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039B1 -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039B1
KR101773039B1 KR1020160029977A KR20160029977A KR101773039B1 KR 101773039 B1 KR101773039 B1 KR 101773039B1 KR 1020160029977 A KR1020160029977 A KR 1020160029977A KR 20160029977 A KR20160029977 A KR 20160029977A KR 101773039 B1 KR101773039 B1 KR 101773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vertical member
gang
noise reduction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4876A (ko
Inventor
이옥순
Original Assignee
이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옥순 filed Critical 이옥순
Priority to KR1020160029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039B1/ko
Publication of KR20160034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갱폼의 거푸집 개구부 전면 가장자리 주변에 설치되며, 상기 갱폼의 수직재 전면부에 설치되는 사각형태의 창틀 프레임;및 상기 사각의 창틀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 가이드레일;과 하부 가이드레일; 및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과 하부 가이드레일에 설치되는 복층 투과창;과 갱폼의 수직재와 수직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갱폼의 수평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및 상기 고정부재에 단위규격으로 설치되는 전면창 및 상기 전면창에 고정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창;과 우측창; 및 하부창으로 구성되는 입체 복층 투과창;을 통해 갱폼의 구조부재를 훼손시키지 않고 설치하거나, 상기 수직재와 수직재 사이에 T형 수직재;를 설치하고 상기 T형 수직재의 후면에 상기 복층 투과창;을 설치하거나 상기 T형 수직재의 전면에도 상기 복층 투과창을 설치할 수 있으며, 소음정도에 따라 소음저감을 위한 소재의 두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을 설치하기 전과 같이 콘크리트 면에 견출작업을 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면과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를 항상 밀착고정시켜 소음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 완료 후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을 해체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친환경적인 효과를 포함하는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NOISE REDUCTION WINDOW SYSTEM OF GANG FORM}
본 발명은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거푸집 내부에서 철근작업, 거푸집 설치작업 및 거푸집 해체작업시 발생하는 소음 및 먼지 등이 외부로 유출 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개방하여 환기를 시킬 수 있는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에 있어서, 공기의 흐름 원리를 이용하여 작업장으로 외부의 공기를 자동으로 유입시킬 수 있어 자연 환기가 가능하고, 설치 및 해체가 편리하고 규격을 표준화하여 전용률을극대화 할수 있는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갱폼은 외부 벽체 거푸집과 케이지 및 작업발판을 일체로 하여 제작되는 대형 거푸집(이하, '갱폼'이라 함)을 사용하고 있다.
갱폼을 이용하여 아파트 외벽을 시공하게 되면, 설계도면에 의해 건물의 창문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갱폼의 내측에는 철근을 설치하며 갱폼과 대향하여 내부 거푸집이 설치됨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아파트 외벽을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인 공사순서이다.
갱폼을 상부로 인양하여 설치 후 내부 거푸집을 해체하여 상부 층으로 옮겨 재사용한다.
이때, 철근설치 및 거푸집설치 작업을 할 때 소음 및 먼지가 발생하고, 내부 거푸집을 해체하여 상부 층으로 옮길 때에도 소음 및 먼지가 발생하여 민원발생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도심지에서 아파트 공사를 할 경우 인접하여 있는 사용중인 아파트 주민들에게 소음 및 먼지로 피해를 줄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인근 주민의 민원발생으로 공사진행에 어려움이 있고, 개구부를 판넬 또는 천막등으로 차폐하더라도 매번 설치 및 해체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과 공사비 증대에 따른 공사 원가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다.
