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9072A - Uv led가 구비된 사혈기 - Google Patents

Uv led가 구비된 사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9072A
KR20160039072A KR1020140131981A KR20140131981A KR20160039072A KR 20160039072 A KR20160039072 A KR 20160039072A KR 1020140131981 A KR1020140131981 A KR 1020140131981A KR 20140131981 A KR20140131981 A KR 20140131981A KR 20160039072 A KR20160039072 A KR 20160039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ver
led
needle member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에스더
신상철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1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9072A/ko
Priority to CN201510613577.4A priority patent/CN105455858B/zh
Priority to US14/871,876 priority patent/US20160089206A1/en
Publication of KR20160039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22Source of blood for capillary blood or interstitial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412Pointed piercing elements, e.g. needles, lancets for pier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381Design of piercing elements
    • A61B5/150503Single-end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03Piercing procedure
    • A61B5/15107Piercing being assisted by a triggering mechanism
    • A61B5/15113Manually triggered, i.e. the triggering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such as pressing a drive but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15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 A61B5/15117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comprising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or a spring, e.g. a helical spring, leaf spring, or elastic str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86Devices loaded with a single lancet, i.e. a single lancet with or without a casing is loaded into a reusable drive device and then discarded after use; drive devices reloadable for multiple use
    • A61B5/15188Constructional features of reusable driving devices
    • A61B5/15192Constructional features of reusable driving devices comprising driving means, e.g. a spring, for retracting the lancet unit into the driving device housing
    • A61B5/15194Constructional features of reusable driving devices comprising driving means, e.g. a spring, for retracting the lancet unit into the driving device housing fully automatically retracted, i.e. the retraction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e.g. by terminating the contact with the patient's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3001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for shar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312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s, piercing devices or samp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312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s, piercing devices or sampling devices
    • A61B5/150335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s, piercing devices or sampling devices by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V LED가 내장되어 있어 사혈침을 소독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사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공의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된 버튼부재(30); 상기 버튼부재(30)를 누르면 대기 위치에서 순간적으로 하강되고, 다시 대기 위치로 복귀하는 침부재(60); 상기 하우징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살균커버(70); 및 상기 살균커버(7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대기 위치의 침부재(60)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UV LED(73)를 포함하는 사혈기이다.

Description

UV LED가 구비된 사혈기{UV LED Integrated Fleam}
본 발명은 사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UV LED가 내장되어 있어 사혈침을 소독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사혈기에 관한 것이다.
사혈기는 일반적으로 건강진단이나 환자들이 치료를 위해서는 필요에 따라 사혈을 하게 되는데, 사혈을 함에 있어서, 많은 양의 혈액을 사혈하고자 할 때에는 주사기를 이용하게 되지만 당뇨병 환자의 혈액내의 포함된 당도(糖度)의 검사시나 혈액형 검사에서와 같이 소량의 혈액을 사혈하는 경우에는 사혈 침을 이용하여 사혈을 행하게 된다. 또한 한방에서 어혈을 풀어주거나 부항을 뜰 때에도 사혈기를 사용하여 피부를 수회 내지 수십회 침으로 찌르게 된다.
종래의 사혈기는 원통형의 본체에 스프링을 이용하여, 사혈침이 순간적으로 캡 하우징을 관통하여 피부에 들어갔다가 나오게 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사혈침은 혈액에 접촉되는 만큼, 사혈기의 사혈침은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고, 일회용으로 사용된다. 이처럼 사혈침은 일회용으로 구성되는 만큼, 종래에는 사혈침을 소독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사혈기 본체에 장착된 사혈침은, 시술 대상자가 같은 경우, 시술을 하는 중에는 교체되지 않고 사용된다. 즉 사혈기를 사용하여 같은 시술 대상자에게 수회 내지 수십회 사혈기를 사용하는 경우(가령 부항 뜨기 전), 일정 부위를 타격한 후 다음 부위를 타격할 때 까지는 시간적인 간격이 있으므로 그 사이에 오염의 가능성이 있고, 시술자가 도중에 사혈침에 찔리게 되면 시술 대상자의 혈액을 통해 시술자가 감염될 우려가 있다.
