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955B1 - 창호의 고정틀을 골조건물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구조 - Google Patents

창호의 고정틀을 골조건물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955B1
KR102031955B1 KR1020190102543A KR20190102543A KR102031955B1 KR 102031955 B1 KR102031955 B1 KR 102031955B1 KR 1020190102543 A KR1020190102543 A KR 1020190102543A KR 20190102543 A KR20190102543 A KR 20190102543A KR 102031955 B1 KR102031955 B1 KR 102031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emale
male
fixing fram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1955B9 (ko
Inventor
조웅현
Original Assignee
조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웅현 filed Critical 조웅현
Priority to KR1020190102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955B1/ko
Publication of KR10203195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95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46Clamp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 to the wall opening; Fastening frames by tightening or drawing them against a surface parallel to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틀의 4개의 테두리 변의 실외측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턱부를 형성하고, 외부마감틀의 4개의 테두리 변의 실내측 내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턱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틀의 4개의 테두리 변의 실내측 외면에 암형가이드레일부를 장착하고,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의 레일을 따라 실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에 암수결합되는 숫형브래킷을 골조건물의 골조벽에 장착시키고, 상기 숫형브래킷에 상기 고정틀을 피스에 의해 고정시키고, 위치결정된 외부마감틀을 피스에 의해 상기 고정틀에 고정하는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호의 고정틀을 골조건물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구조{structure for mounting fix frame of fittings in opening of framework building}
본 발명은 창호의 고정틀을 골조건물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골조건물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골조벽(1)을 구축한 다음, 골조벽(1)의 외면에 단열재(2)와 외장재(3)를 덮고, 골조벽(1)에 개구되어 형성된 개구부(4)에 창호의 고정틀(5)을 설치하고, 창호의 고정틀(5)과 개구부 내벽 사이에 사춤(6)을 개재시킨 다음, 골조벽(1)의 내벽에 사춤(6)을 개재하여 석고보드와 같은 내장재(7)을 덮는 방식으로 시공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단열재와 외장재의 납기가 늦어지거나 외장 시공이 지연되는 경우에는, 건축시간이 증대되기 때문에, 건축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골조건물에 대하여 창호의 고정틀을 단열재와 외장재의 시공 전에 먼저 시공하기도 한다.
골조건물에 대하여 창호의 고정틀을 단열재와 외장재의 시공 보다 먼저 시공할 때에는, 골조벽(1)의 외면이 내부 수직 마감선으로서 수직선(L)으로 취급되고, 개구부(4)의 수평내벽이 내부 수평 마감선으로서 수평선으로 취급되어, 창호의 고정틀(5)의 수직과 수평을 맞추어 상기 개구부(4)에 설치하지만, 골조벽(1)이 타설 및 양생에 의해 구축되는 관계로, 실질적인 수직선과 수평선이 아닌 경우가 빈번하다.
내부 수직 마감선과 내부 수평 마감선이 실질적인 수직선과 수평선이 아닌 경우에는, 개구부(2)에 설치된 창호의 고정틀(5)의 가로변 및 세로변과 외장재 간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아, 현장에서는 일일이 마감재를 재단하여 창호의 고정틀(5)의 가로변 및 세로변과 외장재 간의 틈을 상기 재단된 마감재로 마감하여 마무리 하지만, 이러한 마무리 공사는 많은 마무리 시간과 세심한 작업이 요구되어, 실리콘으로 상기 틈을 메워서 마무리하고 있다.
하지만 실리콘으로 마무리하게 되면, 누수가 발생하고, 창호의 고정틀의 외면 도출량이 일정하지 않게 되고, 창호의 고정틀이 외장재에 가려서 물구멍이 막히게 되는 부실공사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1실시예의 창호의 장착 구조가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특허등록된 특허등록 제10-198719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제1실시예의 창호의 장착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건물의 골조벽(1)에 개구되어 형성된 사각형의 개구부(4)에 장착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4)에 장착된 창호의 고정틀(5)에 대하여, 실내외측방향에서 양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사각형인 창호의 고정틀(5)의 테두리 4개의 내면에 면접촉되어 있는 외부마감틀(100)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마감틀(100)은, 상기 개구부(4)의 가로방향 크기 및 세로방향 크기 보다 작은 가로방향 크기 및 세로방향 크기를 가지고서 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실내외측 방향에서의 상기 외부마감틀(100)의 크기는 상기 외부마감틀(100)이 상기 창호의 고정틀(5)에 외접된 상태에서 상기 골조벽(1)의 외면에 덮혀지는 외장재(3)보다 더 실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고, 상기 외부마감틀(100)은 골조건물의 