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7236A -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236A
KR20160037236A KR1020167005449A KR20167005449A KR20160037236A KR 20160037236 A KR20160037236 A KR 20160037236A KR 1020167005449 A KR1020167005449 A KR 1020167005449A KR 20167005449 A KR20167005449 A KR 20167005449A KR 20160037236 A KR20160037236 A KR 20160037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 collecting
centrifugal separator
collecting apparatus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5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9849B1 (ko
Inventor
히로시 오따
시게노리 하또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39532A external-priority patent/JP633420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39533A external-priority patent/JP6334205B2/ja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7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47L9/1633Concentric cycl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Abstract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2 원심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미세 먼지와 제1 원심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큰 먼지를 함께 폐기하는 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집진 장치(100)에 있어서, 집진 컵(111)은 큰 먼지를 집진하는 제1 집진실(111A)과, 미세 먼지를 집진하는 제2 집진실(111B)로 구분되어 있고, 제2 집진실(111B)을 구성하는 벽면의 일부는 제1 집진실(111A)의 외주면(111C)이다.

Description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 {DUST COLLECTION DEVICE AND ELECTRIC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흡입된 공기를 집진 용기에서 선회시킴으로써 진애를 원심 분리하는 사이클론형 집진 장치를 구비한, 소위 사이클론식 전동 청소기가 알려져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이클론형 집진 장치에는 진애가 원심 분리된 후의 공기를 다시 여과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원심 분리되지 않은 미세 먼지가 필터에 의해 포집된다.
최근 들어, 공기를 선회시키는 원심 분리부를 2단 구비하고, 각 원심 분리부에 의해 원심 분리되는 진애의 사이즈가 상이하도록 설계된 멀티 사이클론식 청소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멀티 사이클론식 청소기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의 집진 장치에서는, 진애를 함유하는 공기 중의 비교적 사이즈가 큰 먼지를 제1 원심 분리부에 의해 원심 분리하고, 제1 원심 분리부에 의해 원심 분리되지 않은 미세 먼지를 제2 원심 분리부에 의해 원심 분리하고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특허 공개 제2013-236671호 공보(2013년 11월 28일 공개)」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집진 장치에서는, 집진물의 폐기 시에, 제2 원심 분리부에 의해 원심 분리된 미세 먼지를, 제1 원심 분리부에 의해 원심 분리된 큰 먼지와 아울러 케이스부의 바닥 덮개에 모으고, 바닥 덮개를 개방함으로써 집진물을 폐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큰 먼지와 미세 먼지를 모으는 구조가 필요해져, 집진물을 폐기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의 집진 장치에서는, 제1 원심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큰 먼지는, 케이스부의 바닥 덮개에 저류된다. 한편, 제2 원심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미세 먼지는, 제2 원심 분리부의 하단부에 연통하는 미세 먼지 저류부에 저류된다. 이 미세 먼지 저류부는, 원환상으로 설치되고, 제1 원심 분리부의 케이스부 상단부의 전체 주연부에 연속해서 케이스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확대 개방되어 있다.
집진물의 폐기 시에는, 바닥 덮개에 의한 제1 원심 분리부(케이스부)의 하부 의 개폐에 연동하여, 미세 먼지 저류부의 개폐 덮개부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큰 먼지를 폐기하기 위해서 케이스부의 바닥 덮개를 개방하는 동작이 발단이 되어, 이 동작만으로 미세 먼지 저류부에 저류된 미세 먼지도 제1 원심 분리부측으로 유도해서 큰 먼지와 함께 폐기한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집진 장치에서는, 미세 먼지 저류부에 저류된 미세 먼지를 큰 먼지와 함께 폐기하기 위해서는, 바닥 덮개의 개폐에 연동해서 미세 먼지 저류부의 개폐 덮개부가 개폐되는 구조가 필요해져,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진다.
또한,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집진 장치에서는, 제1 원심 분리부의 상단에 배치된 제2 원심 분리부의 배기통부로부터, 집진 장치의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 개구까지의 배출 풍로는, 먼저 제2 원심 분리부의 상방으로 연장되고, 도중에 제2 원심 분리부의 측방으로 구부러져서 형성되어 있다. 즉, 이와 같이, 집진 장치 내의 풍로가 구부러져 있으므로, 풍로 내의 압력 손실이 증대하여, 청소기의 흡입 일률이 저하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집진 장치에서는, 상기 배출 풍로는 제2 원심 분리부의 하류측과 연통하고, 제2 원심 분리부의 상방으로부터, 제2 원심 분리부의 측방으로 공기의 유량을 교축하도록 연속됨과 함께, 후방으로 굴곡져 있다. 이와 같이 풍로에 폭이 좁아진 부분이 존재하므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청소기에서는, 선회 소리나 바람이 끊기는 소리가 증대한다. 또한, 배출 풍로의 구조가 복잡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1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2 원심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미세 먼지와 제1 원심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큰 먼지를 함께 폐기하는 것이 가능한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2 목적은, 풍로 내의 압력 손실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는, 진애 함유 공기 중의 제1 진애를 분리하는 제1 원심 분리부와, 상기 제1 원심 분리부에 연통하고, 제1 원심 분리부를 통과한 진애 함유 공기 중의, 상기 제1 진애보다도 작은 제2 진애를 분리하는 제2 원심 분리부와, 상기 제1 및 제2 진애를 집진하는 집진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집진 용기는, 상기 제1 진애를 집진하는 제1 집진실과, 상기 제2 진애를 집진하는 제2 집진실로 구분되어 있고, 상기 제2 집진실을 구성하는 벽면의 일부는, 상기 제1 집진실의 외주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는, 진애 함유 공기 중의 제1 진애를 분리하는 제1 원심 분리부와, 상기 제1 원심 분리부보다도 상단에 설치되고, 제1 원심 분리부를 통과한 진애 함유 공기 중의, 상기 제1 진애보다도 작은 제2 진애를 분리하는 제2 원심 분리부와, 상기 제1 및 제2 진애를 집진하는 집진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진애가 분리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설치된 집진 장치이며, 상기 제2 원심 분리부에 있어서의 공기 유출구로부터 상기 배출구에 이르는 배출 풍로는, 상기 제2 원심 분리부보다도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2 원심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미세 먼지와 제1 원심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큰 먼지를 함께 폐기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풍로 내의 압력 손실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집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에 구비된 청소기 본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청소기 본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 내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에 있어서의 집진부 본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에 있어서의 제2 원심 분리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에 있어서의 필터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청소기 본체)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흡입구부, 접속관, 접속 호스 및 조작 핸들 등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에 구비된 청소기 본체(1)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청소기 본체(1)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1)는, 구동 장치(2)와, 사이클론식의 집진 장치(100)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장치(2)는 집진 장치(100)를 전방에서 착탈 가능하게 지지한다.