1. 개방 벽체 차단 시스템 : 등록특허 10-1116464 2. 건축 공사용 거푸집 차폐 장치 : 등록특허 10-1386054 3. 건물의 개방부 차폐 장치 : 등록특허 10-1572979 4. 가설용 조립식 창호 갱폼 : 등록특허 10-1562672
본 발명의 목적은 아파트 외벽 시공을 위해 사용되는 갱폼의 개구부 및 갱폼 하부 골조 개구부에 창호를 설치하되 밀폐 또는 개방을 할 수 있고,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을 설치하기 전과 같이 견출작업을 할 수 있으며, 공기 흐름의 자연원리를 이용하여 항상 외부의 깨끗한 공기를 내부 작업공간에 유입시킬 수 있으며,환기 또는 작업자의 통행이 자유롭고, 수직재의 다리부 하단(후방)에 사각형태의 지지 프레임 없이 사용하므로 갱폼의 구조부재인 다리부 고정용 수평재를 절단시키지 않고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가 간단하며 갱폼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소음발생 정도에 따라 소음저감을 위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등의 소재두께를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표준 규격으로 만들어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고, 전용률을 극대화하여 재사용함으로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을 제공 하는데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 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은, 갱폼의 거푸집 개구부 전면 가장자리 주변에 설치되며, 상기 갱폼의 수직재 전면부에 설치되는 사각형태의 창틀 프레임;및 상기 사각의 창틀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 가이드레일;과 하부 가이드레일; 및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과 하부 가이드레일에 설치되는 복층 투과창;을 포함 할 수 있으며, 갱폼의 수직재와 수직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갱폼의 수평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단위규격으로 설치되는 전면창 및 상기 전면창에 고정하거나, 회전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좌측 창;과 우측 창; 및 하부 창으로 구성되는 입체 복층 투과창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갱폼의 수직재와 수직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갱폼의 수평재에 고정되는 T형 수직재; 및 복층 투과창으로할 수 있다.
상기 갱폼의 수직재와 수직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갱폼의 수평재 전면에 부착고정되는 공간 메움재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은 상기 갱폼의 수평재에 고정클립 및 직결 피스로 고정되고, 타 단은 콘크리트 면과 일정거리 떨어져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입체 복층 투과창의 고정은 고정클립 및 직결 피스로 고정하거나 직결 피스로 직접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입체 복층 투과창의 좌측 창 및 우측 창과 하부 창은 전면 창과 연결하는 경첩 또는 연질의 고무쉬트 중 어느 하나로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복층 투과창 및 입체 복층 투과창에 여닫이창 또는 "ㄷ"자 레일과 슬라이딩창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복층 투과창 및 입체 복층 투과창의 소재를 폴리 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비닐쉬트, 주름 쉬트중 어느 하나로 하거나 두 개를 선택하여 혼합적용 할 수 있고, 상기 입체 복층 투과창의 연결부위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밀실하게 처리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에 스키날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면과 밀착고정 시킬 수 있으며, 창틀프레임에 복층 투과창을 직접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 복층 투과창 및 입체 복층 투과창의 두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고정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사선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전면창과 힌지결합하는 좌측 창 및 우측 창과 하부 창에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입체 복층 투과창의 좌측 창과 우측창 및 하부 창의 단부에 창호 기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형 수직재의 전면에 복층 투과창을 더 포함하여 상기 T형 수직재의 후면에 설치된 복층 투과창과 상기 T형 수직재의 전면에 설치된 복층 투과창의 중간에 공기층을 만들어 소음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에 의하면, 갱폼의 개구부와 골조 개구부를 밀실하게 밀폐시키거나, 공기의 흐름 원리를 이용하여 작업장으로 외부의 공기를 자동으로 유입시킬 수 있어 자연 환기가 가능하고, 표준화된 창호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소음정도에 따라 소음저감을 위한 소재의 두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을 설치하기 전과 같이 콘크리트 면에 견출작업을 할 수 있으며, 수직재의 다리부 하단(후방)에 사각형태의 지지프레임 없이 사용하므로 갱폼의 구조부재인 다리부 고정용 수평재를 절단시키지 않고설치하므로 설치가 간단하고, 갱폼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콘크리트 면과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를 항상 밀착 고정 시켜 소음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 완료 후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을 해체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이 갱폼의 개구부에 설치된 것을 외부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이 갱폼의 개구부에 설치된 것을 내부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이 갱폼의 개구부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이 갱폼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슬라이딩 창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4의 "A" 부분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이 갱폼의 개구부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이 갱폼의 개구부와 상기 갱폼의 하부에 설치된 것을 외부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전면창 및 좌측창과 우측창 및 하부창으로 구성되는 입체 복층 투과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B" 부분 상세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이 갱폼의 개구부와 상기 갱폼의 하부에 설치된 것을 내부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전면창 및 좌측창과 우측창 및 하부창으로 구성되는 입체 복층 투과창이 고정부재에 설치된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고정부재의 구성 및 부분 상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입체 복층 투과창의 전면창과 하부창의 접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및 전면창과 우측창의 접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4는 전면창과 하부창의 연결 및 고정상태를 나타내고, 여닫음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와 전면창과 우측창의 연결 및 고정상태를 나타내고, 여닫음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5는 복층 투과창 및 입체 복층 투과창의 소재를 폴리 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비닐쉬트, 주름쉬트중 선택하여 혼합적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에 여닫이창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의 설치 상태를 외부에서 바라본 것을 전체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의 설치 상태를 내부에서 바라본 것을 전체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T형 수직재를 이용하여 T형 수직재 후면에 복층 투과창을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21은 T형 수직재를 이용하여 T형 수직재 후면에 복층 투과창을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 이다.
