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094B1 -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094B1
KR102556094B1 KR1020230012347A KR20230012347A KR102556094B1 KR 102556094 B1 KR102556094 B1 KR 102556094B1 KR 1020230012347 A KR1020230012347 A KR 1020230012347A KR 20230012347 A KR20230012347 A KR 20230012347A KR 102556094 B1 KR102556094 B1 KR 102556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inclined surfaces
holes
veranda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2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훈
Original Assignee
(주)해동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동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해동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30012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4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62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1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by special construction of the fram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4Cap nuts; Nut caps or bolt c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28Protection against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6Plastics
    • E05Y2800/678Elastomers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베란다 벽체(30)에 고정설치되고 내측에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좌우측창문(28,29)이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프레임몸체(21)를 갖는 창문프레임(20)을 구비하는 공동주택 베란다의 창틀에 있어서, 상기 창문프레임(20)의 프레임몸체(21)의 상부외측선단면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일정각도로 하향경사지는 하향경사면(21a)이 형성되고, 하부외측선단면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상향경사지는 상향경사면(21b)이 형성되며, 좌우측단 외측선단면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경사지는 좌우측향경사면(21c,21d)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몸체(21)의 모서리부 하상향경사면(21a,21b)과 좌우측향경사면(21c,21d) 중심측에서 실내측으로 수평되게 모서리수평볼트공(22,23,24,25)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몸체(21)의 하상향경사면(21a,21b) 중앙부 중심측에서 실내측으로 수평되게 상하부중앙수평볼트공(26,27)이 각각 통공형성되고, 상기 모서리수평볼트공(22,23,24,25)과 상하부중앙수평볼트공(26,27) 실내측 선단부에는 실외측으로 일정길이 지름이 확장되고 밀폐캡(22b,23b,24b,25b)(26b,27b)에 의해 각각 밀폐마감되는 너트홈(22a,23a,24a,25a)(26a,27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창문프레임(20) 사방 외측선단면을 감싸는 고무재질의 직사각형상인 사각링프레임몸체(11)가 형성되며, 사각링프레임몸체(11) 내측면에는 상기 하상향경사면(21a,21b)과 좌우측향경사면(21c,21d)에 대응되는 상하부내측경사면(11a,11b)과 좌우측내측경사면(11c,11d)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내측경사면(11a,11b)의 모서리수평볼트공(22,23,24,25) 연장선상에는 각각 통공형성되어 장볼트(12a,13a,14a,15a)가 각각 삽입되면서 너트홈(22a,23a,24a,25a)에서 너트(12b,13b,14b,15b)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는 모서리체결공(12,13,14,1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내측경사면(11a,11b)의 상하부중앙수평통공(26,27) 연장선상에는 각각 통공형성되어 장볼트(16a,17a)가 각각 삽입되면서 너트홈(26a,27a)에서 너트(16b,17b)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는 상하부중앙체결공(16,17)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창문프레임(20)과 베란다 벽체(30) 사이에 위치되어 수밀을 이루는 고무사각링프레임(10)을 구비하는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좌우측창문을 갖는 창문프레임과 창문프레임과 베란다 벽체 사이에 위치되어 창문프레임과 체결고정되면서 수밀을 이루는 고무사각링프레임을 구비하여 베란다 벽체의 균열도 막아 주고 빗물로 인한 콘크리트의 변형도 방지하며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여 시공이 손쉬우며 시공비용이 절감되고 기존의 창틀에서도 손쉽게 적용가능하며 누수방지효과가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Leakage prevention window frame of apartment veranda}
본 발명은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측창문을 갖는 창문프레임과 창문프레임과 베란다 벽체 사이에 위치되어 창문프레임과 체결고정되면서 수밀을 이루는 고무사각링프레임을 구비하여 베란다 벽체의 균열도 막아 주고 빗물로 인한 콘크리트의 변형도 방지하며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여 시공이 손쉬우며 시공비용이 절감되고 기존의 창틀에서도 손쉽게 적용가능하며 누수방지효과가 탁월한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에는 공기순환 및 환기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창호가 설치되며, 상기 창호는 건물의 벽체 내측에 형성되는 장방형의 창틀설치공간부에 부합되게 고정 설치되는 창틀과 상기 창틀의 내측에 설치되어 개폐작동되는 창문으로 이루어져 있되, 이러한 통상의 창틀은 벽체의 창틀설치공간부 내측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원활한 시공을 위하여 창틀의 외주면과 상기 창틀설치공간부의 내주면 사이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시공되며 이격된 틈새 사이에는 발포재 등의 마감재를 채워넣고 상기 마감재의 전,후방을 실리콘으로 수밀처리하여 창틀과 벽체사이를 통해 건물 내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창틀과 벽체 사이 틈새는 방수를 위한 접착제인 코킹재로 마감 처리되고 있다. 상기 코킹재는 주로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서, 창틀과 옹벽 사이 틈새에 백업(Back-up)재를 삽입한 후, 코킹(Caulking)되어 외부로부터 빗물 등의 침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코킹재는 시공 후 시간이 지나면 창틀과 옹벽 표면으로부터 들뜨거나 찢어지는 등 부실해지게 되고, 이러한 코킹재의 부실화는 빗물 등이 실내쪽으로 유입되는 누수 현상의 원인이 된다.
