비효율적인 단점을 보완한 것이 RRU(Remote Radio Unit)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RRU를 구비한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은 통신사 기간국 또는 사용자의 휴대폰과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며, 전력공급원(예를 들어, 한국전력)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10), 상기 기지국(10)과 원격무선유닛(Remote Radio Unit, RRU)(40)을 광학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광전복합케이블(100),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에서 광섬유 유닛과 전력선 유닛을 분리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실외 종단처리함(outdoor terminal)(이하, '터미널박스(terminal box)'라 함)(70), 상기 광전 터미널 박스(70)에서 분리된 광섬유 유닛 및 전력선 유닛으로부터 광신호 및 전력을 전송받거나 또는 상기 터미널 박스(70)에서 분리된 광섬유 유닛으로 광신호를 전송하는 원격무선유닛(40), 상기 원격무선유닛(40)으로부터 무선 통신신호를 전송받거나 또는 상기 원격무선유닛(40)으로 무선 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안테나(20)를 포함할 수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광섬유를 구비한 광섬유 유닛은 동축 케이블과 비교하여 케이블의 길이에 따른 신호 손실이 상대적으로 매우 작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광신호를 광섬유에 의해 안테나의 입력부까지 최대한 인접하여 전달하게 되면, 신호의 감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원격무선유닛(40)은 안테나 입력단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광섬유를 통해 전달된 광신호를 안테나에서 방사가 가능한 RF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안테나에 인가되는 신호의 손실에 의한 감쇄량이 최소로 줄게 되며, 종래의 많은 전력을 소비하던 TMA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100)은 기지국(10)에서 원격무선유닛(40)까지 연결되어 광섬유를 구비한 광섬유 유닛(130)과, 원격무선유닛(40)에 인가되는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선 유닛(110)을 동시에 구비한 하이브리드(hybrid) 형태의 케이블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광전복합케이블(100)을 사용하게 되면, 광섬유 유닛과 전력선 유닛을 분리한 구조에 비해 안테나가 구비된 타워에서 설치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며, 복수의 원격무선유닛(40)을 단일 터미널 박스(70)에 의해 연결하게 되므로 설치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100)은 광섬유 유닛(130) 및 전력선 유닛(110)과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을 동시에 구비할 수 있으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은 원격무선유닛(40)이 정상으로 작동하는 여부를 BBU(10)에 알릴 수 있다. 즉,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은 원격무선유닛(40)과 연결되어 접점 방식의 알람 신호를 BBU(10)에 전송할 수 있다. 원격무선유닛(40)이 정상 작동할 경우에는 알람 신호가 BBU(10)에 전송되지 않으나, 원격무선유닛(40)의 작동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접점 방식의 알람 신호가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을 통해 BBU(10)에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 타워 상단에 위치하는 안테나 하부에 배치되는 원격무선유닛(40)의 작동 유무를 기지국 타워의 하단에 위치하는 BBU(10)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광섬유 유닛(130), 전력선 유닛(110), 및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을 동시에 구비한 광전복합케이블(100)을 사용하게 되면, 이들이 서로 분리된 구조에 비해 안테나가 구비된 타워에서 설치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며, 설치 비용 설치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광섬유 유닛(130) 및 전력선 유닛(110)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이 광전복합케이블(100) 내에 포함되므로 외부 환경적인 요인으로부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을 보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광전복합케이블(100)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전복합케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광전복합케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광전복합케이블(100)은 케이블 코어(105)와 상기 케이블 코어(105)를 감싸는 외피층(15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코어(105)는 전력을 공급하는 복수의 전력선 유닛(110), 광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광섬유 유닛(130), 및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코어(105)는 상기 복수의 전력선 유닛(110), 광섬유 유닛(130), 및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 사이의 간극을 메우며 그 외주가 원형 형상을 가지는 충진재(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피층(150)은 상기 케이블 코어(105)를 감싸도록 주름산(152A)과 주름골(152B)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주름(152)이 형성된 금속보호층(151)을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케이블 코어(105)는 상기 케이블 코어(105)의 외주를 감싸는 부직포 테이프(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 전력선 유닛(110)은 도체(113) 및 상기 도체(113)를 감싸는 절연체(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선 유닛(110)은 일반 전력용으로 이용되는 규격에 준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도체(113)는 서로 꼬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113)는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체(115)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염화비닐 등의 고분자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섬유 유닛(130)은 광신호의 전송을 위한 광섬유를 포함하는 어떠한 형태로든 구성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적어도 1심 이상의 광섬유(133)와, 상기 광섬유(133)를 수용하는 튜브(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135)는 예를 들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튜브(135) 내에는 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젤리가 충진되거나, 아라미드 얀(aramid yarn)과 같은 