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182B1 -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182B1
KR102524182B1 KR1020180004371A KR20180004371A KR102524182B1 KR 102524182 B1 KR102524182 B1 KR 102524182B1 KR 1020180004371 A KR1020180004371 A KR 1020180004371A KR 20180004371 A KR20180004371 A KR 20180004371A KR 102524182 B1 KR102524182 B1 KR 102524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erminal box
connection
composite cab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6163A (ko
Inventor
진성수
신상식
이태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4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182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02B6/4447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with divided sh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5Cables for special applications
    • G02B6/4416Heterogeneous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22Cables including at least one electrical conductor together with optical fib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7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multiconductor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에서의 광전복합 케이블 및 점퍼 케이블 간의 접속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Terminal Box System For Optical Fiber and Power Line Composite Cable}
본 발명은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지국에서 터미널박스와 광전복합 케이블 간의 접속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의 경우, 통신사 기간국 등에서 기지국으로 통신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의 BTS(Base Transceiver Station)에서 전송된 RF 신호가 기지국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전송된다. 또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송된 무선신호는 상기 기지국 안테나에 수신되고 수신된 신호는 TMA(Tower Mount Amplifier)를 통하여 증폭되어 BTS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기지국의 BTS, TMA 및 안테나는 동축 급전선으로 연결되었으나, 상기 동축 급전선은 케이블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신호의 손실(loss)이 크다. 수십 미터 높이의 타워에 상기 안테나를 설치하는 경우에 지상의 기지국과 상기 안테나를 연결하는 동축 급전선에서 손실이 증가하게 되며, 상기 동축 급전선의 신호 손실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서 제공된 신호가 상기 안테나에서 요구되는 신호의 세기에 도달하지 못하고 감쇄되므로, 이를 보상하여 증폭하기 위하여, TMA(Tower Mounted Amplifier)가 설치된다.
하지만, 상기 TMA는 상기 신호를 증폭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전력을 소비하게 되므로, 전체적인 시스템 측면에서 볼 때,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그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한편, FTTx(Fiber to the X)의 진화와 중계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기지국 설비도 진화되고 있다. 이중에서 광유닛은 동축케이블과 비교하여 케이블 길이에 따른 신호감쇠가 극소량인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장점을 응용하여 광신호를 기지국 안테나의 직전까지 전달하여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안테나 직전에서 광신호를 방사가 가능한 RF신호로 변환하는 기술인 RRH (Remote Radio Head)가 등장하였다.
종래의 TMA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의 전력소비의 및 유지보수의 비효율적인 단점을 보완한 것이 RRH(Remote Radio Head)이다. RRH는 종래의 BTS에서 RRU(Remote RF Unit)를 분리하여 기지국 타워의 안테나 하부에 배치하고 원격 제어한다.
여기서, RRH에서 RRU가 분리된 기존 BTS의 나머지 부분 즉, BBU(Baseband Unit)과 PSU(Power Supply Unit)는 길이당 감쇠가 거의 없는 광유닛 및 전력유닛을 포함하는 광전복합 케이블로 RRU와 연결되어, BBU(Baseband Unit)과 PSU(Power Supply Unit)에서 통신 신호는 광전복합 케이블을 구성하는 광유닛을 통해 RRU(Remote RF Unit)로 공급되고, 전력은 광전복합 케이블을 구성하는 전력유닛을 통해 RRU(Remote RF Unit)로 공급된다.
이러한, RRU(Remote RF Unit)는 기지국 Tower 상단에 기지국 안테나 바로 아래 설치될 수 있으므로, RRU(Remote RF Unit)에 의하여 RF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안테나로 공급하기 위한 동축 급전선의 길이는 최소화되어 동축선을 통한 RF 신호 전송시 발생되는 RF 신호 감쇠가 문제되지 않으므로, 방사직전까지의 신호의 감쇠량이 최소화 되고, 기존 많은 소비전력을 사용하던 TMA의 필요성이 없어졌다. 이러한 기술적 특징은 기지국의 유지보수적인 측면에서 RRH의 특장점이 되었다.
이러한 RRH 시스템에서 BBU(Baseband Unit) 및 PSU(Power Supply Unit)와 RRU(Remote RF Unit)는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를 매개로 연결된다.
즉, 광전복합 케이블은 광유닛과 전력유닛이 하나의 케이블화되어 제공되므로, BBU(Baseband Unit) 및 PSU(Power Supply Unit)와 복수 개의 RRU(Remote RF Unit)가 광전복합 케이블과 직접 연결될 수는 없고,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에서 전력유닛과 광유닛이 분기되어 복수 개의 RRU에 각각 연결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광전복합 케이블을 복수 개의 점퍼 케이블로 분기시키는 경우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내에서 광전복합 케이블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전력유닛 및 광유닛과 각각의 점퍼 케이블을 구성하는 전력유닛 및 광유닛을 터미널박스 내에서 커넥터 등을 사용하여 접속해야 한다.