즉, 코킹재는 경화되면서 그 부피가 수축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지속적인 긴장에 의하여 접착력이 약한 부위부터 들뜨거나 얇게 코킹된 부분이 찢어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이 코킹재의 파손은 누수 현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의 옹벽에는 수성페인트가 도색되어 있는데 옹벽이 빗물에 젖게 되면 수성페인트의 박리현상이 촉진되어 코킹재가 옹벽에서 들뜨게 된다. 이후 발생된 틈새로 빗물이 조금씩 계속 유입됨에 따라 그 틈새가 더 커지면서 많은 양의 빗물이 실내(발코니)쪽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측에 장방형의 창틀설치공간부(3)가 형성되고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가 형성된 부분의 내주면 전방에는 둘레면을 따라 후면이 개구되고 비어 절곡형성된 직선형의 프레임이 상하좌우에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사각틀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벽체의 전방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어 상기 벽체를 따라 흐르는 물이 창틀과 벽체의 틈새사이로 외부로부터의 빗물 등이 누수되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는 창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이 특허공개 제10-2016-0040485호(2016.04.14. 공개)로 개시된 바, 이런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은. 완벽한 누수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창틀과 창문에 물이 고이게 되는데 이 물을 제거할 수 없어 창틀과 창문이 물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몬제점을 해결하기 우하여, "내외부가 통하는 사각 틀의 형태로서 베란다의 벽체에 설치되는 거푸집 겸용의 프레임과; 사각 틀의 형태이며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누수방지 틀과; 상기 누수방지 틀에 실내와 실외측을 향해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는 창문과; 상기 누수방지 틀과 상기 창문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 패드와;
상기 창문을 전진과 후진 위치에 각각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누수방지 틀은 틀 본체, 상기 틀 본체의 실외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창문을 덮는 누수차단턱, 상기 틀본체에 형성되는 레일, 내부와 외부를 향해 개방되는 제2볼트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창문은 상기 누수방지 틀의 레일에 전후진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일, 상기 제2볼트관통홀과 연통하는 제1볼트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2볼트관통홀의 외측에 고정되는 고정 너트, 베란다 측에서 상기 제1,2볼트관통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고정 너트에 나사 체결되는 이동안내 볼트, 상기 이동안내 볼트의 외측 단부에 고정되는 이탈방지링, 상기 이동안내 볼트의 베란다측에 나사 체결되는 위치정렬 너트를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누수방지 틀을 통해 누수를 차단하는 한편 상기 이동안내 볼트를 베란다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창문을 베란다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누수방지 틀과 창문 사이에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 방지 창틀."이 특허등록 제10-1946356호(2019.03.13. 공고)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존래의 누수 방지 창틀은, 프레임이 콘크리트 벽체를 덮어 콘크리트의 균열도 막아 주고 빗물로 인한 콘크리트의 변형도 방지함으로써 공동주택을 보호하는 반면에, 프레임(10)과 누수방지틀(20)과 완충패드(50)와 창문(30)으로 구성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시공비용이 고가이며, 프레임(10) 콘크리트 타설시 매립설치됨에 따라 기존에서는 설치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6-0040485호(2016.04.14. 공개) (KR)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46356호(2019.03.13.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우측창문을 갖는 창문프레임과 창문프레임과 베란다 벽체 사이에 위치되어 창문프레임과 체결고정되면서 수밀을 이루는 고무사각링프레임을 구비하여 베란다 벽체의 균열도 막아 주고 빗물로 인한 콘크리트의 변형도 방지하며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여 시공이 손쉬우며 시공비용이 절감되고 기존의 창틀에서도 손쉽게 적용가능하며 누수방지효과가 탁월한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베란다 벽체(30)에 고정설치되고 내측에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좌우측창문(28,29)이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프레임몸체(21)를 갖는 창문프레임(20)을 구비하는 공동주택 베란다의 창틀에 있어서,
