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999A -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 Google Patents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999A
KR20160036999A KR1020140129490A KR20140129490A KR20160036999A KR 20160036999 A KR20160036999 A KR 20160036999A KR 1020140129490 A KR1020140129490 A KR 1020140129490A KR 20140129490 A KR20140129490 A KR 20140129490A KR 20160036999 A KR20160036999 A KR 20160036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l
rotation
latch
latch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라
박현태
엄현수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9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6999A/ko
Publication of KR20160036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9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43Bolts rotating about an axis with a bifurcated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는: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홈부를 구비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며 복수 개의 걸림부를 구비하는 래치기어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과, 파울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작동케이블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해제부와, 해제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해제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되는 회전걸림부 및 파울에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며 파울의 회전각도에 따라 돌출되는 돌기의 개수가 가변되는 가변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HOOD LATCH HAVING DUAL UNLOCKING FUNCTION}
본 발명은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실내에서 사용자의 조작만으로 자동차의 후드를 개방시킬 수 있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룸을 보호하면서 엔진소음에 대한 차음기능도 겸하도록 된 후드가 구비되며, 후드는 차체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후드는 차내에 있는 버튼 또는 레버에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되며, 버튼 또는 레버의 조작에 따라 와이어가 당겨짐으로써 후드의 록킹이 해제되는 구조를 갖는다.
후드는 후드래치 및 안전후크에 의하여 2단으로 록킹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록킹된 후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후드래치를 먼저 록킹 해제시키고 다음에 수동으로 안전후크를 작동시켜야 비로소 후드를 개방시킬 수 있다. 후드가 2단 잠김구조를 갖는 것은 혹시라도 후드래치가 완전히 록킹되지 않은 상태로 주행을 하다가 주행풍에 의해 후드가 갑자기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래치장치는, 이동홈부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운팅홈부가 형성된 래치기어와, 래치기어의 걸림단을 구속하는 파울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파울은 손잡이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래치기어의 구속을 해제하여 후드의 개방을 행한다.
래치기어에는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가 형성되어 스트라이커를 구속한 래치기어가 파울에 의해 2단 구속상태를 형성한다. 스트라이커가 래치기어의 마운팅홈부에 진입하면 래치기어는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파울은 래치기어의 제1걸림부에 걸리므로 1단 구속상태를 형성한다.
스트라이커에 밀려서 래치기어가 완전히 회전되면, 파울은 래치기어의 제2걸림부에 걸리므로 2단 구속상태를 형성한다. 래치기어를 2단 구속상태에 있는 잠금위치에서 잠금해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파울에 해제력을 전달하므로, 래치기어에서 파울을 분리시킨다. 파울이 래치기어에서 분리되면, 개방력이 래치기어에 인가될 때 래치기어가 분리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트라이커가 래치기어에서 분리된다.