여기서, 청소기 본체(1)가 설치되는 면을 수평면으로 한다. 그리고 이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높이 방향으로 한다. 또한, 집진 장치(100)에 있어서의 구동 장치(2)와 반대측을 전방측으로 하고, 해당 전방측과 반대측을 후방측으로 한다.
구동 장치(2)는 접속부(3)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외부 배기구(4)와, 전동 송풍기(5)와, 제어 장치(6)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부(3)에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에 구비된 접속 호스가 접속된다. 또한, 구동 장치(2)는 배기구(31) 및 흡기구(32)를 갖는다. 집진 장치(100)가 구동 장치(2)에 장착되었을 때, 배기구(31)는 집진 장치(100)의 유입구(113)와 연통하도록 구성되고, 흡기구(32)는 집진 장치(100)의 배출구(135)와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동 송풍기(5)는 흡기를 행하기 위한 송풍 팬 및 해당 송풍 팬을 회전 구동하는 송풍 구동 모터를 갖고 있다. 제어 장치(6)는 CPU나 RAM, ROM 등의 제어부를 갖고 있으며, 전기 청소기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6)에서는 CPU가 ROM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따라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에서는, 청소기 본체(1)에 내장된 전동 송풍기(5)가 작동됨으로써, 흡입구부로부터 흡기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흡입구부에서 흡인된 진애를 함유하는 공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3)로부터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흡입 경로(Y)를 지나, 구동 장치(2)의 배기구(31)로부터 집진 장치(100)로 도입된다. 이 집진 장치(100) 내에서, 흡입된 공기는 진애가 원심 분리되어, 진애가 제거된 상태에서 구동 장치(2)의 흡기구(32)로부터 흡기된다. 흡기구(32)로부터 흡기된 공기는,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배기 경로(Z)를 지나, 구동 장치(2)의 후방부에 설치된 외부 배기구(4)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배기 경로(Z)는 제어 장치(6)를 경유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제어 장치(6)는 배기 경로(Z)를 흐르는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집진 장치)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집진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집진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집진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집진 장치(100) 내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집진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는, 집진 장치(100)의 단면 방향이 상이하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 장치(100)는 구동 장치(2)에 장착되어 청소기 본체(1)를 구성한 상태에서, 그 중심축(C)이 수평면에 대하여 약 20°정도 전동 송풍기(5)측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각도에서 집진 장치(100)를 배치함으로써, 청소기 본체(1)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청소기 본체(1)의 콤팩트한 설계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중심축(C)이 수평면에 대하여 30°를 초과하도록 집진 장치(100)를 경사지게 한 경우, 높이 방향의 치수를 억제할 수 있지만, 전후 방향의 치수가 커진다. 반대로, 집진 장치(100)를 경사지게 하지 않거나, 또는 중심축(C)이 수평면에 대하여 10°이하의 각도로 경사지게 하고 있는 경우, 높이의 치수가 커진다. 따라서, 집진 장치(100)의 중심축(C)을 수평면에 대하여 20°전후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콤팩트하게 청소기 본체(1)를 설계할 수 있다.
집진 장치(100)는 집진부 본체(110)와, 제2 원심 분리 유닛(120)과, 필터 유닛(130)을 구비하고 있다. 집진부 본체(110)는 상방 개구부를 갖는 집진 컵(111)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원심 분리 유닛(120)은 집진 컵(111)의 상방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필터 유닛(130)은 제2 원심 분리 유닛(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집진부 본체(110)]
집진부 본체(1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애를 함유하는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유입구(113)가 형성된 집진 컵(111)을 구비하고 있다. 집진 컵(111)은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제1 집진실(111A)과, 상기 제1 집진실(111A)의 주위에 형성된 제2 집진실(111B)로 구분되어 있다. 제2 집진실(111B)은, 그 내측벽이 제1 집진실(111A)의 외주면(111C)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집진 컵(111)은 하부(바닥)도 개구되어 있다. 집진 컵(111)의 바닥은, 개폐 가능하게 바닥 덮개(11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집진실(111A)의 외주에 제2 집진실(111B)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집진 컵(111)의 물 세척이 용이해져,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도 7은, 집진부 본체(1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 7을 참조하여, 바닥 덮개(114)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바닥 덮개(114)는 집진 컵(111)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하기 위해, 축지지부(112)에 지지된 도시하지 않은 축부를 개재해서 집진 컵(11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바닥 덮개(114)의 중심 부분에는, 개구부(11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 덮개(114)에는 회전 전달 기구(50)(제1 회전 전달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 전달 기구(50)는 바닥 덮개(114)의 개구부(114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개구부(114a)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돌출된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개구부(114a)의 내면에는, 회전 전달 기구(50)(제1 회전 전달 기구)의 베어링으로서 기능하는 받침부(114b)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받침부(114b)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받침부(114b)의 하측에는, 지지부(5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부(51)는 받침부(114b)의 원통 내경과 대략 일치하는 개구를 갖고, 받침부(114b)와 끼워 맞추는 리그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51)의 하측에는, 회전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 기어(52)가 코일 스프링(53)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바닥 덮개(114)의 하면과 전달 기어(52) 사이를 시일하기 위해서 환상의 하부 시일재(54)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시일재(54)는 바닥 덮개(114)의 개구부(114a)와 받침부(114b) 사이에 끼워 넣어져서 고정되어 있고, 하면이 전달 기어(52)와 밀착되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53)의 상부는 지지부(51)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51a)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53)의 하부는 전달 기어(52)에 환상으로 형성된 환상 구멍(52a)에 끼워져, 환상 구멍(52a)의 저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53)은 지지부(51)와 전달 기어(52)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53)의 가압력의 작용에 의해, 전달 기어(52)는 하방으로 압박되고 있다.