도 22는 T형 수직재의 후면과 전면에 복층 투과창을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23은 T형 수직재의 후면과 전면에 복층 투과창을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 이다.
도 24는 도 23의 "C"부분을 수평으로 절단하여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D"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이 갱폼의 개구부와 상기 갱폼의 하부에 설치되고 공기가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이 아파트 외벽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공기의 유입경로를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이 아파트 외벽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공기의 유입경로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의 전면창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관형상의 우측창 및 하부창이 공기 통과용 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의 전면창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관형상의 우측창 및 하부창이 공기통과용 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 배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1내지 도30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거나 공지기술로부터 당 업자에게 일반화된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갱폼(100)의 거푸집 개구부(103)가장자리 수평재(102)와 수직재(101) 전면에 사각형태의 창틀 프레임(1)을 설치한다.
상기 창틀 프레임(1)의 좌,우 수직재는 수평재(102)의 전면에 고정되고, 내측은 앵글(105)과 밀착 고정 시키며, 상기 창틀 프레임(1)의 상,하 수평재는 상기 수직재(101)의 전면에 고정 시키며, 거푸집 개구부(103)로부터 상,하 100MM이상 이격 하여 설치한다.
상기 거푸집 개구부(103)로부터 상기 창틀 프레임(1)의 수평재를 상,하 100MM이상 이격 하여 설치하는 것은 내부 거푸집과 상기 갱폼(100)의 체결을 위해 핀 체결작업시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
상기 갱폼(100)의 상기 수직재(101) 전면에 상기 사각형태의 창틀 프레임(1)을 고정하는 방법은 용접 또는 고정클립(10a)과 직결 피스(14)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창틀 프레임(1)의 상부에 상부 가이드레일(2)을 용접 또는 상기 직결 피스(14)로 고정하고, 상기 창틀 프레임(1)의 하부에 하부 가이드레일(3)을 용접 또는 상기 직결 피스(14)로 고정한다.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2)과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3)은 철판으로 접어서 제작하거나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으로 사출에 의해 제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2)과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3)은 복층 투과창(4)이 전,후면으로는 고정구속되며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한다.
상기 복층 투과창(4)은 폴리 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비닐쉬트, 주름쉬트 중 어느 하나로 하거나, 상기 폴리 카보네이트와 아크릴을 겹쳐서 혼합적용 하거나, 상기 폴리 카보네이트와 비닐쉬트를 겹쳐서 혼합적용하거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복층 투과창(4)이 상기 수직재(101)의 전면 방향에 설치되므로 상기 앵글(105)의 핀홀(105a)에 상기 내부 거푸집과 체결을 위해 핀 고정 작업을 할 때 간섭받지 않으므로 작업의 효율이 좋아진다.
상기 핀 고정시 작업공간은 상기 수평재(102)의 두께 50MM와 상기 수직재(101)의 두께 50MM와 상기 창틀 프레임(1)의 두께가 최소 50MM에서 최대 140MM까지 가능하므로, 최소 150MM에서 최대 240MM의 작업공간 확보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 복층 투과창(4)에는 여닫이창(16)을 설치하거나, 슬라이딩창(18)중 어느 하나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여닫이창(16)은 경첩(15)과 손잡이(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창(18)은 "ㄷ"자 레일(17)을 상,하부에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딩창(18)을 설치하면 된다.