골조벽(1)에 개구되어 형성된 사각형의 개구부(4)에 상기 창호의 고정틀(5)이 고정된 다음, 상기 골조벽(1)에 장착될 외장재(3)의 위치에 상당하게 상기 외부마감틀(100)이 위치결정된 후 그 위치결정된 위치가 고정되기 위해, 상기 창호의 틀(5)의 외면에 고정되는 제1수평바(111), 상기 외부마감틀(100)의 외면에 고정되는 제2수평바(112), 상기 제1수평바(111)와 상기 제2수평바(112)가 서로 단차를 갖게 상기 제1수평바(111)의 단부와 상기 제2수평바(112)의 단부를 서로 이음하는 수직부(113)를 일체로 구비한 복수개의 고정바(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바(111)에는 상기 창호의 고정틀(5)에 상기 제1수평바(111)를 고정하기 위한 피스가 관통하게 되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11a)이 상기 제1수평바(111)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2수평바(112)에는 상기 외부마감틀(100)에 제2수평바(112)를 고정하기 위한 피스가 관통하게 되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12a)이 상기 제2수평바(112)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바(110)는 상기 창호의 고정틀(5)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상기 개시된 제1실시예의 창호의 장착 구조는, 단열재와 외장재의 납기가 늦어지거나 외장 시공이 지연되는 경우에도 먼저, 외장 시공없이 창호의 고정틀을 실질적인 수직선과 수평선에 맞추어 골조벽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하고, 그 후에 외장시공자가 창호의 고정틀에 장착된 외부마감틀의 수직선과 수평선에 외장재의 수직선과 수평선을 맞추고, 상기 외부마감틀을 실내외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외장재의 수직선과 수평선과 창호의 고정틀의 수직선과 수평선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하면서 외장재를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외장 시공이 지연되어 발생되는 건축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더욱이 외장재의 수직선과 수평선과 창호의 고정틀의 수직선과 수평선 간의 거리를 일정하지 않아 현장에서 일일이 마감재를 재단하는 번거러운 작업과 실리콘 마감작업을 배제하여, 외장시공인건비를 현저하게 절감함과 동시에 누수의 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외부마감틀의 외면 도출량이 일정하여 외관을 현저하게 균일하게 할 뿐만아니라, 창호의 고정틀이 외장재에 가리는 것이 방지되어 물구멍이 막히게 되는 부실공사를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개시된 제1실시예의 창호의 장착구조에서는, 상기 외부마감틀이 제일 마직막으로 상기 고정틀에 고정된 상기 고정바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설치될 외장재의 외면의 가상 수직선와 가상 수평선에 상기 외부마감틀의 외면 수평선과 수직선이 직각으로 교차하게 할 때, 작업자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상기 외부마감틀이 상기 고정틀에서 빠져나와 골조건물의 외부 바닥으로 떨어져서 외부마감틀이 파손되거나, 작업자에게 부상을 입힌다고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개시된 제1실시예의 창호의 장착구조에서는, 상기 고정틀과 상기 개구부 사이에 사춤을 개재시켜 상기 고정틀을 상기 개구부의 내벽에서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틀을 상기 개구부의 내벽에 브래킷 또는 피스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지 때문에, 중량이 나가는 상기 고정틀이 상기 개구부의 내벽에 고정되기 전에 작업자가 상기 개구부 내에서 수평선과 수직선에 수평계를 이용하여 맞추어서 상기 고정틀의 자세를 작업자의 힘에 의해 유지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움직이거나 떨게 상기 고정틀의 자세가 수평선과 수직선에 어긋나게 되어 재차 수평계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틀의 자세를 수평선과 수직선에 맞추는 번거러움 작업을 하게 되고, 더욱이 작업자의 힘으로 상기 고정틀을 상기 개구부 내에서 수평선과 수직선에 맞추어서 상기 고정틀의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힘들어서, 작업자에게는 매우 성가신 작업으로 취급되고 있다는 문제점들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2실시예의 창호의 장착 구조가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특허등록된 특허등록 제10-200263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제2실시예의 창호의 장착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건물의 골조벽(1)에 개구되어 형성된 장방형의 개구부(4)에 장착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호는, 장방형인 고정틀(200); 및 상기 개구부(4)에 장착된 고정틀(200)에 대하여, 실내외측방향에서 양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틀(200)에 외접되는 장방형인 외부마감틀(10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틀(200)은, 장방형 형상을 가진 상기 고정틀(200)의 4개의 테두리 변의 실외측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턱부(210); 상기 고정틀(200)의 4개의 테두리 변의 실내측 외면에 실내외측방향으로 뻗어 장착된 복수개의 암형가이드레일부(220), 및 상기 복수개의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한 쌍의 암형 레일(221)을 따라 실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암형 레일(221)에 암수결합되는 숫형부(231)와, 상기 숫형부(231)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기립되어서 골조건물의 골조벽(1)의 내벽에 피스에 의해 고정되는 기립부(232)를 구비한 복수개의 숫형브래킷(230)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마감틀(100)은, 상기 외부마감틀(100)의 4개의 테두리 변의 실내측 