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359A -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3359A
KR20220103359A KR1020210005857A KR20210005857A KR20220103359A KR 20220103359 A KR20220103359 A KR 20220103359A KR 1020210005857 A KR1020210005857 A KR 1020210005857A KR 20210005857 A KR20210005857 A KR 20210005857A KR 20220103359 A KR20220103359 A KR 20220103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going
cable
composite cable
optic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성수
장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티코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티코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티코아
Priority to KR1020210005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3359A/ko
Publication of KR20220103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 G02B6/4472Manifol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5Cables for special applications
    • G02B6/4416Heterogeneous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 지상 장비에서 연결되는 광전복합케이블 및 RRU 장비 등을 연결하기 위한 인출 케이블의 분기접속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향상된 수밀 성능을 제공하며, 협소한 기지국 타워에서 설치가 용이하도록 구조가 단순하며 하우징 내부의 빈공간을 최소화하여 부피가 최소화된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Division And Connection Assembly For Optical Fiber and Power Line Composite Cable}
본 발명은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기지국 지상 장비에서 연결되는 광전복합케이블 및 RRU 장비 등을 연결하기 위한 인출 케이블의 분기접속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향상된 수밀 성능을 제공하며, 협소한 기지국 타워에서 설치가 용이하도록 구조가 단순하며 하우징 내부의 빈공간을 최소화하여 부피가 최소화된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의 경우, 통신사 기간국 등에서 기지국으로 통신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의 BTS(Base Transceiver Station)에서 전송된 RF 신호가 기지국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전송된다. 또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송된 무선신호는 상기 기지국 안테나에 수신되고 수신된 신호는 TMA(Tower Mount Amplifier)를 통하여 증폭되어 BTS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기지국의 BTS, TMA 및 안테나는 동축 급전선으로 연결되었으나, 상기 동축 급전선은 케이블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신호의 손실(loss)이 크다. 수십 미터 높이의 기지국 타워에 상기 안테나를 설치하는 경우에 지상의 기지국과 상기 안테나를 연결하는 동축 급전선에서 손실이 증가하게 되며, 상기 동축 급전선의 신호 손실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서 제공된 신호가 상기 안테나에서 요구되는 신호의 세기에 도달하지 못하고 감쇄되므로, 이를 보상하여 증폭하기 위하여, TMA가 설치된다.
하지만, 상기 TMA는 상기 신호를 증폭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전력을 소비하게 되므로, 전체적인 시스템 측면에서 볼 때,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그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한편, FTTx(Fiber to the X)의 진화와 중계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기지국 설비도 진화되고 있다. 이중에서 광유닛은 동축케이블과 비교하여 케이블 길이에 따른 신호감쇠가 작은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장점을 응용하여 광신호를 기지국 안테나의 직전까지 전달하여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안테나 직전에서 광신호를 방사가 가능한 RF신호로 변환하는 기술인 RRH (Remote Radio Head)가 등장하였다.
종래의 TMA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의 전력소비의 및 유지보수의 비효율적인 단점을 보완한 것이 RRH이다. RRH는 종래의 BTS에서 RRU(Remote Radio Unit)를 분리하여 기지국 기지국 타워의 안테나 하부에 배치하고 원격 제어한다.
여기서, RRH에서 RRU가 분리된 기존 BTS의 나머지 부분 즉, BBU(Baseband Unit)와 PSU(Power Supply Unit)는 길이당 감쇠가 거의 없는 광유닛 및 전력유닛을 포함하는 광전복합케이블로 RRU와 연결되어, BBU와 PSU에서 통신 신호는 광전복합케이블을 구성하는 광유닛을 통해 RRU로 공급되고, 전력은 광전복합케이블을 구성하는 전력유닛을 통해 RRU로 공급된다.
이러한, RRU는 기지국 타워 상단에 기지국 안테나 바로 아래 설치될 수 있으므로, RRU에 의하여 RF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안테나로 공급하기 위한 동축 급전선의 길이는 최소화되어 동축선을 통한 RF 신호 전송시 발생되는 RF 신호 감쇠가 문제되지 않으므로, 방사직전까지의 신호의 감쇠량이 최소화 되고, 기존 많은 소비전력을 사용하던 TMA의 필요성이 없어졌다. 이러한 기술적 특징은 기지국의 유지보수적인 측면에서 RRH의 특장점이 되었다.
이러한 RRH 시스템에서 BBU 및 PSU와 RRU는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를 매개로 분기 및 연결된다.
즉, 광전복합케이블은 광유닛과 전력유닛이 하나의 케이블화되어 제공되므로, BBU 및 PSU와 복수 개의 RRU가 광전복합케이블과 직접 연결되지 않고,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에서 전력유닛과 광유닛이 분기되어 복수 개의 RRU에 각각 연결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광전복합케이블을 복수 개의 점퍼 케이블로 분기시키는 경우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내에서 광전복합케이블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전력유닛 및 광유닛과 각각의 점퍼 케이블을 구성하는 전력유닛 및 광유닛을 터미널박스 내에서 커넥터 등을 사용하여 접속해야 한다.
통신사 또는 통신방식에 따라 기지국 안테나의 개수가 많아지면, 그에 따라 하나의 기지국에 설치되는 RRU 또는 터미널박스의 수도 증가된다.