상기 슬라이딩창(18)에는 상기 손잡이(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ㄷ"자 레일(17)은 상기 "ㄷ"자 형상으로 철판을 접어서 제작하거나,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으로 사출한것 중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창(18)은 폴리 카보네이트, 아크릴, 주름쉬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ㄷ"자 레일(17)은 상기 복층투과창(4)에 상기 직결피스(14)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복층투과창(4)이 단위규격으로 상호 접합하는 구간에는 후면에 중간 보강재(1a)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직결 피스(14)로 고정시키며, 전면부의 상호 접합부에는 실리콘(19)을 도포하여 밀실하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창틀 프레임(1)에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2)과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3)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 창틀 프레임(1)에 상기 복층 투과창(4)을 상기 직결피스(14)로 직접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복층 투과창(4)은 창호설치 가능범위(300)인 최대 140MM까지 두께를 선택 적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와 소음저감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이로써 철근 및 거푸집 설치층에 설치되는 상기 갱폼(100)의 상기 거푸집 개구부(103)에 설치되는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다음은 거푸집 해체층의 골조 오픈구간에 입체 복층 투과창(11)과 고정부재(10)를 포함하는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거푸집 해체층의 골조 오픈구간에 입체 복층 투과창(11)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갱폼(100)의 상기 수평재(102)와 다리부 고정용 수평재(102a)의 전면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부재(1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10)는 상기 수평재(102)와 상기 다리 고정용 수평재(102a)의 전면에 용접으로 고정하거나, 상기 고정부재(10)는 상기 수평재(102)에 고정 브라켓(10c)과 상기 직결 피스(14)로 고정하고, 상기 다리 고정용 수평재(102a)의 전면에 상기 고정클립(10a)과 상기 직결 피스(14)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0)는 골조 오픈구간 좌,우측에 설치하고, 상기 골조 오픈구간 중간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부재(10)는 전면창(11a)의 폭에 비례하게 설치 한다.
상기 입체 복층 투과창(11)으로 사용되는 폴리 카보네이트, 아크릴, 비닐쉬트, 주름쉬트등의 폭은 900MM~1000MM가 일반적이므로 상기 고정부재(10)의 설치 간격 또한 900MM~1000MM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0)의 상부 일단은 상기 수평재(102)와 상기 다리 고정용 수평재(102a)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10)의 하부 일단은 콘크리트 면(200)과 적어도 53MM이상 떨어져 설치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10)와 상기 콘크리트 면(200)이 적어도 53MM이상 떨어져 설치되는 원리로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을 설치하기 전과 같이 견출작업을 불편함 없이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0)의 하부 일단이 외부에서 미는힘으로 변형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재(10)의 하부 일단에 스키날(10b)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수평재(102)의 전면에는 도 17에서와 같이 공간 메움재(13)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공간 메움재(13)는 상기 수직재(101)와 상기 고정부재(10)사이에 상기 수평재(102)와 전면창(11a)후면부 사이의 공간을 밀실하게 처리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각 파이프 또는 경질의 스폰지, 단열재중 어느 하나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0)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10)와 고정부재(10)를 사선부재(20)로 경사지게 연결하여 고정한다.
상기 고정부재(10)와 상기 사선부재(20)는 용접하여 고정하거나, 사선부재 앵글(20a)과 상기 직결피스(14)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사선부재(20)를 경사지게 설치하는 원리로 상기 고정부재(10)와 고정부재(10)의 간격이 상이하더라도 상기 사선부재(20)의 길이를 동일한 것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고정부재(10)의 전면에는 단위규격의 전면창(11a)을 상기 직결피스(14)로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고정클립(10a)과 상기 직결피스(14)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0)는 상기 수직재(101)와 관계없이 어느 위치에든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수직재(101)는 상기 수평재(102)의 전면에 용접고정되는 몸통부(101a)와 상기 갱폼(100)을 상기 콘크리트 면(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리부(101b)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0)를 상기 수평재(102)와 상기 다리부 고정용 수평재(102a)의 전면에 설치하고, 사각형태의 외부프레임 또는 지지프레임 없이 상기 고정부재(10)에 상기 전면창(11a)을 설치하며, 상기 전면창(11a)을 상기 다리부(11b)의 하단(후방)에 설치하지 않고, 상기 다리부(11b)의 전면에 설치하므로 상기 다리부 고정용 수평재(102a)를 절단하지 않아 상기 갱폼(100)에 구조적인 무리를 주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0)가 