인장재(137)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인장재(137)는 인장력이 뛰어나고 유연하여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은 도체와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전송 선로 두 가닥이 서로 꼬인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은 서로 이웃하는 전력선 유닛들(110) 사이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들(160) 각각이 전력선 유닛들(1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외형을 원형으로 유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은 서로 이웃하는 전력선 유닛들(110)의 공통 외접선(L)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은 상기 공통 외접선(L)과 서로 이웃하는 전력선 유닛들(110)의 외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이 상기 공통 외접선(L)에 배치됨으로써 금속보호층(151)으로부터 가능하면 멀리 이격되는바, 외부로부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외부 충격으로 인한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의 단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최외곽에 구비된 외피층(150)은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광전복합케이블(100)에 포함된 광섬유 유닛(130), 전력선 유닛(110), 및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피층(150)은 케이블 코어(105)에 내접하며, 상기 케이블 코어(105)를 원형 형태로 둘러싸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케이블 코어(105)를 보호하는 금속보호층(151) 및 상기 금속보호층(151)을 둘러싸는 외부 피복층(1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보호층(151)은 주름산(152A)과 주름골(152B)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주름진(corrugated) 형태로서 알루미늄 등의 금속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보호층(151)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광섬유 유닛, 전력선 유닛, 및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을 포함하는 케이블 코어와 함께 플레이트 타입의 금속판재를 공급하고, 상기 금속판재를 말아서 케이블 코어의 외부를 감싸도록 성형한 후, 맞닿은 금속판재의 양단부를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합하여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 형태로 제작한다. 이어서, 상기 파이프의 외부로 주름을 형성하도록 소정간격으로 프레싱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주름골(152B)의 내경(Di)과 상기 케이블 코어(105)의 외경(Dc) 사이의 관계가 중요한바,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살펴본다.
그런데, 만약 주름이 없거나, 미리 주름이 형성된 테이프 형상의 금속보호층으로 케이블 코어를 감싸도록 형성한 광전복합케이블을 사용할 경우에는 케이블을 수직으로 설치할 경우 종래와 같이 케이블코어가 고정되지 않고 이동하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보호층은 케이블 코어를 꽉 잡아서 고정할 수 있도록 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피복층(155)은 난연 특성이 있고 친환경적인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피복층(155)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코어(105)는 상기 케이블 코어(105)의 외주를 감싸며 상기 전력선 유닛(110)과 광섬유 유닛(130)을 원형 형태로 둘러싸는 부직포 테이프(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테이프는 압축부직포로 내부의 광섬유 유닛 및 전력선 유닛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부직포 테이프는 테이프 형태의 자재를 횡권하거나 종첨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에서 상기 케이블 코어(105) 내의 공극은 충진재(120)로 매워질 수 있다. 즉, 상기 전력선 유닛(110)은 원형의 형태를 가지게 되므로, 이웃한 전력선 유닛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전체 외형이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외부에서 작용하는 휘어짐 또는 충격 등에 취약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 코어(105) 내의 공극을 충진재(120)로 채우고, 상기 충진재(120)의 외형을 원형으로 유지하여 외부에서 작용하는 충격 등에 견딜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광전복합케이블(100)은 그 내부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케이블 코어(105)의 내부에 복수 개의 광섬유 유닛(130)이 배치되고, 상기 광섬유 유닛(130)의 외주를 따라 상기 전력선 유닛들(110)이 배치됨을 알 수 있다. 광섬유 유닛(130)과 전력선 유닛(110)을 비교해 보면, 광섬유 유닛(130)에 구비된 광섬유(133)가 벤딩 또는 단선 등에 상대적으로 더 취약하므로, 광섬유 유닛(130)을 내측에 구비하여 보호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전력선 유닛(110)과 광섬유 유닛(130) 사이에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 유닛(130)을 감싸며 보호하는 보호층(1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중앙부에는 광전복합케이블(100)이 필요 이상으로 꺾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심인장선(14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심인장선(145)은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광전복합케이블(100)에 굽힘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이에 반발하는 반발력을 제공함으로써, 광전복합케이블(100)이 필요 이상으로 꺾이는 것을 방지하며, 온도 변화에 따른 튜브의 수축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해 광섬유 유닛(1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광전복합케이블(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술한 도 2의 설명과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도시하였으며,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도 4 및 5에 도시된 광전복합케이블(50)은 두 개의 전력선 유닛(110), 한 개의 광섬유 유닛(130), 및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 및 5에 도시된 광전복합케이블(50)은 전력선 유닛(110)들과 광섬유 유닛(130)이 중심인장선(145)을 중심으로 그 외주를 따라 배치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도 2의 광전복합케이블(100)과 차이가 있다. 또한,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들(160) 각각이 전력선 유닛들(110) 사이에 그리고 전력선 유닛(110)과 광섬유 유닛(130) 사이에 분산 배치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도 2의 광전복합케이블(100)과 차이가 있다.
