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8445A - 치조골 신장장치 - Google Patents

치조골 신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8445A
KR20160038445A KR1020140131546A KR20140131546A KR20160038445A KR 20160038445 A KR20160038445 A KR 20160038445A KR 1020140131546 A KR1020140131546 A KR 1020140131546A KR 20140131546 A KR20140131546 A KR 20140131546A KR 20160038445 A KR20160038445 A KR 20160038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ngle
adjuster
predetermined length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5109B1 (ko
Inventor
이의석
박성희
최혁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31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109B1/ko
Publication of KR20160038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4Dentists' forceps or the like for extrac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0Devices having means to apply outwardly directed force, e.g. expan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03Bones for mandibular re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Nurs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 신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치조골의 신장방향을 다각도로 조절하여 정밀한 치조골 신장을 유도하기 위한 치조골 신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폭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고, 연장면 상에 개구된 다수의 제1 체결홈이 연속 형성된 제1 플레이트;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가 배면에 대칭으로 장착 구비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이동 가이드홈을 수직방향으로 배면에 구비한 제1 조절부; 폭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며, 연장면 상에 개구된 다수의 제2 체결홈이 연속 형성된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가 배면에 대칭으로 고정 부착되고, 상기 제1 조절부의 하부가 상부에 삽입되어 조인트 결합된 제2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조골 신장장치{APPARATUS FOR INCREASING ALVEOLAR BONE}
본 발명은 골 신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치조골의 신장방향을 다각도로 조절하여 정밀한 치조골 신장을 유도하기 위한 치조골 신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치아 수복 방법의 하나인 임플란트에 대한 연구 및 시술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임플란트(implant)는 치조골에 나사모양의 인공치근, 즉, 임플란트를 심은 후 매식된 임플란트의 주위에 뼈가 융합되어 단단해지면 그 위에 어버트먼트(기둥)를 결합하고, 여기에 인공치아인 보철물을 만들어 넣는 방식으로서, 기존의 보편적인 치아 수복 방법인 브릿지와 비교할 때 인접치아나 주위의 연조직 또는 골조직을 손상시키지 않고 오로지 손상된 부분에만 시술이 가능하며, 골조직에 의해 유지되고 지지받게 되므로 골조직에 힘이 가해져 골조직의 흡수속도가 지연되고 저작력(咀嚼力)도 자연치아와 동등수준으로 회복될 수 있음은 물론, 심미적으로도 자연치아와 거의 유사하게 회복할 수 있어 최근에는 임플란트 방법이 치아 수복에 있어 세계적인 추세가 되고 있다.
한편, 치조골(잇몸뼈)의 흡수나 소실이 심한 경우에는 임플란트의 식립 자체가 불가능하므로 자가골 이식, 골재생 유도술, 치조골 신장술 등을 이용하여 치조골의 높이를 증가시켜주고 있는데, 자가골 이식 또는 골재생 유도술은 연조직의 부족, 이식골 또는 재생골의 흡수, 골질의 불확실성 등의 단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치조골 신장술이 새로운 치료술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치조골 신장술을 시술하기 위해 치조골 신장기를 이용하여 치조골 사이의 거리를 늘린다. 종래의 치조골 신장기는 치조골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신장부가 플레이트 상에 결합된 구조로서, 이러한 신장기는 신체 외부에 부착되며 신장부 및 플레이트에 형성된 나사를 조절하여 치조골을 신장시킨다.
