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086A - 차량용 에어클리너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086A
KR20160041086A KR1020140134013A KR20140134013A KR20160041086A KR 20160041086 A KR20160041086 A KR 20160041086A KR 1020140134013 A KR1020140134013 A KR 1020140134013A KR 20140134013 A KR20140134013 A KR 20140134013A KR 20160041086 A KR20160041086 A KR 20160041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cover member
housing
engaging memb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병국
신평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한
Priority to KR1020140134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1086A/ko
Publication of KR20160041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F02M35/0202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terials for air cleaner housings
    • F02M35/0203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terials for air cleaner housings by using clamps, catches, locks or the like, e.g. for disposable plug-in filter cart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16Fixing, mounting, supporting or arranging filter elements; Filter element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차량의 엔진 계통으로 공급하는 배기구 및 내부 공간부에 필터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록킹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 가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탄성부재 설치 위치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후킹되는 걸림부재; 상기 하우징의 상기 걸림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는 제 1 걸림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탄성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록킹위치에서 상기 탄성부재가 후킹 결합되는 제 2 걸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장착 위치에서 상기 제 1 걸림부와 마주보는 면의 각도가 4 내지 6도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클리너 {Air cleaner for vehicle}
본 실시예는 공기 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 줄 수 있는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내연기관 엔진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이를 연료와 혼합하여 연소시켜 동력을 형성한다. 즉,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는 각종 연료 공급장치를 통과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혼합되어 엔진 내부의 실린더로 분사됨과 동시에 피스톤의 흡입, 압축, 폭발, 배기 행정에 따른 왕복이동을 반복하여 자동차가 동력을 얻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엔진을 운전하는 데는 일정량의 공기를 필요로 하는데, 외부 공기를 그대로 흡입하여 사용할 경우,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엔진의 연소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엔진의 연소에 사용되는 공기는 이물일지 최대한 제거된 공기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차량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는 에어클리너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이 분리될 수 있다. 즉, 흡입된 공기는 에어클리너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어 필터부재에 의해 오염물질이 제거된 후, 에어클리너 하우징에 연결된 에어 인테이크 호스를 통해 흡기 매니폴드로 이동하여 엔진으로 공급된다. 흡기 매니폴드는 에어클리너를 사이에 두고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필터를 지나 반대쪽으로 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필터를 통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불순물을 여과한 후 정화된 공기를 엔진으로 공급하여 연소 작동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에어클리너의 일반적인 구성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1599호(2013. 06. 11. 공개) 등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에어클리너는 일정 기간 이상 사용할 경우, 필터부재의 수명이 도과하여 이를 교체해야 공기의 필터링 작업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부재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커버부재의 체결 등을 풀어내는 등의 에어클리너의 분해 작업을 필요로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서랍식으로 간편하게 필터부재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공개된 한국 공개실용 제20-2012-0004507호 등에는 이와 같이 서랍식으로 필터부재를 삽입 및 탈착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서랍식 구조에 있어서, 필터 제거를 위한 회동 개폐 가능한 커버부재는 폐쇄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 수단을 필요로 하며, 특히 탄성부재 및 힌지 등과 같은 회전을 위한 부품들이 설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회동 부품들은 장기간 사용할 경우, 수지 재질의 몸체의 부식 및 변형 등으로 인해 회동 개폐 부품들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필터부재를 교체하기 위하여 커버를 오픈 또는 폐쇄하는 과정 중에 커버부재가 파손되어 에어클리너 전체를 교체해야 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에 주기적으로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 이러한 부품들이 충격을 받아, 커버가 의도하지 않게 오픈 되어 필터부재가 탈거될 수도 있다.