도 4 및 5에 도시된 광전복합케이블(50)은 도 1에 도시된 터미널 박스(70)와 원격무선유닛(40) 사이를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광전복합케이블(50)의 두 개의 전력선 유닛(110)은 원격무선유닛(40)에 전력을 전송하며, 광섬유 유닛(110은 원격무선유닛(40)에 RF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은 접점 알람 방식으로 원격무선유닛(40)의 정상 동작 상태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를 BBU(10)에 전송할 수 있다.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은 서로 이웃하는 전력선 유닛들(110) 사이 및 서로 이웃하는 전력선 유닛(110)과 광섬유 유닛(130) 사이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광전복합케이블(100, 50)은 기본적으로 안테나가 구비된 타워를 따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나아가 내부에 중량이 큰 전력전송용 구리도체를 포함하게 되므로, 본 발명자는 내부의 광섬유 유닛과 전력선 유닛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만약, 주름이 없거나, 미리 주름이 형성된 테이프 형상의 금속보호층에 의해 케이블 코어를 감싸도록 형성한 광전복합케이블을 사용할 경우에는 케이블을 수직으로 설치할 경우 종래와 같이 케이블코어가 고정되지 않고 이동하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광전복합케이블을 타워를 따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하는 경우에 전력선 유닛 또는 광섬유 유닛이 자체 중량에 의해 광전복합케이블의 외피층에서 분리된다면, 광전복합케이블의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을 복구하는 공정 등이 필요하게 되어 작업의 능률을 현저히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광전복합케이블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a는 도 2에 도시된 광전복합케이블(100)의 금속보호층(151)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6b는 도 2에 도시된 광전복합케이블(100)에서 금속보호층(151) 및 외부피복층(155)이 제거된 케이블 코어(105)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금속보호층(151)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의 파이프 형태로 제공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물결 모양의 주름산(152A)과 주름골(152B)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주름(152)이 형성된다. 상기 도 6a 및 도 6b와 같은 상태에서 금속보호층(151)이 케이블 코어(105)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금속보호층(151)의 주름산(152A)의 내경(Do)과 주름골(152B)의 내경(Di)과,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케이블 코어(105)의 외경(Dc)과의 관계가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만약, 주름골(152B)의 내경(Di)이 케이블 코어(105)의 외경(Dc)에 비해 더 크거나, 또는 동일한 치수로 결정된다면 주름골(152B)에 의해 상기 케이블 코어(105)를 고정하는 효과는 매우 적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 코어(105)의 내부에 위치한 전력선 유닛(110)과 광섬유 유닛(130)도 마찬가지로 고정되지 않고,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을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전력선 유닛(110), 광섬유 유닛(130), 및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이 외피층에서 이동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100)은 상기 금속보호층(151)의 주름골(152B)의 내경(Di)이 케이블 코어(105)의 외경(Dc) 보다 더 작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름산(152A)의 내경(Do)은 상기 케이블 코어(105')의 외경(Dc) 이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주름산(152A)의 내경은 상기 케이블 코어(105)의 외경(Dc)과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결국, 상기 금속보호층(151)의 주름산(152A)의 내경(Do)과 주름골(152B)의 내경(Di)과,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케이블 코어(105)의 외경(Dc)과의 관계는 하기와 같이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결국, 상기 금속보호층(151)의 주름산(152A) 및 주름골(152B)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주름골(152A)의 내경(Di)이 케이블 코어(105)의 외경(Dc)보다 작도록 결정되고, 상기 