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8761A - 밸브 및 조작 핸들 - Google Patents

밸브 및 조작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8761A
KR20160038761A KR1020150133528A KR20150133528A KR20160038761A KR 20160038761 A KR20160038761 A KR 20160038761A KR 1020150133528 A KR1020150133528 A KR 1020150133528A KR 20150133528 A KR20150133528 A KR 20150133528A KR 20160038761 A KR20160038761 A KR 20160038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member
handle
state
rotation axis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야 스즈키
이즈루 시카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Publication of KR20160038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7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36Diaphragm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대형화하지 않고 축력을 증가시킬 가능한 밸브 및 조작 핸들을 제공한다.밸브(1)의 레버 핸들(20)은 개폐 기구(4)에 고정되어 회전축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어진 제1핸들 부재(21)과 제1핸들 부재 21에 대해 회전 축에 대한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동작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핸들 부재(22)와 제2핸들 부재 (22)을 회전축을 향해서 부세하는 인장 용수철(24)를 갖춘다. 제2핸들 부재(22)가 제1핸들 부재(21)에 대해 왕복 운동함으로써 레버 핸들(20)은 신축한다. 레버 핸들(20)은 제2핸들 부재(22)에 대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인장 용수철(24)로 줄어든 상태다.

Description

밸브 및 조작 핸들{VALVE AND OPERATING HANDLE}
본 발명은 위생 등의 유체 관로에 사용될 수 있는 조작 핸들을 함유하는 밸브 및 조작 핸들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다이아프램인 밸브체를 상하로 작동시켜,유체 통로를 개폐하는 다이아프램 밸브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참조).
일본특허공개 2012-122491호 공보
한편, 밸브가 대형화한 경우에는 수압 압력 면적 증가에 의해, 필요한 차단 하중이 증가한다. 이에 의해, 핸들의 축력을 크게 할 필요가 있으나, 밸브가 배치되는 공간의 부합 상, 핸들의 대형화 등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형화하지 않고 축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한 밸브 및 조작 핸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인 벨브는, 유체 통로가 형성된 밸브체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조작 핸들과; 상기 조작 핸들의 회전력을 받아 구동하는 상기 유체 통로의 개폐 기구;을 갖추고, 상기 조작 핸들은, 상기 개폐 기구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어진 제1핸들 부재와; 상기 제1핸들 부재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왕복동작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핸들 부재와; 상기 제2핸들 부재를 상기 회전축을 향해서 부세하는 부세수단;을 갖추고, 상기 제2핸들 부재가 상기 제1핸들 부재에 대하여 왕복 동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조작 핸들이 신축하고, 상기 조작 핸들은 상기 제2핸들 부재에 대하여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부세 수단에 의해 줄어든 상태로 된다.
또한, 상기 제1핸들 부재는 제1관통 구멍을 가진 통상을 이루고, 일단부가 상기 개폐 기구에 고정되고, 상기 제2핸들 부재는 상기 제1핸들 부재의 외경보다 큰 내경의 제2관통 구멍이 형성된 통상을 이루고, 상기 제1핸들 부재의 일부를 상기 제2관통 구멍 내에 수용하여, 상기 제1핸들 부재에 대해서 그 중심축에 따라 왕복 동작 가능하게 장착된 것도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제1핸들 부재의 타단부에는 외방으로 돌출하는 외방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핸들 부재 상기 회전축 측의 일단부에는 내방에 돌출하는 내방 돌출부가 설치되어, 상기 조작 핸들이 늘어난 상태에서는 상기 외방 돌출부와 상기 내방 돌출부가, 상기 중심 축에 따라서 서로 마주 놓여 접하게 구성된 것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인 조작 핸들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에 의해 회전력을 받아 구동하는 구동부를 가진 장치에 장착되는 조작 핸들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 축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어진 제1핸들 부재와; 상기 제1핸들 부재에 상기 회전 축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왕복 동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핸들 부재와; 상기 제2핸들 부재를 상기 회전축으로 향하게 부세하는 부세 수단;을 갖추고, 상기 제2핸들 부재가 상기 제1핸들 부재에 대해 왕복 동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조작 핸들이 신축하고,상기 조작 핸들은 상기 제2핸들 부재에 대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부세 수단에 의해 줄어든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화하지 않고 축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한 밸브 및 조작 핸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밸브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 폐쇄 상태에 있는 밸브의 일부 노치 사투상도를 나타낸다.
