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114A - 조립 용이한 밸런스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 차단기 - Google Patents

조립 용이한 밸런스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114A
KR20160036114A KR1020140127347A KR20140127347A KR20160036114A KR 20160036114 A KR20160036114 A KR 20160036114A KR 1020140127347 A KR1020140127347 A KR 1020140127347A KR 20140127347 A KR20140127347 A KR 20140127347A KR 20160036114 A KR20160036114 A KR 20160036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balance spring
coupled
ro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5199B1 (ko
Inventor
안범준
Original Assignee
(주)삼화자동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화자동화 filed Critical (주)삼화자동화
Priority to KR1020140127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199B1/ko
Publication of KR20160036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차량의 출입로를 통제 가능하게 차단위치와 통과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차단봉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축을 구비한 구동부와; 일측은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차단봉과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차단봉에 전달 가능하게 마련되며 링크부를 구비한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차량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차단봉이 상기 차단위치와 상기 통과위치에서 사이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탄성력을 보조적으로 제공하는 밸런스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 스프링은, 스프링 본체와, 상기 스프링 본체에서 양단부측으로 연장되어 직경이 변하는 물림부를 구비하되, 상기 물림부의 일측은 상기 본체에, 상기 물림부의 타측은 상기 동력 전달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밸런스 스프링의 구조를 개선하여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 등이 간단하고 편리하다.

Description

조립 용이한 밸런스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 차단기 {Vehicle Blocking Apparatus comprising easily assembled Balance Spring}
본 발명은 차량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고 간단하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밸런스 스프링의 구조를 개선한 차량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 차단기는 대형 건물, 고속도로, 주차장 등의 다양한 장소와 위치에서 출입로를 통해 출입하는 각종 차량의 통행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차량 차단기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가지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와, 동력 전달부에 결합되어 전달된 동력에 의해 출입로를 차단하는 차단봉을 구비한다. 또한, 차량 차단기는 차단봉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밸런스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밸런스 스프링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3508호(2010.11.24.)와 본 발명자가 발명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2951호(2013.09.23.) 등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밸런스 스프링이 본체나 프레임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밸런스 스프링 이외에 밸런스 스프링에 직접 결합되는 볼트 등의 부품이 필요하고 이러한 부품들을 조립 내지 결합하는데 소요 시간이 많이 걸리고, 부품수가 증가하여 단가가 상승하고 조립 등의 공정 내지 공수가 증대되어 경제적인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밸런스 스프링의 구조를 개선하여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 등이 간단하고 편리하면서 심플하게 개선된 차량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크기와 규격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스프링이 제공하는 힘을 균형을 이루면서 분산시킬 수 있는 차량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차량의 출입로를 통제 가능하게 차단위치와 통과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차단봉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축을 구비한 구동부와; 일측은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차단봉과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차단봉에 전달 가능하게 마련되며 링크부를 구비한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차량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차단봉이 상기 차단위치와 상기 통과위치에서 사이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탄성력을 보조적으로 제공하는 밸런스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 스프링은, 스프링 본체와, 상기 스프링 본체에서 양단부측으로 연장되어 직경이 변하는 물림부를 구비하되, 상기 물림부의 일측은 상기 본체에, 상기 물림부의 타측은 상기 동력 전달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차단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상기 밸런스 스프링은 상기 차단봉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봉회전축의 회전중심 축선의 가로방향으로 상기 봉회전축을 탄성지지 가능하게 복수로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런스 스프링의 일측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물림부의 