내면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틀(200)의 4개의 테두리 변의 외면에 면접촉되어서 상기 고정틀(200)에 대하여 실내외측방향에서 양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는 턱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턱부(110)는 상기 고정틀(200)의 턱부(210)을 넘어 실외측방향으로 상기 고정틀(200)에서 이탈되지 못하게 하는 크기로 되어 있고, 상기 외부마감틀(100)은, 상기 개구부(4)의 가로방향 크기 및 세로방향 크기 보다 작은 가로방향 크기 및 세로방향 크기를 가지며, 실내외측 방향에서의 상기 외부마감틀(100)의 크기는 상기 외부마감틀(100)이 상기 창호의 고정틀(200)에 외접된 상태에서 상기 골조벽(1)의 외면에 덮혀지는 외장재(3)보다 더 실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고, 상기 고정틀(200)은, 상기 개구부(4)를 구획형성하는 벽부에 접촉하지 않게 수평선 및 수직선에 평행하게 상기 개구부(4)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골조건물의 골조벽(1)에 고정된 상기 숫형브래킷(230)의 숫형부(231)에 피스을 이용하여 고정되고, 상기 외부마감틀(100)은 상기 외부마감틀(100)을 실내외측으로 이동시켜, 설치될 외장재(3)의 외면의 가상 수직선와 가상 수평선에 상기 외부마감틀(100)의 외면 수평선과 수직선이 직각으로 교차하게 하면서, 외장재(3)의 외면의 가상 수직선 보다 상기 외부마감틀(100)의 외면 가상 수직선이 실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위치 결정시킨 후에, 피스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틀(200)에 고정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상기 개시된 제2실시예의 창호의 장착 구조는, 개구부를 구획형성하는 벽부에 접촉하지 않게 수평선 및 수직선에 평행하게 고정틀을, 상기 숫형브래킷과 상기 암형가이드레일의 도움을 가지고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개구부 내에 배치시켜서 골조건물의 골조벽에 고정된 상기 숫형브래킷에 상기 고정틀을 피스에 의해 고정시키고, 이어서, 종래와 같이, 상기 고정틀에 외접된 외부마감틀을 상기 고정틀에 대하여 전후진시켜, 설치될 외장재의 외면의 가상 수직선와 가상 수평선에 상기 외부마감틀의 외면 수평선과 수직선이 직각으로 교차하게 하면서, 외장재의 외면의 가상 수직선 보다 상기 외부마감틀의 외면 가상 수직선이 실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하고 나서, 상기 외부마감틀을 상기 고정틀에 피스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종래보다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창호의 설치작업시에 상기 외부마감틀이 상기 고정틀에 대하여 실외측으로 이탈되어 골조건물의 실외측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외부마감틀의 손상이나 골조건물의 실외측에 위치한 작업자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시된 제2실시예의 창호의 장착구조에서는, 골조건물의 골조벽(1)의 내벽에 숫형브래킷(230)의 기립부(232)가 맞닿음되게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와 상기 숫형브래킷(230)을 암수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0)를 상기 고정틀(220)에 고정시키고, 상기 숫형브래킷(230)을 골조벽(1)의 내벽에 고정시킨 후, 상기 숫형브래킷(230)의 숫형부(231)를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에 고정시키게 되면,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내측단과 숫형브래킷(230)의 숫형부(231) 선단이 골조벽(1)의 내벽에서 돌출되게 되며, 상기 숫형브래킷(230)의 숫형부(231)와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암형레일(221) 간의 구조적인 강도를 가지고서 서로 암수결합되기 위해, 상기 숫형부(231)가 상기 암형레일(221)에 대한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양단이 상기 암형레일(221)에서 수평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게 된다.
상기 암형레일부(220)와 상기 숫형부(231)가 수평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게 되면, 단열재가 골조벽(1)의 외벽에 장착되고 골조벽(1)의 내벽에 장착되지 않은 건물에 상기 제2실시예의 창호의 장착구조가 적용되는 경우에, 도 7의 맨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형레일부(220)와 상기 숫형부(231)가 상기 내장재(7)를 넘어 실내측으로 돌출되게 되어, 어쩔수 없이 상기 내장재(7)를 상기 골조벽(1)의 내벽에서 종래보다 더 실내측으로 떨어지게 설치할 수밖에 없어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실내공간을 종래보다 축소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암형레일부(220)와 상기 숫형부(231)가 상기 내장재(7)를 넘어 뻗지 않게 수평방향으로 짧게 뻗게 하면, 상기 숫형브래킷(230)의 숫형부(231)와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암형레일(221) 간의 암수결합이 구조적으로 강도가 약하게 되어, 제대로 창호를 골조벽(1)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개시된 제2실시예의 창호의 장착구조에서는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암형레일(221)이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숫형브래킷(230)의 숫형부(231)가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숫형부(231)가 삽입되어 미끄럼접촉할 수 있게 상기 숫형부(231)의 두께보다 약간 큰 높이를 상기 암형레일(221)의 암형홈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외측단과 내측단이 상기 고정틀(200)에 피스에 의해 고정된 후, 상기 숫형브래킷(230)의 숫형부(231)를 상기 암형레일(221)에 삽입할 시에, 상기 고정틀(200)에 박인 피스에 걸리게 되어 제대로 상기 숫형브래킷(230)의 숫형부(231)를 상기 암형레일(221)에 삽입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개시된 제2실시예의 