[도 3](a)는 레버 핸들이 수납 상태에 있는 경우의 단면도를 나타내며,(b)는 레버 핸들이 전개 상태에 있는 경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 레버 핸들을 도 2에 나타낸 상태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의 밸브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밸브 및 조작 핸들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밸브(1)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닫힌 상태에 있는 밸브(1)의 일부 노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밸브(1)은 밸브체(2)와, 클램프(3)과, 개폐 기구(4)와, 레버 핸들(20)을 갖춘다.
도 1,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밸브체(2)는 유체의 입구가 되는 유체 유입로부(2A)와, 유체의 출구가 되는 유체 유출로부(2B)와, 다이아프램이 장착되는 다이아프램 장착부(2C)를 가진다. 다이아프램 장착부(2C)는 유체 유입로부(2A)와 유체 유출로부(2B)의 사이에 위치하고 그 위쪽은 개구하고 있다.
클램프(3)은 한 쌍의 반환 상 부재(3A)로 구성되어, 환상을 이루도록 밸브체(2)의 개구부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설치된 개폐 기구(4)를 밸브체(2)에 대해 고정한다.
개폐 기구(4)는 보닛 클램프(5)와, 보닛 케이스(6)과, 회전 지지부(7)과, 회전부(8)과, 상하 이동부(9)와, 다이아프램(10)을 갖춘다.
보닛 클램프(5)는 환상을 이루고 클램프(3)에 의해 밸브체(2)의 개구부에 고정되어 있다.
보닛 케이스(6)은 대략 통상을 이루고 그 하단부는 보닛 클램프(5)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보닛 케이스(6)에는 한 쌍의 볼록부(6A)가 지름 방향에서 서로 마주 놓이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도 1, 2에서는 한쪽만을 나타낸다.). 각 볼록부(6A)는 상하 방향에 따라서 뻗어 내측부터 본 상태에서는 외방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형의 골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 지지부(7)은 관통 구멍을 가진 원통형을 이루고 그 하단부가 보닛 케이스(6)의 상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며 보닛 케이스(6)의 상단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회전부(8)은 스템 헤드(11)과, 스템(12)와, 캡(13)을 가진다.
스템 헤드(11)은 관통 구멍을 가지는 원통형을 이루고, 원형판 모양의 시트(11A)을 통해서 회전 지지부(7)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템 헤드(11)의 관통 구멍의 하측 부분은 단면 원형이며 상측 부분은 단면 사각형이다. 스템 헤드(11)는 시트(11A) 상에서 중심축(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스템(12)는 원통형의 대경부(12A)와, 주상의 중경부(12B)와, 약 원주상의 소경부(12C)를 가지며 이들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중경부(12B)의 외경은 대경부(12A)의 외경보다 작고, 소경부(12C)의 외경은 중경부(12B)의 외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소경부(12C)는 위쪽 부분이 단면 원형이며, 아래 부분은 단면 사각형이다. 대경부(12A)에는 지름 방향의 외방에 돌출하는 한 쌍의 핀(12D)가 지름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대경부(12A)는 보닛 케이스(6) 내에 수용되어, 회전 지지부(7) 아래 쪽에 위치한다. 중경부(12B)는 회전 지지부(7)의 관통 구멍 및 스템 헤드(11)의 관통 구멍의 단면 원형 모양 부분에 삽입되어 있다. 소경부(12C)의 단면 사각형 부분은 스템 헤드(11)의 관통 구멍의 단면 사각형 부분에 끼워 있고, 소경부(12C)의 단면 원형 부분은 스템 헤드(11)의 위쪽에 돌출하여 있다. 이에 의해, 스템 헤드(11)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스템(12)도 회전한다. 또한, 소경부(12C)의 단면 원형 부분에 C 링(12E)가 장착되어 있으며 스템(12)가 스템 헤드(1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캡(13)은 유개통형을 이루고, 스템 헤드(11), 스템(12) 및 회전 지지부(7)을 뒤덮고 있다.