종래에는 후드래치에서 스트라이커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운전석의 전방에 구비된 레버를 조작하여 파울에 해제력을 1차 전달한 후, 운전자가 직접 차량의 밖으로 나가서 후드래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동작으로 후드래치의 잠금이 해제되므로 운전자의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62304호(2007.06.15 공개, 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후드래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실내에서 사용자의 조작만으로 자동차의 후드를 개방시킬 수 있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는: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홈부를 구비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며 복수 개의 걸림부를 구비하는 래치기어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과, 파울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작동케이블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해제부와, 해제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해제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되는 회전걸림부 및 파울에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며 파울의 회전각도에 따라 돌출되는 돌기의 개수가 가변되는 가변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래치기어는,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마운팅홈부를 구비하는 래치몸체와, 래치몸체에서 돌출되어 마운팅홈부로 삽입되는 스트라이커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걸림부와, 마운팅홈부를 사이에 두고 제1걸림부와 이격되며 래치몸체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완전잠금위치에서 파울에 걸리는 제2걸림부 및 제2걸림부와 단차를 이루며 중간잠금위치에서 파울에 걸리는 제3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래치기어는, 래치몸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걸림부, 마운팅홈부, 제2걸림부 및 제3걸림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울은, 이동홈부를 사이에 두고 래치기어와 마주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울몸체와, 파울몸체에서 돌출되어 제2걸림부 또는 제3걸림부에 걸려서 래치몸체의 회전을 구속하는 걸림돌기 및 파울몸체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가변돌출부에 연결되는 연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제부는, 베이스에 고정되는 커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제몸체 및 해제몸체에서 연장되어 작동케이블에 걸리는 해제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걸림부는, 해제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걸림몸체 및 회전걸림몸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가변돌출부에 걸리는 연장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변돌출부는, 파울의 하측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지지돌기 및 고정지지돌기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베이스의 가이드부재에 접하면서 돌출된 길이가 줄어드는 가변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변지지돌기는, 파울에 고정되며 전방을 향하여 개구된 형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전방을 커버하는 덮개부와,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며 덮개부를 관통하여 하우징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가이드부재에 접하면서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 및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며 이동부재를 하우징의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는 작동케이블의 이동으로 해제부와 회전걸림부와 가변돌출부가 동작되어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실내에서 사용자의 조작만으로도 자동차의 후드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돌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의 요부구성이 완전잠금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케이블의 1차 동작으로 회전걸림부가 고정지지돌기와 가변지지돌기의 사이로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케이블의 이동과 연동하여 회전걸림부가 고정지지돌기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이 제3걸림부에 걸려서 스트라이커가 중간잠금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부와 회전걸림부가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복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케이블의 이동과 연동하여 회전걸림부가 가변지지돌기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이 회전되어 파울의 걸림돌기가 래치기어의 제3걸림부와 이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회전되어 후드열림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부와 회전걸림부가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복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하강하는 스트라이커에 밀려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제3걸림부에 파울이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의 제2걸림부가 파울의 걸림돌기에 걸려서 완전잠금위치를 유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승용차에 설치된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돌출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1)는, 베이스(10), 래치기어(20), 파울(30), 커버부(40), 해제부(50), 회전걸림부(60) 및 가변돌출부(70)를 포함한다.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10)는 스트라이커(110)가 상하(이하 도 3기준)로 이동되기 위한 이동홈부(12)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트라이커(1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홈부(12)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동홈부(12)의 상측은 개구되어 있으며 하측은 막혀있다.
베이스(10)의 우측에는 래치기어(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베이스(10)의 좌측에는 파울(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지지축(90)은 커버부(40)와 래치기어(20)의 래치몸체(21)를 관통하여 베이스(10)의 제1연결공(14)에 삽입되며, 제2지지축(92)은 커버부(40)와 파울(30)의 파울몸체(32)를 관통하여 베이스(10)의 제2연결공(16)에 삽입된다.
래치기어(20)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홈부(12)를 통해 진입된 스트라이커(110)를 구속하며, 복수 개의 걸림부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20)는 래치몸체(21), 제1걸림부(22), 마운팅홈부(23), 제2걸림부(24), 제3걸림부(25) 및 래치연장편(27)을 포함한다.
래치몸체(21)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라이커(110)가 삽입되는 마운팅홈부(23)를 구비한다. 제1지지축(90)은 커버부(40)와 래치몸체(21)와 베이스(10)를 차례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몸체(21)는 이동홈부(12)의 우측에 위치하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걸림부(22)는 래치몸체(21)에서 돌출되어 마운팅홈부(23)로 삽입되는 스트라이커(110)의 상측에 위치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걸림부(22)는 스트라이커(110)를 구속하는 완전잠금위치에서 래치몸체(21)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걸림부(22)는 완전잠금위치에서 파울(30)을 향하여 연장되며, 이동홈부(12)의 내측에 있는 스트라이커(110)가 이동홈부(12)의 상측으로 이동됨을 구속한다.
마운팅홈부(23)는 제1걸림부(22)와 제2걸림부(24)의 사이에 위치하며, 베이스(10)의 이동홈부(12)를 통해 상하로 이동하는 스트라이커(110)가 삽입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한다.