한국 공개실용 제20-2012-0004507호(2012.06.25. 공개)
본 실시예는 에어클리너의 필터부재의 교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커버부재의 개폐구조를 개선하여, 장기간 사용 시에도 사용자 편이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에어클리너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차량의 엔진 계통으로 공급하는 배기구 및 내부 공간부에 필터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록킹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 가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탄성부재 설치 위치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후킹되는 걸림부재; 상기 하우징의 상기 걸림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는 제 1 걸림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탄성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록킹위치에서 상기 탄성부재가 후킹 결합되는 제 2 걸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장착 위치에서 상기 제 1 걸림부와 마주보는 면의 각도가 4 내지 6도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걸림부재가 형성된 부분의 끝단이 상기 하우징과 일정 거리 이격 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 1 걸림부와 마주보는 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직선인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재의 상기 제 1 걸림부와 마주보는 면은 중력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의 상기 제 1 걸림부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쪽 면은 상기 면과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의 단면이 사다리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걸림부와 근접한 위치에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는 걸림부재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 안착홈은 상기 걸림부재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 안착홈은 상기 걸림부재보다 크게 형성되어, 커버부재의 장착 위치에서 상기 제 1 걸림부를 마주보는 면이 상기 걸림부재와 일정 거리 이격 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흡기구가 형성되는 제 1 몸체; 및 상기 커버부재가 결합되며, 배기구가 형성되는 제 2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후킹 결합을 해제한 후에 상기 걸림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와 탄성부재는 복수 개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가 탄성부재 보다 더 많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 주변에 돌출 형성 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상해를 방지하는 리브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부재의 개폐 구조를 개선하여, 회동 힌지 없이 탄성부재와, 걸림부재 및 걸림턱 만을 이용하여 커버부재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어, 오픈 및 폐쇄 동작 중에 커버부재 및 회동부위의 파손 우려가 없는 에어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장기간 사용 하여 엔진룸 열해로 인해 수지 재질의 몸체에 일부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이러한 변형의 영향을 매우 적게 받기 때문에 에어클리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클리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버부재의 내측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와 하우징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와 하우징의 오픈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클리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버부재의 내측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와 하우징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와 하우징의 오픈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100)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120) 및 록킹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흡기구(111)와 배기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흡기구(111)는 에어덕트 등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하우징(110) 내부 공간부로 유입하는 통로이고, 배기구(112)는 미도시된 필터부재에 의해 클리닝된 공기를 엔진계통 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은 제 1 몸체(110a)와 제 2 몸체(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몸체(110a)는 흡기구(111)가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클리닝 되기 전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 2 몸체(110b)는 배기구(112)가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미도시된 필터부재에 의해 클리닝된 공기가 상기 배기구(112)를 통해 엔진계통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몸체(110a)(110b) 중 어느 한 곳 또는 그 경계면에는 미도시된 필터부재가 설치되어, 흡입된 외부공기를 여과하여 엔진계통 측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부재는 슬라이드 결합을 통해 상기 커버부재(120)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를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재(120)는 상기 하우징(110)에 대하여 분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부재(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 2 몸체(110b)의 단부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안쪽과 마주보는 내측면에 탄성부재(210)와 걸림부재(220)로 구성된 록킹유닛(20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부를 실링(sealing) 할 수 있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의 실링부재(121)가 상기 개구부의 둘레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록킹유닛(200)은 커버부재(120)가 하우징(110)과의 결합 위치에서 커버부재(1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210)와 걸림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재질의 탄성편을 일부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은 밴딩을 통해 둥글게 말아 형성하고, 몸체부는 적어도 한 번 이상 일정 각도로 절곡하여, 구성할 수 있다. 