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102B1 -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 Google Patents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102B1
KR102122102B1 KR1020130167580A KR20130167580A KR102122102B1 KR 102122102 B1 KR102122102 B1 KR 102122102B1 KR 1020130167580 A KR1020130167580 A KR 1020130167580A KR 20130167580 A KR20130167580 A KR 20130167580A KR 102122102 B1 KR102122102 B1 KR 102122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ptical fiber
composite cable
power line
photoelectric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8321A (ko
Inventor
진성수
백종섭
정인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7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102B1/ko
Priority to AU2014201734A priority patent/AU2014201734B2/en
Priority to US14/224,657 priority patent/US9104006B2/en
Publication of KR20150078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8Electro-opti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5Cables for special applications
    • G02B6/4416Heterogeneous cables
    • G02B6/4417High voltage aspects, e.g. in clad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는 광섬유 유닛과 전력선 유닛을 포함하는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이 삽입 및 연결되는 인입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에서 분기된 인입 광섬유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인출 광섬유 유닛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1 중간연결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에서 분기된 인입 전력선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인출 전력선 유닛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2 중간연결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과 상기 인출 전력선 유닛이 조합된 연결 케이블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는 복수의 인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중간연결부와 상기 제2 중간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에서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Terminal box for optical fiber and power line composite cable}
본 발명은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섬유 유닛과 전력선 유닛을 모두 구비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이 연결되는 터미널박스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유닛과 전력선 유닛이 분기되어 인출되는 경우에 그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의 경우에 통신사 기간국 등에서 기지국으로 통신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의 BTS(Base Transceiver Station)에서 전송된 RF 신호가 기지국 안테나부에 인가되어 전송된다. 또한 사용자의 휴대폰에서 전송된 무선신호는 상기 기지국 안테나에 인가되고 인가된 신호는 TMA(Tower Mount Amplifier)를 거쳐 그 신호세기가 증폭되어 BTS에 수신된다. 이때, 상기 기지국과 TMA, 안테나는 동축 급전선으로 연결된다.
그런데, 상기 동축 급전선은 케이블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신호의 손실(loss)이 커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수십 미터 높이의 타워에 상기 안테나를 설치하는 경우에 지상의 기지국과 상기 안테나를 연결하는 동축 급전선에서 손실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 동축 급전선의 손실에 의해 상기 기지국에서 인가된 신호가 상기 안테나에서 요구되는 신호의 세기에 도달하지 못하고 감쇄된다. 따라서 동축 급전선의 감쇠량만큼의 신호를 증폭하여야 하고, 이는 추가적인 전력소모를 야기한다. 또한, 휴대폰에서 송신되어 기지국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는 그 신호세기가 상대적으로 미약하여 손실이 큰 동축 급전선을 사용하여 BTS까지 전달하기 매우 힘들다. 따라서, 안테나의 입력부 측에 상기 감쇄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TMA(Tower Mounted Amplifier)를 설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상기 TMA는 상기 신호를 증폭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전력을 소비하게 되므로, 전체적인 시스템 측면에서 볼 때,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그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광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광섬유 유닛과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선 유닛을 동시에 구비하여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광전복합케이블에서 상기 광섬유 유닛과 전력선 유닛이 분기되어 후속하는 원격무선유닛 등으로 연결되는 연결 케이블을 구성하는 경우에 상기 광섬유 유닛과 전력선 유닛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터미널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섬유 유닛과 전력선 유닛을 포함하는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이 삽입 및 연결되는 인입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에서 분기된 인입 광섬유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인출 광섬유 유닛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1 중간연결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에서 분기된 인입 전력선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인출 전력선 유닛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2 중간연결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과 상기 인출 전력선 유닛이 조합된 연결 케이블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는 복수의 인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중간연결부와 상기 제2 중간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에서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중간연결부와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 사이의 높이는 상기 제2 중간연결부, 인입부 및 인출부에 비해 더 크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부와 