통신사 또는 통신방식에 따라 기지국 안테나의 개수가 많아지면, 그에 따라 RRU 또는 터미널박스의 수도 증가된다. 따라서, 하나의 터미널박스에 연결되는 광전복합 케이블의 개수가 적은 경우에도 RRU의 개수는 많을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 관리 작업자는 광전복합 케이블을 탈피하여 각각의 전력유닛과 광유닛을 터미널박스 내에서 점퍼 케이블의 전력유닛과 광유닛을 연결하는 연결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통신사 또는 통신방식의 종류가 더 다양해지고 급변하는 환경에서 광전복합 케이블과 점퍼 케이블을 접속하는 터미널박스의 접속 작업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광전복합 케이블과 점퍼 케이블을 접속하는 터미널박스의 접속작업이 기지국에서 수행되었다.
이 경우, 광전복합 케이블의 단부에 터미널박스를 장착한 상태에서 광전복합 케이블을 수십미터 높이에 위치한 기지국 안테나까지 끌어올리는 일은 쉽지 않고, 기지국 안테나로 터미널박스와 광전복합 케이블을 끌어올리는 과정에서 터미널박스가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한 통로를 확보해야 하며, 부피가 큰 터미널박스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파손될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터미널박스를 타워에 설치한 상태에서 광전복합 케이블을 끌어올려 터미널박스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광전복합 케이블의 자체 무게로 인해 터미널 박스에 광전복합 케이블을 연결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특히 광전복합 케이블의 접속단자와 터미널 박스의 접속단자를 정확히 형합시켜 결합해야 하므로 그 접속작업이 매우 어려우며, 1명의 작업자가 단독으로 광전복합 케이블의 하중을 버티며 터미널 박스에 광전복합 케이블을 연결하는 작업은 불가능에 가깝다.
본 발명은 기지국에서의 광전복합 케이블 및 터미널박스 간의 접속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전력유닛 및 복수 개의 광유닛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전복합 케이블을 복수 개의 점퍼 케이블로 분기하기 위한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에 있어서, 폭 또는 두께보다 길이가 긴 박스 형태의 터미널박스; 상기 터미널박스의 길이방향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밴딩이 가능한 연결케이블; 및, 상기 터미널박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점퍼 케이블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점퍼 접속유닛;을 포함하는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케이블은 일단이 상기 터미널박스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 접속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케이블은 90도 이상의 각도 밴딩이 가능한 벨로우즈 형태의 외장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케이블은 상기 터미널박스와 연결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터미널박스 내부로 일부분이 삽입되거나 수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의 단부에는 케이블 커넥터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 박스에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의 케이블 커넥터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행거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행거유닛은 상기 터미널박스에 연결되어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연장된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의 케이블 커넥터유닛를 지지하는 행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는 상기 터미널박스에서 연장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터미널박스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미널박스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케이블을 상방으로 밴딩하여 고정하기 위한 홀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모트 라디오 헤드(RRH, remote radio head) 방식의 기지국 시스템에서 베이스밴드유닛(BBU, Baseband Unit) 및 전력공급유닛(Power Supply Unit)과 연결된 광전복합 케이블을 복수 개의 원격알에프유닛(RRU, Remote RF Unit)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점퍼 케이블로 분기하기 위한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에 있어서, 터미널 박스;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의 단부에는 케이블 커넥터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 커넥터유닛과 연결되는 연결 방향 또는 연결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터미널 박스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접속유닛; 상기 복수 개의 점퍼 케이블을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터미널 박스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점퍼 접속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미널 박스의 하단에 밴딩이 가능한 연결 케이블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 접속유닛은 연결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케이블은 벨로우즈 방식의 외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에 의하면, RRH 시스템을 구성하는 BBU 또는 PSU와 RRU를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를 매개로 접속하는 과정에서 광전복합 케이블을 터미널박스에 접속하는 접속작업의 작업성 및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이 설치된 기지국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는 광전복합 케이블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서 터미널박스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을 사용하여 광전복합 케이블을 터미널박스에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1000)이 설치된 기지국(10)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RRH 방식의 기지국 시스템(1)은 종래의 BTS 방식의 기지국에서 RRU(40, Remote RF Unit)를 분리하여 기지국 타워의 안테나(20) 하부에 배치하고 원격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RRH 방식의 기지국 시스템(1)에서 RRU(40)가 분리된 기존 BTS 방식의 기지국의 나머지 부분(10) 즉, BBU(Baseband Unit) 및 PSU(Power Supply Unit)와 RRU는 길이당 감쇠가 거의 없는 광유닛 및 전력유닛을 포함하는 광전복합 케이블(100)로 연결된다.
BBU(Baseband Unit)과 PSU(Power Supply Unit)에서 통신 신호는 광전복합 케이블을 구성하는 광유닛을 통해 RRU(40)로 공급되고, 전력은 광전복합 케이블을 구성하는 전력유닛을 통해 RRU(40)로 공급된다.