상하 이동부(9)는 어댑터(14)와, 조인트(15)와, 컴프레셔 커버(16)과, 컴프레셔(17)을 가진다.
어댑터(14)는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고, 보닛 케이스(6) 내에 수용되어 있다. 어댑터(14)는 그 안쪽에 대경부(12A)를 삽입하고 대경부(12A)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어댑터(14)에는 그 내주면 및 외주면에 관통하는 한 쌍의 긴 구멍(14a)가 지름 방향에서 서로 마주 놓이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각 긴 구멍(14a)는 어댑터(14)의 원주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 형성되어 있다. 각 긴 구멍(14a)에는 대경부(12A)에 마련된 핀(12D)의 첨단부가 삽입된다. 각 긴 구멍(14a)의 경사 각도 및 길이는 유체 통로를 개폐하기 위해서 필요한 다이아프램(10)의 상하 방향의 이동 거리에 응하여 적절히 설정된다.
또한, 어댑터(14)에는 한 쌍의 볼(14B)가 지름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각 볼(14B)의 어댑터(14)로부터 돌출 부분은 보닛 케이스(6)의 볼록부(6A) 내에 위치하고 있다.
어댑터(14)의 하단에는 조인트(15) 및 컴프레셔 커버(16)을 통해서 컴프레셔(17)이 장착된다.
밸브체인 다이아프램(10)은 핀(18)에 의해 컴프레셔(17)에 대해 결합되고 있다. 밸브체(10)의 외각 테두리는 밸브체(2)의 다이아프램 장착부(2C)의 개구부 및 보닛 클램프(5)에 의해 협압되어 유지되고 있다.
다이아프램(10)은 굴곡성, 내식성 및 내열성이 뛰어난 탄성 재료로 구성된다. 탄성 재료로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PTFE), 트리플루오로클로로에틸렌 수지(PC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형 수지(PFA) 등의 합성 수지 및 천연 고무, 니트릴 고무, 스티렌 고무, 부타디엔·이소 부틸렌 합성 고무, 폴리클로로프렌 고무, 부틸 고무, 실리콘 고무, 폴리우레탄 고무, 불소 고무(FPM),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 등의 고무를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조작 핸들인 레버 핸들(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레버 핸들(20)은 신축식 레버이며 가장 줄어든 상태인 도 1에 나타낸 수납 상태와 가장 많이 늘어난 상태인 도 2에 나타낸 전개 상태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3(a)는 레버 핸들(20)이 수납 상태에 있는 경우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b)는 레버 핸들(20)이 전개 상태에 있는 경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조작 레버(20)은 제1핸들 부재(21)과, 제2핸들 부재(22)와, 제3핸들 부재(23)과, 부세 수단인 인장 스프링(24)를 갖춘다.
제1핸들 부재(21)은 제1관통 구멍(21a)를 가진 원통형을 이루고 있다. 제1핸들 부재(21)은 그 중심축이 스템 헤드(11)의 회전 축에 대한 직교하는(교차하는) 것처럼 일단부가 스템 헤드(11)에 대해 주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제1핸들 부재(21)의 타단부에는 외방으로 돌출하는 제1외방 돌출부(21B)가 설치되어 있다.