창호의 장착구조에서는 숫형부(231)가 암형가이드레일부(220)에 면접촉한 상태에서 피스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협소한 간격을 가지고서 배치된 상기 한 쌍의 암형레일(221) 사이에 위치된 상기 숫형부(231)의 부위에 형성된 관통구멍(235)를 통하여 피스를 밖는 작업이 어렵하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고정틀의 4개의 테두리 변의 실외측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턱부를 형성하고, 외부마감틀의 4개의 테두리 변의 실내측 내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턱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틀의 4개의 테두리 변의 실내측 외면에 암형가이드레일부를 장착하고,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의 레일을 따라 실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에 암수결합되는 숫형브래킷을 골조건물의 골조벽에 장착시키고, 상기 숫형브래킷에 상기 고정틀을 피스에 의해 고정시키고, 위치결정된 외부마감틀을 피스에 의해 상기 고정틀에 고정하는 장착구조를 제공하되, 상기 숫형브래킷의 숫형부를 실외측방향으로 뻗게 하여 상기 암형가이들일부의 한 쌍의 암형레일에 암수결합시키고, 상기 숫형브래킷의 기립부를 골조벽 및 고정틀에 피스에 의해 고정시키고, 상기 숫형브래킷의 숫형부가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를 상기 고정틀에 고정시키는 피스에 간섭을 받지 않게, 밑변이 없는 이등변사다리꼴단면을 갖게 형상화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개구부를 구획형성하는 벽부에 접촉하지 않게 수평선 및 수직선에 평행하게 고정틀을, 상기 숫형브래킷과 상기 암형가이드레일의 도움을 가지고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개구부 내에 배치시켜서 골조건물의 골조벽에 고정된 상기 숫형브래킷에 상기 고정틀을 피스에 의해 고정시키고, 이어서, 종래와 같이, 상기 고정틀에 외접된 외부마감틀을 상기 고정틀에 대하여 전후진시켜, 설치될 외장재의 외면의 가상 수직선와 가상 수평선에 상기 외부마감틀의 외면 수평선과 수직선이 직각으로 교차하게 하면서, 외장재의 외면의 가상 수직선 보다 상기 외부마감틀의 외면 가상 수직선이 실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하고 나서, 상기 외부마감틀을 상기 고정틀에 피스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종래보다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창호의 설치작업시에 상기 외부마감틀이 상기 고정틀에 대하여 실외측으로 이탈되어 골조건물의 실외측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외부마감틀의 손상이나 골조건물의 실외측에 위치한 작업자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상기 암형레일부와 상기 숫형부가 수평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게 되어도, 단열재가 골조벽의 외벽에 장착되고 골조벽의 내벽에 장착되지 않은 건물에 적용되는 경우에, 상기 암형레일부와 상기 숫형부가 상기 내장재를 넘어 실내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실내공간을 종래와 같은 공간을, 상기 숫형브래킷의 숫형부와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의 암형레일 간의 암수결합이 구조적으로 강도를 취약하게 없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상기 숫형브래킷의 숫형부가 밑변이 없는 이등변사다리꼴 단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의 외측단과 내측단이 상기 고정틀에 피스에 의해 고정된 후, 상기 숫형브래킷의 숫형부를 상기 암형레일에 삽입할 시에, 상기 고정틀에 박인 피스에 걸리지 않게 되어 용이하게 상기 숫형브래킷의 숫형부를 상기 암형레일에 삽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상기 숫형부가 피스의 도움없이 암형가이드레일부에 면접촉만 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 밖에 위치된 상기 숫형브래킷의 하단이 피스에 의해 상기 고정틀에 고정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용이하게 상기 고정틀에 대한 상기 숫형브래킷 장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골조건물의 창호틀과 내외장재 간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외부마감틀이 구비된 종래의 제1실시예의 창호틀과 내외장재 간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제2실시예의 외부마감틀이 구비된 창호틀과 내외장재 간의 배치상태와 장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숫형브래킷과 암형가이드레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외부마감틀이 구비된 창호틀과 내외장재 간의 배치상태와 장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숫형브래킷과 암형가이드레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제2실시예가 적용된 상태를 우측에 그리고 본 실시예가 적용된 상태를 좌측과 중간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촬영도, 및
도 8은 도 5의 상태에서 외부마감틀에 숫형브래킷과 암형가이드레일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창호의 고정틀을 골조건물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구조'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5에는 본 실시예의 외부마감틀이 부호 100으로서, 그리고 창호의 고정틀이 2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틀(2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 형상을 가진 상기 고정틀(200)의 4개의 테두리 변의 실외측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턱부(210), 상기 고정틀(200)의 4개의 테두리 변의 실내측 외면에 실내외측방향으로 뻗어 장착된 복수개의 암형가이드레일부(220), 및 상기 복수개의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윗면에 