한편, 지지부(51)의 상측, 즉 받침부(114b)의 상측에는 연결부(55)가 상부 시일재(56)를 사이에 두고 개구부(114a)에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부(55)는 전달 기어(52)의 구동력인 회전력을, 제2 원심 분리 유닛(120)의 압축부(123)를 회전시키는 회전 전달 기구(60)에 전달시키기 위한 것이다. 연결부(55)는 상하 방향(높이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링 형상의 플랜지부(55a)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부 시일재(56)는 이 플랜지부(55a)에 끼워 넣어져 고정되어 있다. 상부 시일재(56)는 그 외주면이 개구부(114a)에 접촉하고, 집진 컵(111) 내부의 집진 공간을 밀폐한다. 또한, 상부 시일재(56)의 상면은, 집진 컵(111) 내에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후술하는 제2 회전 전달 기구를 구성하는 압축부의 하단부가 접촉하고, 그 부재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기능을 갖는다.
연결부(55)는 플랜지부(55a)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연결체(55b)와, 플랜지부(55a)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축부(55c)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체(55b)는 제2 원심 분리 유닛(120)의 압축부(123)를 회전시키는 회전 전달 기구(60)와 연결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축부(55c)는 개구부(114a)의 받침부(114b)의 개구를 관통한다. 축부(55c)에 있어서의 받침부(114b)의 개구와 대응하는 부분은 원통 형상이며, 그것보다 하측 부분이 사각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사각기둥 형상의 각 면으로부터 돌출된 4개의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51)에는, 축부(55c)의 하부 형상에 합치하도록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달 기어(52)에는 축부(55c)의 하부 형상과 결합하는 결합부(5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52b)는 축부(55c)의 하부 형상에 합치하는 개구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전달 기어(52)는 코일 스프링(53)을 개재해서 연결부(55)의 중심부가 고정용 나사(57A) 및 너트(57B)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나사 고정된다. 그리고 바닥 덮개(114)의 개구부(114a)의 받침부(114b)를 개재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상과 같이, 전달 기어(52)는 집진 장치(100)의 저면, 즉 집진 컵(111)의 바닥 덮개(114)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집진 컵(111)의 내부는, 상부 시일재(56) 및 하부 시일재(54)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또한, 집진 컵(111)의 플랜지부 하면에 환상의 시일재(58)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환상의 시일재(58)에 의해, 개폐 가능한 바닥 덮개(114)와 집진 컵(111)의 밀폐가 유지되고 있다.
또한, 전달 기어(52)에 대응하여, 구동 장치(2)측에는 구동원이 되는 구동부를 구성하는 전달 구동 기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달 구동 기어는, 전달 기어(52)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원심 분리 유닛(120)]
도 5,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2 원심 분리 유닛(12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제2 원심 분리 유닛(120)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제2 원심 분리 유닛(120)은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 컵(111)을 상측으로부터 폐색하는 상부 덮개 본체(121)와, 내통부(122)와, 압축부(123)와, 회전 전달 기구(60)(제2 회전 전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덮개 본체(121)의 상면 중앙에는, 개구부(12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덮개 본체(121)는 상부에 원통부(121b)를 갖는다. 또한, 상부 덮개 본체(121)의 최하부에는 연결 돌출부(121c)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 돌출부(121c) 위에는 테이퍼부(121d)가 연결되어 있다.
상부 덮개 본체(121)는 집진 컵(11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집진 장치(100)를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상부 덮개 본체(121)의 원통부(121b)를 구성하는 내측면을 따라, 8개의 제2 원심 분리부(80)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2 원심 분리부(80) 각각에는, 원통부(121b) 내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유입구(81)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원심 분리부(80)는 유입구(81)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선회하는 선회통부(8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선회통부(82)는 하방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된 테이퍼 구조를 갖는다. 선회통부(82)의 상면 중앙에는,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8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출구(83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배기통(83)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원심 분리부(80)에 의해 분리된 공기는, 배기통(83)을 통과하여, 상부에 설치된 유출구(83a)로부터 상방으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부 덮개 본체(121)의 상부에는, 제2 원심 분리부(8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의 평탄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부 덮개 본체(121)의 상부 청소가 용이해져, 집진 장치(100)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각 제2 원심 분리부(80)는 상부 덮개 본체(121)로부터 연직 하방으로 돌출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2 원심 분리 유닛(120)이 집진부 본체(110)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각 제2 원심 분리부(80)의 하측 부분은, 집진 컵(111)의 제2 집진실(111B) 내에 수용된다. 즉, 집진 컵(111)의 제2 집진실(111B)에는, 각 제2 원심 분리부(80)의 하측 부분의 선회통부(82)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원심 분리부(80)가 제2 집진실(111B) 내에 수용된 분만큼, 집진 장치(1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제2 집진실(111B) 내의 각 제2 원심 분리부(80)가 수용되는 공간에는, 제2 원심 분리부(80)의 선회통부(82)의 테이퍼 구조에 적합한 테이퍼 벽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집진실(111B) 내에서 각 제2 원심 분리부(80)를 안정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원심 분리부(80)의 하단부에 있는 개구부는 모두, 제2 집진실(111B)과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원심 분리 유닛(120)이 집진부 본체(110)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제2 원심 분리부(80)의 하단부는 제2 집진실(111B)을 구성하는 벽면에 의해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내통부(122)는 상부 덮개 본체(121)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후술하는 제1 원심 분리부에 의한 사이클론 분리 후의 공기를 상부 덮개 본체(121)의 상부에 통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축부(123)는 집진 컵(111)에 집진된 진애를 압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회전 전달 기구(60)는 회전 전달 기구(50)의 회전력을 압축부(123)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내통부(122)는 상방을 향해 직경 확장하는 상방 개구 단부 테두리(122a)와, 원심 분리 후의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슬릿(122b)을 갖는 동체부(122c)를 갖고 있다. 또한, 동체부(122c)의 외주에는 메쉬 형상의 흡기측 필터가 권취되어 있다. 내통부(122)의 상방 개구 단부 테두리(122a)는 상부 덮개 본체(121)의 테이퍼부(121d)에 나사에 의해 접합된다. 이 내통부(122)의 상방 개구 단부 테두리(122a)의 상부 테두리에는, 도시하지 않은 시일재가 미리 고착되어 있다. 상방 개구 단부 테두리(122a)의 상부 테두리와 상부 덮개 본체(121)의 테이퍼부(121d) 하면과의 사이는, 이 시일재에 의해 시일된다. 또한, 내통부(122)의 동체부(122c)의 하단부에는 시일 부재(124)가 설치되어 있다.