제2핸들 부재(22)는 제1핸들 부재(21)의 외경보다 크게 내경의 제2관통 구멍(22a)를 가진 원통형을 이루고, 제2관통 구멍(22a)에 제1핸들 부재(21)의 일부를 수납하고 제1핸들 부재(21)에 대해 그 중심축에 따라서 왕복 동작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핸들 부재(22)의 일단부는, 내방으로 돌출하는 제1내방 돌출부(22B)가 설치되고, 제2핸들 부재(22)의 타단부에는 외방으로 돌출하는 제2외방 돌출부(22C)가 설치되어 있다. 제2관통 구멍(22a)의 내경은 제1돌출부(21B)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며, 제1내방 돌출부(22B)의 내경은 제1핸들 부재(21)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3핸들 부재(23)은 제2핸들 부재(22)의 외경보다 크게 내경의 제3관통 구멍(23a)를 가진 원통형을 이루고 제3관통 구멍(23a)에 제2핸들 부재(22)의 일부를 수납하고 제2핸들 부재(22)에 대해서 그 중심축에 따라서 왕복 동작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3핸들 부재(23)의 일단부는 내방으로 돌출하는 제2내방 돌출부(23B)가 설치되어 있다. 제3관통 구멍(23a)의 내경은 제2돌출부(22C)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며, 제2내방 돌출부(23B)의 내경은 제2핸들 부재(22)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핸들 부재(21), 제2핸들 부재(22) 및 제3핸들 부재(23)는 동일한 축이 되도록 조합되어 있다. 나아가, 제1핸들 부재(21), 제2핸들 부재(22) 및 제3핸들 부재(23)는 네스팅 구조로 되어 있다.
인장 스프링(24)는, 그 각 단부가 제1핸들 부재(21)의 일단부에 설치된 핀(25) 및 제3핸들 부재(23)의 타단부에 설치된 핀(26)에 장착되어, 레버 핸들(20)을 항상 수납 상태가 되도록 부세하고 있다.
또한, 레버 핸들(20)은 수납 상태에서는, 인장 스프링(24)의 부세력에 의해, 제1핸들 부재(21)의 대부분이 제2핸들 부재(22)의 내부에 수납되고, 제2핸들 부재(22)의 대부분이 제3핸들 부재(23)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 있는 가장 줄어든 상태이다. 반면, 레버 핸들(20)은 전개 상태에서는, 인장 스프링(24)의 부세력에 항거해서 제1핸들 부재(21)의 대부분이 제2핸들 부재(22)로부터 돌출하고, 제2핸들 부재(22)의 대부분이 제3핸들 부재(23)로부터 돌출한 상태에 있는 가장 많이 늘어난 상태가 된다. 또한, 제2핸들 부재(22) 및 제3핸들 부재(23)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인장 스프링(24)의 부세력에 의해 레버 핸들(20)은 가장 줄어든 상태(수납 상태)가 된다.
나아가, 전개 상태에서는 제1외방 돌출부(21B)와 제1내방 돌출부(22B)가 본접하여 제2핸들 부재(22)가 제1핸들 부재(2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제2외방 돌출부(22C)와 제2내방 돌출부(23B)가 본접하여 제3핸들 부재(23)가 제2핸들 부재(22)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밸브(1)을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하는 경우의 레버 핸들(20)의 조작 및 개폐 기구(4)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과 같은 수납 상태에 있는 레버 핸들(20)에 대해, 작업자가 제3핸들 부재(23)을 견지하고, 인장 스프링(24)의 부세력에 항거해서 잡아당김으로써, 레버 핸들(20)은 수납 상태에서 도 2에 나타낸 전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레버 핸들(20)을 스템 헤드(1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도 2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레버 핸들(20)이 도 4에 나타내는 상태가 될 때까지 회전시킨다. 이로써 스템 헤드(11)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스템 헤드(11)의 회전에 따른 스템(12) 역시 회전한다. 스템(12)가 회전하면 각 핀(12D)도 회전하고 각 긴 구멍(14a) 내를 이동한다. 각 긴 구멍(14a)는 기울어 있으므로, 어댑터(14)는 위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어댑터(14)에 설치된 각 볼(14B)가 보닛 케이스(6)의 볼록부(6A)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어댑터(14)는 회전을 하지는 않는다.