따라서, 하나의 기지국을 통해 설치될 수 있는 터미널박스 또는 RRU의 개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터미널박스의 크기가 커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종래의 터미널박스를 통해 터미널박스로 인입되는 광전복합케이블과 터미널박스와 RRU를 연결하기 위한 인출 케이블을 접속하는 작업은 높고 협소한 공간 기지국 타워 등에서 수행되므로 접속 작업은 간소화될 필요가 있다.
통신사 또는 통신방식의 종류가 더 다양해지고 급변하는 환경에서 광전복합케이블과 인출 케이블을 접속하는 터미널박스의 접속 작업의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광전복합케이블과 인출 케이블을 접속하는 터미널박스의 접속작업이 기지국 타워에서 수행되었다. 즉, 터미널박스를 기지국 타워 상에 설치한 상태에서 광전복합케이블을 끌어올려 터미널박스 내에서 각각의 광유닛 및 전력선 유닛을 인출 케이블을 구성하는 인출 광유닛 또는 인출 전력유닛과 접속 과정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기지국 타워에서의 접속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공개 특허공보 US2013/0108227호에 광전복합케이블이 미리 연결되고, 인출 케이블이 커넥터화 또는 패치코드화 되어 터미널박스를 기지국에 설치한 상태에서 인출 케이블을 장착하는 기술이 소개되었으나, 광전복합케이블의 단부에 터미널박스를 장착한 상태에서 광전복합케이블을 수십미터 높이에 위치한 기지국 안테나까지 끌어올리는 일은 쉽지 않고, 기지국 안테나로 터미널박스와 광전복합케이블을 끌어올리는 과정에서 터미널박스가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한 통로를 확보해야 하며, 부피가 큰 터미널박스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파손될 가능성이 있고, 기지국 상의 제한된 공간에서 너무 많은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또한, 미국공개 특허공보 US2013/0108227호에서는 터미널 박스 외부에 점퍼 케이블 등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또는 접속유닛이 구비되는 구조가 채용되나, 이러한 구조로 인해 하우징 표면에 커넥터 장착 공간 확보를 위하여 하우징의 크기가 커진다는 문제도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최근에는 터미널 박스에서 분기되는 케이블 이외에도 광전복합케이블의 말단부를 커넥터 처리하여 터미널 박스의 케이블 접속유닛에 직접 장착하는 터미널박스가 소개되고 있으나, 대용량 광전복합케이블 단부를 하나의 커넥터화하는 작업은 작업의 난이도와 비용이 크게 증가시키며, 인출 케이블 연결을 위하여 인출 케이블의 커넥터가 장착되는 인출 케이블 접속부가 제한된 면적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인출 케이블의 연결작업의 작업성이 낮음은 전술한 미국공개 특허공보 US2013/0108227호에 소개된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실외에 설치되는 시스템의 특성상 신뢰할 수 있는 수밀 성능이 요구되나,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열수축 튜브 작업은 작업 공수는 크나 수밀 성능이 높지 않다.
본 발명은 기지국 지상 장비에서 연결되는 광전복합케이블 및 RRU 장비 등을 연결하기 위한 인출 케이블의 분기접속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향상된 수밀 성능을 제공하며, 협소한 기지국 타워에서 설치가 용이하도록 구조가 단순하며 하우징 내부의 빈공간을 최소화하여 부피가 최소화된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광유닛 및 복수 개의 전력선 유닛을 구비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을 위한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이 일단으로 인입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광유닛 및 전력선 유닛이 분기 또는 접속되어 하우징의 타단을 통해 외측으로 인출되며, 외측 단부에 커넥터가 구비된 복수 개의 인출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인출 케이블 중 하나 이상의 인출 케이블은 복수 개의 인출 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인출 케이블 중 하나 이상의 인출 케이블은 복수 개의 인출 전력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복수 개의 광유닛과 상기 복수 개의 인출 광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광커넥터를 통한 접속되며,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수밀 부재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광유닛은 복수의 광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 광유닛은 상기 광커넥터에서 복수 개로 분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커넥터는 MPO 커넥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커넥터에서 복수 개로 분기되는 상기 인출 광유닛의 개수는 상기 인출 광유닛을 포함하는 인출 케이블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인출 케이블 중 복수 개의 인출 전력유닛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인출 케이블은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전력유닛이 접속되어 구성되는 인출 전력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인출 케이블 중 복수 개의 인출 전력유닛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인출 케이블은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전력유닛이 분기되어 구성되는 인출 전력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은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BBU(Baseband Unit) 및 PSU(Power Supply Unit)에 연결되고,