압축부(123)는, 상부에 대직경 원통부(123a)를 갖는다. 대직경 원통부(123a)의 하부에는, 대직경 원통부(123a)보다도 직경이 작은 소직경 원통부(123b)가 설치되어 있다. 대직경 원통부(123a)는 내통부(122)와 연통하고 있으며, 집진 컵(111)의 상부를 원심 분리부(사이클론부), 하부를 분리 후의 진애를 집진하는 집진부로서 구분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 대직경 원통부(123a)의 직경은, 내통부(122)의 통 형상의 직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이 압축부(123)는 대직경 원통부(123a) 및 소직경 원통부(123b)에 걸쳐, 그 외주면에 나선 블레이드(123c)가 2중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나선 블레이드(123c)는, 회전함으로써 집진 컵(111) 내의 티끌 및 진애를 압축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나선 블레이드(123c)의 하면에는 복수의 작은 돌기(123d)(도 5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기(123d)는 각 나선 블레이드(123c)의 회전 시에, 티끌 및 진애와 접촉해서 하방으로 누르는 기능을 갖고, 이 기능에 의해 티끌 및 진애의 압축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압축부(123)의 소직경 원통부(123b)의 하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덮개(114)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 시일재(56)에 밀착되어 있다. 이 상부 시일재(56)에 의한 시일에 의해, 집진 컵(111) 내의 진애와 압축부(123) 내부의 진애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회전 전달 기구(60)에 대해서, 설명한다. 회전 전달 기구(60)는,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61)와, 제1 회전 원통(62)과, 제2 회전 원통(63)을 구비하고 있다.
결합부(6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부(123)에 있어서의 소직경 원통부(123b)의 원통 내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 전달 기구(50)의 연결부(55)에 결합·연결되어 있다. 연결부(55)와 결합부(61)의 결합·연결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동을 연결하기 위해서 종래 공지된 연결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연결부(55)에 압축부(123)의 결합부(61)가 연결되면, 회전 전달 기구(50)의 회전에 의해 압축부(123)가 회전되어, 필요에 따라 집진된 진애가 압축된다.
여기서, 압축부(12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부(123)에는 평탄한 형상의 연결편(123e)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편(123e)은 대직경 원통부(123a)와 소직경 원통부(123b)가 상하로 연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결편(123e)에는, 제1 회전 원통(62) 및 제2 회전 원통(63)이 지지되어 고정되어 있다. 제1 회전 원통(62) 및 제2 회전 원통(63)은, 내통부(122)에 내장되어 있다. 또한, 제2 회전 원통(63)은 나사(64)(도 5 참조)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2 회전 원통(63)의 원통 내경은, 소직경 원통부(123b)의 내통 내경과 대략 동일하다. 또한, 이 제2 회전 원통(63)은 원통 내경이 제1 회전 원통(62)의 원통 내경과 대략 동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회전 원통(62)은 내통부(122)에 내장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회전 원통(62)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부(6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62a)는 내통부(122)의 상방 개구 단부 테두리(122a) 상에 보유 지지(지지)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62a)는 상부 덮개 본체(121)의 연결 돌출부(121c)의 하단부와 상방 개구 단부 테두리(124a)에 의해 협지되어 지지되고 있다. 제1 회전 원통(62)은 내통부(1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제1 회전 원통(62) 및 제2 회전 원통(63)은, 내통부(122)와 대략 마찬가지의 구조이며, 통 형상의 동체부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회전 원통(62) 및 제2 회전 원통(63)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공기의 통기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제1 회전 원통(62)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4개의 연결편(62b)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편(62b)은 지지부(62a)보다도 내측이며, 또한 상부 덮개 본체(121)의 연결 돌출부(121c)보다도 내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연결편(62b)에 대응하여, 상부의 상부 덮개 본체(121)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걸림 지지편이 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 지지편은, 제1 회전 원통(62)의 연결편(62b)에 걸어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적어도 2개의 연결편(62b)을 걸어 지지한다.
[필터 유닛(130)]
도 5, 도 6 및 도 9를 참조하여, 필터 유닛(13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필터 유닛(130)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필터 유닛(130)은 필터 케이스(131)와, 배기측 필터(132)와, 시일재(133)와, 필터 커버(134)를 구비하고 있다. 필터 케이스(131)는 배기측 필터(132)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다. 배기측 필터(132)는 필터 케이스(131)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또한, 필터 커버(134)는 필터 케이스(13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배기측 필터(132)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배기측 필터(132)의 외주에는, 시일재(133)가 설치되어 있다. 시일재(133)는 배기측 필터(132)와 필터 커버(134)를 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배기측 필터(132)는 지그재그 형상의 HEPA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본체(132a)와, 필터 본체(132a)를 보유 지지하는 원환상의 프레임체(132b)와, 필터 본체(132a)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 보스부(132c)와, 중심 보스부(132c)와 프레임체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결합편(132d)을 갖는다. 또한, 프레임체(132b)의 외주면에는 시일재(133)가 끼워 넣어져서, 고정되어 있다.
필터 케이스(131)는 상방이 개구된 개구 단부 테두리(131a)와, 단차부(131b)와, 동체부(131c)와, 연결 통부(131d)를 갖는다. 필터 커버(134)는 개구 단부 테두리(131a)의 상단부에 지지된다. 단차부(131b)는 배기측 필터(132)에 있어서의 프레임체(132b)에 끼워 넣어진 시일재(133)와 밀착하여, 배기측 필터(132)를 지지한다. 동체부(131c)는 단차부(131b)를 개재해서 개구 단부 테두리(131a)에 연속 설치되어 있고, 개구 테두리 단부(131a)보다도 개구 직경이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연결 통부(131d)는 동체부(131c)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연결 통부(131d)의 내벽에는 나사 홈(131e)(도 6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 덮개 본체의 상부에는 나사 산(121e)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산(121e)과 나사 홈(131e)이 맞물림 체결됨으로써, 필터 유닛(130)은 제2 원심 분리 유닛(12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기 청소기의 동작)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전기 청소기를 조작하면, 제어 장치(6)는 전동 송풍기(5)를 작동시켜, 흡입구부로부터 흡기한다. 흡입구부로부터 흡기된 공기는, 접속관 및 접속 호스를 지나, 접속 호스에 접속된 접속부(3)를 거쳐 청소기 본체(1)로 유입된다. 청소기 본체(1)로 유입된 진애 함유 공기는, 도 2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흡입 경로(Y)를 경유해서 집진 장치(100)로 유입된다. 집진 장치(100)의 유입구(113)로 유입된 진애 함유 공기는, 도 2, 도 5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분리 경로(X)를 경유하여, 배출구(135)로부터 배출된다.