치조골을 완전하게 교정시키기 위해서는 치조골 신장기를 장기간 동안 부착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종래의 치조골 신장기를 장기간 동안 항상 신체 외부에 부착하는 것은 환자들의 입장으로서는 매우 불편하고 또한 신장기가 외관으로 드러나며, 외부 반흔을 남기므로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골 신장기는 스텐레스강 재질로서 신체에 부착하기에는 무거운 문제점이 있으며, 외부의 신장을 위한 나사못이 피부를 관통하여 신장되므로, 신장 후 피부 반흔을 남기게 되며, 이에 따라 세균 감염의 부작용 역시 증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64366호로서,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골 신장기는, 제1뼈에 고정되고 표피 내부에 설치되며 체결홈이 형성된 제1신장부; 제2뼈에 고정되고 표피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웜이 내장되고, 상부 표면에 웜을 작동하는 렌치홀이 형성된 제2신장부; 및 일측이 제1신장부에 형성된 체결홈에 관통되고, 타측의 표면에 제2신장부에 내장된 웜과 치합된 웜홀이 설치된 수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골 신장기는 피부 표피 내에 삽입될 정도로 작은 크기로서 내장형이므로 외관상 드러나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티타늄을 함유한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져 그 무게가 가벼우므로 골 신장기를 부착한 환자들의 활동이 용이한 효과가 기대되는 골 신장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문헌에는 골 신장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치조골을 의도된 방향으로 정밀하게 신장시키기 어렵다는 문제도 파생한다.
특허번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6436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치조골의 신장방향을 다각도로 조절함으로써 치조골의 정밀한 신장을 유도하기 위한 치조골 신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는, 폭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고, 연장면 상에 개구된 다수의 제1 체결홈이 연속 형성된 제1 플레이트;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가 배면에 대칭으로 장착 구비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이동 가이드홈을 수직방향으로 배면에 구비한 제1 조절부; 폭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며, 연장면 상에 개구된 다수의 제2 체결홈이 연속 형성된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가 배면에 대칭으로 고정 부착되고, 상기 제1 조절부의 하부가 상부에 삽입되어 조인트 결합된 제2 조절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조절부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고, 하부가 제2 조절부의 상부에 일부 삽입되어 조인트 연결된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중심에 내장 구비되고,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이동 가이드; 일단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대칭축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 가이드에 관통 결합하되, 상기 나사선과 맞물려 상기 제1 바디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결합수단; 및 상기 제1 바디의 상부에 돌출 구비되고, 상기 이동 가이드의 상단과 연결되며,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높이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높이 조절수단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나사선을 회전시켜 상기 제1 뼈 플레이트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 조절부는 제1 조절부의 하부가 상부에 일부 삽입되어 조인트 연결된 제2 바디; 상기 제1 조절부와 상기 제2 조절부의 연결부위를 관통 연결하는 조인트; 일측이 상기 조인트의 일측에 연결되는 샤프트 기어; 하부가 상기 샤프트 기어와 맞물리는 하부톱니를 구비하고,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각도 가이드; 상기 각도 가이드의 상부톱니와 맞물리는 각도 조절 기어; 및 상기 각도 조절기어의 일측에 연결되고,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각도 조절수단; 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각도 가이드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결합하는 레일; 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각도 조절수단은 버튼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조절부의 지면각을 조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각도 조절수단은 전면에 홈이 형성되고, 외부의 드라이버(driver) 전단이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각도 조절수단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홈은 일자형, 십자형, 및 육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윈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조골의 신장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궁극적으로 치조골의 신장방향을 다각도로 조절하여 치조골 정밀한 신장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의 측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의 평단면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의 각도 조절 동작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의 각도 조절 동작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5의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기재하였다.
본 발명의 기본 원리는 치조골의 신장방향을 다각도로 조절하여 치조골의 정밀한 신장을 유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제1 바디는 제1 조절부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이므로 제1 바디의 각도와 제1 조절부의 각도는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의 측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의 평단면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100)는 제1 플레이트(110), 제2 플레이트(120), 제1 조절부(130), 및 제2 조절부(140)를 포함한다.
우선 제1 플레이트(110)에 대해 후술한다.
신장시킬 두 뼈를 위치에 따라 제1 뼈 및 제2 뼈로 칭할 때, 제1 뼈는 상부에 구비되고, 제2 뼈는 하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1 플레이트(110)는 제1 뼈에 고정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1 플레이트(110)는 폭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고, 제1 플레이트(110) 상에 일방향으로 개구된 제1 체결홈(110a)이 연속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체결홈(110a)은 스크루(screw, 미도시)와 같은 연결부재가 관통하고, 이로 인해 제1 플레이트(110)가 제1 뼈에 고정되어 표피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1 플레이트(11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바디(131)의 배면에 대칭 구비된다.
