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485A -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485A
KR20160040485A KR1020160035595A KR20160035595A KR20160040485A KR 20160040485 A KR20160040485 A KR 20160040485A KR 1020160035595 A KR1020160035595 A KR 1020160035595A KR 20160035595 A KR20160035595 A KR 20160035595A KR 20160040485 A KR20160040485 A KR 20160040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frame
wall
side frames
install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목
Original Assignee
조병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목 filed Critical 조병목
Priority to KR1020160035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0485A/ko
Publication of KR20160040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4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62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장방형의 창틀설치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창틀설치공간부가 형성된 부분의 내주면 전방에는 둘레면을 따라 후면이 개구되고 비어 절곡형성된 직선형의 프레임이 상하좌우에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사각틀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벽체의 전방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어 상기 벽체를 따라 흐르는 물이 창틀과 벽체의 틈새사이로 외부로부터의 빗물 등이 누수되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창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The framework and method for construction for Leak-proof sill }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의 창틀 외측에 시공 설치되어 창틀과 벽체의 틈새사이로 외부로부터의 빗물 등이 누수되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에 장방형의 창틀설치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창틀설치공간부가 형성된 부분의 내주면 전방에는 둘레면을 따라 후면이 개구되고 비어 절곡형성된 직선형의 프레임이 상하좌우에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사각틀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벽체의 전방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어 상기 벽체를 따라 흐르는 물이 창틀과 벽체의 틈새사이로 외부로부터의 빗물 등이 누수되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창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에는 공기순환 및 환기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창호가 설치되며, 상기 창호는 건물의 벽체 내측에 형성되는 장방형의 창틀설치공간부에 부합되게 고정 설치되는 창틀과 상기 창틀의 내측에 설치되어 개폐작동되는 창문으로 이루어져 있되, 이러한 통상의 창틀은 벽체의 창틀설치공간부 내측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원활한 시공을 위하여 창틀의 외주면과 상기 창틀설치공간부의 내주면 사이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시공되며 이격된 틈새 사이에는 발포재 등의 마감재를 채워넣고 상기 마감재의 전,후방을 실리콘으로 수밀처리하여 창틀과 벽체사이를 통해 건물 내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누수방지를 위해 벽체와 창틀 사이의 틈새에 마감재를 충진시키고 실리콘으로 수밀패킹처리하는 경우 먼지나 이물질이 묻어 있는 벽체부분에는 실리콘이 제대로 부착되지 않아 일정한 틈새가 발생되고 또한 시공 후 일정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시공된 실리콘 부분이 벽체로부터 자연적으로 들떠 우천시 벽체를 따라 흐르는 빗물 등이 실리콘의 틈새를 통해 건물 내부로 유입되면서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19461호에서는 건물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창틀과 건물 옹벽 사이의 틈새를 메꾸기 위해 옹벽의 면 또는 모서리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도록 일자 형태, ㄱ자 꺽임 형태, ㄴ자 꺽임 형태, ㄷ자 꺽임 형태, 사다리꼴 형태, 양다리 형태 또는 굽은 형태로 이루어져 옹벽에 부착되는 옹벽부착부; 창틀의 모서리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도록 ㄱ자 꺽임 형태, ㄴ자 꺽임 형태, ㄷ자 꺽임 형태, 사다리꼴 형태 또는 굽은 형태로 이루어져 창틀에 부착되는 창틀부착부; 및 상기 옹벽부착부와 창틀부착부를 연결하도록 일직선 형태, 굽은 형태, 플랙시블(flexible) 형태, 내부가 빈 공간부를 형성하는 공간 형태 또는 신축이 되도록 접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부로 구성된 플레이트(plate) 형태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를 사출하여 준비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plate) 형태의 사출물을 창틀과 건물 옹벽 사이의 틈새를 메꿀 수 있는 크기로 절단하여 창틀누수차단 마감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창틀누수차단 마감재의 옹벽부착부와 창틀부착부를 접착제로 바른 후 상기 마감재를 창틀과 옹벽 사이의 틈새에 끼워넣으면서 옹벽부착부와 창틀부착부가 창틀과 옹벽의 면 또는 모서리에 단단하게 부착되도록 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및 이의 시공방법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도 창틀누수차단 마감재가 합성수지 재질로 되어 