어댑터(14)의 위쪽으로 이동에 따라, 조인트(15), 컴프레셔 커버(16) 및 컴프레셔(17)을 통해서, 다이아프램(10)은 그 중앙부가 위쪽으로 끌어올려진다. 이에 따라 밸브(1)은 개방 상태가 된다. 또한, 작업자가 제3핸들 부재(23)에서 손을 떼면, 인장 스프링(24)의 부세력으로 레버 핸들(20)은 전개 상태에서 수납 상태로 돌아간다.
밸브(1)를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제3핸들 부재(23)을 잡고, 레버 핸들(20)을 수납 상태에서 전개 상태로 레버 핸들(2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다이아프램(10)이 유체 통로를 막아 닫힌 상태로 된다. 또한, 작업자가 제3핸들 부재(23)에서 손을 떼면, 인장 스프링(24)의 부세력으로 레버 핸들(20)은 전개 상태에서 수납 상태로 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밸브(1)에 따르면 레버 핸들(20)은 개폐 기구(4)의 스템 헤드(11)에 고정되어 회전축에 대하여 직교하는(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어진 제1핸들 부재(21)과 제1핸들 부재(21)에 대하여 그 중심축에 따라서 왕복 동작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핸들 부재(22)와, 제2핸들 부재(22)에 대해 그 중심축에 따라서 왕복 동작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핸들 부재(23)과, 제2핸들 부재(22) 및 제3핸들 부재(23)을 회전축을 향해서 항상 부세하는 인장 스프링(24)를 갖춘다. 또한, 제2핸들 부재(22)가 제1핸들 부재(21)에 대해 왕복 운동하고, 제3핸들 부재(23)이 제2핸들 부재(22)에 대해 왕복 운동함으로써 레버 핸들(20)이 신축하고, 레버 핸들(20)은 제2핸들 부재(22) 및 제3핸들 부재(23)에 대하여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인장 스프링(24)의 부세력의 가장 줄어든 상태다.
이에 따라, 밸브(1)의 개폐를 실시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제3핸들 부재(23)을 견지하고, 인장 스프링(24)의 부세력에 항거해서 잡아당김으로써 레버 핸들(20)을 펴서 전개 상태로 만든다. 이 상태에서 레버 핸들(20)을 회전시킴으로써 큰 조작 하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스템 헤드(11)에서 큰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유체가 고압화하여, 또는 다이아프램(10)이 대형으로 되는 수압 면적이 증가하고, 차단 하중이 늘어나더라도 상기의 큰 토크에 의해 더욱 더 용이하게 밸브(1)을 폐쇄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 형태의 밸브(1)에 따르면 레버 핸들(20)을 대형화하지 않고 차단 하중(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레버 핸들(20)은 제2핸들 부재(22) 및 제3핸들 부재(23)에 대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인장 스프링(24)의 부세력의 가장 줄어든 상태가 된다. 즉, 작업자가 제3핸들 부재(23)에서 손을 떼면, 인장 스프링(24)의 부세력으로 레버 핸들(20)은 전개 상태에서 수납 상태에 자동적으로 돌아가서, 레버 핸들(20)을 전개 상태에서 수납 상태로 되돌리는 과정 없이 밸브(1)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2핸들 부재(22)는 제2관통 구멍(22a)가 형성된 원통형을 이루고 제1핸들 부재(21)의 일부를 제2의 관통 구멍(21a) 내에 수용하고 제1핸들 부재(21)에 대해서 그 중심축에 따라 왕복 동작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3핸들 부재(23)은 제3관통 구멍(23a)를 가진 원통형을 이루고 제3관통 구멍(23a)에 제2핸들 부재(22)의 일부를 수납하고 제2핸들 부재(22)에 대해서 그 중심축에 따라서 왕복 동작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핸들 부재(21), 제2핸들 부재(22) 및 제3핸들 부재(23)는 네스팅 구조가 되어 있으므로, 레버 핸들(20)의 신축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개 상태에서는 제1외방 돌출부(21B)와 제1내방 돌출부(22B)가 제1핸들 부재(21)의 중심축에 따라서 서로 마주 놓여 본접하고, 제2외방 돌출부(22C)와 제2내방 