실내외측방향에서의 전장에 걸쳐서 형성된 한 쌍의 암형 레일(221)을 따라 실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한 쌍의 암형 레일(221)에 암수결합되게 실외측방향으로 뻗은 숫형부(231)와 상기 숫형부(231)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기립되어서 골조건물의 골조벽(1)의 내벽에 피스에 의해 고정되는 기립부(232)를 구비한 복수개의 숫형브래킷(23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숫형부(231)은 밑면이 없는 이등변 사다리꼴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숫형브래킷(230)의 숫형부(231)와 상기 기립부(232) 사이의 절곡부위에는 상기 암형 레일(221)에 장애를 받지 않고 상기 숫형브래킷(230)이 상기 암형 레일(2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절결부(233, 2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암형 레일(221)은 상기 숫형부(231)의 양빗변이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암형 레일(2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한 쌍의 암형레일(221)을 사이에 둔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양단에는 피스가 관통되어 상기 함형가이드레일부(220)를 상기 고정틀(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구멍(2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골조건물의 골조벽(1)의 내벽과 마주하는 상기 기립부(232)의 부위에는 피스가 관통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관통구멍(234)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기립부(232)의 하단 양측에는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양변에 접촉하지 않게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폭방향 길이보다 큰 간격을 가지고서 수직방향으로 뻗었다가 실내측으로 뻗은 한 쌍의 L자형 브래킷편(2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L자형 브래킷편(236)의 수평부는 실내외측방향에서의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양단중 실내측 단부에 못미치게 뻗어 있는 상태에서, 피스가 관통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관통구멍(2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틀(200)은, 골조건물의 골조벽(1)에 개구되어 형성된 장방형의 개구부(4)를 구획형성하는 벽부에 접촉하지 않게 수평선 및 수직선에 평행하게 상기 개구부(4)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골조건물의 골조벽(1)에 고정된 상기 숫형브래킷(230)의 기립부(232)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L자형 브래킷편(236)에 피스를 이용하여 고정되게 된다.
상기 외부마감틀(100)은, 장방형 형상을 가진 상기 외부마감틀(100)의 4개의 테두리 변의 실내측 내면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틀(200)의 4개의 테두리 변의 외면에 면접촉되어서 상기 고정틀(200)에 대하여 실내외측방향에서 양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는 턱부(1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턱부(110)는 상기 고정틀(200)의 턱부(210)을 넘어 실외측방향으로 상기 고정틀(200)에서 이탈되지 못하게 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상기 외부마감틀(100)은, 상기 개구부(4)의 가로방향 크기 및 세로방향 크기 보다 작은 가로방향 크기 및 세로방향 크기를 가지고서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실내외측 방향에서의 상기 외부마감틀(100)의 크기는 상기 외부마감틀(100)이 상기 창호의 고정틀(200)에 외접된 상태에서 상기 골조벽(1)의 외면에 덮혀지는 외장재(3)보다 더 실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틀을 골조건물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구조'는 고정틀을 단열재와 외장재의 시공 보다 먼저 골조건물에 시공할 때에, 다음과 같은 시공방법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먼저, 공장에서 제작된 고정틀(200)에 상기 복수개의 암형가이드레일부(220)를 피스에 의해 장착한 후 현장에 출고한다.
그 다음, 상기 외부마감틀(100)을 상기 고정틀(200)에 외접시킨다.
그 다음, 상기 외부마감틀(100)을 상기 고정틀(200)에 대하여 실외측으로 밀어낸 다음, 상기 복수개의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암형 레일(221)에 상기 복수개의 숫형브래킷(230)을 암수결합시켜 임시적으로 장착한 후, 상기 개구부(4)에 수평선과 수직선에 평행하게 상기 고정틀(200)을 배치하면서 상기 고정틀(200)과 상기 개구부(4) 사이에 사춤(6)을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숫형브래킷(230)의 기립부(232)에 형성된 관통구멍(234)에 피스를 관통시켜 상기 개구부(4) 주변의 골조벽(1)의 내벽에 고정시킨다.
그 다음, 상기 고정틀(200)과 상기 외부마감틀(100)을 실내외측으로 이동시켜, 설치될 외장재(3)의 외면의 가상 수직선와 가상 수평선에 상기 외부마감틀(100)의 외면 수평선과 수직선이 직각으로 교차하게 하면서, 외장재(3)의 외면의 가상 수직선 보다 상기 외부마감틀(100)의 외면 가상 수직선이 실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위치 결정시킨 후에, 피스를 이용하여 상기 관통구멍(235)을 통하여 상기 숫형브래킷(230)에 상기 고정틀(200)을 고정시키고 나서, 피스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마감틀(100)을 상기 고정틀(200)에 고정한다.
그 다음, 고정틀(200)과 상기 외부마감틀(100) 사이에 실리콘을 주입하여 보강 및 방수처리한다.
그 다음, 골조벽(1)의 외면에 단열재(2)를 덮고, 상기 단열재(2)의 외면에 상기 외부마감틀(100)의 수평선과 수직선에 맞추어 외장재(3)를 도시되지 않은 브래킷을 이용하여 덮는다.