즉 일회용 사혈침이라 하더라도, 동일 시술 대상자에게 이루어지는 반복되는 타격과정에서, 사람의 손이나 혈액에 의해 또한 공기 중의 오염물질에 사혈침이 오염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고, 이것이 시술 대상자나 시술자에게 감염원이 될 우려가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된 사혈침의 교체 과정에서 사혈침에 찔릴 우려도 있기 때문에, 일회용이라 하더라도 그 소독이나 살균의 필요성은 충분하다 하겠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혈기를 사용하는 동안 사혈기 내에서 사혈침을 살균 소독하여 사혈침으로 인해 감염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사혈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살균 효과가 뛰어난 피크 파장대의 자외선을 사혈침에 조사하는 UV LED를 사혈기 내에 설치한 사혈기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중공의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된 버튼부재(30); 상기 버튼부재(30)를 누르면 대기 위치에서 순간적으로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고, 다시 하우징 내부로 들어가 대기 위치로 복귀하는 침부재(60);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대기 위치의 침부재(60)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UV LED(73)를 포함하는 사혈기를 제공한다.
상기 UV LED가 설치된 하우징 내부 주변에는 반사판(74)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침부재(60)는 하우징 내에서 이동하는 승강체(50)와 일체로 거동하며, 상기 침부재(60)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위치에서 상기 승강체(50)가 UV LED를 가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공의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된 버튼부재(30); 상기 버튼부재(30)를 누르면 대기 위치에서 순간적으로 하강되고, 다시 대기 위치로 복귀하는 침부재(60); 상기 하우징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살균커버(70); 및 상기 살균커버(7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대기 위치의 침부재(60)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UV LED(73)를 포함하는 사혈기를 제공한다.
상기 UV LED가 설치된 살균커버 내부 주변에는 반사판(74)이 설치된 사혈기를 제공한다.
상기 살균커버(70)가 하우징에 대해 상승한 위치에서는 침부재가 하강하였을 때 침부재가 살균커버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살균커버(70)가 하우징에 대해 하강한 위치에서는 침부재가 하강하였을 때 침부재가 살균커버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사혈기를 제공한다.
상기 UV LED는 상기 살균커버가 하우징에 대해 상승한 위치에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침부재(60)는 하우징 내에서 이동하는 승강체(50)와 일체로 거동하며, 상기 침부재(60)가 살균커버 외부로 돌출되는 위치에서 상기 승강체(50)가 UV LED를 가릴 수 있다.
상기 침부재(60)는 승강체(50)의 측면 방향에서 승강체에 착탈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승강체의 착탈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위치에 슬릿(16)이 형성되며, 상기 살균커버에는 상기 슬릿(16)과 대응하도록 슬릿(72)이 형성된 사혈기를 제공한다.
상기 살균커버는 하우징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며, 하우징에 대한 살균커버의 회전 각도에 따라 하우징의 슬릿(16)과 살균커버의 슬릿(72)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슬릿(16)과 살균커버의 슬릿(72)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서 겹치는 부분이 없을 때, 상기 UV LED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2개의 슬릿(16)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살균커버에도 2개의 슬릿(72)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체에는 동일한 단면으로 양측면을 통해 관통하는 형상의 체결홈(55)이 형성되고, 상기 침부재(60)는 상기 체결홈(55)에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부(61)와, 체결부 하단에서 연장되는 침(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커버(70)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하강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ㄷ"자 형태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살균커버에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살균커버의 돌기가 상기 하우징의 "ㄷ"자 형태의 홈에 체결되고, "ㄷ"자 형태를 따라 살균커버가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사혈기의 침부재(60)를 소독하는 살균커버(70)로서, 상기 살균커버(70)는 사혈기의 하우징에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살균커버의 단부에는 침부재의 침이 통과할 수 있는 침구멍(71)이 형성되며, 내면에는 UV LED(73)가 설치된 살균 커버를 제공한다.