한편, 제1 뼈가 골편(骨片)일 경우, 제1 뼈는 제1 플레이트(1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뼈가 제1 플레이트(110)에 고정 장착되면, 제1 플레이트(110)를 상하방향으로 수직 이동시켜 제1 뼈를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임의의 위치는 최종적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제1 뼈가 있어야 할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플레이트(110)는 제1 조절부(13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한다. 제1 조절부(130)는 제1 바디(131), 이동 가이드(132), 결합수단(133), 및 높이 조절수단(134)을 포함한다.
우선 제1 바디(131)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이동 가이드(132)를 내장한다. 여기서 이동 가이드(132)는 결합수단(133)에 의해 연결된 제1 플레이트(110)를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므로 제1 바디(131)의 중앙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이동 가이드(132)는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결합수단(133)의 일단이 수직방향으로 관통 장착된다.
결합수단(133)의 타단(133b)은 제1 플레이트(110)의 대칭점에 연결되고, 높이 조절수단(134)은 제1 플레이트(110)를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시킨다. 즉, 높이 조절수단(134)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 가이드(132)가 회전하면서 나사선과 맞물린 결합수단(133)의 일단(133a)이 이동 가이드(132)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한다. 높이 조절수단(134)은 제1 바디(131)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사용자가 회전시켜 제1 플레이트(1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용이하도록 각이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높이 조절수단(134)은 육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정하여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할 뿐 높이 조절수단(134)의 형태는 다각형의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수단(133)의 일단이 높이 조절수단(134)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나사선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 결합수단(133)의 타단과 연결된 제1 플레이트(110)도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바디(131)는 결합수단(133)의 원활한 수직방향 이동을 위해 이동경로 상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된 가이드홈(131a)을 배면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결합수단(133)과 연결된 제1 플레이트(110)는 가이드홈(131a)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다음은 제2 플레이트(120)에 대해 후술한다.
제2 플레이트(120)는 제1 플레이트(110)와 마찬가지로 신장시킬 두 뼈를 임의로 제1 뼈 및 제2 뼈로 칭할 때, 제2 플레이트(120)는 하부에 구비된 제2 뼈에 고정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2 플레이트(120)도 제1 플레이트(110)와 유사하게 폭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고, 제2 플레이트(120) 상에 일방향으로 개구된 다수의 제2 체결홈(120a)이 연속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2 체결홈(120a)은 스크루(screw, 미도시)와 같은 연결부재가 관통하고, 이로 인해 제2 플레이트(120)가 제2 뼈에 고정되어 표피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또한, 제2 플레이트(120)는 보조 체결홈(120b)을 하부에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체결홈(120b)에 의해 제2 플레이트(120)와 제2 뼈는 공고히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체결홈(110a), 제2 체결홈(120a), 및 보조 체결홈(120b)의 내경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스크루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내경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2 플레이트(120)는 제2 바디(142)의 배면에 대칭으로 고정 장착된다.
이와 같이 제2 바디(142)의 배면에 대칭으로 고정 장착된 제2 플레이트(120)가 제2 뼈에 고정 설치되면, 제2 조절부(140)는 제1 바디(131)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제1 바디(131)의 배면에 장착된 제1 플레이트(1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조절부(140)는 조인트(141), 제2 바디(142), 샤프트 기어(143), 각도 가이드(144), 및 각도 조절수단(145)을 포함한다.
우선 제1 바디(131)의 하부는 제2 바디(142)의 상부에 일부 삽입되고, 제1 바디(131)의 하부와 제2 바디(142)의 결합지점에 조인트(141)를 관통하여 제1 바디(131)와 제2 바디(142)를 결합한다. 여기서 조인트(141)는 샤프트 기어(143)와 연결된다. 따라서 샤프트 기어(143)가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조인트(141)가 회전하고, 조인트(141)의 회전에 의해 제1 바디(13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샤프트 기어(143)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각도 가이드(144)의 하부톱니(144)와 맞물리고, 각도 조절기어(145a)는 각도 가이드(144)의 상부톱니(145)와 맞물린다.