내장재(7)는, 창호의 시공후에, 종래와 같이 골조벽(1) 내측에 설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틀을 골조건물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구조'에 의하면, 상기 개구부(4)를 구획형성하는 벽부에 접촉하지 않게 수평선 및 수직선에 평행하게 상기 고정틀(200)을, 상기 숫형브래킷(230)과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도움을 가지고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상기 개구부(4) 내에 배치시켜서 골조건물의 골조벽(1)에 고정된 상기 숫형브래킷(230)에 상기 고정틀(200)을 피스에 의해 고정시키고, 이어서, 종래와 같이, 상기 고정틀(200)에 외접된 상기 외부마감틀(100)을 상기 고정틀(200)에 대하여 전후진시켜, 설치될 외장재(3)의 외면의 가상 수직선와 가상 수평선에 상기 외부마감틀(100)의 외면 수평선과 수직선이 직각으로 교차하게 하면서, 상기 외장재(3)의 외면의 가상 수직선 보다 상기 외부마감틀(100)의 외면 가상 수직선이 실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하고 나서, 상기 외부마감틀(100)을 상기 고정틀(200)에 피스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종래보다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창호의 설치작업시에 상기 외부마감틀(100)이 상기 고정틀(200)에 대하여 실외측으로 이탈되어 골조건물의 실외측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이 상기 외부마감틀(100)의 턱부(110)와 상기 고정틀(200)의 턱부(210)에 의해 방지되어 상기 외부마감틀(100)의 손상이나 골조건물의 실외측에 위치한 작업자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틀을 골조건물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구조'에 의하면,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와 상기 숫형부(231)가 수평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게 되어도, 단열재가 골조벽(1)의 외벽에 장착되고 골조벽(1)의 내벽에 장착되지 않은 건물에 적용되는 경우에, 도 7의 좌측와 중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와 상기 숫형부(231)가 상기 내장재를 넘어 실내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실내공간을 종래와 같은 공간을, 상기 숫형브래킷(230)의 숫형부(231)와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한 쌍의 암형레일(221) 간의 암수결합이 구조적으로 강도를 취약하게 없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틀을 골조건물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구조'에 의하면, 상기 숫형브래킷(230)의 숫형부(231)가 밑변이 없는 이등변사다리꼴 단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외측단과 내측단이 상기 고정틀(200)에 피스에 의해 고정된 후, 상기 숫형브래킷(230)의 숫형부(231)를 상기 한 쌍의 암형레일(221)에 삽입할 시에, 상기 고정틀(200)에 박인 피스에 걸리지 않게 되어 용이하게 상기 숫형브래킷(230)의 숫형부(231)를 상기 한 쌍의 암형레일(221)에 삽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틀을 골조건물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구조'에 의하면, 상기 숫형부(231)가 피스의 도움없이 암형가이드레일부(220)에 면접촉만 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 밖에 위치된 상기 숫형브래킷(230)의 하단이 피스에 의해 상기 고정틀(200)에 고정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용이하게 상기 고정틀(200)에 대한 상기 숫형브래킷(230) 장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와 상기 숫형브래킷(230)이 상기 고정틀(200)의 외면과 상기 골조벽(1)의 실내측 벽에 개재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와 상기 숫형브래킷(230)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마감틀(100)의 외면과 상기 골조벽(1)의 실외측 벽에, 상기 고정틀(200)의 외면과 상기 골조벽(1)의 실내측 벽에 개재된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와 상기 숫형브래킷(23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서, 상기 고정틀(200)의 외면과 상기 골조벽(1)의 실내측 벽에 개재된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와 상기 숫형브래킷(230)의 배치상태와 반대의 상태로 배치되어 부가적으로 개재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가 상기 외부마감틀(100)의 외면에 피스에 의해 고정되게 되고, 상기 숫형브래킷(230)의 기립부(232)가 상기 골조벽(1)의 실외측 벽에 피스에 의해 고정되게 되어, 서로 결합된 고정틀(200)과 외부마감틀(100)의 뭉치의 양단이 골조벽(1)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서 골조벽(1)의 실내측 벽과 실외측 벽에 양단지지 고정되게 되어 서로 결합된 고정틀(200)과 외부마감틀(100)의 뭉치가 상기 개구부(4)에서 아래로 처침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마감틀(100)에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와 상기 숫형브래킷(230)이 적용된 경우에는, 상기 외부마감틀(100)은,
상기 외부마감틀(100)의 4개의 테두리 변의 실내측 외면에 실내외측방향으로 뻗어 장착된 복수개의 암형가이드레일부(220), 및
상기 복수개의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의 윗면에 실내외측방향에서의 전장에 걸쳐서 형성된 한 쌍의 암형 레일(221)을 따라 실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암형 레일(221)에 암수결합되게 실외측방향으로 뻗고 밑면이 없는 이등변 사다리꼴단면 형상을 가지는 숫형부(231)와, 상기 숫형부(231)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기립되어서 골조건물의 골조벽(1)의 외벽에 피스에 의해 고정되는 기립부(232)와,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양변에 접촉하지 않게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폭방향 길이보다 큰 간격을 가지고서 수직방향으로 뻗었다가 실내측으로 뻗어서 상기 기립부(232)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L자형 브래킷편(236)을 구비한 복수개의 숫형브래킷(230)을 더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외부마감틀(100)은, 상기 개구부(4)를 구획형성하는 벽부에 접촉하지 않게 수평선 및 수직선에 평행하게 상기 개구부(4)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골조건물의 골조벽(1)에 고정된 상기 숫형브래킷(230)의 기립부(232)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L자형 브래킷편(236)에 피스를 이용하여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L자형 브래킷편(236)의 수평부는 실내외측방향에서의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양단중 실외측 단부에 못미치게 뻗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암형 레일(221)은 상기 숫형부(231)의 양빗변이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암형 레일(2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한 쌍의 암형레일(221)을 사이에 둔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양단에는 피스가 관통되어 상기 함형가이드레일부(220)를 상기 외부마감틀(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구멍(222)이 형성되어 있다.