상기 수평재(102)와 상기 다리부 고정용 수평재(102a)의 전면에 설치되어 2점 고정 및 지지되는 구조적인 원리로 가압부재 또는 지지프레임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전면창(11a)의 좌측면과 우측면 및 하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창(11b)과 우측창(11c)및 하부창(11d)을 포함하거나, 공기 통과용 통공을 포함하는 관 형상의 연질의 투명한 좌측창(11b)과 우측창(11c)및 하부창(11d)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관 형상의 연질의 투명한 좌측창(11b)과 우측창(11c)및 하부창(11d)은 공기 통과용 통공을 엇갈리게 설치하여 자연원리에 의해 외기를 작업공간 내부로 유입시키며 좁은 공간을 통과할 때 강한 기류를 형성시켜 내부의 소음 또는 분진이 외부로 유출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창(11a)과 상기 좌측창(11b), 우측창(11c), 하부창(11d)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일체로 구성되거나, 관 형상의 연질의 투명한 창으로 상기 입체 복층 투과창(11)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전면창(11a)과 상기 좌측창(11b), 우측창(11c), 하부창(11d)이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경첩(15)으로 상호 연결 고정하거나, 연질의 고무쉬트(23)로 연결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전면창(11a)과 상기 좌측창(11b), 우측창(11c), 하부창(11d)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경첩(15) 및 상기 연질의 고무쉬트(23)의 연결하는 방법은 상기 직결피스(14)또는 리벳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전면창(11a)과 상기 좌측창(11b), 우측창(11c), 하부창(11d)의 연결은 상호 직각으로 고정하기 보다는 도13의 단면도와 평면도와 같이 둔각으로 설치하여 탄성체(21)를 이용하여 항상 내측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가해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항상 내측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가해지도록 상기 전면창(11a)과 상기 좌측창(11b), 우측창(11c), 하부창(11d)을 설치할 경우 상기 콘크리트 면(200)과 항상 밀착되어 있으므로 밀실한 구조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좌측창(11b), 우측창(11c), 하부창(11d)은 견출 작업시 도 14에서와 같이 하부방향 또는 좌,우측 방향으로 개방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창(11b), 우측창(11c), 하부창(11d)의 단부에는 창호 기밀재(12)를 설치하여 상기 콘크리트 면(200)과의 밀실한 상태를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상기 입체 복층 투과창(11)은 폴리 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비닐쉬트, 주름쉬트 중 어느 하나로 하거나, 상기 폴리 카보네이트와 아크릴을 겹쳐서 혼합적용 하거나, 상기 폴리 카보네이트와 비닐쉬트를 겹쳐서 혼합적용하거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단위 규격으로 연결되는 상기 전면창(11a)의 상호 접합부에는 실리콘(19)을 도포하여 밀실하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입체 복층 투과창(11)에는 여닫이창(16)을 설치하거나, 슬라이딩창(18)중 어느 하나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여닫이창(16)은 경첩(15)과 손잡이(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창(18)은 "ㄷ"자 레일(17)을 상,하부에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딩창(18)을 설치하면 된다.
상기 슬라이딩창(18)에는 상기 손잡이(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ㄷ"자 레일(17)은 상기 "ㄷ"자 형상으로 철판을 접어서 제작하거나,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으로 사출한것 중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창(18)은 폴리 카보네이트, 아크릴, 주름쉬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다음은 거푸집 해체층의 골조 오픈구간에 복층 투과창(4)과 T형 수직재(24)를 포함하는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갱폼(100)의 수직재(101)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T형 수직재(24)는
상기 거푸집 해체층의 골조 오픈구간에 복층 투과창(4)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갱폼(100)의 상기 수평재(102)전면에 고정된다.
상기 수평재(102) 전면에 고정되는 상기 T형 수직재(24)는 용접 또는 상기 고정클립(10a)과 상기 직결 피스(14)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T형 수직재(24)와 상기 다리부(101b)의 전면에는 상기 다리부 고정용 수평재(102a)를 용접 또는 상기 고정클립(10a)과 상기 직결 피스(14)로 고정하여 상기 다리부(101b)와 상기 T형 수직재(24)를 상호 연결 시킨다.
상기 T형 수직재(24)의 하단부가 흔들리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T형 수직재(24)를 상호 사선부재(20)로 경사지게 연결하여 고정한다.
상기 T형 수직재(24)와 상기 사선부재(20)는 용접하여 고정하거나, 사선부재 앵글(20a)과 상기 직결피스(14)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사선부재(20)를 경사지게 설치하는 원리로 상기 T형 수직재(24)와 T형 수직재(24)의 간격이 상이하더라도 상기 사선부재(20)의 길이를 동일한 것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다리부 고정용 수평재(102a)는 공장에서 상기 갱폼(100)제작시 설치하지 않고, 현장에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T형 수직재(24)는 골조 오픈구간 좌,우측에 설치하고, 상기 골조 오픈구간 중간에 설치되는 상기 T형 수직재(24)는 상기 복층 투과창(4)의 폭에 비례하게 설치 할 수 있다.