있고 전방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후방 일부만 옹벽과 창틀의 틈새사이에 끼움결합되어 있어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외부충격 등에 의해 손상되거나 분리이탈되기 쉬우며 상기 마감재의 옹벽부착부와 창틀부착부에 부착된 접착제가 창틀과 옹벽으로부터 쉽게 떨어져 그 틈새를 통해 외부로부터 빗물 등이 건물 내부로 유입,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의 벽체와 창틀 사이에 누수차단프레임이 개재(介在)되어 건물의 외부 벽체를 따라 흐르는 물이 건물 내부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 방지하도록 하되, 상기 벽체에 끼움 결합 및 벽체와 창틀사이로 끼움 결합하여 장기간 사용시에도 외력이나 외부충격에 의해 외측으로 분리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건물 외부 벽체로부터 물이 유입,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측에 장방형의 창틀설치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창틀설치공간부가 형성된 부분의 내주면 전방에는 둘레면을 따라 후면이 개구되고 비어 절곡형성된 직선형의 프레임이 상하좌우에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사각틀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벽체의 전방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어 상기 벽체를 따라 흐르는 물이 창틀과 벽체의 틈새사이로 외부로부터의 빗물 등이 누수되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창틀로 구성된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벽체와 창틀 사이에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이 개재(介在)되어 건물의 외부 벽체를 따라 흐르는 물이 건물 내부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 방지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벽체에 끼움 결합 및 벽체와 창틀사이로 끼움 결합하여 장기간 사용시에도 외력이나 외부충격에 의해 외측으로 분리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건물 외부 벽체로부터 물이 창틀과 벽체 틈새사이로 유입, 누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에서 누수방지프레임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이 벽체와 창틀설치공간부사이에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이 끼움 결합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의 전체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용 누수차단프레임구조물의 단계별 조립상태를 도시한 횡단면개략도
도 5는 도 3의 A-A'선의 단면개략도
도 6은 도 3의 B-B'선의 단면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1)은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건물의 창틀(10) 외측에 시공 설치되어 창틀(10)과 벽체(2)의 틈새 사이로 외부로부터의 빗물 등이 누수되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장방형의 창틀설치공간부(3)가 형성되고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가 형성된 부분의 내주면 전방 둘레면을 따라 후면이 개구되고 비어 절곡형성된 직선형의 프레임이 상하좌우에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사각틀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벽체의 전방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어 상기 벽체를 따라 흐르는 물이 창틀(10)과 벽체(2)의 틈새사이로 외부로부터의 빗물 등이 누수되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창틀(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벽체(2)는 도 2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내부의 공기순환 및 환기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창호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내측에 창틀(10)이 부합되게 삽입 설치되는 장방형의 창틀설치공간부(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가 형성된 부분의 내주면 전방에는 둘레면을 따라 후면이 개구되고 비어 절곡형성된 직선형의 프레임이 상하좌우에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사각틀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벽체의 전방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어 상기 벽체를 따라 흐르는 물이 창틀과 벽체의 틈새사이로 외부로부터의 빗물 등이 건물 내부로 유입,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2)와 창틀(10)사이에 설치되어 벽체(2)의 외벽을 따라 흐르는 물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스테인레스 재질의 금속재질 또는 PVC 등의 합성수지재질로 된 후면이 개구되고 비어 절곡형성된 직선형의 프레임이 상하좌우에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사각틀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벽체(2)의 내주면 내측에 부합되게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창틀설치공간부(3)쪽으로 벽체(2)와 창틀(10)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있되, 상기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이 개구되어 절곡형성된 직선형의 상부프레임(6)과 좌우측 측면프레임(7a)(7b)과 하부프레임(8)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프레임(6)은 좌우수평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로 벽체(2)의 창틀설치공간부(3) 내주면 전방 