1: 골조벽, 2: 단열재, 3: 외장재, 4: 개구부, 6: 사춤, 7: 내장재, 100: 외부마감틀, 110: 턱부, 200: 고정틀, 210: 턱부, 220: 암형가이드레일부, 230: 숫형브래킷

Claims (4)

  1. 골조건물의 골조벽(1)에 개구되어 형성된 장방형의 개구부(4)에 장착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호는,
    장방형인 고정틀(200); 및
    상기 개구부(4)에 장착된 고정틀(200)에 대하여, 실내외측방향에서 양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틀(200)에 외접되는 장방형인 외부마감틀(10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틀(200)은,
    장방형 형상을 가진 상기 고정틀(200)의 4개의 테두리 변의 실외측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턱부(210);
    상기 고정틀(200)의 4개의 테두리 변의 실내측 외면에 실내외측방향으로 뻗어 장착된 복수개의 암형가이드레일부(220), 및
    상기 복수개의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윗면에 실내외측방향에서의 전장에 걸쳐서 형성된 한 쌍의 암형 레일(221)을 따라 실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암형 레일(221)에 암수결합되게 실외측방향으로 뻗고 밑면이 없는 이등변 사다리꼴단면 형상을 가지는 숫형부(231)와, 상기 숫형부(231)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기립되어서 골조건물의 골조벽(1)의 내벽에 피스에 의해 고정되는 기립부(232)와,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양변에 접촉하지 않게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폭방향 길이보다 큰 간격을 가지고서 수직방향으로 뻗었다가 실내측으로 뻗어서 상기 기립부(232)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L자형 브래킷편(236)을 구비한 복수개의 숫형브래킷(230)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마감틀(100)은, 상기 외부마감틀(100)의 4개의 테두리 변의 실내측 내면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틀(200)의 4개의 테두리 변의 외면에 면접촉되어서 상기 고정틀(200)에 대하여 실내외측방향에서 양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는 턱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턱부(110)는 상기 고정틀(200)의 턱부(210)을 넘어 실외측방향으로 상기 고정틀(200)에서 이탈되지 못하게 하는 크기로 되어 있고,
    상기 외부마감틀(100)은, 상기 개구부(4)의 가로방향 크기 및 세로방향 크기 보다 작은 가로방향 크기 및 세로방향 크기를 가지며,
    실내외측 방향에서의 상기 외부마감틀(100)의 크기는 상기 외부마감틀(100)이 상기 창호의 고정틀(200)에 외접된 상태에서 상기 골조벽(1)의 외면에 덮혀지는 외장재(3)보다 더 실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고,
    상기 고정틀(200)은, 상기 개구부(4)를 구획형성하는 벽부에 접촉하지 않게 수평선 및 수직선에 평행하게 상기 개구부(4)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골조건물의 골조벽(1)에 고정된 상기 숫형브래킷(230)의 기립부(232)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L자형 브래킷편(236)에 피스를 이용하여 고정되고,
    상기 외부마감틀(100)은 상기 외부마감틀(100)을 실내외측으로 이동시켜, 설치될 외장재(3)의 외면의 가상 수직선와 가상 수평선에 상기 외부마감틀(100)의 외면 수평선과 수직선이 직각으로 교차하게 하면서, 외장재(3)의 외면의 가상 수직선 보다 상기 외부마감틀(100)의 외면 가상 수직선이 실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위치 결정시킨 후에, 피스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틀(2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틀을 골조건물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L자형 브래킷편(236)의 수평부는 실내외측방향에서의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양단중 실내측 단부에 못미치게 뻗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암형 레일(221)은 상기 숫형부(231)의 양빗변이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암형 레일(2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한 쌍의 암형레일(221)을 사이에 둔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양단에는 피스가 관통되어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를 상기 고정틀(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구멍(2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틀을 골조건물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숫형브래킷(230)의 숫형부(231)와 상기 기립부(232) 사이의 절곡부위에는 상기 암형 레일(221)에 장애를 받지 않고 상기 숫형브래킷(230)이 상기 암형 레일(2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절결부(233, 233)가 형성되어 있고,
    골조건물의 골조벽(1)의 내벽과 마주하는 상기 기립부(232)의 부위에는 피스가 관통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관통구멍(234)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한 쌍의 L자형 브래킷편(236)의 수평부에는 피스가 관통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관통구멍(23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틀을 골조건물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마감틀(100)은,
    상기 외부마감틀(100)의 4개의 테두리 변의 실내측 외면에 실내외측방향으로 뻗어 장착된 복수개의 암형가이드레일부(220), 및