집진 장치(100)에서는, 집진 컵(111) 내의 압축부(123)의 상부에 있는 대직경 원통부(123a)를 경계로, 상부가 제1 원심 분리부(70)(사이클론부)로서 작용한다. 즉, 집진 장치(100)에 있어서, 제1 원심 분리부(70)는 집진 컵(111)에 있어서의 제1 집진실(111A)의 내측면 및 내통부(122)의 외주면 등을 포함하는 선회 풍로이다. 그리고 유입구(113)는, 제1 원심 분리부(70)가 구성하는 선회 풍로의 접선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그로 인해, 유입구(113)를 통하여 유입된 진애 함유 공기는, 제1 원심 분리부(70)가 구성하는 선회 풍로를 선회함으로써, 해당 진애 함유 공기 중의 특히 큰 먼지(제1 진애)는 원심 분리되어, 집진 컵(111)의 내측면을 따라 낙하하여, 바닥 덮개(114) 위에 저류된다.
큰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내통부(122)를 통과하여, 상부 덮개 본체(121)의 원통부(121b)에 도달한다. 원통부(121b) 내의 공기는, 각각의 제2 원심 분리부(80)로 유입된다.
제2 원심 분리부(80)에 있어서, 진애 함유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81)는 선회통부(82)와 배기통(83) 사이에 형성된 공기의 선회류로의 접선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그로 인해, 유입구(81)로부터 유입된 진애 함유 공기는, 선회통부(82)의 내주면을 따라서 선회한다. 여기서, 제2 원심 분리부(80)에 있어서의 공기의 선회 방향은, 제1 원심 분리부(70)에 있어서의 공기의 선회 방향과 반대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원심 분리부(80)에 있어서의 공기의 선회축은, 제1 원심 분리부(70)에 있어서의 공기의 선회축과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
제2 원심 분리부(80)는, 진애 함유 공기의 선회 반경이 제1 원심 분리부(70)에서의 선회 반경보다도 작고, 또한 선회 속도가 제1 원심 분리부(70)에서의 선회 속도보다도 커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원심 분리부(70)를 통과한 진애 함유 공기에 대해서, 제1 원심 분리부(70)에 의해 분리된 큰 먼지보다도 작은 진애, 즉 미세 먼지를 분리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제2 원심 분리부(80)에서의 공기의 선회에 의해, 진애 함유 공기 중의 미세 먼지(제2 진애)는 원심 분리되어, 선회통부(82)의 내주면을 따라서 낙하하고, 제2 집진실(111B)로 들어가, 최종적으로 제2 집진실(111B) 내의 바닥 덮개(114) 위에 저류된다.
그리고 미세 먼지(제2 진애)가 분리된 공기는, 각 제2 원심 분리부(80)의 중앙부에 설치된 배기통(83)을 통과하고, 유출구(83a)로부터 배출된다.
유출구(83a)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배기측 필터(132)를 상하 방향으로 통과하고, 배출구(135)를 거쳐 집진 장치(100)로부터 배출된다. 집진 장치(100)에 있어서, 유출구(83a)로부터 배출구(135)에 이르는 배출 풍로는, 제2 원심 분리부(80) 보다도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원심 분리부 유닛(120)과, 필터 유닛(120)을 분리하는 구성이며, 구조의 복잡화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또한, 유출구(83a)로부터 배출구(135)에 이르는 배출 풍로는 모두, 제2 원심 분리부(80)보다도 상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배출 경로가 밑에서부터 위로 단순한 경로가 되어, 집진 장치(100)에서 발생하는 선회 소리나 바람이 끊기는 소리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집진 장치(100)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흡기구(32)를 통과하여, 도 2에 도시된 배기 경로(Z)를 지나 외부 배기구(4)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동작 중,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에 의해, 집진 장치(100)의 저면에 설치된 전달 기어(52)가 회전한다. 이에 의해, 회전 전달 기구(50)에 의해, 연결부(55)가 회전한다. 그리고 연결부(55)에 연결되어 있는 결합부(61)가 회전한다. 이 결합부(61)는 압축부(123)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결합부(61)의 회전에 의해, 압축부(123)가 회전한다. 그리고 압축부(123)의 회전에 수반하여, 나선 블레이드(123c)는 집진된 진애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나선 블레이드(123c)는 청소를 행하고 있는 기간 중에 계속해서 회전시켜도 되고, 일정 시간마다, 회전, 정지를 차례로 반복해서 동작시켜도 된다. 또한 진애의 양이 증가한 시점에서 회전시켜도 된다.
또한, 나선 블레이드(123c)의 회전 방향은, 나선 블레이드(123c)의 구조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 가능하고, 압축부(123)의 나선 블레이드(123c)를 압축할 수 있는 방향이면 된다.
청소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전동 송풍기(5)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때, 압축부(123)는 나선 블레이드(123c)에 의한 압축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로 인해, 전동 송풍기(5)의 동작 정지 후, 진애의 압축을 행하는 일은 없다. 압축부(123)에 의한 압축 동작에 의해, 집진 컵(111)의 제1 집진실(111A)에 집진된 진애는, 청소 중에 충분히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전동 송풍기(5)의 동작 정지 후, 압축부(123)가 압축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해도, 압축된 진애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집진 장치(100)의 집진 컵(111) 내에 일정량의 진애가 저류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집진 장치(100)를 청소기 본체(1)로부터 제거한다.