제2걸림부(24)는 스트라이커(110)가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1)에 완전히 잠김 상태로 있는 완전잠금위치에서, 파울(30)에 걸려서 래치기어(20)의 회전이 구속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걸림부(24)는 마운팅홈부(23)를 사이에 두고 제1걸림부(22)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래치몸체(21)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완전잠금위치에서 파울(30)에 걸린다. 제2걸림부(24)는 이동홈부(12)에 위치하는 스트라이커(110)의 하측에 위치하며, 스트라이커(110)에 밀려서 하측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스트라이커(110)를 밀면서 상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제2걸림부(24)는 래치몸체(21)와 함께 회전되며, 파울(30)의 위치에 따라 파울(30)에 접하여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파울(30)을 통과하여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3걸림부(25)는 제2걸림부(24)와 단차를 이루며 중간잠금위치에서 파울(30)에 걸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걸림부(24)의 일측(도 3기준 상측)에는 마운팅홈부(23)가 위치하며, 제2걸림부(24)의 타측(도 3기준 하측)은 원호 형상으로 연장된다. 제2걸림부(24)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3걸림부(25)는 제2걸림부(24)와 단차를 이루며 래치몸체(21)의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파울(30)의 걸림돌기(34)는 제2걸림부(24)나 제3걸림부(25)에 걸려서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래치연장편(27)은 래치몸체(21)에서 돌출되어 제1탄성부재(100)에 연결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연장편(27)은 래치몸체(21)의 상측(이하 도 3기준)으로 연장되어 제1탄성부재(100)의 타측에 연결된다.
래치기어(20)는, 제1지지축(90)이 관통되는 래치몸체(2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걸림부(22), 마운팅홈부(23), 제2걸림부(24) 및 제3걸림부(25)가 반시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파울(30)은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래치기어(20)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30)은, 파울몸체(32), 걸림돌기(34), 연결돌기(36) 및 파울지지편(38)을 포함한다.
파울몸체(32)는 이동홈부(12)를 사이에 두고 래치기어(20)와 마주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파울몸체(32)는 이동홈부(12)를 사이에 두고 래치기어(20)와 대향되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몸체(32)는 이동홈부(12)의 좌측에 위치하는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지지축(92)의 일측은 커버부(40)와 파울몸체(32)와 베이스(10)의 제2연결공(16)을 차례로 통과하여 설치된다. 또한 제2지지축(92)의 타측에는 파울(30)을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102)가 설치된다.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1)가 완전잠금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파울몸체(32)의 상측에 제2지지축(92)이 관통하며, 제2지지축(92)의 하측으로 파울몸체(32)가 연장된다.
걸림돌기(34)는 파울몸체(32)에서 래치기어(20)가 설치된 베이스(10)의 우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걸림돌기(34)에 래치기어(20)의 제2걸림부(24) 또는 제3걸림부(25)가 걸리므로 래치몸체(21)의 회전이 구속된다. 걸림돌기(34)는 파울몸체(32)에서 돌출되어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34)는 래치기어(20)와 마주하는 측면에서 래치기어(2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제2걸림부(24)와 제3걸림부(25)에 접촉되어 밀리거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제2걸림부(24)와 제3걸림부(25)의 이동을 구속한다.
연결돌기(36)는 파울몸체(3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가변돌출부(70)에 연결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돌기(36)는 파울몸체(32)의 하측에서 베이스(10)의 타측(도 3 기준 우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파울몸체(32)에서 걸림돌기(34)와 연결돌기(36)는 같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걸림돌기(34)의 하측에 연결돌기(36)가 위치한다.
제2지지축(92)이 연결된 파울몸체(32)의 근처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파울지지편(38)이 구비된다. 파울지지편(38)에 제2탄성부재(102)의 일측이 걸리므로 파울몸체(32)를 반시계방향(도 2기준)으로 탄성 지지한다.