    상기 복수개의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윗면에 실내외측방향에서의 전장에 걸쳐서 형성된 한 쌍의 암형 레일(221)을 따라 실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암형 레일(221)에 암수결합되게 실외측방향으로 뻗고 밑면이 없는 이등변 사다리꼴단면 형상을 가지는 숫형부(231)와, 상기 숫형부(231)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기립되어서 골조건물의 골조벽(1)의 외벽에 피스에 의해 고정되는 기립부(232)와,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양변에 접촉하지 않게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폭방향 길이보다 큰 간격을 가지고서 수직방향으로 뻗었다가 실내측으로 뻗어서 상기 기립부(232)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L자형 브래킷편(236)을 구비한 복수개의 숫형브래킷(2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마감틀(100)은, 상기 개구부(4)를 구획형성하는 벽부에 접촉하지 않게 수평선 및 수직선에 평행하게 상기 개구부(4)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골조건물의 골조벽(1)에 고정된 상기 숫형브래킷(230)의 기립부(232)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L자형 브래킷편(236)에 피스를 이용하여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L자형 브래킷편(236)의 수평부는 실내외측방향에서의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양단중 실외측 단부에 못미치게 뻗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암형 레일(221)은 상기 숫형부(231)의 양빗변이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암형 레일(2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한 쌍의 암형레일(221)을 사이에 둔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의 양단에는 피스가 관통되어 상기 암형가이드레일부(220)를 상기 외부마감틀(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구멍(2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틀을 골조건물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구조.
KR1020190102543A 2019-08-21 2019-08-21 창호의 고정틀을 골조건물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구조 KR102031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543A KR102031955B1 (ko) 2019-08-21 2019-08-21 창호의 고정틀을 골조건물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543A KR102031955B1 (ko) 2019-08-21 2019-08-21 창호의 고정틀을 골조건물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955B1 true KR102031955B1 (ko) 2019-11-08
KR102031955B9 KR102031955B9 (ko) 2022-09-20

Family

ID=68542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543A KR102031955B1 (ko) 2019-08-21 2019-08-21 창호의 고정틀을 골조건물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9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1608A (ko) * 2007-10-24 2009-04-29 양명석 조립형 고정브라켓
KR101987190B1 (ko) * 2019-03-28 2019-06-10 조웅현 창호의 외부마감틀 및 이를 이용하여 골조건물에 창호와 외장재를 시공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1608A (ko) * 2007-10-24 2009-04-29 양명석 조립형 고정브라켓
KR101987190B1 (ko) * 2019-03-28 2019-06-10 조웅현 창호의 외부마감틀 및 이를 이용하여 골조건물에 창호와 외장재를 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955B9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596Y1 (ko) 건축용 갱폼의 개방부 차폐장치
CN106522496B (zh) 外装构造
KR101369468B1 (ko)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 트러스의 유니트브라켓과 코너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무용접 방식 내진패널 시공방법
SK101894A3 (en) Plastering and lining strip for window stiles, doors stiles and the like for the joint with the plastering
KR101750037B1 (ko) 원터치 탈착 방식의 커튼 월 마감커버
KR101987190B1 (ko) 창호의 외부마감틀 및 이를 이용하여 골조건물에 창호와 외장재를 시공하는 방법
KR20160125200A (ko) 갱폼용 방음패널
KR102031955B1 (ko) 창호의 고정틀을 골조건물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구조
KR102002630B1 (ko) 창호의 고정틀을 골조건물의 개구부에 장착하는 구조
KR101643291B1 (ko) 개방벽체 차폐장치
KR101995415B1 (ko) 개구 면적 최대화를 위한 비철거형 개보수용 창호 및 그 개보수 방법
DE4126383C2 (de) Verfahren und Montageelement zur Montage von Bade- und Duschwannen
KR102052642B1 (ko) 풍하중 저항형 마감장치
KR20160034836A (ko)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
AT516744B1 (de) Sockelleiste
JP5616158B2 (ja) 巾木および巾木の施工方法
KR20160092978A (ko) 벽면 마감패널 무용접 시공시스템
US20130276404A1 (en) Buck Bracket
KR102421686B1 (ko) 탈거방지를 위한 조립식 결로방지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브라켓
KR20140124500A (ko) 벽체 오프닝 차폐 방법
KR102129697B1 (ko) 갱폼 개구부 차폐 구조
KR102304057B1 (ko) 외벽마감패널
JP4953482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建物の外断熱外壁に於ける開口部構造
SK6275Y1 (sk) Finishing set insulation system and method of application
KR101808640B1 (ko) 시스템 거푸집의 공사 소음저감용 창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