상기 UV LED가 설치된 살균커버 내부 주변에는 반사판(74)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혈침을 사용할 때 지속적으로 사혈침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사혈침을 소독함으로써, 사혈침을 다루는 시술자가 시술대상자가 사혈침에 의해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혈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혈기를 보관하거나 사혈침을 교체하는 상태에 있어서, 하우징에 대한 살균 커버의 위치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사혈기를 사용중인 상태에 있어서, 하우징에 대한 살균 커버의 위치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우징과 살균커버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 기술할 실시예들 중 어느 한 실시예의 구조나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가 필요에 따라 다른 실시예의 구조나 구성에 적용하거나 치환할 수도 있으며, 구성을 삭제하거나, 다른 구성을 부가하는 것 역시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혈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혈기를 보관하거나 사혈침을 교체하는 상태에 있어서 하우징에 대한 살균 커버의 위치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사혈기를 사용중인 상태에 있어서 하우징에 대한 살균 커버의 위치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우징과 살균커버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사혈기는 펜의 몸체와 같이 몸체의 기능을 하는 하우징(10)에, 펜의 버튼과 같이 버튼의 기능을 하는 버튼부재(30)가 설치되고, 마찬가지로 펜의 심과 같이 침의 기능을 하는 승강체(50)와 침부재(60)가 설치되며, 펜의 뚜껑과 같이 커버의 기능을 하는 살균커버(7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을 하나씩 살펴보면, 먼저 하우징(10)은 대경부(11), 대경부(11)의 상단에 형성된 상단턱(12), 대경부(11)의 하단에 형성된 하단턱(13), 하단턱(13)의 하단에 연장 형성된 소경부(14), 소경부의 측면에 트여진 형상의 슬릿(16), 소경부의 내측에 돌출 고정되는 고정스프링(15)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버튼부재(30)는 하방으로 트여진 중공부(34)를 구비하며, 버튼부(31), 버튼부 하단에 형성된 확경부(32), 확경부 하단에 연장 형성된 스프링 외삽부(33), 상기 중공부(34)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2스프링상단고정구(35)를 포함한다.
이에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하우징(10)과 버튼부재(30)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대경부(11)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확경부(32)가 대경부(11)의 내경에 끼워져 있고, 이러한 확경부(32)는 위쪽으로는 상단턱(12)에 의해 간섭되고 아래쪽으로는 하단턱(13)에 의해 간섭된다. 따라서 확경부(32)가 상단턱(12)과 하단턱(13)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구간만큼만, 버튼부재(30)는 하우징(10)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다음으로, 확경부(32)의 밑으로 연장 형성된 스프링 외삽부(33)의 외경은 소경부(14)보다 약간 작아서 소경부(14)에 내삽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스프링 외삽부(33)의 외경과 대경부(11)의 내경 사이에는 제1스프링(20)이 삽입되어 있으며, 제1스프링(20)의 하단은 하단턱(13)의 상면에 지지되고 제1스프링(20)의 상단은 확경부(32)의 하면에 지지되어서, 버튼부재(30)를 하우징에 대해 상방으로 탄성 지지한다. 따라서 상단턱(12) 상부로 돌출된 버튼부재(30)의 버튼부(31)를 누를 때에는 제1스프링(20)이 이에 저항하며, 버튼부(31)를 누르는 힘을 해제하자마자 버튼부재(30)는 다시 위로 올라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승강체(50)는, 상단에 제2스프링하단고정구(51)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고정턱(52)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시 그 하부에 몸체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부의 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부(54)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으로 관통하는 체결홈(55)이 형성되어 있다.