일측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본체 스프링슬롯이 형성된 본체 스프링지지부에 지지되고, 상기 밸런스 스프링의 타측은 상기 동력 전달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물림부의 타측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회동 스프링슬롯이 형성된 회동 스프링지지부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림부는, 상기 스프링 본체의 직경에서 점점 작아지는 영역인 소경부재와, 상기 소경부재에서 연장되어 직경이 점점 커지는 대경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밸런스 스프링의 구조를 개선하여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 등이 간단하고 편리하면서 심플하고, 다양한 크기와 규격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스프링이 제공하는 힘을 균형을 이루면서 분산시킬 수 있으며, 경제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기의 본체 커버를 제거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서 구동부 및 동력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체 커버가 결합된 도 1의 측면도,
도 4(a)는 밸런스 스프링이 지지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4(b)는 밸런스 스프링의 단면도,
도 4(c)는 회동 스프링지지부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차량 차단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 용이한 밸런스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 차단기(이하에서 '차량 차단기'라 함, 10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차단기의 본체 커버를 제거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구동부 및 동력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체 커버가 결합된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a)는 밸런스 스프링이 지지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4(b)는 밸런스 스프링의 단면도이며, 도 4(c)는 회동 스프링지지부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차량 차단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차량 차단기(100)는, 도 1 내지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3)와; 상기 본체(103)에 결합되고 차량의 출입로를 통제 가능하게 차단위치와 통과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차단봉(105)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축(113)을 구비한 구동부(110)와; 일측은 상기 구동축(113)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차단봉(105)과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110)의 동력을 상기 차단봉(105)에 전달 가능하게 마련되며 링크부(121, 123, 125)를 구비한 동력 전달부(120)를 구비하고, 상기 차단봉(105)이 상기 차단위치와 상기 통과위치에서 사이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탄성력을 보조적으로 제공하는 밸런스 스프링(140);을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 스프링(140)은, 코일 형상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 스프링 본체(141)와, 상기 스프링 본체(141)에서 양단부측으로 연장되어 직경이 변하는 물림부(145, 147)를 구비하되, 상기 물림부(145, 147)의 일측은 상기 본체(103)에, 상기 물림부(145, 147)의 타측은 상기 동력 전달부(120)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 차단기(100)에는, 본체(103)의 상측에 마련되어 본체(103)를 보강하는 중간 지지판(170)과, 본체(103)의 상측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구동부(110) 등에 비, 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마련된 본체 커버(104)가 더 마련된다.
차단봉(105)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마련되어 건물, 공장, 주차장 등으로 출입하는 차량을 통제하는 기능을 하고, 차단봉(105)은 봉회전축(107)의 단부에 결합된 것을 일실시예로 하나 봉회전축(107)의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봉회전축(107)은 차단봉(105)에 결합되어 차단봉(105)이 내려져 차량의 통행을 차단하는 차단위치(도 5(b) 참조)와 차단봉(105)이 올려져 챠량의 통행을 허용하는 통과위치(도 5(a) 참조) 사이를 차단봉(105)이 이동할 수 있도록 차단봉(105)과 결합되어 있다. 봉회전축(107)의 회전은 후술하는 구동부(110), 동력 전달부(120)의 작동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구동부(11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회전하여 회전력을 게공하는 모터(미도시)와 모터와 결합되는 회전하는 속도를 변화시키는 감속기(미도시)가 일체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차량 차단기(100)에 사용되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구동부(110)에서 선택될 수 있다.
구동부(110)는 단부에 구동축(113)을 구비하여 구동축(113)을 통해 동력 전달부(120)로 동력을 전달한다.
동력 전달부(120)는 구동부(110)의 회전력을 봉회전축(107)을 통해 차단봉(105)으로 전달한다.
동력 전달부(120)는, 구동축(113)에 결합되는 링크부(121, 123, 125)와, 일측 단부는 링크부(121, 123, 125)에 결합되고 타측의 중앙에는 봉회전축(107)의 일측에 결합되는 봉링크 브래킷(127)과, 회동 스프링지지부(16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봉회전축(107)의 타측에 결합되는 회동 스프링브래킷(165)을 포함한다.
여기서, 링크부(121, 123, 125)는 구동축(113)과 봉링크 브래킷(127)과 사이에 마련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하고,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구동축(113)과 결합되는 구동축 링크(121)와, 일측은 구동축 링크(12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링크 핀(123)에 의해 결합되며 타측은 봉링크 브래킷(127)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축 링크(121)의 회전에 따라 봉회전축(107)으로 동력을 전달 가능하게 하는 제1 링크(125)를 포함한다.