인출부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중간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에서 소정 길이로 돌출 연장된 마운트와, 상기 마운트에 구비된 복수개의 입력소켓 및 출력소켓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중간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에 구비된 복수개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은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부가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은 상기 본체의 적어도 2개의 측벽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중간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은 상기 본체의 적어도 2개의 측벽을 경유하여 상기 인출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입부와 인출부는 상기 본체의 동일한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입부와 인출부는 상기 본체의 측벽에서 서로 반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중간연결부는 상기 제2 중간연결부에 비해 상기 인입부와 인출부가 구비된 상기 측벽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중간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본체 내부에서 상기 인입부와 인출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과 인출 광섬유 유닛을 수집하는 제1 가이드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 전력선 유닛과 인출 전력선 유닛을 수집하는 제2 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광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광섬유 유닛과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선 유닛을 동시에 구비하여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를 제공하여 FTTA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에 전력소모를 줄이고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전복합케이블에서 상기 광섬유 유닛과 전력선 유닛이 분기되어 후속하는 원격무선유닛 등으로 연결되는 연결 케이블을 구성하는 경우에 상기 광섬유 유닛과 전력선 유닛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터미널박스를 구성하여 상기 터미널박스에 의해 FTTA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에 그 구축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을 구비한 이동통신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광전복합케이블이 연결되는 터미널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상기 터미널박스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일부 측멱을 생략한 사시도,
도 7은 상기 터미널박스에서 인입 광섬유 유닛과 인출 광섬유 유닛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상기 터미널박스에서 인입 전력선 유닛과 인출 전력선 유닛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상기 터미널박스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100)을 구비한 이동통신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종래의 TMA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의 전력소비의 및 유지보수의 비효율적인 단점을 보완한 것이 RRU(Remote Radio Unit)이다. RRU는 종래의 BTS에서 RU(RF Unit)를 분리하여 기지국 Tower의 상단에 배치하고 원격(Remote)으로 제어한다. 여기서, RRU 장비와 RU가 분리된 기존 BTS의 나머지 부분 즉, BBU(Baseband Unit)은 길이당 감쇠가 거의 없는 광케이블로 연결되며, 추가적으로 RRU에 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전력케이블이 구비된다. 또한, RRU가 기지국 안테나와 함께 기지국 Tower 상단에 설치되므로 기지국 안테나와 RU를 연결하는 동축 급전선의 길이는 최소화 된고, TMA는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동축 급전선 감쇄량에 따른 추가적인 신호 증폭이 필요 없고 기지국의 유지보수 효율성은 증가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RRU를 구비한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은 통신사 기간국 또는 사용자의 휴대폰과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며, 전력공급원(예를 들어, 한국전력)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10), 상기 기지국(10)과 원격무선유닛(Remote Radio Unit, RRU)(300)을 광학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광전복합케이블(100),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에서 광섬유 유닛과 전력선 유닛을 분리하는 광전 복합케이블용 실외 종단처리함(outdoor terminal)(이하, '터미널 박스(terminal box)'라 함)(200), 상기 광전 터미널 박스(200)에서 분리된 광섬유 유닛 및 전력선 유닛으로부터 광신호 및 전력을 전송받거나 또는 상기 터미널 박스(200)에서 분리된 광섬유 유닛으로 광신호를 전송하는 원격무선유닛(300), 상기 원격무선유닛(300)로부터 무선 통신신호 및 전력을 전송받거나 또는 상기 원격무선유닛(300)로 무선 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안테나(20)를 포함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광섬유를 구비한 광섬유 유닛은 동축 케이블과 비교하여 케이블의 길이에 따른 신호 손실이 상대적으로 매우 작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광신호를 광섬유에 의해 안테나의 입력부까지 최대한 인접하여 전달하게 되면, 신호의 감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원격무선유닛(300)은 안테나 입력단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광섬유를 통해 전달된 광신호를 안테나에서 방사가 가능한 RF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안테나에 인가되는 신호의 손실에 의한 감쇄량이 최소로 줄게 되며, 종래의 많은 전력을 소비하던 TMA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100)은 기지국(10)에서 원격무선유닛(40)까지 연결되어 광섬유를 구비한 광섬유 유닛(130, 도 3 참조)과, 원격무선유닛(40)에 인가되는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선 유닛(110, 도 3 참조)을 동시에 구비한 하이브리드(hybrid) 형태의 케이블로 제공된다. 이러한 광전복합케이블(100)을 사용하게 되면, 광섬유 유닛과 전력선 유닛을 분리한 구조에 비해 안테나가 구비된 타워에 설치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며, 복수의 원격무선유닛(40)을 단일 광전복합케이블(100)에 의해 연결하게 되므로 설치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광전복합케이블(100)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복합케이블(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광전복합케이블(100)은 케이블 코어(105)와 상기 케이블 코어(105)를 감싸는 외피층(150)을 구비한다.