침부재(60)는, 체결홈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체결부(61)와 그 하단 중앙에 침(62)이 고정된 형태로서 상기 체결홈(55)에 측방으로 끼워진다. 체결홈의 형상은, 침부재(60)가 승강체(5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는 확실히 고정되고, 좌우방향으로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된다. 물론 이들이 약간 뻑뻑하게 체결되어, 힘을 주지 않으면 침부재(60)가 승강체(5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하고, 힘을 줄 때에만 좌우방향으로 밀릴 수 있을 정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승강체 및 침부재(하우징 내에서 이들은 일체로 거동함)와 하우징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몸체부(53)의 외경은 소경부(14)의 내경보다 약간 작아 소경부에 대해 몸체부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소경부(14)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부(미도시)가 몸체부(53)의 가이드부(54)와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승강체(50)는 소경부(14)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지만,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방지된다. 이렇게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 상태에서, 몸체부(53)의 체결홈(55) 양측단은 모두 양쪽 슬릿(16)에 의해 노출된다. 고정턱(52)은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스프링(15) 상부에 걸려 있다. 여기서 고정스프링(15)은 고정턱(52)을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제2스프링(40)은 버튼부재(30)의 중공부(34)에 내삽되며, 그 하단이 제2스프링하단고정구(51)에 고정되어 있고, 그 상단이 버튼부재(30)의 중공부에 고정된 제2스프링상단고정구(35)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제2스프링(40)의 하단은 제2스프링하단고정구(51)에 상하방향으로 완전히 고정되어 있고, 제2스프링(40)의 상단은 제2스프링상단고정구(35)에 상하방향으로 완전히 고정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의 위치 상태에서 제2스프링(40)은 인장도 압축도 받지 않은 상태보다는 약간 압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먼저 사혈침의 동작을 간단히 살펴보면, 시술자가 버튼부(31)를 누름에 따라, 고정스프링(15)에 고정턱(52)이 걸린 상태에서 버튼부재(30) 및 제2스프링상단고정구(35)가 하강하므로, 제2스프링(40)이 점점 더 압축되기 시작한다.
시술자가 버튼부(31)를 더 누르게 되어 스프링외삽부(33)의 하단이 고정스프링(15)을 누르게 되면, 고정스프링(15)이 벌어짐에 따라 고정스프링(15)에 걸려 있던 고정턱(52)이 해제되고, 결국 버튼부재(30)가 하강하면서 더 압축되었던 제2스프링(40)이 인장되면서 승강체(50)는 빠르게 하강하게 된다.
제2스프링(40)이 인장되면서, 그 탄발력에 의해, 제2스프링(40)의 길이는 제2스프링(40)이 인장도 압축도 받지 않은 상태의 길이보다 더 길게 늘어나게 되고(제1상태), 다시 순식간에 그 길이가 줄어들어 인장도 압축도 받지 않은 상태의 길이가 된다(제2상태). 따라서 제2스프링(40)의 하단에 고정된 승강체와 침부재(62) 역시 순식간에 침이 가장 밑으로 나오는 상태(제1상태; 도 2와 도 3의 최하단 점선 참조)가 되었다가 바로 약간 올라온 상태(제2상태; 도 2와 도 3의 최하단 점선의 바로 위에 도시된 점선 참조)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상태가 시술 대상자를 찌른 상태가 되며, 제2상태는 시술 대상자의 피부에서 침이 빠져나온 상태가 된다.
시술자가 버튼부(31)의 누름을 해제하면, 압축되었던 제1스프링(20)이 확경부(32)를 밀어 올려, 버튼부재(30) 및 이와 일체로 거동하는 제2스프링상단고정구(35)도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스프링(40)은 순간적으로, 인장도 압축도 받지 않은 상태보다 그 길이가 더 늘어난 인장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2스프링(40)은 원래의 길이로 줄어 들으려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그 길이가 빠르게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제2스프링(40)의 하단에 고정된 승강체(50) 역시 상승하게 된다. 승강체(50)의 고정턱(52) 상부는 경사면을 이루므로, 고정턱(52)이 올라올 때 고정스프링(15)의 하면이 고정턱(52)의 상부 경사면과 접촉하며 벌어져서 고정턱(52)이 고정스프링(15) 위쪽으로 다시 올라오게 된다. 도 2와 도 3에는 침의 고정 위치(62)와 침의 최하단 돌출 위치 사이의 거리, 제2스프링하단고정구(51)와 고정턱(52) 사이의 거리가 다소 과장되거나 왜곡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 물건을 만들 때 이들의 길이를 잘 결정하면 위와 같은 동작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다음으로 살균커버(70)를 살펴보면, 살균커버는 상방으로 개방된 형태이고, 하면부 중앙에 침구멍(7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면에는 양측에 슬릿(72)이 형성되어 있다. 살균커버(70)의 내경부 하단에는 UV LED(73)가 설치되어 있고, 그 내경 둘레에는 자외선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판(74)이 설치되어 있다.