상기 창문프레임(20)의 프레임몸체(21)의 상부외측선단면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일정각도로 하향경사지는 하향경사면(21a)이 형성되고, 하부외측선단면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상향경사지는 상향경사면(21b)이 형성되며, 좌우측단 외측선단면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경사지는 좌우측향경사면(21c,21d)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몸체(21)의 모서리부 하상향경사면(21a,21b)과 좌우측향경사면(21c,21d) 중심측에서 실내측으로 수평되게 모서리수평볼트공(22,23,24,25)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몸체(21)의 하상향경사면(21a,21b) 중앙부 중심측에서 실내측으로 수평되게 상하부중앙수평볼트공(26,27)이 각각 통공형성되고, 상기 모서리수평볼트공(22,23,24,25)과 상하부중앙수평볼트공(26,27) 실내측 선단부에는 실외측으로 일정길이 지름이 확장되고 밀폐캡(22b,23b,24b,25b)(26b,27b)에 의해 각각 밀폐마감되는 너트홈(22a,23a,24a,25a)(26a,27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창문프레임(20) 사방 외측선단면을 감싸는 고무재질의 직사각형상인 사각링프레임몸체(11)가 형성되며, 사각링프레임몸체(11) 내측면에는 상기 하상향경사면(21a,21b)과 좌우측향경사면(21c,21d)에 대응되는 상하부내측경사면(11a,11b)과 좌우측내측경사면(11c,11d)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내측경사면(11a,11b)의 모서리수평볼트공(22,23,24,25) 연장선상에는 각각 통공형성되어 장볼트(12a,13a,14a,15a)가 각각 삽입되면서 너트홈(22a,23a,24a,25a)에서 너트(12b,13b,14b,15b)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는 모서리체결공(12,13,14,1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내측경사면(11a,11b)의 상하부중앙수평통공(26,27) 연장선상에는 각각 통공형성되어 장볼트(16a,17a)가 각각 삽입되면서 너트홈(26a,27a)에서 너트(16b,17b)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는 상하부중앙체결공(16,17)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창문프레임(20)과 베란다 벽체(30) 사이에 위치되어 수밀을 이루는 고무사각링프레임(10)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좌우측창문을 갖는 창문프레임과 창문프레임과 베란다 벽체 사이에 위치되어 창문프레임과 체결고정되면서 수밀을 이루는 고무사각링프레임을 구비하여 베란다 벽체의 균열도 막아 주고 빗물로 인한 콘크리트의 변형도 방지하며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여 시공이 손쉬우며 시공비용이 절감되고 기존의 창틀에서도 손쉽게 적용가능하며 누수방지효과가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의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의 시공시 콘크리트 표면의 요철부분에 대응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은, 공동주택의 베란다 벽체(30)에 고정설치되고 내측에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좌우측창문(28,29)이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프레임몸체(21)를 갖는 창문프레임(20)과, 상기 창문프레임(20) 사방 외측선단면을 감싸면서 수밀을 제공하는 고무사각링프레임(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창문프레임(20)의 프레임몸체(21)의 상부외측선단면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일정각도로 하향경사지는 하향경사면(21a)이 형성되고, 하부외측선단면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상향경사지는 상향경사면(21b)이 형성되며, 좌우측단 외측선단면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경사지는 좌우측향경사면(21c,21d)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몸체(21)의 모서리부 하상향경사면(21a,21b)과 좌우측향경사면(21c,21d) 중심측에서 실내측으로 수평되게 모서리수평볼트공(22,23,24,25)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몸체(21)의 하상향경사면(21a,21b) 중앙부 중심측에서 실내측으로 수평되게 상하부중앙수평볼트공(26,27)이 각각 통공형성되고, 상기 모서리수평볼트공(22,23,24,25)과 상하부중앙수평볼트공(26,27) 실내측 선단부에는 실외측으로 일정길이 지름이 확장되고 밀폐캡(22b,23b,24b,25b)(26b,27b)에 