커버부(40)는 래치기어(20)와 파울(30)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10)와 마주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해제부(50)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됨을 구속하는 회전구속돌기(46)를 구비한다.
베이스(10)의 이동홈부(12)와 대응되는 위치에 커버부(40)의 안내홈부(44)가 형성되며, 회전구속돌기(46)는 커버부(40)에서 해제부(50)를 향한 전방으로 돌출되어 해제몸체(52)의 이동경로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40)는, 커버몸체(42), 안내홈부(44), 회전구속돌기(46), 받침편(48)을 포함한다. 받침편(48)은 커버몸체(4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제1지지축(90)의 외측에 권선되는 형상으로 설치된 제1탄성부재(100)의 일측이 받침편(48)에 걸린다.
해제부(50)는 파울(30)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작동케이블(120)에 연결되어 회전되므로 회전걸림부(60)를 동작시켜 파울(3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부(50)는 해제몸체(52), 작동홈부(54), 해제연장편(56), 해제연결편(58)을 포함한다.
해제몸체(52)는 베이스(10)에 고정되는 커버부(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몸체(52)를 관통하는 제3지지축(94)은 커버부(40)에 설치되며, 제3지지축(94)의 외측에 설치된 제3탄성부재(104)는 베이스(10)와 해제몸체(52)에 양측이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해제몸체(52)는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해제몸체(52)의 일측(도 3기준 좌측)에는 커버부(40)의 회전구속돌기(46)가 걸려서 해제몸체(52)의 회전각도를 설정된 각도 이내로 구속하는 작동홈부(54)가 구비된다. 해제몸체(52)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홈부를 형성하는 작동홈부(54)에 회전구속돌기(46)가 위치한다. 해제몸체(52)의 회전에 따라 작동홈부(54)의 일측 또는 타측이 회전구속돌기(46)에 접하여 해제몸체(52)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이 정지된다.
해제연장편(56)은 해제몸체(52)에서 연장되어 제4탄성부재(106)가 걸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연장편(56)은 해제몸체(52)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회전걸림부(60)를 탄성 지지하는 제4탄성부재(106)의 일측이 걸려서 지지된다.
해제몸체(52)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해제연결편(58)에는 작동케이블(120)이 연결된다. 베이스(10)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연장된 작동케이블(120)은 해제부(50)의 해제연결편(58)에 삽입된 상태로 연결된다. 따라서 작동케이블(120)의 좌측 이동으로 해제몸체(52)는 제3지지축(9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걸림부(60)와 가변돌출부(70)는 해제부(50)의 회전에 연동하여 파울(30)의 회전각도를 가변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걸림부(60)는 해제부(50)의 해제몸체(5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해제몸체(52)의 회전에 연동하여 가변돌출부(70)에 걸려서 파울(30)을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걸림부(60)는 회전걸림몸체(63), 연장돌기(65), 돌출걸림편(67)을 포함한다.
회전걸림몸체(63)는 제4지지축(96)에 의해 해제몸체(5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4지지축(96)의 외측에 권선된 제4탄성부재(106)의 일측은 해제연장편(56)에 지지되며, 제4탄성부재(106)의 타측은 해제몸체(52)를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회전걸림몸체(63)를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연장돌기(65)는 회전걸림몸체(63)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가변돌출부(70)를 구성하는 고정지지돌기(75) 또는 가변지지돌기(80)에 걸려서 파울(30)을 회전시킨다. 연장돌기(65)는 회전걸림몸체(63)에서 돌기 형상으로 연장되며, 연장돌기(65)의 둘레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가변돌출부(70)에 접하면서 발생되는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돌출걸림편(67)은 회전걸림몸체(63)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커버부(40)를 향한 후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된다. 돌출걸림편(67)은 회전걸림몸체(63)가 제4탄성부재(106)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돌출걸림편(67)이 해제몸체(52)의 측면에 접하여 회전걸림몸체(63)가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됨을 구속한다.