탄성부재(210)는 상기 하우징(110)의 제 1 몸체(110a)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 걸림부(240)에 끝단이 후킹 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210)는 커버부재(120)에 마련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부재(122)에 의해 가압되어 제 2 걸림부(240)로부터 이탈되는 위치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 주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부재(211)가 설치될 수 있다. 리브부재(211)는 사용자가 탄성부재(210)를 가압하는 과정 중에 손가락을 다치지 않도록 가이드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리브부재(2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2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커버부재(12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한 쌍의 탄성부재(210)가 마련될 경우, 상기 리브부재(211)는 각각의 탄성부재(210) 별로 설치될 수 있는데, 탄성부재(210)를 중심으로 양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면에만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걸림부재(2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1 걸림부(230)와 마주보는 제 1 면(221)은 직선의 단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반대편인 제 2 면(222)은 제 1 면(221)과 일정 각도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면(221)(222)들 사이의 경사각도는 45도를 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부재(220)는 커버부재(120)의 상부면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면(221)은 중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커버부재(120)의 자중에 의해 닫힌 위치가 보다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면(221)은 커버부재(120)가 폐쇄되는 위치에서 제 1 걸림부(230)와 면 접촉되지 않고, 일부만이 접촉될 수 있다. 이는 커버부재(120)의 오픈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도 4의 확대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면(221)은 폐쇄 위치에서 제 1 걸림부(230)와 시작 위치에서는 접촉되지만,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멀어져 일정 각도(α)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각도(α)는 대략 4 내지 6도 정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각도(α)를 가지도록 설치되면, 탄성부재(210)를 가압하여 제 2 걸림부(240)에서 탄성부재(210)의 끝단을 탈거 시킨 후에 해당 부분을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커버부재(120)는 상기한 각도(α)만큼 형성된 유격으로 인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재(220)의 제 1 면(22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20)의 탄성부재(210)를 가압하여 후킹 해제한 후, 커버부재(120)를 들어올려 회전시키면, 걸림부재(220)는 회전축과 같이 회전 중심으로서, 제 1 걸림부(230)와 걸림부재(220)의 끝단이 접촉하게 되어, 커버부재(120)를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들어 올릴 수 있다. 이때, 회전 가능한 영역은 커버부재(120)의 끝단(120)이 제 2 몸체(110b)측과 유격 없이 접촉하는 위치까지이다.
이를 위해 커버부재(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재(220)가 형성된 부분의 끝단(123)이 상기 하우징(110)을 구성하는 제 2 몸체(110b)와 일정 거리(d) 이격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부재(120)와 제 2 몸체(110b)가 유격을 가지도록 형성하면, 커버부재(120)가 제 2 몸체(110b)와 간섭되지 않고 회전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 1 걸림부(230)와 근접한 위치에 상기 걸림부재(220)가 삽입되는 걸림부재 안착홈(231)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 안착홈(231)은 상기 걸림부재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부재 안착홈(231)은 상기 걸림부재(220)보다 크게 형성되어, 커버부재(120)의 장착 위치에서 상기 제 1 걸림부(230)를 마주보는 면이 상기 걸림부재(220)와 일정 거리 이격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커버부재(120)가 걸림부재(220) 및 제 1 걸림부(230)의 선 접촉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더라도 제 2 면(222)과 걸림부재 안착홈(231)의 내부면이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일정 각도 이상 커버부재(120)가 회전하여 오픈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탄성부재(210)와 걸림부재(220)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10)는 커버부재(120)의 하측에 한 쌍이 양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재(220)는 상기 탄성부재(210)와 대응되는 위치로서, 커버부재(120)의 상측에 적어도 2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총 3개가 마련되어 한 쌍은 상기 탄성부재(2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한 쌍의 걸림부재들(22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걸림부재(220)는 탄성부재(210)와 대응되는 개수 또는 탄성부재(210) 보다 많은 개수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재(220)들은 커버부재(120)와 한 몸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부재(120)를 수지 재질로 형성할 경우, 커버부재(120)의 형성을 위해 사출 성형 등으로 구성할 때,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별도 부재로 마련하여 나사 등으로 체결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접착제 등으로 접착 고정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와 힌지 축 등과 같이 별도의 회전 구성요소들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간단하게 탄성부재(210)와 걸림부재(220)만으로 커버부재(120)의 고정 결합이 가능하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장기간 사용 시에도 커버부재(120)의 개폐 과정에서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220)가 두껍게 형성되므로 반복적인 사용에도 변형 및 파손의 우려가 없어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차량용 에어클리너 110; 하우징
110a; 제 1 몸체 110b; 제 2 몸체
111; 흡기구 112; 배기구
120; 커버부재 200; 록킹유닛
210; 탄성부재 220; 걸림부재
230; 제 1 걸림부 231; 걸림부재 안착홈
240; 제 2 걸림부

Claims (12)