상기 인출 전력유닛이 구비된 인출 케이블과 상기 인출 광유닛이 구비된 인출 케이블은 기지국 안테나와 연결된 RRU(Remote Radio Unit) 장비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출 케이블은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광유닛과 접속되는 인출 광유닛 및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전력유닛이 접속 또는 분기되어 구성되는 인출 전력유닛을 포함하는 복합 케이블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출 케이블 단부에 구비된 커넥터는 광전복합 커넥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밀 부재는 에폭시 몰딩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출 케이블은 인출 광유닛 또는 인출 전력유닛을 감싸는 케이블 자켓 및 상기 케이블 자켓을 외측을 감싸는 주름관 구조의 보호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장착되며, 상기 인출 케이블이 관통 지지되는 복수 개의 지지관 및 상기 지지관이 이격되어 분산 구비되는 지지판을 구비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출 케이블이 관통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분기 또는 접속되는 광유닛 또는 전력유닛을 지지하거나, 광유닛 또는 전력유닛 접속을 위한 커넥터 또는 접속부를 지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페이서 부재의 중심부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 부재의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 중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이 인입되는 인입부의 직경은 상기 인출 케이블이 인출되는 상기 하우징의 인출부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판 상부에서 상기 커버부재 단부까지 상기 지지판의 지지관 사이로 몰딩재가 주입되어 몰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지지판의 지지관은 이종 인출 케이블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내경의 크기가 2가지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내경의 크기가 다른 지지관은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되고, 내경이 다른 지지관은 지지판에 분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광유닛 및 복수 개의 전력선 유닛을 구비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을 광유닛, 전력유닛, 또는 광유닛과 인출 전력유닛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인출 케이블로의 분기 접속을 위한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구에 있어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이 일단으로 인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타단 내측에 장착되며, 상기 인출 케이블이 관통 지지되는 복수 개의 지지관 및 상기 지지관이 이격되어 분산 구비되는 지지판을 구비하는 지지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분기 또는 접속되는 광유닛 또는 전력유닛을 지지하거나, 광유닛 또는 전력유닛 접속을 위한 커넥터 또는 접속부를 지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출 케이블이 관통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전복합케이블이 포함하는 복수 개의 광유닛 및 복수 개의 전력선 유닛로부터 분기구 내부에서 분기 접속되는 복수 개의 인출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복수 개의 광유닛과 광커넥터를 통해 접속되는 인출 광유닛;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복수 개의 전력유닛과 접속되는 인출 전력유닛; 상기 인출 광유닛 또는 인출 전력유닛을 감싸는 케이블 자켓; 및 상기 케이블 자켓의 외측을 감싸는 주름관 구조의 보호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는 하우징에서 RRU 장비 등과의 연결을 위한 인출 케이블이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로 제공되고, 현장에서 지상 장비와 연결된 광전복합케이블을 구성하는 광유닛과 전력유닛을 인출 케이블을 구성하는 인출 광유닛 및 인출 전력유닛의 연결만을 수행하면 되므로 현장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는 인출 케이블을 구성하는 광유닛 등에 적어도 일단 또는 양단에 커넥터 접속 작업이 완료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광전복합케이블과의 연결 또는 RRU 등의 기지국 장비와의 연결을 위한 현장 작업의 작업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는 하우징에 인출 케이블이 커넥터를 통한 커넥팅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 내에서 인출케이블을 구성하는 인출 광유닛 또는 인출 전력유닛이 광전복합케이블을 구성하는 광유닛과 전력유닛과 접속되므로 하우징 외측에 인출 케이블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생략되어 하우징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는 하우징이 광전복합케이블 인입 방향 또는 인출 케이블 인출 방향으로 긴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하우징 내부 공간 중 빈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는 인출 케이블을 몰딩재로 마감 고정하여 방수 기능과 고정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제조 시간 및 제조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가 설치된 기지국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는 광전복합케이블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복수의 인출 케이블 및 하우징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분기구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의 조립 및 접속과정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가 설치된 기지국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RRH 방식의 기지국(1)은 종래의 BTS 방식의 기지국에서 RRU(40, Remote Radio Unit)를 분리하여 기지국 타워의 안테나(20)에 인접하게 배치하고 원격 제어한다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RRH 방식의 기지국 시스템(1)에서 RRU(40)가 분리된 기존 BTS 방식의 기지국의 나머지 부분(10) 즉, BBU(Baseband Unit) 및 PSU(Power Supply Unit)과 RRU(40) 사이는 길이당 감쇠가 거의 없는 광유닛 및 전력선 유닛을 포함하는 광전복합케이블(100)로 연결된다.
통신 신호는 BBU(Baseband Unit)과 RRU(40) 간 광전복합케이블을 구성하는 광유닛을 통해 송수신되고, 전력은 PSU(Power Supply Unit)에서 광전복합케이블을 구성하는 전력선 유닛을 통해 RRU(40)로 공급된다.
이러한, RRU(40)는 기지국 타워 상단에 기지국 안테나(20) 바로 아래 설치될 수 있으므로, RRU(40)에서 RF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안테나(20)와 송수신하기 위한 동축선(30)의 길이는 최소화되어 동축선(30)을 통해 송수신되는 RF 신호의 감쇠량이 최소화 되고, 기존 많은 소비전력을 사용하던 TMA의 필요성이 없어진다. 이러한 기술적 특징은 기지국의 유지보수적인 측면에서 RRH의 특장점이 되었다.
이러한 RRH 방식의 기지국 시스템(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BBU(Baseband Unit) 및 PSU(Power Supply Unit)과 RRU(40)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200)를 매개로 연결된다.