의해 각각 밀폐마감되는 너트홈(22a,23a,24a,25a)(26a,27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무사각링프레임(10)은, 상기 창문프레임(20) 사방 외측선단면을 감싸는 고무재질의 직사각형상인 사각링프레임몸체(11)가 형성되며, 사각링프레임몸체(11) 내측면에는 상기 하상향경사면(21a,21b)과 좌우측향경사면(21c,21d)에 대응되는 상하부내측경사면(11a,11b)과 좌우측내측경사면(11c,11d)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내측경사면(11a,11b)의 모서리수평볼트공(22,23,24,25) 연장선상에는 각각 통공형성되어 장볼트(12a,13a,14a,15a)가 각각 삽입되면서 너트홈(22a,23a,24a,25a)에서 너트(12b,13b,14b,15b)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는 모서리체결공(12,13,14,1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내측경사면(11a,11b)의 상하부중앙수평통공(26,27) 연장선상에는 각각 통공형성되어 장볼트(16a,17a)가 각각 삽입되면서 너트홈(26a,27a)에서 너트(16b,17b)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는 상하부중앙체결공(16,17)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창문프레임(20)과 베란다 벽체(30) 사이에 위치되어 수밀을 이룬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좌우측창문(28,29)을 갖는 창문프레임(20)과 창문프레임(20)과 베란다 벽체(30) 사이에 위치되어 창문프레임(20)과 다수곳에서 체결고정되면서 수밀을 이루는 고무사각링프레임(10)을 구비하여, 베란다 벽체(30)의 균열도 막아 주고, 빗물로 인한 콘크리트의 변형도 방지하며,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여 시공이 손쉬우며 시공비용이 절감되고, 기존의 창틀에서도 손쉽게 적용가능하며, 누수방지 효과가 탁월하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고무사각링프레임 11 : 사각링프레임몸체
11a,11b : 상하부내측경사면 11c,11d : 좌우측내측경사면
12,13,14,15 : 모서리체결공 12a,13a,14a,15a : 장볼트
12b,13b,14b,15b : 너트 16,17 : 상하부중앙체결공
16a,17a : 장볼트 16b,17b : 너트
20 : 창문프레임 21 : 프레임몸체
21a : 하향경사면 21b : 상향경사면
21c,21d : 좌우측향경사면 22,23,24,25 : 모서리수평볼트공
22a,23a,24a,25a : 너트홈 22b,23b,24b,25b : 밀폐캡
26,27 : 상하부중앙수평볼트공 26a,27a : 너트홈
26b,27b : 밀폐캡 28,29 : 좌우측창문
30 : 베란다 벽체

Claims (1)

  1. 공동주택의 베란다 벽체(30)에 고정설치되고 내측에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좌우측창문(28,29)이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프레임몸체(21)를 갖는 창문프레임(20)을 구비하는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에 있어서,
    상기 창문프레임(20)의 프레임몸체(21)의 상부외측선단면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일정각도로 하향경사지는 하향경사면(21a)이 형성되고, 하부외측선단면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상향경사지는 상향경사면(21b)이 형성되며, 좌우측단 외측선단면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경사지는 좌우측향경사면(21c,21d)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몸체(21)의 모서리부 하상향경사면(21a,21b)과 좌우측향경사면(21c,21d) 중심측에서 실내측으로 수평되게 모서리수평볼트공(22,23,24,25)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몸체(21)의 하상향경사면(21a,21b) 중앙부 중심측에서 실내측으로 수평되게 상하부중앙수평볼트공(26,27)이 각각 통공형성되고, 상기 모서리수평볼트공(22,23,24,25)과 상하부중앙수평볼트공(26,27) 실내측 선단부에는 실외측으로 일정길이 지름이 확장되고 밀폐캡(22b,23b,24b,25b)(26b,27b)에 의해 각각 밀폐마감되는 너트홈(22a,23a,24a,25a)(26a,27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창문프레임(20) 사방 외측선단면을 감싸는 고무재질의 직사각형상인 사각링프레임몸체(11)가 형성되며, 사각링프레임몸체(11) 내측면에는 상기 하상향경사면(21a,21b)과 좌우측향경사면(21c,21d)에 대응되는 상하부내측경사면(11a,11b)과 좌우측내측경사면(11c,11d)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내측경사면(11a,11b)의 모서리수평볼트공(22,23,24,25) 연장선상에는 각각 통공형성되어 장볼트(12a,13a,14a,15a)가 각각 삽입되면서 너트홈(22a,23a,24a,25a)에서 너트(12b,13b,14b,15b)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는 모서리체결공(12,13,14,1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내측경사면(11a,11b)의 상하부중앙수평통공(26,27) 연장선상에는 각각 통공형성되어 장볼트(16a,17a)가 각각 삽입되면서 너트홈(26a,27a)에서 너트(16b,17b)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는 상하부중앙체결공(16,17)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창문프레임(20)과 베란다 벽체(30) 사이에 위치되어 수밀을 이루는 고무사각링프레임(1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