  1.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차량의 엔진 계통으로 공급하는 배기구 및 내부 공간부에 필터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록킹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 가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상기 탄성부재 설치 위치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후킹되는 걸림부재;
    상기 하우징의 상기 걸림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는 제 1 걸림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탄성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록킹위치에서 상기 탄성부재가 후킹 결합되는 제 2 걸림부;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장착 위치에서 상기 제 1 걸림부와 마주보는 면의 각도가 4 내지 6도 이내로 형성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걸림부재가 형성된 부분의 끝단이 상기 하우징과 일정 거리 이격 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 1 걸림부와 마주보는 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직선인 단면을 형성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재의 상기 제 1 걸림부와 마주보는 면은 중력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의 상기 제 1 걸림부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쪽 면은 상기 면과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의 단면이 사다리꼴을 형성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걸림부와 근접한 위치에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는 걸림부재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 안착홈은 상기 걸림부재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 안착홈은,
    상기 걸림부재보다 크게 형성되어, 커버부재의 장착 위치에서 상기 제 1 걸림부를 마주보는 면이 상기 걸림부재와 일정 거리 이격 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흡기구가 형성되는 제 1 몸체; 및
    상기 커버부재가 결합되며, 배기구가 형성되는 제 2 몸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후킹 결합을 해제한 후에 상기 걸림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분리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와 탄성부재는 복수 개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가 탄성부재 보다 더 많이 설치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 주변에 돌출 형성 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상해를 방지하는 리브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KR1020140134013A 2014-10-06 2014-10-06 차량용 에어클리너 KR201600410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013A KR20160041086A (ko) 2014-10-06 2014-10-06 차량용 에어클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013A KR20160041086A (ko) 2014-10-06 2014-10-06 차량용 에어클리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086A true KR20160041086A (ko) 2016-04-18

Family

ID=5591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013A KR20160041086A (ko) 2014-10-06 2014-10-06 차량용 에어클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10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7623A (zh) * 2017-12-07 2018-03-27 海宁市卫太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快速更换的空气过滤芯
CN108019303A (zh) * 2017-12-07 2018-05-11 海宁市卫太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快速更换的空气过滤方法
CN108470861A (zh) * 2018-04-02 2018-08-31 淄博正邦知识产权企划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动力电池组及其电池安装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7623A (zh) * 2017-12-07 2018-03-27 海宁市卫太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快速更换的空气过滤芯
CN108019303A (zh) * 2017-12-07 2018-05-11 海宁市卫太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快速更换的空气过滤方法
CN108470861A (zh) * 2018-04-02 2018-08-31 淄博正邦知识产权企划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动力电池组及其电池安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2627B2 (ja) 車両用エアクリーナ
EP2821629B1 (en) Air cleaner for vehicle
KR101326500B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KR20160041086A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KR101400841B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KR101619895B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JP2017120076A (ja) 整備利便性を向上させた引き出し式エアクリーナと吸気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KR20120032339A (ko) 차량용 에어 클리너
WO2019137256A1 (zh) 一种洗衣机箱体及洗衣机
KR101619900B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CN104160139A (zh) 空气过滤器装置和连接管道
JP6276260B2 (ja) 特に内燃機関の空気清浄装置
KR20090050165A (ko) 자동차용 에어클리너의 시일구조
JP2010185452A (ja) 内燃機関における空気フィルタ
KR20180128146A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KR101551663B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KR102271957B1 (ko) 차량용 공기 청정기
JP2010071173A (ja) エアクリーナ
KR101624202B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US10330114B2 (en) Drainage device cover for air access
KR100917339B1 (ko) 자동차용 에어클리너 클램핑장치
KR102323776B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KR101540323B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KR200460794Y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KR101314550B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