그리고 쓰레기통 등의 폐기 위치에 집진 장치(100)를 옮긴 후, 사용자가 예를 들어 쓰레기 버림 버튼(도시하지 않음) 등을 외부 조작함으로써, 바닥 덮개(114)가 자중에 의해 개방되도록 회동한다. 이에 의해, 바닥 덮개(114) 위에 저류된, 큰 먼지(제1 진애) 및 미세 먼지(제2 진애)는, 함께 폐기 위치에 폐기되게 된다.
이와 같이, 집진 장치(100)에서는 집진 컵(111)은 큰 먼지를 집진하는 제1 집진실(111A)과, 미세 먼지를 집진하는 제2 집진실(111B)로 구분되어 있고, 제2 집진실(111B)을 구성하는 벽면의 일부는, 제1 집진실(111A)의 외주면(111C)이다. 이로 인해, 집진 장치(100)에서는 제1 원심 분리부(70)에 의해 분리된 큰 먼지는, 제1 집진실(111A)에 수용되는 한편, 제2 원심 분리부(80)에 의해 분리된 미세 먼지는, 제1 집진실(111A)과 독립된 공간인 제2 집진실(111B)에 수용되게 된다. 그리고 집진 컵(111)을 개방함으로써, 큰 먼지 및 미세 먼지가 함께 폐기된다. 그로 인해, 집진 장치(100)에서는 집진물의 폐기 시에 제2 원심 분리부(80)에 의해 원심 분리된 미세 먼지를 제1 원심 분리부(70)에 의해 원심 분리된 큰 먼지와 아울러 바닥 덮개(114)에 모으기 위한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집진 장치(100)의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2 원심 분리부(80)에 의해 분리된 미세 먼지와 제1 원심 분리부(70)에 의해 분리된 큰 먼지를 함께 폐기할 수 있다.
또한, 집진 장치(100)에서는, 제1 집진실(111A)의 저부 위치와 제2 집진실(111B)의 저부 위치가 대략 동일 위치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원심 분리부(80)에 의해 분리된 미세 먼지를 저류하는 제2 집진실(111B)에 대해서, 제1 집진실(111A)과 동등한 충분한 높이를 확보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미세 먼지가 제2 집진실(111B) 외부로 재유출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집진 장치(100)에서는 큰 먼지와 미세 먼지의 분리 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다른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에 구비된 집진 장치에서는, 배출 풍로는 제2 원심 분리부의 유출구보다 상측의 공기 기류를 선으로 나타냈을 때, 기류의 선 중에, 제2 원심 분리부의 유출구와 집진 장치의 배출구를 최단 거리로 잇는 선이 존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5의 구성을 사용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를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유출구(83a)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배기측 필터(132)를 상하 방향으로 통과하고, 배출구(135)를 거쳐 집진 장치(100)로부터 배출된다. 집진 장치(100)에 있어서, 유출구(83a)로부터 배출구(135)에 이르는 배출 풍로는, 제2 원심 분리부(80)보다도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배출 유로는 필터 케이스(131)의 내벽과 필터 커버(134)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제2 원심 분리부(80)의 하방 또는 측방으로 굴곡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유출구(83a)로부터 배출구(135)에 이르는 배출 풍로에 있어서 발생하는 기류를 선으로 나타낸 경우, 이들 선 중에, 적어도 유출구(83a)와 배출구(135)를 최단 거리로 잇는 선이 있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렇게 최단 거리의 기류의 선이 있는 경우, 집진 장치(100) 내의 풍로에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는 메인 풍로가 형성되어, 도중에 굴곡되는 일은 없다. 그로 인해, 집진 장치(100)의 풍로 내의 압력 손실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 풍로가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일 경우, 배기측 필터(132)로부터 배기되는 공기의 기류는, 배출구(135) 부근에서, 1군데만 굴곡되어 있다. 이 굴곡 개소를 없애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 굴곡 개소를 없애기 위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배기측 필터(132)로부터의 배기구(135)의 위치를 배기측 필터(132)보다 상부에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배기측 필터(132)로부터 배기되는 공기 기류의 굴곡 개소를 없앨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배출 풍로에는 구조적인 협로가 없기 때문에, 집진 장치(100)에 발생하는 선회 소리나 바람이 끊기는 소리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굴곡 개소가 없기 때문에, 배출 풍로의 구조 복잡화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또 다른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에서는, 필터 유닛(130)은 집진 장치(100)측에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필터 유닛(130)은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에서는, 필터 유닛(130)은 구동 장치(2)측에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집진 장치(100)는 집진부 본체(110) 및 제2 원심 분리 유닛(120)을 구비한 것이 되어, 장치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정리〕
본 발명의 형태 1에 관한 집진 장치(100)는 진애 함유 공기 중의 제1 진애를 분리하는 제1 원심 분리부(70)와, 상기 제1 원심 분리부(70)에 연통하고, 제1 원심 분리부(70)를 통과한 진애 함유 공기 중의, 상기 제1 진애보다도 작은 제2 진애를 분리하는 제2 원심 분리부와, 상기 제1 및 제2 진애를 집진하는 집진 용기[집진 컵(111)]를 구비하고, 상기 집진 용기[집진 컵(111)]는 상기 제1 진애를 집진하는 제1 집진실(111A)과, 상기 제2 진애를 집진하는 제2 집진실(111B)로 구분되어 있고, 상기 제2 집진실(111B)을 구성하는 벽면의 일부는, 상기 제1 집진실(111A)의 외주면(111C)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원심 분리부(70)에 의해 분리된 큰 먼지는, 제1 집진실(111A)에 수용되는 한편, 제2 원심 분리부(80)에 의해 분리된 미세 먼지는, 제1 집진실(111A)과 독립된 공간인 제2 집진실(111B)에 수용되게 된다. 그리고 집진 컵(111)을 개방함으로써, 큰 먼지 및 미세 먼지가 함께 폐기된다. 그로 인해,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집진물의 폐기 시에 제2 원심 분리부(80)에 의해 원심 분리된 미세 먼지를 제1 원심 분리부(70)에 의해 원심 분리된 큰 먼지와 아울러 바닥 덮개(114)에 모으기 위한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2 원심 분리부(80)에 의해 분리된 미세 먼지와 제1 원심 분리부(70)에 의해 분리된 큰 먼지를 함께 폐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2에 관한 집진 장치(100)는 상기 형태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진실(111A) 및 제2 집진실(111B)을 모두 개폐 가능한 바닥 덮개(114)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 집진실(111A) 및 제2 집진실(111B)을 모두 개폐 가능한 바닥 덮개(11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2 원심 분리부(80)에 의해 분리된 미세 먼지와 제1 원심 분리부(70)에 의해 분리된 큰 먼지를 보다 간단하게 폐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3에 관한 집진 장치(100)는, 상기 