상기 케이블 코어(105)는 전력을 공급하는 복수의 전력선 유닛(110), 광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광섬유 유닛(13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코어(105)는 상기 복수의 전력선 유닛(110)과 광섬유 유닛(130) 사이의 간극을 메우며 그 외주가 원형 형상을 가지는 충진재(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피층(150)은 상기 케이블 코어(105)를 감싸도록 주름산(152A)과 주름골(152B)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주름(152)이 형성된 금속보호층(151)을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케이블 코어(105)는 상기 케이블 코어(105)의 외주를 감싸는 부직포 테이프(15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 전력선 유닛(110)은 도체(113) 및 상기 도체(113)를 감싸는 절연체(115)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선 유닛(110)은 일반 전력용으로 이용되는 규격에 준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도체(113)는 서로 꼬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113)는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체(115)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염화비닐 등의 고분자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섬유 유닛(130)은 광신호의 전송을 위한 광섬유를 포함하는 어떠한 형태로든 구성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적어도 1심 이상의 광섬유(133)와, 상기 광섬유(133)를 둘러싸는 튜브(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135)는 예를 들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튜브(135) 내에는 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젤리가 충진되거나, 아라미드 얀(aramid yarn)과 같은 인장재(137)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인장재(137)는 인장력이 뛰어나고 유연하여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최외곽에 구비된 외피층(150)은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광전복합케이블(100)에 포함된 광섬유 유닛(130) 및 전력선 유닛(110)을 보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외피층(150)은 케이블 코어(105)에 내접하며, 상기 케이블 코어(105)를 원형 형태로 둘러싸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케이블 코어(105)를 보호하는 금속보호층(151) 및 상기 금속보호층(151)을 둘러싸는 외부 피복층(1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보호층(151)은 주름산(152A)과 주름골(152B)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주름진(corrugated) 형태로서 알루미늄 등의 금속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보호층(151)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광섬유 유닛과 전력선 유닛을 포함하는 케이블 코어와 함께 플레이트 타입의 금속판재를 공급하고, 상기 금속판재를 말아서 케이블 코어의 외부를 감싸도록 성형한 후, 맞닿은 금속판재의 양단부를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합하여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 형태로 제작한다. 이어서, 상기 파이프의 외부로 주름을 형성하도록 소정간격으로 프레싱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주름골(152B)의 내경(Di)과 상기 케이블 코어(105)의 외경(Dc) 사이의 관계가 중요한 바,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살펴본다.
한편, 상기 외부 피복층(155)은 난연 특성이 있고 친환경적인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피복층(155)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코어(105)는 상기 케이블 코어(105)의 외주를 감싸며 상기 전력선 유닛(110)과 광섬유 유닛(130)을 원형 형태로 둘러싸는 부직포 테이프(15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테이프(153)는 압축부직포로 내부의 광섬유 유닛 및 전력선 유닛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부직포 테이프(153)는 테이프 형태의 자재를 횡권하거나 종첨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에서 케이블 코어(105) 내의 공극은 충진재(120)로 매워질 수 있다. 즉, 상기 전력선 유닛(110)은 원형의 형태를 가지게 되므로, 이웃한 전력선 유닛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전체 외형이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외부에서 작용하는 휘어짐 또는 충격 등에 취약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 코어(105) 내의 공극을 충진재(120)로 채우고, 상기 충진재(120)의 외형을 원형으로 유지하여 외부에서 작용하는 충격 등에 견딜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광전복합케이블(100)은 그 내부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케이블 코어(105)의 내부에 복수 개의 광섬유 유닛(130)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 유닛(130)의 외주를 따라 상기 전력선 유닛(110)이 배치됨을 알 수 있다. 광섬유 유닛(130)과 전력선 유닛(110)을 비교해 보면, 광섬유 유닛(130)에 구비된 광섬유(133)가 벤딩 또는 단선 등에 상대적으로 더 취약하므로, 광섬유 유닛(130)을 내측에 구비하여 보호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전력선 유닛(110)과 복수 개의 광섬유 유닛(130) 사이에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 유닛(130)을 감싸며 보호하는 보호층(1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중앙부에는 광전복합케이블(100)이 필요 이상으로 꺽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심인장선(14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심인장선(145)은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광전복합케이블(100)에 굽힘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이에 반발하는 반발력을 제공함으로써, 광전복합케이블(100)이 필요 이상으로 꺽이는 것을 방지하며, 온도 변화에 따른 튜브의 수축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해 광섬유 유닛(1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터미널박스(200)에서 전력선 유닛(110)과 광섬유 유닛(130)이 분기되고, 상기 전력선 유닛(110)과 광섬유 유닛(130)을 적절한 숫자로 조합하여 연결 케이블(50, 도 2 참조)을 형성하여 후속하는 원격무선유닛(40)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은 상기 터미널박스(200)로 인입되어,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을 구성하는 전력선 유닛(110)과 광섬유 유닛(130)이 개별 단위로 분기된다. 