전술한 RRU(40)는 기지국 Tower 상단에 기지국 안테나(20) 바로 아래 설치될 수 있으므로, RRU(40)에서 RF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안테나(20)로 공급하기 위한 동축선(30)의 길이는 최소화되어 동축선(30)을 통한 RF 신호 전송 시 발생할 수 있는 RF 신호 감쇠가 문제되지 않으므로, 방사 직전까지의 신호의 감쇠량이 최소화 되고, 기존 많은 소비전력을 사용하던 TMA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기술적 특징은 기지국의 유지보수적인 측면에서 RRH의 특장점이 되었다.
전술한 RRH 방식의 기지국 시스템(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BBU(Baseband Unit)과 PSU(Power Supply Unit)과 RRU(Remote RF Unit)은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1200)를 매개로 연결된다.
즉, 광전복합 케이블(100)은 광유닛과 전력유닛이 하나의 케이블화된 것으로, BBU(Baseband Unit) 및 PSU(Power Supply Unit)로 구성되는 부분(10)과 하나의 타워에 설치되는 다양한 형태의 복수 개의 RRU(Remote RF Unit)가 직접 연결될 수는 없고, 광전복합 케이블(100)을 구성하는 각각의 광유닛과 전력유닛은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1200)에서 분기된 후 복수 개의 RRU과 점퍼 케이블(50)을 매개로 각각 접속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통신 세대별로 통신 방식을 달리하는 신형 단말기와 구형 단말기가 공존하고, 이동통신 사업자 간의 RRH를 구성하는 안테나(20)의 설치용 타워를 공유함에 따라 하나의 타워 상단에 수십 개의 RRH를 구성하는 RRU 등의 장비가 설치되어 그 타워의 제한된 설치 공간이 부족해지고 포설비에 대한 부담도 늘어났다.
따라서, 터미널박스를 통해 작업자가 작업하는 경우, 광전복합 케이블(100)을 구성하는 광유닛 및 전력유닛과 점퍼 케이블(50)을 구성하는 광유닛과 전력유닛을 접속하는 접속작업은 상당한 작업시간을 요구한다.
이러한 작업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광전복합 케이블의 단부에 터미널박스가 일체형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광전복합 케이블을 기지국 안테나로 올리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하지만, 광전복합 케이블의 단부에 터미널박스를 일체형으로 장착한 상태에서 광전복합 케이블을 수십미터 높이에 위치한 기지국 안테나까지 끌어올리는 일은 쉽지 않고, 기지국 안테나로 터미널박스와 광전복합 케이블을 끌어올리는 과정에서 터미널박스가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한 통로를 확보해야 하며, 부피가 큰 터미널박스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파손될 가능성이 있게 된다.
또한, 터미널박스를 타워에 설치한 상태에서 광전복합 케이블을 끌어올려 터미널박스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광전복합 케이블의 자체 무게로 인해 터미널 박스에 광전복합 케이블을 연결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특히 광전복합 케이블의 접속단자와 터미널 박스의 접속단자를 정확히 형합시켜 결합해야 하므로 그 접속작업이 매우 어려웠다.
즉, 광전복합 케이블을 터미널박스에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광전복합 케이블의 접속단자(미도시)와 터미널 박스의 접속단자(미도시)를 정확히 형합시켜 결합해야 한다. 그런데,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의 무게로 인해 작업자 1인이 혼자서 광전복합 케이블을 지지한 상태에서 광전복합 케이블과 터미널 박스를 정확하게 형합시켜 연결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이는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저하시켜 광전복합 케이블을 터미널박스에 연결하는 시간 및 비용을 증가시키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박스(1200)를 구비한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1000)을 타워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박스(1200)에 광전복합 케이블(100)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자 1인에 의해서도 연결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1000)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광전복합 케이블의 구조를 설명한 뒤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광전복합 케이블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광전복합 케이블(100)은 케이블 코어(105)와 상기 케이블 코어(105)를 감싸는 외피층(1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코어(105)는 전력 공급을 위한 복수의 전력유닛(110), 광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광유닛(1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중심부에는 복수 개의 광유닛(130)이 광전복합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광유닛(130) 층 외측에는 광유닛(13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1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광유닛(130)과 전력유닛(110)을 비교해 보면, 상기 광유닛(130)은 전력유닛(110)에 비하여 직경이 작고, 광유닛(130)에 구비된 광섬유(133)가 벤딩 또는 단선 등에 상대적으로 더 취약하므로,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중심부에 광유닛(130)을 배치하고, 그 외부를 보호층(140)으로 감싼 후 보호층의 외주면에 전력유닛(110)을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코어(105)는 상기 복수의 전력유닛(110) 또는 광유닛(130)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충진재(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력유닛(110)은 원형의 형태를 가지므로, 이웃한 전력유닛 사이에 공극 또는 유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전체 외형이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외부에서 작용하는 휘어짐 또는 충격 등에 취약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 코어(105) 내의 공극을 충진재(120)로 채우고, 상기 충진재(120)의 외형을 원형으로 유지하여 외부에서 작용하는 충격 등에 견딜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최외곽에 구비된 외피층(150)은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광전복합 케이블(100)에 포함된 광유닛(130) 및 전력유닛(110)을 보호한다.