살균커버(70)의 내경은 하우징의 소경부(14)의 외경보다 약간 커서, 하우징의 소경부에 대해 살균커버(7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살균커버는 도 2의 하강 위치에서 도 3의 상승 위치 사이의 구간에서만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다. 살균커버가 하강한 위치에서는 침(62)이 최하단(제1상태)으로 내려오더라도 침구멍(71) 밖으로 돌출되지 않아 실수로 버튼이 눌리어도 침(62)이 튀어나와 찔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살균커버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침(62)이 최하단(제1상태)으로 내려왔을 때에는 침구멍(71) 밖으로 돌출되며, 다시 약간 들어간 상태(제2상태)에서는 침구멍(71) 안으로 들어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살균커버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통상적인 경우와 같이 사혈침을 사용할 수 있다.
살균커버와 소경부가 마주하는 부분에서, 살균커버에 돌기를 형성하고 돌기를 설치하고, 소경부에 "ㄷ"자 형태의 홈을 형성하며, 돌기가 홈에 끼워지도록 하면, 살균커버가 소경부에 대해 승강할 때(도 4의 1과 3 위치 사이)에는 회전이 되지 않고, 살균커버가 가장 상승(도 4의 3과 4 위치 사이)하거나 가장 하강(도 4의 1과 2 위치 사이)한 상태에서는 소경부에 대해 살균커버를 좌우로 일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렇게 살균커버가 가장 상승하거나 가장 하강한 상태에서 소경부에 대해 살균커버를 좌우로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살균커버가 소경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살균커버(70)가 하우징에 대해 하강한 상태가 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구조(도 4의 화살표 방향 참조)를 적용하면, 살균커버(70)는 항상 하우징에 대해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게 된다.
한편 살균커버가 소경부에 대해 승강할 수 있는 위치(도 4의 1과 3 위치)에서는 소경부의 슬릿(16)과 살균커버의 슬릿(72)이 서로 일치하고(도 2 참조), 살균커버가 소경부에 대해 승강할 수 없도록 일정 각도 회전된 위치(도 4의 2와 4 위치)에서는 소경부의 슬릿(16)과 살균커버의 슬릿(72)이 서로 어긋난 상태가 된다(도 3참조).
따라서 가령 도 4의 1 위치(도 2 참조)에서는 침부재(60)를 교체할 수 있다. 즉 이미 사용한 침부재가 승강체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측 슬릿을 통해 새 침부재를 밀어 넣으면, 새 침부재에 의해 이미 사용한 침부재가 반대편 슬릿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도 2와 같이 슬릿이 서로 일치하는 상태에서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슬릿을 통해 내부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살균커버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슬릿이 서로 어긋나게 한 상태(도 4의 2 위치)에서 사혈기를 보관하면 실수로 버튼부(31)를 눌러도 침(62)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먼지도 들어가지 않는 보관 상태가 된다.
한편 시술자가 사혈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4의 2 위치에서 1 위치로 살균커버를 회전시키고, 다시 탄성력을 이기며 살균커버를 3 위치로 상승시키고, 살균커버를 돌려 4 위치로 하면, 도 3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슬릿이 서로 어긋나 막혀 있는 상태이면서, 버튼부(31)를 누르면 침(62)이 침구멍(71)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상태(즉 사용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서 UV LED(73)가 살균커버(70)의 내경부 하단에 설치되고, 그 내경부 둘레에 반사판(74)이 설치되어 있음은 앞서 설명한바 있다. UV LED(73)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 역시 살균커버(70)에 함께 내장하고, 살균커버가 도 4의 4 위치에 있을 때에만 UV LED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면, 사혈침 사용 상태에서만 자외선 소독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이 위치에서는, UV LED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반사판(74)에 의해 반사되며 침(62)을 소독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버튼부(31)를 누르면, 침(62)이 하강하면서, 이와 일체로 하강하는 몸체부(53)가 UV LED(53)를 가려주게 된다. 따라서 침이 하강되는 찰나에는 UV LED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몸체부에 의해 차단되는 효과를 가진다. 침이 하강되어 자외선을 가려주는 시점이 주로 사혈침이 시술자의 피부에 거의 맞닿는 위치라는 점에서, 본 발명과 같은 구조는 사혈기를 사람 피부에 가까이 할 때 침구멍(71)으로 누출되는 미량의 자외선마저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 하우징
11: 대경부
12: 상단턱
13: 하단턱
14: 소경부
15: 고정스프링
16: 슬릿
20: 제1스프링
30: 버튼부재
31: 버튼부
32: 확경부
33: 스프링외삽부
34: 중공부
35: 제2스프링상단고정구
40: 제2스프링
50: 승강체
51: 제2스프링하단고정구
52: 고정턱
53: 몸체부
54: 가이드부
55: 체결홈
60: 침부재
61: 체결부
62: 침
70: 살균커버
71: 침구멍
72: 슬릿
73: UV LED
74: 반사판

Claims (16)

  1. 중공의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된 버튼부재(30);
    상기 버튼부재(30)를 누르면 대기 위치에서 순간적으로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고, 다시 하우징 내부로 들어가 대기 위치로 복귀하는 침부재(60);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대기 위치의 침부재(60)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UV LED(73)를 포함하는 사혈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V LED가 설치된 하우징 내부 주변에는 반사판(74)이 설치된 사혈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부재(60)는 하우징 내에서 이동하는 승강체(50)와 일체로 거동하며,
    상기 침부재(60)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위치에서 상기 승강체(50)가 UV LED를 가리는 사혈기.