나아가, 상기 원격무선유닛(40)으로 연결되는 연결케이블(50)을 구성하도록 상기 터미널박스(200) 내에서 상기 전력선 유닛(110)과 광섬유 유닛(130)이 적절한 숫자로 조합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박스(200)의 내부에서 상기 전력선 유닛(110)과 광섬유 유닛(130)이 분기되어 연결케이블(50)로 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력선 유닛(110)과 광섬유 유닛(130)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저하시켜 상기 터미널박스(200)를 구성하는 시간 및 비용을 증가시키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박스(200)는 그 내부에서 상기 전력선 유닛(110)과 광섬유 유닛(130)이 분기되어 연결케이블(50)로 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력선 유닛(110)과 광섬유 유닛(13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는 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광전복합케이블이 연결되는 터미널박스(2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터미널박스(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01)과, 상기 하우징(20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이 삽입 및 연결되는 인입부(210)와, 상기 하우징(20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광섬유 유닛과 상기 전력선 유닛이 조합된 연결 케이블(50)이 상기 하우징(201)의 외부로 인출되는 복수의 인출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적어도 일단부는 상기 외부피복층(155), 금속보호층(151) 및 부직포테이프(153)가 순차적으로 벗겨져서 상기 터미널 박스(200)에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은 상기 터미널 박스(200)에 소정 길이로 삽입 및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터미널 박스(200)의 인입부(210)에 연결되도록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일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195)를 구비한 연결구(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일단부는 상기 터미널 박스(200)의 인입부(210)에 연결되도록 상기 외부피복층(155), 금속보호층(151) 및 부직포테이프(153)가 순차적으로 벗겨져서 내부의 전력선 유닛(100)과 광섬유 유닛(130)이 터미널 박스(200)의 내측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의 노출된 일단부를 보호하면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이 상기 터미널 박스(200)의 내측으로 소정길이 이상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연결구(19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연결구(190)는 예를 들어 열수축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190)가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일단부에 구비되면, 상기 외부피복층(155), 금속보호층(151) 및 부직포테이프(153)이 벗겨지는 경우에 단차부(195)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피복층(155)이 벗겨진 경우에 상기 금속보호층(151)의 외부에 구비된 연결구(190)에 단차부(195)가 형성되며, 상기 금속보호층(151)에서 상기 단차부(195)의 두께는 상기 외부피복층(155)의 두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터미널 박스(200)의 인입부(210)의 내측에는 소정의 내경을 가지는 단턱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턱부(212)이 내경은 상기 외부피복층(155)의 외경보다 작게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의 일단부를 상기 인입부(210)에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연결구(190)의 단차부(195)가 상기 단턱부(212)에 걸리어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이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하, 상기 터미널박스(20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터미널박스(2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내부 구성을 보다 명확히 도시하기 위하여 도 5에서 일부 측벽을 절개하여 도시한다. 도 5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이 하나의 광섬유 유닛(130)과 두 개, 즉 한 쌍의 전력선 유닛(110)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에 포함되는 광섬유 유닛(130)과 전력선 유닛(110)의 숫자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터미널박스(200)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연결케이블(50)도 하나의 광섬유 유닛(130)과 두 개, 즉 한 쌍의 전력선 유닛(110)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이 또한 일예에 불과하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터미널박스(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01)과, 상기 하우징(20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이 삽입 및 연결되는 인입부(210)와, 상기 하우징(20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201)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에서 분기된 인입 광섬유 유닛(130A)과, 상기 하우징(201)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인출 광섬유 유닛(130A')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1 중간연결부(300)와, 상기 하우징(20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201)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에서 분기된 인입 전력선 유닛(110A, 110B)과, 상기 하우징(201)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인출 전력선 유닛(110A', 110B')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2 중간연결부(400)와, 상기 하우징(20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130A')과 상기 인출 전력선 유닛(110A', 110B')이 조합된 연결 케이블(50)이 상기 하우징(201)의 외부로 인출되는 복수의 인출부(23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와 상기 제2 중간연결부(400)는 상기 하우징(201)의 베이스(203)에서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박스(200)의 하우징(201)은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201)은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부가 개구된 본체(202)와 상기 본체(202)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20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204)는 상기 본체(202)의 일측에 힌지(205) 등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커버(204)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본체(202)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204)와 상기 본체(202)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204)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잠금장치(206)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204)와 상기 본체(202)의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커버(204)가 닫히는 경우에 외부의 습기와 같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가스킷과 같은 밀폐수단(208)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201)은 상기 터미널박스(200)가 설치되는 환경을 고려하여 외부의 눈, 비, 햇빛을 비롯한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견고히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 구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은 상기 하우징(201)의 인입부(210)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201)의 내측으로 인입되며, 상기 하우징(201)의 인입부(210)의 내측에는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을 지지 및 고정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전복합케이블(100)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타입의 지지부(500)와 상기 지지부(500)에 연결되어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을 고정하는 고정부(5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0)는 하우징(201)의 베이스(203)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510)는 상기 지지부(500)에 연결되어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을 수취하는 스테인레스 스틸 밴드(stainless steel ban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을 구성하는 전력선 유닛(110)과 광섬유 유닛(130)이 상기 하우징(201)의 내측에서 각각 개별적으로 모두 분기된다.