즉, 광전복합케이블(100)은 광유닛과 전력선 유닛이 하나의 케이블화 된 것으로, BBU(Baseband Unit) 및 PSU(Power Supply Unit)으로 구성되는 부분(10)과 타워에 설치되는 다양한 형태의 복수 개의 RRU(40)가 직접 연결되지 않고, 광전복합케이블(100)을 구성하는 각각의 광유닛과 전력선 유닛을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200)에서 분기된 후 복수 개의 RRU(40)와 인출 케이블(250a, 250b)을 매개로 각각 접속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최근 통신 세대별로 통신 방식을 달리하는 신형 통신장비와 구형 통신장비가 공존하고, 이동통신 사업자 간의 RRH를 구성하는 안테나(20)의 설치용 타워를 공유함에 따라 하나의 타워 상단에 수십 개의 RRH를 구성하는 RRU(40) 등의 장비가 설치되어 그 타워의 제한된 설치 공간이 부족해지고 설치 및 운영비용에 대한 부담도 늘어났다.
또한, 터미널박스를 통해 작업자가 설치 작업을 하는 경우, 광전복합케이블(100)을 구성하는 광유닛 및 전력선 유닛과 인출 케이블(250a, 250b)을 구성하는 광유닛과 전력선 유닛을 접속하는 접속작업은 상당한 작업시간을 요구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260)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커넥터가 노출된 방식의 터미널박스를 대체하여, 원통형 하우징(260)의 일단으로 광전복합케이블이 인입되고 하우징(260) 내에서 분기 또는 접속되되 커넥터 방식 등으로 유닛이 접속 또는 분기된 인출 케이블(250a, 250b)이 원통형 하우징(260)에서 인출되는 구조를 적용하였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인출 케이블(250a, 250b)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연결대상 RRU(40)의 위치 또는 인출 케이블(250a, 250b)의 길이 등에 따라 인출 케이블(250a, 250b)의 길이는 달라질 수 있다. 각각의 인출 케이블(250a, 250b)가 동일한 경우보다 다양화된 경우가 인접한 인출 케이블(250a, 250b) 간의 간섭을 줄이는 효과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200)의 하우징(260)에서 인출되는 복수 개의 인출 케이블(250a, 250b)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인출 케이블(250a, 250b)의 길이와 다른 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광전복합케이블의 구조를 설명한 뒤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광전복합케이블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다단 탈피된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b)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광전복합케이블(100)은 케이블 코어(105)와 상기 케이블 코어(105)를 감싸는 외피층(1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코어(105)는 전력 공급을 위한 복수의 전력선 유닛(110), 광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광유닛(1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중심부에는 광전복합케이블(100)이 필요 이상으로 꺽이는 것을 방지하거나, 인장력에 대한 지지력 제공하기 위하여 위하여 중심인장선(14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심인장선(145)은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광전복합케이블(100)에 굽힘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이에 반발하는 반발력 또는 인장력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함으로써, 광전복합케이블(100)이 필요 이상으로 꺽이거나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온도 변화에 따른 튜브의 수축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해 광유닛(130) 또는 전력선 유닛(1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중심인장선(145) 외주면에 복수 개의 광유닛(130)이 광전복합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광유닛(130) 층 외측에는 광유닛(13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1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광유닛(130)과 전력선 유닛(110)을 비교해 보면, 상기 광유닛(130)은 전력선 유닛(110)에 비하여 직경이 작고, 광유닛(130)에 구비된 광섬유(133)가 벤딩 또는 단선 등에 상대적으로 더 취약하므로, 중심인장선(145) 바로 외주면에 광유닛(130)을 배치하고, 그 외부를 보호층(140)으로 감싼 후 보호층의 외주면에 전력선 유닛(110)을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코어(105)는 상기 복수의 전력선 유닛(110) 또는 광유닛(130)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충진재(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력선 유닛(110)은 원형의 형태를 가지므로, 이웃한 전력선 유닛 사이에 공극 또는 유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전체 외형이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외부에서 작용하는 휘어짐 또는 충격 등에 취약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 코어(105) 내의 공극을 충진재(120)로 채우고, 상기 충진재(120)의 외형을 원형으로 유지하여 외부에서 작용하는 충격 등에 견딜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코어(105)는 최외곽에 상기 케이블 코어(105)의 외주를 감싸도록 부직포 테이프(15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코어(105) 외측에는 외피층(150)이 구비된다. 상기 외피층(150)은 상기 케이블 코어(105)를 감싸도록 주름산과 주름골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주름(152)이 형성된 금속보호층(1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보호층(151)은 주름산과 주름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주름진(corrugated) 형태로서 알루미늄 등의 금속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보호층(151)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광유닛(130)과 전력선 유닛(110)을 포함하는 케이블 코어(105)와 함께 플레이트 타입의 금속판재를 공급하고, 상기 금속판재를 말아서 케이블 코어의 외부를 감싸도록 성형한 후, 맞닿은 금속판재의 양단부를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합하여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 형태로 제작한다. 이어서, 상기 파이프의 외부로 주름을 형성하도록 소정간격으로 프레싱하여 구성할 수 있다.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최외곽에 구비된 외피층(150)은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광전복합케이블(100)에 포함된 광유닛(130) 및 전력선 유닛(110)을 보호한다.