가변돌출부(70)는 파울(30)에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며, 파울(30)의 회전각도에 따라 돌출되는 돌기의 개수가 가변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돌출부(70)는 고정지지돌기(75)와 가변지지돌기(80)를 포함한다.
고정지지돌기(75)는 파울(30)의 하측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며, 돌출된 길이가 가변되지 않는다. 파울(30)의 연결돌기(36)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고정지지돌기(75)는 원형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고정지지돌기(75)와 가변지지돌기(80)의 사이로 회전걸림부(6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고정지지돌기(75)와 가변지지돌기(80)는 좌우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며, 고정지지돌기(75)와 가변지지돌기(80)의 사이에는 회전걸림부(6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돌기(75)는 가이드부재(18)와 멀어지는 연결돌기(36) 일측(도 3기준 좌측)에 위치하며, 가변지지돌기(80)는 가이드부재(18)와 가까와지는 연결돌기(36)의 타측(도 3기준 우측)에 위치한다.
가변지지돌기(80)는 고정지지돌기(75)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베이스(10)의 가이드부재(18)에 접하면서 돌출된 길이가 줄어드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지지돌기(80)는, 하우징(81), 덮개부(83), 이동부재(85) 및 탄성부재(89)를 포함한다.
하우징(81)은 파울(30)의 연결돌기(36)에 고정되며, 파울(30)의 전방(도 3기준 좌측)을 향하여 개구된 형상으로 설치된다. 하우징(81)은 전방과 하측이 개구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81)의 일단은 파울(30)의 연결돌기(36)에 고정된다.
하우징(81)의 전방을 커버하는 덮개부(83)는 이동부재(85)가 전방으로 돌출되기 위한 공간을 제외하고 하우징(81)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덮개부(83)의 측면에는 덮개홀(84)이 구비되며, 하우징(81)의 외측면에 구비된 외측돌기(82)가 덮개홀(84)에 걸리므로 덮개부(83)는 하우징(81)의 외측에 고정된다.
이동부재(85)는 하우징(81)의 내측에 위치하며, 덮개부(83)를 관통하여 하우징(81)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또한 이동부재(85)는 가이드부재(18)에 접하면서 하우징(81)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85)는 이동몸체(86)와 경사면(87)과 걸림홈(88)을 포함한다.
이동몸체(86)는 덮개부(83)를 관통하여 하우징(81)의 전방으로 돌출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몸체(86)의 하측(도 4기준 우측) 둘레에는 걸림턱이 돌출되어 이동몸체(86)의 측면에 걸림홈(88)을 형성하며, 걸림턱은 덮개부(83)에 걸린다. 베이스(10)의 가이드부재(18)와 마주하는 이동몸체(86)의 측면에는 경사면(87)이 구비되므로 가변지지돌기(80)가 가이드부재(18)와 접할 때 경사면(87)이 가이드부재(18)에 접하면서 하우징(81)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탄성부재(89)는 하우징(81)의 내측에 위치하며, 이동부재(85)를 하우징(81)의 전방으로 탄성 지지한다. 탄성부재(89)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탄성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지지돌기(80)는 베이스(10)의 가이드부재(18)에 접할 때는 이동부재(85)가 하우징(81)의 내측으로 이동되며, 가이드부재(18)와 이격되는 경우에는 탄성부재(89)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부재(85)가 하우징(8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1탄성부재(100)는 제1지지축(90)의 외측에 권선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1탄성부재(100)의 일측은 받침편(48)에 설치되며 타측은 래치연장편(27)에 연결되어 래치몸체(21)를 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제2탄성부재(102)는 제2지지축(92)의 외측에 권선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2탄성부재(102)의 일측은 베이스(10)에 설치되며 타측은 파울지지편(38)에 연결되어 파울몸체(32)를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제3탄성부재(104)는 제3지지축(94)의 외측에 권선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3탄성부재(104)의 일측은 베이스(10)에 설치되며 타측은 해제몸체(52)의 측면에 걸려서 해제몸체(52)를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제4탄성부재(106)는 제4지지축(96)의 외측에 권선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4탄성부재(106)의 일측은 해제연장편(56)에 연결되며 타측은 회전걸림몸체(63)를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회전걸림몸체(63)를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한편 베이스(10)의 가이드부재(18)는 베이스(10)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후 상측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설치되며, 가변지지돌기(80)의 