상부에 부합되게 끼움결합 되며 상기 좌우측 측면프레임(7a)(7b)은 상하수직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로 상부프레임(6)의 좌우양측끝단부분에 상단부가 부합되게 맞닿은 상태로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 내주면 전방 좌우양측에 좌측 또는 우측이 부합되게 끼움결합되고 상기 하부프레임(8)은 좌우수평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로 좌우측 측면프레임(7a)(7b)의 하단부에 양측끝단이 부합되게 맞닿은 상태로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 내주면 전방 하부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어 있어 상기 상부프레임(6)과 하부프레임(10)과 좌우측 측면프레임(7a)(7b)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 되어 있어 건물 벽체(2)의 외벽부분을 따라 흐르는 물이 내측으로 유입,누수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창틀(10)은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2)의 창틀설치공간부(3)에 설치되어 내측에 외부환기 등을 위한 창문(11)이 설치되는 부분으로,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와 창틀설치공간부(3)의 내주면 전방 둘레면에 끼움 및 결합장착된 사각틀형상의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5)의 내측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는 사각틀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창틀(10)의 전방은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5)에 밀착되게 맞닿은 상태로 끼움결합한 후 실리콘접착제(9)의 도포에 의해 벽체(2)와 창틀(10) 사이의 틈새로 빗물 등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창틀(10)의 내측에는 통상의 창문(11)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건물 내부의 공기순환 및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설치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거푸집(4a),(4b),(4c),(4d),(4e),(4f)공사시 창틀(10)이 설치될 건물의 벽체(2)에 창틀설치공간부(3)를 형성하고,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의 내주면 전방에는 도2,4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 전방 둘레면을 따라 후면이 개구되고 비어 절곡형성된 사각틀형상으로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을 일정두께 및 크기로 형성하여 서로 연통되어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도2,4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쪽의 내주면 전방 상부에 설치될 거푸집(4a)에 직선형의 상부프레임(6)을 좌우수평방향으로 위치 시킨 상태에서 상부를 장착하며,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쪽의 내주면 전방 둘레면 좌,우측에 설치될 거푸집(4b),(4c)에 직선형의 좌우측 측면프레임(7a)(7b)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을 장착하고,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쪽의 내주면 전방 하부에 설치될 거푸집(4d)에 직선형의 하부프레임(8)을 좌우수평방향으로 위치 시킨 상태에서 하부를 장착하여 사각틀형상으로 서로 연통되어 연결 설치되도록 하여 콘크리트(12) 타설작업을 한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 내주면에는 사각틀형상의 창틀(10)을 밀착되게 끼움결합 및 실리콘접착제(9a)(9b)(9c)를 도포하여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5)과 창틀(10) 사이의 틈새로 빗물 등이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창틀(10)의 내측에는 통상의 창문(11)이 개폐가능하게 설치하여 건물 내부의 공기순환 및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시공 설치된 본 발명의 외부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1)에 의해 우천시 빗물이 건물의 벽체(2) 외벽을 따라 흘러내리는 경우에는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5)에 의해 벽체(2)와 창틀(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건물 내부로 빗물이 유입,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1. 누수차단프레임구조물 2. 벽체
3. 창틀설치공간부 4a.4b.4c.4d.4e.4f. 거푸집
5.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 6. 상부프레임
7a.7b. 측면프레임 8. 하부프레임
9a.9b.9c. 실리콘접착제 10. 창틀
11. 창문 12.콘크리트
13a.13b.13c.13d.절곡편

Claims (3)

  1. 내측에 장방형의 창틀설치공간부(3)가 형성되고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가 형성된 부분의 내주면 전방에는 둘레면을 따라 후면이 개구되고 비어 절곡형성된 직선형의 프레임이 상하좌우에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사각틀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벽체의 전방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어 상기 벽체를 따라 흐르는 물이 창틀과 벽체의 틈새사이로 외부로부터의 빗물 등이 누수되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창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5)은 후면이 개구되어 절곡형성된 직선형의 상부프레임(6)과 좌우측 측면프레임(7a)(7b)과 하부프레임(8)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프레임(6)은 좌우수평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로 벽체(2)의 창틀설치공간부(3) 내주면 전방 상부에 부합되게 