상기 외피층(150)은 케이블 코어(105)에 내접하며, 상기 케이블 코어(105)를 원형 형태로 둘러싸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케이블 코어(105)를 보호하는 금속보호층(151) 및 상기 금속보호층(151)을 둘러싸는 외부 자켓(1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자켓(155)은 난연 특성이 있고 친환경적인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자켓(155)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코어(105)는 상기 케이블 코어(105)의 외주를 감싸며 상기 전력선 유닛(110)과 광유닛(130)을 원형 형태로 둘러싸는 부직포 테이프(15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테이프(153)는 압축부직포로 내부의 광유닛 및 전력선 유닛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테이프(153)는 테이프 형태의 자재를 횡권하거나 종첨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유닛(130)은 광신호의 전송을 위한 광섬유를 포함하는 어떠한 형태로든 구성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적어도 1심 이상의 광섬유(133)와, 상기 광섬유(133)를 둘러싸는 튜브(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135)는 예를 들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튜브(135) 내에는 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젤리가 충진되거나, 아라미드 얀(aramid yarn)과 같은 인장재(137)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인장재(137)는 인장력이 뛰어나고 유연하여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광유닛(130)은 타이트 버퍼 방식 또는 루즈튜브 방식 등 다양한 형태 중 필요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전력선 유닛(110)은 도체(113) 및 상기 도체(113)를 감싸는 절연체(115)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선 유닛(110)은 일반 전력용으로 이용되는 규격에 준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도체(113)는 서로 꼬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113)는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체(115)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염화비닐 등의 고분자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터미널박스 등에서 전력선 유닛(110)과 광유닛(130)이 분기된 후 RRU(40)와 연결되는 인출 케이블(250a, 250b)을 구성하는 인출 전력선과 광유닛에 각각 접속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터미널박스에 인출 케이블(250a, 250b)을 커넥터 방식으로 연결하는 방법이 적용되었으나, 커넥터 장착공간이 터미널박스 하우징(260) 등에 구비되어야 하므로 터미널박스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으나, 이를 해결함과 동시에 기지국 타워에서 등에서의 작업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복수의 인출 케이블(250a, 250b) 및 하우징(260)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분기구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복수 개의 광유닛 및 복수 개의 전력선 유닛을 구비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을 위한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200)은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이 일단으로 인입되는 하우징(260); 및, 상기 하우징(260) 내에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광유닛 및 전력선 유닛이 분기 또는 접속되어 하우징(260)의 타단을 통해 외측으로 인출되며 단부에 커넥터가 구비된 복수 개의 인출 케이블(250a, 250b);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60)의 타단은 복수 개의 인출 케이블(250a, 250b)이 이격된 상태로 인출되고 수밀 부재로서 몰딩재로 마감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200)는 도 4에 도시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이 일단으로 인입되는 하우징(260); 상기 하우징(260)의 타단 내측에 장착되며, 상기 인출 케이블이 관통 지지되는 복수 개의 지지관 및 상기 지지관이 이격되어 분산 구비되는 지지판을 구비하는 지지부재(230); 상기 하우징(260) 내부에서 분기 또는 접속되는 광유닛 또는 전력유닛을 지지하거나, 광유닛 또는 전력유닛 접속을 위한 커넥터 또는 접속부를 지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부재(240); 및, 상기 지지부재(23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출 케이블이 관통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커버부재(210)를 포함하는 분기구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200)는 하나의 광전복합케이블(100)이 하우징(260)으로 인입된 후 하우징(260) 내에서 복수 개의 인출 케이블(250a, 250b)로 분기되어 하우징(260) 외부로 인출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 케이블(250)은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광유닛(130, 도 2 참조)과 접속되는 인출 광유닛(253b)을 포함하는 광케이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인출 케이블(250)은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전력유닛(110, 도 2 참조)과 접속되는 인출 전력유닛(253a)을 포함하는 전력케이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인출 케이블(250a, 250b)은 인출 광유닛(253b) 또는 인출 전력유닛(253a)을 감싸는 케이블 자켓(255a, 255b) 및 상기 케이블 자켓(255a, 255b)을 외측을 감싸는 주름관 구조의 보호관(257a, 257b)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 케이블(250a, 250b)은 하우징(260) 외측 실외로 노출되는 구성으로 내구성과 밴딩 특성 등을 보강하기 위하여 케이블 자켓(255a, 255b)과 보호관(257a, 257b)을 구비할 수 있다.
물론,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인출 케이블(250a, 250b)은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광유닛과 접속 또는 분기되는 인출 광유닛(253b) 및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전력유닛이 접속 또는 분기되어 구성되는 인출 전력유닛(253a) 모두를 포함하는 복합(광전) 케이블 형태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인출 케이블(250a, 250b)을 광전복합케이블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인출 광유닛(253b) 및 인출 전력유닛(253a)은 하우징(260)으로 인입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전력유닛과 광유닛이 직접 분기되도록 하거나, 별도의 인출 광유닛(253b) 및 인출 전력유닛(253a)과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하우징(260)으로 인입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전력유닛과 광유닛이 각각 하우징(260) 내에서 인출 광유닛(253b)과 인출 전력유닛(253a)과 접속되고 인출 광유닛(253b)과 인출 전력유닛(253a)이 각각 별도의 전력케이블 또는 광케이블 형태의 인출 케이블(250a, 250b)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적어도 하나의 인출 케이블은 광전복합케이블 형태로 구성되어 RRU(40) 장비에 단독으로 연결되어 전력 공급과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200)은 하우징(260)과 인출 케이블(250a, 250b)로 구성되어, 기지국 지상장비 또는 타워에서의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출 케이블(250a, 250b)을 구성하는 인출 광유닛(253b) 또는 인출 전력유닛(253a)의 내측 단부에 커넥터(259a, 259b)가 장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RRU(40) 장비와의 연결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출 케이블(250a, 250b)의 외측 단부에는 커넥터(251a, 251b)가 장착될 수 있다.