상기 하우징(201)의 내측에는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에서 분기되어 상기 하우징(201)의 내부로 인입된 인입 광섬유 유닛(130A)과 상기 하우징(201)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인출 광섬유 유닛(130A')을 서로 광학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중간연결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01)의 내측에는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에서 분기되어 상기 하우징(201)의 내부로 인입된 인입 전력선 유닛(110A, 110B)과 상기 하우징(201)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인출 전력선 유닛(110A', 110B')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중간연결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터미널박스(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01)은 제작 및 조립의 간편화를 도모하고, 나아가 설치면적의 감소를 위하여 최적화된 부피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01)의 내부 부피는 협소할 수 있다. 결국, 전술한 제1 중간연결부(300)와 제2 중간연결부(400)를 상기 하우징(201)의 내부에 모두 구비하고,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130A)과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130A')을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에 서로 연결하고, 나아가 상기 인입 전력선 유닛(110A, 110B)과 상기 인출 전력선 유닛(110A', 110B')을 상기 제2 중간연결부(400)에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 상기 광섬유 유닛(130)과 전력선 유닛(110) 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간섭은 상기 광섬유 유닛(130)과 전력선 유닛(110)의 배치를 어렵게 하며, 나아가 상기 터미널박스(200)의 내부 구성을 구성하는 시간 및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박스(200)는 상기 하우징(201)의 내부에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와 제2 중간연결부(400)를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하우징(201)의 베이스(203)에서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와 제2 중간연결부(400)까지 높이(또는 거리)를 달리하여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와 상기 제2 중간연결부(400)는 상기 광섬유 유닛(130)과 상기 전력선 유닛(110)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201)의 내측에서 서로 다른 가상의 평면에 구비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01)의 베이스(203)에서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와 제2 중간연결부(400)까지 높이(또는 거리),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에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130A)과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130A')이 연결되는 입출력소켓(312)의 높이 및 상기 제2 중간연결부(400)에 상기 인입 전력선 유닛(110A, 110B)과 상기 인출 전력선 유닛(110A', 110B')이 연결되는 입출력단자(412)의 높이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와 연결되는 광섬유 유닛(130)과 상기 제2 중간연결부(400)와 연결되는 전력선 유닛(11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상기 터미널박스(200)의 내부에서 인입 광섬유 유닛(130A)과 인출 광섬유 유닛(130A')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의 측면도이다. 도 8에서는 광섬유 유닛(130)의 연결관계를 명확히 도시하기 위하여 전력선 유닛(110)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도 10에서는 광섬유 유닛(130)과 전력선 유닛(110)을 모두 생략하였다. 아울러, 도 8에서는 인입 광섬유 유닛(130A)과 인출 광섬유 유닛(130A')을 구별하여 도시하였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01)의 내측에는 상기 하우징(201)의 내부로 인입된 인입 광섬유 유닛(130A)과 상기 하우징(201)의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 광섬유 유닛(130A')이 서로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와 상기 하우징(201)의 베이스(203) 사이의 높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에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130A)과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130A')이 연결되는 입출력소켓(312)의 높이는 상기 전력선 유닛(110)이 연결되는 제2 중간연결부(400)에 비해 더 높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와 상기 하우징(201)의 베이스(203) 사이의 높이는 상기 인입부(210) 및 인출부(230)에 비해서도 더 높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박스(200)에서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 제2 중간연결부(400), 인입부(210) 및 인출부(230) 중에서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가 상기 하우징(201)의 베이스(203)에서 제일 높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입부(210)와 인출부(230)는 상기 하우징(201)의 베이스(203)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와 제2 중간연결부(400)가 도 8의 평면도와 같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와 제2 중간연결부(400)는 상기 하우징(201)의 베이스(203)에서 그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므로 상기 광섬유 유닛(130)과 상기 전력선 유닛(110)을 각각 연결하는 경우에 간섭 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는 상기 하우징(201)의 베이스(203)에서 소정 길이로 돌출 연장된 마운트(310)와, 상기 마운트(310)에 구비된 복수개의 입출력소켓(31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운트(310)는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를 견고히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201)과 동일하게 알루미늄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310)의 상단부에는 인입 광섬유 유닛(130A)이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입력소켓(312A)과, 상기 입력소켓(312A)에 대응하는 출력소켓(312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출력소켓(312A')에는 인출 광섬유 유닛(130A')이 광학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광섬유 유닛(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복수개의 광섬유(133)를 구비한다. 