그리고, 링크부(121, 123, 125)에는 차단봉(105)이 차단위치와 통과위치에서 구동축 링크(121)가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 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21a, 121b)가 각각 본체(103)에 구비되어 있다.
밸런스 스프링(140)은 차단봉(105)이 차단위치에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또는 약간의 외력에 차단봉(105)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동력 전달부(120)가 차단위치에서 통과위치로 또는 통과위치에서 차단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차단봉(105)의 무게 등에 의하여 봉회전축(107)에 걸리는 외력에 대향하는 힘을 보조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밸런스 스프링(14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영역에 마련된 스프링본체(103)와, 스프링본체(103)에서 밸런스 스프링(140)의 길이방향인 밸런스 스프링 중심축선(CL spring) 방향으로 연장된 양 단부측으로 직경이 변하는 물림부(145, 14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림부(145, 147)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본체(103)의 직경(도 4(b)의 D1 참조)에서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소경부재(145)와, 소경부재(145)에서 연장되어 직경이 점점 커지는 대경부재(147)를 포함한다.
소경부재(145)와 대경부재(147)의 경계에 있는 직경이 가장 작은 영역(도 4(b)의 D2 참조)에는 목부(143)가 형성되어 있다. 즉, 목부(143) 내지 목부(143)와 인접한 부분이 후술하는 본체 스프링슬롯(153) 또는 회동 스프링슬롯(163)에 결합되어 밸런스 스프링(140)은 차량 차단기(100)에서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차단봉(105)이 통과위치에 위치하여 밸런스 스프링(140)의 길이가 제일 짧은 상태에서는 밸런스 스프링(140)은 인장되어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밸런스 스프링(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봉회전축 회전축선(CL bar)의 가로방향인 밸런스 스프링 중심축선(CL spring)이 평행하게 본체 스프링지지부(150)와 회동 스프링지지부(160)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밸런스 스프링(140)의 조립 개수는 차단봉(105)의 크기, 무게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복수로 마련되어 봉회전축(107)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종래에는 스프링 상수가 큰 하나의 밸런스 스프링만이 봉회전축(107)에 결합되어 장기간 사용시 봉회전축(107)에 비틀린 힘을 제공할 수 있어 봉회전축(107)에 안정적이고 균형적인 보조적인 힘인 탄성력을 제공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밸런스 스프링(140)의 개수를 설정하여 봉회전축(107) 전체 길이에 걸쳐 안분적으로 배치하여 봉회전축(107)에 안정적이고 균형적이면서도 다양한 보조적인 탄성력을 제공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밸런스 스프링(140)에 별도의 다른 부품을 결합하지 않고 물림부(145, 147)를 이용하여 밸런스 스프링(140)을 결합할 수 있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조립, 분해, 교체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며 원재료비와 조립 등에 소요되는 공수를 줄일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런스 스프링(140)의 일측 물림부(145, 147)는 본체(103)에 판 형태로 결합되어 밸런스 스프링(140)이 결합되도록 판면에 다소 길게 관통 형성된 본체 스프링슬롯(153)을 갖는 본체 스프링지지부(150)에 결합되고, 밸런스 스프링(140)의 타측 물림부(145, 147)는 일측은 봉링크 브래킷(127)의 회동스프링축결합부(129)에 결합되고 타측은 회동 스프링브래킷(16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밸런스 스프링(14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판면에 다소 길게 관통 형성된 회동 스프링슬롯(163)을 갖는 회동 스프링지지부(160)에 결합된다. 여기서, 본체 스프링지지부(150)는 밸런스 스프링(140)의 형상에 대응하여 절곡된 형상(도 4(a)의 'R1' 참조)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동 스프링지지부(160)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형태의 판 구조물 양측으로 돌출된 축(161a)이 돌출되어 각각 회동스프링축결합부(129) 및 회동 스프링브래킷(165)에 회전하고 회전하는 축(161a)의 중심이 되는 축선은 회동 스프링지지부 회전축선(CL sp.sport)이 되며, 회동 스프링지지부 회전축선(CL sp.sport)은 봉회전축 회전축선(CL bar)과 나란하게 수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차량 차단기(100)의 작동 과정을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a)와 같은 상태는 차단봉(105)이 올려진 상태로 차량 차단기(100)의 차단봉(105)이 통과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통과위치에서는 밸런스 스프링(140)이 인장된 상태이지만 인장된 길이가 최소인 상태이고, 구동축 링크(121)에 링크 핀(123)이 결합된 위치도 구동축(113)을 중심으로 왼쪽 