상기 복층 투과창(4)으로 사용되는 폴리 카보네이트, 아크릴, 비닐쉬트, 주름쉬트등의 폭은 900MM~1000MM가 일반적이므로 상기 고정부재(10)의 설치 간격 또한 900MM~1000MM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T형 수직재(24)의 후면에 고정되는 상기 복층 투과창(4)은 상기 직결 피스(14)로 내부에서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고정클립(10a)및 직결 피스(14)로 외부에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복층 투과창(4)에는 여닫이창(16) 또는 슬라이딩창(18)중 어느 하나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여닫이창(16)은 경첩(15)과 손잡이(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창(18)은 "ㄷ"자 레일(17)을 상,하부에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딩창(18)을 설치하면 된다.
상기 슬라이딩창(18)에는 상기 손잡이(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ㄷ"자 레일(17)은 상기 "ㄷ"자 형상으로 철판을 접어서 제작하거나,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으로 사출한것 중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창(18)은 폴리 카보네이트, 아크릴, 주름쉬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면(200)에 고정되는 상기 복층 투과창(4)의 전면에 설치되는 상기 T형 수직재(24)의 전면에 도 24와 같이 상기 복층 투과창(4)을 설치하여 공기층(400)을 만들어 소음 저감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특징 포함할 수 있다.
단위 규격으로 설치되는 상기 복층 투과창(4)의 접합부에 상기 실리콘(19)을 도포하여 밀실하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복층 투과창(4)은 소음의 정도에 따라 상기 복층 투과창(4)의 두께를 차등적용하여 원가 절감 및 소음저감 효과를극대화 하여야 할 것이다.
거푸집 해체층의 골조 오픈구간에 상기 입체 복층 투과창(11)또는 상기 T형 수직재(24)를 포함하는 복층 투과창(4)을 설치하고자 할 때는 상기 갱폼(100)이 기준층에 설치되고, 하부 케이지(106) 및 발판(104)이 설치된 후에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와 같이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을 이용하여 내부 철근 작업 및 거푸집 설치작업이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작업 공정 중 발생하는 소음, 먼지 또는 거푸집에 도포하는 박리재의 냄새들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공사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은,
(a) 외벽에는 갱폼이 설치되고, 내부에는 철근을 설치 후 내부 폼을 설치하여 건축물의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b) 갱폼의 거푸집 개구부 전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설치되는 사각의 창틀 프레임;및 상기 사각의 창틀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하 가이드레일; 및 상기 상,하 가이드레일에 설치되는 복층 투과창이 설치되는 단계;와
(c) 상기 내부 철근작업 및 내부 거푸집 설치 작업시 소음이 발생할 경우 상기 복층 투과창을 닫는 단계;와
(d) 상기 내부 철근작업 및 내부 거푸집 설치 작업을 완료하고 환기 및 통행을 위해 상기 복층 투과창을 여는 단계;와
(e)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중 보양을 위해 상기 투과창을 닫아 내부의 온기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의 냉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층 투과창을 닫는 단계;와
(f) 상기 (a)단계부터 (e)단계를 거쳐 콘크리트 양생을 위해 일정시간이 지난 후 상기 갱폼을 상부층으로 인양하는 것이 반복 단계;로 구성할 수 있으며,
거푸집 해체작업이 반복하여 이루어지는 작업 공정 중 발생하는 소음, 먼지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공사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은,
(a) 콘크리트 양생 후 갱폼을 해체하여 인양하고, 상기 갱폼이 기준층에 설치될 때 하부 케이지 및 발판을 설치하는 단계;와
(b) 상기 갱폼의 수직재와 수직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갱폼의 수평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및 상기 고정부재에 단위규격으로 설치되는 전면창을 설치하는 단계;와
(c) 내부에 설치된 거푸집 해체작업 및 콘크리트 면에 견출작업을 하는 단계;와
(d) 상기 거푸집 해체작업 완료시 환기를 위해 슬라이딩 창 또는 여닫이문 중 어느 하나를 열어 환기를 시키는 단계;와
(e) 상기 (a)단계부터 (d)단계를 거쳐 상부 층의 콘크리트 양생을 위해 일정시간이 지난 후 상기 갱폼을 상부층으로 인양하는 단계;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창틀 프레임 101: 수직재
2: 상부 가이드레일 102: 수평재
3: 하부 가이드레일 103: 거푸집 개구부
4: 복층 투과창 104: 발판