각도 조절기어(145a)와 연결된 각도 조절수단(145)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각도 조절기어(145a)와 맞물린 각도 가이드(144)가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여기서 각도 가이드(144)는 레일(144c)를 따라 상하로 수직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을 참조하면 각도 조절수단(145)은 전면에 십자홈이 형성된다. 이는 외부에서도 드라이버(driver, 미도시)를 통해 각도 조절수단(145)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외부의 드라이버(driver) 전단이 십자홈에 삽입되어 상기 각도 조절수단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십자홈을 일 예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고 홈은 일자형, 십자형, 및 육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각도 조절수단(145a)의 형상은 버튼형으로 도시하여 제1 바디(131)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각도 가이드(144)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144c)에 맞물려 상하로 이동하면서, 하부톱니(144)와 맞물린 샤프트 기어(143)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조인트(141)가 회전하면서 제1 바디(131)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일정각도만큼 꺽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바디(131)의 배면에 구비된 제1 플레이트(110)의 지면각을 조정할 수 있다.
다음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100)의 동작을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의 각도 조절 동작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의 각도 조절 동작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100)는 조인트(141)로 연결된 제1 바디(131)와 제2 바디(142)에 폭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제1 플레이트(110)와 제2 플레이트(120)가 각각 구비된다. 제1 플레이트(110)와 제2 플레이트(120)에는 제1 뼈와 제2 뼈가 각각 장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각도 조절수단(145)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도 조절기어(145a)와 맞물린 각도 가이드(143)가 상승하면서, 샤프트 기어(14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샤프트 기어(143)에 연결된 조인트(141)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조절부(130)는 전방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꺽인다.
반대로 도 5를 참조하면, 각도 조절수단(14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도 조절기어(145a)와 맞물린 각도 가이드(143)가 하강하면서, 샤프트 기어(14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샤프트 기어(143)에 연결된 조인트(141)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조절부(130)는 후방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꺽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조골 신장장치(100)는 제1 조절부(13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치조골의 신장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치조골 신장장치 110: 제1 플레이트
120: 제2 플레이트 130: 제1 조절부
140: 제2 조절부 110a: 제1 체결홈
120a: 제2 체결홈 120b: 보조 체결홈
131: 제1 바디 132: 이동 가이드
133: 결합수단 134: 높이 조절수단
142: 제2 바디 143: 샤프트 기어
144: 각도 가이드 145: 각도 조절수단

Claims (7)

  1. 폭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고, 연장면 상에 개구된 다수의 제1 체결홈이 연속 형성된 제1 플레이트;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가 배면에 대칭으로 장착 구비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이동 가이드홈을 수직방향으로 배면에 구비한 제1 조절부;
    폭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며, 연장면 상에 개구된 다수의 제2 체결홈이 연속 형성된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가 배면에 대칭으로 고정 부착되고, 상기 제1 조절부의 하부가 상부에 삽입되어 조인트 결합된 제2 조절부; 를 포함하는 치조골 신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부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고, 하부가 제2 조절부의 상부에 일부 삽입되어 조인트 연결된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중심에 내장 구비되고,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이동 가이드;
    일단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대칭축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 가이드에 관통 결합하되, 상기 나사선과 맞물려 상기 제1 바디의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결합수단; 및
    상기 제1 바디의 상부에 돌출 구비되고, 상기 이동 가이드의 상단과 연결되며,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높이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신장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수단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나사선을 회전시켜 상기 제1 뼈 플레이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신장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절부는
    제1 조절부의 하부가 상부에 일부 삽입되어 조인트 연결된 제2 바디;
    상기 제1 조절부와 상기 제2 조절부의 연결부위를 관통 연결하는 조인트;
    일측이 상기 조인트의 일측에 연결되는 샤프트 기어;
    하부가 상기 샤프트 기어와 맞물리는 하부톱니를 구비하고,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각도 가이드;
    상기 각도 가이드의 상부톱니와 맞물리는 각도 조절 기어; 및
    상기 각도 조절기어의 일측에 연결되고,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각도 조절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신장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각도 가이드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결합하는 레일;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신장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수단은
    버튼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조절부의 지면각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신장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수단은
    전면에 홈이 형성되고, 외부의 드라이버(driver) 전단이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각도 조절수단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홈은 일자형, 십자형, 및 육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신장장치.