상기 광섬유(13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축 급전선과 비교하여 케이블의 길이에 따른 신호 손실이 상대적으로 매우 작다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 벤딩과 같은 외부에서 작용하는 기계적인 힘에 매우 취약한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130A) 또는 인출 광섬유 유닛(130A')을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130A) 또는 인출 광섬유 유닛(130A')에 작용하는 벤딩력이 최소로 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벤딩력을 최소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130A)을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의 입력소켓(312A)에 연결하기 위하여 절곡시키는 경우에 가능한 최대한의 반경을 가지는 원호를 형성하도록 절곡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130A)이 상기 인입부(210)를 통과한 직후에 바로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의 입력소켓(312A)에 연결된다면,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130A)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궤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반경의 원호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130A)에 상대적으로 큰 벤딩력이 작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130A)의 내측에 구비된 광섬유(133)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130A)이 상기 인입부(210)를 지나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에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하우징(201)의 본체(202)를 구성하는 측벽(209) 중에 적어도 2개의 측벽(209)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에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130A)이 적어도 2개의 측벽(209A, 209B)을 경유한다는 의미는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130A)이 상기 본체(202)의 내측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측벽(209A, 209B)에 인접한 이동궤적을 구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130A)이 상기 본체(202)의 적어도 2개의 측벽(209A, 209B)을 경유, 즉 상기 적어도 2개의 측벽(209A, 209B)에 인접하여 배치되면,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130A)이 형성되는 이동궤적은 상대적으로 큰 반경을 가지는 원호를 형성하게 되어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130A)에 가해지는 벤딩력을 최소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의 출력소켓(312A')에 그 일단부가 연결되고 그 타단부는 인출부(230)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 광섬유 유닛(130A')도 유사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130A')은 그 일단부가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의 출력소켓(312A')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202)의 적어도 2개의 측벽(209B, 209C)을 경유하여 상기 인출부(230)에 연결되어 외부로 인출된다.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인입 광섬유 유닛과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130A) 및 인출 광섬유 유닛(130A')을 배치하는 경우에 상기 각 광섬유 유닛(130)은 상기 하우징(201)의 내부에서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인입 광섬유 유닛(130A) 및 인출 광섬유 유닛(130A')을 배치한 후에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130A) 및 인출 광섬유 유닛(130A')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20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130A)과 인출 광섬유 유닛(130A')을 수집하는 제1 가이드(6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600)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되어 상기 복수의 인입 광섬유 유닛(130A)과 인출 광섬유 유닛(130A')을 수집하여 모을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600)는 적절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130A)과 인출 광섬유 유닛(130A')이 경유하는 측벽(209) 또는 베이스(203)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중간연결부(400)는 상기 하우징(201)의 베이스(203)에 배치된 복수개의 입력단자(412A, 412B) 및 출력단자(412A', 412B')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살펴본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부(210)와 인출부(230)는 상기 본체(202)의 동일한 측벽(209D)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인입부(210)와 인출부(230)가 상기 본체(202)의 동일 측벽(209D)에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인입부(210)와 인출부(230)는 상기 본체(202)의 측벽(209D)에서 서로 반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측벽(209D)을 중앙의 가상의 수직선을 중심으로 2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경우에 상기 인입부(210)와 인출부(230)는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는 상기 제2 중간연결부(400)에 비해 상기 인입부(210)와 인출부(230)가 구비된 상기 측벽(209D)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130A)과 인출 광섬유 유닛(130A')이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에 연결되는 경우에 충분히 큰 반경을 가지는 원호의 형상을 따라 이동궤적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는 상기 하우징(201)의 본체(202) 내부에서 상기 인입부(210)와 인출부(2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가 상기 인입부(210)와 인출부(230) 중에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구비된다면, 상기 인입부(210)를 통해 인입되는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130A) 및 상기 인출부(230)를 통해 인출되는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130A') 중에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에 간섭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하우징(201)의 내부에서 상기 전력선 유닛(110)의 배치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상기 터미널박스(200)에서 상기 인입 전력선 유닛(110A, 110B)과 인출 전력선 유닛(110A', 110B')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다. 