상기 외피층(150)은 케이블 코어(105)에 내접하며, 상기 케이블 코어(105)의 외주를 감싸는 부직포 테이프(151), 상기 부직포 테이프(151)의 바깥쪽에서 상기 케이블 코어(105)를 원형 형태로 둘러싸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케이블 코어(105)를 보호하는 금속보호층(153) 및 상기 금속보호층(153)을 둘러싸는 외부 자켓(1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테이프(151)는 상기 케이블 코어(105)의 외곽에서 상기 케이블 코어(105)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력유닛(110)과 광유닛(130)을 원형 형태로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테이프(151)는 압축부직포로 내부의 광유닛 및 전력유닛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테이프(151)는 테이프 형태의 자재를 횡권하거나 종첨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보호층(153)은 상기 케이블 코어(105)를 감싸도록 주름산과 주름골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보호층(153)은 주름산과 주름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주름진(corrugated) 형태로서 알루미늄 등의 금속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보호층(153)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광유닛(130)과 전력유닛(110)을 포함하는 케이블 코어(105)와 함께 플레이트 타입의 금속판재를 공급하고, 상기 금속판재를 말아서 케이블 코어의 외부를 감싸도록 성형한 후, 맞닿은 금속판재의 양단부를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합하여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 형태로 제작한다. 이어서, 상기 파이프의 외부로 주름을 형성하도록 소정간격으로 프레싱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자켓(155)은 난연 특성이 있고 친환경적인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자켓(155)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유닛(130)은 광신호의 전송을 위한 광섬유를 포함하는 어떠한 형태로든 구성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적어도 1심 이상의 광섬유(133)와, 상기 광섬유(133)를 둘러싸는 튜브(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135)는 예를 들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튜브(135) 내에는 젤리 또는 방수사 등의 충진재(137)가 충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젤리가 충진되거나, 아라미드 얀(aramid yarn)과 같은 인장재(135)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인장재(135)는 인장력이 뛰어나고 유연하여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광유닛(130)은 타이트 버퍼 방식 또는 루즈튜브 방식 등 다양한 형태 중 필요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전력유닛(110)은 도체(113) 및 상기 도체(113)를 감싸는 절연체(115)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유닛(110)은 일반 전력용으로 이용되는 규격에 준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도체(113)는 서로 꼬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113)는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체(115)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염화비닐 등의 고분자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은 전술한 터미널박스(1200)에서 전력유닛(110)과 광유닛(130)이 분기된 후 원격무선유닛(40)과 연결되는 점퍼 케이블(50)을 구성하는 전력선과 광유닛에 각각 접속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100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터미널박스(12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전력유닛 및 복수 개의 광유닛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전복합 케이블을 복수 개의 점퍼 케이블로 분기하기 위한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에 있어서, 폭과 두께보다 길이가 긴 박스 형태의 터미널박스(1200); 상기 터미널박스(1200)의 길이방향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밴딩이 가능한 연결케이블(1400) 및, 상기 터미널박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점퍼 케이블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점퍼 접속유닛(12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1000)은 상기 터미널박스(1200)에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되, 연결 방향 또는 연결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연결케이블(140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1000)은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을 지지하기 위한 행거유닛(1300)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부에는 케이블 커넥터유닛(1100)이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 박스에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의 케이블 커넥터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행거유닛(13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박스(1200)는 기지국 등과 같이 높은 곳에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광전복합 케이블은 지상의 베이스밴드유닛(BBU, Baseband Unit) 및 전력공급유닛(Power Supply Unit) 등과 연결되므로, 상기 연결케이블(1400)은 상기 터미널박스(1200)의 하부에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케이블 커넥터유닛(1100)을 상기 행거유닛(1300)에 거치하여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하중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연결케이블(1400)을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케이블 커넥터유닛(1100)에 연결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1인 작업까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케이블(1400)이 상기 터미널박스(1200)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연결케이블(1400) 또는 상기 터미널박스(1200) 내부로 수분 침투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연결케이블(1400)은 일단이 상기 터미널박스(1200)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 접속유닛(143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케이블(1400)에 구비된 상기 케이블 접속유닛(1430)과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케이블 커넥터유닛(1100)의 연결 위치 및 연결 방향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케이블 접속유닛(1430)과 상기 케이블 커넥터유닛(1100)의 연결 위치 및 연결 방향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케이블(1400)은 유연한(flexible) 케이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은 기지국 등에 연결되므로 지상으로부터의 연결되어 길이가 길고 무게가 크다. 