형태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2 집진실(111B)에는, 상기 제2 원심 분리부(80)의 하부를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2 원심 분리부(80)가 제2 집진실(111B) 내에 수용된 분만큼, 집진 장치(10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4에 관한 집진 장치(100)는 상기 형태 3에 있어서, 상기 제2 원심 분리부(80)의 하부는 테이퍼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제2 집진실(111B)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원심 분리부(80)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성하는 벽부에는, 상기 테이퍼 구조에 적합한 테이퍼 벽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2 집진실(111B)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원심 분리부(80)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성하는 벽부에는, 상기 테이퍼 구조에 적합한 테이퍼 벽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집진실(111B) 내에서 제2 원심 분리부(80)를 안정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5에 관한 집진 장치(100)는, 상기 형태 1 내지 4에 있어서, 상기 제2 원심 분리부(80)가 설치되고, 상기 집진 용기[집진 컵(111)]를 위에서 폐색하는 상부 덮개[상부 덮개 본체(121)]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덮개[상부 덮개 본체(121)]가 상기 집진 용기[집진 컵(111)]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제2 원심 분리부(80)의 하단부는, 제2 집진실(111B)을 구성하는 벽면에 의해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2 집진실(111B)에 대한 제2 원심 분리부(80)의 위치가 보유 지지되므로, 제2 집진실(111B) 내에서 제2 원심 분리부(80)를 보다 안정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6에 관한 집진 장치(100)는, 상기 형태 1 내지 5에 있어서, 제1 집진실(111A)의 저부 위치와 제2 집진실(111B)의 저부 위치가 대략 동일한 위치로 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2 원심 분리부(80)에 의해 분리된 미세 먼지를 저류하는 제2 집진실(111B)에 대해서, 제1 집진실(111A)과 동등한 충분한 높이를 확보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미세 먼지가 제2 집진실(111B) 외부로 재유출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집진 장치(100)에서는 큰 먼지와 미세 먼지의 분리 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7에 관한 전기 청소기는, 상기 형태 1 내지 6의 집진 장치를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2 원심 분리부(80)에 의해 분리된 미세 먼지와 제1 원심 분리부(70)에 의해 분리된 큰 먼지를 함께 폐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8에 관한 집진 장치(100)는 진애 함유 공기 중의 제1 진애를 분리하는 제1 원심 분리부(70)와, 상기 제1 원심 분리부(70)보다도 상단에 설치되고, 제1 원심 분리부(70)를 통과한 진애 함유 공기 중의, 상기 제1 진애보다도 작은 제2 진애를 분리하는 제2 원심 분리부(80)와, 상기 제1 및 제2 진애를 집진하는 집진 용기[집진 컵(111)]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진애가 분리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35)가 설치된 집진 장치이며, 상기 제2 원심 분리부(80)에 있어서의 공기의 유출구(83a)로부터 상기 배출구(135)에 이르는 배출 풍로는, 상기 제2 원심 분리부(80)보다도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집진 장치(100) 내의 풍로에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는 메인 풍로가 형성되고, 도중에 굴곡되는 일은 없다. 그로 인해,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집진 장치(100)의 풍로 내의 압력 손실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9에 관한 집진 장치(100)는, 상기 형태 8에 있어서, 상기 집진 용기[집진 컵(111)]를 폐색하는 상부 덮개[상부 덮개 본체(121)]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덮개[상부 덮개 본체(121)]의 상부에는, 상기 제2 원심 분리부(80)의 상면과 동일 높이의 평탄면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부 덮개[상부 덮개 본체(121)]의 상부 청소가 용이해져, 집진 장치(100)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형태 10에 관한 집진 장치(100)는, 상기 형태 8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집진 용기[집진 컵(111)]를 폐색하는 상부 덮개[상부 덮개 본체(121)]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덮개[상부 덮개 본체(121)]는 상기 집진 용기[집진 컵(11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이로 인해, 집진 장치(100)를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형태 11에 관한 집진 장치(100)는, 상기 형태 8 내지 10에 있어서, 상기 제2 원심 분리부(80)의 상부에 배치된 필터[배기측 필터(132)]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배기측 필터(132)]는 상기 배출 풍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필터[배기측 필터(132)]가 상기 배출 풍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진애의 포집 효율이 향상된 집진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12에 관한 집진 장치(100)는, 상기 형태 8 내지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원심 분리부(80)가 설치되고, 상기 집진 용기[집진 컵(111)]를 위에서 폐색하는 상부 덮개[상부 덮개 본체(121)]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덮개[상부 덮개 본체(121)]가 상기 집진 용기[집진 컵(111)]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제2 원심 분리부(80)의 하단부는, 제2 집진실(111B)을 구성하는 벽면에 의해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2 집진실(111B)에 대한 제2 원심 분리부(80)의 위치가 보유 지지되므로, 제2 집진실(111B) 내에서 제2 원심 분리부(80)를 보다 안정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13에 관한 전기 청소기는, 상기 형태 8 내지 12의 집진 장치를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집진 장치(100)의 풍로 내의 압력 손실의 증가를 억제한 전기 청소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해서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조합함으로써, 새로운 기술적 특징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집진 장치로서 사이클론 집진 장치를 구비한 사례를 설명했지만, 이러한 사이클론식의 집진 장치뿐만 아니라, 공기 중의 진애를 분리하고, 분리된 진애를 집진하고, 분리 후의 공기를 다시 필터를 거친 미세한 진애를 제거하도록 한 전기 청소기 전반에 이용할 수 있다.