도 9에서는 전력선 유닛(110)의 연결관계를 명확히 도시하기 위하여 광섬유 유닛(130)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도 10에서는 광섬유 유닛(130)과 전력선 유닛(110)을 모두 생략하였다. 아울러, 도 9에서는 상기 인입 전력선 유닛(110A, 110B)과 인출 전력선 유닛(110A', 110B')을 구별하여 도시하였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0)에서 분기된 인입 전력선 유닛(110A, 110B)은 상기 인입부(210)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201)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제2 중간연결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제2 중간연결부(400)는 상기 제1 중간연결부(300)와 그 높이를 달리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201)의 베이스(203)에 직접 구비된 복수개의 입력단자(412A, 412B)와 출력단자(412A', 412B')를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한 쌍의 인입 전력선 유닛(110A, 110B)을 도시하므로,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중간연결부(400)도 한 쌍(410A, 410B)을 구비한다. 나아가, 상기 한 쌍의 제2 중간연결부(400)는 각각 입력단자(412A, 412B)와 출력단자(412A', 412B')를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한 쌍의 인입 전력선 유닛(110A, 110B)은 상기 입력단자(412A, 412B)에 연결되며, 상기 인출 전력선 유닛(110A', 110B')은 상기 출력단자(412A', 412B')에 그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인출부(230)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한편, 상기 전력선 유닛(110)은 전술한 광섬유 유닛(130)에 비해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여 상기 광섬유 유닛(130)과 같이 그 이동궤적을 조절하기 위한 배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하지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 전력선 유닛(110A, 110B) 및 인출 전력선 유닛(110A', 110B')도 상기 본체(202)의 적어도 1개의 측벽(209)을 경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인입 전력선 유닛(110A, 110B) 및 인출 전력선 유닛(110A', 110B')을 배치하는 경우에 상기 각 전력선 유닛(110)은 상기 하우징(201)의 내부에서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인입 전력선 유닛(110A, 110B) 및 인출 전력선 유닛(110A', 110B')을 배치한 후에 상기 인입 전력선 유닛(110A, 110B) 및 인출 전력선 유닛(110A', 110B')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20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 전력선 유닛(110A, 110B)과 인출 전력선 유닛(110A', 110B')을 수집하는 제2 가이드(7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700)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된 타이(ti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700)는 상기 복수의 인입 전력선 유닛(110A, 110B)과 인출 전력선 유닛(110A', 110B')을 수집하여 모을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700)는 적절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인입 전력선 유닛(110A, 110B)과 인출 전력선 유닛(110A', 110B')이 경유하는 측벽(209)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광전복합케이블
110..전력선 유닛
113..전력선
115..절연피복층
130..광섬유 유닛
133..광섬유
135..시스
137..인장재
200..터미널 박스

Claims (10)

  1. 광섬유 유닛과 전력선 유닛을 포함하는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이 삽입 및 연결되는 인입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에서 분기된 인입 광섬유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인출 광섬유 유닛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1 중간연결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에서 분기된 인입 전력선 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인출 전력선 유닛을 서로 연결시키는 제2 중간연결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과 상기 인출 전력선 유닛이 하나의 케이블화되어 구성된 복수의 연결 케이블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는 복수의 인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중간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 연장된 마운트와, 상기 마운트에 구비된 복수개의 입력소켓 및 출력소켓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중간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에 구비된 복수개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중간연결부의 입력소켓 및 출력소켓의 상기 베이스로부터의 높이는 상기 제2 중간연결부의 복수개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와 인출부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부가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본체의 적어도 2개의 측벽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중간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인출 광섬유 유닛은 상기 제1 중간연결부에서 상기 본체의 적어도 2개의 측벽을 경유하여 상기 인출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와 인출부는 상기 본체의 동일한 측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와 인출부는 상기 본체의 측벽에서 서로 반대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연결부는 상기 제2 중간연결부에 비해 상기 인입부와 인출부가 구비된 상기 측벽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본체 내부에서 상기 인입부와 인출부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 광섬유 유닛과 인출 광섬유 유닛을 수집하는 제1 가이드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 전력선 유닛과 인출 전력선 유닛을 수집하는 제2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KR1020130167580A 2013-12-30 2013-12-30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KR102122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580A KR102122102B1 (ko) 2013-12-30 2013-12-30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AU2014201734A AU2014201734B2 (en) 2013-12-30 2014-03-24 Terminal box for optical fiber and power line composite cable