따라서, 광전복합 케이블(100)과 연결케이블(1400)을 접속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경우에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을 행거유닛 등에 지지한 상태에서 광전복합 케이블(100) 단부의 케이블 커넥터유닛(1100)의 위치 변경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연결케이블(1400)의 단부, 즉 상기 연결케이블의 케이블 접속유닛(1430)의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케이블 커넥터유닛(1100)에 대한 연결 방향 또는 또는 연결 위치의 조절이 필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케이블(1400)이 유연하지 않고 잘 휘지 않는(rigid) 케이블로 구성되고, 그 높이가 고정된 상태로 구성된다면 상기 연결케이블(1400)과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을 연결하는 경우에 미세한 위치조절이 곤란하여 전술한 상기 연결케이블(1400)에 구비된 상기 케이블 접속유닛(1430)과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케이블 커넥터유닛(1100)을 정확하게 연결하는 작업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케이블(1400)은 상기 터미널박스(1200)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유연하게 플렉서블한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케이블(1400)은 상기 터미널박스(1200)의 하부에 장착되는 케이블 본체(1410)와, 상기 케이블 본체(1410)의 단부에 구비되는 케이블 접속유닛(14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본체(1410)는 상기 터미널박스(1200)의 하부에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현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본체(14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연하고 플렉서블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케이블 본체(1410)의 외장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진 형태(corrugated)의 주름관 또는 벨로우즈(bellows)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본체(1410)가 벨로우즈 타입으로 구성되고 그 길이방향 신축이 가능한 구조인 경우 상기 연결케이블(1400)은 상기 터미널박스(1200) 하단에서의 연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케이블(1400)을 소정 거리만큼 수축 또는 신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연결케이블(1400)을 전술한 광전복합 케이블(100)에 연결하는 경우에 상기 연결케이블(1400)을 수축 또는 신장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연결케이블(1400)이 상기 터미널박스(1200)의 내측으로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연결케이블(1400)을 전술한 광전복합 케이블(100)에 연결하는 경우에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은 자체 하중으로 인해 움직임이 쉽지 않으므로 상기 연결케이블(1400)이 터미널박스 내부로 일부 구간 삽입되도록 하면,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위치 변경이 어려운 경우에도 연결케이블(1400)를 터미널박스(1200) 내부로 삽입시킨 후 이를 다시 인출하여 상기 연결케이블(1400)에 구비된 상기 케이블 접속유닛(1430)과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케이블 커넥터유닛(1100)의 연결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케이블(1400)의 단부에는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케이블 커넥터유닛(1100)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체결부(14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45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1450)의 내측으로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부를 삽입하고 상기 체결부(1450)의 돌려서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케이블 커넥터유닛(1100)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1130)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살펴본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본체(1410)의 내부에는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광유닛(130) 및 전력유닛(110)과 각각 연결되는 광연결유닛(6) 및 전력연결유닛(2,4)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연결유닛(2,4)은 복수개로 구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케이블 본체(1410)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블 접속유닛(1430)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 접속유닛(1430)을 통해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전력유닛(110)에 연결된다. 상기 전력연결유닛(2,4)의 타단부는 상기 점퍼 접속유닛(1250)에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전력연결유닛(2,4)은 상기 터미널박스(1200)의 내측에서 한 쌍씩 전술한 점퍼 접속유닛(1250)과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광연결유닛(6)도 마찬가지로 복수개로 구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케이블 본체(1410)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블 접속유닛(1430)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 접속유닛(1430)을 통해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광유닛(130)에 연결된다. 상기 광연결유닛(6)의 타단부는 상기 점퍼 접속유닛(125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광연결유닛(6)이 4개씩 분기되어 전술한 점퍼 접속유닛(1250)과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광연결유닛(6)이 분기되는 숫자는 RRH 방식의 기지국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종류, 통신 세대, 이동통신 사업자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광연결유닛(6) 및 전력연결유닛(2,4)을 구성하는 케이블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얇고 유연하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본체(1410)에 비틀림 또는 휘어짐 등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단선 또는 파손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연결유닛(6) 및 전력연결유닛(2,4)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점퍼 접속유닛(1250)으로 각각 분기되는 경우에 복수개의 광연결유닛(6) 및 전력연결유닛(2,4)이 분기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상기 터미널박스(1200)의 내측에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터미널박스(1200)의 내측에서 상기 터미널박스(1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가이드몸체(1230)와 상기 가이드몸체(1230)에서 복수개의 점퍼 접속유닛(1250)을 향해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바(1232)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광연결유닛(6) 및 전력연결유닛(2,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박스(1200)의 내측에서 하부의 연결케이블(1400)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바(1232)를 따라 복수개의 점퍼 접속유닛(1250)을 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가이드바(1232)의 구성으로 인해 복수개의 광연결유닛(6) 및 전력연결유닛(2,4)은 서로 엉키지 않고 연결 대상 점퍼 접속유닛(1250)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점퍼 접속유닛(1250)은 상기 터미널박스(1200)에 구비되며,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박스(1200)의 측면, 즉 