  4. 중공의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된 버튼부재(30);
    상기 버튼부재(30)를 누르면 대기 위치에서 순간적으로 하강되고, 다시 대기 위치로 복귀하는 침부재(60);
    상기 하우징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살균커버(70); 및
    상기 살균커버(7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대기 위치의 침부재(60)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UV LED(73)를 포함하는 사혈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UV LED가 설치된 살균커버 내부 주변에는 반사판(74)이 설치된 사혈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살균커버(70)가 하우징에 대해 상승한 위치에서는 침부재가 하강하였을 때 침부재가 살균커버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살균커버(70)가 하우징에 대해 하강한 위치에서는 침부재가 하강하였을 때 침부재가 살균커버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사혈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UV LED는 상기 살균커버가 하우징에 대해 상승한 위치에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사혈기.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침부재(60)는 하우징 내에서 이동하는 승강체(50)와 일체로 거동하며,
    상기 침부재(60)가 살균커버 외부로 돌출되는 위치에서 상기 승강체(50)가 UV LED를 가리는 사혈기.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침부재(60)는 승강체(50)의 측면 방향에서 승강체에 착탈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승강체의 착탈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위치에 슬릿(16)이 형성되며,
    상기 살균커버에는 상기 슬릿(16)과 대응하도록 슬릿(72)이 형성된 사혈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살균커버는 하우징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며, 하우징에 대한 살균커버의 회전 각도에 따라 하우징의 슬릿(16)과 살균커버의 슬릿(72)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가 결정되는 사혈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슬릿(16)과 살균커버의 슬릿(72)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서 겹치는 부분이 없을 때, 상기 UV LED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사혈기.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2개의 슬릿(16)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살균커버에도 2개의 슬릿(72)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체에는 동일한 단면으로 양측면을 통해 관통하는 형상의 체결홈(55)이 형성되고,
    상기 침부재(60)는 상기 체결홈(55)에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부(61)와, 체결부 하단에서 연장되는 침(62)을 포함하는 사혈기.
  13.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살균커버(70)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하강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 사혈기.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ㄷ"자 형태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살균커버에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살균커버의 돌기가 상기 하우징의 "ㄷ"자 형태의 홈에 체결되고, "ㄷ"자 형태를 따라 살균커버가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한 사혈기.
  15. 사혈기의 침부재(60)를 소독하는 살균커버(70)로서,
    상기 살균커버(70)는 사혈기의 하우징에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살균커버의 단부에는 침부재의 침이 통과할 수 있는 침구멍(71)이 형성되며,
    내면에는 UV LED(73)가 설치된 살균 커버.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UV LED가 설치된 살균커버 내부 주변에는 반사판(74)이 설치된 살균 커버.