주름산(152A)의 내경(Do)은 상기 케이블 코어(105)의 외경(Dc) 이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금속보호층(151)의 주름골(152B) 형상에 의해 상기 케이블 코어(105)의 내측에 배치된 전력선 유닛(110), 광섬유 유닛(130), 및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금속보호층(151)의 주름골(152B)의 내경(Di)을 케이블 코어(105)의 외경(Dc)에 비해 작게 하면, 상기 주름골(152)이 상기 케이블 코어(105)를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케이블 코어(105)의 전력선 유닛(110)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금속보호층(151)의 주름골(152B)의 내경(Di)은 상기 전력선 유닛(11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결정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상기 케이블 코어(105) 또는 전력선 유닛(110)이 상기 금속보호층(15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선 유닛(110)은 중앙부의 도체(113)와 상기 도체(113)를 감싸는 절연체(115)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금속보호층(151)의 주름골(152B)에 의해 가압하는 경우에 상기 금속보호층(151)의 주름골(152B)이 상기 전력선 유닛(110)의 절연체(115)의 두께(Tp, 도 6c 참조) 이상으로 가압을 하게 되면 상기 전력선 유닛(110)이 손상될 수 있다. 나아가, 도 2와 같이 전력선 유닛(110)이 광섬유 유닛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경우에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전력선 유닛(110)이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름골(152B)은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배치된 2개의 전력선 유닛(110)의 절연체(115) 두께 이상으로 가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주름골(152B)의 내경(Di)은 하기 [수학식 2]과 같은 조건을 더 만족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한편,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전복합케이블(100)은 BBU(10)에서 터미널 박스(70)를 거쳐 원격무선유닛(40)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광전복합케이블(100)은 상기 터미널 박스(70)에서 전력선 유닛(110), 광섬유 유닛(130), 및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이 분기되어, 각 안테나(20)의 원격무선유닛(40)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미널 박스(70)의 내측에서 하나의 광섬유 유닛(130), 한 쌍의 전력선 유닛(110), 및 하나의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이 하나의 조합을 형성하고, 상기 조합에 따른 연결 케이블이 전술한 원격무선유닛(40)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터미널 박스(70)와 원격무선유닛(40)은 도 4에 도시된 광전복합케이블(50)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전력선 유닛(110), 하나의 광섬유 유닛(130), 및 복수 개의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으로 이루어진 광전복합케이블(50)으로 터미널 박스(70)와 원격무선유닛(40)이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200)을 구비한 이동통신 기지국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이동통신 기지국은 원격무선유닛(60) 뿐만 아니라 TMA도 함께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기지국과 차이가 있다. 즉, 새롭게 이동통신 기지국을 세우는 경우 또는 3세대나 4세대 이동통신을 중계하는 기지국인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의 BBU(10)에서 하나의 광전복합케이블(100)이 터미널 박스(70)까지 포설되고 터미널 박스(70)에서 광전복합케이블(100)이 다른 광전복합케이블(50)로 분기되어 안테나(20) 하부에 위치하는 원격무선유닛(4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2세대 또는 3세대 이동통신을 위해 BTS(10'), TMA(60), 및 이들을 연결하는 동축케이블(300)을 사용하여 건립된 기지국이 있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기지국 시스템을 활용하여 새로운 통신 방식인 3세대나 4세대 이동통신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이미 BTS(10'), TMA(60), 및 이들을 연결하는 동축케이블(300)로 이루어진 기지국 타워에 새로운 안테나(20)와 원격무선유닛(40),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광전복합케이블(200)을 추가할 수 있다.