터미널박스(1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점퍼 접속유닛(1250)은 복수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점퍼 접속유닛(1250)의 개수는 RRH 방식의 기지국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박스(1200)와 점퍼 케이블(50)로 연결되는 RRU개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터미널박스의(1200)의 측면에 4개의 점퍼 접속유닛(1250)이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점퍼 접속유닛(1250)은 상기 터미널박스(1200)에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장착되어 수분침투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퍼 접속유닛(1250)이 상방을 향해 연결된다면 점퍼 케이블 등의 연결에 유리하지만, 상기 터미널박스(1200)는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비 또는 눈 등과 같은 수분 또는 이물질 등이 내부로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우천시 수분이 터미널박스(120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터미널박스(1200)에 장착하고, 이를 위하여 터미널박스(1200)의 점퍼 접속유닛(1250) 장착면은 계단식 또는 톱니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터미널박스(1200)의 상부로 낙하한 빗물 등은 상기 터미널박스(1200)의 경사부(1201)를 따라 아래로 흐르게 되어 상기 점퍼 접속유닛(1250)의 단부로 수분 등이 침투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1000)은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을 상기 연결케이블(1400)에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행거유닛(130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을 상기 연결케이블(1400)에 연결하는 경우에,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거운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부를 상기 행거유닛(1300)에 거치하고, 유연한 상기 연결케이블(1400)을 조절하여 상기 연결케이블(1400)을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에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종래에 통상적으로 광전복합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작업자 및 터미널박스의 접속부를 조작하는 2명 이상의 작업자가 필요한 연결작업에서 1인 작업자에 의해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 속도와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행거유닛(1300)은 상기 터미널박스(1200)에 연결되어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연장된 지지바(1310) 및 상기 지지바(1310)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케이블 커넥터유닛(1110)를 지지하는 행거(13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1310)는 상기 터미널박스(1200)에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케이블(1400)이 연장된 방향 또는 터미널박스(120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터미널박스(12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케이블(1400)이 상기 터미널박스(1200)의 하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지지바(1310)는 상기 터미널박스(1200)의 하부를 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1310)의 단부에는 행거(13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행거(1330)는 상기 지지바(1310)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을 상기 연결케이블(1400)에 연결하는 경우에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를 거치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행거(1330)는 상기 지지바(1310)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이 생략되어 도시되므로 상기 연결케이블(1400)의 케이블 접속유닛(1430)이 상기 행거(1330)를 일부 통과한 상태로 드리워진 형태로 도시된다.
상기 행거(1330)는 예를 들어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행거(1330) 사이에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부를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부에는 상기 행거(1330)에 거치될 수 있도록 케이블 플랜지(1140)(도 5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플랜지(1140)가 상기 행거(1330)에 거치되도록 하여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하중을 상기 행거(1330)에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도 5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박스(1200)에서 상기 지지바(1310)가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터미널박스(1200)를 이동시키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터미널박스(1200)를 기지국까지 이동시키는 경우에 큰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박스(1200)에서 상기 지지바(1310)가 돌출한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상기 터미널박스(1200)를 옮기기 위하여 이동하는 중에 상기 지지바(1310)에 손상 또는 파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바는 상기 터미널박스에서 연장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터미널박스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바(1310)는 상기 터미널박스(120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바(1310)에 가이드홈(1312)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박스(1200)의 일측면에 상기 가이드홈(1312)에 삽입되는 가이드돌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바(1310)가 상기 가이드돌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박스(120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바(1310)를 상승시켜 상기 지지바(1310)가 상기 터미널박스(1200)에서 인출된 길이를 최소화하여 이동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지지바(131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과 상기 연결케이블(1400)을 연결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바(1310)를 아래로 이동시켜 터미널박스(1200)에서 미리 결정된 길이까지 인출하여 광전복합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을 상기 연결케이블(1400)에 연결하는 경우에,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거운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부를 상기 행거유닛(1300)에 거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연결케이블(1400)이 아래로 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을 상기 행거유닛(1300)에 거치하는 경우에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과 상기 연결케이블(1400)의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1000)은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을 상기 행거유닛(1300)에 거치하는 경우에 상기 연결케이블(1400)을 임시적으로 홀딩하기 위한 거치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미널박스(1200)에 상기 