인출 전력유닛(253a)의 경우 현장 작업에 큰 어려움이 없으므로 내측 단부에 커넥터를 장착할 수도 있고, 나도체가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인출 광유닛(253b)의 경우 현장 광섬유 접속이 어렵고 전용 장비도 요구되므로 하우징(260) 내로 인입된 광전복합케이블의 광유닛(130)과 인출 광유닛(253b)이 하우징(260) 내에서 접속되는 경우 필수적으로 광커넥터를 통한 접속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200)을 구성하는 인출 케이블(250a, 250b)은 외측 단부에는 그 내부에 구비된 유닛의 종류와 무관하게 커넥터가 장착될 있고, 인출 광유닛(253b)의 경우 내측 단부에 광커넥터(259b)가 구비될 수 있고, 인출 전력유닛(253a)의 경우 내측 단부는 커넥터(259a)가 장착될 수도 있고 나도체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하나의 RRU(40)에 연결되는 케이블은 2개의 전력유닛과 4개의 광유닛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RRU(40)에 연결되는 인출 케이블(250a, 250b)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인 경우 전력케이블로서 하나의 인출 케이블(250a)에 2개의 인출 전력유닛(253a)이 수용되고, 광케이블로서의 하나의 인출 케이블(250b)에 4개의 인출 광유닛(253b)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광유닛은 복수의 광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 광유닛은 상기 광커넥터에서 복수 개로 분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하우징(260)으로 인입되어 분기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광유닛이 다심(예를 들면 12심) 광섬유이고 커넥터가 MPO(Multi-fiber Push On) 커넥터인 경우, 광전복합케이블의 하나의 광유닛과 커넥팅되는 인출 광유닛(253b)의 경우, 하나의 광커넥터에서 복수 개의 인출 광유닛(253b)으로 분기되어 각각의 RRU(40) 장비에 요구되는 규격으로 분기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인출 광유닛(253b)의 내측 단부에 구비된 하나의 광커넥터에서 분기되는 인출 광유닛(253b)은 각각 4개의 광섬유가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광전복합케이블의 광유닛과 1 대 3의 비율로 분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200)은 상기 인출 케이블(250a, 250b)이 관통 지지되는 복수 개의 지지관(233) 및 상기 지지관(233)이 구비되는 지지판(231)을 구비하는 지지부재(230) 및 상기 인출 케이블(250a, 250b)이 관통하도록 상기 지지부재(230)를 상기 하우징(260)에 고정하며 상기 하우징(260)에 체결되는 커버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인출 케이블(250a, 250b)이 하우징(260) 외측으로 바로 인출되는 경우 케이블 간의 교차 또는 꺾임 등이 발생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인출 케이블(250a, 250b)이 관통되며 지지되기 위한 지지관(233)을 구비한 지지부재(230)를 상기 하우징(260) 내측 상부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지지관(233)은 각각의 인출 케이블(250a, 250b)의 인출 위치를 결정하고, 인출 과정에서 인출 케이블(250a, 250b)의 꺾임을 방지하여 내부 유닛들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지지관(233)의 인출 케이블(250a, 250b) 보호를 위하여 상기 지지관(233) 내부로 인출 케이블(250a, 250b)의 케이블 자켓 및 보호관(257a, 257b)까지 배치되도록 인출 케이블(250a, 250b)을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관(233)은 인출 광유닛(253b)을 구비하는 인출 케이블(250b)의 경우 케이블 직경이 작고 바람 등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230)를 통해 이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지지관(233)은 지지판(231)에 분산 및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몰딩재 몰딩시 몰딩재가 주입되는 주입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30)의 지지관(233)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지지판(23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231)의 외경과 상기 하우징(260)의 내경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으므로 후술하는 몰딩재가 지지판(231)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60) 내부 공간 상부에 상기 지지부재(230)의 지지판(231)이 장착된 상태에서 커버부재(21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231)의 테두리부(231p)는 상기 커버부재(2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211) 상부의 걸림턱(211s)에 걸려 커버부재(210)에 대한 체결위치 결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210)는 상기 지지부재(230)의 분리를 방지하고 고정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몰딩재의 주형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60)으로 인입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광유닛 또는 전력유닛과 접속되는 인출 광유닛(253b) 및 인출 전력유닛(253a)의 접속시 커넥터 등이 적용되는 경우 커넥터의 위치를 고정하고 하우징(260) 내에서의 유닛들의 움직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260) 내에 스페이서 부재(2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 부재(240)는 중심부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241)와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의 홈부(243)를 구비하여 접속을 위한 커넥터의 장착을 통한 위치 고정과 각각의 유닛의 우회 경로 등을 제공하며 유닛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페이서 부재(240)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개구부(241)는 유닛 접속을 위한 커넥터 또는 접속부(도체의 접속부)의 위치 고정을 위하여, 커넥터 또는 접속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로 활용될 수 있고, 상기 스페이서 부재(240)의 테두리에 형성된 홈부(243)는 광유닛들의 여장 정리를 위한 광유닛 우회로 또는 전력유닛의 배치를 위한 배치로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 와같이, 상기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200)의 하우징(260)은 원형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60)은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260) 중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이 인입되는 인입부(260b)의 직경(d2)은 상기 인출 케이블(250a, 250b)이 인출되는 상기 하우징(260)의 인출부(260a)의 직경(d1)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우징(260) 형상은 인입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직경 및 인출 케이블(250a, 250b)의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은 지상에 위치한 BBU(Baseband Unit) 및 PSU(Power Supply Unit)과 연결되므로, 상기 기지국에 설치되는 하우징(260)의 하부 또는 일단으로 인입되고, 상기 인출 케이블(250a, 250b)은 상기 하우징(260)의 상부 또는 타단으로 인출되어 RRU(40) 등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60)을 원형 단면을 갖도록 구성하여 설치 액세서리(미도시) 등에 의하여 기지국 타워에 고정되는 방법으로 장착되는 경우 기지국 설치면적 또는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의 조립 및 접속과정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200)은 옥외에 설치되어 비와 눈에 노출되는 환경이므로 수밀 성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종래 인출 케이블(250a, 250b)을 각각 열수축 튜브로 마감하는 방식이 적용되었으나, 인출 케이블(250a, 250b)의 수에 비례하여 작업시간이 길고 인출 케이블(250a, 250b)의 반복적인 움직임에 따라 열수축 튜브가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밀 부재로서 몰딩재를 이용한 실링을 위한 마감을 수행할 수 있다.