경사면(87)에 접하는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가변지지돌기(80)의 상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는, 베이스(10)의 좌측에 파울(30)이 설치되며 베이스(10)의 우측에 래치기어(20)가 설치되며, 래치기어(20)는 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파울(30)과 해제부(50)와 회전걸림부(60)는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기 위한 탄성력을 공급받고 있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베이스(10)의 좌측에 래치기어(20)가 설치되고 베이스(10)의 우측에 파울(30)이 설치되며, 래치기어(20)는 반시계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파울(30)과 해제부(50)와 회전걸림부(60)는 시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기 위한 탄성력을 공급받는 후드래치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1)의 잠금해제에 따른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의 요부구성이 완전잠금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케이블의 1차 동작으로 회전걸림부가 고정지지돌기와 가변지지돌기의 사이로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케이블의 이동과 연동하여 회전걸림부가 고정지지돌기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이 제3걸림부에 걸려서 스트라이커가 중간잠금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부와 회전걸림부가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복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케이블의 이동과 연동하여 회전걸림부가 가변지지돌기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울이 회전되어 파울의 걸림돌기가 래치기어의 제3걸림부와 이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회전되어 후드열림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부와 회전걸림부가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복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10)가 제1걸림부(22)와 제2걸림부(24)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래치기어(20)의 회전이 구속된 완전잠금위치에서, 파울(30)의 걸림돌기(34)에 래치기어(20)의 제2걸림부(24)가 걸린다. 이때 가변지지돌기(80)의 이동부재(85)는 가이드부재(18)에 접하여 하우징(81)의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케이블(120)이 좌측방향으로 당겨지면, 작동케이블(120)에 연결된 해제부(50)의 해제연결편(58)도 좌측으로 당겨지면서 해제부(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해제부(50)에 연결된 회전걸림부(60)의 연장돌기(65)는 고정지지돌기(75)와 가변지지돌기(80)의 사이로 삽입된다. 회전걸림부(60)는 제4탄성부재(106)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므로, 해제부(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회전걸림부(6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고정지지돌기(75)와 가변지지돌기(80)의 사이로 삽입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케이블(120)의 지속적인 좌측이동으로 해제부(50)는 시계방향으로 추가 회전되며, 작동홈부(54)의 측면이 커버부(40)의 회전구속돌기(46)에 접하여 해제부(50)의 회전이 정지된다. 회전걸림부(60)의 돌출걸림편(67)이 해제몸체(52)의 측면에 걸려서 회전걸림부(60)의 추가 회전이 구속되므로, 해제부(50)의 시계방향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걸림부(60)도 고정지지돌기(75)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고정지지돌기(75)의 좌측이동으로, 고정지지돌기(75)에 연결된 파울(30)도 제2지지축(9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걸림돌기(34)가 제2걸림부(24)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가변지지돌기(80)는 가이드부재(18)와 접한 상태가 해제되므로, 탄성부재(89)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부재(85)가 덮개부(83)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이동부재(85)가 덮개부(83)에 걸려서 덮개부(83) 외측으로 이동부재(85)가 이탈됨을 방지한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케이블(120)을 통한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해제부(50)와 파울(30)은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파울(30)의 걸림돌기(34)는 래치기어(20)의 제3걸림부(25)에 걸려서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하므로 중간잠금위치를 유지한다.
스트라이커(110)는 제1걸림부(22)와 제2걸림부(24)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1걸림부(22)의 구속으로 스트라이커(110)의 상측 이동이 구속된다.