원격무선유닛(40)과 안테나(20) 사이의 거리가 상당한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무선유닛(40)과 안테나(20)에 TMA(60)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으며, TMA(60)는 원격무선유닛(40)에서 안테나(20)로 전송되는 신호의 세기를 증폭시킬 수 있다.
이 경우, BBU(10)와 원격무선유닛(40)을 연결하는 광전복합케이블(20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광전복합케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광전복합케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광전복합케이블(200)은 한 쌍의 전력선 유닛(110), 두 개의 광섬유 유닛(130), 및 4개의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전력선 유닛(110)은 원격무선유닛(40)에 전력을 공급하며, 광섬유 유닛(130)은 원격무선유닛(40)에 RF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두 개의 광섬유 유닛(130) 중 하나는 예비용일 수 있다.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접점 알람을 통해 원격무선유닛(40)의 정상 동작 유무 신호를 BBU(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160)은 TMA(60)와도 연결되어 TMA(6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광섬유 유닛,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선 유닛, 및 기지국 장비의 작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신호를 전송하는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을 동시에 구비하여 종래의 동축 급전선로의 손실을 방지하여 전체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케이블 포설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외력으로부터 광섬유 유닛,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 및 전력선 유닛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은 주름관 형태의 금속 보호층을 구비하며, 상기 주름관의 내경을 내측의 케이블 코어 외경보다 작도록 구성하여, 상기 금속 보호층에 의해 내측의 케이블 코어를 고정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을 타워 등과 같이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케이블 코어가 중력에 의해 아래방향으로 빠져서 이동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광전복합케이블
105..케이블 코어
110..전력선 유닛
113..도체
115..절연체
130..광섬유 유닛
133..광섬유
135..튜브
137..인장재
200..터미널 박스

Claims (23)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 장비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갖는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이동통신신호 및 전력을 전달하는 광전복합케이블에 있어서,
    도체 및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체를 구비하며, 상기 전력을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선 유닛;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를 수용하는 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통신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유닛;
    상기 전력선 유닛과 상기 광섬유 유닛을 감싸는 금속보호층;
    상기 금속보호층 외부에 형성된 외부피복층; 및
    서로 이웃하는 전력선 유닛들 사이에 분산 배치되는 복수 개의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 을 구비하며,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은 상기 기지국 장비의 정상 작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알람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유닛들은 상기 광섬유 유닛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들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전력선 유닛들과 상기 금속 보호층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들 각각에 분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은 서로 이웃하는 전력선 유닛들의 공통 외접선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유닛들은 서로 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유닛과 상기 광섬유 유닛은 직경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보호층은 주름산과 주름골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유닛들이 상기 광섬유 유닛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케이블 코어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케이블 코어의 외경을 Dc, 상기 주름산의 내경을 Do, 상기 주름골의 내경을 Di 라 할 때,
    Di < Dc ≤ Do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코어의 빈공간에 충진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장비가 원격무선유닛(remote radio unit)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은 상기 원격무선유닛에 연결되고, 접점 알람 방식에 의해 상기 원격무선유닛의 정상 작동 유무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장비가 TMA(Tower Mounted Amplifier)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은 상기 원격무선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TMA의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광전복합케이블.
  12.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 장비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갖는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이동통신신호 및 전력을 전달하는 광전복합케이블에 있어서,
    도체 및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체를 구비하며, 상기 전력을 전송하는 복수 개의 전력선 유닛;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를 수용하는 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통신신호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유닛;
    상기 전력선 유닛과 상기 광섬유 유닛을 감싸는 금속보호층; 및
    상기 기지국 장비의 정상 작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알람 신호를 전송하는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 을 구비하며,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은 서로 이웃하는 전력선 유닛들 사이,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전력선 유닛과 상기 광섬유 유닛 사이에 분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중심인장선을 더 구비하며,
    상기 중심인장선을 중심으로 상기 전력선 유닛들과 상기 광섬유 유닛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들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전력선 유닛들과 상기 금속 보호층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들,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전력선 유닛, 상기 광섬유 유닛, 상기 금속 보호층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들 각각에 분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전력선 유닛들의 공통 외접선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전력선 유닛과 상기 광섬유 유닛의 공통 외접선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유닛들과 상기 광섬유 유닛은 서로 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유닛은 상기 광섬유 유닛과 직경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보호층은 주름산과 주름골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인장선을 중심으로 상기 전력선 유닛들과 상기 광섬유 유닛이 상기 중심인장선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케이블 코어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케이블 코어의 외경을 Dc, 상기 주름산의 내경을 Do, 상기 주름골의 내경을 Di 라 할 때,
    Di < Dc ≤ Do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
  2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코어의 빈공간에 충진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장비가 원격무선유닛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은 상기 원격무선유닛에 연결되고, 접점 알람 방식에 의해 상기 원격무선유닛의 정상 작동 유무를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
  2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장비가 TMA(Tower Mounted Amplifier)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트위스티드 페어 유닛은 상기 원격무선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TMA의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광전복합케이블.