돌출부(23B)가 제1핸들 부재(21)의 중심축에 따라서 서로 마주 놓여 본접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핸들 부재(22)가 제1핸들 부재(2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제2외방 돌출부(22C)와 제2내방 돌출부(23B)가 본접하여 제3핸들 부재(23)이 제2핸들 부재(22)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각종 추가나 변경 등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 밸브(1)은 다이아프램 밸브로 있으나 다른 밸브, 예컨대 버터플라이 밸브, 볼 밸브, 글러브 밸브, 게이트 밸브 등이라도 바람직하다. 또한, 부세 수단으로 인장 스프링(24)를 이용했으나, 스파이럴 스프링이라도 바람직하다.
또한, 레버 핸들(20)은 3개의 핸들 부재(제1~ 제3핸들(21)~(23))로 구성되어 있으나, 핸들 부재의 수는 3개에 한정되지 않고, 2개라도 바람직하고 4개 이상이라도 바람직하다.
나아가, 제1핸들 부재(21)은 그 전체가 스템 헤드(11)의 회전축에 대하여 직교하였으나, 제1핸들 부재(21)의 스템 헤드(11)에 삽입되는 일단부만 회전축에 대해서 직교하고 스템 헤드(11)로부터 돌출 부분은 일단부에 기울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3핸들 부재(23)의 외경 및 내경을, 제1핸들 부재(21), 제2핸들 부재(22) 보다 크게 구성하여, 제3핸들 부재(23)에 제1핸들 부재(21), 제2핸들 부재(22)를 수납하였다. 그러나, 제1핸들 부재(21)의 외경 및 내경을, 제2핸들 부재(22), 제3핸들 부재(23) 보다 크게 구성하고 제1핸들 부재(21)에 제2핸들 부재(22), 제3핸들 부재(23)을 수납하게 해도 좋다.
나아가,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 레버 핸들(20)은 밸브(1)에 장착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레버 핸들(20)의 회전에 의해 회전력을 받고 구동하는 해당 구동을 다른 부재에 전달하는 구동부를 갖춘 장치라면 다른 장치(예를 들면 프레스 장치 등)이라도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제3핸들 부재(21)~(23)은 원통형이었으나, 뿔통 모양이라도 바람직다.
1:밸브, 2:밸브체, 4:개폐 장치, 20:레버 핸들, 21: 제1핸들 부재, 21a: 제1관통 구멍, 21B: 제1외방 돌출부 22: 제2핸들 부재, 22a: 제2관통 구멍, 22B: 제1내방 돌출부

Claims (4)

  1. 유체 통로가 형성된 밸브체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조작 핸들과;
    상기 조작 핸들의 회전력을 받아 구동하는 상기 유체 통로의 개폐 기구;을 갖추고,
    상기 조작 핸들은,
    상기 개폐 기구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어진 제1핸들 부재와;
    상기 제1핸들 부재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왕복동작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핸들 부재와;
    상기 제2핸들 부재를 상기 회전축을 향해서 부세하는 부세수단;을 갖추고,
    상기 제2핸들 부재가 상기 제1핸들 부재에 대하여 왕복 동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조작 핸들이 신축하고,
    상기 조작 핸들은 상기 제2핸들 부재에 대하여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부세 수단에 의해 줄어든 상태로 되는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핸들 부재는 제1관통 구멍을 가진 통상을 이루고, 일단부가 상기 개폐 기구에 고정되고,
    상기 제2핸들 부재는 상기 제1핸들 부재의 외경보다 큰 내경의 제2관통 구멍이 형성된 통상을 이루고, 상기 제1핸들 부재의 일부를 상기 제2관통 구멍 내에 수용하여, 상기 제1핸들 부재에 대해서 그 중심축에 따라 왕복 동작 가능하게 장착된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핸들 부재의 타단부에는 외방으로 돌출하는 외방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핸들 부재 상기 회전축 측의 일단부에는 내방에 돌출하는 내방 돌출부가 설치되어,
    상기 조작 핸들이 늘어난 상태에서는 상기 외방 돌출부와 상기 내방 돌출부가, 상기 중심 축에 따라서 서로 마주 놓여 접하게 구성된 밸브.