10: 고정부재 105: 앵글
11: 입체 복층 투과창 106: 하부 케이지
12: 창호 기밀재 200: 콘크리트 면
13: 공간 메움재 105a: 핀홀
14: 직결 피스 10a: 고정클립
15: 경첩 10b: 스키날
16: 여닫이창 10c: 고정 브라켓
17: "ㄷ"자 레일 11a: 전면창
18: 슬라이딩창 11b: 좌측창
19: 실리콘 11c: 우측창
20: 사선부재 11d: 하부창
21: 탄성체 1a: 중간 보강재
22: 손잡이 20a: 사선부재 앵글
23: 고무쉬트 101a: 몸통부
24: T형 수직재 101b: 다리부
100: 갱폼 102a: 다리부 고정용 수평재
300: 창호설치 가능범위 400: 공기층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갱폼의 수직재와 수직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갱폼의 수평재에 고정클립으로 고정되는 T형 수직재;및 상기 T형 수직재를 상기 갱폼의 수평재에 고정 시키는 고정클립 및 직결피스;와 상기 T형 수직재의 후면에 고정되고 콘크리트 면에 밀착되는 입체 복층투과창;으로 상기 입체 복층투과창에는 창호 기밀재를 포함하는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a) 콘크리트 양생 후 갱폼을 해체하여 인양하고, 상기 갱폼이 기준층에 설치될 때 하부 케이지 및 발판을 설치하는 단계;와
    (b) 상기 갱폼의 수직재와 수직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갱폼의 수평재에 고정클립으로 고정되는 T형 수직재;및 상기 T형 수직재를 상기 갱폼의 수평재에 고정 시키는 고정클립 및 직결피스;와 상기 T형 수직재의 후면에 고정되고 콘크리트 면에 밀착되는 입체 복층투과창;으로 상기 입체 복층투과창에는 창호 기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c) 내부에 설치된 거푸집 해체작업 및 콘크리트 면에 견출작업을 하는 단계;와
    (d) 상기 거푸집 해체작업 완료시 환기를 위해 슬라이딩 창 또는 여닫이문 중 어느 하나를 열어 환기를 시키는 단계;와
    (e) 상기 (a)단계부터 (d)단계를 거쳐 상부 층의 콘크리트 양생을 위해 일정시간이 지난 후 상기 갱폼을 상부층으로 인양하는 단계로 반복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방법.
KR1020160029977A 2016-03-12 2016-03-12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 KR101773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977A KR101773039B1 (ko) 2016-03-12 2016-03-12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977A KR101773039B1 (ko) 2016-03-12 2016-03-12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876A KR20160034876A (ko) 2016-03-30
KR101773039B1 true KR101773039B1 (ko) 2017-08-30

Family

ID=55660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977A KR101773039B1 (ko) 2016-03-12 2016-03-12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0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876A (ko)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370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101812731B1 (ko)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
US10407978B2 (en) Flood barrier shield system
US6591553B1 (en) Entranceway barrier apparatus
KR101752755B1 (ko)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
KR101562672B1 (ko) 가설용 조립식 창호 갱폼
JP6865432B2 (ja) シート取付用金具
KR101773039B1 (ko)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
KR101729719B1 (ko) 갱폼 창호 시스템
KR100891273B1 (ko) 방음패널
KR20160040485A (ko)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484798Y1 (ko) 개방부 차폐 기능을 갖는 건축물 시공용 갱폼
KR20170060606A (ko)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20160041866A (ko)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
KR101643291B1 (ko) 개방벽체 차폐장치
KR101410153B1 (ko) 개폐식 케이블 덕트
CN204737563U (zh) 一种施工现场电梯接料平台防护门
KR200484071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100895054B1 (ko) 방음패널
JP6482860B2 (ja) シャッターケース
KR100892872B1 (ko) 방음패널
KR101808640B1 (ko) 시스템 거푸집의 공사 소음저감용 창호 장치
KR20100043416A (ko) 기밀형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JP2015140563A (ja) 開口部の防水装置
KR102031955B1 (ko) 창호의 고정틀을 골조건물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