끼움결합 되며 상기, 좌우측 측면프레임(7a)(7b)은 상하수직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로 상부프레임(6)의 좌우양측끝단부분에 상단부가 부합되게 맞닿은 상태로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 내주면 전방 좌우양측에 좌측 또는 우측이 부합되게 끼움결합되고 상기 하부프레임(8)은 좌우수평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로 좌우측 측면프레임(7a)(7b)의 하단부에 양측끝단이 부합되게 맞닿은 상태로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 내주면 전방 하부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어 있어 상기 상부프레임(6)과 하부프레임(10)과 좌우측 측면프레임(7a)(7b)이 서로 연통되어 연결되도록 형성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5)은 내주면 전방 둘레면을 따라 후면이 개구되고 비어 절곡형성된 사각틀형상으로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을 일정두께 및 크기로 형성하여 서로 연통되어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상부프레임(6)은 창틀설치공간부(3)쪽의 내주면 전방 상부에 설치될 거푸집(4a)에 후면이 개구되고 비어 절곡(13a)된 직선형의 상부프레임(6)을 좌우수평방향으로 위치 시킨 상태에서 상부를 장착하며, 상기 좌우측 측면프레임(7a)(7b)은 창틀설치공간부(3)쪽의 내주면 전방 둘레면 좌우측에 설치될 거푸집(4b),(4c)에 후면이 개구되고 비어 절곡(13b)(13c)된 직선형의 좌우측 측면프레임(7a)(7b)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을 장착하고, 상기 하부프레임(8)은 창틀설치공간부(3)쪽의 내주면 전방 하부에 설치될 거푸집(4d)에 후면이 개구되고 비어 절곡(13d)된 직선형의 하부프레임(8)을 좌우수평방향으로 위치 시킨 상태에서 하부를 장착하여 사각틀형상으로 서로 연통되어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
KR1020160035595A 2016-03-24 2016-03-24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404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595A KR20160040485A (ko) 2016-03-24 2016-03-24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595A KR20160040485A (ko) 2016-03-24 2016-03-24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485A true KR20160040485A (ko) 2016-04-14

Family

ID=55801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595A KR20160040485A (ko) 2016-03-24 2016-03-24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048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356B1 (ko) 2018-09-27 2019-03-13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 방지 창틀
CN114609840A (zh) * 2022-01-24 2022-06-10 北京科技大学 一种电致变色智能液流窗
KR102555723B1 (ko) 2023-01-11 2023-07-14 (주)중앙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
KR102556094B1 (ko) 2023-01-31 2023-07-18 (주)해동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356B1 (ko) 2018-09-27 2019-03-13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 방지 창틀
CN114609840A (zh) * 2022-01-24 2022-06-10 北京科技大学 一种电致变色智能液流窗
KR102555723B1 (ko) 2023-01-11 2023-07-14 (주)중앙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
KR102556094B1 (ko) 2023-01-31 2023-07-18 (주)해동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646B1 (ko) 창틀용 누수차단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40485A (ko)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20050178079A1 (en) Modular insert fenestration system
KR102012008B1 (ko) 건축용 누수방지창틀
KR101916866B1 (ko) 일체형 유닛타입의 스틸 커튼월
KR101279140B1 (ko)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960117B1 (ko) 비철거식 개보수 창호용 실내측 마감재
US20180058136A1 (en) Corner flashing for a window or door opening
CN212249671U (zh) 一种民用建筑窗台的防水构造
JP5395607B2 (ja) 建物の外壁構造
KR20160034836A (ko)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
KR102195331B1 (ko) 공기주입식 팽창부재를 구비한 창호
KR102639448B1 (ko) 섀시프레임 및 그 시공방법
JP2001317271A (ja) 建物外壁の開口部周辺構造
KR102555723B1 (ko)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
CN104453560A (zh) 组合密封窗
KR100698838B1 (ko) 지엠피 시설의 벽면 모서리 마감용 몰드
EP1990497A2 (en) Renovation frame for windows and doors
KR102605830B1 (ko) 누수 방지용 차수판을 포함하는 창호의 시공방법
KR200378502Y1 (ko)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JP2849039B2 (ja) 分割方立式カーテンウォールの水密装置
CN213297622U (zh) 一种外墙门窗防渗漏节点
KR100719461B1 (ko)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73039B1 (ko)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
CN219638696U (zh) 一种带门体加固连接角的玻璃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