KR1020140131546A 2014-09-30 2014-09-30 치조골 신장장치 KR101655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546A KR101655109B1 (ko) 2014-09-30 2014-09-30 치조골 신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546A KR101655109B1 (ko) 2014-09-30 2014-09-30 치조골 신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445A true KR20160038445A (ko) 2016-04-07
KR101655109B1 KR101655109B1 (ko) 2016-09-07

Family

ID=55789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546A KR101655109B1 (ko) 2014-09-30 2014-09-30 치조골 신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1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7792A1 (ko) * 2017-12-01 2019-06-06 이세호 임의벡터로 신장가능한 치조골 신장기기
CN111084667A (zh) * 2019-12-31 2020-05-01 遵义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一种颌动拔牙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3609A (ja) * 1991-05-06 1995-06-27 Smith & Nephew Richards Inc 動的関節支持器およびその固定方法
JP2002345837A (ja) * 2001-05-30 2002-12-03 Meira Corp 創外固定器
KR100364366B1 (ko) 2000-08-30 2002-12-12 김용욱 골 신장기
KR20070000039A (ko) * 2005-06-24 2007-01-02 밍-춘 슈 마그네슘 합금 제품 가공 방법 및 제조 공정
KR20070046121A (ko) * 2004-07-19 2007-05-02 신세스 게엠바하 골 신장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3609A (ja) * 1991-05-06 1995-06-27 Smith & Nephew Richards Inc 動的関節支持器およびその固定方法
KR100364366B1 (ko) 2000-08-30 2002-12-12 김용욱 골 신장기
JP2002345837A (ja) * 2001-05-30 2002-12-03 Meira Corp 創外固定器
KR20070046121A (ko) * 2004-07-19 2007-05-02 신세스 게엠바하 골 신장기
KR20070000039A (ko) * 2005-06-24 2007-01-02 밍-춘 슈 마그네슘 합금 제품 가공 방법 및 제조 공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7792A1 (ko) * 2017-12-01 2019-06-06 이세호 임의벡터로 신장가능한 치조골 신장기기
CN111084667A (zh) * 2019-12-31 2020-05-01 遵义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一种颌动拔牙器
CN111084667B (zh) * 2019-12-31 2021-05-04 遵义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一种颌动拔牙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109B1 (ko)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11841T3 (es) Dispositivo para tratar problemas de respiracion nocturna.
TWI333416B (en) Zwischenwirbelimplantat
ES2244468T3 (es) Aparato para la regulacion mediante trinquetes de segmentos oseos.
EP2967582B1 (en) Pedicle screw with reverse spiral cut
JP2008501396A (ja) 骨格の変形を矯正する装置
JP2014503260A (ja) 骨再生のための汎用型延長装置
JP2014528292A (ja) 三次元脊椎矯正ロボット
CN105377166A (zh) 外科手术进入系统
NO176261B (no) Utvendig fikseringsanordning med styrbar dempning
CN107530110A (zh) 用于脊柱减压的薄层植入物和方法
WO2010061391A1 (en) Bidirectional alveolar ridge distractor
JP2013516205A (ja) ほぼ継続的に骸骨延長をするためのカスタマイズされた口腔内骸骨延長装置及びその使用
CN112370139A (zh) 自动生长棒及儿童脊柱侧弯矫形系统
KR101655109B1 (ko) 치조골 신장장치
CN105708530B (zh) 手指微型外固定架
KR100367628B1 (ko) 경추교정기
CN210301329U (zh) 脊柱畸形矫正装置
RU2563588C1 (ru) Способ устранения посттравматического энофтальма
US9622782B1 (en) Curved alveolar bone distractor
US9867638B2 (en) Transport distraction apparatus
US201301788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nd placement of a surgical device
KR101813525B1 (ko) 4줄 나사산을 구비하는 척추경 나사못
CN103892897B (zh) 生长期脊柱侧凸内固定矫形器
CN201602866U (zh) 可调节椎体置换融合器
US20170231660A1 (en) Device for inducing or correcting mandible grow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