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200)의 인출 케이블(250a, 250b)의 인출부 영역을 에폭시 등의 몰딩재(e)로 몰딩하여 방수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인출 케이블(250a, 250b)을 더욱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210) 내부에 상기 지지부재(230)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재(230)의 지지판(231)이 상기 커버부재(210)의 내부 걸림턱(211s)에 걸려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210) 내측 공간에 상기 지지부재(230)의 복수 개의 지지관(233)이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부재(230)의 지지관(233) 사이로 에폭시 수지를 주입하여 경화시키면 에폭시가 지지관(233) 사이의 공간과 지지관(233)과 인출 케이블(250a, 250b)의 보호관(257a, 257b) 사의 유격을 실링하며 외부에서의 수분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인출 케이블(250a, 250b)을 구성하는 보호관(257a, 257b)은 주름관 구조로 구성되어 몰딩재 몰딩 후 경화되어, 인출 케이블(250a, 250b)의 고정 기능도 강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버부재(210) 내부의 몰딩재 주입 공정은 하우징(260) 내로 인입되는 광전복합케이블과 인출 케이블(250a, 250b)의 접속 후 기지국 접속 현장에서 수행될 수도 있으나, 인출케이블의 종류와 수량이 확정된 경우라면 공장에서 완제품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및 접속 현장작업은 인출 케이블(250a, 250b)이 지지부재(230)에 장착된 상태로 커버부재(210)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몰딩공정이 수행된 조립체와 광전복합케이블이 인입되고 스페이서가 장착된 하우징(260) 조립체를 조립하며 각각의 유닛을 커넥터 방식 또는 도체 접속 방식으로 접속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210)를 하우징(260) 입구에 장착하여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200)을 완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인출 케이블(250a, 250b)은 하우징(260)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어느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유연한 케이블을 주름관 구조의 보호관(257a, 257b)으로 감싸 구성하므로 인출 케이블(250a, 250b)을 RRU에 연결시에도 장착 방향 또는 장착 위치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자유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성을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200)의 하우징(260) 외부로 인출 케이블(250a, 250b) 연결을 위한 커넥터 형태의 접속유닛을 구비하지 않고, 하우징(260) 내부에서 광전복합케이블의 광유닛 및 전력 유닛을 인출 케이블(250a, 250b)의 인출 광유닛(253b) 및 인출 전력선 유닛과 접속 또는 분기한 후 인출 케이블(250a, 250b)을 하우징(260) 외측으로 단순히 인출하는 구성을 적용하여, 하우징(260) 외측으로 광단자 및 전력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형태의 접속유닛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하우징(260)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종래의 터미널박스와 같이, 복수의 커넥터 등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종래의 터미널박스에 비해 전체적인 시스템의 크기가 줄어들고,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200) 내에서 접속되는 유닛들의 접속을 위하여 커넥터를 이용하여 현장 접속작업의 작업성도 향상시킬 수 있고, 에폭시 등의 몰딩재를 이용하여 수밀 부재를 형성하여 마감하므로 제조 과정의 작업성이 좋고 비용도 낮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광전복합케이블 110 : 전력선 유닛
130 : 광유닛 200 :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
253a : 인출 전력선 유닛 253b : 인출 광유닛
260 : 하우징

Claims (20)

  1. 복수 개의 광유닛 및 복수 개의 전력선 유닛을 구비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을 위한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이 일단으로 인입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광유닛 및 전력선 유닛이 분기 또는 접속되어 하우징의 타단을 통해 외측으로 인출되며, 외측 단부에 커넥터가 구비된 복수 개의 인출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인출 케이블 중 하나 이상의 인출 케이블은 복수 개의 인출 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인출 케이블 중 하나 이상의 인출 케이블은 복수 개의 인출 전력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복수 개의 광유닛과 상기 복수 개의 인출 광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광커넥터를 통한 접속되며,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수밀 부재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광유닛은 복수의 광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 광유닛은 상기 광커넥터에서 복수 개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커넥터는 MPO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커넥터에서 복수 개로 분기되는 상기 인출 광유닛의 개수는 상기 인출 광유닛을 포함하는 인출 케이블의 개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인출 케이블 중 복수 개의 인출 전력유닛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인출 케이블은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전력유닛이 접속되어 구성되는 인출 전력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인출 케이블 중 복수 개의 인출 전력유닛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인출 케이블은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전력유닛이 분기되어 구성되는 인출 전력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은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BBU(Baseband Unit) 및 PSU(Power Supply Unit)에 연결되고,