  4.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에 의해 회전력을 받아 구동하는 구동부를 가진 장치에 장착되는 조작 핸들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 축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어진 제1핸들 부재와;
    상기 제1핸들 부재에 상기 회전 축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왕복 동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핸들 부재와;
    상기 제2핸들 부재를 상기 회전축으로 향하게 부세하는 부세 수단;을 갖추고,
    상기 제2핸들 부재가 상기 제1핸들 부재에 대해 왕복 동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조작 핸들이 신축하고,
    상기 조작 핸들은 상기 제2핸들 부재에 대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부세 수단에 의해 줄어든 상태가 된 조작 핸들.
KR1020150133528A 2014-09-30 2015-09-22 밸브 및 조작 핸들 KR201600387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01494A JP2016070412A (ja) 2014-09-30 2014-09-30 バルブ、および操作ハンドル
JPJP-P-2014-201494 2014-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761A true KR20160038761A (ko) 2016-04-07

Family

ID=55789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528A KR20160038761A (ko) 2014-09-30 2015-09-22 밸브 및 조작 핸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6070412A (ko)
KR (1) KR20160038761A (ko)
TW (1) TW20161953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6510B2 (ja) * 2015-03-30 2019-08-28 株式会社フジキン 弁装置
CN112303272A (zh) * 2020-10-10 2021-02-02 盐城市锦东液压机械有限公司 一种密封性好可对内部进行清洁的手动球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19535A (zh) 2016-06-01
JP2016070412A (ja) 201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9323B2 (ja) 高圧用ドーム逆止弁
US11662030B2 (en) Flow control switch valve
KR20160038761A (ko) 밸브 및 조작 핸들
JP5002026B2 (ja) 流体制御弁のアクチュエータ部組付け構造、及びその構造で形成された流体制御弁
KR101891635B1 (ko) 록 장치 및 밸브 장치
JP6850833B2 (ja) 閉鎖弁
KR20170130403A (ko) 밸브 장치
JP5212915B2 (ja) 吐水切替水栓装置
KR102006169B1 (ko) 볼 밸브
RU2655898C1 (ru) Клапан
EP3575649A1 (en) Straight-through switching valve
KR101879375B1 (ko) 직선형 글로브밸브
JP7227061B2 (ja) 通気弁
JP2021134867A (ja) バルブ、および操作ハンドル
KR101173306B1 (ko) 이중 개폐형 디스크를 갖는 버터플라이밸브
JP2016031140A (ja) 流体制御弁
US10473092B2 (en) Thermostat with thermally responsive material and force transmitting element
JP4067303B2 (ja) シール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流体制御弁
JP6244437B1 (ja) 回動ハンドル機構及び不凍水栓柱
JP4296863B2 (ja) 流量調整弁
RU2018112737A (ru) Кнопочный узел промывоч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смывного бачка
JP2020026615A (ja) 水栓装置
BRPI1103754A2 (pt) mecanismo de vedaÇço para registros hidrÁulicos
KR20160126370A (ko) 이중 개폐형 버터플라이밸브
US20070228084A1 (en) Cylindrical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