경사진 하향 방향에 위치하고, 봉링크 브래킷(127)의 왼쪽 끝단도 봉회전축 회전축선(CL bar)을 중심으로 약 10시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다음, 구동부(110)가 회전하면 구동축(113) 구동축 링크(121) 링크핀(123) 제1 링크(125) 봉링크 브래킷(127) 봉회전축(107)을 포함하는 동력 전달부(120)를 거쳐 봉회전축(107)과 결합된 차단봉(105)이 서서히 수직 방향에서 수평 방향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밸런스 스프링(140)의 좌측은 본체 스프링지지부(150)에 고정되고 우측은 봉링크 브래킷(127)과 회동 스프링브래킷(165)의 회전에 따라 회동 스프링지지부(160)가 우측으로 점점 이동하고 이러한 이동에 의해 밸런스 스프링(140)은 점점 늘어나게 되어 회전하는 봉회전축(107)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봉(105)이 차단위치에 위치하면 동력 전달부(120)는 스토퍼(121a, 121b)에 의하여 더 이상 이동이 제한되고 미도시된 센서 등이 차단봉(105) 위치를 감지하여 구동부(110)의 작동을 정지되도록 제어부(미도시)에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차단위치에서는 밸런스 스프링(140)이 최대로 인장된 상태이고, 구동축 링크(121)에 링크 핀(123)이 결합된 위치도 구동축(113)을 중심으로 오른쪽 경사진 상향 방향에 위치하고, 봉링크 브래킷(127)의 오른쪽 끝단도 봉회전축 회전축선(CL bar)을 중심으로 약 1~2시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회동 스프링지지부 회전축선(CL sp.sport)도 대향하여 이동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봉(105)이 통과위치에 놓인 경우 봉링크 브래킷(127)의 중심축선이 '127A'위치에 놓여 있고, 차단봉(105)이 차단위치에 놓인 경우 봉링크 브래킷(127)의 중심축선이 '127B'위치에 놓여 있어 봉회전축 회전축선(CL bar)을 중심으로 봉링크 브래킷(127)의 중심축선이 '127A에서 127B'로 도 3의 각도'K'만큼 봉링크 브래킷(127)이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밸런스 스프링의 구조를 개선하여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 등이 간단하고 편리하면서 심플하고, 다양한 크기와 규격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스프링이 제공하는 힘을 균형을 이루면서 분산시킬 수 있으며, 경제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차량 차단기 103 : 본체
104 : 본체 커버 105 ; 차단봉
107 : 봉회전축 110 : 구동부
113 : 구동축 120 : 동력전달부
121 : 구동축 링크 121a, b : 링크 스토퍼
123 : 링크핀 125 : 제1 링크
127 : 봉링크 브래킷 129 : 회동스프링축 결합부
140 : 밸런스 스프링 141 : 스프링 본체
143 : 목부 145 : 소경부재
147 : 대경부재 145, 147 : 물림부
150 : 본체 스프링지지부 153 : 본체 스프링슬롯
160 : 회동 스프링지지부 163 : 회동 스프링슬롯
165 : 회동 스프링브래킷 161a : 스프링 브래킷회전축
170 : 중간 지지판

Claims (4)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차량의 출입로를 통제 가능하게 차단위치와 통과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차단봉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축을 구비한 구동부와; 일측은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차단봉과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차단봉에 전달 가능하게 마련되며 링크부를 구비한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차량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차단봉이 상기 차단위치와 상기 통과위치에서 사이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탄성력을 보조적으로 제공하는 밸런스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 스프링은, 스프링 본체와, 상기 스프링 본체에서 양단부측으로 연장되어 직경이 변하는 물림부를 구비하되, 상기 물림부의 일측은 상기 본체에, 상기 물림부의 타측은 상기 동력 전달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스프링은 상기 차단봉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봉회전축의 회전중심 축선의 가로방향으로 상기 봉회전축을 탄성지지 가능하게 복수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차단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스프링의 일측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물림부의 일측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본체 스프링슬롯이 형성된 본체 스프링지지부에 지지되고,
    상기 밸런스 스프링의 타측은 상기 동력 전달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물림부의 타측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회동 스프링슬롯이 형성된 회동 스프링지지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차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림부는, 상기 스프링 본체의 직경에서 점점 작아지는 영역인 소경부재와, 상기 소경부재에서 연장되어 직경이 점점 커지는 대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차단기.