또한 해제부(50)가 제3탄성부재(104)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추가 회전되면, 회전걸림부(60)는 가변돌출부(70)와 이격되어 가변돌출부(70)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회전걸림부(60)는 제3지지축(94)을 중심으로 해제몸체(52)와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가변지지돌기(80)의 우상측에 연장돌기(65)가 위치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케이블(120)이 다시 좌측방향으로 당겨지면, 작동케이블(120)에 연결된 해제부(50)의 해제연결편(58)도 좌측으로 당겨지면서 해제부(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해제부(50)에 연결된 회전걸림부(60)의 연장돌기(65)는 가변지지돌기(80)의 우측에 접한 상태로 가변지지돌기(80)를 밀기 시작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케이블(120)의 지속적인 좌측이동으로 해제부(50)는 시계방향으로 추가 회전되며, 작동홈부(54)의 측면이 커버부(40)의 회전구속돌기(46)에 접하여 해제부(50)의 회전이 정지된다. 회전걸림부(60)의 돌출걸림편(67)이 해제몸체(52)의 측면에 걸려서 회전걸림부(60)의 추가 회전이 구속되므로, 해제부(50)의 시계방향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걸림부(60)도 가변지지돌기(80)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가변지지돌기(80)의 좌측이동으로, 가변지지돌기(80)에 연결된 파울(30)도 제2지지축(9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걸림돌기(34)가 제3걸림부(25)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기어(20)의 제3걸림부(25)가 파울(30)의 걸림돌기(34)와 이격되므로 래치기어(20)는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마운팅홈부(23)가 베이스(10)의 상측에 위치한 공간과 연통되는 후드열림위치를 유지한다. 래치기어(20)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트라이커(110)는 마운팅홈부(23)에서 래치기어(20)의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스트라이커(110)의 잠금이 해제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케이블(120)을 통한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해제부(50)는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해제부(50)가 제3탄성부재(104)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걸림부(60)는 가변돌출부(70)와 이격되어 가변돌출부(70)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회전걸림부(60)는 제3지지축(94)을 중심으로 해제몸체(52)와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가변지지돌기(80)의 우상측에 연장돌기(65)가 위치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1)의 잠금동작에 따른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가 하강하는 스트라이커에 밀려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제3걸림부에 파울이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기어의 제2걸림부가 파울의 걸림돌기에 걸려서 완전잠금위치를 유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10)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낙하하면서 래치기어(20)에 접한다. 스트라이커(110)가 이동홈부(12)로 삽입되어 하측으로 낙하 하면서 제2걸림부(24)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제2걸림부(24)의 이동으로 래치기어(20)는 제1지지축(9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파울(30)의 걸림돌기(34)가 제3걸림부(25)에 걸린 상태에서 스트라이커(110)의 낙하가 계속되면 제3걸림부(25)와 제2걸림부(24)가 걸림돌기(34)를 밀면서 걸림돌기(34)의 하측으로 회전된다. 한편, 가변지지돌기(80)의 경사면(87)이 가이드부재(18)에 접하면서 이동부재(85)가 하우징(81)의 내측으로 이동되기 시작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홈부(12)의 하측에 스트라이커(110)가 위치된 상태에서 래치기어(20)는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파울(3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파울(30)의 걸림돌기(34)가 래치기어(20)의 제2걸림부(24)에 걸려서 완전잠금위치에서 스트라이커(11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가이드부재(18)에 접하여 하우징(81)의 내측으로 이동된 이동몸체(86)는 하우징(81)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케이블(120)의 이동으로 해제부(50)와 회전걸림부(60)와 가변돌출부(70)가 동작되어 래치기어(20)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30)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실내에서 사용자의 조작만으로도 자동차의 후드를 개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승용차에 설치된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상용차를 포함하여 후드의 개폐가 요구되는 다른 기계장치에도 본 발명에 의한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10: 베이스 12: 이동홈부 14: 제1연결공 16: 제2연결공 18: 가이드부재
20: 래치기어 21: 래치몸체 22: 제1걸림부 23: 마운팅홈부 24: 제2걸림부 25: 제3걸림부 27: 래치연장편
30: 파울 32: 파울몸체 34: 걸림돌기 36: 연결돌기 38: 파울지지편
40: 커버부 42: 커버몸체 44: 안내홈부 46: 회전구속돌기 48: 받침편
50: 해제부 52: 해제몸체 54: 작동홈부 56: 해제연장편 58: 해제연결편
60: 회전걸림부 63: 회전걸림몸체 65: 연장돌기 67: 돌출걸림편
70: 가변돌출부 75: 고정지지돌기 80: 가변지지돌기 81: 하우징 82: 외측돌기 83: 덮개부 84: 덮개홀 85: 이동부재 86: 이동몸체 87: 경사면 88: 걸림홈 89: 탄성부재
90: 제1지지축 92: 제2지지축 94: 제3지지축 96: 제4지지축
100: 제1탄성부재 102: 제2탄성부재 104: 제3탄성부재 106: 제4탄성부재
110: 스트라이커 120: 작동케이블

Claims (8)

  1.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홈부를 구비하며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홈부를 통해 진입된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며, 복수 개의 걸림부를 구비하는 래치기어;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치기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상기 래치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파울;