KR1020140135510A 2014-10-08 2014-10-08 광전복합케이블 KR102292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510A KR102292627B1 (ko) 2014-10-08 2014-10-08 광전복합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510A KR102292627B1 (ko) 2014-10-08 2014-10-08 광전복합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481A true KR20160041481A (ko) 2016-04-18
KR102292627B1 KR102292627B1 (ko) 2021-08-20

Family

ID=55916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510A KR102292627B1 (ko) 2014-10-08 2014-10-08 광전복합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6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41936A1 (en) * 2020-02-04 2021-08-05 Structured Home Wiring Direct, LLC Composite Hybrid Cab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7701A (ja) * 2002-01-16 2003-07-25 Mitsubishi Cable Ind Ltd 複合通信ケーブル
JP2004014263A (ja) * 2002-06-06 2004-01-15 Sumitomo Electric Ind Ltd テンションメンバ、これを用いたケーブル及びhdtv方式カメラ用ケーブル
US20080037941A1 (en) * 2006-06-02 2008-02-14 Mallya Arvind R Hybrid cables for communication networks
JP2011165575A (ja) * 2010-02-12 2011-08-25 Hitachi Cable Ltd 高電圧キャブタイヤケーブル
KR20130022044A (ko) * 2011-08-24 2013-03-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전 복합케이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7701A (ja) * 2002-01-16 2003-07-25 Mitsubishi Cable Ind Ltd 複合通信ケーブル
JP2004014263A (ja) * 2002-06-06 2004-01-15 Sumitomo Electric Ind Ltd テンションメンバ、これを用いたケーブル及びhdtv方式カメラ用ケーブル
US20080037941A1 (en) * 2006-06-02 2008-02-14 Mallya Arvind R Hybrid cables for communication networks
JP2011165575A (ja) * 2010-02-12 2011-08-25 Hitachi Cable Ltd 高電圧キャブタイヤケーブル
KR20130022044A (ko) * 2011-08-24 2013-03-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전 복합케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41936A1 (en) * 2020-02-04 2021-08-05 Structured Home Wiring Direct, LLC Composite Hybrid Cab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the Same
US11823817B2 (en) * 2020-02-04 2023-11-21 Structured Home Wiring Direct, LLC Composite hybrid cab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627B1 (ko) 202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102B1 (ko)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KR102497929B1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및 광전복합 케이블
US9099216B2 (en) Optical fiber and power line composite cable
KR20160041478A (ko) 광전복합케이블
AU2013101266A4 (en) Cable
CN101887781B (zh) 自承式防雷光电缆
AU2020202794B2 (en) Terminal box for optical fiber and power line composite cable and terminal box system
KR101965011B1 (ko) 광전복합 케이블 및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KR102524182B1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KR102547076B1 (ko) 광전복합 케이블의 말단 접속 구조체
KR20160041481A (ko) 광전복합케이블
CN112217036B (zh) 同轴电缆组件
KR102526856B1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및 광전복합 터미널박스 시스템
KR20190076932A (ko) 광전복합케이블
CN101887782B (zh) 防雷光电缆
KR102221902B1 (ko)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KR102051973B1 (ko) 광전복합케이블
KR20200134962A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KR20240043086A (ko)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및 광전복합 터미널박스 시스템
KR102480195B1 (ko) 누설동축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누설동축케이블 양단 급전시스템
KR20220103359A (ko)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
CN103221857A (zh) 包括至少一个光纤和装配设备的组件
KR20190086165A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하는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