KR1020140127347A 2014-09-24 2014-09-24 조립 용이한 밸런스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 차단기 KR101635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347A KR101635199B1 (ko) 2014-09-24 2014-09-24 조립 용이한 밸런스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347A KR101635199B1 (ko) 2014-09-24 2014-09-24 조립 용이한 밸런스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114A true KR20160036114A (ko) 2016-04-04
KR101635199B1 KR101635199B1 (ko) 2016-07-01

Family

ID=55799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347A KR101635199B1 (ko) 2014-09-24 2014-09-24 조립 용이한 밸런스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1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986A (ko) * 1998-11-09 1999-12-06 토루 이와카와 스프링 및 이를 이용한 네트 설치 구조
KR100867673B1 (ko) * 2008-04-07 2008-11-10 주식회사 베스트 일렉트로닉스 차단바 꺾임시 자동개방이 가능한 차량 차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986A (ko) * 1998-11-09 1999-12-06 토루 이와카와 스프링 및 이를 이용한 네트 설치 구조
KR100867673B1 (ko) * 2008-04-07 2008-11-10 주식회사 베스트 일렉트로닉스 차단바 꺾임시 자동개방이 가능한 차량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199B1 (ko) 201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80759B (zh) 汽车尾门试验装置
CN105858111A (zh) 移载装置
ES2471640T3 (es) Instalación de funicular
CN105307902B (zh) 运动机构及用于设有该运动机构的车辆的后视镜
US20150097923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CN105113440B (zh) 一种剪式门
CN104362547B (zh) 一种巡线机器人及其开合轮抓
CN104603516B (zh) 云台
KR101351329B1 (ko) 차량 차단기용 게이트 바의 구동장치
RU2013142689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и,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разрушения и/или измельчения горизонтальных, вертикальных или наклонных поверхностей бесступенчатой резкой
KR101635199B1 (ko) 조립 용이한 밸런스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 차단기
RU2015145952A (ru) Система двунаправленного привода элемента
CN205822061U (zh) 长臂平开式道路栏杆机
KR200463847Y1 (ko) 차량 진출입 차단기
CN105546065A (zh) 一种转轮驱动装置及转轮除湿机
KR101642824B1 (ko)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CN105710083A (zh) 一种导流器
CN202693347U (zh) 一种雨刮器固定装置
KR200392086Y1 (ko)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장치
CN203283479U (zh) 自动装盒机料板自动配送装置的驱动机构
KR200385888Y1 (ko) 피난터널 차량높이제한장치
KR20090010526U (ko) 차량 통행 차단기
ES2215110T3 (es) Dispositivo para unir una placa base de un alzacristales con la carroceria de un vehiculo de motor.
CN205362109U (zh) 一种纺织清洁机吹风管的自动避让装置
KR101863419B1 (ko) 시설물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