KR1020230012347A 2023-01-31 2023-01-31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 KR102556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347A KR102556094B1 (ko) 2023-01-31 2023-01-31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347A KR102556094B1 (ko) 2023-01-31 2023-01-31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6094B1 true KR102556094B1 (ko) 2023-07-18

Family

ID=87423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347A KR102556094B1 (ko) 2023-01-31 2023-01-31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0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0466B1 (ko) * 1997-03-10 1999-07-15 정종순 창틀골재 연결구
KR200385984Y1 (ko) * 2005-03-04 2005-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누수방지용 창틀마감자재의 설치구조
KR20160040485A (ko) 2016-03-24 2016-04-14 조병목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946356B1 (ko) 2018-09-27 2019-03-13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 방지 창틀
KR102463800B1 (ko) * 2022-06-09 2022-11-03 전재희 가변형 문틀 부착 커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0466B1 (ko) * 1997-03-10 1999-07-15 정종순 창틀골재 연결구
KR200385984Y1 (ko) * 2005-03-04 2005-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누수방지용 창틀마감자재의 설치구조
KR20160040485A (ko) 2016-03-24 2016-04-14 조병목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946356B1 (ko) 2018-09-27 2019-03-13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 방지 창틀
KR102463800B1 (ko) * 2022-06-09 2022-11-03 전재희 가변형 문틀 부착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356B1 (ko)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 방지 창틀
KR20160040757A (ko) 물 유입 차단을 위한 창틀프레임
US20140311072A1 (en) Siding Seal
KR102556094B1 (ko)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
US9988818B1 (en) Rooftop rainwater drainage assembly
CN113006294A (zh) 一种窗台防水保温技术
KR102555723B1 (ko)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방지 창틀
CN208168645U (zh) 一种砌筑工程中的外窗防水结构
KR200382106Y1 (ko) 창호시스템
JP4928371B2 (ja) 建具周囲の排水構造
JP5991832B2 (ja) 水切構造及び建物
KR101828556B1 (ko) 방수성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옥상 방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TWI454613B (zh) A leak - proof form fram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205558650U (zh) 防渗水外墙窗户安装结构
KR200385984Y1 (ko) 누수방지용 창틀마감자재의 설치구조
KR200377242Y1 (ko) 창틀 우수 배수용구
KR20110003604A (ko) 창틀 상,하,측면 누수 보수를 위한 창틀 보수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468149B1 (ko) 건축물 수해방지시설
US20230065534A1 (en) Device to elevate a base plate
Gramlick Watertightness of windows and doors
JP4343159B2 (ja) バルコニー防水構造およびバルコニー防水構造の構築方法
KR102250069B1 (ko) 욕실 건식 벽체 구조
CN214196064U (zh) 一种外墙窗台混凝土企口节点防水构造
JP2003221899A (ja) ベランダの防水構造及びベランダの防水施工方法
KR102666964B1 (ko) 공동주택용 베란다 누수 방지 창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