    상기 인출 전력유닛이 구비된 인출 케이블과 상기 인출 광유닛이 구비된 인출 케이블은 기지국 안테나와 연결된 RRU(Remote Radio Unit) 장비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케이블은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광유닛과 접속되는 인출 광유닛 및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전력유닛이 접속 또는 분기되어 구성되는 인출 전력유닛을 포함하는 복합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케이블 단부에 구비된 커넥터는 광전복합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 부재는 에폭시 몰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케이블은 인출 광유닛 또는 인출 전력유닛을 감싸는 케이블 자켓 및 상기 케이블 자켓을 외측을 감싸는 주름관 구조의 보호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장착되며, 상기 인출 케이블이 관통 지지되는 복수 개의 지지관 및 상기 지지관이 이격되어 분산 구비되는 지지판을 구비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출 케이블이 관통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분기 또는 접속되는 광유닛 또는 전력유닛을 지지하거나, 광유닛 또는 전력유닛 접속을 위한 커넥터 또는 접속부를 지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재의 중심부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 부재의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 중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이 인입되는 인입부의 직경은 상기 인출 케이블이 인출되는 상기 하우징의 인출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판 상부에서 상기 커버부재 단부까지 상기 지지판의 지지관 사이로 몰딩재가 주입되어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지지판의 지지관은 이종 인출 케이블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내경의 크기가 2가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
  18. 제17항에 있어서,
    내경의 크기가 다른 지지관은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되고, 내경이 다른 지지관은 지지판에 분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 접속 어셈블리.
  19. 복수 개의 광유닛 및 복수 개의 전력선 유닛을 구비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을 광유닛, 전력유닛, 또는 광유닛과 인출 전력유닛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인출 케이블로의 분기 접속을 위한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구에 있어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이 일단으로 인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타단 내측에 장착되며, 상기 인출 케이블이 관통 지지되는 복수 개의 지지관 및 상기 지지관이 이격되어 분산 구비되는 지지판을 구비하는 지지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분기 또는 접속되는 광유닛 또는 전력유닛을 지지하거나, 광유닛 또는 전력유닛 접속을 위한 커넥터 또는 접속부를 지지하기 위한 스페이서 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출 케이블이 관통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분기구.
  20. 광전복합케이블이 포함하는 복수 개의 광유닛 및 복수 개의 전력선 유닛로부터 분기구 내부에서 분기 접속되는 복수 개의 인출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복수 개의 광유닛과 광커넥터를 통해 접속되는 인출 광유닛;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의 복수 개의 전력유닛과 접속되는 인출 전력유닛;
    상기 인출 광유닛 또는 인출 전력유닛을 감싸는 케이블 자켓; 및
    상기 케이블 자켓의 외측을 감싸는 주름관 구조의 보호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케이블.
KR1020210005857A 2021-01-15 2021-01-15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 KR20220103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857A KR20220103359A (ko) 2021-01-15 2021-01-15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857A KR20220103359A (ko) 2021-01-15 2021-01-15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359A true KR20220103359A (ko) 2022-07-22

Family

ID=82605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857A KR20220103359A (ko) 2021-01-15 2021-01-15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33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5556B2 (en) Cable assembly
US9104006B2 (en) Terminal box for optical fiber and power line composite cable
US10247899B2 (en) Device for distributing hybrid trunk cable
KR102497929B1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및 광전복합 케이블
US9099216B2 (en) Optical fiber and power line composite cable
AU2020202794B2 (en) Terminal box for optical fiber and power line composite cable and terminal box system
KR101965011B1 (ko) 광전복합 케이블 및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KR102524182B1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KR20160041478A (ko) 광전복합케이블
KR102547076B1 (ko) 광전복합 케이블의 말단 접속 구조체
KR20220103359A (ko)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
CN112217036B (zh) 同轴电缆组件
KR102526856B1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및 광전복합 터미널박스 시스템
KR20240043086A (ko)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및 광전복합 터미널박스 시스템
KR102221902B1 (ko)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KR101486746B1 (ko)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와 장착 장치를 포함하는 조립체
KR20190076932A (ko) 광전복합케이블
KR20200134962A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WO2024071758A1 (ko)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및 광전복합 터미널박스 시스템
KR20200005187A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광전복합 케이블 어셈블리
AU2016317828B2 (en) Device for distributing hybrid trunk cable
KR20160041481A (ko) 광전복합케이블
KR100391091B1 (ko) 광 다심 점퍼 코드 케이블
KR20190086165A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하는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