1 : 청소기 본체
2 : 구동 장치
3 : 접속부
4 : 외부 배기구
5 : 전동 송풍기
6 : 제어 장치
50 : 회전 전달 기구
60 : 회전 전달 기구
70 : 제1 원심 분리부
80 : 제2 원심 분리부
81 : 유입구
82 : 선회통부
83 : 배기통
83a : 유출구
100 : 집진 장치
110 : 집진부 본체
111 : 집진 컵(집진 용기)
111A : 제1 집진실
111B : 제2 집진실
111C : 외주면
113 : 유입구
114 : 바닥 덮개
120 : 제2 원심 분리 유닛
121 : 상부 덮개 본체(상부 덮개)
122 : 내통부
123 : 압축부
130 : 필터 유닛
131 : 필터 케이스
132 : 배기측 필터(필터)
134 : 필터 커버
135 : 배출구
C : 중심축
X : 분리 경로
Y : 흡입 경로
Z : 배기 경로

Claims (9)

  1. 진애 함유 공기 중의 제1 진애를 분리하는 제1 원심 분리부와,
    상기 제1 원심 분리부에 연통하고, 제1 원심 분리부를 통과한 진애 함유 공기 중의, 상기 제1 진애보다도 작은 제2 진애를 분리하는 제2 원심 분리부와,
    상기 제1 및 제2 진애를 집진하는 집진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집진 용기는, 상기 제1 진애를 집진하는 제1 집진실과, 상기 제2 진애를 집진하는 제2 집진실로 구분되어 있고, 상기 제2 집진실을 구성하는 벽면의 일부는 상기 제1 집진실의 외주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집진실을 모두 개폐 가능한 바닥 덮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집진실에는, 상기 제2 원심 분리부의 하부를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심 분리부의 하부는 테이퍼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제2 집진실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원심 분리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성하는 벽부에는, 상기 테이퍼 구조에 적합한 테이퍼 벽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5. 진애 함유 공기 중의 제1 진애를 분리하는 제1 원심 분리부와,
    상기 제1 원심 분리부보다도 상단에 설치되고, 제1 원심 분리부를 통과한 진애 함유 공기 중의, 상기 제1 진애보다도 작은 제2 진애를 분리하는 제2 원심 분리부와,
    상기 제1 및 제2 진애를 집진하는 집진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진애가 분리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설치된 집진 장치로서,
    상기 제2 원심 분리부에 있어서의 공기의 유출구로부터 상기 배출구에 이르는 배출 풍로는, 상기 제2 원심 분리부보다도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용기를 폐색하는 상부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덮개의 상부에는, 상기 제2 원심 분리부의 상면과 동일 높이의 평탄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용기를 폐색하는 상부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덮개는, 상기 집진 용기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심 분리부의 상부에 배치된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배출 풍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집진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KR1020167005449A 2014-02-28 2015-02-09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 KR101759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39533 2014-02-28
JP2014039532A JP6334204B2 (ja) 2014-02-28 2014-02-28 集塵装置、及び電気掃除機
JP2014039533A JP6334205B2 (ja) 2014-02-28 2014-02-28 集塵装置、及び電気掃除機
JPJP-P-2014-039532 2014-02-28
PCT/JP2015/053512 WO2015129441A1 (ja) 2014-02-28 2015-02-09 集塵装置、及び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236A true KR20160037236A (ko) 2016-04-05
KR101759849B1 KR101759849B1 (ko) 2017-07-19

Family

ID=54008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5449A KR101759849B1 (ko) 2014-02-28 2015-02-09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59849B1 (ko)
CN (1) CN105530847B (ko)
WO (1) WO20151294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46166T3 (es) 2016-03-31 2023-07-13 Lg Electronics Inc Aparato de limpieza
US11166607B2 (en) 2016-03-31 2021-11-09 Lg Electronics Inc. Cleaner
EP3479749B1 (en) * 2016-06-30 2022-10-05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Dust cup, dust cup assembly, and handheld vacuum cleaner
CN108125615A (zh) * 2016-12-01 2018-06-08 天佑电器(苏州)有限公司 吸尘器及其组装方法
JP7085424B2 (ja) * 2018-07-04 2022-06-16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102015092B1 (ko) * 2018-08-30 201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집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청소기
CN112021996B (zh) * 2019-06-04 2022-07-01 康塔有限公司 旋风分离器
JP6773855B1 (ja) * 2019-07-19 2020-10-2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WO2021246695A1 (ko) * 2020-06-01 2021-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WO2021246693A1 (ko) * 2020-06-01 2021-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WO2021246694A1 (ko) * 2020-06-01 2021-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JP7275086B2 (ja) * 2020-10-01 2023-05-1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2585B1 (en) * 1999-01-08 2004-08-31 Fantom Technologies Inc. Upright vacuum cleaner with cyclonic air flow
US6141826A (en) * 1999-01-08 2000-11-07 G.B.D. Corp. Center air feed for cyclonic separator
JP2006272322A (ja) * 2005-03-29 2006-10-12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Ltd サイクロン集塵装置
KR100577679B1 (ko) * 2005-03-29 2006-05-1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KR20080000188A (ko) * 2006-06-27 2008-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닛
JP4978685B2 (ja) * 2009-11-09 2012-07-1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WO2012165034A1 (ja) * 2011-06-02 2012-12-0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30847B (zh) 2018-04-13
WO2015129441A1 (ja) 2015-09-03
CN105530847A (zh) 2016-04-27
KR101759849B1 (ko) 201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849B1 (ko)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
KR100390608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RU2328961C1 (ru) Пылесос (варианты)
KR101250154B1 (ko) 진공 청소기
US20100115727A1 (en) Dust-collecting apparatus and cleaner having the same
JP2004344642A (ja) 真空掃除機の二重サイクロン集塵装置
JP5770029B2 (ja) 電気掃除機
US10537220B2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JP6291218B2 (ja) 電気掃除機
US20060277872A1 (en) Vacuum cleaner
US9955837B2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JP6334204B2 (ja) 集塵装置、及び電気掃除機
JP6703386B2 (ja) 電気掃除機
JP6212451B2 (ja) 集塵装置、及び電気掃除機
JP6491779B2 (ja) 集塵装置、及び電気掃除機
JP6367509B2 (ja) 集塵装置、及び電気掃除機
JP2017023289A (ja) 電気掃除機
JP2014030545A (ja) 電気掃除機
JP6334205B2 (ja) 集塵装置、及び電気掃除機
JP6437609B2 (ja) 集塵装置、及び電気掃除機
JP2008043792A (ja) 電気掃除機
JP5821980B2 (ja) 遠心分離装置
JP2014023782A (ja) 電気掃除機
JP2004089263A (ja) 電気掃除機
JP5472417B1 (ja) 遠心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