US14/224,657 US9104006B2 (en) 2013-12-30 2014-03-25 Terminal box for optical fiber and power line composite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580A KR102122102B1 (ko) 2013-12-30 2013-12-30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321A KR20150078321A (ko) 2015-07-08
KR102122102B1 true KR102122102B1 (ko) 2020-06-11

Family

ID=53481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580A KR102122102B1 (ko) 2013-12-30 2013-12-30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04006B2 (ko)
KR (1) KR102122102B1 (ko)
AU (1) AU2014201734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89288B2 (ja) * 2014-07-02 2018-03-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実装用ケーブル、および集合ケーブル
JP6156308B2 (ja) * 2014-09-24 2017-07-05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WO2017016229A1 (zh) * 2015-07-24 2017-02-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分纤及配电装置及通信站点
US10802237B2 (en) * 2015-11-03 2020-10-13 Raycap S.A. Fiber optic cable management system
CN107276010A (zh) * 2017-07-25 2017-10-20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多功能光纤复合低压电缆接续盒及接续方法
KR102526856B1 (ko) * 2018-07-06 2023-04-2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및 광전복합 터미널박스 시스템
US11510329B2 (en) * 2018-11-15 2022-11-22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Scalable-bandwidth aggregation for rack-scale servers
KR20210007116A (ko) * 2019-07-10 2021-01-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동축 케이블 어셈블리
US11823817B2 (en) * 2020-02-04 2023-11-21 Structured Home Wiring Direct, LLC Composite hybrid cab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08227A1 (en) * 2011-10-26 2013-05-02 Mark Edward Conner Composite cable breakou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54703C (zh) * 2004-02-28 2009-01-21 王甘雨 光电复合网络单元
US7546018B2 (en) * 2007-01-13 2009-06-09 Ofs Fitel, Llc Fiber optic cabling for multi-dwelling unit (MDU) and commercial building deployments
KR101253889B1 (ko) * 2011-03-10 2013-04-16 이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광케이블 단자함
KR20130022045A (ko) * 2011-08-24 2013-03-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08227A1 (en) * 2011-10-26 2013-05-02 Mark Edward Conner Composite cable breakou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321A (ko) 2015-07-08
AU2014201734A1 (en) 2015-07-16
AU2014201734B2 (en) 2015-12-24
US20150185430A1 (en) 2015-07-02
US9104006B2 (en) 201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102B1 (ko)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KR102497929B1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및 광전복합 케이블
KR20130022045A (ko) 광전 복합케이블용 종단처리함
KR20150078265A (ko) 광전복합케이블
KR20160041478A (ko) 광전복합케이블
KR101965011B1 (ko) 광전복합 케이블 및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KR102547076B1 (ko) 광전복합 케이블의 말단 접속 구조체
KR20200134674A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및 광전복합 터미널박스 시스템
KR20190086163A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KR102221902B1 (ko)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KR20140121551A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
CN112217036B (zh) 同轴电缆组件
KR102526856B1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및 광전복합 터미널박스 시스템
KR20190076932A (ko) 광전복합케이블
CN205427253U (zh) 一种中继箱
KR20160041481A (ko) 광전복합케이블
CN101887782B (zh) 防雷光电缆
KR101449634B1 (ko) 조가선에 설치되는 lte 서비스용 광 중계기
US11056842B2 (en) Jumper cable with capacitive power enhancement and/or overvoltage protection
WO2016006858A1 (ko) 광전복합 케이블 및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KR20240043086A (ko) 광전복합케이블용 터미널박스 및 광전복합 터미널박스 시스템
KR20220103359A (ko) 광전복합케이블 분기 접속 어셈블리
KR20190086165A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하는 광전복합 케이블용 터미널박스 시스템
KR20200005187A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광전복합 케이블 어셈블리
KR102480195B1 (ko) 누설동축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누설동축케이블 양단 급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