연결케이블(1400)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15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홀더(1500)는 상기 터미널박스(12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박스(1200)을 측면 중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홀더(1500)는 상기 연결케이블(1400)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케이블(1400)을 밴딩하여 그 단부를 상기 홀더(1500)의 내측에 안착시켜 상기 연결케이블(1400)을 상기 홀더(150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케이블(1400)의 단부에는 상기 홀더(1500)에 고정하는 경우에 상기 연결케이블(14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연결 플랜지(144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케이블(1400)의 단부를 상기 홀더(1500)에 거치한 경우에 상기 연결 플랜지(1440)가 상기 홀더(1500)의 가장자리에 지지되어 상기 연결케이블(1400)이 상기 홀더(1500)에 임시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을 상기 행거유닛(1300)에 거치하여 지지하기 전에 상기 연결케이블(1400)을 상기 홀더(1500)에 거치하여 상기 연결케이블(1400)과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간섭을 방지하여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과 연결케이블(1400)의 접속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1000)에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을 연결케이블(1400)에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케이블(14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케이블 커넥터유닛(1100)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유닛(1100)은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부에 구비되는 커넥터 본체(1110)와, 상기 커넥터 본체(1110)의 단부에서 외주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행거유닛(1300)에 거치되는 케이블 플랜지(1140)와, 상기 연결케이블(1400)의 케이블 접속유닛(1430)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체결부(1150)를 구비한다.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은 상기 커넥터 본체(1110)의 내부에서 상기 광유닛(130)과 전력유닛(110)이 분기되어 상기 체결부(1150)의 접속단자(미도시)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 본체(1110)의 단부에는 나사산(11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상기 연결케이블(1400)의 체결부(1450)의 내측에는 상기 나사산(1130)에 치합하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케이블의 체결부(1450) 내측으로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커넥터 본체(1110)의 단부를 삽입하고 상기 체결부(1450)을 돌려서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1130)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러한 광전복합 케이블(100)과 연결케이블(1400)의 연결 구성은 일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와 연결케이블(1400)은 나사산 결합이 아닌 다른 결합방식, 예를 들어 후크(hook)를 이용한 결합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과 연결케이블(1400)의 연결 구성은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무게, 상기 연결케이블(1400)의 종류, 상기 터미널박스(1200)가 위치한 환경조건 등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케이블(1400)의 케이블 접속유닛(1430)에는 상기 체결부(1150)의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접속단자(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체결부(1150)를 상기 연결케이블(1400)의 케이블 접속유닛(1430)에 연결하여 접속시킴으로써,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을 상기 터미널박스(1200)에 연결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작업자의 접속작업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을 연결하기 전에는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연결케이블(1400)이 상기 터미널박스(1200)에서 아래로 드리워져 상기 행거(1330)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을 상기 연결케이블(1400)에 연결하기에 앞서서 상기 연결케이블(1400)을 화살표 방향으로 구부려서 상기 홀더(1500)에 거치하게 된다. 상기 연결케이블(1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연하고 플렉서블한 케이블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케이블(1400)을 구부려서 상기 홀더(150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케이블(1400)은 180도 밴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적어도 90도 이상의 각도 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작업자는 상기 연결케이블(1400)의 단부를 상기 홀더(1500)에 안착시키며, 이때 상기 연결케이블(1400)의 연결 플랜지(1440)가 상기 홀더(1500)의 가장자리에 걸쳐져서 상기 연결케이블(1400)이 상기 홀더(1500)에 고정된다. 도 5의 (b)는 상기 연결케이블(1400)이 상기 홀더(1500)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어서, 도 5의 (b)와 같이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을 상기 행거유닛(1300)에 고정하게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부를 상기 행거유닛(1300)의 행거(1330)에 안착시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부에 형성된 케이블 플랜지(1140)이 상기 행거(1330)에 걸려 지지되어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이 상기 행거유닛(1300)에 거치되는 경우에 상기 연결케이블(1400)은 상기 홀더(1500)에 임시적으로 지지된 상태이므로,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과 상기 연결케이블(1400)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작업자는 도 5의 (c)와 같이 상기 홀더(1500)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연결케이블(1400)을 상기 홀더(1500)에서 분리하여 밴딩되지 않은 상태로 복원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연결케이블(1400)의 단부에 형성된 케이블 접속유닛(1430)은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커넥터유닛(1100)의 체결부(1150)와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 5의 (c)와 같이 상기 연결케이블(1400)을 터미널박스(1200) 내측으로 일부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케이블(1400)의 단부에 형성된 케이블 접속유닛(1430)은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커넥터유닛(1100)의 체결부(1150)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체결부(1450)를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1130)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연결케이블(1400)의 케이블 접속유닛(1430)에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커넥터유닛(1100)을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1000)에 따르면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을 상기 터미널박스(1200)의 연결케이블(1400)에 연결시키는 접속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있다.