KR1020140131981A 2014-09-30 2014-09-30 Uv led가 구비된 사혈기 KR2016003907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981A KR20160039072A (ko) 2014-09-30 2014-09-30 Uv led가 구비된 사혈기
CN201510613577.4A CN105455858B (zh) 2014-09-30 2015-09-23 具有紫外线led的放血器和杀菌盖
US14/871,876 US20160089206A1 (en) 2014-09-30 2015-09-30 Uv led integrated fle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981A KR20160039072A (ko) 2014-09-30 2014-09-30 Uv led가 구비된 사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072A true KR20160039072A (ko) 2016-04-08

Family

ID=55583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981A KR20160039072A (ko) 2014-09-30 2014-09-30 Uv led가 구비된 사혈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089206A1 (ko)
KR (1) KR20160039072A (ko)
CN (1) CN10545585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1809A1 (ko) * 2017-01-14 2018-07-19 최규동 재사용 방지용 안전 펜 바늘 구조
KR102109577B1 (ko) * 2019-12-12 2020-05-12 김영직 혈당측정기
KR20220001566A (ko) * 2020-06-30 2022-01-06 허민 치료용 전기 자극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0248B2 (en) 2015-09-02 2019-01-15 ProPhotonix Limited LED lamp with sensing capabilities
CN105769219A (zh) * 2016-04-08 2016-07-20 张静 一种用于采外周血的自动刺入装置
CN110665024A (zh) * 2019-09-30 2020-01-10 格里莱布科有限公司 一种可降解柄针灸针的放置消毒装置
CN111346245B (zh) * 2020-03-18 2021-11-05 江滨 一种带消毒功能的笔式触碰器
US11020502B1 (en) 2020-05-01 2021-06-01 Uv Innovators, Llc Ultraviolet (UV) light emiss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of use, particularly suited for decontamination
CN114028223A (zh) * 2021-12-26 2022-02-11 安徽中医药大学 一种无菌包装的针灸针盒以及针灸针进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5225A1 (en) * 2003-04-23 2004-10-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ancet device and case therefor
CN1313053C (zh) * 2004-09-15 2007-05-02 施迎敢 针尖回缩型一次性安全采血针及一次发射型安全采血笔
CN201469280U (zh) * 2009-08-10 2010-05-19 柳新荣 采血笔的复位装置
KR101775631B1 (ko) * 2011-05-13 2017-09-07 (주)미코바이오메드 랜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2204822B (zh) * 2011-05-31 2013-01-09 宗小林 一种采血装置
CN103190919A (zh) * 2012-01-06 2013-07-10 卞为强 采血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1809A1 (ko) * 2017-01-14 2018-07-19 최규동 재사용 방지용 안전 펜 바늘 구조
KR102109577B1 (ko) * 2019-12-12 2020-05-12 김영직 혈당측정기
KR20220001566A (ko) * 2020-06-30 2022-01-06 허민 치료용 전기 자극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89206A1 (en) 2016-03-31
CN105455858A (zh) 2016-04-06
CN105455858B (zh) 201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9072A (ko) Uv led가 구비된 사혈기
KR100669869B1 (ko) 재사용되지 않는 란셋 장치를 포함하는 절개 보조기
KR101503886B1 (ko) 주삿바늘 조립체, 이를 이용한 안전주사기 및 안전주사기 장치
AU2006235249B2 (en) Finger activated lancet device
JP3703765B2 (ja) 先端が衛生的に保護された血液ランセット
US8241208B2 (en) Endoscope disposable sheath
JP2007185504A (ja) 再利用防止機能付き穿刺器具
JP2022028801A (ja) 第1液滴を除去するランセット装置
JP6047847B1 (ja) 動脈可視化装置
US6021935A (en) Glove release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JPH06506376A (ja) 針保護装置
US20040143196A1 (en) Safety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KR101187636B1 (ko) 자동마취장치 일체형 치과용 유닛 체어
JPH0246861A (ja) 感染防止用注射装置
KR101753878B1 (ko) 치과 시술용 석션기구
JPH03170127A (ja) ランセット・アセンブリ
KR101875507B1 (ko) 청진기용 소독기
CN217667174U (zh) 全飞秒激光角膜屈光治疗仪器保护装置
KR100817484B1 (ko) 침이 내장된 일회용 캡을 갖는 사혈기
KR200362573Y1 (ko) 일회용 안전 주사기
KR101308576B1 (ko) 내시경 관리장치
CN212913867U (zh) 一种防职业暴露梅花针
KR20110000254U (ko) 치과 진료의자용 타구 소독장치
KR100336178B1 (ko) 주사침 분리기
EP1506740A1 (en) Safety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