    상기 파울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작동케이블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해제부;
    상기 해제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해제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되는 회전걸림부; 및
    상기 파울에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파울의 회전각도에 따라 돌출되는 돌기의 개수가 가변되는 가변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어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마운팅홈부를 구비하는 래치몸체;
    상기 래치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마운팅홈부로 삽입되는 상기 스트라이커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걸림부;
    상기 마운팅홈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걸림부와 이격되며, 상기 래치몸체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완전잠금위치에서 상기 파울에 걸리는 제2걸림부; 및
    상기 제2걸림부와 단차를 이루며 중간잠금위치에서 상기 파울에 걸리는 제3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어는, 상기 래치몸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걸림부, 상기 마운팅홈부, 상기 제2걸림부 및 상기 제3걸림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울은, 상기 이동홈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래치기어와 마주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울몸체;
    상기 파울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걸림부 또는 상기 제3걸림부에 걸려서 상기 래치몸체의 회전을 구속하는 걸림돌기; 및
    상기 파울몸체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변돌출부에 연결되는 연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커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제몸체; 및
    상기 해제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작동케이블에 걸리는 해제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걸림부는, 상기 해제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걸림몸체; 및
    상기 회전걸림몸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변돌출부에 걸리는 연장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돌출부는, 상기 파울의 하측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지지돌기; 및
    상기 고정지지돌기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가이드부재에 접하면서 돌출된 길이가 줄어드는 가변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지지돌기는, 상기 파울에 고정되며, 전방을 향하여 개구된 형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방을 커버하는 덮개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덮개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에 접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KR1020140129490A 2014-09-26 2014-09-26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KR201600369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490A KR20160036999A (ko) 2014-09-26 2014-09-26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490A KR20160036999A (ko) 2014-09-26 2014-09-26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999A true KR20160036999A (ko) 2016-04-05

Family

ID=55800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490A KR20160036999A (ko) 2014-09-26 2014-09-26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69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979B1 (ko) 2단 해제용 후드래치
US8684425B2 (en) Vehicle door latch apparatus
KR101434980B1 (ko) 래치장치
KR101662900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643468B1 (ko)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KR101560969B1 (ko) 후드래치장치
KR101541251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
KR101603836B1 (ko)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KR101542689B1 (ko) 자동차용 후드 래치장치
KR101774525B1 (ko) 자동차용 후드래치
KR101573144B1 (ko) 더블풀 후드래치
KR101613018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20160034506A (ko) 2단 해제용 후드래치
KR101662903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825391B1 (ko) 후드래치 장치
KR101882745B1 (ko) 후드래치 장치
KR101585766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장치
KR20160041465A (ko)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KR101542692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585771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371255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160036999A (ko) 이중 해제용 후드래치
JP2017053119A (ja) フードラッチ装置のラッチ機構
KR101595332B1 (ko) 보행자 보호형 후드래치
JP6716095B2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