즉,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도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을 먼저 상기 행거유닛(1300)에 거치하고, 상기 연결케이블(1400)을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에 연결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2명 이상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지 않고 1인 작업자에 의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100)과 상기 터미널박스(1200)의 접속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비용 및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50 : 점퍼 케이블
100 : 광전복합 케이블
1000 :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1200 :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Claims (11)

  1. 복수 개의 전력유닛 및 복수 개의 광유닛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전복합 케이블을 복수 개의 점퍼 케이블로 분기하기 위한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에 있어서,
    폭 또는 두께보다 길이가 긴 박스 형태의 터미널박스;
    상기 터미널박스의 길이방향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밴딩이 가능한 연결케이블; 및,
    상기 터미널박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점퍼 케이블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점퍼 접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의 단부에는 케이블 커넥터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 박스에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의 케이블 커넥터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행거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케이블은 일단이 상기 터미널박스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케이블 접속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케이블은 90도 이상의 각도 밴딩이 가능한 벨로우즈 형태의 외장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케이블은 상기 터미널박스와 연결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터미널박스 내부로 일부분이 삽입되거나 수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유닛은 상기 터미널박스에 연결되어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연장된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의 케이블 커넥터유닛를 지지하는 행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터미널박스에서 연장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터미널박스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박스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케이블을 상방으로 밴딩하여 고정하기 위한 홀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9. 리모트 라디오 헤드(RRH, remote radio head) 방식의 기지국 시스템에서 베이스밴드유닛(BBU, Baseband Unit) 및 전력공급유닛(Power Supply Unit)과 연결된 광전복합 케이블을 복수 개의 원격알에프유닛(RRU, Remote RF Unit)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점퍼 케이블로 분기하기 위한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에 있어서,
    터미널 박스;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의 단부에는 케이블 커넥터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 커넥터유닛과 연결되는 연결 방향 또는 연결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터미널 박스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접속유닛;
    상기 복수 개의 점퍼 케이블을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터미널 박스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점퍼 접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의 단부에는 케이블 커넥터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 박스에 상기 광전복합 케이블의 케이블 커넥터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행거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박스의 하단에 밴딩이 가능한 연결 케이블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 접속유닛은 연결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은 벨로우즈 방식의 외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KR1020180004371A 2018-01-12 2018-01-12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KR102524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371A KR102524182B1 (ko) 2018-01-12 2018-01-12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371A KR102524182B1 (ko) 2018-01-12 2018-01-12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163A KR20190086163A (ko) 2019-07-22
KR102524182B1 true KR102524182B1 (ko) 2023-04-20

Family

ID=67468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371A KR102524182B1 (ko) 2018-01-12 2018-01-12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1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4875A1 (en) 2019-08-21 2021-02-25 Commscope Technologies Llc Jumper cable assembly
WO2022187095A1 (en) * 2021-03-05 2022-09-09 Commscope Technologies Llc Efficient installation and configuration of voltage conversion system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7076A (ja) 1999-06-03 2000-12-15 Hitachi Cable Ltd コネクタ付光ファイバケーブル
KR101070456B1 (ko) 2011-08-19 2011-10-06 누리정보통신 주식회사 광케이블의 배선 겸용 광단자함 고정 장치
CN206671619U (zh) * 2016-12-06 2017-11-24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光电混合分线盒、光电混合连接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011B1 (ko) * 2014-07-11 2019-04-0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전복합 케이블 및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KR102497929B1 (ko) * 2014-12-16 2023-02-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및 광전복합 케이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7076A (ja) 1999-06-03 2000-12-15 Hitachi Cable Ltd コネクタ付光ファイバケーブル
KR101070456B1 (ko) 2011-08-19 2011-10-06 누리정보통신 주식회사 광케이블의 배선 겸용 광단자함 고정 장치
CN206671619U (zh) * 2016-12-06 2017-11-24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光电混合分线盒、光电混合连接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163A (ko) 201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102B1 (ko)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KR102497929B1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및 광전복합 케이블
KR102524182B1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US9099216B2 (en) Optical fiber and power line composite cable
KR20160041478A (ko) 광전복합케이블
AU2020202794B2 (en) Terminal box for optical fiber and power line composite cable and terminal box system
KR101965011B1 (ko) 광전복합 케이블 및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KR102526856B1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및 광전복합 터미널박스 시스템
CN202190269U (zh) 一种塔装光纤配线箱以及光纤到天线系统
CN112217036B (zh) 同轴电缆组件
KR20170102650A (ko) 광전복합 케이블의 말단 접속 구조체
KR20200134962A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KR102292627B1 (ko) 광전복합케이블
CN205427253U (zh) 一种中继箱
KR102221902B1 (ko)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WO2016006858A1 (ko) 광전복합 케이블 및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KR20190086165A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하는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KR20240043086A (ko)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및 광전복합 터미널박스 시스템
KR20220103359A (ko)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
WO2024071758A1 (ko)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및 광전복합 터미널박스 시스템
KR101070456B1 (ko) 광케이블의 배선 겸용 광단자함 고정 장치
KR102051973B1 (ko) 광전복합케이블
KR101486746B1 (ko)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와 장착 장치를 포함하는 조립체
KR20200005187A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광전복합 케이블 어셈블리
KR102480195B1 (ko) 누설동축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누설동축케이블 양단 급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